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056A -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056A
KR20040019056A KR10-2004-7000403A KR20047000403A KR20040019056A KR 20040019056 A KR20040019056 A KR 20040019056A KR 20047000403 A KR20047000403 A KR 20047000403A KR 20040019056 A KR20040019056 A KR 20040019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der
expandable
installing
membran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6825B1 (ko
Inventor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모태원
로버트 디. 엑크만
Original Assignee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filed Critical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Publication of KR2004001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2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2Permanently installed raisable dyk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수량 조절 게이트와 관련된 팽창성 액츄에이터 및 연관된 시일링, 제조 및 작동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냅 폭기(nappe aeration), 힌지 및 블래더 제작 기술 뿐 아니라, 에어 피팅(air fitting) 설계, 팽창성 블래더 응력 제거, 팽창성 블래더 강도 보강, 수문 관련 슬라이드 마찰 완화, 당접 및 다른 저수 시일, 게이트 패널 제작, 트래픽 수용 저수 구조 및 수문 패널 시스템 작동 효율에 관련된 기술의 진보성은 여기에 개시된 진보성 중 일부분이다.

Description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경제적인 수량 조절 게이트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가 실시되어 왔다. 많은 경우, 가장 경제적인 수량 조절 게이트는 에어 작동성 하부 힌지 게이트 및 팽창성 댐이다. 하나의 이점으로서, 복수의 수량 조절 게이트의 위치는 팽창성 액츄에이터 압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적합하게 잘 조정될 수 있다. 에어 작동상 하부 힌지 게이트에 관련되거나 팽창성 댐에 관련된 다수의 특허가 본 출원에 제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종래기술로 될 수 있는것과 관련된 다양한 다른 재료도 또한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수압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게이트는 특히 필요한 관련 잔교, 설비 플랫폼, 서비스 크레인 및 교량의 건축 비용을 고려할 때, 상술한 에어 작동성 게이트 및 팽창성 댐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훨씬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팽창성 댐의 제한은 하류 지점에서 높은 응력을 포함한다. 단일 플랫 시트로부터 제조된 팽창성 댐인 경우, 탄성중합체 재료에서 이들 응력은 수축된 구조의 팽창성 댐에서 생긴다. 흐름이 진동하는 방식으로 분리되는 원형 가요성 표면과 결부된 흐름 유도된 진동과 함께 댐 본체의 굽힘으로 인하여 최외층에서 인장 응력의 조합에 기인한 고장이 생길 수 있다. 접혀진 시트로서 제조된 팽창성 댐인 경우, 댐이 팽창될 때 탄성중합체 내부 라이너 및 강화 패브릭의 최내부 플라이(ply) 모두에서 높은 인장 응력이 생길 수 있다. 강화 패브릭에서 이들 높은 응력은 나일론이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와 비교하여 장기간 내수성이 열등함에도 불구하고 나일론과 같은 고 신장 섬유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높은 응력은 일반적으로 안전성 요소를 저하시킬 수 있거나 또는 팽창성 댐의 전체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강화 실패(failure)를 피할 수 있다하더라도, 탄성중합체 내부 라이너에서 높은 인장 응력은 균열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섬유 강화재로의 에어 누출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섬유 강화재는 다른 위치에서 노출되어 팽창성 댐으로부터 점진적이지만 바람직하지 않은 에어 손실을 초래하게된다. 또한, 내부 플라이 압력은 증가할 수 있고, 이는 댐 본체의 장기간 산소 분해 및 외부 커버 수포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하부 힌지 에어 작동성 게이트의 제한은 시일(seal)의 맞춤 탑재 요건, 아이싱(icing) 조건 동안 접합 플레이트의 가열 요건, 및 2 미터 이하와 같은 낮은 댐 높이용 게이트의 이점과 비교하여 약간 높은 비용 등이다. 특히, 2 미터 이하의 낮은 댐 높이용 게이트에 대하여, 종래 기술의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2개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왔다. 제1 카테고리는 오버마이어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5,092,(70)7호, 오버마이어에 허여된 미국특허 5,538,360호, 및 오버마이어 등에 허여된 미국특허 5,713,699호에 기재된 디자인이다. 제1 카테고리의 디자인은 클램프 바 아래의 심(seam)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가황 처리를 필요로 한다. 제2 가황 처리(부가적인, 제2 가황 처리)는 추가의 비용을 수반하며 또 본 발명의 적어도 1개 구체예에 따라 사용된 단일 단계 가황처리(단순히 1회의 가황 처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조인트에 비하여 덜 안정한 조인트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황 처리는 잘해야 클램프 바 아래의 탄성중합체 시일(seal)을 제공할 수 있다. 에어 블래더의 팽창성 부분 주위의 연속되는 원주 강화는 클램프 조인트를 제2 가황 단계에서 단순히 결합 및 시일링하는 것에 의해서는 달성되지 않을 수 있다. 오버마이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5,(70)9,502호에 기재된 웨지 타입 클램핑 시스템을 사용하면 클램프 시스템하에서 가황 조인트 요건을 제거할 수 있지만, 상기 클램프 시스템 자체는 댐 높이가 더 낮아짐에 따라서 비교적 더 비싸지게된다.
클램프 가황되지 않은 조인트를 갖는 팽창성 댐 및 가황 조인트를 갖는 에어 작동성 하부 힌지 게이트 모두에 공통되는 결점은 클램프 시스템 아래에서 압축되는 탄성중합체의 크리프(creep) 현상이다. 각 시스템의 적합한 작용화는 일반적으로 에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하에서 충분한 압축 응력에 따라 다르다. 압축 응력이 높을 수록, 관련된 전단 응력도 더 높아지게되며, 따라서 크리프율도 증가시키게된다. 따라서, 클램프가 더욱 단단하게 기밀화될수록, 재-기밀화를 더 자주 필요로하게된다. 적합한 보수는 누출 또는 시스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불충분한 기밀과 높은 비율의 크리프 및 시스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과도한 기밀 사이의 주의깊은 균형을 필요로 한다.
통상의 팽창성 댐은 오버-토핑(over-topping) 조건 동안 진동되기 쉽다. 네이프(nape)를 통기시키기 위하여 여러 시도가 행해졌고, 핀(fin)의 치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또는 개별 핀(fin)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핀(fin)을 남긴다. 이러한 완화 수단을 이용하여도, 특정 유동 조건하에서는 진동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에어 작동상 하부 힌지 게이트 및 팽창성 댐과 조합되어 가장 흔히 사용되는 에어 탑재부는 설치하는 동안 보호를 필요로 할 수 있고 또 예리하게 가공된 엣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에어 탑재부의 예리한 엣지는 몇개의 에어 블래더가 선적을 위해 중첩될 때 또는 오랫동안 팽창성인 댐을 로울링 업(rolling up) 하기 전에 이러한 탑재부를 설치해야할 때 인접 에어 블래더를 손상시키거나 침투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기존 시스템의 에어 작동성 하부 힌지 게이트 및 팽창성 댐은, 하강 또는 수축된 위치에 있을 때 차량 또는 자동차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의 하부 힌지 수량 조절 게이트는, 물 흐름을 방해하지 않지만 차량이나 자동차에 위해 또는 장벽을 제공할 수 있는 불규칙 형상의 힌지 및 강화 리브(rib)를 탑재할 수 있다.
통상의 하부 힌지 수량 조절 게이트는 또한 통합된 구속성 스트랩(restraining strap)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하강 게이트 패널 하부로 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구속성 스트랩의 돌출부는 자동차에 대하여 해로울 수 있다. 이러한 돌출 구속성 스트랩은 차량에 의해서도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이들 구속성 스트랩의 돌출부는 자동차가 디자인 기준이 아닐 때, 특정 수량 조절 용도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통상의 하부 힌지 도로 및 인도 물 장벽은 물 누출 및 부식되기 쉬운 일부 경우에서 사용되는 기계적 힌지를 가질 수 있으며 또 일부 경우에서는 부식되기 쉬운 기계적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왔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기계적 힌지는 값비싼 정밀 배열을 필요로할 수 있다.
리프팅 백(팽창성 잭), 도크 범퍼, 호스, 팽창성 댐 및 방수로 게이트 액츄에이터와 같은 팽창성 부재는 2개 방법중의 하나에 의해 전형적으로 제조된다. 제1 방법에서, 내부 만드렐 또는 툴(tool)을 이용하여 둥근 엣지를 갖는 내부 표면을 규정한다. 이 방법은 만드렐 또는 툴이 제거될 수 있는 개구를 시일링하기 위한 이차적인 결합 작업 또는 특수한 디바이스를 필요로한다. 제2 방법에서, 내부는 단순히 평탄하게 접힐 수 있지만, 내부 표면은 방출 필름(release film)에 의해 결합되지 않는다. 이는 팽창성 조건하에서 내부 라이너의 극한 응력 집중을 초래하며, 복수층을 이용하여 강화할 때, 강화 층 사이에 극히 불균일한 하중 분담을 초래한다. 제3 방법은 공융 염, 알루미늄, 종이 마헤(mache) 등의 3차원 용해성 만드렐을 이용한다. 이러한 유형의 용해성 만드렐은 값비싸고, 시간 소모적이며 염인 경우, 아주 약하다.
통상의 방수로 및 항법 댐 게이트는 개별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서는 작업 보트 또는 오버헤드 케이블 호이스트(hoist)로부터 하나씩 상승되어 고정되는 위치로 올라갈 수 있다. 보트 또는 케이블웨이를 이용하여 게이트를 오버헤드로 부터 위로 움직이게 하는 것은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위험한 작업을 필요로 할 수 있다. 개별 액츄에이터는 일부 프로젝트의 경우 아주 비쌀 수 있다. 제방 대신 아주 긴 스팬의 작동성 수량 조절 게이트를 사용하는 것은 기존 시스템에서는 아주 값비싼 것이었다.
통상의 방수로 게이트는 흔히 소량의 오버-토핑 조건하에서 진동을 예방하기 위해 냅(nappe) 브레이커를 사용한다. 이러한 냅 브레이커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지며 윈터 아이스 플로우(Winter ice flows)에 의해 쉽게 손상을 입는다.
본 발명은 비한정적인 댐 방수로, 수력발전 프로젝트, 홍수 제어 구조물, 하천 우회로, 관개 수로 체크 구조물, 차로 물 장벽, 제방 건널목, 주차장 물 장벽등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수량 조절 게이트 및 수량 조절용 팽창성 댐, 그를 위한 팽창성 액츄에이터(actuator), 일반적인 팽창성 액츄에이터, 그를 위한 강화된 탄성중합성 힌지(hinge) 및 프레스(press), 수하물 백, 팽창성 잭(jack), 접을 수 있는 호스 등과 같은 기계용 액츄에이터와 같은 일반적인 팽창성 부재에도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팽창성 액츄에이터는 특히 저렴하고, 긴 수명 및 안전성이 중요한 다수의 기타 용도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하기 도면은 일개 이상의 구체예만에 관련된 것이지만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 그의 구체예, 청구범위 또는 그의 요소를 한정하지 않음을 명심해야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능력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팽창성 잭의 절개도이다. 팽창성 막(3)은 압출 막(2)을 둘러싼다. 에어는 호스를 통하여 미리 성형된 형상(1)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팽창성 잭의 절개평면도이다. 팽창성 막(3)은 압출 막(2)을 둘러싼다.
