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139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139B1
KR101688139B1 KR1020100045192A KR20100045192A KR101688139B1 KR 101688139 B1 KR101688139 B1 KR 101688139B1 KR 1020100045192 A KR1020100045192 A KR 1020100045192A KR 20100045192 A KR20100045192 A KR 20100045192A KR 101688139 B1 KR101688139 B1 KR 101688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antenna
mobile terminal
audio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5700A (ko
Inventor
김경종
양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5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139B1/ko
Priority to US12/948,488 priority patent/US8798674B2/en
Priority to CN201010621695.7A priority patent/CN102244697B/zh
Priority to EP11000059.3A priority patent/EP2388855B1/en
Publication of KR20110125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5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10Telescop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안테나 장치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출력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잭; 및 상기 오디오잭에 탈착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일정 길이의 로드 형태로 형성된 안테나 바디; 상기 오디오잭에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안테나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급전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터치 팁(tip)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외장 안테나 장치를 갖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한꺼번에 탑재됨으로써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를 구현하기도 한다.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한 예로서, 보다 심플하고도 슬림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터치에 의한 입력방식이 채용되기도 한다. 또한, 손가락에 의한 터치입력의 단점을 극복하도록 '스타일러스'와 같은 보조 도구가 마련되기도 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제공되는 무선 서비스도 늘어가고 있다. 예를 들어, 셀룰라 이동 통신, 디지털 방송, 블루투스를 비롯한 근거리 통신, 초고속 데이터 통신 등이 그것이다. 이중 디지털 방송의 경우, 특히, 지상파를 통하여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는 장파를 사용하는 관계로, 공진을 위하여 충분한 물리적 길이를 확보해야 한다.
스타일러스 또는 지상파방송 수신용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의 경량화, 슬림화 경향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내부에 장착될 적절한 공간을 마련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동 단말기에 따로이 부속하는 형태로 판매 및 취급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들 스타일러스와 지상파수신 안테나를 이동 단말기에 각각 부속시키거나 장착하는 것은 사용성 면에서 사용자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원과 공간의 활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나의 기구에 스타일러스와 지상파방송 수신용 안테나의 기능을 모두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러한 스타일러스 겸용 지상파 수신안테나의 접속을 위한 수단을 이동 단말기가 기존에 갖는 커넥터에도 공용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며, 오디오 출력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잭; 및 상기 오디오잭에 탈착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일정 길이의 로드 형태로 형성된 안테나 바디; 상기 오디오잭에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안테나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급전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터치 팁(tip)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커넥터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의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잭은 마이크 단자, 그라운드 단자 및 좌우 시그널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급전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은, 제1설정전압과 상기 마이크단자의 전압을 비교한 제1비교값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 및 상기 제1설정전압보다 높은 제2설정전압과 상기 마이크단자의 전압을 비교한 제2비교값을 출력하는 제2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비교값과 제2비교값의 조합을 기설정된 조합리스트로부터 대응시켜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커넥터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의 접속 여부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설정전압은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낮도록 하여 상기 제1비교기의 (+)입력단자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2설정전압은 상기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높도록 하여 상기 제2설정전압은 상기 제2비교기의 (+)입력단자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의 급전단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그라운드와 분리될 수 있도록 션트 인덕터(shunt inductor)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오디오잭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전성의 제1커넥터바디; 상기 제1커넥터바디의 첨단부에 상기 제1커넥터바디와 도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급전단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도전성의 제2커넥터바디; 및 상기 제2커넥터바디의 첨단부에 상기 제2커넥터바디와 절연되게 장착되며, 그 첨단부에 상기 터치 팁을 고정할 수 있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도전성의 제3커넥터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바디의 일 외주면에 상기 마이크 단자에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절연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바디와 제3커넥터바디의 사이에는 제2절연체가 배치되어 절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커넥터바디는 상기 좌우시그널 단자들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테나 바디에 다단 형태(telescopic)의 서브로드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며, 비사용시 상기 커넥터부 및 터치 팁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는 캡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캡은 상기 안테나 바디를 직선 형태로 연장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적어도 상기 힌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안테나 바디로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를 오디오잭을 이용하여 급전시키는 것이므로 안테나 장치의 급전을 위한 별도의 포트 또는 커넥터를 둘 필요가 없게 되어 심플한 외관구조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얻을 수 있다.
