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690B1 -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690B1
KR101100690B1 KR1020107026392A KR20107026392A KR101100690B1 KR 101100690 B1 KR101100690 B1 KR 101100690B1 KR 1020107026392 A KR1020107026392 A KR 1020107026392A KR 20107026392 A KR20107026392 A KR 20107026392A KR 101100690 B1 KR101100690 B1 KR 101100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lug
ear
ear plug
protrus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106A (ko
Inventor
켄지 사토우
요시하루 나가마쯔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가이샤 하쯔메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가이샤 하쯔메야 filed Critical 카부시키가이샤 하쯔메야
Publication of KR20110002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차음성 귀마개(earplug)를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항상 양호한 청취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공한다. 외이도에 귀마개(1)를 장착한 상태에서, 귀마개(1)의 돌기부(5)에 스피커유닛(2)의 접촉부(3)를 결합시켜 사용한다. 귀마개(1)와 스피커유닛(2)이 항상 양호한 접촉상태로 유지되므로, 스피커유닛(2)의 진동이 고효율적으로 귀마개(1)에 전달된다. 귀마개(1)에 의해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를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차단한 조용한 환경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귀마개(1)에 진동을 부여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심한 환경하에서도 극히 높은 청취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귀마개(1)의 끝단면(5a)에는 브랜드마크 등의 패턴(7)이 부착되어 있다.

Description

음향장치{ACOUSTIC DEVICE}
본 발명은 두부 또는 귀부분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타입의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성 귀마개를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음성 귀마개를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음향장치로서, 귀마개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에 고체전도스피커(진동발생원)를 꽉 눌러서 사용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6-26328호 특허문헌 2 : 일본 실용신안공개공보 평5-207579호
상술한 종래의 음향장치는 귀마개의 삽입반대측 끝단면(端面)과 고체전도스피커의 진동면끼리를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고체전도스피커의 진동을 귀마개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종래의 음향장치는 귀마개의 반대삽입측 끝단면에 대해 고체전도스피커의 진동면이 경사진 자세가 되면, 양면간의 접촉불량으로 인해 진동의 전달효율이 저하되어 본래의 음향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귀마개와 고체전도스피커와의 상대적인 위치이탈에 의해서도, 양자간의 진동 전달효율이 저하되어 본래의 음향성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음성 귀마개를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항상 양호한 청취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음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원발명의 음향장치에는 하기 (1)∼(13)의 음향장치가 포함된다.
(1) :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귀마개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귀마개의 삽입반대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진동시키는 음향진동발생원을 가지며,
상기 귀마개의 삽입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귀마개의 외이도로의 삽입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체에는 상기 돌기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환형 혹은 대략 환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음향장치.
(2) : 상기 돌기부에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은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1)의 음향장치.
(3) :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을 노출시키도록 개구한 관통홀을 갖는, (2)의 음향장치.
(4) :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과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이 서로 거의 동일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기부의 형상 및 치수와 상기 결합부의 형상 및 치수가 각각 선정되어 있는, (3)의 음향장치.
(5) :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상기 돌기부의 돌출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돌기부의 형상 및 치수와 상기 결합부의 형상 및 치수가 선정되어 있는, (3)의 음향장치.
(6) :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를 덮어씌우듯이 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과 대면하는 부분이 투시가능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2)의 음향장치.
(7) : 상기 귀마개는
원기둥형 또는 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의 귀마개부와 상기 돌기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귀마개부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1)∼(6) 중 어느 하나의 음향장치.
(8) : 상기 귀마개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 (7)의 음향장치.
(9) : 상기 귀마개는
원기둥형 또는 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의 귀마개체, 또는 외이도의 내벽에 밀착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귀마개체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에 고정된 귀마개체보다도 경질(硬質)의 부재로 이루어진, (1)∼(6) 중 어느 하나의 음향장치.
(10) : 상기 귀마개체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 (9)의 음향장치.
(11) : 상기 부재는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금속, 유리, 돌, 목재, 또는 대나무재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 (9) 또는 (10)의 음향장치.
(12) :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에 문자, 도형, 혹은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과 색채의 조합이 부가되어 있는, (1)∼(11) 중 어느 하나의 음향장치.