도 3은 도 2에서 확인된 절개부분이다. 압출 막(2)는 표면(8)을 따라 팽창성 막(3)에 결합되지만, 표면(7)을 따라서는 결합되지 않으며, 접점(9)의 환형 표면을 따라서도 결합되지 않는다. 홀(5)는 팽창성 잭의 주변 근처에서 압축된 유체(예컨대 압축 에어)의 전달을 허용한다. 이 에어는 연속적으로 종방향 홀(5)로 부터 통기 홀(6)을 통하여 밖으로 나갈 수 있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은 외부 호스를 내부 응력 방출 프로파일에 맞게하는 임의의 예비성형된 탄성중합체 피팅을 도시한다.
도 8은 수축 조건하에서 팽창성 잭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팽창성 디바이스의 측면에 고정된 응력 방출 프로파일을 갖는 팽창 조건하의 팽창성 잭을 도시한다.
도 10은 수축 조건하의 팽창성 댐 본체를 도시한다. 팽창성 막(3)은 웨지(11a, 11b, 11c, 11d 및 11e)에 의해 상류 단부(10)에서 고정된다. 삽입물(또는 주변이 연속적이거나, 또는 통합적으로 결합된, 또는 조인트 선회성) 층(12)은 엔빌로프(envelope)가 외부 클램핑력 없이 팽창될 때 찢어지지 않게 한다. 핀(fin; 14)은 강화층(16) 아래에 핀 삽입물(15)를 포함한다.
도 11은 팽창된 구조의 도 10의 팽창성 댐을 도시한다. 팽창성 막(3)은 핀(fin; 14) 및 응력 방출 압출(2)을 제 위치에서 유지시킨다. 댐에서 방수로 까지의 클램프(17)는 팽창성 댐을 방수로 기초(18), (방수로)까지 유지시킨다.
도 12는 "콤마" 삽입물(21) 및 항-인열 강화재(12)와 함께 간단한 장방형 클램프((118))를 사용하는 팽창성 댐의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다. 응력 방출 형재(2) 및 핀 삽입물(15)를 함유하는 팽창성 막(3)의 두꺼워진 부분은 방수로(22)의 오목한 부분에 존재한다. 너트(20)는 앵커 볼트(19)상에 클램프((118))를 유지시킨다. 팽창성 댐에 대한 에어 접속부(24)는 성형 홈(23)에 의하여 압출 중공부(5)에 결합되어 수축 막(3)의 상승 및 하강 인접 부분 사이의 에어에 대한 틈새 공간을 제공한다. 보다 일반적인 용어로 설명하면, 팽창성 블래더 막(1002)의 적어도 1층의 세그먼트는, 에어 공급 부재(또는 가압화된 유체 요소; 24)에 의해 형성된 공간 보이드(1003) 및 삽입 요소(1004)를 포함하는 종방향 공간 보이드에 의해 포함된 종방향 공간 보이드(5)에 유체적으로 감응성인 공간 보이드(막 공간 보이드로로 칭할 수 있다)를 둘러싸도록 조정될 수 있다. 막 공간 보이드는 블래더 내부 대 종방향 공간 보이드 유체 수송 홀에 유체 감응적일 수 있다. 팽창성 댐은, 에어 공급 부재(24)에 접속된 진공 시스템에 의하여 대기압 미만으로 내부 압력을 하강시킴으로써 수축될 때 유동 유도된 진동 손상되기 쉽다. 이는 막(3)을 삽입물 (2)에 단단하게 고정시켜서, 통상의 디자인에서 손상문제가 공지된 위치에서 더욱 단단한 구조를 초래하게된다.
도 13은 팽창 구조에 있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팽창성 댐을 도시한다. 삽입물(21)은 클램프 바((118))에 확실한 결합을 제공한다. 오목부(22)는 방수로(18)상에서 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작용성 방수로 게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방출 홈(23)은 에어 부재(24)를 응력 방출 압출 중공부(2)에 접속한다. 게이트 패널(24)은 힌지 리테이너(26)에 의하여 힌지 플랩(25)에 고정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방수로 게이트의 수축된 에어 블래더를 도시한다. "콤마-"형 삽입 부재(21)는 플랫 부분(28)의 상류에 위치한다. 플랫 부분(28)에 걸쳐 있는 홀(29)은 도 14의 클램프 바((118))를 갖는 어셈블리를 허용한다. 힌지 플랩(25)의 확대부(27)는 힌지 플랩이 도 14의 힌지 리테이너(26) 아래로 부터 당겨져 나가지 않게 한다. 항-인열층(12)은 클팸핑되지 않은 조건 또는 느슨하게 클램핑된 조건하에서 에어 블래더의 파열을 방지한다.
도 16은 팽창성 막(3) 안으로 성형된 에어 공급 홈(23)을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성 호스를 도시한다.
도 B1은 4개의 와이어가 연신되는 프레임 단면의 사시도이다. 상기 와이어는 내부층이 와이어상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팽창성 부재의 엣지를 규정한다. 후속하는 층은 확대도에서 도시된다.
도 B2는 응력 방출 삽입물내에 봉(또는 와이어)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는 팽창성 부재의 코너의 사시도이다.
도 B3은 수축된 구조에서 팽창성 부재의 엣지의 단면도이다.
도 B4는 팽창된 구조에서 팽창성 부재의 엣지의 단면도이다.
도 B5는 부재의 형상 및 치수를 결정하는 기밀 와이어 또는 케이블상에 위치하는 장방형 박스상 팽창성 부재의 방출 패브릭 층의 사시도이다.
도 B6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방수로 게이트 액츄에이터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B7은 방수로 게이트 시스템의 다른 요소와 합쳐져서 도시되고 또 팽창 위치에서 도시된 도 B6의 팽창성 액츄에이터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B8은 팽창성 에어 블래더의 내부 표면안으로 성형된 에어 공급 홈을 도시하는 도 B7의 A-A 부분도이다.
도 B9는 보조 와이어와 조합되며, 그 목적이 엣지 규정 와이어의 수축을 제한하는 것인 엣지 규정 와이어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B10은 장방형 팽창성 에어 블래더의 엣지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 와이어(4) 뿐만 아니라 에어 블래더에 총체적으로 제조된 힌지 플랩의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사용된 5번째 와이어의 배열을 도시한다.
도 B11은 장방형 팽창성 "베개 형상"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장방형 부재의 모든 4개 엣지를 규정하기 위한 단일 와이어 로프의 용도를 도시한다.
도 B12는 팽창성 부재가 가황될 수 있는 금형과 조합된 팽창성 부재의 엣지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B13은 그 주위에서 나중에 접혀질 수 있는 와이어와 관련된 바이어스 플라이 층의 아우트라인을 도시한다.
도 B14는 경화되는 동안 유체 통로를 개방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 제거가능한 튜브와 조합된 엣지 규정 와이어 상에 배치된 이중 단부 호스 니플(nipple)의 사시도이다.
도 B15는 단단하게 형성되며, 팽창되고 응력 감소되며 수축된 블래더 폴드(fold) 부재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B16은 수축된 블래더 폴드 근처에서 통상적으로 고안된 1개 유형의 팽창성 탄성중합체 댐의 단면도이다. 도 B16a는 수축된 구조이고, 도 B16b는 팽창된 구조이다.
도 C1은 상승 위치에서 도시된 차량 양립성 도로 홍수 보호 장벽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C2는 한지 및 에어 블래더 접속부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C1에 도시된 게이트의 상세한 상승 단면도이다.
도 C3은 수축된 에어 블래더를 작동시키는 것과 관련된 하강 위치에 있는 게이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C4는 팽창된 에어 블래더를 작동시키는 상승 위치에서 도 C3의 게이트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C5는 도시되지 않은 고무 커버링을 갖는 힌지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C6은 도시된 고무 커버링을 갖는 도 C5의 힌지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C7은 경량 복합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 힌지를 도시한다.
도 C8은 상승 위치에 도시된 도로 홍수 장벽 게이트 어셈블리를 도시한다.
도 C9는 하강 위치에서 도시된 도 C8의 게이트를 도시한다.
도 C10은 하강 위치에 도시된 철도 홍수 장벽으로 구조화된 게이트의 상승 단면도이다.
도 C11은 도 C10의 게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C12는 직립 위치로 나타낸 도 C10의 게이트에 대한 입면도.
도 C13은 도 C12에 나타낸 게이트 대한 게이트의 단부도.
도 C14는 직립 위치로 나타낸 도 C3 및 C4의 게이트에 대한 사시도.
도 C15는 다른 형태를 갖는 클램프의 사시도.
도 D1은 직립 위치로 나타낸 교통 겸용 도로 홍수 방지 배리어의 단면도.
도 D2는 도 D1에 나타낸 게이트의 측면 밀봉체(seal)의 상세 단면도.
도 D3은 도 D1에 나타낸 게이트의 절단 평면도.
도 D4는 도 D3의 B-B 단면도.
도 D5는 도 D1의 게이트 시스템의 매립된 프레임의 평면도.
도 D6는 대체 에어 블래더 연결 구조의 단면도.
도 D7은 게이트가 내려온 상태에서 도 D1의 힌지 영역의 상세 단면도.
도 E1은 댐 방수로에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류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E2는 댐 방수로에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도 E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하류측으로부터 클로즈업 해서 본 사시도.
도 E3는 작동 에어 블래더를 상승시킨 상승 위치의 게이트를 나타낸 것으로 도 E1 및 E2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E4는 홍수 방지 배리어 형태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E5는 상승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 E4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E6는 게이트 패널이 낮아진 위치에서 도 E4 및 E5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E7은 자동 트리핑 구조를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
도 E8, E9 및 E10은 도 E7의 부분도.
도 E10은 상기 자동 트리핑 구조의 일부를 상향류로부터 본 도면.
도 E11은 도 E4 내지 E6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힌지 부분의 사시도.
도 E12는 도 E4 내지 E6 및 E11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예시적인 힌지 부분의 평면도.
도 60a, 60b 및 60c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횡단면 사진.
도 60d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에어 블래더의 단면도.
도 63, 64 및 65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에어 피팅의 횡단면 사진.
도 66 및 67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에어 블래더 및 그 연결 에어 피팅의 일부에 대한 사진.
도 68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부분적으로 축조된 에어 블래더 및 그 연결 에어 피팅의 일부에 대한 사진.
도 69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에어 피팅의 평면도.
도 70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도 69의 에어 피팅의 입면도.
도 71은 본 발명에 따라 도 60 내지 도 70의 에어 피팅의 횡단면도.
도 72a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받침대 판의 입면도.
도 72b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받침대 판의 게이트 측과 물의 사진.
도 72c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받침대 판의 콘크리트 쪽의 사진.
도 72d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받침대 판과 조립 연결된 콘크리트 앵커의 사진.
도 73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도 72의 받침대 판의 평면도.
도 74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도 72 및 73의 받침대 판의 상세 횡단입면도.
도 76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받침대 판의 입면도.
도 77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도 77의 댐 방수로 게이트 시스템의 사시도.
도 78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른 내부 패널 밀봉체의 횡단면도.
도 79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받침대 밀봉체의 일 실시예의 입면도.
도 80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도 79의 밀봉체의 사시도.
도 81은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내부 패널의 사시도.
도 82a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받침대의 일 실시예의 받침대 대향측의 사시도.
도 82b는 본 발명의 일 요지에 따라 받침대의 일 실시예의 물 쪽의 사시도.
도 82c는 도 83의 일부 확대도.
도 82d는 도 82의 일부 확대도.
도 86은 도 82 내지 85의 받침대 밀봉체를 도입한 게이트 시스템의 확대도.
도 87a는 직립 상태의 게이트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87b는 내려진 위치의 게이트를 나타내는 도 87a의 게이트의 횡단면도.
도 8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이 빠진 위치에서 담수할 수 있는 댐의 평면도.
도 8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이 빠진 위치에서 도 88의 담수 할 수 있는 댐의 입단면도.