안테나 장치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로 겸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활용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모드와 관련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를 활용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오디오잭에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 또는 일반 오디오기기의 커넥터의 삽입 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보인 개념적 회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어, 지상파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형태적 특징은 도 2 이하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본체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의 기구적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본체(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 본체(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영상입력부(121), 제1사용자 입력부(131), 음향입력부(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터치스크린'이라 불릴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음향출력모듈(152)는 주로 통화음을 출력하는 리시버 또는 각종 시스템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리시버 또는 라우드 스피커는 다이나믹 스피커 형태로 구성되거나, 골전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단말기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제1사용자입력부(131) 및 측면에 배치된 제2사용자입력부(132)를 개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31,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사용자 입력부(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입력부(13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사용자 입력부(132)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향입력부(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121)는 사용자 또는 임의의 피사체에 대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의 형태로 구현된다. 나아가, 영상입력부(121)는 대상물에 대한 식별 또는 감지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영상입력부(121)는 단말기 본체(101)의 전면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추가적으로 단말기 본체(101)의 후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본체(101)의 측면에는 입출력포트(170) 및 오디오잭(125) 등이 배치된다.
입출력포트(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입출력포트(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포트(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입출력포트(170)는 제조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잭(125)은 입출력포트(170)와 달리 주로 오디오 부속기기(예: 헤드셋 또는 이어셋이나 소위 핸즈프리 장치 등)가 접속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말기 본체(101)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잭(125)은 규격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을 수 있으나, 여기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3.5mm의 직경을 갖는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소켓 형태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다른 직경을 갖는 오디오잭이 장착된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오디오잭(125)은 도 8과 같이, 마이크 단자(125a), 그라운드 단자(125b) 및 좌/우 시그널 단자들(125c,125d)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본 발명과 관련되어 오디오잭(125)에는 스타일러스 겸용 안테나 장치(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부속되는 액세서리와 같이 취급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104)에 매달 수 있게 끈(204)에 의하여 연결된 캡(203)을 포함할 수 있다. 캡(203)의 체결을 위하여 안테나 장치(200)에는 나사산(thread; 211)이 형성될 수 있다. 캡(203)은 안테나 장치(200)의 비사용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220)를 감쌀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안테나 바디(210)를 직선 형태로 연장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200)는 안테나 바디(210), 커넥터부(220) 및 커넥터부(220)의 단부에 장착되는 팁(250)을 포함하고 있다. 안테나 바디(210)는 도전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스타일러스로 사용되기 위한 손잡이 역할을 한다. 안테나 바디(210)에는 지상파 방송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적절한 길이를 갖도록 다단 형태(telescopic)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 로드(213)가 구비된다. 서브 로드(213)의 끝단에는 서브 로드(213)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212)가 구비된다.
