KR101926586B1 -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 Google Patents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586B1
KR101926586B1 KR1020167010374A KR20167010374A KR101926586B1 KR 101926586 B1 KR101926586 B1 KR 101926586B1 KR 1020167010374 A KR1020167010374 A KR 1020167010374A KR 20167010374 A KR20167010374 A KR 20167010374A KR 101926586 B1 KR101926586 B1 KR 101926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cartilage conduction
wrist
cartilage
cellula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912A (ko
Inventor
히로시 호소이
요지 호소이
마사히데 다나까
Original Assignee
파인웰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213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54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379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3050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10271A external-priority patent/JP6298641B2/ja
Application filed by 파인웰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파인웰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058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04M1/72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61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carried in a hand or on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03Transducers capable of generating both sound as well as tactile vibration, e.g. as used in cellular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손목에의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스피커와, 가변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스피커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함과 함께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하는 제어부를 갖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가 제안된다. 팔찌형 송수화 장치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의 표시 수단, 또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취급 설명 매체 또는 광고 매체와 함께 제공된다. 사용 방법의 일례는, 상기 연골 전동 진동원의 진동을 엄지 손가락에 진동을 전달함과 함께 손등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을 이주(tragus)에 접촉시키는 것이다.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공용되고,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된다. 연골 전동 진동원은, 기억부의 고지 음성 데이터에 의해 통지 진동한다.

Description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본 발명은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이주에 접촉되는 진동면을 구비한 골전도 스피커의 사용 방법으로서, 진동면과 이주의 접촉하는 압력을 수동 조작에 의해 조절함으로써, 외부 소음의 크기에 맞춰 연골도 경유의 음성 정보와 기도 경유의 음성 정보의 전달 비율을 변경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발생한 진동을 진동판으로부터 인체에 전달하고, 진동판의 진동을 골전도에 의해 손목으로부터 손가락에 전달하고, 이 손가락을 귓구멍 등에 삽입함으로써 음성 신호를 듣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본원 발명자에 의해, 유저의 손가락에 장착한 반지를 통해 음성 신호를 연골 전도 진동으로 변환하여 손가락에 전달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손가락의 진동에 의한 음성 신호가 연골 전송음으로서 외이도 주위의 연골에 전달되고, 외이도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도를 발생시켜 고막에 전달됨과 함께, 일부가 연골을 통해 직접 내이에 전달된다.(특허문헌 3)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손목 시계형 휴대 전화 내의 코드 릴에 권취되어 있는 케이블에 접속된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를 인출하여 손가락 끝에 장착하고 귓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에 설치된 진동 전달 장치의 진동을 귀에 직접 전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또한, 특허문헌 5에서는, 통지 장치로서, 착신 신호를 검지하여 진동하는 진동 발생 장치를 팔찌 등의 장신구체에 내장하여 휴대 전화용의 착신 감지 장신구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5)
일본 특허 제4541111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111822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2-17869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0-324217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11-163980호 공보
그러나, 손의 진동을 통해 연골 전도를 발생시키는 송수화 장치에 관해서는, 더욱 검토해야 할 과제가 많다. 또한, 연골 전도를 발생시키는 수화 방법 및 송수화 장치에 관해서는, 더욱 검토해야 할 과제가 많다. 또한, 통지 장치에 관해서는, 더욱 검토해야 할 과제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비추어, 손의 진동을 통해 연골 전도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한 보다 효과적인 송수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비추어, 효과적인 휴대 전화를 위한 통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스피커와, 가변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을 사용하는지 상기 스피커를 사용하는지에 의해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팔찌형 송수화 장치는, 구체적으로는 손목 시계, 팔찌, 손목 밴드 등으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함과 함께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팔찌형 송수화 장치는, 상기 장착부가 장착된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사용 방법의 설명 정보와 함께 제공된다.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또는,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취급 설명 매체에 의해 제공된다. 또는,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광고 매체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에 의한 사용 방법의 일례는,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엄지 손가락에 전달함과 함께 손등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을 이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상기 이주에 전달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소리를 듣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형성된 가청음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위한 연골 전도 진동원을 갖고,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공용되고,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sense)을 일으키는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착신 바이브레이터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가청음 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된다.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한도 이상의 진동을 금지하는 리미터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복수의 고지 음성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하는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고지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원을 선택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연골 전도를 위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통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이 행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우선 상기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을 행하고, 이것을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진동원에 의한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통지 진동이 발생한 이유를 음성 데이터의 연골 전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시 신호는,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나운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체적으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시 신호는,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나운스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의 진동을 통해 연골 전도를 발생시키는 보다 효과적인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효과적인 통지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1)
도 2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다른 설명 화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또 다른 설명 화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의 다른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실시예 2)
도 9는 실시예 2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실시예 3)
도 11은 실시예 4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의 외관 사시도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실시예 4)
도 12는 실시예 5의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의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실시예 5)
도 13은 실시예 5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6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실시예 6)
도 15는 실시예 6의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스텝 S58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스텝 S64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1은 휴대 전화(2)와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휴대 전화(2)는, GUI(그래피컬·유저·인터페이스) 기능을 구비한 표시부(6)를 갖는 소위 스마트폰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텐키 등의 조작부(8)는 표시부(6) 상에 표시되고, 표시부(6)에 대한 손가락의 터치나 슬라이드에 따라 GUI 조작된다. 적외광 발광부(10 및 12)와 적외 수광부(14)는, 휴대 전화(2)가 귀에 접촉된 것을 검지하는 근접 센서를 구성한다. 휴대 전화(2)는 또한, 이어폰(16), 마이크(18) 및 텔레비전 전화용 내측 카메라(20)를 갖는다. 또한, 도 1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휴대 전화(2)는 표시부(6)의 이면측에 배면 주 카메라를 가짐과 함께, Bluetooth(등록 상표) 등에 의한 근거리 통신 시스템의 전파(22)에 의해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근거리 통신 가능하다. 휴대 전화(2)는 또한 착신음이나 텔레비전 전화의 발생을 위한 스피커를 갖고 있지만, 이것과 구별하기 위해, 귀에 접촉하여 듣는 스피커는 상기와 같이 「이어폰(16)」이라고 칭하고 있다.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는, 손목 시계 본체(26)와 벨트부(28)를 갖는다. 손목 시계 본체(26)에는 반사형 액정을 사용한 손목 시계 표시부(30)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의 시각 표시와 함께, 후술하는 다양한 표시를 행한다. 손목 시계 표시부(30)는 터치 패널식으로, 표시면에 터치 패널(30a)을 갖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목 시계 본체(26)에는, 송수화 장치용 스피커(32)가 설치되어 있고,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2)를 예를 들어 포켓에 넣은 상태에서도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보면서 통화가 가능하다. 송수화 장치용 마이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손목 시계 본체(26)에는, 또한 카메라부(34)가 설치되어 있어 손목 시계 표시부(30)를 보고 있는 자신의 얼굴이 촬상됨과 함께, 상대의 얼굴이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어, 텔레비전 전화가 가능하다.
손목 시계 본체(26)에는,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 진동원(36)이 설치되어 있고, 손목 시계 본체(26)의 이면측으로부터 손목에 연골 전도용의 진동을 전달한다. 또한, 벨트부(28)에도, 마찬가지의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이 설치되어 있고, 벨트부(28)의 이면측으로부터 손목에 연골 전도용의 진동을 전달한다. 또한, 벨트부(28)에는 손목과 음향 임피던스가 서로 비슷한 재질로 구성된 전도대(41)가 설치되어 있고,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은 이 전도대(41)에 배치되어 있고, 진동이 전도대(41)를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로부터는 손목 주위의 광범위에 연골 전도용의 진동이 전달된다.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은, 진동 전달을 위한 적합 위치의 개인차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장착 중의 위치 어긋남 등을 흡수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손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연골 전도에 대해 설명한다. 연골 전도는, 본원 발명자에 의해 발견된 현상이며 이주 등의 외이도 입구부 둘레의 연골에 전달된 진동에 의해 연골부 외이도 표면이 진동하고, 외이도 내에서 기도음을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그리고 외이도 내에서 발생한 기도음은 외이도 내를 더욱 안측으로 진행하여 고막에 도달한다. 이와 같이 연골 전도에 의해 들리는 소리의 주요부는 고막을 통해 들리는 소리이다. 단, 고막에서 들리는 것은 통상의 기도음과 같이 외이도 외부로부터 외이도에 침입한 소리가 아니라, 어디까지나 외이도 내부에서 발생한 기도음이다.
상기한 각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을 겸하고 있고,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착신 신호가 전달됨으로써 진동하여 손목에의 진동 전달에 의해 착신을 알린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골 전도 진동원은 연골 전도 시에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1000㎐를 중심으로 하는 주파수)에서 진동됨과 함께 불쾌한 진동이 손목에 감지되지 않도록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커트하여 손목에 전달된다. 한편, 착신 바이브레이터로서 진동시킬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중심으로 진동되고, 가청 주파수 영역은 커트하여 다른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도록 한다.
벨트부(28)에는, 조임 기구(42)가 설치되어 있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착탈 시에 벨트부(28)를 느슨하게 함과 함께, 통상 장착 상태의 조임을 행한다. 조임 기구(42)는, 또한 통상 상태로부터, 고통이나 불쾌감이 없는 범위에서 약간 꽉 끼게 벨트부(28)를 조임으로써 손목에의 연골 전도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 이러한 조임 기구(42)에 의한 통상 상태로부터 연골 전도 상태로의 전환은,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스위치부(44)를 누르는 것에 의한 터치 패널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44)를 누르는 동작은, 손목 시계 본체(26)를 손목에 압박하는 방향의 조작이므로 연골 전도 진동원(36)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손목에 밀착시키는 동작으로도 된다. 또한, 통상 장착 상태에 있어서 연골 전도가 충분할 때에는, 스위치부(44)를 누르지 않고 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벨트부(28)에는, 또한 송수화 장치용의 가변 지향성 마이크(4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텔레비전 전화 상태에서는, 화살표(4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 지향성 마이크(46)는 손목 시계 표시부(30)의 정면으로부터의 음성을 얻도록 손등측에 지향성이 설정된다. 한편, 연골 전도에 의해 통화를 행할 때에는, 화살표(5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 지향성 마이크(46)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손(통상 왼손)의 손바닥측으로부터의 음성을 얻도록 지향성이 전환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은 자세에 의해 통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벨트부(28)에는, 음향 임피던스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진동 격리대(52 및 54)가 설치되어 있고,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및 40)으로부터의 진동이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벨트부(28)를 따라, 근거리 통신부의 안테나(56)가 손목을 감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다. 이 화면은,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전원 스위치를 켤 때마다 표시되지만, 번잡할 때에는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2의 (A)는 텔레비전 전화 시의 통화 자세이며, 휴대 전화(2)를 예를 들어 포켓에 넣은 상태에서 손목 시계 표시부(30)를 보면서 텔레비전 전화의 통화를 행하는 자세를 설명하고 있다. 이때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은 도 1의 화살표(48)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등측을 향하고 있다.
도 2의 (B)는 연골 전도 통화의 자세를 설명하는 것으로,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손(예를 들어 왼손)의 검지 손가락을 동일한 측의 귀(예를 들어 왼쪽 귀)의 이주(귀 연골)에 접촉하고 있는 연골 전도에 의한 통화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손가락으로 귓구멍을 막지 않도록 하면, 외계음도 들리는 상태에서 연골 전도에 의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또한, 이주를 강하게 눌러 귓구멍을 막도록 하면 외이도 폐쇄 효과에 의해 더욱 큰 소리로 연골 전도에 의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통화 자세에 의해, 손목으로부터 도입된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이 검지 손가락에 전달되고, 그 진동이 이주(귀 연골)에 전달됨으로써, 양호한 연골 전도에 의해 상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음과 함께, 도 1의 화살표(5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바닥측의 방향으로 지향성이 전환된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에 의해 얻어지는 자신의 목소리를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 자세 시, 카메라부(34), 송수화 장치용 스피커(32) 및 손목 시계 표시부(30)는 각각 오프가 된다. 이러한 자동 오프는, 손목 시계 본체(26)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가 도 2의 (A)와 (B)의 자세 변경을 검지함으로써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다른 설명 화면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B)에 나타내는 연골 전도에 의한 통화 자세에 있어서, 오른손으로 도 1에 도시하는 스위치부(44)를 누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의 (B)는 다른 연골 전도에 의한 통화 자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손(예를 들어 왼손)의 엄지 손가락을 동일한 측의 귀(예를 들어 왼쪽 귀)의 이주(귀 연골)에 접촉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통화 자세에서도, 손바닥측의 방향으로 지향성이 전환된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에 의해 얻어지는 자신의 목소리를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는 통화 자세의 또 다른 설명 화면이다. 도 4의 (A)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손(예를 들어 왼손)을 얼굴 앞에서 크로스시켜 검지 손가락을 반대측의 귀(예를 들어 오른쪽 귀)의 이주(귀 연골)에 접촉하고 있는 연골 전도에 의한 통화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4의 (B)는 또 다른 연골 전도에 의한 통화 자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손(예를 들어 왼손)의 손바닥 하부의 볼록한 부분을 동일한 측의 귀(예를 들어 왼쪽 귀)에 접촉한 자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손바닥의 볼록한 부분이 귓구멍 부근의 연골에 광범위하게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강하게 누르면 귀를 막는 형태가 된다. 또한, 도 4의 (A) 및 도 4의 (B)의 어느 통화 자세에서도, 손바닥측의 방향으로 지향성이 전환된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에 의해 얻어지는 자신의 목소리를 상대에게 전달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 1의 블록도이며,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은 생략한다. 휴대 전화(2)는, 기억부(58)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기억부(58)는 또한, 제어부(60)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 기억함과 함께, 다양한 측정 데이터나 화상도 기억할 수 있다. 표시부(6)의 표시는 제어부(60)의 제어에 기초하여 표시 드라이버가 유지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표시부(6)는 표시용 백라이트를 갖고 있으며, 주위의 밝기에 기초하여 제어부(60)가 그 밝기를 조절한다. 표시부(6)는 터치 패널(6a)을 갖고, 표시부(6)를 터치함으로써 휴대 전화(2)를 조작할 수 있다.
송화 처리부(62), 마이크(18), 수화 처리부(64) 및 이어폰(16)을 포함하는 전화 기능부(66)는, 제어부(60)의 제어하에 있는 전화 통신부(68)에 의해, 무선 전화 회선에 접속 가능하다. 스피커(7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착신음이나 다양한 안내를 행함과 함께 텔레비전 전화 시의 상대의 목소리를 출력한다. 이 스피커(70)의 음성 출력은, 이어폰(16)으로부터 출력되는 일은 없다. 또한, 화상 처리부(72)는, 제어부(60)에 제어되어 텔레비전 전화용 내측 카메라(20) 및 배면 주 카메라(74)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을 처리하고, 이들의 처리 결과의 화상을 기억부(58)에 입력한다.
휴대 전화(2)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76), 주전원의 메인 스위치 등의 조작부(78)를 갖는다. 휴대 전화(2) 전체에 급전하는 전원부(80)는 무접점 충전부(82)로부터 급전되는 충전지를 갖는다.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는, 휴대 전화(2)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77)를 갖는다. 또한 통상의 시계 기능을 위한 시계 기능부(84)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86)는, 도 1의 (A)로부터 (B)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상승, 및 도 1의 (B)로부터 (A)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하강을 검지하고, 카메라부(34), 스피커(32) 및 손목 시계 표시부(30)의 자동 전환을 행한다.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전원부(88) 및 휴대 전화(2)의 전원부(80)는 각각, 무접점 충전부(82 및 90)에 의해 무접점 충전이 가능하지만, 서로의 충전 상태의 정보를 근거리 통신에 의해 공유하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휴대 전화(2)의 연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GPS부(92)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를 채운 유저의 이동을 검지하고, 그때마다, 휴대 전화(2)가 비휴대 상태에서 원래의 장소에 방치되어 있지 않은지 체크함으로써,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휴대 전화(2)의 연계를 확보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이동한 결과, 근거리 통신 권외가 되지 않는지를 체크한다.
구동부(94)는, 손목 시계 본체(26)의 연골 전도부(36) 및 벨트부(28)의 연골 전도부(38 및 40)를 모두 구동함으로써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연골 전도용의 진동을 전달한다. 음성 처리부(96)는 제어부(98)의 지시에 의해 구동부(94)에 의한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 발생과 스피커(32)에 의한 기도음 발생을 전환한다. 가변 지향성 마이크(46)는, 음성 처리부(96)를 통한 제어부(98)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지향성의 전환을 행한다. 음성 처리부(96)는 또한, 구동부(94)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를 커트한 음성 신호로 할지, 가청 주파수 영역을 커트한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의 바이브레이션 신호로 할지를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98)는, 기억부(99)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다. 기억부(99)는 또한, 제어부(98)의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 기억함과 함께, 다양한 측정 데이터나 화상도 기억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주전원의 온이나 발호 조작, 또는 착신 응답 조작 등을 행하기 위한 버튼 등을 포함한다. 손목 시계 표시부(30)는 상기와 같이 터치 패널식이며, 터치 패널(30a)을 갖고 있고 스위치부(44) 등이 표시되고, 손목 시계 표시부(30)를 터치함으로써 휴대 전화(2)를 조작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제어부(98)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6의 플로우는, 연골 전도에 관한 기능을 중심으로 동작을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에는 통상의 손목 시계 기능을 비롯한 도 6의 플로우에 표기하고 있지 않은 제어부(98)의 동작이 존재한다. 도 6에서는, 연골 전도에 관한 기능 중에서도 특히,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 제어,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과 음성 주파수 영역의 전환 제어, 및 벨트부(28)의 조임 제어에 관한 기능 등을 추출하고 있고,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여러 기능에 대해서도, 번잡을 피하기 위해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도 6의 플로우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조작부(100)에 있어서의 주전원의 온으로 시작하고, 스텝 S2에서 초기 구동 및 각 부 기능 체크를 행함과 함께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통상의 시계 표시를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S4에서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사용법을 슬라이드 쇼로 표시한다. 사용법 설명이 종료되면 스텝 S6으로 이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의 구동 시,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중심으로 진동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착신 바이브레이션이 들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구동 신호로부터 가청 주파수 영역이 커트되도록 회로 전환을 행하여 스텝 S8로 이행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아직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의 구동은 행해지지 않는다. 스텝 S6에 이르렀을 때, 원래, 가청 주파수 영역이 커트 상태에 있으면 스텝 S6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8로 이행한다.