(13) : 상기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1 청취모드와 상기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2 청취모드 중 어느 한쪽의 청취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청취가능한, (1)∼(12) 중 어느 하나의 음향장치.
본원발명의 귀마개에는 하기 (14)∼(20)의 귀마개가 포함된다.
(14) :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귀마개로서,
삽입반대측 단부(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일 때에 노출되는 측의 단부)에, 외이도로의 삽입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귀마개.
(15) : 원기둥형 또는 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의 귀마개부와 상기 돌기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귀마개부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14)의 귀마개.
(16) :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 (15)의 귀마개.
(17) : 원기둥형 또는 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의 귀마개체, 또는 외이도의 내벽에 밀착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귀마개체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에 고정된 귀마개체보다도 경질의 부재로 이루어진, (14)의 귀마개.
(18) : 상기 귀마개체는 형상복원상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 (17)의 귀마개.
(19) : 상기 부재는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금속, 유리, 돌, 목재 또는 대나무재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인, (16) 또는 (17)의 귀마개.
(20) :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에 문자, 도형, 혹은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과 색채의 조합이 부가되어 있는, (14)∼(19) 중 어느 하나의 귀마개.
본 발명의 음향장치는 차음성 귀마개를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항상 양호한 청취성능을 발휘한다.
도 1의 (a)는 스피커유닛의 정면도, (b)는 스피커유닛의 측면도, (c)는 스피커유닛의 하면도, (d)는 스피커유닛의 상면도.
도 2는 귀마개의 사시도.
도 3의 (a)는 귀마개의 정면도, (b)는 귀마개의 측면 요부, (c)는 귀마개의 배면도.
도 4의 (a)는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정면도, (b)는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의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의 (a)는 귀마개의 정면도, (b)는 귀마개의 측면 요부, (c)는 귀마개의 배면도.
도 8은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0의 (a)는 스피커유닛의 정면도, (b)는 스피커유닛의 측면도.
도 11은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
도 12의 (a)는 귀마개의 정면도, (b)는 귀마개의 측면 요부, (c)는 귀마개의 배면도.
도 13은 귀마개와 스피커유닛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음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5의 (a)는 귀마개의 사시도, (b)는 귀마개의 사시도.
도 16의 (a)는 귀마개의 사시도, (b)는 귀마개의 사시도.
도 17은 음향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귀마개용 장식 실과 스피커유닛용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시트의 평면도.
도 19는 귀마개용 장식 실과 스피커유닛용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시트의 평면도.
도 20은 귀마개용 장식 실과 스피커유닛용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시트의 평면도.
도 21은 귀마개용 장식 실과 스피커유닛용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시트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형태예]
도 1∼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제 1 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형태예의 음향장치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귀마개(1)(이 예에서는 좌우 한쌍)와, 스피커유닛(2)을 갖는다. 스피커유닛(2)은 사용자의 두부에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체의 일부를 구성한다. 장착체는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장착시에 사용자의 후두부를 가로지르는 원호형 또는 대략 말굽형상의 헤드밴드부(31)와, 헤드밴드부(31)의 좌우양단으로부터 사용자의 귓바퀴의 밑부분을 걸쳐 타듯이 하여 아치형으로 연장되는 귀걸이부(후크부)(32)와, 양측 귀걸이부(32)로부터 사용자의 귓구멍쪽으로 연장되는 아암부(33)를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유닛(2)은 장착체의 아암부(33)를 구성하고 있다.
스피커유닛(2)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있는 귀마개(1)의 노출단부(삽입반대측 단부)(5)에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부(접촉체)(3)와, 접촉부(3)를 진동시키는 음향진동발생원(4)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유닛(2)은 음향진동발생원(4)을 수용하고 있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플라스틱제 유닛본체(2A)를 가지며, 유닛본체(2A)의 선단부에 접촉부(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본체(2A)의 기단부가 장착체의 귀걸이부(32)에 연결되어 있다. 음향진동발생원(4)에는 압전 바이모프(bimorph) 소자, 압전 유니모프 소자 등 공지의 음향진동발생소자가 사용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7-228610호 참조). 장착체에는 음향진동발생원(4)을 구동하는 드라이버 유닛이 접속된다. 드라이버 유닛은 외부음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음향신호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회로, 그 신호처리회로의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음향진동발생원(4)에 공급하는 증폭회로, 전원회로, 및 모드전환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모드전환스위치는 귀마개(1)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1 청취모드와 귀마개(1)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2 청취모드 중 어느 한쪽의 청취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드라이버 유닛의 신호처리회로는 적어도 2종류의 음향특성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가능한 이콜라이징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모드전환스위치로 제 1 또는 제 2의 청취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모드에 따른 음향특성의 전기음향신호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장착체는 그 내부가 외부로부터 이격 단절된 수밀구조로 되어 있다. 장착체의 장착시에는 귀걸이부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의 스피커유닛(2)의 접촉부(3)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귀마개(1)의 노출단부(1a)에는 귀마개(1)의 외이도로의 삽입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A(5))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1A(5))는 귀마개부(1B)의 삽입반대측 끝단면(1s)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1A(5))의 형상은 원기둥형이다.