커넥터부(220)는 안테나 바디(210)의 일 단부에 안테나 바디(210)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디오잭(125)에 삽입될 수 있도록 오디오잭(125)의 규격에 맞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부(220)는 안테나 바디(210) 및 서브 로드(213)를 통하여 수신된 방송신호가 급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급전단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되어, 커넥터부(220)의 급전단자는 오디오잭(125)의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부(220)의 단부에 장착되는 터치 팁(250)은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구비되며, 터치스크린(151)을 조작할 수 있게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터치 팁(250)은 안테나 장치(200)가 오디오잭(125)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안테나 장치(200)를 쥐고 스타일러스처럼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오디오잭(125)이 일반적인 오디오 부속기기(헤드셋 또는 핸즈프리 장치) 및 안테나 장치(200)가 공용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동 단말기(100)는 다양한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그러한 사용상태를 각각 보인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200)를 사용하여 터치스크린(151)을 조작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로 활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터치스크린(151)이 정압식으로 구현된 경우에 매우 활용성이 높으며, 세밀한 검색 및 입력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스타일러스로 활용되는 경우 스타일러스를 휴대 장치인 이동 단말기(100)에 부속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연결끈(204)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항상 연결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언제 어디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안테나 장치(200)를 캡(203)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또는 플러그라 불릴 수 있다)(220)를 오디오잭(125)에 삽입하고 안테나 장치(200)를 인출하면 지상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는 지상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대역,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약 170~210MHz의 대역을 수신할 수 있는 적절한 물리적 길이를 갖는다.
터치스크린(151)은 안테나 장치(200)의 사용 중 방송 컨텐츠와 함께 채널 또는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안테나 장치(200)가 오디오잭(125)에 삽입되는 경우, 방송에 포함된 사운드는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된 음향출력모듈(152)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 그러한 출력은 기설정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구현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 의하면, 오디오잭(125)에는 기존의 헤드셋 또는 이어셋 장치(300)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셋 또는 이어셋 장치는 그 자체로 지상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겸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셋 또는 이어셋 장치(300)의 플러그(320)가 오디오잭(125)에 삽입되면, 단말기 본체(101)에 장착된 음향출력모듈(152)은 자동적으로 사운드의 출력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200)의 여러 사용 상태를 보인 작동 상태도들이다.
도 6a와 같이, 캡(203)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안테나 장치(200)는 이동 단말기(100)에 부속하는 액세서리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캡(203)은 안테나 장치(200)를 직선 형태로 연장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로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6b와 같이, 캡(203)을 안테나 장치(200)로부터 분리하면,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 및 터치 팁(250)이 노출된다.
도 6c와 같이, 만약, 안테나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212)를 이용하여 서브로드(213)를 안테나바디(210)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커넥터부(220)는 안테나바디(210)에 대하여 일정 깊이로 수용될 수 있으며, 커넥터부(220)를 약간 빼어 내면, 도 6d와 같이, 힌지(216)가 노출된다.
도 6e 및 도 4와 같이, 안테나바디(210)는 오디오잭(125)에 삽입되어 있는 커넥터부(220)와 힌지(21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테나바디(210)는 단말기본체(101)에 대하여 여러 방향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를 상세한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커넥터부(220)는 전체적으로 오디오잭(125)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넥터부(220)는 안테나 바디(210)에 힌지(216)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전성의 제1커넥터바디(221)와, 제1커넥터바디(221)의 첨단부에 제1커넥터바디(221)와 도통되도록 장착되는 제2커넥터바디(222) 및, 제2커넥터바디(222)의 첨단부에 제2커넥터바디(222)와 절연되게 장착되는 제3커넥터바디(223)를 포함하고 있다.
제1커넥터바디(221)에 끼워지는 제2커넥터바디(222)의 부분의 일 외주면에는 제1절연체(225)가 장착된다. 제1절연체(225)는 오디오잭(125)의 마이크단자(125a)가 접촉할 수 있는 제1구간(R1)을 제공한다. 제2커넥터바디(222)는 이와 같은 제1절연체(225)의 장착이 용이하도록 제1커넥터바디(221)와 별개로 제작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제2커넥터바디(222)는 제1커넥터바디(221)와 일체 형태로 형성시킨 후 제1절연체(225)를 장착하는 예도 가능하다.
제2커넥터바디(222)의 다른 외주면은 오디오잭(125)의 그라운드단자가 접촉할 수 있는 제2구간(R2)을 제공한다. 제2커넥터바디(222)는 제1커넥터바디(221)와 도통되어 있는 상태로서, 안테나 바디(210)를 통하여 수신된 전기적 신호는 오디오잭(125)의 그라운드단자(125b)로 급전된다.