스텝 S8에서는,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를 오프하여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을 가청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시킬 때, 완전히 커트되어 있지 않은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이 불쾌한 진동각을 발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볼륨이 소정보다도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리미터이며, 음성 처리부(96)에 설치되는 것이다.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을 착신 바이브레이터로서 진동시키는 경우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러한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를 오프하고, 볼륨 조절을 최대까지 올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텝 S8에 이르렀을 때, 원래,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가 오프 상태에 있으면 스텝 S8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휴대 전화(2)로부터 근거리 통신에 의해 전달되는 착신 신호에 응답하여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조작부(100)를 조작하였는지, 또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조작부(100)에서의 발호 조작이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2)에 전달되고, 이것에 기초하여 상대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던 것이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2)로부터 전달되었는지를 검지한다. 또한, 착신 신호가 전달된 경우에는,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이 착신 바이브레이터로서 진동하지만, 이때, 스텝 S6의 기능에 기초하여 가청 주파수 영역이 커트되어 진동한다. 조작부(100)에 의한 착신 응답 조작 또는, 휴대 전화(2)로부터의 발호 응답 중 어느 하나가 있으면, 휴대 전화(2)에 의한 상대와의 통화가 개시된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카메라부(34)에 의한 자신의 얼굴의 촬상, 스피커(32)에 의한 기도음의 발생을 모두 온으로 함과 함께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설정하여 스텝 S14로 이행한다. 또한, 이때 연골 전도부(36, 38, 40)는 오프되어 있다. 원래, 손목 시계 표시부(30)가 온, 카메라부(34)가 온, 스피커(32)가 온,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이 손등측인 상태에서 스텝 S12에 이르렀을 때에는, 스텝 S12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14로 이행한다. 이어서 스텝 S14에서 벨트부(28)의 조임 상태를 통상으로 하여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벨트부(28)의 조임 상태가 원래, 통상의 조임 상태에서 스텝 S14에 이르렀을 때에는 스텝 S14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16으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통화의 개시에 있어서는 우선 텔레비전 전화 상태가 설정된다. 또한, 벨트부(28)의 조임 상태는 통상으로 한다. 또한, 통화가 텔레비전 전화가 아니라 음성뿐이었던 경우에는, 상기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및 카메라부(34)의 온을 생략한다.
스텝 S16에서는, 가속도 센서(86)에 의한 도 2의 (A)로부터 (B)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상승 검지의 유무를 체크한다. 검지가 있으면 스텝 S18로 이행하고,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카메라부(34)에 의한 자신의 얼굴의 촬상, 스피커(32)에 의한 기도음의 발생을 모두 오프로 하고 대신에 연골 전도부(36, 38, 40)를 온한다. 또한,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설정하여 스텝 S18로 이행한다. 원래, 손목 시계 표시부(30)가 오프, 카메라부(34)가 오프, 연골 전도부(36, 38, 40)가 온,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이 손바닥측인 상태에서 스텝 S18에 이르렀을 때에는, 스텝 S18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20에서는, 연골 전도 진동원(36, 38, 40)을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1000㎐를 중심으로 하는 주파수)에서 진동됨과 함께 불쾌한 진동이 손목에 감지되지 않도록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커트하여 스텝 S22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0에 이르렀을 때, 원래, 진동각 주파수 영역이 커트 상태에 있으면 스텝 S20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22로 이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를 온하여 스텝 S24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22에 이르렀을 때, 원래, 진동각 방지 볼륨 리미터가 온 상태에 있으면 스텝 S22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24로 이행한다.
스텝 S24에서는, 스위치부(44)가 눌러져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눌러져 있으면 스텝 S26으로 이행하여 벨트부(28)의 조임력을 강하게 하여 스텝 S28로 이행한다. 한편, 스위치부(44)가 눌려져 있지 않은 것을 검지하면 스텝 S30으로 이행하고, 조임력을 통상으로 되돌려 스텝 S28로 이행한다.
스텝 S28에서는, 가속도 센서(86)에 의한 도 2의 (B)로부터 (A)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하강의 유무를 체크하고, 하강 검지가 있으면, 스텝 S12로 이행하여, 텔레비전 전화 상태로 설정을 복귀시킨다. 한편, 스텝 S28에서 하강 검지가 없으면(연골 전도 통화가 계속되고 있는 한 통상은 이 상태임) 스텝 S32로 이행하고, 통화가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통화의 절단이 없으면, 스텝 S16으로 복귀된다. 이하, 스텝 S32에서 통화 끊김이 검지될 때까지는, 스텝 S12 내지 스텝 S32가 반복되고, 자세의 변화에 대응하는 연골 전도 통화와 텔레비전 전화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스위치부(44)의 조작의 유무에 기초하는 조임력의 변경을 행한다. 한편 스텝 S32에서 통화 끊김이 검지되면 스텝 S36으로 이행한다.
스텝 S36에서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주전원이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주전원의 오프가 없으면 스텝 S6으로 복귀되고, 이하 스텝 S36에서 주전원의 오프가 검지되지 않는 한, 스텝 S6 내지 스텝 S36을 반복한다. 이에 반해 스텝 S36에서 주전원 오프가 검지되면 플로우를 종료한다.
도 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제어부(98)의 기능을 다른 기능을 추출하여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의 플로우도, 연골 전도에 관한 기능을 중심으로 동작을 추출하여 도시하고 있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에는 통상의 손목 시계 기능을 비롯한 도 7의 플로우에 표기하고 있지 않은 제어부(4)의 동작이 존재한다. 도 7에서는, 연골 전도에 관한 기능 중에서도 특히,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 제어, 및 휴대 전화(2)와의 연계에 관한 기능 등을 추출하고 있고,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다른 여러 기능 및 도 6에서 설명 완료된 기능에 대해서도, 번잡을 피하기 위해 도시와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각 기능은, 설명의 사정상 도 6과 도 7로 분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6과 도 7의 기능을 종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7의 플로우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주전원의 온으로 시작하고, 스텝 S862에서 초기 구동 및 각 부 기능 체크를 행함과 함께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통상의 시계 표시를 개시한다. 이어서 스텝 S864에서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사용법을 슬라이드 쇼로 표시한다. 사용법 설명이 종료되면 스텝 S866으로 이행하고, GPS부(92)에 의한 유저의 이동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동 검지가 없으면 스텝 S868로 진행하고,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휴대 전화(2)의 연계를 확보하기 위한 예정 타이밍(예를 들어 5초에 1회)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해당되면 스텝 S870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866에서 GPS부(92)에 의한 유저 이동이 검지된 경우에는, 직접 스텝 S870으로 이행한다. 스텝 S870에서는, 휴대 전화(2)가 근거리 통신 권외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통신 권내에 있으면 스텝 S872로 진행한다. 스텝 S872에서는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을 행하고, 정상적으로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어 있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전원 상태를 체크하여 결과를 휴대 전화(2)에 송신한다. 송신된 정보는 휴대 전화(2)에서 표시된다. 또한, 스텝 S874에서 휴대 전화(2)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리 통신으로 수신하고, 결과를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하여 스텝 S876으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868에 있어서 예정 타이밍이 되면 직접 스텝 S876으로 이행한다.
스텝 S876에서는,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2)에 착신이 있었는지, 또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조작부(6509)의 발호 조작에 기초하는 상대로부터의 응답이 있었는지를 검지한다. 이들 중 어느 하나가 있으면, 휴대 전화(2)에 의한 상대와의 통화가 개시된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878로 진행하고,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카메라부(34)에 의한 자신의 얼굴의 촬상, 스피커(32)에 의한 기도음의 발생을 모두 온으로 함과 함께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설정하여 스텝 S880으로 이행한다. 또한, 이때 연골 전도부(36, 38, 40)는 오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통화의 개시에 있어서는 우선 텔레비전 전화 상태가 설정된다. 또한, 통화가 텔레비전 전화가 아니라 음성뿐이었던 경우에는, 상기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및 카메라부(34)의 온을 생략한다.
스텝 S880에서는, 가속도 센서(86)에 의한 도 2의 (A)로부터 (B)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상승 검지의 유무를 체크한다. 검지가 있으면 스텝 S882로 이행하고,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있어서의 상대의 얼굴의 표시, 카메라부(34)에 의한 자신의 얼굴의 촬상, 스피커(32)에 의한 기도음의 발생을 모두 오프로 하고 대신에 연골 전도부(36, 38, 40)를 온한다. 또한,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설정하여 스텝 S884로 이행한다.
스텝 S884에서는, 가속도 센서(86)에 의한 도 2의 (B)로부터 (A)로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하강의 유무를 체크하고, 하강 검지가 있으면, 스텝 S878로 이행하여, 텔레비전 전화 상태로 설정을 복귀시킨다. 한편, 스텝 S884에서 하강 검지가 없으면(연골 전도 통화가 계속되고 있는 한 통상은 이 상태임) 스텝 S886으로 이행하고, 통화가 절단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통화의 절단이 없으면, 스텝 S880으로 복귀된다. 이하, 스텝 S886에서 통화 끊김이 검지될 때까지는, 스텝 S878 내지 스텝 S886이 반복되고, 자세의 변화에 대응하는 연골 전도 통화와 텔레비전 전화의 전환을 행한다. 한편 스텝 S886에서 통화 끊김이 검지되면 스텝 S888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876에 있어서의 통화 개시의 검지가 없으면 직접 스텝 S888로 이행한다.
스텝 S888에서는, 조작부(100)에 의한 휴대 전화 수색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이 조작은, 예를 들어 나갈 때에 휴대 전화(2)가 눈에 띄지 않을 때에 행해진다. 그 조작이 행해지면 스텝 S890으로 진행하고, 근거리 통신에 의해 휴대 전화(2)와 통신하고, 휴대 전화(2)로부터 착신음의 발음(또는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행하게 하기 위한 지시 신호를 송신하여 스텝 S892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870에 있어서 휴대 전화(2)가 근거리 통신 권외가 된 것이 검지되면 스텝 S894로 진행하고, 휴대 전화(2)가 비휴대 상태인 것을 경고하는 표시를 행하여 스텝 S892로 이행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휴대 전화(2)의 연계가 확보된다.
스텝 S892에서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주전원이 오프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주전원의 오프가 없으면 스텝 S866으로 복귀되고, 이하 스텝 S892에서 주전원의 오프가 검지되지 않는 한, 스텝 S866 내지 스텝 S892를 반복한다. 이에 반해 스텝 S892에서 주전원 오프가 검지되면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상의 실시예 1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의 실시는, 실시예 1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점을 향수할 수 있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하기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변형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일부 변형 전의 상태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의 진동은, 벨트부(28)의 전도대(41)를 통해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도 전달되므로 전도대(41)의 전도 효율이 좋을 때에는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손목 시계 본체(26)의 연골 전도 진동원(36)의 진동을 벨트부(28)의 전도대(41)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면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의 양자를 생략해도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손목 시계 본체(26)의 이면측 부분까지 전도대(41)를 연장하도록 구성하고,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진동을 전달하도록 하면, 연골 전도 진동원(3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손목 주위의 광범위에 연골 전도용의 진동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연골 전도 진동원을 1개 또는 소수로 해도 된다. 반대로, 연골 전도 진동원의 수를 실시예 1보다도 적절히 늘려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의 연골 전도용의 진동 전달을 강화해도 된다.
또한,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되는 스위치부(44)를 채용하는 것 대신에, 벨트부(28)에 있어서의 연골 전도 진동원(38 또는 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버튼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동시에 연골 전도 진동원(38 또는 40)을 손목에 밀착시키는 동작이 된다. 또한, 조임력의 전환은 이러한 수동에 의하지 않고, 도 6의 스텝 S16에서 상승 가속도가 검지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조임력을 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때 사용자가 놀라지 않도록, 스텝 S18에 있어서 스피커(32)를 오프하기 전에 「벨트를 조입니다」라는 짧은 음성 메시지를 넣도록 해도 된다. 또한,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는, 조임 기구를 생략하고, 단순히 스위치부(44)를 누르는 동작으로 연골 전도 진동원(38 또는 40)을 손목에 밀착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부(44)의 기능은,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의 음성 전달용의 진동을 온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44) 자체를 생략하고, 단순히, 연골 전도 진동원(38 및 40)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 근방을 누르도록 손목 시계 표시부(30)에서 안내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은 손목 주위의 가능한 한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고, 진동 전달을 위한 적합 위치의 개인차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의 장착 중의 위치 어긋남 등을 흡수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반해, 다른 실시예로서, 효과가 높은 진동 전달 포인트를 개인별로 측정하고, 최적 위치에 진동을 집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에도, 사용 중의 어긋남을 고려하고, 집중해야 할 전달 영역에 대해 약간의 확대를 고려한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가변 지향성 마이크(46) 대신에, 손등측의 소리도 손바닥측으로부터의 소리도 얻을 수 있는 광각 마이크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2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 실시예 2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는,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 1과 기본 구성이 공통되므로, 기본 구성의 설명에 대해서는, 적절히 도 1 등을 원용한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휴대 전화(2)와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휴대 전화(2)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손목 시계형 송수화기(104)에 대해서도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공통의 번호를 부여함과 함께 설명은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된다. 도 8의 (A)는 실시예 2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며, 통화 자세는, 기본적으로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3의 (B)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의 구성이 다르게, 벨트부(128)의 손바닥측으로부터 엄지 손가락(103)의 내측을 따라 상승되는 절첩식 지주부(105)를 구비하고 있고, 그 선단 부분에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부(138)가 지지되어 있다. 도 8의 (A)에서는, 이 절첩식 지주부(105)의 도중 부분을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base)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우면서, 엄지 손가락(103)의 선단부로 연골 전도부(138)를 이주에 압박하여 연골 전도를 얻는 통화 자세가 설명 표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절첩식 지주부(105)는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워졌을 때에 약간의 비틀림을 발생시키고, 선단 부분이 엄지 손가락(103)의 배를 따르게 된다.
도 8의 (B) 내지 도 8의 (D)는 설명 표시 화면 중으로부터 손의 부분을 추출한 확대도이며, 절첩식 지주부(105)를 수납 상태로부터 연골 전도 상태로 상승시키는 조작을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로 설명하고 있다. 즉, 도 8의 (B) 내지 도 8의 (D)는 도 8의 (A)로부터 손목을 180도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B)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고, 절첩식 지주부(105)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의 벨트부(128)를 따르는 형태로 실질적으로 벨트부(128)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절첩되어 있다. 이때 연골 전도부(138)는 벨트부(128)에 접촉하고 있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사용될 때에는 벨트부(128)를 통해 손목에 착신 바이브 진동을 전달한다.
도 8의 (C)는 절첩식 지주부(105)를 상승시키기 위해 도중까지 절첩식 지주부(105)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의 (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첩식 지주부(105)는 벨트부(128)에 고착된 기저부(105a), 중간부(105b) 및 지지부(105c)로 구분된다. 지지부(105c)는 그 선단 부분에 연골 전도부(138)를 지지하고 있다. 기저부(105a)와 중간부(105b) 사이는 경사 절곡부로 되어 있고, 중간부(105b)와 지지부(105c) 사이는 되접힘부로 되어 있다. 절첩식 지주부(105)는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 및 반복 절곡에 대해 내구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한 경사 절곡부 및 되접힘부는 절곡과 전개의 반복에 대해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8의 (C)에서는, 훅(105d)을 훅(105e)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지지부(105c)로부터 중간부(105b)가 전개되어 있다.
도 8의 (D)는 또한 훅(105f)을 훅(105g)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중간부(105b)를, 경사 절곡부의 부분에서 기저부(105a)[도 8의 (D)에서는 가려져 있음]로부터 90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중간부(105b) 및 지지부(105c)가 엄지 손가락(103)을 따라 상승된다. 그리고, 절첩식 지주부(105)의 탄력에 저항하여 그 도중 부분을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움으로써, 절첩식 지주부(105) 전체에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하고, 지지부(105c)의 선단 부분에 지지된 연골 전도부(138)가 엄지 손가락(103)의 배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A)와 같이 엄지 손가락(103)의 끝을 이주에 압박 접촉함으로써 연골 전도부(138)가 엄지 손가락(103)과 이주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연골 전도부(138)로부터 이주로의 양호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절첩식 지주부(105)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8의 (D)로부터 도 8의 (B)로의 반대의 수순에 의해, 절첩식 지주부(105)를 절첩함과 함께, 훅(105f)과 훅(105g) 및 훅(105d)과 훅(105e)을 순차적으로 끼우면 된다. 이상의 절첩식 지주부(105)의 상승 및 수납 조작은, 도 8과 같이 예를 들어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를 왼손에 채우고 있는 경우, 오른손 1개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사정상, 도 8의 (B)의 상태로부터 도 8의 (D)의 상태로의 절첩식 지주부(105)의 상승 또는, 도 8의 (D)의 상태로부터 도 8의 (B)의 상태로의 조작은, 도 8과 같은 단계를 밟아 나누어 행할 필요는 없고, 연골 전도부(138) 주변을 오른손에 의해 행하는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은, 실질적으로는 1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절첩식 지주부(105)를 형상 기억 기능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수납 상태와 상승 상태의 중간적인 형상을 기억시켜 두면, 수납으로부터 상승 시에도, 상승으로부터 수납 시에도 최종 형상을 향하는 상태가 시사되므로 조작에 망설이는 일이 없고, 또한 기억 형상으로부터 최종 형상으로의 조작도 용이해진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2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9도, 실시예 1의 시스템 블록도인 도 5와 공통되는 부분이 많다. 따라서, 공통의 부분에는 도 5와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도 9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2)의 부분은 도 5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설명은 일절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의 실시예 2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104)가 도 1에 있어서의 실시예 1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4)와 다른 것은, 절첩식 지주부(105)의 부분이며, 연골 전도부(138)를 포함하는 절첩식 지주부(105)가 도 8의 (B)의 수납 상태에 있으면 전환 지시부(107)가 이 상태인 것을 검지하여 제어부(198)에 수납 검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98)는 이 수납 검지 신호에 따라 음성 처리부(96)를 제어하고, 구동부(94)에 의해 연골 전도부(138)가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중심으로 진동되고, 가청 주파수 영역은 커트하여 다른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연골 전도부(138)는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제어부(198)는 수납 검지 신호에 따라 음성 처리부(96)를 제어하고, 스피커(32)로부터 음성 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98)는 수납 검지 신호에 따라 음성 처리부(96)를 제어하고,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함과 함께, 손목 시계 표시부(30)를 온한다.