귀마개(1)는 원기둥형 귀마개부(1B)와 돌기부(1A)를 일체로 성형하여 된다. 귀마개(1)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류의 재료로서 발포폴리우레탄이 알려져 있다. 귀마개(1)는 귀마개부(1B)를 손가락으로 집어 가늘게 찌부러뜨린 상태에서 삽입측 끝단면(1b)측으로부터 외이도 내로 삽입함으로써 외이도에 장착된다. 귀마개부(1B)가 그 자기복원성으로 인해 원래의 상태(자유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과정에서, 귀마개부(1B)의 외주면이 외이도의 내면에 전체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귀마개(1)를 장착함으로써, 장착자의 외이도 내부를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차단한 조용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2)의 접촉부(3)에는 돌기부(1A(5))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둥근고리형태의 결합부(6)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6)는 귀마개(1)의 돌기부(1A(5))의 측부(노출단부(5)의 외주부)와 결합하는 원통형의 관통홀(6a)을 가지고 있다.
돌기부(1A(5))의 끝단면(5a)은 돌기부(1A(5))에 결합부(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결합부(6)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하다.
돌기부(1A(5))와 결합부(6)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돌기부(1A(5))의 끝단면(5a)과 결합부(6)의 끝단면(외측면)(6b)이 서로 거의 동일면 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1A(5))의 형상 및 치수와 결합부(6)의 형상 및 치수가 각각 선정되어 있다.
[제 2 형태예]
도 7∼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제 2 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피커유닛(2)의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제 2 형태예의 귀마개(11)는 원기둥형의 귀마개체(11B)를 갖는다. 돌기부(11A(5))는 귀마개체(11B)의 삽입반대측 끝단면(11s)에 고정된 귀마개체(11B)보다도 경질의 부재(이하, '장식부재'라 한다)(12)의 일부(선단부, 노출부)를 이루고 있다. 장식부재(12)는 돌기부(11A(5))의 이면으로부터 동축상으로 돌출되어 있는 봉형상부(12c)를 갖는다.
장식부재(12)는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금속, 유리, 돌, 목재, 또는 대나무재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장식부재(12)의 귀마개체(11B)의 끝단면(11s)으로부터의 돌출길이는 4mm∼12mm이다.
귀마개체(11B)의 중심부에는 삽입반대측 끝단면(5a)으로부터 타측 단면(삽입측 끝단면)(11b)쪽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구멍(11B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멍(11Bc)에 장식부재(12)의 봉형상부(12c)가 밀착삽입되어 있다. 봉형상부(12c)의 삽입측 단부(12d)는 구멍(11Bc) 바닥에 접해 있다.
귀마개체(11B)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재료로서 발포폴리우레탄이 알려져 있다. 이 귀마개(11)는 귀마개체(11B)를 손가락으로 집어 가늘게 찌부러뜨린 상태에서 삽입측 끝단면(11b)측으로부터 외이도 내로 삽입함으로써 외이도에 장착된다. 귀마개체(11B)가 그 자기복원성으로 인해 원래의 상태(자유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과정에서, 귀마개체(11B)의 외주면이 외이도의 내면에 전체둘레를 따라 밀착된다. 귀마개(11)를 장착함으로써, 장착자의 외이도 내부를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차단한 조용한 환경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돌기부(11A(5))의 끝단면(5a)에는 문자, 도형, 혹은 기호,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별모양의 패턴(7)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패턴(7)은 인쇄, 실(seal) 부착, 각인, 레이저 인자 등 중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된 것이다.