도 90은 담수된 위치에서 상기 담수 가능한 댐으로 도 88 및 89의 담수 가능한 댐 위로 흘러넘치는 물 흐름의 개략 횡단면도.
도 91은 냅(nappe)의 디스버스먼트 시 표면 조직 형태의 효과를 나타내는 도 88 내지 90의 담수가능한 댐의 절개 사시도.
도 92는 직립 위치로 나타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입단면도.
도 93은 내려진 위치에서 나타낸 도 92의 일 시시예의 입단면도.
도 94는 도 92 및 93의 실시예의 상향류 대항 입면도.
도 95는 도 92, 93 및 94의 실시예의 부분 평면도.
도 101은 저수된 물 쪽 오버탑 도로 담수 가능하도록 가동된 저수 장치. 도 101a는 직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1b는 내려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2는 바다(또는 폭풍) 파도 담수 가능하도록 가동된 물 조절 장치. 도 102a는 평면도. 도 102b는 직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2c는 내려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3은 부유 상승 가능한 오버탑 도로 사용 가능한 저수 장치. 도 103a는 직립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3b는 내려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4는 담수 가능하도록 작동된 방수 게이트 패널 장치(또는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받침대판(이 경우에 타일 배열)을 나타낸 도면.
도 105는 냅 브레이커를 이루는 재료에 의해 플렉스가 공급되는 냅 폭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5a는 미첨부된 상태의 사시도(angled view). 도 105b는 첨부된 상태의 측면도.
도 106은 플렉스가 충격 주름에 의해 제공되는 냅 폭기 장치.
도 107은 담수 가능한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와 인접한 기초(이경우 댑 받침대) 사이에 위치한 눈을 끌지 않는(inconspicuous) 방지 스트랩.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송 및 설치가 용이하고 겨울 작업시 가열 접합 플레이트를 필요로하지 않는 낮은 댐 높이인 경우의 기존의 수량 조절 게이트에 대한 저비용 대체 게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유형의 구체예로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하여 과도한 위험 또는 손상없이 구동되거나 변동될 수 있는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격이 멀어지게 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저 비용 홍수 제어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개 요지에 따르면, 에어 블래더(air bladder)가 방수로또는 특수한 시험 설비에 고정되어야한다는 요건없이 품질 제어 목적을 위해 팽창될 수 있는 에어 블래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에어 블래더는 상기 팽창된 에어 블래더의 주변의 스플라이스(splice)를 제외하고는 연속적이고 또 상기 에어 블래더의 팽창성 부분을 상기 에어 블래더의 클램프 부분에 접속하는 조인트와 교차할 수 있는 강화 플라이(ply)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인 강화 플라이는 클램프 바 하에서 연장되는 강화 결합층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에어 블래더는 압축되고 또 클램프는 설치되지 않거나 또는 긴밀하게 클램핑되지 않는다. 일부 통상의 디자인에서 생길 수 있는 박리는 구조적 통합성을 감소시킬 수 있거나 누출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블래더는 단일 단계 가황 처리로 가황될 수 있고 또 임의의 제2 가황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단일 단계 가황은 전체적인 구조 통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블래더는 예컨대 간단한 장방형 클램프 바를 이용하여 댐 방수로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간단한 장방형 클램프 바는 저렴하고,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다른 클램핑 시스템에 비하여 공간을 덜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게이트 시스템이 갱신될 수 있는 기존의 방수로상의 공간은 심각하게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블래더는 매칭 인터패널 시일 및 접합시일이 고정되어 최소의 설비 시간으로 누출 기밀 어셈블리를 형성하게하는 정밀하게 성형된 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술한 클램프 바의 하류 면과 긴밀하게 합치되도록 인테그랄 힌지 플랩(integral hinge flap)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경우, 힌지 플랩 및 클램프 바 사이에서 모래 또는 자갈의 포획(trapping)을 피할 수 있다. 힌지 플랩과 클램프 바 사이에 포획된 모래와 자갈은 시간 경과에 따라 게이트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 힌지 플랩을 손상시키거나 또는 클램프 바로부터 부식 보호부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블래더는 손상성 또는 손상을 줄 수 있는 돌출부를 갖지 않는 에어 피팅(air fitting)을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팽창성 에어 블래더의 하부 부재내에 전체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피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에어 피팅은 일반적으로 원반형상일 수 있고 또 중심에 위치한 관통공에서 파이프 쓰레드(pipe thread)와 같은 접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에어 피팅은 강화 패브릭의 방향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를 제한할 수 있는 테이퍼된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강화 패브릭의 방향에서 과도한 변화는 강화층의 상호 박리를 유발하거나 또는 매립된 에어 피팅으로부터 강화 패브릭의 분리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피팅은 원형 외부 엣지 형상이어서 상기 피팅이 상술한 강화 패브릭을 절단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원형 외부 엣지의 반경은 탄성중합체중의 보이드의 형성 및 강화 코드(cord)와 에어 피팅의 직접적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에어 피팅은 가황처리되는 동안 팽창성 블래더의 탄성중합체 본체에 결합되는 물질로 제조(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될 수 있거나 또는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에어 피팅은 황동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인터패널 시일은 설치시 가요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단면부에서 밴드(bend)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인접 게이트 패널 사이의 간격은 평면도에서 곡선으로 나타낸 방수로 위에서와 같이 게이트 작동 각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결합된 에어 블래더의 클램프 엣지와 프로파일이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는 인터패널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하여, 인터패널 시일 및 에어 블래더는 동일한 클램프 배열로 댐 방수로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결합된 에어 블래더의 클램프 엣지와 프로파일이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할 수 있는 접합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하여, 접합 시일 및 에어 블래더는 동일한 클램프 배열로 댐 방수로에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PTFE와 같은 결합된 저 마찰 마모 표면을 구비한 탄성중합체 접합 시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마모면은 공가황(covulcanized)처리되어 EPDM (에틸렌-프로필렌-디엔-메틸렌 고무)을 함유하는 강화된 탄성중합체로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마모면은 공가황 처리되어 EPDM 및 클로로부틸을 포함한 블랜드로 구성된 강화된 탄성중합체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열적 도전성이 낮고 얼음에 대한 접착력이 낮은 접합 플레이트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는 다수의 패스너(fastener)를 구비할 수 있으며 또 폴리에틸렌과 같은 재료의 낮은 탄성율과 높은 열팽창성 계수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버클링(buckling)(와핑(warping) 포함)을 방지하도록 비교적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패스너 간격 대 두께 비율은 약 20: 1 이고, 바람직하게는 12: 1 이하(아마도 8: 1)이다. 이렇게하여, 직접적으로 일광에 노출될 때 접합 플레이트의 버클링을 회피할 수 있다. 버클링은 접합 플레이트 뒤로 누출 통로가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누출 통로는 접합 플레이트 재료의 크리프 또는 부서러기의 축적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다시 폐쇄될 수 없다. 버클링은 또한 인접 게이트 패널과 시일 어셈블리의 자유로운 이동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접합 플레이트의 표면 하부로 우묵하게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실란트(sealant)의 배치 및 보유를 허용하도록 몇개의 접합 플레이트 세그먼트의 각각의 주변부에 홈(groove)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상기 접합 플레이트 재료는 카본 블랙과 같은 어두운 안료를 함유하여 태양열 가열을 촉진시키고 또 폴리에틸렌과 같은 중합체를 손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조사를 차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접합 플레이트 재료는 초고분자량(UHMW) 폴리에틸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접합 플레이트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접합 플레이트는 열전도성이 낮지만 접합 플레이트에 대하여 강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섬유유리와 같은 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가열된 시일 어셈블리 또는 기타 가열 수단(또는 아마도 가열 요소)는 상술한 열 도전성이 낮은 접합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고 또 그와 조합하여 게이트 패널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접혀진 "수축" 위치에서 가황되지만 하류 엣지의 내부를 따라 소정의 한정된 내부 반경을 갖는 팽창성 댐이 제공될 수 있다.상기 내부 반경은 예컨대 탈착가능한 툴, 용해성 툴 또는 제조후 그 자리에서 남을 수 있는 압출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에 따르면, 수량 조절 게이트용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같은 팽창성 부재의 클램프 해제된 엣지 또는 고무 댐의 본체는 압출되거나 예비경화된 다음 프로파일의 일부 위에서 팽창성 부재의 내부 가장자리(marginal) 엣지에 결합될 수 있는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은 "눈물방울" 형상일 수 있으며 또 그 중심을 통하여 홀(hole)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홀은 제조하는 동안 프로파일을 배치시키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내충돌성 에어 공급 매니폴드(manifold)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중합체 프로파일은 팽창성 부재의 내부 한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는 반면에, 둥근모양의 표면 및 대향하는 평탄한 면은 결합되지 않은채 존재한다. 이렇게하여, 상기 부재는 프로파일에 의해 제한됨없이 팽창될 수있다. 또한, 팽창성 부재의 내부에는 성형되어 둥근 모양이 부여되며, 동일 목적을 위해 사용된 툴을 제거할 필요성이 제거된다. 상기 프로파일의 일부는 예컨대 고무 시멘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제조에 이용된 화합물 및 방법에 따라서 박리 필름 또는 박리제의 사용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되지 않게 될 수 있다.