한편, 절첩식 지주부(105)가 도 8의 (D)의 상승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하면, 전환 지시부(107)는 제어부(198)에 상승 검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198)는 이 상승 검지 신호에 따라 음성 처리부(96)를 제어하고, 구동부(94)에 의해 연골 전도 진동부(138)가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1000㎐를 중심으로 하는 주파수)에서 진동됨과 함께 불쾌한 진동이 엄지 손가락(103)에 감지되지 않도록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예를 들어 20㎐ 이하)를 커트한다. 또한, 제어부(198)는 상승 검지 신호에 따라 음성 처리부(96)를 제어하고, 스피커(32)를 오프함과 함께 가변 지향성 마이크(46)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한다. 또한, 이때, 손목 시계 표시부(30)를 오프한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3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 실시예 3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는,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2와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은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휴대 전화(2)와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도,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 손목 시계 표시부(30)에 표시된다. 도 10의 (A)는 실시예 3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에 있어서의 통화 자세의 설명 화면이며, 통화 자세는, 실시예 2의 도 8의 (A)와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이 실시예 2와 다른 것은, 절첩식 지주부(205)의 구성이다. 절첩식 지주부(205)가 벨트부(128)의 손바닥측으로부터 엄지 손가락(103)의 내측을 따라 상승되고, 그 선단 부분에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부(238)가 지지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그 구조와 연골 전도를 시키는 방법 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첩식 지주부(205)의 선단 부분에 지지된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부(238)의 진동은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에 전달되고, 이 진동이 엄지 손가락(103)을 타고 엄지 손가락(103)의 선단부에 도달한다. 그리고, 엄지 손가락(103)의 선단부를 이주에 접촉함으로써 연골 전도가 실현된다. 손의 조직을 개재하는 점에서는, 실시예 3은 실시예 1과 공통이다. 이로 인해, 절첩식 지주부(205)는 실시예 2보다도 짧고, 그 구조도 간단하고 절곡부는 1개로 되어 있다.
도 10의 (B) 및 도 10의 (C)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명 표시 화면 중으로부터 손의 부분을 추출한 확대도이며, 절첩식 지주부(205)를 수납 상태로부터 연골 전도 상태로 상승시키는 조작을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로 설명하고 있다. 도 8의 (B)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 상태에 있어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절첩식 지주부(205)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의 벨트부(128)를 따르는 형태로 실질적으로 벨트부(128)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절첩되어 있다. 또한, 이때 연골 전도부(238)는 벨트부(128)에 접촉하고 있어서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사용될 때에는 벨트부(128)를 통해 손목에 착신 바이브 진동을 전달하는 점도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다.
도 10의 (B)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절첩식 지주부(205)는 벨트부(128)에 고착된 기저부(205a) 및 지지부(205b)로 구분되고, 지지부(205b)의 선단 부분에는 연골 전도부(238)가 지지된다. 기저부(205a)와 지지부(205b) 사이는 경사 절곡부로 되어 있다. 절첩식 지주부(205)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 및 반복 절곡에 대해 내구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한 경사 절곡부는 절곡과 전개의 반복에 대해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0의 (C)는 훅(205c)을 훅(205d)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지지부(205b)를, 경사 절곡부의 부분에서 기저부(205a)[도 10의 (D)에서는 가려져 있음]로부터 90도 절곡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지지부(205b)는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를 향해 상승된다. 그리고, 절첩식 지주부(205)의 탄력에 저항하여 그 선단 부분을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움으로써, 절첩식 지주부(205) 전체에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하고, 지지부(205b)의 선단 부분에 지지된 연골 전도부(238)가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 부분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도 10의 (A)와 같이 엄지 손가락(103)의 끝을 이주에 압박 접촉함으로써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에 연골 전도부(238)로부터 전달된 진동이 엄지 손가락(103)의 선단의 접촉에 의해 이주에 전달되고, 양호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절첩식 지주부(205)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10의 (C)로부터 도 10의 (B)로의 반대의 수순에 의해, 절첩식 지주부(205)를 절첩함과 함께, 훅(205c)과 훅(205d)을 끼우면 된다. 이상의 절첩식 지주부(205)의 상승 및 수납 조작은, 도 10과 같이 예를 들어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204)를 왼손에 채우고 있는 경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오른손 1개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4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의 외관 사시도 및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 실시예 4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도,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2와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도,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휴대 전화(2)와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4가 실시예 2와 다른 것은, 절첩식 지주부(205) 대신에 지지 벨트부(305)를 갖는 점이다. 지지 벨트부(305)가 벨트부(328)의 손바닥측으로부터 엄지 손가락(103)의 내측을 따라 상승되고, 그 선단 부분에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골 전도부(338)가 지지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2와 동일하지만, 절첩식 지주부(205)와 지지 벨트부(305)에서는 그 구조가 다르다.
도 11의 (A)는 실시예 4의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의 외관 사시도이며, 벨트부(328)의 외측에 제거 가능한 지지 벨트부(305)가 권취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의 (A)에 있어서의 실선은, 지지 벨트부(305)가 벨트부(328)의 외측에 권취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는, 통상의 손목 시계와 다르지 않은 외관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연동 로크부(309)에 의해 지지 벨트부(305)가 손목 시계 본체(326)에 로크되어 있다. 또한 연동 로크부(309)는 손목 시계 본체(326)의 양측(반대측은 보이지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되어 있고,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움으로써 로크가 해제되지만, 한쪽만을 잘못하여 눌러도 로크가 해제되는 일은 없는 구조이다. 연동 로크부(309)의 로크가 해제되면, 지지 벨트부(305)의 양단부는 손목 시계 본체(326)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또한, 지지 벨트부(305)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유연성이 있는 시트 형상의 재료로 구성된다.
도 11의 (A)에 있어서의 일점 쇄선은, 지지 벨트부(305)가 손목 시계 본체(326)로부터 빠져 지지 벨트부(305)의 일단부가 도면에서 우측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다. 지지 벨트부(305)의 타단부는 단면이 소판형인 핀(311)에 의해 벨트부(328)의 슬릿(3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므로, 일점 쇄선의 상태라도, 지지 벨트부(305)가 손목 시계 본체(326)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또한, 단면이 소판형인 핀(311)과 슬릿(313)의 조합에 의해, 지지 벨트부(305)는 벨트부(328)를 따른 방향으로만, 도 11의 (A)의 상태로부터, 도면에서 우측으로 더욱 슬라이드시켜 인출할 수 있다. 지지 벨트부(305)의 일단부(도면에서 우측 단부)에는 연골 전도부(338)가 지지되어 있다.
도 11의 (B) 내지 도 11의 (E)는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명 표시 화면 중으로부터 손의 부분을 추출한 확대도이며, 지지 벨트부(305)를 수납 상태로부터 연골 전도 상태로 상승시키는 조작을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로 설명하고 있다. 도 11의 (B)는 수납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 상태에 있어서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지지 벨트부(305)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의 벨트부(328)를 따르는 형태로 되어 있고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관상은 통상의 벨트부와 동일하다. 이때 연골 전도부(338)는 벨트부(328)에 접촉하고 있고,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사용될 때에는 벨트부(328)를 통해 손목에 착신 바이브 진동을 전달하는 점은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슬릿(313)의 단부는 굴곡부(313a)로 되어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벨트부(305)가 엄지 손가락(103)을 따라 상승되고,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안내한다.
도 11의 (C)는 연동 로크(309)를 해제함으로써 지지 벨트부(305)의 일단부만이 손목 시계 본체(326)로부터 빠진 상태[도 11의 (A)의 상태에 대응]를 나타낸다. 또한, 도 11의 (A)와 달리, 지지 벨트부(305)가 손목에 권취되어 새끼 손가락측을 향하고 있는 상태를 손바닥측에서 보고 있으므로, 외관상 지지 벨트부(305)가 짧게 보인다.
도 11의 (D)는 지지 벨트부(305)를 도면에서 우측으로 끌어 당기고, 단면이 소판형인 핀(311)이 슬릿(313)의 단부에 도달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 이르기까지는, 상기와 같이 단면이 소판형인 핀(311)과 슬릿(313)의 조합에 의해, 지지 벨트부(305)는 벨트부(328)를 따른 방향으로만 슬라이드 가능하지만, 도 11의 (D)의 상태에 이르면, 지지 벨트부(305)를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1의 (E)는 도 11의 (D)의 상태로부터 지지 벨트부(305)를 회전시키고, 또한 엄지 손가락(103)측으로 끌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소판형의 핀(311)이 굴곡부(313a)에 끼워 넣어지고, 지지 벨트부(305)는 도 11의 (E)의 상태로부터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지지 벨트부(305)의 탄력에 저항하여 그 도중 부분을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움으로써, 지지 벨트부(305) 전체에 약간의 비틀림이 발생하고, 지지 벨트부(305)의 선단 부분에 지지된 연골 전도부(338)가 엄지 손가락(103)의 배를 따르게 된다. 따라서, 엄지 손가락(103)의 끝을 이주에 압박 접촉함으로써 연골 전도부(338)가 엄지 손가락(103)과 이주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연골 전도부(338)로부터 이주로의 양호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사정상, 도 11의 (C)의 상태로부터 도 11의 (E)의 상태로의 지지 벨트부(305)의 상승 또는, 도 11의 (E)의 상태로부터 도 11의 (C)의 상태로의 조작은, 도 11과 같은 단계를 밟아 나누어 행할 필요는 없고, 연골 전도부(338) 주변을 오른손에 의해 행하는 일련의 동작으로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은, 실질적으로는, 연동 로크(309)를 해제하는 동작과 지지 벨트부(305)를 상승시키는 동작의 2 동작으로 실현할 수 있다.
지지 벨트부(305)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도 11의 (E)로부터 도 11의 (B)로의 반대의 수순에 의해, 지지 벨트부(305)를 슬라이드시킴과 함께, 지지 벨트부(305)에 있어서의 연골 전도부(338)가 설치된 측을 손목 시계 본체(326)에 압접하면 연동 로크(309)가 걸리고, 지지 벨트부(305)의 양단부를 손목 시계 본체(326)에 로크한다. 이 조작 시, 지지 벨트부(305)의 타단부측은 슬릿(313)에 핀(311)이 안내되어 손목 시계 본체(326)측으로 슬라이드하므로, 특별히 위치 정렬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의 지지 벨트부(305)의 상승 및 수납 조작은, 도 11과 같이 예를 들어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304)를 왼손에 채우고 있는 경우, 오른손 1개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5의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의 장착 상태 외관도이다. 실시예 5의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는,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 2와 공통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도, 실시예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휴대 전화(2)와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5가 실시예 2와 다른 것은, 송수화 장치가 손목 시계형으로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손목 시계(400)에 장착하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으로서 구성되는 점이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는 손목 시계(400)를 장착한 왼손을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12의 (A)는 통상의 손목 시계(400)를 나타내고, 벨트부(428)를 손바닥측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도 12의 (B)는 벨트부(428)의 손바닥측에 외측으로부터 실시예 5의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실시예 5의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인 것을 제외하고, 연골 전도를 위한 구성은 도 8의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며, 도 12의 (B) 내지 도 12의 (D)는 각각 도 8의 (B) 내지 도 8의 (D)에 대응한다. 따라서, 대응하는 구성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 5에 있어서 손목 시계(400)는 송수화 장치로서의 구성을 갖지 않으므로 휴대 전화(2)와 연계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송수화하기 위한 구성은 모두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가 구비한다. 도 12의 외관에 대해 말하면,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는 마이크(446)를 구비한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실시예 5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5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공통이므로, 시스템 블록도에 대해서도 실시예 2와 공통 부분이 많다. 또한, 실시예 5는 손목 시계 기능을 갖지 않고, 연골 전도에 의한 송수화 장치 및 착신 바이브레이터에 필요한 기능으로 줄이고 있으므로 도 13에 도시한 구성은, 실시예 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9보다도 간략화되어 있다. 그러나 도 13에 있어서 도 9와 동일 번호를 부여한 구성의 내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이므로,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 있어서, 도 9와 다른 부분에 대해 설명하면, 장착 검지부(415)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가 손목 시계(400)에 장착된 것을 검지하고, 자동적으로 전원을 온함과 함께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을 자동적으로 확립한다. 또한, 전원 온 오프와 근거리 통신의 확립은 별도 수동 조작으로도 가능하다.
도 13의 실시예 5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연골 전도부(138)의 진동을 연골 전도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 겸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의 (B)와 같이 절첩식 지주부(105)를 수납한 상태에 있어서 연골 전도부(138)의 진동을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에 이용한다. 실시예 5에서는,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손목에 느꼈을 때, 절첩식 지주부(105)를 상승 상태로 하지 않고 도 12의 (B)의 상태 그대로, 도 3의 (B)와 같이 엄지 손가락을 이주에 접촉하면 이 자세 변화를 가속도 센서(86)가 검지한다. 가속도 센서(86)의 검지가 통지되면, 제어부(498)는, 연골 전도부(138)의 진동을 착신 바이브레이터 진동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기억부(417)의 전자 음성에 의한 연골 전도 진동으로 전환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씨로부터입니다」 등의 짧은 음성 메시지의 진동이 연골 전도부(138)로부터 손목에 전달된다. 이 진동은 손목으로부터 엄지 손가락 끝에 전달되고, 엄지 손가락 끝을 이주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음성 메시지를 연골 전도로 들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절첩식 지주부(105)를 상승시키기 전에, 착신에 응답해야 할 긴급성이 있는 상대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기능을 위해, 기억부(499)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 전체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동작 데이터와 함께, 휴대 전화(2)의 전화번호부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이 전화번호부 데이터는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수시로 갱신된다. 음성 데이터 기억부(417)의 음성 데이터는 기억부(499)의 전화번호부 데이터와 연동되어 있고, 전화번호부 데이터와 함께 수시로 갱신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휴대 전화(2)로부터 전화를 걸어 온 상대의 ID를 근거리 통신부(77)가 수신하면, 기억부(499)의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대조되고,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음성 데이터 기억부(417)로부터 출력되어 연골 전도부(138)가 음성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5에서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 송수화 장치(404)를 통상의 손목 시계(400)의 벨트부(428)에 장착함으로써, 휴대 전화(2)에의 착신을 손목의 진동으로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엄지 손가락을 이주에 대면 간이적으로 전화를 걸어 온 상대를 연골 전도 음성에 의해 알 수 있음과 함께, 응답할 필요가 있으면 절첩식 지주부(105)를 상승시켜 연골 전도에 의해 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두 휴대 전화(2)를 취출하는 일 없이 상황에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의 실시는, 각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점을 향수할 수 있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변형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일부 변형 전의 상태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2에 있어서, 절첩식 지주부(105)를 형상 기억 기능이 있는 플라스틱으로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승 상태가 되는 형상을 기억시켜 두면, 훅(105d∼105g)을 해제하면, 절첩식 지주부(105)가 자동적으로 도 8의 (D)의 상태로 상승되게 된다. 또한, 경사 절곡부 및 되접힘부를 각각 경첩 구조로 하고, 각각 상승 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스프링을 설치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도, 훅(105d∼105g)을 해제하면, 절첩식 지주부(105)가 자동적으로 도 8의 (D)의 상태로 상승된다.