제2커넥터바디(222)와 제3커넥터바디(223)의 사이에는 제2절연체(226)가 구비된다. 즉, 제2커넥터바디(223)의 첨단부에 제2절연체(226)를 장착한 상태에서 제3커넥터바디(223)를 삽입시키는 것이므로, 제3커넥터바디(223)는 제2커넥터바디(222)에 대하여 대하여 절연된 상태가 된다. 제3커넥터바디(223)의 첨단부에는 터치 팁(250)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홀(224)이 형성되어 있다. 제3커넥터바디(223)는 오디오잭(125)의 좌/우시그널 단자가 접촉할 수 있는 구간(R3,R4)을 포함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가 오디오잭(125)에 삽입되어 있더라도 제3커넥터바디(223)가 제2커넥터바디(222)로부터 플로팅되어 있으므로 오디오잭(125)의 좌/우시그널 단자에는 어떠한 신호를 제공하지 않는다(Not Connected).
도 8은 오디오잭에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 또는 일반 오디오기기의 커넥터의 삽입여부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모듈을 보인 개념적 회로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디오잭(125)은 마이크 단자(125a), 그라운드 단자(125b) 및 좌/우 시그널 단자들(125c,125d)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안테나 장치(200)의 사용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의 급전단자가 접속하는 그라운드 단자(125b)는 단말기 본체(101)의 그라운드와 분리될 수 있도록 션트 인덕터(shunt inductor; 127)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01)에는 오디오 출력기기(300)의 커넥터 또는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의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모듈(400)이 구비된다. 도 7에 의하면, 인식모듈(400)은 두 개의 비교기들 즉, 제1비교기(410)와 제2비교기(420)를 포함하고 있다.
제1비교기(410)는 제1설정전압과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을 비교한 제1비교값을 출력한다. 도 8에 의하면, 제1설정전압은 0.22V로서 제1비교기(4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은 제1비교기(4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1비교기(410)에서 출력되는 제1비교값은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이 제1설정전압인 0.22V보다 작은 경우 High 전압을 출력하고, 반대로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이 제1설정전압인 0.22V보다 큰 경우 Low 전압을 출력한다.
제2비교기(420)는 제2설정전압과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을 비교한 제2비교값을 출력한다. 도 8에 의하면, 제2설정전압은 1.54V로서 제2비교기(42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으며,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은 제2비교기(420)의 (-)입력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2비교기(420)에서 출력되는 제2비교값 역시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이 제2설정전압인 1.54V보다 작은 경우 High 전압을 출력하고, 반대로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이 제2설정전압인 1.54V보다 큰 경우 Low 전압을 출력한다.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이 +1.1V ~ +1.3V라면, 제1설정전압은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낮고, 제2설정전압은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높은 관계가 성립한다.
MSM(401)의 HP_EAR_KEY는 마이크(122) 및 오디오잭(125)의 마이크단자(125a)의 전압을 체크한 값이고, HP_EAR_DET는 종류를 가리지 않고 커넥터 또는 플러그가 오디오잭(125)에 삽입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High 또는 Low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토대로, 오디오잭(125)에 삽입되는 대상에 따라, 인식모듈(400)은 표 1과 같은 시나리오를 예정할 수 있다. 여기서, 3.5PI_INT는 제1비교값이고, 3.5PI_ANT는 제2비교값을 의미한다.
시나리오 인식전압(v) 제1비교값 및 제2비교값 조합
HP_EAR_DET HP_EAR_KEY
Null L - 무시
3극 이어폰 플러그 H 0 V ~ +0.1V 3.5PI_INT:H, 3.5PI_ANT:H
4극 이어폰 플러그 H +1.1V ~ +1.3V 3.5PI_INT:L, 3.5PI_ANT:H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 H +1.6V ~ +1.7V 3.5PI_INT:L, 3.5PI_ANT:L
인식모듈(400)은 제1비교값과 제2비교값의 조합을 기설정된 조합리스트로부터 대응시켜 오디오 출력기기(300)의 플러그 또는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의 접속 여부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우선, 어떠한 종류의 플러그가 오디오잭(125)에 꽂혀 있지 않은 경우, HP_EAR_DET는 Low(L) 신호로서 비실행 상태로 유지된다.