일부 프로젝트의 경제학은 각 게이트 패널에 대한 개별 액츄에이터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게이트 액츄에이터를 갖는 보다 값비싼 시스템의 안전한 원격 작동 능력을 제공하면서 간단한 수동 작동 게이트의 경제학을 유지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규모 게이트에 대하여 경제적일 수 있는 건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로, 인도 또는 철도 베드(railroad bed) 표면에 적응될 수 있는 게이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이하고 안정한 공기작용 작동화를 제공할 수 있고 또 차량 및 자동차에 대하여 평탄하고 안전한 상면을 제공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범위한 게이트 높이에 대하여 경제적일 수 있는 건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간 소모적이고 값비싼 필드 얼라인먼트(field alignment) 과정을 필요로할 수 있는 정밀 회전 베어링을 필요로하지 않고 높은 하중 비율을 가질 수 있는 게이트 힌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 입자 또는 불순물이 힌지 어셈블리를 통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시일로서 작용하는 힌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 메카니즘을 부식성 유체 또는 가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또 힌지 메카니즘을 마모성 또는 손상 입자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가요성 장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결합된 화학적 결합에 의해 가요성 케이블, 코드 또는 섬유상 요소로 부터 강성 요소로 전달되어야하는 2개 힌지 물체 사이의 전단 하중을 허용할 수 있는 힌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된 화학적 결합이 응력 집중을 감소시키고 또 어셈블리의 능력을 최적화함으로써 손상없이 부정합을 조정하고 다이나믹 하중을 흡수하도록 작용하는 탄성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성 결합은 EPDM, 부틸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또는 그의 배합물과 같은 가황가능한 탄성중합체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 축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면에서 어떤 방향에서도 하중을 견디고 또 힌지 축과 평행한 전단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면서 힌지의 각도 디자인 한계내에서 힌지 축 근처에서 회전에 대한 저항이 적은 가요성, 바람직하게는 트위스트(twisted) 코드, 케이블 또는 기타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람직하게는 고무 또는 기타 탄성중합체에 매립된 일방향 타이어 코드 패브릭의 스트립과 같은 미리-조립된 코드 군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울링 접촉 영역에서 강성 힌지 요소 및 가요성 요소 사이에 비-결합 구역(zone)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울링 접촉 구역 및 가요성 요소가 방향을 반전하는 엣지에서 가요성 코드 요소와 인접하는 평탄한 둥근모양의 엣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강성 요소의 일부에 강인한 기계적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가요성 요소는 약 50%의 지지체용 고형 물질 및 상기 가요성 요소의 반전 밴드를 둘러싸기 위한 약 50% 홈이 만들어진 부분(slotted length)에 의해강성 요소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질 금속성 또는 세라믹 표면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강성 요소가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등의 매트릭스내의 탄소 섬유, 아리미드 섬유, 세라믹 섬유 또는 유리 섬유와 같은 경량 섬유 강화 복합체로 제작되는 저마찰 및 저 마모의 강인한 힌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축된 에어 블래더를 통하여 압축성 베어링 하중을 전달하는 기계적 지지체를 갖는 하강 게이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의 자유로운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 침전물, 부서러기 또는 기타 고형물의 포획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량 조절 게이트와 조합된 평탄한 상부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뗏목, 카약 및 카누 통행과 같은 레크리에이션용 물 이용에 위험을 제공하지 않는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영 시설 및 놀이공원 물놀이를 이용하는 사람에게 평탄하고 안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탄한 표면은 EPDM, 부틸 고무, 천연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또는 그의 배합물과 같은 가황가능한 탄성중합체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마제에 의한 오염 및 마모되기 쉬운 미끄럼 표면을 필요로 하지 않는 콤팩트 인클로즈드(compact enclosed) 힌지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도한 마모 또는 마찰없이 에어 블래더가 미끄러질수 있는 콘크리트 게이트 패널의 하부에 고정된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평탄한 표면은 적합한 콘크리트 앵커와 결합되어, UHMW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도한 마모 또는 마찰없이 팽창성 에어 블래더가 미끄러질 수 있는 게이트 패널의 상류 엣지 아래의 평탄한 저마찰 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코너 조각은 예컨대 나일론 또는 UHMW 폴리에틸렌 봉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힌지에 의해 도로 또는 인도 내의 탑재 요소에 탑재되고 게이트 시스템의 접합 패널 아래에 위치한 팽창성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접합된 게이트이다. 팽창성 액츄에이터는 설치 후 심을 박아 메워져 압축성 하중을 하강 게이트 패널로 부터 기초 후판(foundation slab)으로 하강 전달한다. 대규모 설치인 경우, 게이트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적소에서 강화 콘크리트로 건설된다. 이는 무거운 게이트 패널을 상당 위치로 수송할 필요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들이 제조된 후 완성된 게이트 패널을 재배치시킬 필요성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구속성 스트랩(restraining strap)이 인접 에어 블래더의 단부에 배치되고 또 경우에 따라서, 접합부와 접하는 에어 블래더 및 이들 접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배열은 구속성 스트랩과 함께 큰 저압축 에어 블래더의 동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충분히 낮아서 게이트 패널이 완전히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 게이트 패널에 의해 덮어져서 보호된다. 큰 저압축 에어 블래더는 그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관련된 힌지 어셈블리에서 반응력을 감소시키고, 게이트 패널 하중을 감소시키며 또 상기 에어 블래더 자체내의 하중을 감소시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구속성 스트랩에 대한 틈새 공간(clearance space)을 제공하도록 에어 블래더 상부가 잘라질 수 있는(truncated) 위치에서 에어 블래더를 교체하도록 클램핑 시스템내에서 에어 블래더가 제조되는 재료와 유사한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견본 삽입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부 경우에서, 인접하는 에어 블래더의 팽창성 반경과 결합되어, 제조된 그대로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반경은 상기 구속성 스트랩에 대한 충분한 틈새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방을 통과하는 철도의 경우에서와 같이 홍수 레벨 미만으로 존재할 수 있는 철도의 홍수 보호 장벽 수단(또는 홍수 보호 장벽 요소)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부 기초에 의해 팽창성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지지될 수 있는 게이트 패널에 부착되어 그에 의해 지지될 철도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게이트 패널 및 그의 철도 세그먼트가 상승됨에 따라 고정 철도 위로 미끄러질 수 있는 철도의 접합 세그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탄하지 않은 게이트 클램프 시스템상에 캐스트-인-플레이스(cast-in-place) 폴리우레탄으로된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 위의 틈새 갭상에 평탄한 표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갭은 게이트의 힌지 각도 상방 운동에 필수적일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한개 엣지에서 힌지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또 게이트가 상승하고 하강함에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대향 엣지에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배열은게이트 패널에 회전축으로 탑재될 수 있고 또 게이트 패널이 상승함에 따라서 클램프 영역상의 상류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커버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별 게이트 패널 간의 시일 누출(seal leakage)이 현저한 문제일 수 없도록 충분하게 큰 게이트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원격 건조 위치로 부터 안전하게 위치하고 작동될 수 있는 가동성 액츄에이터이다. 단일 액츄에이터는 대부분의 개별 게이트 패널 또는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상승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상승시킨 후, 각 게이트 패널 또는 세그먼트는 저렴한 기계적 버팀목(strut), 래치 또는 텐션 부재와 같은 것에 의해 상승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들 구속 수단은 게이트상의 고 상류 레벨 또는 증가된 유체정역학적 하중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방출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일부 홍수 제어 장치의 경우, 게이트 패널은 바람직하게는 강화 콘크리트로 적소에서 건축될 수 있으므로, 게이트 패널이 제조되면 게이트 패널을 상당 위치로 수송할 필요성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게이트 패널을 재배치하거나 상승시킬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개 구체예는 관련 힌지 요소를 상기 게이트 패널에 통합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게이트 패널을 캐스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힌지 패스너의 비용 및 힌지를 완성된 게이트 패널에 고정시키기는데 필요한 기타 인건비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얼음 흐름으로 인한 손상을 견딜 수 있는 가요성 냅브레이커(또는 통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가요성 냅 브레이커는 예컨대 강화 탄성중합체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가요성 냅 브레이커로서도 작용할 수 있는 수직으로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또는 접합 시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는 물품이 상승될 때 상승 가능한 물품(어떠한 상승 가능한 물체, 장치, 구조물 및 제품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의 내면에 고정 유지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압출된 프로파일 또는 인서트와 같은 상승된 블래더 스트레스 감소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구조는 제조 공정 동안 프로파일된 공구나 만드렐을 제거 또는 분해할 필요를 없애준다(그러나, 삽입물은 필요한 경우 단순히 힘으로 또는 제거가능하도록 제거할 수 있다- 그 요소(element)가 삽입물로 불리우는 사실은 모든 경우에 삽입물로 작동하기 때문에 상승가능한 장치로 부터 분해 또는 제거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 요소가 분해 또는 제거될 지라도 일시적으로만 삽입물로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사실상 연장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태의 디플에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파트(2)로 나타낼 수 있음)로 나타낼 수 있는 터어 드롭 형상의 압출된 프로파일 상의 일면 또는 상승된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2)(또는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 또는 횡 인서트 소자)는 상승 가능한 물품의 내면의 일부(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의일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반면에, 곡면(9)과 남은 면(7)(편평할 수 있음)은 제조하는 동안 릴리스 필름의 사용, 릴리스 약품의 사용에 의해, 또는 접착제의 생략에 의해 접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을 예시에 불구하다. 본 명세서에서 탄성이라는 용어는 10% 이상의 탄성 제한치를 갖는 것이고, 이는 적어도 10%(또는, 다시 말해서, 10% 미만의 연신율은 가소성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의 가역 연신율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블래더라는 용어는 내부 압력에서 사실상 팽창(즉, 특정압축 가능하지만 단순한 "de minimus" 팽창을 넘어 팽창한다) 공기 금속 산소 탱크와 같은 비 팽창 물품 외에는 어떠한 장치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요소가 탄성체로 한정될 때, 매 가능한 연신 방향으로 탄성일 필요가 없지만 단지 적어도 하나는 탄성이어야 한다. 탄성 재료로 제조된 제품이 적어도 일 방향에서 탄성으로 되는 한 탄성이 없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의 일부(2 이상)의 매 참고 번호는 참고번호가 의미하는 부품이나 요소의 일예를 제외하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사실상 연신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2)(또는 단순히 인플레이트된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 요소 또는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 요소)는 최소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굴곡 반경 증가 요소의 용량으로 작동할 수 있다. 드롭 형상(횡단면에서) 이란 용어는 여러가지 형태를 나타내는 의미이고, 드롭의 일부가 사실상 굴곡되어 있는 반면 드롭의 반대측이 사실상 2개의 라인이 교차한다(교차가 중요시 할 필요는 없음). 또한, 드롭 형상이란 용어는 어떠한 횡단면 축 주위에서 비대칭(약 하나의 횡단면 축 주위에서 대칭인 것 외에도)인 드롭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사실상 연신된" 이란 용어는 단독 또는 기타 유사한 인접 위치한 요소와 병용하여 횡단면적으로 가장 넓은 것보다 길고 직선 및 굴곡 된 요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요소라는 용어는 나타낸 형태의 구조물 또는 기타 구조물 중 하나 뿐 아니라 나타낸 구조물 또는 기타 구조물의 복수 개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들면, 사실상 연신된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는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는 한 엣지를 따른 하나의 인서트 및 제2 엣지를 따른 제2 인서트일 수 있다. 요소라는 용어의 목적하는 사용은 본 명서세 전부에 적용된다.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는, 인플레이터블 물품이 디플레이트될 때 인플레이트 가능한 부재에 나타날 수 있는 가능한 복수 개의 폴드중 하나이다. 이 용어는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접히고, 그에 따라 인플레이트된 구조에서도 존재하는 인플레이터블 막의 일부를 나타내는 의미이고, 이는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접히는 막 부분에 대한 상태를 나타낸다. 내부 압축된 유체가 인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에 부여하는 스트레스의 성질, 크기 및 구조를 지배하는 디플레이트된 폴드의 횡단면 형상 및 크기이기 때문에, 한정은 정밀하게 사용되었다. 한 가지 예상할 수 있는 것으로,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의 굴곡 반경이 작으면 작을 수록, 인플레이트된 구조의 막에서 스트레스가 더 커진다. 또한,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이 아마도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모든 횡단면 굴곡의 가장 날카로운 것을 나타낸다고 가정하고, 그리고 이들 벤드가 압축된 내부 유체가 재 구성해야하고 이로부터 압축된 물품이 벗어나야 하는 이완된 구조 형태를 나타낸다고 가정할 때,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은 과도한 내압 유도 실패에 가장 영향받고, 이러한 이유중 하나는 그 사실상의 인플레이트된 형상이 그 이완된 디플레이션 구조 형상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적어도 한 실시예에서, 치소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굴곡 반경 증가 요소는 그 인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의 굴곡 반경을 증가시킴으로써 그리고 그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그 반경을 증가시킴으로써 인플레이터브 블래더의 가장 영향받기 쉬운 영역-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에서의 실패를 방지 또는 적어도 지연시킨다. 이와 관련하여,타이트 횡단면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굴곡의 한 원인은 반드시(의도적으로) 각각의 작은 굴곡 반경과 함께 타이트한 폴드를 포함할 수 있는 디플레이트된 사실상의 편평한 구조로 블래더를 가황처리하는 제조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적어도 한 실시예의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사실상 연신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의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2)는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저장 설비 장치로 나타낼 수 있다, 그 이유는 디플레이트된 구조로 이완시키며 대충 유사한 예상 가능한 디플레이트된 구조를 갖는 블래더를 형성하는 블래더의 디플레이트된 구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한편, 인서트(2) 없이는 수 용불가능하도록 인플레이션 실패 유도 폴드로 인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사실상 연시신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2)는 저장 작용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그 것은 팽창된 프로파일,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로 하여금 받침 또는 인접 저장 디플레이트된 블래더(코일에서 처럼)로부터 형성되는 압력을 견디도록 하거나 디플레이트된 블래더와 유사하게 어떠한 아이켐의 교체로부터 일어나기 때문이다. 인서트(2) 없이(또는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이 증가된 최소 굴곡 반경을 갖도록 적극적으로 형성되지 않는다면), 저장 압력(코일로부터 형성되는)은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에 구조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조 공정에서 소망의 인플레이트 가능한 물품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 비선형 폴드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서, 본 명세서에서 나타낸 모든 도면이나 설명은 적어도 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1을 참고하면, 이러한 인플레이터블 물품의 절단면이 나타나 있다. 인플레이터블 블래더 막(3)은 사실상 연신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압축된 부재 또는 압출물일 수 있음) 주위을 둘러싼다. 공기는 호스(4)(또는 일반적으로 압축된 유체 콘베이어)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인서트 요소(2)는 탄성일 수 있지만, 기타 적합한 재료(예, 중합체)이고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2에서, 도1에 나타낸 인플레이터블 물품의 절단 평면도를 나타낸다. 인플레이터블 막(3)은 압출된 부재(2)를 포함한다. 압출된 부재(2)는 인플레이터블 물품(3a) 주위에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너 부재(또는, 서로 다르게,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코너 폴드 막 인서트 요소)(1)는 코너에서 인플레이트된 스트레스를 구해주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공기 또는 기타 유체는 코너 부재1를 통해 또는 튜브, 호스 또는 벌크헤드형 피팅에 의해, 또는 이하 설명되는 개선된 피팅을 통해서 도입될 수 있다.