또한, 실시예 2에서는 연골 전도부(138)를 엄지 손가락(103)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2개소에서 절첩하도록 구성하고, 실시예 3에서는 연골 전도부(238)를 엄지 손가락(103)의 근원부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1개소에서 절첩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절곡 구조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길이를 확보할 수 있으면 연골 전도부를 엄지 손가락의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1개소에서 절첩하도록 구성하고, 수납 구조에 따라서는 연골 전도부를 엄지 손가락의 근원부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복수 개소에서 절첩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연골 전도부를 엄지 손가락의 근원부까지 상승시키기 위해 실시예 4와 같은 지지 벨트부(305)를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길이에 여유가 있으므로, 슬릿(313)에 의한 슬라이드 구조를 생략하여, 도 11의 (D)와 도 11의 (E) 사이의 회전 구조만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실시예 6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실시예 6은 휴대 전화(2)와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도 14의 실시예 6에 있어서, 휴대 전화(2)의 부분은 실시예 1과 구성이 동일하므로,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휴대 전화(2)와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는 Bluetooth(등록 상표) 등에 의한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실시예 6의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는 손목과 음향 임피던스가 서로 비슷한 재질로 구성된 탄성체의 벨트부(528)를 갖는다. 벨트부(528)에는,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이 설치되어 있고, 벨트부(528)의 이면측으로부터 손목에 착신 진동 및 연골 전도용의 음성 신호의 진동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하여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로부터는 손목 주위의 광범위에 착신 진동 및 연골 전도용의 진동이 전달된다.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하는 구성은, 진동 전달을 위한 적합 위치의 개인차나,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 장착 중의 위치 어긋남 등을 흡수하는 데 효과적이다. 또한, 손목 주위의 광범위로부터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착신 진동 및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손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설계에 따라서는, 벨트부(528) 전체의 진동에 의해 손목 주위의 광범위에 착신 진동 및 연골 전도용의 진동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진동원의 수를 적절히 줄인 간이 구성(최소의 경우 1개의 진동원)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은, 연골 전도 시에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1000㎐를 중심으로 하는 주파수)에서 진동됨과 함께 불쾌한 진동이 손목에 감지되지 않도록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예를 들어 20㎐ 이하)을 커트하여 손목에 전달된다. 한편, 착신 바이브레이터로서 진동시킬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예를 들어 20㎐ 이하)을 중심으로 진동되고, 가청 주파수 영역은 커트하여 다른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도록 한다. 또한, 벨트부(528)를 따라, 근거리 통신부의 안테나(556)가 손목을 감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점은, 실시예 1과 공통이다. 또한,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의 구동 및 안테나(556)를 사용한 휴대 전화(2)와의 근거리 통신은, 회로 유닛(530)에 의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6에서는, 우선 휴대 전화(2)에 착신 등이 있으면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이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을 개시하고, 이것이 손목에 전달되므로 착신의 사실을 알 수 있다. 이어서, 보다 정보를 원할 때에는, 도 2의 (B), 도 3의 (B), 도 4의 (A), 도 4의 (B) 등의 임의의 자세로 손가락 또는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자세를 취한다. 이 자세 변화는 회로 유닛(530)에 설치된 가속도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검지되고,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의 진동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으로 전환됨과 함께, 회로 유닛(530)에 미리 기억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대의 정보가 음성 진동으로서 출력된다. 이에 의해, 손가락 또는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킴으로써, 연골 전도에 의해 전화를 걸어 온 상대가 누구인지, 또한 그것은 통화인지 메일인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다. 연골 전도 진동 출력의 예는, 예를 들어 「야마다씨로부터 전화입니다」, 「스즈키씨로부터 메일입니다」, 「미등록 상대로부터 전화입니다」 등의 아나운스이다. 개시된 아나운스는, 휴대 전화(2)로 통화 개시 조작을 하거나 또는 진동 정지의 수동 조작을 할 때까지, 몇 회나 반복된다.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 및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은, 착신이 있었던 시점에 한하지 않고, 휴대 전화(2)와의 통신 개시 전에 착신한 미독의 메일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휴대 전화(2)와의 통신을 개시한 시점, 휴대 전화(2)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가 된 시점, 휴대 전화(2)가 전화의 통신 권외가 된 시점 등에 있어서, 휴대 전화(2)로부터의 근거리 통신에 기초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전지 잔량이 부족할 때에는,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 자신의 제어부에 의한 제어로 상기한 진동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다양한 진동의 원인이 무엇인지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의 (B), 도 3의 (B), 도 4의 (A), 도 4의 (B) 등의 임의의 자세로 손가락 또는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자세를 취함으로써 알 수 있다.
도 15는 도 14에 나타낸 실시예 6의 블록도이며,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도 1과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필요가 없는 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의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블록에 있어서, 진동원(536, 538, 540 및 542) 이외는, 도 14의 회로 유닛(530)의 상세에 상당한다. 또한, 휴대 전화(2)의 부분은, 도 5와 동일하므로 각 부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일절 생략한다.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는, 휴대 전화(2)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77)를 갖는다. 실시예 6의 경우, 휴대 전화(2)로부터는, 착신의 사실과 착신이 통화인지 메일인지의 구별, 전화 또는 메일을 해 온 상대의 특정 정보, 휴대 전화(2)의 전지 잔량 부족 정보, 휴대 전화(2)가 전화의 통신 권외인 것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근거리 통신부(77)를 통해 전달되고,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의 진동을 개시시킨다. 또한, 휴대 전화(2)와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 사이에서는 근거리 통신부(77)를 통해 전화번호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정보 교환이 행해지고, 휴대 전화(2)에 있어서 새로운 전화번호부 정보가 추가되면 근거리 통신부(77)를 통해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전달하고, 이것을 기억부(99)에 기억시킨다. 이에 의해, 전화 또는 메일을 해 온 상대의 정보를, 간단한 ID 정보로서 휴대 전화(2)로부터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전달하고, 미리 기억된 전화번호부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전화 또는 메일을 해 온 상대에 관한 아나운스를 행하게 할 수 있다.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는 제어부(598)에 의해 제어된다. 조작부(500)에 의해 주전원을 온한 초기 상태에서는, 제어부(598)는 전환부(591)에 의해 진동 신호 발생부(593)를 선택하고,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구동부(594)에 의해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을 진동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 전화(2)로부터, 착신 신호와 전화 또는 메일을 해 온 상대의 전화번호부 ID, 미독 메일 존재 신호, 휴대 전화(2)의 전지 잔량 부족 정보, 휴대 전화(2)의 전화 통신 권외 정보 중 어느 하나가 근거리 통신부(77)를 통해 전달되면, 진동 신호 발생부(593)에 기초하는 진동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가속도 센서(86)에 의해 자세 변화가 검지되면 제어부(598)는 전환부(591)에 의해 음성 처리부(596)를 선택시킨다. 이에 의해 음성 데이터 기억부(595)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가 음성 처리부(596)에서 처리되고, 그 출력에 기초하여 구동부(594)에 의해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이 진동된다. 따라서 귀 연골에 접촉하는 손 또는 손가락을 통해 연골 전도로 아나운스를 들을 수 있다. 음성 처리부(596)에서 처리해야 할 음성 데이터는, 제어부(598)에 의해, 휴대 전화(2)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도 16은 실시예 6에 있어서의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제어부(598)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의 플로우는,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조작부(500)에 있어서의 주전원의 온으로 시작하고, 스텝 S42에서 초기 구동 및 각 부 기능 체크를 행한다. 이어서 스텝 S44에서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가 휴대 전화(2)와 통신 가능 상태가 되어 있는(페어링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페어링 상태에 있으면 스텝 S46으로 이행한다.
스텝 S46에서는 진동 신호 발생부(593)를 선택하고, 스텝 S48로 진행하여 휴대 전화(2)로부터 새 전화번호부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지 체크한다. 새 전화번호부 정보가 있으면 스텝 S50으로 진행하고, 새 전화번호부 정보를 기억부(99)에 기억함과 함께, 새 전화번호부 정보에 있어서의 상대의 명칭을 소리 내어 읽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작성하여 전화번호부 ID와 함께 음성 데이터 기억부(595)에 기억하여 스텝 S52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48에서 새 전화번호부 정보를 수신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지 않을 때에는 직접 스텝 S52로 이행한다.
스텝 S52에서는, 착신 등의 유무를 체크한다. 「착신 등」이라 함은, 통화 또는 메일의 착신이 있었던 경우, 및 스텝 S44에서 새롭게 페어링이 행해진 결과 스텝 S52에 이른 시점에서 과거에 착신하고 있고 미독의 메일이 있는 것이 검지된 경우를 의미한다. 착신 등이 없으면 스텝 S54에서 휴대 전화(2) 본체 또는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해당되지 않으면 스텝 S56으로 진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가 통화 권외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52에서 「착신 등」이 있었을 때, 또는 스텝 S54에서 전지 잔량 부족이 검지되었을 때, 또는 스텝 S56에서 휴대 전화(2) 본체가 통화 권외가 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에는 모두 스텝 S58로 이행한다. 스텝 S58에서는, 진동 신호 발생부(593)의 진동 신호에 기초하여 진동원(536, 538, 540, 542)을 진동시키기 위한 고지 진동 개시 처리가 행해지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고지 진동 개시 처리가 행해지면 플로우는 스텝 S60으로 이행한다.
스텝 S60에서는, 가속도 센서(86)에 의해, 손가락 또는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자세를 취하기 위해 손이 상승하는 가속도가 검지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상승 가속도가 검지되면 스텝 S62로 진행하고, 음성 처리부(596)를 선택하도록 전환부(591)에 전환을 지시하여 스텝 S64로 이행한다. 스텝 S64에서는, 음성 처리부(596)로부터의 음성 신호에 기초하는 아나운스를 행하기 위한 음성 구동 개시 처리가 행해지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음성 구동 개시 처리가 행해지면 플로우는 스텝 S66으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60에서 상승 가속도가 검지되지 않으면 직접 스텝 S66으로 이행한다. 이 경우, 진동 신호 발생부(593)로부터 음성 처리부(596)로의 전환은 행해지지 않으므로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이 계속되고 있다.
스텝 S66에서는, 조작부(500)에 의한 수동의 진동 정지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진동 정지 조작이 검지되지 않으면 스텝 S68로 진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에 의해 통화 개시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스텝 S66에서 진동 정지 조작이 검지되거나, 또는 휴대 전화(2) 본체에 의해 통화 개시 조작이 이루어진 것이 검지되면 스텝 S70으로 진행하고, 음성 신호에 의한 진동 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을 정지시켜 스텝 S72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56에서 휴대 전화(2) 본체가 통화 권외가 된 것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직접 스텝 S70으로 이행한다. 이때 진동이 행해지고 있지 않으면 스텝 S70에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스텝 S72로 이행한다. 한편, 스텝 S68에서 휴대 전화(2) 본체에 의한 통화 개시 조작이 검지되지 않으면 스텝 S60으로 복귀되고, 이하 스텝 S66에서 진동 정지 조작이 검지되거나, 또는 스텝 S68에서 휴대 전화(2) 본체에 의한 통화 개시 조작이 검지되지 않는 한, 스텝 S60 내지 스텝 S68을 반복한다. 그 동안,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진동 또는 이것으로부터 전환된 음성 처리부(596)로부터의 아나운스 신호에 의한 진동이 계속되게 된다.
또한, 스텝 S44에서 페어링 상태에 있는 것이 검지되지 않을 때(페어링이 해소된 경우를 포함함) 즉시 스텝 S72로 이행한다. 스텝 S72에서는, 조작부(500)에 의해 주전원을 오프하는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주전원 오프가 검지되었을 때에는 플로우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72에서 주전원 오프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44로 복귀되고, 이하 스텝 S72에서 주전원 오프가 검지되지 않는 한, 스텝 S44 내지 스텝 S72를 반복한다. 이에 의해, 새로운 페어링에 대응함과 함께, 페어링 상태에 있으면 새롭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상황 변화에 대응한다.
도 17은 도 16의 스텝 S58에 있어서의 고지 진동 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고지 진동 개시 처리가 시작하면, 스텝 S82에서 이미 진동이 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진동이 개시 완료되면, 즉시 플로우를 종료하고, 도 16의 스텝 S60으로 이행한다. 아직 진동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84로 이행하고, 착신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착신이 없으면 스텝 S86으로 이행하여 미개봉 메일의 유무를 체크한다. 스텝 S86에 의해, 페어링 전에 착신하고 있었던 메일에서 미독의 것이 있어도 이것을 검지할 수 있다. 스텝 S84에 있어서 착신이 검지되거나 또는 스텝 S86에 있어서 미개봉 메일이 검지되면 스텝 S88로 이행한다.
스텝 S88에서는, 착신 등이 있어도 바로 대응할 필요가 없는 상대로서 설정되어 있는 「착신 보류 상대」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착신 보류 상대가 아니면 스텝 S90으로 이행한다.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의지해서까지 착신 등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상대이면 착신을 알아차리지 않아도 착신 이력에 의해 추후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긴급성이 없는 상대에 대해서는 착신 보류 상대로서 설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가 진동하는 번잡함을 피할 수 있다.
스텝 S90에서는 착신한 것이 통화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통화이면 스텝 S92로 이행하고, 통화인 것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착신 통지 진동을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90에서 통화인 것이 검지되지 않으면, 착신한 것이 메일인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94로 이행하고, 메일인 것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착신 통지 진동을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86에서 미개봉 메일이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96으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84에 있어서 착신이 검지되거나 또는 스텝 S86에 있어서 미개봉 메일이 검지되어도 스텝 S88에서 착신 보류 상대로부터의 것인 것이 검지되면 스텝 S96으로 이행한다. 이에 의해, 상기와 같이 긴급성이 없는 상대에 대해 불필요하게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가 진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텝 S96에서는 휴대 전화(2) 본체 또는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스텝 S98로 이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이면 스텝 S100으로 이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잔량 부족 통지 진동을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98에서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인 것이 검지되지 않으면,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인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102로 이행하고,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잔량 부족 통지 진동을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96에서 전지 잔량 부족 상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7의 플로우는 도 16의 스텝 S56에 해당되어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가 통화 권외인 것을 나타내는 패턴으로 권외 통지 진동을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어느 경우라도 도 17의 플로우가 종료되면 도 16의 스텝 S60으로 이행한다. 이상의 고지 진동 개시 처리에서는, 진동의 패턴별로, 진동이 어떠한 이유로 발생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스텝 S64에 있어서의 음성 구동 개시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음성 구동 개시 처리가 시작하면, 스텝 S112에서 이미 진동이 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진동이 개시 완료이면, 즉시 플로우를 종료하고, 도 16의 스텝 S66으로 이행한다. 아직 진동이 개시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 S114로 이행하고, 착신이 있었기 때문에 도 18의 플로우가 시작한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착신에 의한 것이 아니면 스텝 S116으로 이행하고, 미개봉 메일이 있었기 때문에 도 18의 플로우가 시작한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스텝 S114 또는 스텝 S116에 해당된 경우에는 스텝 S118로 이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착신 보류 상대」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착신 보류 상대가 아니면 스텝 S12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20에서는, 휴대 전화(2)로부터 통지된 착신 상대의 ID를 기억부(99)에 기억한 전화번호부 데이터와 대조한다. 그리고 스텝 S122에 있어서 기억부(99)에 해당되는 상대의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없으면 스텝 S124로 진행하고 전화 또는 메일을 해 온 상대가 불분명한 취지의 아나운스를 설정하여 스텝 S126으로 진행한다. 상대가 불분명한 경우에는, 귀찮은 상대일 리스크도 있지만, 금후 중요한 존재가 되는 상대일 가능성이나, 중요한 상대임에도 불구하고 전화번호부 데이터로부터 누락되어 있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스텝 S126 이후의 아나운스로 진행한다. 이 점은, 도 17에서도 마찬가지이며, 전화번호부 데이터에 없는 상대는 착신 보류 상대로 할 수는 없으므로 진동 통지로 진행하고 있다. 또한, 스텝 S122에서 기억부(99)에 해당되는 상대의 전화번호부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직접 스텝 S12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26에서는 착신한 것이 통화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통화이면 스텝 S128로 이행하고, 예를 들어 「야마다씨로부터 전화입니다」 등의 통화 상대 아나운스를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때 스텝 S124에서 상대 불명 아나운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미등록 상대로부터 전화입니다」라는 아나운스가 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의 「로부터 전화입니다」의 부분은 착신한 것이 통화인 것에 의해 선택되고, 예를 들어 「야마다씨」의 부분은 휴대 전화(2)로부터의 ID에 의해 선택되고, 「미등록 상대」의 부분은 스텝 S124의 설정에 의해 선택된다.
한편, 스텝 S126에서 착신한 것이 통화인 것이 검지되지 않으면, 착신한 것은 메일인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130으로 이행하고, 예를 들어 「스즈키씨로부터 메일입니다」 등의 메일 상대 아나운스를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이때 스텝 S124에서 상대 불명 아나운스가 설정되어 있으면, 「미등록 상대로부터 메일입니다」라는 아나운스가 된다. 이러한 음성 데이터의 「로부터 메일입니다」의 부분은 착신한 것이 메일인 것에 의해 선택되고, 예를 들어 「스즈키씨」의 부분은 휴대 전화(2)로부터의 ID에 의해 선택되고, 「미등록 상대」의 부분은 스텝 S124의 설정에 의해 선택된다.
스텝 S116에서 미개봉 메일이 검지되지 않을 때에는 스텝 S132로 이행한다. 또한, 스텝 S114에 있어서 착신이 검지되거나 또는 스텝 S116에 있어서 미개봉 메일이 검지되어도 스텝 S118에서 착신 보류 상대로부터의 것인 것이 검지되면 스텝 S132로 이행한다.
스텝 S132에서는 도 18의 플로우가 시작한 것이 휴대 전화(2) 본체 또는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에 있어서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에 있는 것에 의한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어느 하나에 해당되면, 스텝 S134로 이행하고,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이면 스텝 S136으로 이행하고,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본체를 충전해 주세요」 등의 본체 충전 아나운스를 개시시켜 플로우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34에서 휴대 전화(2) 본체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인 것이 검지되지 않으면, 팔찌형 착신 통지 장치(504)의 전지 잔량이 부족 상태인 것을 의미하므로 스텝 S138로 이행하고, 「팔찌를 충전해 주세요」 등의 팔찌 충전 아나운스를 개시시켜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텝 S132에서 전지 잔량 부족 상태가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8의 플로우는 도 16의 스텝 S56에 해당되어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스텝 S140으로 진행하고, 예를 들어 「권외가 되었습니다」 등의 권외 아나운스를 개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어느 경우라도 도 18의 플로우가 종료되면 도 16의 스텝 S66으로 이행한다. 이상의 음성 구동 개시 처리에서는, 착신 진동이 발생하였을 때 손 또는 손가락을 귀 연골에 접촉시킴으로써, 이유마다 다른 진동 패턴의 의미를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진동이 어떠한 이유로 발생한 것인지를 아나운스에 의해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의 실시는, 개개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점을 향수할 수 있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 나타낸 다양한 특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변형은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일부 변형 전의 상태와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시예 6에 있어서 아나운스로의 전환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도 16의 스텝 S60은, 자동 전환을 위한 상승 가속도 검지 대신에 수동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스텝으로 치환해도 되고, 상승 가속도 검지에 의한 자동 전환과 수동 전환의 어느 것으로도 전환이 행해지도록 플로우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6의 다양한 특징의 실시는 시계 기능이 없는 심플한 팔찌에 의해 실시하는 경우에 한하지 않고, 도 1 내지 도 13의 실시예 1 내지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손목 시계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실시예 6에 있어서 고지 진동 개시 처리를, 이유에 관계없이 동일한 진동 패턴으로 하거나, 또는 착신 등이나 그 이외로 진동 패턴을 바꾸도록 간이화하고, 진동이 발생한 이유는 음성 구동 개시 처리에 의한 아나운스에 의해 확인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 도 16의 스텝 S66에서 조작부(500)에 의한 수동의 진동 정지 조작이 행해진 것을 휴대 전화(2)에 송신하고, 걸려 온 전화를 받지 않고 통신을 절단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6에 있어서는, 진동원(536, 538, 540 및 542)을 모두 착신 진동 구동과 음성 신호 구동으로 겸용하고 있지만, 착신 진동원 전용에 통상의 편심 모터 등을 채용함과 함께 음성 신호 구동 전용에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를 채용하고, 도 16의 스텝 S58에서는 편심 모터를 구동 개시함과 함께, 도 16의 스텝 S64에 이르렀을 때에는 편심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여 압전 바이모르프 소자의 구동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6은 팔찌로서 실시되고 있지만, 실시예 6의 특징을 반지로서 실시해도 된다.