돌기부(11A(5))의 끝단면(5a)은 돌기부(11A(5))에 결합부(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결합부(6)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하다.
돌기부(11A(5))와 결합부(6)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돌기부(11A(5))의 끝단면(5a)과 결합부(6)의 끝단면(외측면)(6b)이 서로 거의 동일면 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11A(5))의 형상 및 치수와 결합부(6)의 형상 및 치수가 각각 선정되어 있다.
[제 3 형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제 3 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형태예의 스피커유닛(2)은 C자형(일부에 절결부(3a)를 갖는 대략 환형)의 접촉부(접촉체)(3)를 가지고 있다. 스피커유닛(2)의 기타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제 4 형태예]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장치의 제 4 형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4 형태예의 귀마개(21)의 장식부재(12)는 그 돌기부(11A(5))의 기단부에 둥근고리형태의 플랜지부(2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22)는 귀마개체(11B)의 끝단면(11s)에 접해 있다. 플랜지부(22)의 외경치수는 귀마개체(11B)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작게 선정되어 있다. 스피커유닛(2)의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기타 형태예]
상기의 예에서는 돌기부(5)와 결합부(6)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돌기부(5)의 끝단면(5a)과 결합부(6)의 끝단면(외측면)(6b)이 서로 거의 동일면 내에 위치하도록, 돌기부(5)의 형상 및 치수와 결합부(6)의 형상 및 치수가 각각 선정되어 있는데, 돌기부(5)와 결합부(6)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돌기부의 돌출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돌기부(5)의 형상 및 치수와 결합부(6)의 형상 및 치수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돌기부(5)에 결합부(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돌기부(5)의 끝단면(5a)이 결합부(6)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되도록, 결합부(6)에 관통홀(6a)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부(5)가 결합부(6)에 의해 덮이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결합부(6)의 돌기부(5)의 끝단면(5a)과 대면하는 부분을 투시가능부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원기둥형의 귀마개부(1B) 또는 귀마개체(11B)를 구비한 귀마개(1, 11)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귀마개부(1B) 또는 귀마개체(11B)의 형상은 탄알형(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이어도 좋다.
[효과]
이 음향장치는 외이도에 귀마개(1, 11)를 장착한 상태에서 귀마개(1, 11)의 돌기부(5)에 스피커유닛(2)의 결합부(6)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청취시에 귀마개(1, 11)와 스피커유닛(2)이 항상 양호(정상적인)한 접촉(연결)상태로 유지되어 스피커유닛(2)의 결합부(6)의 진동이 고효율적으로 귀마개(1, 11)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 음향장치는 항상 양호한 청취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음향장치는 귀마개(1, 11)에 의해 사용자의 외이도 내부를 외부의 소음으로부터 차단한 조용한 환경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귀마개(1, 11)에 진동을 부여하여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음향장치는 소음이 심한 환경하에서도 매우 높은 청취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 음향장치는 외이도를 수밀하게 폐색할 수 있는 귀마개(1, 11)를 구비하며, 장착체가 수밀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장치와의 접속부를 방수구조로 해 두면, 물에 젖은 환경에서도 사용가능하다. 귀마개(1, 11)와 장착체가 서로 완전히 별개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음향장치의 사용중에 장착체가 두부로부터 벗겨진 경우에도, 그것이 원인이 되어 귀마개(1, 11)가 외이도로부터 분리되는 일은 없으므로 안전하다. 즉, 외이도에 장착되어 있는 귀마개(1, 11)는 장착체가 벗겨져도 그 본래의 기능(차음기능, 방수기능)을 계속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음향장치는 수영이나 서핑시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음향장치는 장착체의 비장착시, 즉 귀마개(1, 11)와 스피커유닛(2)이 서로 비접촉상태일 때는 귀마개(1, 11)에는 전혀 진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스피커유닛(2)의 접촉부(3)가 진동할 뿐이다. 사용중에 장착체가 벗겨진 상태에서도, 주위 사람에게 불쾌감을 줄 정도의 대음량의 사운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음향장치는 여객기나 여객열차 등 공공의 교통기관 내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음향장치는 보청기에 이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향장치의 장착체에 마이크로폰, 해당 마이크로폰의 출력신호에 따라 음향진동발생원을 구동하는 구동회로(증폭회로, 필터회로 등을 포함한다), 전지, 볼륨 컨트롤러(출력 음량 조절기) 등을 부가함으로써, 소형, 경량이며, 장착감이 극히 양호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심한 환경하에서도 극히 높은 청취성능을 발휘하는 보청기를 실현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광고시스템에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광고시스템의 설명에서도 도 1∼도 13을 사용한다.