사실상 연신되고, 사실상 횡단면적으로 드롭 형상을 갖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는 수개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인서트 요소는 사실상 연신되고, 유연하게 횡단면적으로 굴곡진 반 실린더 형의 내부 디플레이티드 블래더 폴드 막 표면 접촉성 요소(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반원 내부 폴드 막과 접촉할 수 있는 인서트의 표면부임); 사실상 연신되고, 유연하게 횡단면적으로 굴곡진 반 실린더 형의 내부 디플레이티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 접촉성요소에 응답하는, 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티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1006); 상기 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에 응답하는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 교차 정점(vertex) 요소; 및 각각의 상기 사실상 연신되고, 유연하게 횡단면적으로 굴곡진 반 실린더 형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 접촉성 요소, 상기 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 및 상기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 교차 정점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실상 연신되고, 유연하게 횡단면적으로 굴곡진 반 실린더 형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 접촉성 요소(9)는 내부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 표면과 접촉하고 반 실린더형(이러한 실린더가 원 단면에만 한정되지 않음)인 부분이다.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이 적어도 디플레이트된 구조에서 접촉할 수 있는 유연한 횡단면 굴곡을 갖는다. 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1006)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1007)에 인접한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막(1008)의 표면(통상적으로 이들 표면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과 접촉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모든 굴곡부가 횡단면에서 유연하게 되어 있는 한, 파상 표면은 사실상 평면으로 될 수 있다(또한 각 요소는 사실상 평면이고- 2개의 요소가 반드시 사실상 동일한 평면인 경우는 아님). 그들의 평면이 서로에 대해 경사져 있을 지라도, 2개의 요소는 사실상 대향할 수 있다.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접촉성 요소 교차 정점 요소는 사실상 선형(굴곡져 있을 지라도)인 정점에서 2개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이다. 모든 표면 접촉성 요소는 인서트의 표면에 위치한 인서트의 부분에 해당한다.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 바디 요소는 기타 상기 인서트 부분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는 표면 접촉성 요소의 구조 내부(내부 막 표면과 접촉과 무관한 교차 정점 요소)인 경우 뿐만아니라 인서트 요소의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가 이를테면 중공 인서트의 강한 재질의 표면 접촉성 요소(및 교차 정점 요소)에 의해서 제공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러한 경우에, 표면 접촉성 요소는 강한 재질의 표면이 된다.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 바디 요소는 중공 인서트의 경우에 표면재로 될 수 있다.
도2에 나타낸 횡단면3-3은 도3에 나타나 있다. 압출된 형상(2)(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중 하나의 대부분의 표면에서)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3)의 부분(1005)(이 부분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임)까지 표면(8)을 따라서 접합(또는 접착)되어 있으나 표면(7)이나 원형 아크 표면(9)를 따라서는 접합되어 있지 않다. 2개의 사실상 대향하는 사실상 평면의 내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표면 접촉성 요소중 하나의 대부분의 표면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표면(즉, 폴드 벤드 자체의 내부 막)에 접착될 수 있다. 홀(5), 일반적으로 가로 방향의 공극이 종방향 공극 함유 디플레이트된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1009)를 통해서 인플레이트 가능한 물품의 주변을 둘러싸고 인플레이션 가스나 유체를 투과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서트 요소는 압축된 유체 운반성, 종방향 공극 함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일 수 있다. 상기 가스 또는 유체는 벤트 홀(6)을 통해서 연속 홀(5)로부터 통과하거나, 블래더 내부-종방향 공극 유체 운반 공극은 내부 요소(1009)에서 발견될 수 있는 종방향 공극에 유체적으로 응답한다.
서로 다른 형태의 인플레이트된 물품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의 서로 다른 수와 구조로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 다음의 인플레이트성 블래더; 유체 운반 호오스(1010); 인플레이트성 탄성체 댐(1011); 팽창 호오스(1010); 인플레이트성 잭(인플레이션 시 아이템을 상승시키는 데 사용된 요소 형태); 독크 범퍼; 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패널(아마도 인플레이트성 바닥 힌지된 물 게이트 패널)액추에이터 장치(1012); 던니지(dunnage) 백; 및 인플레이트성 밀봉체(인플레이션 시 장치의 어떤 형태)는 2개의 종방향, 사실상 평행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을 따라, 또는 4개의 장방향으로 위치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을 따라, 또는 하나의 유연한 연속(원, 타원형)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을 따라, 또는 한쪽 단부 폴드 막과 대각선인 2개의 평행,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과 하난의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단부 폴드 막을 따라 스트레스 릴리스 인서트를 가질 수 있다. 인플레이트성 탄성 댐과 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패널(인플레이트성 바닥-힌지된 물 게이트 패널)액추에이터 장치는 다음을 따라서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또 다른 실시예): 하나의 범람 직각의 종방향(길이를 의미)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더 막; 및 하나의 범람 직각 종향향의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과 2개의 평행, 범랍 배열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단부 폴드 막. '범람 직각(또는 범랍 배열)'이란 용어는 물이 발생하는 경우에 범람 방향과 직각 방향을 의미한다. 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막(1013)은 게이트 패널의 상향류 선두 엣지(도 14 참조)와 게이트 패널의 하향류 선두 엣지(도101 참조) 하향류를 회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 5, 6 및 7에서, 내부 스트레스 릴리프 프로파일에 외부 호오스를 접합시키는 임의의 사전 성형된 탄성 피팅(1)이 나타나 있다.
도8에서, 인플레이트성 물품(3a)의 횡단면이 디플레이트된 상태로 나타나 있고, 인플레이트된 물품(3a)에 대한 스트레스 릴리프 프로파일(2)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9에서, 상기 인플레이트성 물품(3a)가 상기 인플레이트된 물품의 내부에 고정된 스트레스 릴리프 프로파일(2)와 인플레이트된 구조로 나타나 있다. 특정 용어의 정의에 대해서는, 독크 범퍼 요소는 단순히 독크 범퍼의 팽창성 부분일 수 있으며; 인플레이트성 밀봉 요소는 인플레이트성 밀봉체의 팽창성 부분일 수 있고; 인플레이트성 잭 요소(유연한 둘레 또는 사실상 장방형)는 인플레이트성 잭의 팽창성 부분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식 방수 게이트의 횡단면도이다. 릴리프 홈(23)은 에어 피팅(24)를 중공 스트레스 릴리프 압출(2)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게이트 패널(24)는 힌지 리테이너(26)의 수단에 의해 힌지 플랩(25)에 고정될 수 있다.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1014)는 제조 공정(가황과 같은) 후에 힘에 의해 또는 분해(즉, 분해성,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에 의해 제거괼 수 있으므로(예, 제거 가능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인서트 요소인서트 요소종 인플레이트성 제품에 남아있지 않고, 대신에 제조 공정(가황과 같은) 동안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를 적극적으로 일치시키는 데 사용된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 의도는 그러한 형상이 제조 후에 유지되고, 디플에이트된 구조에서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의 최소 굴곡 반경 적극적으로 일치하는 인서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 크고, 그 결과, 디플레이트된 폴드 막에서 인플레이트된 스트레스는 인플레이션 동안의 겻보다 작다. 이러한 적극적으로 일치된 인플레이트성 블래더 장치(1015)는 강도 증진 인플레이트성 블래더 장치라 불리울 수 있으며, 최소 굴곡 반경(1017)에서 인플레이트된 블래더 스트레스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적극적으로 일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치된 인플레이트된 스트레스 감소(또는 분배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요소(101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프로파일(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근처에 있는 블래더 막의 프로파일)(1018)은 약 30도 이상의 디플레이션 구조 공극 프로파일 점 각도(point angle)(1020)을 나타낸다. 최소 굴곡 반경(1017)에서 인플레이트된 블래더 스트레스를 크게 감소시키도록 일치되는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 요소(1016)은 분해성 또는 제거 가능한 인서트를 사용하여 적극적으로 일치될 수 있으므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1016)의 최소 굴곡 반경(1017)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에서 실패를 야기시키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기능적으로 크게 증가시키는 경우에 그 점까지 증가된다. 블래더 구조는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의 최소 굴곡 반경의 증가가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인접 막 프로파일(1018)의 디플레이션 구조 공극 프로파일 점 각도(1020)로 증가딜 수 있고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 막을 적극적으로 일치하도록 제거성 또는 분해성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의 사용은 이 점 각도(1020)을 약 30도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중요한 것은, 단일 단계 가황 공정 동안 강도 보강 인플레이트성 블래더 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적극적으로 일치된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와 관련된 제조 공정은 인플레이트성 블래더 실패 내성 증진 방법이라 불리울 수 있으며 종방향 릴리프 요소를 분해적으로 제거(또는 단순히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프 요소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2가지 예로서 공융 염 스트레스 릴리프 요소 또는 알루미늄 스트레스 릴리프 요소로 될 수 있다.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에 관한 방법은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가 제거 또는 분해되는 경우와 무관하게 인플레이터블 블래더 실패 내성 증진법이라 불리울 수 있다. 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또는 인플레이트성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라는 용어는 물 게이트 패널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 인플레이트성 블래더이다.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또는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는 물 게이트 패널(방수로 게이트 또는 운하 또는 둑 게이트와 같은 기타 물 조절 게이트 외에도 오버탑 교통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을 작동시키는 어떠한 형태의 액추에이터 에 관한 것이다.