만약 3극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마이크단자(125a)에 접속되는 플러그의 해당 부분이 그라운드단자(125b)에 연결되므로 HP_EAR_KEY는 0 V ~ +0.1V의 낮은 전압이 검출된다. 이 때의 제1비교값 및 제2비교값은 모두 High(H)가 된다.
만약, 4극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경우, 플러그에 마이크단자(125a)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이때 HP_EAR_KEY는 +1.1V ~ +1.3V로 검출된다. 이 때의 제1비교값은 L이 되고, 제2비교값은 H가 된다.
그리고,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가 삽입되는 경우, 커넥터부(220)에 마이크단자(125a)에 접속할 수 있는 단자가 없으므로 마이크에 주어진 +1.8V보다 약간 낮은 +1.6V ~ +1.7V가 HP_EAR_KEY로 검출된다. 이 때의 제1비교값 및 제2비교값은 모두 L이 된다.
따라서, 제1비교값(3.5PI_INT)과 제2비교값(3.5PI_ANT)의 조합을 통하여 플러그가 삽입되었는지, 3극 이어폰 플러그, 4극 이어폰 플러그 및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220)가 꽂혔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51)에는 3극 이어폰 플러그, 4극 이어폰 플러그 및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220)가 꽂혔을 때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안테나 장치(200)의 커넥터부(220)가 꽂혀 있을 때 터치스크린(151)에 수신된 방송 영상을 출력하거나 출력 여부를 묻는 안내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4)

  1. 터치스크린을 갖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며, 마이크단자를 포함하고, 오디오 출력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잭; 및
    상기 오디오잭에 탈착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장치는,
    일정 길이의 로드 형태로 형성된 안테나 바디;
    상기 오디오잭에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안테나 바디의 일단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의 급전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부; 및
    상기 커넥터의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된 터치 팁(tip)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본체는,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커넥터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의 접속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식모듈은,
    제1설정전압과 상기 마이크단자의 전압을 비교한 제1비교값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 및
    상기 제1설정전압보다 높은 제2설정전압과 상기 마이크단자의 전압을 비교한 제2비교값을 출력하는 제2비교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비교값과 제2비교값의 조합을 기설정된 조합리스트로부터 대응시켜 상기 오디오 출력기기의 커넥터 또는 상기 안테나 장치의 커넥터부의 접속 여부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잭은 그라운드 단자 및 좌우 시그널 단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의 급전단자는 상기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 단말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전압은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낮도록 하여 상기 제1비교기의 (+)입력단자로 연결하도록 하고, 상기 제2설정전압은 상기 마이크가 정상적으로 사용중인 경우의 전압보다 높도록 하여 상기 제2설정전압은 상기 제2비교기의 (+)입력단자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의 급전단자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그라운드와 분리될 수 있도록 션트 인덕터(shunt inductor)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오디오잭의 규격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힌지에 의하여 연결되는 도전성의 제1커넥터바디;
    상기 제1커넥터바디의 첨단부에 상기 제1커넥터바디와 도통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급전단자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도전성의 제2커넥터바디; 및
    상기 제2커넥터바디의 첨단부에 상기 제2커넥터바디와 절연되게 장착되며, 그 첨단부에 상기 터치 팁을 고정할 수 있게 장착홀이 형성되는 형성되는 도전성의 제3커넥터바디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바디의 일 외주면에 상기 마이크 단자에 접촉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1절연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바디와 제3커넥터바디의 사이에는 제2절연체가 배치되어 절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넥터바디는 상기 좌우 시그널 단자들과 모두 접촉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바디에 다단 형태(telescopic)의 서브로드들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장치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체결될 수 있게 형성되며, 비사용시 상기 커넥터부 및 터치 팁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는 캡을 더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안테나 바디를 직선 형태로 연장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안테나 바디에 적어도 상기 힌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큼 상기 안테나 바디로 수용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00045192A 2010-05-14 2010-05-14 이동 단말기 KR101688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92A KR101688139B1 (ko) 2010-05-14 2010-05-14 이동 단말기