[배경기술]
그 표면에 광고주의 심벌마크나 로고타입을 포함하는 장식을 함으로써 광고매체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귀마개는 널리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미국 초록 2003/75185
[특허문헌 2] 미국 초록 6,364,052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2003-534177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광고매체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 종래의 귀마개 중, 그 외주면에 심벌마크나 로고타입을 부착한 것은 귀마개의 착용시에는 그 외주면이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광고매체로서 기능하지 않는다. 또한, 귀마개의 끝단면에 심벌마크나 로고타입을 부착한 것일지라도, 그 전체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귀마개의 경우, 착용시에 그 끝단면이 변형되며, 거기에 부착되어 있는 심벌마크나 로고타입이 일그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역시 착용시에는 광고매체로서의 기능이 손상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귀마개의 끝단면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귀마개의 착용시에도 유효하게 광고를 할 수 있는 신규 광고시스템 및 신규 광고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귀마개와, 상기 귀마개의 착용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쪽의 단부(노출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진동시키는 음향진동발생원을 갖는 음향장치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광고시스템으로서, 상기 접촉체에는 상기 노출단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환형 혹은 대략 환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노출단부의 끝단면은 상기 노출단부에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하므로, 해당 끝단면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광고시스템(광고방법)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귀마개의 착용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쪽의 끝단면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광고시스템으로서, 상기 귀마개는 원기둥형 또는 삽입측 단부가 가늘게 된 대략 원기둥형의 유연하게 변형되는 귀마개부와, 해당 귀마개부의 삽입반대측 단부에 형성된 원기둥형의 정형부(定形部)를 가지며, 해당 정형부의 끝단면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한다. 이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부의 내부에, 상기 귀마개부의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자기장에 의해 진동시킬 수 있는 진동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 광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부에, 상기 귀마개부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에너지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체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의 상기 끝단면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종류의 장식 실(seal)(교체착용 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복수종류의 실 중에서 임의의 실을 선택하여 상기 끝단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체를 장식하기 위한 복수종류의 장식 실(교체착용 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복수종류의 실 중에서 임의의 실을 선택하여 상기 접촉체의 표면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 때, 상기 귀마개용 장식 실과 상기 접촉체용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택 실(tack seal)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식 실에는 광고를 하는 기업이나 가게 등 광고주의 심벌마크, 로고타입, 상표 등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 따르면, 귀마개의 끝단면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귀마개의 착용시에서도 유효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광고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형태예]
제 1 형태예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서는 도 1∼도 6에 나타낸 음향장치를 사용한다.
이 광고시스템(광고방법)은 돌기부(1A(5))의 끝단면(5a)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것이다. 돌기부(1A(5))의 끝단면(5a)에는 광고를 하는 기업이나 가게 등 광고주의 심벌마크, 로고타입, 상표 등이 부착된다. 이 예에서는 별모양의 패턴(심벌마크)(7)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패턴(7)은 인쇄, 실 점착, 각인, 레이저 인자 등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된 것이다.
이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 따르면, 귀마개(1)의 노출단부(5)의 끝단면(5a)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므로, 귀마개(1)의 착용시에도 유효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유닛(2)의 결합부(6)를 귀마개(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귀마개(1)의 노출단부(5)의 끝단면(5a)은 눈으로 확인가능하므로, 장착체의 착용시에도 유효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제 2 형태예]
제 2 형태예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서는 도 7∼도 9에 나타낸 음향장치를 사용한다. 스피커유닛(2)의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이 광고시스템(광고방법)은 돌기부(11A(5))의 끝단면(5a)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는 것이다. 돌기부(11A(5))의 끝단면(5a)에는 광고를 하는 기업이나 가게 등 광고주의 심벌마크, 로고타입, 상표 등이 부착된다. 이 예에서는 별모양의 패턴(심벌마크)(7)이 부착되어 있다. 이 패턴(7)은 인쇄, 실 점착, 각인, 레이저 인자 등 어느 한 방법을 사용하여 부착된 것이다.