도10에서, 인플레이트성 탄성체 댐은 상세한 조건으로 나타나 있다. 인플레이트성 탄성 댐 블래더(3)는 상향류 단부(10)에서 부분 11a, 11b, 11c, 11d 및 11e로 구성될 수 있는 쐐기형 클램프 보유 요소(1021)(또는 쐐기형 인플레이트성 막(또는 블래더)-기초 클램프 보유 요소)를 포함 할 수 있는 인플레이트성 댐-기초 부착 요소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또는 사실상 편평한 인플레이트성 막-기초 클램프성 보유 요소(1022)와 콤마형 인서트21을 포함할 수 있는 인플레이트성 막-기초 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1023)을 포함할 수 있는 부착 요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유체 입구 요소(24)는 아이템을 작동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인서트 플라이(12)는 인벨롭이 외부 클램핑 력으로 제로로 불충분하게 인플레이트되는 경우 인열이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핀(또는 다르게는 인플레이트성 탄성 댐 오버탑 홍수 편향 핀 또는 범람 편향 핀이라고 불리움)(14)는 동심원(인플레이트된 블래더의 반경)으로 설치되는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15)와 내부적 보강 층(16)을 포함할 수 있고, 탄성 댐으로부터 오버탑 플로우를 멀리 돌아가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돌기로 될 수 있다. 어떠한 보강층도 보강된 블래더 플라이 또는 보강된 층이라 불리울 수 있으며 이를테면, 케블라(kevlar), 나일론,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섬유 또는 직물, 또는 어떠한 형태의 꼬은 코드, 와이어 로프, 꼰 로우프, 짠 직물, 또는 직물이 탄선 재료로 덮히거나 매립될 수 있다. 핀(14)의 보강재(16)은 핀(14)의 강도 경직성을 증가시킨다. 핀은 최소 블래더 폴드 막 굴곡 반경이 동심원적으로 및 내부적으로 인플레이트성 탄성 댐 오버탑 플로우 편향 핀(오버탑 플로우 편향 핀 인접 블래더 폴드 막이라 불리울 수 있음)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가 부착괴거나 증가된 최소 굴곡 반경을 갖도록 적극정으로 일치될 수 있는 인플레이트성 막은 플로우 편향 핀 인접 내부 블래더섹션이라 불리울 수 있고, 약 30도이상의 공극 포인트 각뿐만아니라 사실상 원형 아크 내부 블래더 굴곡부(10,24) 및 둥근 내향 포인팅 굴곡부(1017)을 나타낼 수 있다. 이는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폴드가 브라켓(})형(1025)를 갖도록 나타나 있고, }(1026)의 오른쪽 포인트에서 일어나는 극도의 스트레스 집중으로 예민한 폴드를 갖도록 고안이 개선되었다. 관련된 방법은 인플레이트성 탄성 댐 실패 내성 증진법이라 불리울 수 있다.
도11은 인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도10의 인플레이트성 댐을 나타낸다. 인플레이트성 막(3)은 핀(14)와 스트레스 릴리프 압출(2)을 정위치로 유지한다. 클램프(17)은 인플레이트성 댐을 방수로(18)에 유지한다. 블래더 막(3)의 내부 표면은, 디플레이트된 막(3)이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2)와 일치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존재할 수도 있는 스트레스 집중의 결핍으로 인해 안전한 스트레스 스트레인 제한지 내에서 머물도록 고안될 수 있다.
도12에서, "콤마"형 인서트(21) 및 인열방지 보강재(12)와 곤련하여 단순한 장방형 클램프(18)를 사용하는 또다른 인플레이트성 댐이 나타나 있다. 스트레스 릴리프 형상(2)와 핀 인서트(15)를 포함하는 인플레이트성 막(3)의 두꺼운 부분은 방수로(22)의 요홈 내에 존재한다. 너트(20)는 앵커 볼트(19) 상에 클램프(18)을 유지한다. 인플레이트성 댐으로의 공기 연결부(24)는 디를페이트된 막3의 상하 부분 사이에서 공기에 대한 공간을 제공하는 성형된 홈(23)의 수단에 의해 중공 압출2로 연결될 수 있다. 인플레이트성 댐은 공기 공급 피팅(24)로 뎐결된 진공 시스템의 수단에 의해 대기압 이하로 내부 압력을 낮춤으로서 디플레이트될 때 유도된 플로우 유도로 덜 진동 손상되게 한다. 이는 막(3)을 인서트(2)로 밀착시키게 하여 종래의 구조에서의 손상 문제로 알려진 위치에서 더 견고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13은 인플레이트된 구조에서 도12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인플레이트성 댐이다. 인서트(21)는 클램프바(18)에 포지티브 접합을 제공한다. 단계22는 방수로(118)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단계22는 상기 인플레이트성 댐의 상부 표면의 레벨 프로파일을 유지하면서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지지되는 인플레이트성 댐을 형성한다.
제조 공정에 대해서, '압출적 제조'란 압출 제조 공정의 형태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성형적 제조란 주형 제조 공정 형태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15는 도14에 나타낸 방수로 게이트의 디플레이트된 공기 블래더(또는 디플레이트된 인플레이트성 물 조절 블래더 요소)를 나타낸다. 인서트 부재(21)는 플랫 부분(28)의 상향류에 위치한다. 플랫 부분(28)을 통한 홀(29)는 도14의 클램프바(118)과 조립된다. 물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또는 게이트 페인 힌지 플랩 요소)(25)의 확대 부분(27)은 힌지 플랩으로 하여금 도14의 힌지 리테이너(26) 아래로부터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인열방지층(12)(또는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적분식으로 결합된 애부 블래더 층)은 클램프되지 않거나 느슨하게 클램프된 조건하에서 인플레이트성 액추에이터 블래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부착 요소에 지지를 제공하는 루우프(1030)을 갖는 외부 블래더 층의 경로를 따르는 대신에 인열 방지층12는 부착 요소(1032)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연장된루우프를 형성하는 상하 설치된 구조 블래더 층 사이에서받침대 조인트(1031)을 역전시킨다. '내부 블래더 층'이란 용어는 최외층 블래더 이외의 어떠한 층을 나타내는 것이다.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인 적분식 결합된 내부 블래더층은, 일반적인 벡터가 유지된 물 수평 방향 힘 성분(오버플로우 방향)에 사실상 수직이고, 블래더 팽창 축(일차적 팽창 및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축)과 평행한 평면 내에 위치한 원주(원일 필요는 없음)를 따라 연속적인(즉, 또다른 파트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는 것처럼 받침대 조인트(1031)를 형성하지 않음)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인열 방지층은 최내부 보강 블래더 플라이(1033)일 수 있고,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오버플로우 직각(또는 상향류 또는 하향류)의,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조인트 역전 플라이(1034)(적어도 하나의 보강 플라이 및/또는 오버플로우 직각 디플레이트된 블래더 조인트 역전 플라이, 상향류 또는 하향류를 의미)일 수 있다. 적분식으로 결합된 내부 블래더 층은 일어나는 플로우 방향에 수평 및 정상적인 설치된 구조(즉 설치된 인플레이트된 구조 종방향 중심 축) (1035)에서 종방향 중심축을 가질 수 있다. 물 조절 블래더 요소는 설치된 물 조절 게이트 패널 바닥 엣지에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물 조절 블래더 요소가 물 조절 게이트 패널 엣지(설치된 구조에서 바닥 엣지임)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단순히 의미한다.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기초 부착 요소(1032)(또는 인플레이트성 막-기초 부착 요소, 또는 인플레이트성 블래더-기초 부착 요소)는 도15에 나타낸 플랫 클램프성 섹션일 수 있는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기초 클램프성 보유 요소(또는 인플레이트성 블래더-기초 클램프성 보유 요소)(1022)를 갖는 것으로 나타냈다.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기초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또는 인플레이트성 블래더-파운기초 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1023)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콤마형 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21일 수 있으나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기초 부착 요소(1032)는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형 게이트 패널-액추에이터 클램프 보유 요소(또는 쐐기형 블래더-기초 클램프 보유 요소)(1021)일 수 있다. 그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기초 부착 요소는 방수로(도92의 1035)나 도로 기초, 또는 물 경로 기초, 또는 홍수 경로 기초에 모든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를 부착시키는 작용을 한다.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는 또한 압축된 유체 주입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물 게이트 패널과 과다한 물 게이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와 함께, 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패널 액추에이터 장치(바닥에 힌지될 수 있음)는 인플레이트 가능하도록 작동된 물 게이트 패널 시스템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트성 물품 강도 보강 방법은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주 내에 속한다. 이러한 한가지 방법은 연속적으로 결합된 수직 방향 평면 돌출부(적분식으로 결합된 내부 블래더 층을 기술하는 또 다른 방법)(1033)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내부 층(예,가요성 섬유 보강 탄성층)을 설치하는 단계; 인플레이트성 물품 단부 섹션(종방향 블래더 섹션의 단부를 형성할 수 있음)을 설치하는 단계; 보강된 팽창성 내부층(1036)과 직접 또는 외부적으로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외층(1037)(이 경우 외층은 최내층 이외의 모든 층으로 정의함)의 일부만을 설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내층(1036)과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외층(1037)을 통해 유체 이동 포트(1038)을 형성하도록 압축된유체 주입 요소(24)를 설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냅층(1036)로부터 층 분기 라인(1039)(상기 받침 조인트와 일치)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보강된 팽창성 외층(1039)의 나머지 부분을 분기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보강된 팽창성 외층(1041)의 적어도 나머지 부분으로 인플레이트성 블래더-기초 부착 요소(104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레스 릴리스 인서트(2)는 중심을 통해 공기 공급 홀과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플레이션 동안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2)로부터 분리해야하는 인플레이트성 인벨롭의 부분은 수용성 종이, 실리콘 피복 나일론 릴리스 필름 또는 직물과 같은 수단에 의해 또는 접합제에 의해 가황공정 동안 접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B3에서, 홀(5)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2)는 내층(210)에 접합되는 릴리스 플라이(206)에 의해 위치(8)에서 접합된다. 내부 라이너(207)에 접합되는 것은 보강된 플라이(208, 209), 그 다음 외부 커버(210)이다. 스트레스 릴리프 인서트(2)는 영역(8)을 제외하고 접합되지 않은채 유지된다.
도 B4에서, 도 B3의 횡단면은 인플레이트된 구조로 나타나 있다.
도 B7에 나타낸 방수로 게이트의 디플레이트된 공기 블래더를 설명하는 도 B6에서, 인서트 부재(21)가 플랫 부분(29)의 상향류에 위치한다. 플랫 부분(28)을 통한 홀(29)는 도B7의 클램프바(118)과 조립되게 한다. 힌지 플랩의 확대부분(27)또는 물 게이트-인플레이트성 물 게이트 액추에이터 부착 요소)(25)는 도 B7의 힌지 리테이너(26) 아래로부터 힌지 플랩이 끌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압출된 형상(2, 21,27)을 통한 홀(5)는 제조 공정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압출된 형상의 위치에 사용된 위치 선정 와이어를 적용시킨다.
도B7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팽창식 액츄에이터 블래더(203)를 이용하며, 댐 배수로(18)상에 장치된 유압 배수로 게이트 시스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릴리프 홈(23)는 에어 피팅(24)을 공동 응력 릴리프 사출물(2)에 연결한다. 게이트 판넬(24)은 힌지 리테이너(26)에 의해 힌지 플랩(25)에 고정된다. 팽착식 액츄에이터 블래더(203)는 클램프 바아((118))에 의해 댐 배수로(30)에 클램프된다.
도B7의 A-A 선단면도인 도B8을 참고로 하면, 공급 홈(23)가 팽창 부재 막(3)의 내면(119)으로 몰딩된다.
도16은 도14의 A-A 선단면도로서, 팽창막(3)으로 몰딩된 에어 공급 홈(23)를 나타내고 있다.