<총괄>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실시예의 특징에 대해 총괄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스피커와, 가변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을 사용하는지 상기 스피커를 사용하는지에 의해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연골 전도음에 의한 통화와 기도음에 의한 통화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등측으로 함과 함께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손바닥측으로 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상기 장착 부분이 장착된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사용 방법의 설명 정보의 제공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혼란 없이 연골 전도의 이점을 향수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공 수단은,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이다.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공 수단은,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취급 설명 매체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공 수단은,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광고 매체이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손목 둘레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개인차나 장착 어긋남에 관계없이 적합한 진동을 손목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을 갖고,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공용되고,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불쾌한 진동각 없이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착신 바이브레이터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가청음 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된다. 이에 의해, 다른 사람에게 알아차려지는 일 없이 착신을 찰지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한도 이상의 진동을 금지하는 리미터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불쾌한 진동각 없이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마이크와, 손목 둘레의 방향에 대해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과 상기 마이크 사이에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완충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시계형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마이크에 진동이 얻어지는 일 없이 양호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손등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의 배와 이주 사이에 연골 전도부를 끼움으로써 상기 연골 전도부의 진동을 상기 이주에 전달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소리를 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 방법을 제안한다. 이에 의해 제스처로 전화를 하는 자세를 닮은 무리가 없는 자세로 연골 전도에 의한 수화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을 이용하고, 상기 연골 전도부를 상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지지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한 상태에서의 연골 전도에 의한 수화를 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장착 부분을 지지점으로 상기 연골 전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상기 엄지 손가락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운다. 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안정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부를 이주에의 비접촉 시에 상기 장착 부분을 따르게 한다. 이에 의해 비사용 시의 위화감 없이 웨어러블한 상태에서의 연골 전도에 대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장착 부분에 절첩된 상기 연골 전도부를 착신 바이브레이터 진동원으로서 이용한다. 이에 의해, 연골 전도부로서 비사용 시에도 연골 전도부를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에 기초하는 다른 방법에 의하면, 엄지 손가락에 진동을 전달함과 함께 손등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을 이주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진동을 상기 이주에 전달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소리를 듣는 것이 제안된다.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을 갖고,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으로부터 손목에 진동을 전달함으로써 진동을 상기 엄지 손가락에 전달한다. 다른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을 갖고, 상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연골 전도부를 지지하여 상기 연골 전도부를 상기 엄지 손가락에 접촉시킴으로써 진동을 상기 엄지 손가락에 전달한다. 이들 방법에 의해서도, 제스처로 전화를 하는 자세를 닮은 무리가 없는 자세로 연골 전도에 의한 수화를 행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에 기초하는 보다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부를 상기 엄지 손가락 근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진동을 상기 엄지 손가락에 전달한다. 더욱 구체적인 방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부를 상기 엄지 손가락 근원부와 검지 손가락 사이에 끼운다. 이에 의해 자연적으로 안정된 연골 전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엄지 손가락의 내측을 따라 상승 가능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는 연골 전도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화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웨어러블한 상태에서의 연골 전도에 의한 수화를 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엄지 손가락의 내측을 따라 상승되는 상승 위치와 상기 장착 부분을 따르게 하는 수납 위치 사이에서 가동이다. 이에 의해 비사용 시의 위화감 없이 웨어러블한 상태에서의 연골 전도에 대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 위치에 있어서 절첩 가능하다. 보다 상세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형상 기억 재료로 구성된다. 다른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수납 위치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분의 외주에 권취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승 위치와 상기 수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장착 부분에 대해 슬라이드 가능하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연골 전도부를 엄지 손가락의 배까지 상승시킨다. 또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연골 전도부를 엄지 손가락의 근원부까지 상승시킨다.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송수화 장치는, 휴대 전화와의 근거리 통신부 및 마이크를 갖고 손목 시계로서 구성된다. 또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송수화 장치는, 휴대 전화와의 근거리 통신부 및 마이크를 갖고 손목 시계의 어태치먼트로서 구성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는, 복수의 고지 음성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하는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고지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원을 선택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연골 전도를 위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장착 가능한 통지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통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통지 장치는, 팔찌로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팔찌는, 손목과 음향 임피던스가 서로 비슷한 재질로 구성된다. 또는, 상기 팔찌는, 탄성체에 의해 구성된다. 이에 의해, 진동원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손목에 전달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통지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을 행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통지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함께,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에 기초하는 진동각에 의해 지시 신호의 수신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원이 상기 통지 진동의 진동원으로서 겸용된다. 다른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연골 전도를 위한 진동원과 별도로 통지 진동을 행하기 위한 진동원이 설치된다.
다른 보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통지 장치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우선 상기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을 행하고, 이것을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진동원에 의한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통지 진동이 발생한 이유를 음성 데이터의 연골 전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시 신호는, 휴대 전화에의 착신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착신 신호이다.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시 신호는, 착신이 있었던 통신 상대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상기 통신 상대의 아나운스를 포함한다. 다른 더욱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시 신호는, 착신이 통화인지 메일인지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착신이 통화인지 메일인지의 아나운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기억부와,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의 착신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착신 신호에 따라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고, 특정한 통신 상대를 미리 상기 기억부에 기억해 둠으로써, 상기 착신 신호에 상기 특정한 통신 상대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때에는, 휴대 전화로부터 상기 착신 신호를 수신해도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장착 가능한 통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긴급성이 없는 상대에 대해 불필요하게 진동원이 진동하는 번잡함을 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장착 가능한 통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패턴으로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킨다.
본 명세서 중에 개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정보에 따라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에 장착 가능한 통지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특정한 패턴으로 상기 진동원을 진동시킨다.
본 발명은 손목 시계형 또는 손목 시계 어태치먼트형의 송수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전화와 연계하는 착신 통지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28, 30, 41 : 장착 부분
36, 38, 40 : 연골 전도 진동원
32 : 스피커
46 : 가변 지향성 마이크
98 : 제어부
28 : 벨트부
26 : 시계 본체부
41 : 전달부
42 : 조절 수단
96 : 리미터
52, 54 : 완충대
138, 238, 338 : 연골 전도부
128, 328, 428 : 손목에의 장착 부분
105, 205, 305 : 지지부
36, 38, 40 : 연골 전도 진동원
104, 204, 304 : 손목 시계
404 : 손목 시계의 어태치먼트
98 : 기억부
536, 538, 540, 542 : 진동원
22 : 지시 신호
77 : 근거리 통신부
598 : 제어부
528 : 팔찌

Claims (20)

  1.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연골 전도 진동원과, 스피커와, 가변 지향성 마이크와,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얻도록 제1 방향으로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전환함과 함께 상기 스피커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사용자의 목소리를 얻도록 제2 방향으로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전환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가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상기 제2 방향이 되는 손등측으로 함과 함께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사용될 때에는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의 지향성을 상기 제1 방향이 되는 손바닥측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가 장착된 손을 귀 연골에 접촉시키는 사용 방법의 설명 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표시하는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취급 설명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정보는, 송수화 방법의 정보를 갖는 광고 매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엄지 손가락에 전달함과 함께 손등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엄지 손가락을 이주(耳珠)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상기 이주에 전달하여 연골 전도에 의해 소리를 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의 진동을 손목 둘레에 전달하는 전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손목 둘레에의 조임력을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갖고, 상기 조절 수단은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이 사용될 때에 상기 조임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공용되고,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振動覺)을 일으키는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손목 둘레의 방향에 대해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과 상기 가변 지향성 마이크 사이에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완충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2. 손목에의 장착 부분과, 상기 장착 부분에 설치된 가청음 주파수 영역의 진동을 위한 연골 전도 진동원을 갖고,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은 착신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원으로서 공용되고,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저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착신 바이브레이터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가청음 주파수 영역의 진동 성분이 커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할 때에는 진동각을 일으키는 한도 이상의 진동을 금지하는 리미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복수의 고지(告知) 음성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고지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연골 전도 진동원을 선택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연골 전도를 위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송수화 장치.
  16. 복수의 고지 음성 데이터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와, 연골 전도를 위해 진동하는 진동원과, 휴대 전화로부터의 지시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대응하는 고지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원을 선택된 음성 데이터에 의해 연골 전도를 위해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 진동시키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우선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을 행하고, 이것을 상기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는 상기 진동원에 의한 음성 신호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진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통지 진동이 발생한 이유를 음성 데이터의 연골 전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통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부가 수신하는 지시 신호에 따라 진동각을 일으키는 주파수 영역에서 통지 진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통지 장치.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신호는,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휴대 전화의 전지가 잔량 부족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나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통지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신호는,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는 휴대 전화가 전화의 통신 권외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아나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찌형 통지 장치.
KR1020167010374A 2013-10-24 2014-10-20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KR1019265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21303 2013-10-24
JP2013221303A JP6315434B2 (ja) 2013-10-24 2013-10-24 送受話装置
JPJP-P-2013-237963 2013-11-18
JP2013237963A JP6305025B2 (ja) 2013-11-18 2013-11-18 受話方法および送受話装置
JPJP-P-2014-010271 2014-01-23
JP2014010271A JP6298641B2 (ja) 2014-01-23 2014-01-23 報知装置
PCT/JP2014/077792 WO2015060230A1 (ja) 2013-10-24 2014-10-20 腕輪型送受話装置、腕輪型報知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89A Division KR102079893B1 (ko) 2013-10-24 2014-10-20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912A KR20160058912A (ko) 2016-05-25
KR101926586B1 true KR101926586B1 (ko) 2018-12-10

Family

ID=529928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89A KR102079893B1 (ko) 2013-10-24 2014-10-20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KR1020167010374A KR101926586B1 (ko) 2013-10-24 2014-10-20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4989A KR102079893B1 (ko) 2013-10-24 2014-10-20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705548B2 (ko)
EP (1) EP3062491B1 (ko)
KR (2) KR102079893B1 (ko)
CN (1) CN105684401B (ko)
TW (2) TWI648653B (ko)
WO (1) WO20150602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KR101789401B1 (ko) 2010-12-27 2017-10-2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송수화 유닛 및 수화 유닛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TWI660618B (zh) 2012-01-20 2019-05-2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KR101644261B1 (ko) 2012-06-29 2016-07-2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레오 이어폰
EP3038330B1 (en) 2013-08-23 2020-05-06 FINEWELL Co., Ltd. Portable telephone
US9705548B2 (en) 2013-10-24 2017-07-11 Rohm Co., Ltd. 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KR102110094B1 (ko) 2014-12-18 2020-05-12 파인웰 씨오., 엘티디 자전거 주행용 청취 장치 및 자전거 시스템
JP6591167B2 (ja) * 2015-01-28 2019-10-16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915175A (zh) * 2015-05-15 2015-09-1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切换骨传导放音模式的方法、装置及智能手表
WO2017005199A1 (en) * 2015-07-07 2017-01-12 Origami Group Limited Wrist and finger communication device
KR102056550B1 (ko) * 2015-07-15 2019-12-16 파인웰 씨오., 엘티디 로봇 및 로봇 시스템
EP3334177B1 (en) * 2015-08-05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for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signal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US20170131775A1 (en) * 2015-11-10 2017-05-11 Castar, Inc. System and method of haptic feedback by referral of sensation
CN105630159A (zh) * 2015-12-18 2016-06-01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及其控制方法
DE102015226185A1 (de) * 2015-12-21 2017-06-22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system
US9838526B2 (en) 2016-01-10 2017-12-05 Apple Inc. Switching between watches or other accessories
US11343371B2 (en) 2016-01-10 2022-05-24 Apple Inc. Switching between watches or other accessories
US9912799B2 (en) 2016-01-10 2018-03-06 Apple Inc. Switching between watches or other accessories
KR102108668B1 (ko) 2016-01-19 2020-05-07 파인웰 씨오., 엘티디 펜형 송수화 장치
WO2018004685A1 (en) * 2016-07-01 2018-01-04 Intel Corporation Separatable wearable device
RU171175U1 (ru) * 2016-07-11 2017-05-23 Олег Викторович Переведенцев Персо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каза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движения к целевой позиции
US9716779B1 (en) * 2016-08-31 2017-07-25 Maxine Nicodem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W201817255A (zh) 2016-10-28 2018-05-01 巨擘科技股份有限公司 腕錶、移動終端、通訊提示系統及方法
CN109478131A (zh) * 2016-11-22 2019-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输入输出方法和终端设备
CN106686494A (zh) * 2016-12-27 2017-05-1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的语音输入控制方法及可穿戴设备
CN106533485B (zh) * 2016-12-27 2018-09-04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联系人辨别方法及可穿戴设备
CN106713641B (zh) * 2016-12-27 2020-02-21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穿戴设备的报时方法及穿戴设备
CN106817454B (zh) * 2016-12-27 2019-07-30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声音传递方式的切换方法及可穿戴设备
CN106786908B (zh) * 2016-12-27 2019-10-18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穿戴设备
US10371544B2 (en) * 2017-05-04 2019-08-06 Wearworks Vibrating haptic device for the blind
CN107396271A (zh) * 2017-07-31 2017-11-24 杭州双弯月电子科技有限公司 骨传导表带
CN107689148B (zh) * 2017-10-10 2024-04-05 重庆金康特智能穿戴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具有紧急报警功能的智能穿戴设备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KR102644065B1 (ko) * 2018-10-31 2024-03-05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다수의 스피커들 및 마이크로폰들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비-에코 듀플렉스 대화들을 위한 교번 샘플링 방법