이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 따르면, 귀마개(11)의 노출단부(5)의 끝단면(5a)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여 광고를 수행하므로, 귀마개(11)의 착용시에도 유효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유닛(2)의 결합부(6)를 귀마개(1)에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귀마개(11)의 노출단부(5)의 끝단면(5a)은 눈으로 확인가능하므로, 장착체의 착용시에도 유효하게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귀마개(11)의 노출단부(5)가 플라스틱이나 경질고무(엘라스토머) 등 귀마개체(11B)보다도 경질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귀마개(11)의 착용시에 귀마개체(11B)는 변형되는데, 귀마개(11)의 노출단부(5)의 끝단면(5a), 즉 광고표시영역은 변형되지 않는다(변형되기 어렵다). 따라서, 귀마개(11)는 착용시에도 그 광고매체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제 3 형태예]
제 3 형태예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음향장치를 사용한다.
제 3 형태예의 스피커유닛(2)은 C자형(일부에 절결부(3a)를 갖는 대략 환형)의 접촉부(접촉체)(3)를 가지고 있다. 스피커유닛(2)의 기타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제 4 형태예]
제 4 형태예의 광고시스템(광고방법)에서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음향장치를 사용한다.
제 4 형태예의 귀마개(21)의 장식부재(12)는 그 돌기부(11A(5))의 기단부에 둥근고리형태의 플랜지부(2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22)는 귀마개체(11B)의 끝단면(11s)에 접해 있다. 플랜지부(22)의 외경치수는 귀마개체(11B)의 외경치수보다도 약간 작게 선정되어 있다. 스피커유닛(2)의 구성은 제 1 형태예와 동일하다.
[기타 형태예]
상기의 예에서는 돌기부(5)의 직경이 귀마개체(11B)(귀마개부(1B)) 직경의 약 절반 크기로 되어 있는데, 도 15(a),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5)의 직경이 귀마개체(11B)(귀마개부(1B))의 직경보다도 약간 작아질 정도로 양자의 치수를 선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의 직경치수를 일치시킬 수도 있으며,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5)의 직경이 귀마개체(11B)(귀마개부(1B))의 직경보다도 약간 커질 정도로 양자의 치수를 선정할 수도 있다. 도 17은 돌기부(5)의 직경을 귀마개체(11B)(귀마개부(1B))의 직경과 일치시킨 경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귀마개(1, 11)의 끝단면(5a)만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귀마개(1, 11)의 끝단면(5a)과 함께, 결합부(6)의 끝단면(외측면)(6b)을 광고표시영역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귀마개(1, 11)의 끝단면(5a) 및 결합부(6)의 끝단면(외측면)(6b)은 광고표시영역으로서 뿐만 아니라, 장식을 위한 영역으로서도 이용가능하다. 장식 방법으로서는 크리스탈 유리나 보석의 알을 아름답게 배열하여 끝단면(5a, 6b)에 고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귀마개(1, 11)의 끝단면(5a)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종류의 실(장식 실, 교체착용 실, 이면에 자체점착층을 갖는 라벨), 더 나아가서는 스피커유닛(2)의 표면을 장식하기 위한 복수종료의 실을 어느 한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이 시스템에 따르면, 개개의 사용자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디자인의 실을 귀마개(1, 11)나 스피커유닛(2)에 부착하여 장식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귀마개(1, 11)용 장식 실과 스피커유닛(2)용의 장식 실을 세트로 하는 시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도 있다. 도 18, 도 19, 도 20 및 도 21에는 시트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시트의 상측 절반인 4개의 실은 귀마개(1, 11)의 끝단면(5a)에 부착되는 장식 실이며, 하측 절반인 4개의 실은 스피커유닛(2)(도 1)의 결합부(6)에 부착되는 장식 실이다.