도60a, 60b, 60c, 및 60d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래더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클램프된 부분(861)는 예컨대, 단순한 사각 강철 클램프 바아에 의해 댐 배수로에 고정된다. 블래더(853)의 수직면(865)은 힌지 플랩(862)의 작동 범위를 통해 상기 클램프 바아에 단단히 정합되도록 몰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클랩프 바아와 힌지 플랩(862) 사이에 자갈과 모래가 트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에어 블래더(853)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팽창 캐비티(866)는 대략 위치(866a)까지 업스트림을 연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강화재는 유동방향에서 블래더의 축 방향으로 약 54도 44분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다. 상기 코드 각에 의하면, 가압과정 중 상기 에어 블래더가 그다지연신되거나 수축되는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상기 강화 코드 플라이는 바람직하게, 좌우 쌍으로 사용된다. 상기 에어 블래더의 팽창부는 바람직하게, 상기 에어 블래더의 원주를 둘러싸고 좌우 방향으로 대략 상술한 각도에서, 임의의 슬라이스에서도 충분히 중첩된 연속 강화재를 갖는다.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 중 전체 세 개의 플라이가 이러한 요구 조건에 부합하도록 함께 작동한다. 플라이(807)는 제1방향에서 상기 에어 블래더를 강화한다. 플라이(807)는 단순히 팽창 캐비티(866)를 에워싸고 스스로 중첩되어 슬라이스 튜브형을 형성한다. 플라이(808)는 상기 에어 블래더를 제2방향에서 강화하는 작용을 한다. 플라이(808)의 상하부는 클램프된 부분(861)을 가로질러, 업스트림 삽입물(821) 주위, 플랫 클램프된 부분(861)을 가로지르는 다운스트림 뒤, 힌지 플랩(862)을 가로질러, 힌지 플랩 삽입물(827) 주위, 힌지 플랩(862)을 가로지르는 업스트림 뒤, 클램프된 부분(861)를 가로지르는 업스트림 앞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삽입물(21) 근방에서 종지된다. 플라이(807 및 808)는 플라이(808)가 업스트림을 클램프된 부분(861) 밑으로 연장시키는 불연속성을 제외하고는 팽창 캐비티(866) 주위의 연속적인 강화를 위하여 함께 제공된다. 클램프부(61)가 단단히 클램프되는 경우, 상기 플라이(807 및 808)는 충분히 팽창 캐비티(866)를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클램프되지 않거나 느슨하게 클램프된 상태 중에서도 충분한 강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팽창 캐비티(866)의 업스트림 단부에 플라이(808)와 동일한 플라이 방향으로 연속 강화를 제공하기 위하여 플라이(860)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에어 블래더는 클램프되지 않고 안전하게 팽창될 수 있으며, 댐 배수로에 느슨하게클램프됨으로 인한 조기 고장의 염려가 없다.
도17 및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팽창 호스를 나타낸다. 응력 릴리프 삽입물(2)은 상기 호스 제조를 촉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심해 침수 중에서와 같은 높은 외압 조건하에서 상기 호스의 완전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완전 붕괴는 응력 릴리프 삽입물(2)을 결하는 선행기술의 플랫 호스에 유해한 응력을 부여할 수 있다. 팽창 호스에는 확장 호스 (호스 팽창력이 기계적 압력 부여 장치로 작용하게 함) 뿐 아니라, 주기능이 유체를 운송하는 것이고, 그 팽창은 단지 임시적이며, 팽창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예컨대, 확장 호스의 정도까지는 아님에도 불구하고), 팽창 호스 군에 포함될 수 있는 유체 컨베이 호스도 포함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두가지 유형의 호스 및 이에 관한 모든 팽창 부재가 가압부재로서 언급될 수 있다.
유체 컨베이 호스(1010)는 일부로서, 가압 유체,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컨베이된 가압 유체가 배출되게 하는 별도의(일정 시점에서 입구 요소와는 다른 것을 의미함) 가압 유체 출구 요소를 방향성 있게 가압 운반하는 유체 컨베이 요소(1042)를 포함한다. 확장 호스(또는 팽창 호스)는 확장 호스 요소(1042)(충분히 가압된 경우, 외압 또는 다른 팽창 막 이동(displacement)을 부여하도록 호스를 연장함) 및 가압 유체 출구 요소로서도 작용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팽창 블래더-기초 클램프((118))(팽창 블래더-기초 부착 요소(1040)의 클램프 가능한 보유 요소(1022)를 클램프함)의 인접면(1051)에단단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 (팽창 워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체형 워터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1050)에 관한 것이다. 예비적으로, 일체형 워터 게이트 힌지 플랩은 워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와 일체형인 플랩이고, 워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에 대한 게이트 패널용 부착 요소로서 작용하고, 일체형 워터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 부착 요소로 칭할 수 있다. 필수적으로, 일체형 워터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1050)은 팽창 블래더-기초 클램프((118))의 오버플로우 직교(예컨대, 다운스트림) 수직면(1051)에 인접하는 코너(1053)가 증대된 엣지 요소인 오버플로우 직교, 수직, 팽창 블래더-기초 클램프 면 인접, 코너-증대 엣지 요소(10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엣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모든 오버플로우 직교, 수직 팽창 블래더-기초 클램프 면(1051)의 모든 근접부를 실질적으로 접하도록 구성된다. 조립법은 오버플로우 직교, 수직, 팽창 블래더-기초 클램프 면(1051)에 고정되도록, 일체형 워터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 부착 요소(1050)의 상부 엣지를 코너-증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부재 제조법은 팽창 블래더 제조 프레임(211)에 반응하는(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를 생성하도록 주위의 탄성 재료 층을 구부리는 견고한 지지체로서 작용)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를 설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최내측 블래더 층(207)을 형성하기 위하여,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층(207)의 적어도 일부를 접는 단계(촉진 요소와 층 사이에 접촉이 불필요); 대면하는 최내측 층(1060)을 형성하는 단계; 대면하는 최내측 블래더 층(1060)의 인접을 방지하는 단계(예컨대,가압 유체의 유입이 캐비티를 확장시키도록 면직물 또는 다른 비-부착성 시이트(206)를 최내측 층 사이에 삽입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및 적어도 하나의 형성된 탄성 폴드로부터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 (201)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굽힘 저항은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 주위에 탄성층을 단단히 구부리려고 하는,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의 길이에 수직하여 발생하는 굽힘에 대한 저항(제조 공정(대개 수동 공정) 압력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술한 굽힘 저항에 있어서,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는 굽힘과 관련하여 모든 편향(deflection) 또는 이동(displacement)에 내성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정도에 따라 어느정도 블래더 완제품의 일체성 및 형상을 손상시킬 수 있다.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는 실질적으로 일직선,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일 수 있으며; 신장 와이어(또는 케이블),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일 수 있고; 신장 로드,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1061)일 수 있으며; 금속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일 수 있다.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의 신장단계는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신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은 수압(자동 또는 수동)적으로 행해질 수 있으며, 단독 또는 다른 모드에 부가하여 행해질 수 있다. 적어도 두개의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두개의 평행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생성 촉진기(1062)를 포함하며, 이 단계 자체가 적어도 두개의 평행,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1062) 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횡단 드롭형, 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막 삽입 요소(2)를 설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평행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기(1062)의 상이한 적어도 하나 주위에 블래더-기초 클램프 보유 증강 삽입물(1023)(기초에 대한 블래더의 클램프 보유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삽입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평행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기(1062) 중 상이한 적어도 하나 주위에 패널-패널 액츄에이터 요소 클램프 보유 증가 삽입물(1065)(그 액츄에이터 요소에 대한 워터 게이트 패널의 클램프 보유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며, 팽창될 수도 있는 임의의 삽입물)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평행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기(1062)를 설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네 개의 직각 배열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기(1067)를 설치하는 단계(이 단계는 더 많은 평행 (또는 다른 배향의)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기를 형성하는 단계의 부가를 배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은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횡단 드롭형,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막 삽입 요소(2)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단계는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층(207)의 적어도 일부를 접는 단계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은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클램프 보유 촉진 삽입물 요소(1068) (클램프된 부분에 작용하는 힘을 방해하는 일종의 장애물을 제공함으로써 클램프 보유 또는 임의의 요소를 증강하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삽입물)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굽힘 저항 디플레이트 블래더 폴드 형성 촉진 요소(201)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층(207)의 적어도 일부를 접는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도B1을 참고로, 강성 프레임(211)은 와이어(201)를 위치시키며, 와이어는 조임 요소(204)에 의해 신장된다. 안쪽 라이너(207)에 결합되는 릴리즈 플라이(206)는 와이어(201)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개구(212)는 안쪽 라이너(207)가 자체 결합하도록 릴리즈 플라이(206)의 팽창 부재의 각 코너에서 시일을 형성한다. 제1 강화 플라이(8)가 나중에 안쪽 라이너(207) 주위를 감싸고, 이후 제2강화 플라이(209)에 의해, 그 후 외부 커버(210)에 의해 싸여진다.
도B2를 참고로, 응력 릴리프 삽입물(2)은 와이어(201)상에 위치한다. 팽창 막(3)은 응력 릴리프 삽입물(2) 주위를 단단히 감싼다.
도B5를 참고로, 와이어(201)는 차례로 후속 플라이가 부가되는 직사각 박스형을 한정하는 릴리즈 플라이(206)를 위치시킨다. 릴리즈 플라이(206)는 코너 영역(212)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코너 영역(212)은 밀폐 결합되어, 가황공정 중 영구 시일을 제공한다.
도B9를 참고로, 와이어(212)를 한정하는 엣지는 와이어(201)를 한정하는 엣지에 부착될 수 있고 와이어(1)을 한정하는 엣지의 편향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도B10를 참고로, 지지 프레임(211)은 조임 수단(204)에 의해 고정된 와이어(201)를 위치시킨다. 세 개의 평행 와이어(201) 세트(229)는 도B6에 도시된 힌지 플랩 삽입물(27)과 같은 보조 특징부를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B11을 참고로, 단일 와이어 로프(228)는 팽창 부재(218)의 네 개의 엣지 모두의 위치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고정 부착물(214)과 결합하여, 에어 실린더와 같은 조임 수단(또는, 신장 요소)(304)은 신장된 와이어 로프(228)를 유지하는 데 사용된다. 링(223)은 팽창 부재(218)의 코너(226)에서 와이어 로프(228)의 인접 런을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도B12를 참고로, 팽창 부재(218)는 몰드(314)내에 위치한다. 몰드(314)내의 홈(315)는 위치결정 와이어(201)(다른 형상)가 홀(5)로부터 떨어져 나간 후, 응력 릴리프 삽입물(2)이 몰드내에서 제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사용된다. 택일적으로, 홈(315)와 유사한 홈가 이러한 몰드의 일측에만 제공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경사각 엣지를 가지는 팽창 부재(318)의 평면과 다소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플랫 툴이 사용된다.