US12/948,488 US8798674B2 (en) 2010-05-14 2010-11-17 Mobile terminal
CN201010621695.7A CN102244697B (zh) 2010-05-14 2010-12-28 移动终端
EP11000059.3A EP2388855B1 (en) 2010-05-14 2011-01-05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192A KR101688139B1 (ko) 2010-05-14 2010-05-14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5700A KR20110125700A (ko) 2011-11-22
KR101688139B1 true KR101688139B1 (ko) 2016-12-20

Family

ID=4356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192A KR101688139B1 (ko) 2010-05-14 2010-05-14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98674B2 (ko)
EP (1) EP2388855B1 (ko)
KR (1) KR101688139B1 (ko)
CN (1) CN1022446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3306B2 (en) 2010-12-27 2016-04-12 Rohm Co., Ltd. Mobile telephone cartilage conduction unit for making contact with the ear cartilage
KR101600070B1 (ko) 2010-12-27 2016-03-08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송수화 유닛 및 수화 유닛
JP5783352B2 (ja) 2011-02-25 2015-09-24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会話システム、会話システム用指輪、携帯電話用指輪、指輪型携帯電話、及び、音声聴取方法
TW201237689A (en) * 2011-03-14 2012-09-16 Fih Hong Kong Ltd Styl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3548329B (zh) * 2011-05-20 2016-10-05 株式会社索思未来 通话机
KR101369940B1 (ko) * 2012-01-18 2014-03-04 양묘근 이중 대역 로드 안테나 및 그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KR101863831B1 (ko) 2012-01-20 2018-06-01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연골 전도부를 갖는 휴대 전화
JP6017172B2 (ja) * 2012-04-19 2016-10-26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軟骨伝導振動源装置および携帯電話
CN103220614B (zh) * 2012-01-20 2015-09-16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频接口类型检测装置
CN102739829A (zh) * 2012-06-29 2012-10-17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终端以及智能终端与外置天线的连接方法和装置
CN108833639B (zh) 2012-06-29 2020-11-24 株式会社精好 耳机和立体声耳机
CN102739830B (zh) * 2012-07-09 2015-06-03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可外接天线的手机
KR101353960B1 (ko) * 2012-07-10 2014-01-24 최신영 착탈식 펜 겸용 안테나
GB2506339A (en) 2012-08-07 2014-04-02 Andrew Alexander Jewson A mobile phone with writing means demountably retained in a conventional (e.g. earphone) socket
US20140049851A1 (en) * 2012-08-20 2014-02-20 Scott Snell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US20140117193A1 (en) * 2012-10-29 2014-05-01 Alison Wong Stan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2733586A1 (en) * 2012-11-14 2014-05-21 BlackBerry Limited A device system that performs radio-frequency matching with a stylus antenna
US20140274228A1 (en) * 2013-03-14 2014-09-18 King Leung WONG Portable stand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WO2015025829A1 (ja) 2013-08-23 2015-02-26 ローム株式会社 携帯電話
WO2015060230A1 (ja) 2013-10-24 2015-04-30 ローム株式会社 腕輪型送受話装置、腕輪型報知装置
KR101571496B1 (ko) * 2014-03-10 2015-11-25 (주)파트론 안테나 일체형 스타일러스
JP6551919B2 (ja) 2014-08-20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見守りシステム、見守り検知装置および見守り通報装置
WO2016098820A1 (ja) 2014-12-18 2016-06-23 ローム株式会社 電磁型振動ユニットを用いた軟骨伝導聴取装置、および電磁型振動ユニット
CN104965379A (zh) * 2015-06-16 2015-10-07 成都西可科技有限公司 一种可外接天线的运动相机
KR102056550B1 (ko) 2015-07-15 2019-12-16 파인웰 씨오., 엘티디 로봇 및 로봇 시스템