EP3650956A1 (fr) * 2018-11-07 2020-05-13 Tissot S.A. Procede de diffusion d'un signal acoustique
US10681818B1 (en) * 2018-12-03 2020-06-09 Amazon Technologies, Inc. Ring-shaped devices with voice integration
CN110187758B (zh) * 2019-05-08 2023-06-30 安徽华米信息科技有限公司 显示方法、装置、智能穿戴设备及存储介质
CN110677163A (zh) * 2019-08-19 2020-01-1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通信语音输出方法、穿戴式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22A (ja) * 2000-10-02 2002-04-12 Ntt Docomo Inc アクチュエータ支持装置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支持装置を備えた身体装着型送受話装置
JP2012178695A (ja) * 2011-02-25 2012-09-13 Yuji Hosoi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US20120253236A1 (en) * 2011-04-04 2012-10-04 Snow Buddy 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livering external therapeutic stimulation to animals and humans
US20120300956A1 (en) * 2011-05-27 2012-11-29 Kyocera Corporation Sound output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5404A (en) 1933-05-24 1936-06-23 Sonotone Corp Piezoelectric vibrator device
JPS5194220A (en) 1975-02-15 1976-08-18 Denkishingo shindohenkansochi
JPS5453504A (en) 1977-10-04 1979-04-26 Pioneer Electronic Corp Device of removing noise of sound apparatus for automobile
JPS5588497A (en) 1978-12-25 1980-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ar receiver
JPS5821267Y2 (ja) 1979-07-16 1983-05-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受話器
JPS5690018U (ko) 1979-12-14 1981-07-18
JPS5689086A (en) 1979-12-20 1981-07-20 Seiko Epson Corp Display device for digital watch
US4351166A (en) 1980-11-10 1982-09-28 Juliette Belin Ring
JPS58182398A (ja) 1982-04-19 1983-10-25 Takeshi Yoshii 送受話兼用型電磁式骨伝導・鼓膜振動音マイクロホン
JPS60116800U (ja) 1984-01-17 1985-08-07 イ−スタンエレクトリツク株式会社 補聴器
JPS62208680A (ja) 1986-03-07 1987-09-12 Murata Mfg Co Ltd 積層バイモルフ
US4736250A (en) 1986-11-28 1988-04-05 Tektronix, Inc. Digital camera frame capture circuit
JPS63115728U (ko) 1987-01-22 1988-07-26
JPS63140753U (ko) 1987-03-06 1988-09-16
FR2629624B1 (fr) 1988-04-05 1990-11-16 Framatome Sa Procede de determination et d'evaluation de la capacite de retour en puissance d'un reacteur nucleaire a eau pressurisee
JPH0262199A (ja) 1988-08-02 1990-03-02 B Shriver Simeon 骨伝導型音声聴取装置および方法
JPH02182098A (ja) 1989-01-07 1990-07-16 Hiroshi Osada ステレオ用ヘッドホン
JPH0329424A (ja) 1989-06-27 1991-02-07 Oki Electric Ind Co Ltd ハンズフリー電話用エコーキャンセラ回路
JPH0676244B2 (ja) 1989-07-19 1994-09-2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ス複合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17995U (ko) 1990-03-14 1991-12-05
JPH0490298A (ja) 1990-08-02 1992-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補聴器
JPH04307488A (ja) 1991-04-03 1992-10-29 Cemedine Co Ltd 磁気ディスク体の組立方法
JP3235865B2 (ja) 1991-06-03 2001-1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イヤースピーカ
US5956682A (en) * 1991-06-06 1999-09-21 Lj Laboratories, Llc Picture frame with associated audio messages and position sensitive or speech recognition device
JPH0541297A (ja) 1991-07-31 1993-0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Sor装置の真空排気装置
JP2894035B2 (ja) 1991-09-18 1999-05-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能動型騒音制御装置
JPH05183618A (ja) 1991-12-27 1993-07-23 Sony Corp 電話機
US5295193A (en) 1992-01-22 1994-03-15 Hiroshi Ono Device for picking up bone-conducted sound in external auditory me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H05292167A (ja) 1992-04-13 1993-11-05 Sony Corp 電話器
US5323468A (en) 1992-06-30 1994-06-21 Bottesch H Werner Bone-conductive stereo headphones
JP3101842B2 (ja) 1992-07-06 2000-10-23 アツデン株式会社 指向性マイクロホン装置
HU212134B (hu) 1993-07-27 1998-06-29 László Holakovszky Szemüveghez rögzített kép-, előnyösen TV-kép-megjelenítő berendezés
JP2698320B2 (ja) 1993-08-31 1998-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常装着型入力システム、常装着型意図伝達システム、常装着型音楽用キーボードシステム及び常装着型点字入出力システム
JPH07107146A (ja) 1993-10-05 199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骨伝導イヤホンマイクを用いた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7131268A (ja) 1993-10-29 1995-05-19 Casio Comput Co Ltd 電話機
JPH0739150U (ja) 1993-12-14 1995-07-14 アツデン株式会社 携帯用電話機
JP3907215B2 (ja) 1994-01-18 2007-04-18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騒音制御装置
JP3003950U (ja) 1994-05-09 1994-11-01 株式会社京浜特殊印刷 外国語学習用増幅器
CN2198618Y (zh) 1994-05-19 1995-05-24 刘瓒澄 立体电视眼镜
KR970008927B1 (en) 1994-06-21 1997-05-30 Lg Electronics Inc The power saving apparatus of cellular phone
JPH0833026A (ja) 1994-07-15 1996-02-02 Nitsuko Corp 無線機器におけるバッテリー支持装置
JPH0879338A (ja) 1994-08-30 1996-03-22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JP3009206U (ja) 1994-09-19 1995-04-04 リオン電子株式会社 圧電駆動型搬送装置
JPH0890986A (ja) 1994-09-28 1996-04-09 Pilot Corp:The 筆記具
JPH08102780A (ja) 1994-09-30 1996-04-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話機用補聴器
JPH08111703A (ja) 1994-10-07 1996-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無線電話装置
JP3418808B2 (ja) 1995-02-27 2003-06-23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用端末機
JPH08242273A (ja) 1995-03-02 1996-09-17 Tdk Corp 着信バイブレータ
JPH08256080A (ja) 1995-03-16 1996-10-01 Sharp Corp 携帯情報機器
JPH0923256A (ja) 1995-07-07 1997-01-21 Oki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構造
JP3050147B2 (ja) 1995-12-20 2000-06-12 東ソー株式会社 空気分離用吸着剤、その製造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気分離方法
US5687244A (en) 1996-03-28 1997-11-11 Stanton Magnetics, Inc. Bone conduction speaker and mounting system
JP2888287B2 (ja) 1996-07-25 1999-05-1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機
AU3358297A (en) 1996-07-29 1998-02-20 Nihon Belbon Seiki Wristwatchlike telephone set
KR100229033B1 (ko) 1996-09-24 1999-11-01 윤종용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시 시스템의 절전 장치 및 방법
JP3172827B2 (ja) 1996-10-28 2001-06-04 正雄 遠藤 難聴者のための音認識方法及び装置
KR19980022845U (ko) 1996-10-29 1998-07-25 배순훈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연결구조
JPH10200608A (ja) 1997-01-10 1998-07-31 Shuichi Osawa 携帯電話機
JPH11112672A (ja) 1997-09-30 1999-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地点通話装置
JPH11163980A (ja) 1997-12-01 1999-06-18 Daisan Kikaku Kk 携帯電話用の着信感知装身具
JP2589555Y2 (ja) 1997-12-04 1999-01-27 日本電気株式会社 電池収納構造
JP3050147U (ja) 1997-12-24 1998-06-30 嘉正 平田 難聴者用簡易型携帯電話機
EP1586980B1 (en) 1998-03-18 2007-07-0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inputting commands via detection of tapping shocks or vibration of fingertips
JP3067762B2 (ja) 1998-03-18 2000-07-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装着型通信装置
JP3298578B2 (ja) 1998-03-18 2002-07-0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装着型コマンド入力装置
JPH11298595A (ja) 1998-04-10 1999-10-2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
JP3207158B2 (ja) 1998-05-11 2001-09-10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導スピ−カ−とマイクロホンを備えたヘッドセット
JPH11352138A (ja) 1998-06-04 1999-12-24 Seiko Instruments Inc 磁気力顕微鏡
JP2000013294A (ja) 1998-06-24 2000-01-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送受話器
JP3160714B2 (ja) 1998-07-08 2001-04-25 株式会社シコー技研 携帯無線通信機
US6463157B1 (en) 1998-10-06 2002-10-08 Analytical Engineering, Inc. Bone conduction speaker and microphone
JP4281182B2 (ja) 1998-11-19 2009-06-17 株式会社ニコン 通信機能付きカメラ
US6950126B1 (en) 1998-11-19 2005-09-27 Nikon Corporation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
JP3064055U (ja) 1999-02-08 1999-12-14 照美 森屋 受話口と送話口の距離が適切な細型携帯電話
JP3537128B2 (ja) 1999-04-01 2004-06-1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2000324217A (ja) 1999-05-07 2000-11-24 Ntt Docomo Inc 携帯機器における音情報伝達装置および携帯機器
JP4142836B2 (ja) 1999-10-29 2008-09-03 株式会社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テリジェント インフォメーション ペンフォンpda
JP3750910B2 (ja) 1999-12-13 2006-03-01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3541765B2 (ja) 1999-12-21 2004-07-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テレビ電話装置
US6720708B2 (en) 2000-01-07 2004-04-13 Lewis Athanas Mechanical-to-acoustical transformer and multi-media flat film speaker
JP3070222U (ja) 2000-01-11 2000-07-28 勲 伊藤 骨伝導受話機
JP2001287183A (ja) 2000-01-31 2001-10-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自動搬送ロボット
JP2001268211A (ja) 2000-03-21 2001-09-28 Xanavi Informatics Corp 電話機用ハンズフリー装置
JP3556151B2 (ja) 2000-05-09 2004-08-18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送受話装置
JP2001333161A (ja) 2000-05-18 2001-11-30 Nec Corp 携帯端末
JP2001339504A (ja) 2000-05-26 2001-12-07 Sharp Corp 無線通信機
JP2001352395A (ja) 2000-06-07 2001-12-21 Sony Corp 携帯端末装置
DE60112755T2 (de) 2000-06-12 2006-06-0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 und verfahren zur echtzeitverfolgung von paketen
US7016707B2 (en) 2000-06-21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operatively processing incoming call
JP2002084575A (ja) 2000-06-21 2002-03-22 Seiko Epson Corp 装着型無線通信装置、携帯電話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2016720A (ja) 2000-06-29 2002-0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通信装置
JP2002036158A (ja) 2000-07-27 2002-02-05 Yamaha Motor Co Ltd 自律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US20040105566A1 (en) 2000-07-27 2004-06-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ody set type speaker unit
JP3745602B2 (ja) 2000-07-27 2006-02-15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身体セット型スピーカ装置
JP2002041411A (ja) 2000-07-28 2002-02-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テキスト読み上げロボット、その制御方法及びテキスト読み上げ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059618B2 (ja) 2000-07-31 2008-03-12 株式会社ケンウッド 通信端末
JP3949912B2 (ja)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WO2002021881A1 (fr) 2000-09-04 2002-03-14 Applied Electronics Laboratories, Inc. Fenetre d'affichage presentant une fonction d'entree-sortie
JP3312902B2 (ja) 2000-11-24 2002-08-12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難聴者用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JP2002171321A (ja) 2000-11-30 2002-06-14 Toshiba Corp 移動無線端末
JP2002223475A (ja) 2001-01-25 2002-08-09 Nec Telecom Syst Ltd 携帯通信端末,腕時計および着信方式ならびに着信方法
TW510139B (en) 2001-01-26 2002-11-11 Kirk Acoustics As An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a coil and a magnet circuit therefor
JP3404384B2 (ja) 2001-02-09 2003-05-06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圧電トランスインバータ
JP2002262377A (ja) 2001-02-28 2002-09-13 Taiyo Yuden Co Ltd 骨導ピックアップ素子及びそのユニット
US7616771B2 (en) 2001-04-27 2009-11-10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Acoustic coupler for skin contact hearing enhancement devices
JP3532535B2 (ja) 2001-05-31 2004-05-3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送受話装置
JP2002368839A (ja) 2001-06-06 2002-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及び該電話機の音声信号周波数補正方法
JP3763570B2 (ja) 2001-06-28 2006-04-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スピーカ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3101625A (ja) 2001-07-05 2003-04-04 Mieko Tsuyusaki 携帯電話装置及び電話装置
JP2003032343A (ja) 2001-07-17 2003-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電話機
JP2003032768A (ja) 2001-07-19 2003-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ホン
JP3699018B2 (ja) 2001-07-25 2005-09-2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機の自動音量調整装置
JP3834494B2 (ja) 2001-09-19 2006-10-18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圧電スピーカ装置
JP2003103220A (ja) 2001-09-28 2003-04-08 Nec Tokin Corp 生体伝導アクチュエータ
JP2003173375A (ja) 2001-09-28 2003-06-20 Toshiba Corp 生活管理端末装置、生活管理方法並びに生活管理システム
JP2003111175A (ja) 2001-10-01 2003-04-11 Yukio Masuda 送受音装置
JP2003125473A (ja) 2001-10-10 2003-04-25 Nec Tokin Corp 筐体振動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用電子装置
JP4313560B2 (ja) 2001-10-31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話
JP3678694B2 (ja) 2001-11-02 2005-08-03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対話型端末装置、その通話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3145048A (ja) 2001-11-16 2003-05-20 Nec Tokin Corp 骨伝導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用電子装置
JP2003169115A (ja) 2001-11-29 2003-06-13 Kyocera Corp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US6639987B2 (en) 2001-12-11 2003-10-28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with active equalization and method therefor
JP2003188985A (ja) 2001-12-20 2003-07-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ワイヤレスヘッドセット、これを用いたヘルメット、インターネット電話システム、車両用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クレジット処理システムおよびキャッシュサービスシステム
JP4202640B2 (ja) 2001-12-25 2008-12-24 株式会社東芝 短距離無線通信用ヘッドセット、これを用い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短距離無線通信における音響処理方法
US20030119566A1 (en) 2001-12-26 2003-06-26 E-Lead Electronic Co., Ltd. Hand-free device equipped with expansion function modules
JP2003211087A (ja) 2002-01-22 2003-07-29 Nec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218989A (ja) 2002-01-24 2003-07-31 Fdk Corp 着信装置
ATE414394T1 (de) 2002-01-25 2008-11-15 Sonion Horsens As Flexible membran mit integrierter spule
US20030174856A1 (en) 2002-01-25 2003-09-18 Leif Johannsen Flexible diaphragm with integrated coil
JP4203246B2 (ja) 2002-03-14 2008-12-2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
JP2003274470A (ja) 2002-03-19 2003-09-26 Denso Corp 骨伝導音声振動検出素子、骨伝導音声振動検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音声認識システム
GB0207732D0 (en) 2002-04-03 2002-05-15 Ttpcomm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JP2003300015A (ja) 2002-04-05 2003-10-21 Nec Tokin Corp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方法、及び携帯機器
JP2003319022A (ja) 2002-04-26 2003-11-07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装置
WO2003093950A2 (en) 2002-05-06 2003-11-13 David Goldberg Localized audio networks and associated digital accessories
JP2003348208A (ja) 2002-05-29 2003-12-05 Temuko Japan:Kk 骨伝導スピーカ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3090729U (ja) 2002-06-13 2002-12-26 蕃夫 鈴木 筆記用ペン型セパレート送受話器
AU2003245868A1 (en) 2002-07-25 2004-02-16 Sonion Horsens A/S Mobile handset and assembly having multi-loudspeaker system
US7494216B2 (en) 2002-07-26 2009-02-24 Oakely, Inc. Electronic eyewear with hands-free operation
JP3937982B2 (ja)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DE60333200D1 (de) 2002-08-30 2010-08-12 Nat Univ Corp Nara Inst Mikrofon und kommunikationsschnittstellensystem
JP3889342B2 (ja) 2002-10-03 2007-03-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装着型通信装置
WO2004034734A1 (ja) 2002-10-08 2004-04-22 Nec Corporation アレイ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3875178B2 (ja) 2002-11-05 2007-01-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4244130B2 (ja) 2002-11-07 2009-03-25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装置
SG143934A1 (en) 2002-11-08 2008-07-29 Semiconductor Energy Lab Display appliance
JP4712294B2 (ja) 2002-11-08 2011-06-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JP2004173018A (ja) 2002-11-20 2004-06-17 Toshiba Life Engineering Kk ヘルメット用通信装置
JP2004187031A (ja) 2002-12-04 2004-07-02 Temuko Japan:Kk 骨伝導スピーカー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4190699A (ja) 2002-12-06 2004-07-08 Sony Corp クリップおよびクリップのクランプ方法
JP2004205839A (ja) 2002-12-25 2004-07-22 Fuji Iryoki:Kk 補聴器具
JP4069294B2 (ja) 2002-12-26 2008-04-02 Tdk株式会社 イヤフォン、音声伝達装置
JP2004266321A (ja) 2003-01-22 2004-09-24 Hitachi Maxell Ltd 耳装着型の通話装置
JP2004233316A (ja) 2003-02-03 2004-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機能付き時計
JP2004252626A (ja) 2003-02-19 2004-09-09 Tokyo Shinyu:Kk 情報端末装置へのメッセージ伝達方法
US7409234B2 (en) 2003-03-07 2008-08-05 Cardo Systems, Inc.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with exchangeable attachments
JP4121398B2 (ja) 2003-03-10 2008-07-23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4289443A (ja) 2003-03-20 2004-10-14 Tdk Corp 振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用電話
US7098776B2 (en) 2003-04-16 2006-08-2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vibrotactile communication
JP2004357198A (ja) 2003-05-30 2004-12-16 Sharp Corp イヤホン
KR100548357B1 (ko) 2003-06-23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수신신호 증폭레벨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JP2005020234A (ja) 2003-06-25 2005-01-20 Nec Commun Syst Ltd 携帯電話機
US7442164B2 (en) 2003-07-23 2008-10-28 Med-El Elektro-Medizinische Gerate Gesellschaft M.B.H. Totally implantable hearing prosthesis
JP4380246B2 (ja) 2003-08-22 2009-12-0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イヤホン
JP2005080135A (ja) 2003-09-02 2005-03-24 Toshiba Corp 骨伝導スピーカ内蔵パッド
KR20060038902A (ko) 2003-09-02 2006-05-04 도시바 가덴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골전도 스피커 장치
GB0321617D0 (en) 2003-09-10 2003-10-15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US7257372B2 (en) 2003-09-30 2007-08-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luetooth enabled hearing aid
JP2005142729A (ja) 2003-11-05 2005-06-02 Casio Comput Co Ltd 腕時計型通信装置