또한, 도 18 중에 도시되어 있는 심벌마크 및 로고타입은 나이키사(나이키 인코포레이티드)의 상표이다. 도 19 중에 도시되어 있는 심벌마크나 로고타입은 스피드사(스피드 홀딩스 BV)의 상표이다. 도 20 중에 도시되어 있는 심벌마크 및 로고타입은 미즈노가부시기가이샤의 등록상표이다. 도 21 중에 도시되어 있는 심벌마크 및 로고타입은 아디다스사(아디다스 아게)의 등록상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청기를 이용한 광고시스템(광고방법)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귀마개 1A : 돌기부
1B : 귀마개부 1a : 삽입반대측 단부
1s : 삽입반대측 끝단면 2 : 스피커유닛
2A : 유닛본체 3 : 접촉부(접촉체)
4 : 음향진동발생원 5 : 돌기부(노출단부)
5a : 끝단면(광고표시영역) 6 : 결합부
6a : 관통홀 6b : 끝단면(외측면)
7 : 패턴 11 : 귀마개
11A : 돌기부 11B : 귀마개체
12 : 장식부재(정형부) 21 : 귀마개

Claims (30)

  1.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귀마개와,
    상기 귀마개의 착용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측의 단부(삽입반대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진동시키는 음향진동발생원을 가지며,
    상기 접촉체에는 상기 삽입반대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반대측 단부의 끝단면(端面)은 상기 삽입반대측 단부에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귀마개와,
    상기 귀마개의 착용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측의 단부(삽입반대측 단부)에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접촉체와,
    상기 접촉체를 진동시키는 음향진동발생원을 가지며,
    상기 귀마개는 유연하게 변형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귀마개체와, 상기 귀마개체의 삽입반대측 단부에 마련되는 정형부(定形部)를 가지며,
    상기 접촉체에는 상기 정형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환형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형부의 끝단면(端面)은 상기 정형부에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키는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반대측 단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원기둥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는, 원기둥형의 귀마개부와, 상기 돌기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귀마개부의 삽입반대측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에는 상기 결합부가 결합되는 원기둥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에 고정된 귀마개체보다도 경질인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금속, 유리, 돌, 목재, 및 대나무재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봉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귀마개체의 중심부에 상기 봉형상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끝단면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귀마개체의 끝단면으로부터의 돌출길이는 4mm ~ 1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2. 제 2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체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발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3.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을 노출시키도록 개구한 관통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과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이 서로 동일면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돌기부의 형상 및 치수와 상기 결합부의 형상 및 치수가 각각 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와 상기 결합부가 서로 완전히 결합한 상태일 때, 상기 돌기부의 돌출단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돌기부의 형상 및 치수와 상기 결합부의 형상 및 치수가 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6.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돌기부를 덮어씌우듯이 하여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과 대면하는 부분이 투시가능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7.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끝단면에 문자, 도형, 혹은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이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8.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진동발생원을 수용하고 있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의 유닛본체를 가지며,
    상기 유닛본체의 선단부에 상기 접촉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 또는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1 청취모드와 상기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청취하는 제 2 청취모드 중 어느 한쪽의 청취모드로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청취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장치.
  20.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귀마개에 있어서,
    유연하게 변형되는 발포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귀마개체와 상기 귀마개의 착용시에 귓구멍으로부터 노출되는 측의 단부(삽입반대측 단부)에 마련되는 정형부를 가지며,
    상기 귀마개체를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하고 상기 정형부에 환형의 결합부를 가지는 접촉체의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접촉체를 진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음성을 듣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정형부의 끝단부는 상기 정형부에 상기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도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에는 상기 접촉체의 결합부가 결합하는 원기둥형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삽입반대측 끝단면에 고정된 귀마개체보다도 경질인 플라스틱, 엘라스토머, 금속, 유리, 돌, 목재, 및 대나무재 중 어느 하나를 재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3. 삭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돌기부의 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봉형상부를 가지며,