US10193229B2 (en) * 2015-09-10 2019-01-29 Cpg Technologies, Llc Magnetic coils having cores with high magnetic permeability
JP6551929B2 (ja) 2015-09-16 2019-07-31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受話機能を有する腕時計
US9288567B1 (en) * 2015-10-07 2016-03-15 Abduljalil K. H. Habash Audio phone connection mount for touch pen
EP3393109B1 (en) 2016-01-19 2020-08-05 FINEWELL Co., Ltd. Pen-type transceiver device
CN106532223A (zh) * 2016-10-31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外置天线单元、终端及天线使用方法
JP2020053948A (ja) 2018-09-28 2020-04-02 株式会社ファインウェル 聴取装置
CN112421207B (zh) * 2020-10-28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屏模组及电子设备
CN112634680A (zh) * 2020-12-29 2021-04-09 厦门城市职业学院(厦门市广播电视大学) 一种咖啡制作流程的vr展示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404A (ja) * 2004-11-01 2006-05-18 Nec Corp Tv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tvアンテナ兼入力ペ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9801A (ja) 1982-06-15 1983-12-21 Seiko Epson Corp アンテナ構造
JPH09191207A (ja)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Electric Corp 携帯通信情報端末装置
KR100536555B1 (ko) * 2004-05-20 2005-12-14 퍼스텔 주식회사 디에이비/디엠비 휴대용 수신기의 안테나장치
CN101072249A (zh) 2006-05-11 2007-11-14 乐金电子(昆山)电脑有限公司 具有天线兼用输入笔的便携式终端机
US20080084834A1 (en) * 2006-10-09 2008-04-10 Zbigniew Stanek Multiplexed connection interface for multimedia serial data transmission
US7656355B2 (en) 2007-09-14 2010-02-02 Giga-Byte Communications Inc. Stylus arranged with antenna and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CN201160118Y (zh) * 2008-02-27 2008-12-03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挂绳天线
KR20090125348A (ko) * 2008-06-02 2009-12-07 손호정 스타일러스펜 겸용 안테나
US20100056096A1 (en) 2008-08-29 2010-03-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driving a ground reference on a signal path, control circuit for driving a ground reference on a signal path, and mobile device
US8019096B2 (en) * 2009-04-10 2011-09-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and external equipment with configurable audio path circuit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9404A (ja) * 2004-11-01 2006-05-18 Nec Corp Tv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tvアンテナ兼入力ペ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8855B1 (en) 2017-04-05
EP2388855A1 (en) 2011-11-23
US8798674B2 (en) 2014-08-05
KR20110125700A (ko) 2011-11-22
CN102244697B (zh) 2014-05-07
US20110281617A1 (en) 2011-11-17
CN102244697A (zh) 201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139B1 (ko) 이동 단말기
US9350183B2 (en) Mobile terminal
US10177440B2 (en) Mobile terminal
KR101622731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8956B1 (ko) 이동 단말기
KR101863924B1 (ko) 이동 단말기
KR102007225B1 (ko) 이동 단말기
KR20120069365A (ko) 이동 단말기
US8760350B2 (en) Mobile terminal
KR101962125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131750A (ko) 이동 단말기
KR101446702B1 (ko)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
KR101837484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79019A (ko) 이동 단말기
KR10192117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4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57498B1 (ko) 이동 단말기
KR20110094729A (ko) 안테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US20200091586A1 (en) Mobile terminal
KR1018181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0118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50384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15270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방송 제어 방법
KR20150028004A (ko) 탈착형 리모콘 및 이동단말기
KR20150031065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