JP4542328B2 (ja) 2003-11-06 2010-09-15 京セラ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5151292A (ja) 2003-11-18 2005-06-09 Tdk Corp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これを用いた眼鏡
JP4272040B2 (ja) 2003-11-28 2009-06-0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JP3958739B2 (ja) 2003-12-12 2007-08-1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音響振動発生素子
JP3965383B2 (ja) 2003-12-17 2007-08-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7079876B2 (en) 2003-12-23 2006-07-18 Isaac Levy Wireless telephone headset built into eyeglasses
KR20060119718A (ko) 2003-12-26 2006-11-24 가부시기가이샤 템코 재팬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음향 장치
AU2005205632A1 (en) 2004-01-16 2005-07-28 Temco Japan Co., Ltd. Portable telephone using bone conduction device
CN1843019A (zh) 2004-01-16 2006-10-04 株式会社坦姆科日本 使用骨传导装置的携带式电话机
JP2005223717A (ja) 2004-02-06 2005-08-18 Sharp Corp オーディオアンプ
JP2005229324A (ja) 2004-02-13 2005-08-25 Hiroshi Fukamizu 骨伝導スピーカ
US7443283B2 (en) 2004-02-19 2008-10-28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 intimate group by exchanging awareness cues and text, voice instant messages, and two-way voice communications
US7499686B2 (en) 2004-02-24 2009-03-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ensory speech enhancement on a mobile device
DE112005000548B4 (de) 2004-03-09 2015-11-19 Hoya Corp.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der Maskenherstellung, Verfahren zur Bereitstellung von Maskenrohlingen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von Maskenrohlingen
WO2005091670A1 (ja) 2004-03-19 2005-09-29 Temco Japan Co., Ltd. 骨伝導デバイスユニッ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ヘッドセット
JP4231525B2 (ja) 2004-03-31 2009-03-04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スピーカを用いた通話装置
JPWO2005096664A1 (ja) 2004-03-31 2008-02-2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及び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ユニット
JP4073890B2 (ja) 2004-04-22 2008-04-09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回路基板、及びそれを備えた圧電式スピーカ装置及び表示装置並びに音源内蔵型表示装置
US8526646B2 (en) 2004-05-10 2013-09-03 Peter V. Boesen Communication device
JP2005328125A (ja) 2004-05-12 2005-11-24 Nec Tokin Corp イヤフォン
JP2005340927A (ja) 2004-05-24 2005-12-08 Toyota Industries Corp 自己発電機能付き携帯型ラジオ受信機
JP2005348193A (ja) 2004-06-04 2005-12-15 Nec Tokin Corp 受話器
JP2005352024A (ja) 2004-06-09 2005-12-22 Murata Mfg Co Ltd 眼鏡型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6005625A (ja) 2004-06-17 2006-01-05 Nec Tokin Corp 音響振動発生装置
JP2006011591A (ja) 2004-06-23 2006-01-12 Denso Corp 個人認証システム
JP4126291B2 (ja) 2004-06-23 2008-07-3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更新方法及び該システム
JP2006007919A (ja) 2004-06-24 2006-01-12 Mazda Motor Corp 車両用操作ユニット
US7555136B2 (en) 2004-06-25 2009-06-30 Victorion Technology Co., Ltd. Nasal bone conduction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tting device
JP2006019812A (ja) 2004-06-30 2006-01-19 Panasonic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筐体成型方法
KR101130868B1 (ko) 2004-07-08 2012-03-28 파나소닉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
TWI241831B (en) * 2004-07-28 2005-10-11 Dbtel Inc Caller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WO2006011604A1 (ja) 2004-07-30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スピーカ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6050056A (ja) 2004-08-02 2006-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無線機
JP2006051300A (ja) 2004-08-09 2006-02-23 Tadao Sato 生体血流の観察方法
JP2006066972A (ja) 2004-08-24 2006-03-09 Nec Tokin Corp スピーカ装置
JP2006067049A (ja) 2004-08-25 2006-03-09 Nec Tokin Corp 複合型スピーカ
BRPI0514159A2 (pt) 2004-08-27 2008-11-25 Victorion Technology Co Ltd dispositivo transmissor de comunicaÇço sem fio por conduÇço pelo osso nasal, sistema transmissor de comunicaÇço sem fio por conduÇço pelo osso nasal, e auxiliar auditivo de conduÇço pelo osso nasal
CN1791283B (zh) 2004-12-16 2010-06-23 致胜科技股份有限公司 鼻骨传导助听装置
KR100640891B1 (ko) 2004-09-02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tv 파워 on/off 장치 및 방법
JP2006074671A (ja) 2004-09-06 2006-03-16 Taiyo Yuden Co Ltd ヘッドセット
EP1791392A1 (en) 2004-09-07 2007-05-30 Temco Japan Co., Ltd.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JP2006086581A (ja) 2004-09-14 2006-03-30 Nec Tokin Corp 無線通信機能付ヘッドセット、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35819B2 (ja) 2004-09-24 2010-09-01 Necアクセステクニカ株式会社 駆動回路および該駆動回路を備える携帯機器
JP2006109326A (ja) 2004-10-08 2006-04-20 Nec Corp 携帯端末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およびそのセキュリティ方法
US7283850B2 (en) 2004-10-12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ensory speech enhancement on a mobile device
JP2006115060A (ja) 2004-10-13 2006-04-27 Makitekku:Kk 耳挿入型イヤホン
US7522065B2 (en) 2004-10-15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ns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267554B2 (ja) 2004-10-29 2009-05-27 ホシデ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の表示部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4462011B2 (ja) 2004-11-01 2010-05-12 日本電気株式会社 Tv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tvアンテナ兼入力ペン
JP4541111B2 (ja) 2004-11-17 2010-09-0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の使用方法及び骨伝導受話装置の使用方法
JP2006155734A (ja) 2004-11-29 2006-06-15 Kyocera Corp 携帯機器及び携帯機器セット並びにその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の保護方法
JP2006157318A (ja) 2004-11-29 2006-06-15 Nec Tokin Corp 骨伝導スピーカーユニット
CN1617632A (zh) 2004-11-30 2005-05-18 陈奚平 头戴式音响装置以及一种声道再现方法
JP2006165702A (ja) 2004-12-02 2006-06-22 Taiyo Yuden Co Ltd 圧電発音体及び電子機器
US20060158064A1 (en) 2004-12-02 2006-07-20 Kazuo Asakawa Piezoelectric sounding body and electronic device
JP4649971B2 (ja) 2004-12-08 2011-03-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および携帯通信システム
JP2006166300A (ja) 2004-12-10 2006-06-22 Ricoh Co Ltd 携帯端末、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における音声消音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FI20041625A (fi) 2004-12-17 2006-06-18 Nokia Corp Menetelmä korvakanavasignaalin muuntamiseksi, korvakanavamuunnin ja kuulokkeet
JP4266923B2 (ja) 2004-12-27 2009-05-27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実装方法、電子機器の組立方法、ガスケット部材、振動板及び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JP4355652B2 (ja) 2004-12-27 2009-11-0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防塵構造
JPWO2006075440A1 (ja) 2005-01-11 2008-06-12 日本電気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電子機器
JP2006197267A (ja) 2005-01-13 2006-07-27 Toshiba Corp 骨伝導スピーカ内蔵枕
JP4715208B2 (ja) 2005-01-14 2011-07-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558526B2 (ja) 2005-01-28 2010-10-06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
JPWO2006080517A1 (ja) 2005-01-31 2008-06-19 株式会社アキタ電子システムズ 骨導スピーカセット、電子機器、電子翻訳システム、聴覚支援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携帯電話機
JP2006217088A (ja) 2005-02-01 2006-08-17 Sharp Corp 聴覚伝送システム
JP2006217321A (ja) 2005-02-04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ヘッドセット、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6229647A (ja) 2005-02-18 2006-08-31 Nec Tokin Corp 骨伝導用音響用振動子
JP4346567B2 (ja) 2005-02-21 2009-10-2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JP2006238072A (ja) 2005-02-25 2006-09-07 Nec Tokin Corp 音響振動発生用圧電バイモルフ素子
JP3798799B2 (ja) 2005-03-18 2006-07-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電話装置
ATE388862T1 (de) 2005-03-21 2008-03-15 Delphi Tech Inc Lenkradanordnung
KR100703402B1 (ko) 2005-03-24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방향으로 촬영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06283541A (ja) 2005-04-03 2006-10-19 Kaiji Suzuki 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と、その貼着仕上げ材の下地部材本体を使用した仕上げ工法。
JP2005341543A (ja) 2005-04-04 2005-12-08 Noriyuki Sugimoto 節電型自動録画機能付き携帯電話機
US8448326B2 (en) 2005-04-08 2013-05-2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ccelerometer
JP2006295786A (ja) 2005-04-14 2006-10-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装置
JP2006303618A (ja) 2005-04-15 2006-11-02 Hosiden Corp スピーカ駆動システム
JP4308799B2 (ja) 2005-05-09 2009-08-05 ホシデン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CN2800681Y (zh) * 2005-05-16 2006-07-26 郁令友 手表式蓝牙耳机结构
KR100633052B1 (ko) 2005-05-23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계 발생 장치
KR100690767B1 (ko) 2005-05-2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333058A (ja) 2005-05-26 2006-12-07 Takao Kanbe 骨伝導式携帯電話
JP2006339914A (ja) 2005-05-31 2006-12-14 Sharp Corp 電子機器
US8331603B2 (en) 2005-06-03 2012-12-11 Nokia Corporation Headset
JP2006345025A (ja) 2005-06-07 2006-1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話装置およびその音声処理方法
JP2007003702A (ja) 2005-06-22 2007-01-11 Ntt Docomo Inc 雑音除去装置、通信端末、及び、雑音除去方法
JP2007006369A (ja) 2005-06-27 2007-01-11 Pioneer Electronic Corp リモコン及びそのリモコンを有する視聴システム
JP2007010518A (ja) 2005-06-30 2007-01-18 Canon Inc カンチレバーセンサを利用するターゲット物質の検出方法及び検出装置
US7822215B2 (en) 2005-07-07 2010-10-26 Face International Corp Bone-conduction hearing-aid transducer having improved frequency response
JP2007019898A (ja) 2005-07-08 2007-01-25 Toshiba Corp 携帯電話機
JP4548783B2 (ja) 2005-07-08 2010-09-22 Necトーキン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2007020051A (ja) 2005-07-11 2007-01-25 Hitachi Ltd 電子機器及びセンサネットシステム
US20080205679A1 (en) 2005-07-18 2008-08-28 Darbut Alexander L In-Ear Auditory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70127757A2 (en) 2005-07-18 2007-06-07 Soundquest, Inc. Behind-The-Ear-Auditory Device
JP2007028469A (ja) 2005-07-21 2007-02-01 Nec Tokin Corp 音響振動発生素子、音響振動発生素子の製造方法及び音響振動発生装置
JP2007051395A (ja) 2005-08-18 2007-03-01 Nippon Mmi Technology Kk ヘルメット用通信システム
JP4072864B2 (ja) 2005-09-05 2008-04-09 アイテック株式会社 眼鏡フレーム用モダン
JP4511437B2 (ja) 2005-09-09 2010-07-2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音響信号発生用圧電装置
JP2007081276A (ja) 2005-09-16 2007-03-29 Ariose Electronics Co Ltd 圧電セラミックス複合体とそれによって構成された圧電アクチュエータ、圧電ラッパまたは圧電ブザー
WO2007034739A1 (ja) 2005-09-20 2007-03-29 Temco Japan Co., Ltd. 骨伝導スピーカホル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JP2007096386A (ja) 2005-09-27 2007-04-12 Akita Denshi Systems:Kk スピーカ
JP4683635B2 (ja) 2005-09-30 2011-05-18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受話装置
US11428937B2 (en) 2005-10-07 2022-08-30 Percept Technologies Enhanced optical and perceptual digital eyewear
JP2007104603A (ja) 2005-10-07 2007-04-19 Sony Corp 携帯音声駆動装置
JP2007104548A (ja) 2005-10-07 2007-04-19 Nec Tokin Corp 受話装置
JP2007133698A (ja) 2005-11-10 2007-05-3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端末
JP2007165938A (ja) 2005-11-18 2007-06-28 Nec Tokin Corp 受話装置
JP2007142920A (ja) 2005-11-21 2007-06-07 Hosiden Corp 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984505A (zh) 2005-12-16 2007-06-20 株式会社坦姆科日本 骨传导受话装置
JP2007180827A (ja) 2005-12-27 2007-07-1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パネル型スピーカ
JP2007189578A (ja) 2006-01-16 2007-07-26 Nec Tokin Corp 受話装置及び携帯電話機
JP2007214883A (ja) 2006-02-09 2007-08-23 Nec Tokin Corp 受話装置
CN101022678A (zh) 2006-02-13 2007-08-22 致胜科技股份有限公司 骨传导多声道装置
JP2007228508A (ja) 2006-02-27 2007-09-06 Nec Tokin Corp 受話装置
WO2007099908A1 (ja) 2006-02-27 2007-09-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ウェアラブル端末、および、携帯撮像収音装置、およびそれらを実現する装置、方法、プログラム
WO2007099707A1 (ja) 2006-02-28 2007-09-07 Temco Japan Co., Ltd. メガネ型音響・通信機器
EP2011367B1 (en) 2006-03-22 2014-12-03 Bone Tone Communications Ltd. Method and system for bone conduction sound propagation
US8469712B2 (en) 2006-03-31 2013-06-25 Research In Mo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ndication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JP4849319B2 (ja) 2006-03-31 2012-01-11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磁気共鳴画像化装置
JP2007281916A (ja) 2006-04-07 2007-10-25 Nittetsu Elex Co Ltd イヤホンマイク
JP4761459B2 (ja) 2006-04-10 2011-08-31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圧電振動ユニット及び圧電式スピーカ
KR101128170B1 (ko) 2006-05-10 201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음향 트랜스듀서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3833243B1 (ja) 2006-05-15 2006-10-11 真一 坂本 携帯電話機の着信通知方法
JP2007307124A (ja) 2006-05-18 2007-11-29 Azden Corp Mri装置における音声通信装置
JP4471958B2 (ja) 2006-06-15 2010-06-02 ツインバード工業株式会社 防水ケース
JP4771475B2 (ja) 2006-06-19 2011-09-1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
JP2008000709A (ja) 2006-06-23 2008-01-10 Mitsubishi Rayon Co Ltd メタクリル酸製造用ヘテロポリ酸系触媒の製造方法
JP4886392B2 (ja) 2006-06-30 2012-02-29 シナノケンシ株式会社 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4587991B2 (ja) 2006-07-07 2010-11-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電話機
JP4861079B2 (ja) 2006-07-10 2012-01-2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骨伝導レシーバ
KR20080009602A (ko) 2006-07-24 200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골전도 오디오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2008042324A (ja) 2006-08-02 2008-02-21 Toyota Motor Corp 振動発生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
JP4358846B2 (ja) 2006-08-15 2009-11-0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体端末装置及びその操作支援方法
JP4553879B2 (ja) 2006-08-30 2010-09-29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WO2008029515A1 (fr) 2006-09-07 2008-03-13 Temco Japan Co., Ltd. Écouteur à conduction osseuse
KR100857877B1 (ko) 2006-09-14 2008-09-17 유메디칼 주식회사 자동차폐가 가능한 순음청력검사장치
JP2008085417A (ja) 2006-09-26 2008-04-10 Yamaha Corp スピーカ音声強調装置
JP2008092164A (ja) 2006-09-29 2008-04-17 Sharp Corp 携帯端末
JP2008092313A (ja) 2006-10-03 2008-04-17 Kyocera Corp 骨伝導式音声出力装置
KR100829811B1 (ko) 2006-11-06 2008-05-19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안경에 탈부착되는 무선형 헤드셋
JP2008124531A (ja) 2006-11-08 2008-05-2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オーディオプロセッサチップ
JP2008121796A (ja) 2006-11-13 2008-05-29 Jtekt Corp 油圧作動式クラッチ装置および同クラッチ装置をクラッチ機構とする駆動力伝達装置
US20080123893A1 (en) 2006-11-27 2008-05-29 Inter Brands Co. Eyeglass frame assembly
JP2008135991A (ja) 2006-11-28 2008-06-12 Kyocera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音声出力制御方法
JP4899096B2 (ja) 2006-12-04 2012-03-21 並木精密宝石株式会社 骨伝導スピーカを搭載した携帯電話
JP2008141687A (ja) 2006-12-05 2008-06-19 Funai Electric Co Ltd 携帯端末機器
JP4281791B2 (ja) 2006-12-11 2009-06-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システム
JP2008148086A (ja) 2006-12-12 2008-06-26 Wecom Kenkyusho:Kk 軟骨伝導スピーカ
JP2008153783A (ja) 2006-12-14 2008-07-03 Hitachi Ltd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端末装置
JP4786519B2 (ja) 2006-12-19 2011-10-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ロボットによる物体を移動するサービスに必要な情報の取得方法と該方法を用いたロボットによる物体移動サービスシステム
JP4401396B2 (ja) 2007-01-16 2010-01-2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音出力装置
JP5401759B2 (ja) 2007-01-16 2014-01-29 ソニー株式会社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音声出力システムおよび音声出力処理用プログラム
JP4282721B2 (ja) 2007-01-31 2009-06-24 株式会社東芝 携帯端末装置
JP2008227806A (ja) 2007-03-12 2008-09-25 Yamaha Corp 骨伝導スピーカ装置
JP2008227123A (ja) 2007-03-13 2008-09-25 Seiko Epson Corp 圧電振動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1353417B1 (ko) 2007-03-16 201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JP2008229531A (ja) 2007-03-22 2008-10-02 Citizen Electronics Co Ltd 磁気駆動型平面振動体の駆動方法
JP5034595B2 (ja) 2007-03-27 2012-09-26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US20080239061A1 (en) 2007-03-30 2008-10-02 Cok Ronald S Firs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201035260Y (zh) 2007-04-02 2008-03-12 严世熙 整合骨传导技术的眼镜
JP2008263383A (ja) 2007-04-11 2008-10-30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発声音キャンセル装置、及び発声音のキャンセル方法
US20100098269A1 (en) 2008-10-16 2010-04-22 Sonitus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communication, positioning and monitoring of user status
JP5010985B2 (ja) 2007-05-30 2012-08-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センサノード
GB0710378D0 (en) 2007-05-31 2007-07-11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JP2009010593A (ja) 2007-06-27 2009-01-15 Yamaha Corp 携帯通信端末
CA2694286A1 (en) 2007-07-23 2009-01-29 Asius Technologies, Llc Diaphonic acoustic transduction coupler and ear bud
JP2009044510A (ja) 2007-08-09 2009-02-26 Ntt Docomo Inc 移動機、サーバ、および、移動機における映像再生方法
US8433080B2 (en) 2007-08-22 2013-04-30 Sonitus Medical, Inc. Bone conduction hearing device with open-ear microphone
JP2009077260A (ja) 2007-09-21 2009-04-09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等
JP2009088942A (ja) 2007-09-28 2009-04-23 Cosmo Gear Kk イヤホン装置
KR100954562B1 (ko) 2007-10-01 2010-04-22 (주)디오컴 다중 채널 헤드셋
JP2009094986A (ja) 2007-10-12 2009-04-30 Nec Tokin Corp 受話装置
JP2009111820A (ja) 2007-10-31 2009-05-21 Nippon Mmi Technology Kk 骨伝導イヤホン
JP4882113B2 (ja) 2007-11-02 2012-02-22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のバイブレータ構造、及び携帯電子機器
JP2009118396A (ja) 2007-11-09 2009-05-28 Nec Tokin Corp 送受話装置
TW200922261A (en) 2007-11-09 2009-05-16 Chi Mei Comm System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noise suppressing method thereof