    상기 귀마개체의 중심부에 상기 봉형상부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형부는 상기 돌기부의 기단부에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귀마개체의 끝단면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기 귀마개체의 끝단면으로부터의 돌출길이는 4mm ~ 12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7.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귀마개체는 형상복원성과 유연성을 겸비한 발포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 발포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마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07026392A 2008-04-30 2009-04-28 음향장치 KR1011006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17986 2008-04-30
JPJP-P-2008-117986 2008-04-30
PCT/JP2009/058322 WO2009133873A1 (ja) 2008-04-30 2009-04-28 音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106A KR20110002106A (ko) 2011-01-06
KR101100690B1 true KR101100690B1 (ko) 2012-01-03

Family

ID=4125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392A KR101100690B1 (ko) 2008-04-30 2009-04-28 음향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2) JP4513040B2 (ko)
KR (1) KR101100690B1 (ko)
WO (1) WO2009133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419A1 (ja) * 2010-07-16 2012-01-19 Sato Kenji 音響装置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CN103053147B (zh) 2010-12-27 2017-03-22 罗姆股份有限公司 呼入/呼出通话单元以及呼入通话单元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JP6242058B2 (ja) * 2013-02-18 2017-12-06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ステレオイヤホン
CN104247453B (zh) 2012-01-20 2018-06-05 罗姆股份有限公司 移动电话
KR101644261B1 (ko) 2012-06-29 2016-07-29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스테레오 이어폰
KR101877652B1 (ko) 2013-08-23 2018-07-12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전화
US9705548B2 (en) 2013-10-24 2017-07-11 Rohm Co., Ltd. Wristband-type handset and wristband-type alerting device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EP3236669A4 (en) 2014-12-18 2018-10-03 Rohm Co., Ltd. Cartilage conduction hearing device using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and electromagnetic-type vibration unit
EP3323567B1 (en) 2015-07-15 2020-02-12 FINEWELL Co., Ltd. Robot and robot system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US10778824B2 (en) 2016-01-19 2020-09-15 Finewell Co., Ltd. Pen-type handset
JP6835093B2 (ja) * 2016-09-15 2021-02-24 ヤマハ株式会社 耳栓およびイヤーセット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5865A (ja) * 1990-02-14 1991-10-21 Hama Puruufu:Kk 建造物の表面処理方法
JP2000253478A (ja) 1999-02-25 2000-09-14 Koss Corp 立体音響のイアフオーン装置
JP3235865B2 (ja) * 1991-06-03 2001-1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イヤースピーカ
KR100388806B1 (ko) 2000-03-30 2003-06-25 주식회사 엠에스비케이 초소형 일체 이어마이크폰
JP2007228508A (ja) 2006-02-27 2007-09-06 Nec Tokin Corp 受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5865A (ja) * 1990-02-14 1991-10-21 Hama Puruufu:Kk 建造物の表面処理方法
JP3235865B2 (ja) * 1991-06-03 2001-12-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イヤースピーカ
JP2000253478A (ja) 1999-02-25 2000-09-14 Koss Corp 立体音響のイアフオーン装置
KR100388806B1 (ko) 2000-03-30 2003-06-25 주식회사 엠에스비케이 초소형 일체 이어마이크폰
JP2007228508A (ja) 2006-02-27 2007-09-06 Nec Tokin Corp 受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33873A1 (ja) 2011-09-01
JP4513040B2 (ja) 2010-07-28
KR20110002106A (ko) 2011-01-06
WO2009133873A1 (ja) 2009-11-05
JP2010136435A (ja)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690B1 (ko) 음향장치
US10972823B2 (en) In-ear headphones with an ergonomic cushion and an ergonomic cushion thereof
JP4088841B2 (ja) インナーイヤホン
TWI530159B (zh) 具有可替換裝飾帶的耳機
JP5473640B2 (ja) スピーカー装置
US11140469B1 (en) Open-ear headphone
JP4772930B1 (ja) 骨伝導イヤホン
JP2004208220A (ja) イヤフォン、音声伝達装置
USD618670S1 (en) Audio earphone
JP2005229324A (ja) 骨伝導スピーカ
US11095973B1 (en) Nozzle of an in-ear audio device including a flexible portion and a rigid portion
KR20080073155A (ko) 이어폰
WO2009107578A1 (ja) 音響装置
JP5966333B2 (ja) 頭部装着型補聴器
US11252493B2 (en) Hearing device and earphone
US20220295168A1 (en) Sound output device
JP4281024B1 (ja) 広告システム、広告方法
JP2005184579A (ja) 耳装着補助具
JP3230859U (ja) イヤホン
USD494956S1 (en) Earphone
JP2013115799A (ja) 耳掛け型補聴器
JP6406402B1 (ja) イヤホン
CN111988696A (zh) 耳机
WO2014174849A1 (ja) 音響機器
CN1937851A (zh) 一种具有透气耳垫的头戴式耳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