SG152939A1 (en) 2007-11-22 2009-06-29 Creative Tech Ltd An ear bud earphone with variable noise isolation, a cushion for an ear bud earphone and a corresponding method
JP2009147680A (ja) 2007-12-14 2009-07-02 Yamatatsugumi:Kk 携帯電話機
KR100922337B1 (ko) 2007-12-15 2009-10-21 구연영 고무 귓 청을 구비한 이어폰
GB0725111D0 (en) 2007-12-21 2008-01-30 Wolfson Microelectronics Plc Lower rate emulation
JP2009159577A (ja) 2007-12-25 2009-07-16 Haruo Matsuda ソリッドソニックスピーカシステム
JP5024035B2 (ja) 2007-12-27 2012-09-12 コスモギア株式会社 Pttリモコン装置、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及びハンズフリー通話方法
JP2009171249A (ja) 2008-01-16 2009-07-30 Sony Corp 集音装置、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5088150B2 (ja) 2008-01-18 2012-12-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及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EP2731358A1 (en) 2008-02-11 2014-05-14 Bone Tone Communications Ltd. A sound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sound
JP2009246954A (ja) 2008-02-22 2009-10-22 Nec Tokin Corp 受話装置
US8542095B2 (en) 2008-02-22 2013-09-24 Nec Corpor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biometric authent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019615B2 (ja) 2008-02-29 2012-09-05 Necトーキン株式会社 振動発生装置
JP2009232443A (ja) 2008-02-29 2009-10-08 Nec Tokin Corp 受話装置
US20090226020A1 (en) 2008-03-04 2009-09-10 Sonitus Medical, Inc.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US8150075B2 (en) * 2008-03-04 2012-04-03 Sonitus Medical, Inc. Dental bone conduction hearing appliance
US20100329485A1 (en) 2008-03-17 2010-12-30 Temco Japan Co., Ltd. Bone conduction speaker and hearing device using the same
US8216287B2 (en) 2008-03-31 2012-07-10 Cochlear Limited Tangential force resistant coupling for a prosthetic device
JP2009260883A (ja) 2008-04-21 2009-11-05 Three S Denki Seisakusho:Kk 難聴者用イヤホン
JP2009267616A (ja) 2008-04-23 2009-11-12 Asahi Kasei Electronics Co Ltd 音響トランスデュー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100690B1 (ko) 2008-04-30 2012-01-03 카부시키가이샤 하쯔메야 음향장치
JPWO2009136498A1 (ja) 2008-05-08 2011-09-08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マイクロホンの防振支持方法及び防振支持構造
KR101039090B1 (ko) 2008-05-21 2011-06-20 박의봉 스피커장치
JPWO2009141912A1 (ja) 2008-05-23 2011-09-29 日本エムエムア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イヤホン装置
JP3144392U (ja) 2008-06-16 2008-08-28 真幸電機株式会社 ヘッドホーンに取り付ける骨伝導デバイス
JP5146147B2 (ja) 2008-06-25 2013-02-20 コスモギア株式会社 骨伝導マイク・スピーカ通話装置
JP4631939B2 (ja) 2008-06-2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ノイズ低減音声再生装置およびノイズ低減音声再生方法
JPWO2010005045A1 (ja) 2008-07-09 2012-01-05 初則 廣重 薄型マイクロフォン及びマイクロフォン付きヘルメット
CN201216023Y (zh) 2008-07-18 2009-04-01 航宇救生装备有限公司 骨导式耳麦
JP5206234B2 (ja) 2008-08-27 2013-06-12 富士通株式会社 雑音抑圧装置、携帯電話機、雑音抑圧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75897B2 (en) 2008-09-04 2014-03-18 Temco Japan Co., Ltd. Ear-muff type headset for two-way communication
US8265329B2 (en) 2008-09-05 2012-09-11 Apple Inc. Compact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nal speaker
JP2010068299A (ja) 2008-09-11 2010-03-25 Yamaha Corp イヤホン
CN101355823A (zh) 2008-09-18 2009-01-28 陈奚平 采用骨传导扬声器的耳塞式耳机
KR101006207B1 (ko) 2008-09-25 2011-01-07 김형호 잡음차단수단을 갖는 헤드셋
JP2010087810A (ja) 2008-09-30 2010-04-15 Wecom Kenkyusho:Kk 耳穴式骨伝導レシーバ
KR101014077B1 (ko) 2008-10-14 2011-0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 헤드 셋
JP2010094799A (ja) 2008-10-17 2010-04-30 Littleisland Inc 人型ロボット
CN102204224B (zh) 2008-10-27 2014-07-09 日本电气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
JP4680291B2 (ja) 2008-10-31 2011-05-11 哲郎 渡邊 多機能型振動発生装置
TW201018982A (en) 2008-11-04 2010-05-16 Neovictory Technology Co Ltd Sphenoid 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device
EP2356826A4 (en) 2008-11-10 2014-01-29 Bone Tone Comm Ltd HEARING AND METHOD FOR PLAYING A STEREO AND MONOSIGNAL
JP2010124287A (ja) 2008-11-20 2010-06-03 Sharp Corp 携帯電話
US8301443B2 (en) 2008-11-21 2012-10-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and generating audio cohorts based on audio data input
CN101753221A (zh) 2008-11-28 2010-06-23 新兴盛科技股份有限公司 蝶颞骨传导通讯与/或助听装置
TWI391880B (zh) 2008-12-05 2013-04-01 Univ Chang Gung Wearable motion sen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8630425B2 (en) 2008-12-12 2014-01-14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udio communications
JP2010147727A (ja) 2008-12-17 2010-07-01 Scalar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取付け器具、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内視鏡手術システム
JP5269618B2 (ja) 2009-01-05 2013-08-21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骨伝導マイクロホン内蔵ヘッドセット
US20100178957A1 (en) 2009-01-13 2010-07-15 Chao Chen Mobile device having an impact resistant input
JP5228932B2 (ja) 2009-01-16 2013-07-03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音信号調整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並びに、電話装置
US8290546B2 (en) 2009-02-23 2012-10-16 Apple Inc. Audio jack with included microphone
JP2010207963A (ja) 2009-03-10 2010-09-2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ロボットハンドの被着装置
JP2010224665A (ja) * 2009-03-19 2010-10-07 Sony Corp 光触覚変換システム、及び触覚フィードバックの提供方法
JP2010232755A (ja) 2009-03-26 2010-10-14 Kddi Corp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指向性調整方法、指向性調整プログラム
JP5433280B2 (ja) 2009-04-07 2014-03-05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携帯型端末、および機能制御プログラム
WO2010116510A1 (ja) 2009-04-09 2010-10-14 日本エムエムア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装置およびヘッドセット装置
JP2010258701A (ja) 2009-04-23 2010-11-11 Ntt Docomo Inc 通信端末及び音量レベルの調整方法
JP2010268336A (ja) 2009-05-18 2010-11-25 Panasonic Corp タッチパネル付き情報端末
CN102804805B (zh) 2009-06-02 2016-01-20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耳机装置及用于其的操作方法
JP2010283541A (ja) 2009-06-03 2010-12-16 Fujitsu Ltd 携帯型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257262B2 (ja) 2009-06-18 2013-08-07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装置
DE102009030070A1 (de) 2009-06-22 2010-12-23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Transport-und/oder Aufbewahrungsbehälter für aufladbare drahtlose Hörer
JP2011008503A (ja) 2009-06-25 2011-01-13 Denso Wave Inc セキュリティ端末装置
JP2011010791A (ja) 2009-07-01 2011-01-20 Infoscience Corp 咀嚼状態認識装置
JP2011015193A (ja) 2009-07-02 2011-01-20 Funai Electric Co Ltd 音声出力装置
WO2011004652A1 (ja) * 2009-07-09 2011-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ベント報知装置、イベント報知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104820B2 (ja) 2009-07-10 2012-12-19 株式会社島津製作所 表示装置
JP5611550B2 (ja) 2009-07-13 2014-10-2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機、携帯電話機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10169622A1 (en) 2009-07-16 2011-07-14 Patent Navigation Inc. Enhanced communication through vibration
JP2011035560A (ja) 2009-07-30 2011-02-17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拡声装置
AU2010288620B2 (en) 2009-08-25 2014-10-09 Vusiongroup High efficiency regulated charge pump
JP5368911B2 (ja) 2009-08-27 2013-12-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2483665B (zh) 2009-08-31 2014-12-10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带有振动功能的触摸面板的安装结构
JP5306944B2 (ja) 2009-08-31 2013-10-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スピーカ兼用タッチパネルの実装構造
TWI554076B (zh) 2009-09-04 2016-10-11 普露諾洛股份有限公司 遠距離的電話管理器
JP2011059376A (ja) 2009-09-10 2011-03-24 Pioneer Electronic Corp 雑音低減装置付きヘッドフォン
JP2011087142A (ja) 2009-10-15 2011-04-28 Prefectural Univ Of Hiroshima 貼付型骨伝導補聴器
US8831934B2 (en) 2009-10-27 2014-09-09 Phonak Ag Speech enhancement method and system
JP5434521B2 (ja) 2009-11-25 2014-03-0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ヘッドホン
JP5531605B2 (ja) 2009-12-21 2014-06-25 明子 中谷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JP5407848B2 (ja) 2009-12-25 2014-02-05 富士通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の指向性制御装置
EP2360943B1 (en) 2009-12-29 2013-04-17 GN Resound A/S Beamforming in hearing aids
TW201123815A (en) 2009-12-31 2011-07-01 C Media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to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pplying the method
US8735384B2 (en) 2010-01-19 2014-05-27 Amgen Inc. Amino heteroaryl compounds as beta-secretase modulators and methods of use
US20110180542A1 (en) 2010-01-22 2011-07-28 Ryan Drollinger Methods for reducing fluid loss in fluid-bearing systems
JP2011223556A (ja) 2010-03-25 2011-11-04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JP5382204B2 (ja) 2010-03-30 2014-01-08 富士通株式会社 電話機、及び電話機の音声調整方法
JP2011212167A (ja) 2010-03-31 2011-10-27 Japan Health Science Foundation 生体情報入力用トランスデューサ、生体情報発信装置、生体情報監視装置及び生体情報監視システム
JP5650431B2 (ja) 2010-04-14 2015-01-07 ラピスセミコンダクタ株式会社 チャージポンプ型の昇圧回路及び昇圧方法
JP5465076B2 (ja) 2010-04-23 2014-04-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110263200A1 (en) 2010-04-26 2011-10-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Vibrating motor disposed external to electronic device
JP4843721B2 (ja) 2010-04-30 2011-12-21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装置、電子機器、および揺動支持機構
KR101688139B1 (ko) 2010-05-14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515089B2 (en) 2010-06-04 2013-08-20 Apple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decisions in a portable audio device
US9099077B2 (en) 2010-06-04 2015-08-04 Apple Inc. Active noise cancellation decisions using a degraded reference
US8761421B2 (en) 2011-01-14 2014-06-24 Audiotoniq,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remote hearing aid profile storage
WO2011159349A1 (en) 2010-06-14 2011-12-22 Audiotoniq, Inc. Hearing aid system
US9167339B2 (en) 2010-07-07 2015-10-20 Iii Holdings 4, Llc Hearing damage limiting headphones
US20120010735A1 (en) 2010-07-09 2012-01-12 Eyal Gilboa Earpiece attaching system and method
CA2807808A1 (en) 2010-08-09 2012-02-16 #3248362 Nova Scotia Limited Personal listening device
CN201845183U (zh) * 2010-09-03 2011-05-25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与手机配套使用的无线手表
JP4880059B1 (ja) * 2010-09-24 2012-02-22 西日本高速道路メンテナンス関西株式会社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ホン及び該ヘッドホンを有するヘルメット
US8515110B2 (en) 2010-09-30 2013-08-20 Audiotoniq, Inc. Hearing aid with automatic mode change capabilities
JP2012109663A (ja) 2010-11-15 2012-06-07 Sharp Corp 骨伝導受話装置
US10687150B2 (en) 2010-11-23 2020-06-16 Audiotoniq, Inc. Battery life monitor system and method
US8816536B2 (en) 2010-11-24 2014-08-2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ly powered dispensing
JP5215377B2 (ja) 2010-12-27 2013-06-19 裕司 細井 携帯電話
US8521239B2 (en) 2010-12-27 2013-08-27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JP6282025B2 (ja) 2011-10-03 2018-02-2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
JP5663735B2 (ja) 2011-02-14 2015-02-0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送受話ユニット
JP2013128161A (ja) 2011-12-16 2013-06-27 Hitachi Media Electoronics Co Ltd 移動通信端末用モジュール、及び移動通信端末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US8918149B2 (en) 2010-12-27 2014-12-23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JP5837368B2 (ja) 2011-09-02 2015-12-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
KR101789401B1 (ko) 2010-12-27 2017-10-23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송수화 유닛 및 수화 유닛
JP2012142679A (ja) 2010-12-28 2012-07-26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US8525868B2 (en) 2011-01-13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beamforming with a mobile platform
JP5648490B2 (ja) 2011-01-19 2015-01-07 凸版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ラベル
JP2012156781A (ja) 2011-01-26 2012-08-16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通信端末
CN102075633B (zh) 2011-02-11 2013-11-0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信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JP2012190452A (ja) 2011-02-24 2012-10-04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2182553A (ja) 2011-02-28 2012-09-20 Toshiba Corp 再生装置、オーディオデータ補正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5482730B2 (ja) 2011-05-23 2014-05-07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耳掛けハンガー,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の製造方法
JP5689751B2 (ja) 2011-06-09 2015-03-25 Kddi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13005212A (ja) 2011-06-16 2013-01-07 Kddi Corp 携帯端末装置
US9020168B2 (en) 2011-08-30 2015-04-2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udio delivery with different sound conduction transducers
JP5838676B2 (ja) 2011-09-12 2016-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腕装着型の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3255212A (ja) 2011-09-13 2013-12-19 Kddi Corp 通話装置
JP5918660B2 (ja) 2011-09-13 2016-05-18 Kddi株式会社 音声伝達装置
EP2763379A4 (en) 2011-09-30 2015-08-05 Kyocera Corp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631357B2 (en) 2011-10-31 2014-01-14 Apple Inc. Dual function scroll wheel input
JP2013105272A (ja) 2011-11-11 2013-05-30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13115638A (ja) 2011-11-29 2013-06-10 Sanyo Electric Co Ltd テレビ電話装置
JP5464674B2 (ja) 2011-12-20 2014-04-09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近接センサの誤検出防止方法、誤検出防止装置及び誤検出防止プログラム並びに誤検出防止装置を含む端末
JP2013128896A (ja) 2011-12-22 2013-07-04 Kddi Corp 振動装置
US9208146B2 (en) 2012-01-17 2015-12-08 Sin El Gim System for providing universal communication that employs a dictionary database
JP5901374B2 (ja) * 2012-03-22 2016-04-06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携帯電話
JP2014229991A (ja) 2013-05-20 2014-12-08 裕司 細井 イヤホン
TWI660618B (zh) 2012-01-20 2019-05-21 日商精良股份有限公司 mobile phone
JP2013168775A (ja) 2012-02-15 2013-08-29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
JP5822396B2 (ja) 2012-03-23 2015-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及び、制御方法
WO2013145740A1 (ja) 2012-03-29 2013-10-0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パネルユニット、電子機器用ユニット
JP5859116B2 (ja) 2012-03-29 2016-02-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パネルユニット
TW201342313A (zh) 2012-04-10 2013-10-16 Nat Univ Tsing Hua 語音辨識照護之方法及其系統
JP5108161B1 (ja) 2012-05-07 2012-12-26 勝男 人見 独居者向けの安否確認システム
JP2013255091A (ja) 2012-06-07 2013-12-19 Kyocera Corp 音響伝達装置
JP2014003488A (ja) 2012-06-19 2014-01-09 Kyocera Corp 音響伝達装置
KR101644261B1 (ko) 2012-06-29 2016-07-2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레오 이어폰
JP6091842B2 (ja) 2012-10-29 2017-03-08 株式会社システムクラフト 居住者見守り装置、居住者見守りプログラム及び居住者の見守り方法
TWM452360U (zh) 2012-11-02 2013-05-01 Univ Southern Taiwan Sci & Tec 聽障人士用手錶
JP5941427B2 (ja) 2013-03-28 2016-06-29 ビッグローブ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装着状態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038330B1 (en) 2013-08-23 2020-05-06 FINEWELL Co., Ltd. Portable telephone
JP2015061285A (ja) 2013-09-20 2015-03-30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送受話装置および送受話方法
JP6315434B2 (ja) 2013-10-24 2018-04-25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送受話装置
US9705548B2 (en) 2013-10-24 2017-07-11 Rohm Co., Ltd. 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JP6298641B2 (ja) 2014-01-23 2018-03-20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報知装置
JP6108551B2 (ja) 2013-10-28 2017-04-05 俊道 妻木 動作補助装置
US10827268B2 (en) 2014-02-11 2020-11-03 Apple Inc. Detecting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54804B2 (en) 2014-02-11 2019-04-09 Apple Inc. Detecting the limb wear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1822A (ja) * 2000-10-02 2002-04-12 Ntt Docomo Inc アクチュエータ支持装置及び該アクチュエータ支持装置を備えた身体装着型送受話装置
JP2012178695A (ja) * 2011-02-25 2012-09-13 Yuji Hosoi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US20120253236A1 (en) * 2011-04-04 2012-10-04 Snow Buddy L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elivering external therapeutic stimulation to animals and humans
US20120300956A1 (en) * 2011-05-27 2012-11-29 Kyocera Corporation Sound output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02320A1 (en) 2017-10-19
EP3062491A1 (en) 2016-08-31
KR102079893B1 (ko) 2020-02-20
TWI571766B (zh) 2017-02-21
TW201528058A (zh) 2015-07-16
KR20160058912A (ko) 2016-05-25
KR20180132173A (ko) 2018-12-11
US9705548B2 (en) 2017-07-11
US10103766B2 (en) 2018-10-16
TW201714047A (zh) 2017-04-16
TWI648653B (zh) 2019-01-21
CN105684401B (zh) 2018-11-06
EP3062491A4 (en) 2017-06-14
EP3062491B1 (en) 2019-02-20
WO2015060230A1 (ja) 2015-04-30
CN105684401A (zh) 2016-06-15
US20160261299A1 (en)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586B1 (ko) 팔찌형 송수화 장치, 팔찌형 통지 장치
JP6298641B2 (ja) 報知装置
KR102083769B1 (ko) 수화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JP6315434B2 (ja) 送受話装置
JP2013110535A (ja) 携帯電話およびその集積回路
JP6097779B2 (ja) 送受話ユニット
JP6197017B2 (ja) 音信号出力装置
JP6305025B2 (ja) 受話方法および送受話装置
JP5848510B2 (ja) 携帯電話および音信号出力装置
JP2010193018A (ja) 携帯端末、該携帯端末の着信音量制御システム及び着信音量制御方法
JP6209195B2 (ja) 携帯電話
KR200398913Y1 (ko) 발신자 표시기능을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위한 이어폰셋트
JP2016149781A (ja) 聴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