도B13을 참고로, 상기 강화 층(222)이 상기 와이어(201) 주위에 접혀지기 전에, 바이어스 플라이 강화 층(222)이 와이어(201)에 대해 제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B14을 참고로, 표준 이중 단부 미늘(barbed) 호스 니플과 같은 에어 피팅(216)은, 차례로 와이어(201)상에 있는 튜브(217)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팽창 부재(318)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서 에어 피팅(216)을 고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오버톱 트래픽을 수용할 수 있는 저수 장치는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2000)(예컨대, 팽창 액츄에이터);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가 반응하고, 횡단 확대,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클램프 보유 개선 요소(2001)를 포함하는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부착 요소(1032)(몇몇 실시예에서와 같이, 쐐기형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클램프 보유 요소(1021)를 포함하거나 또는 원형 단면 (예컨대, 콤마형),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 삽입물(21)을 포함할 수 있음) ;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2000)에 반응하는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401)(예컨대, 하강하였을 때, 다양한 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오버헤드 트래픽을 지지할 수 있는 워터 콘트롤 게이트);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가 반응하는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S-타입 신축성 힌지(2002), 일체형 에이트 신축성 힌지(2003), 모듈형 에이트 신축성 힌지(2004), W-형 신축성 힌지(2005), 및 압축 힌지 (2006)일 수 있음); 신축성 섬유 강화힌지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힌지-저수 요소 부착 요소(2007)(저수 요소에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요소); 및 신축성 섬유 강화힌지 요소가 반응하는 힌지-기초 부착 요소 (2008)(몇몇 실시예에서, 인접 도로, 보도, 철도 트랙 지지물인 기초에 힌지의 반대면을 부착하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요소)를 포함하며,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401)의 회전 축(힌지 축과 정확하게 상응)이 실질적으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 단부(2011)에 있고,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401)이 플러쉬 상부 트래픽 표면(2012)을 갖는다(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가 길이방향으로 플러쉬 될 뿐 아니라, 직교 단부( 2013)가 근접 비-저수 구조물 표면에 의해 플러쉬되는 것을 의미함). 부착 요소에는 클램프를 포함될 수 있다. 플러쉬는 갭, 리지 및/또는 밸리가 전혀 없을 필요는 없으나, 그 표면을 따르는 트래픽 통로에 실질적으로 손상을 주거나 이를 안전하지 못하게 할 정도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장치는 적어도 힌지(예컨대, 일체형 에이트 신축성 힌지)의 상반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쌀 수 있는 탄성 힌지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의 신축성 섬유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꼰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 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꼰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꼰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신축성 섬유일 수 있다. 장치는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에 주축 반응하며, 힌지 위에 플러쉬 표면을 제공하며, 저수 요소(401)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선회하는 표면 힌지 커버(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401)는 오버톱 차량 트래픽 저수 요소(2015)(차량 트래픽을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 오버톱 보행자 트래픽 저수 요소(보행자 트래픽을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 및 오버톱 철도 트래픽 저수 요소(2016)(철도 트래픽을 지지할 수 있음을 의미)일 수 있다.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2000)는 (저수 요소에 대하여) 다운플로우-사이드 배치 또는 저수 워터-사이드 (또는 업플로우) 배치된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2018)이다(도101참조). 또한, 저수 요소 과회전 억제 요소, 또는 상승 저수 요소 위치 유지 요소(421)(저수 요소의 바람직하지 못한 과회전을 억제하는 작용)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과회전 차단 스톱(도102a에 도시)이며, 이는 아마도 상승 위치에서 저수 구조물에 인접한, 기초 부분 상에 위치한 (예컨대, 접합부) 임의의 저수 요소 회전 차단부이다.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가 저수 워터-사이드 배치된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도101 참조)인 구성에 있어서, 오버톱 트래픽 저수는 부양성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이거나, 또는 장치가 부양성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가 부양가능하게 반응하는(부양성 액츄에이터 요소의 부력이 저수 요소를 상승시키는 것을 의미) 부양성 저수 액츄에이터 요소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부양성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는 실질적으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 아래에 설치되며 또는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의 일부를 형성한다.
다른 저수 요소 장치는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도103 참조)(예컨대, 저수 요소, 예컨대, 하강 구조에서 오버헤드 트래픽을 지지할 수 있고 부양성 요소에 의해 상승될 수 있는 게이트);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가 반응하는 신축성 섬유 강화힌지 요소;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에 반응하는 힌지-저수 요소 부착 요소(2007); 부유 요소(2009)(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의 외부에 위치) 및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가 반응하는 힌지-기초 부착 요소(2008)를 포함하며,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는 플러쉬 상부 표면을 갖는다.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의 회전축(힌지의 회전축에 정확하게 상응)은 실질적으로 저수 요소 단부(2010)이다. 또한,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는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차량 트래픽 저수 요소,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보행 트래픽 저수 요소, 및/또는 부양 상승가능한 오버톱 철도 트래픽 저수 요소이다. 힌지-저수 요소 부착 요소 (2007)는 단면 확대 클램프 보유 개선 요소(2001)를 포함한다(실시예에서, 쐐기형 클램프 보유 요소(1021) 또는 예컨대, 콤마형과 같은 원형 단면 클램프 보유 증강 요소 삽입물(21)을 포함). 유사하게, 힌지-기초 부착 요소(208)는 횡단면 확대 클램프 보유 개선 요소(2001)를 포함한다. 플랫 요소는 오버톱 트래픽 저수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바닷물의 범람을 방지하는 데 특히 적합한 다른 저수 장치는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도102 참조);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가 반응하며, 횡단면 확대,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클램프 보유 개선 요소(2020)를 포함하는 팽창 액츄에이터-기초 부착 요소;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2000)에 반응하는 저수 요소(2021); 저수 요소(2021)가 반응하는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 신축성 섬유 강화힌지 요소에 반응하는 힌지-저수 요소 부착 요소(2007), 및 신축성 섬유 강화 힌지 요소(2025)에 반응하는 힌지-기초 부착 요소(2008)를 포함하며, 저수 요소(힌지의 회전축에 정확하게 상응)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저수 요소 단부이다.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는 바다를 향해 배치된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 또는 강을 향해 배치된 팽창 저수 요소 액츄에이터 요소이다.
오버톱 트래픽 게이트는 예컨대, 중량 및 로드 솔트 이펙트(road salt effects)를 감소시키고 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다양한 합성 재료 예컨대, 구체적 실시예에서 유리 섬유, 트러스, 수지, 합성수지와의 결합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도C1를 참고로, 게이트 패널(401)은 힌지 수단(48)에 의해 차도(407)에 임베드된(embeded) 고정 프레임(406)에 고정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 요소 예컨대, 에어 블래더(403)는 수압(49)에 대하여 상승된 위치에서 게이트 패널 (401)을 지지할 수 있다.
도C2를 참고로, 게이트-하강 위치에서, 도C1의 게이트 어셈블리에 도시된 힌지의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패널(401)은 게이트 패널(401)을 고정 요소(49)에 연결시킴으로써, 코드(45)가 도8의 패턴으로 통과하는 슬롯(402)들을 결합시킨다. 고정 요소(49)는 코드(45)를 절단하지 않도록 둥근 엣지를 가지며, 마운팅 볼트(416)에 임베드된 프레임(406)에 고정된다.
도C3을 참고로, 게이트 패널(401)은 콘크리트(415)로 채워져 있으며, 그 하강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패널(401)의 외주변은 프레임 부재(413 및 414) 및 도시하지는 않은 상응하는 게이트 패널 단부상의 유사 부재에 의해 한정된다. 고정된 힌지 요소(409)는 도C6에 정의된 신축성 코드에 의해 가동 힌지 요소(412)에 결합된다.
도C4를 참고로, 게이트 패널(401)이 상승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하부 마찰 표면(427)은 앵커 또는 어셈블리(450)에 의해 콘크리드에 고정된다. 앵커볼트(416)는 클램프 바아(417)를 고정하며, 이는 차례로 화대 단부(418)에 의해 에어 블래더(333)를 고정한다.
도C5 및 C6을 참고로, 도C5는 게이트 어셈블리 힌지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C6는 게이트 어셈블리 힌지의 측면도상의 엣지를 나타낸다. 고정 구조물 부재(409)는 구조물 부재(409 및 442)내의 둥근 엣지 슬롯(402)을 통해 통과될 수 있는 신축성 신장 부재(445)에 의해 가동 구조물 부재(4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탄성 커버(412)는 신축성 신장 부재(445) 뿐 아니라 구조 부재(409 및 442)에 결합될 수 있다. 신축성 신장 부재(445 )는 구조 부재(409 및 442) 사이에 롤링 컨택이 일어날 수 있는 곳을 제외하고는 구조 부재(409 및 442)에 결합된다.
도C7을 참고로, 신축성 신장 부재(445)는 튜브형 부재(438) 주위를 둘러싸며, 롤링 컨택(441) 영역내에서는 튜브형 부재(438)에 결합되지 않고롤링 작용이 없는 영역(440)내에서 결합된다. 튜브형 부재(438)는 힌지 및 고정 구조물의 나머지의 일부가 되거나 이에 부착하는 구조 부재(439)에 연결된다.
각각 상승 및 하강 위치에서 게이트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C8 및 C9를 참고로 하면, 게이트 패널(401)은 콘크리트(415)로 채워지며, 힌지 플랩(436)을 차례로 홀딩하고, 게이트 패널(401)이 연결되는 클램프(437)를 보유하는 앵커 볼트(416)에 의해 기초(426)에 부착된다. 도로(407) 및 게이트 패널(401)을 가지는 유연한 표면 플러쉬를 제공하기 위해 충전재(423)과 함께 힌지 커버(422)가 사용된다.
도C10 및 C11를 참고로 하면, 철도 레일(429)이 게이트 패널(401)에 고정된다. 레일 세그먼트(430)는 브래킷(435)에 의해 기초에 선회 장착된다. 게이트 패널(401)은 디플레이트 에어 블래더(403) 및 베어링 패드(425)에 의해 레일 로드에 대하여 지지된다. 구속 체인(421)은 게이트 패널(401)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C12 및 C13를 참고로, 게이트 패널(401)은 에어 블래더(3)에 의해 지지되고 구속 부재(421)에 의해 구속되는 것이 상승 위치에서 도시된다.
도C14를 참고로 하면, 상승 위치에서, 게이트 패널(401)이 에어 블래더(333)에 의해 지지되며 힌지(448)에 의해 임베드된(embeded) 프레임(406)에 부착된다. 프레임(406)은 철도(407)에 의해 임베드된 플러쉬이다.
도D1, D2, D3, D4, D5, 및 D7를 참고로 하면, 게이트 패널(401)은 사이드 시일(56)에 대하여 에어 블래더(333)에 의해 지지된다. 고정된 힌지 요소(61)는 프레임 506, 홈 요소(51) 및 막대(52)를 포함하는 홈내에 에어 블래더(333)의 확대된 엣지를 보유할 수 있다. 고정 힌지 요소(61)는 잠금 수단(55)에 의해 임베드된 프레임(506)에 고정될 수 있다. 시일(56)은 파스너(58)에 의해 차례로 고정되는 리테이너(57)에 의해 벽(59)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블록-아웃(54)은 도D5는 일체의 임베드된 프레임 이다. 도D5의 임베드 프레임(506)은 상부 엣지(560), 프레임 요소(506), 프레임 요소(51), 막대(52), 및 에어 연결 블록-아웃(54)을 포함한다. 도D6를 참고로 하면, 확대 에어 블래더 엣지 의 다른 디자인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웨지(62)는 에어 블래더(333)의 강화 층(63)을 보유한다.
도 87a(게이트 상승) 및 87b(게이트 하강)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라이브-오버 치수(flood control) 게이트가 도시된다. 게이트 패널 (914)은 에어 블래더(333)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게이트(914)가 하강된 위치에 있으면, 게이트는 에어 블래더(333)를 통해 기초부(426)에 트래픽 부하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시트로부터 절단된 심(shim)은 균일한 부하 전송을 촉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게이트 비용 및 중량을 적절한 레벨로 유지하는 동안 진동 및 잡음 레벨은 최소화될 수 있다. 힌지 요소(90)는 바람직하게는 보강 고무 재료로부터 제작될 수 있다. 힌지 요소 클램핑부(92, 91, 914a)는 바람직하게는 보행자 및 차량 트래픽에 대해 안전할 수 있는 평탄한 상부면을 하강된 게이트 패널(914)에 제공하면서, 힌지 요소(90)에서의 인장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능한 높이 힌지 피봇 축을 설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시일 요소(92)는 게이트 패널(914)의 주변을 시일하도록 이용될 수 있으며,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시스템의 신뢰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먼지, 모래, 물, 로드 살트(road salt)의 침입을 최소화한다.
이동식 액츄에이터와 관련된 저수 조절 시스템은 다수의 워터 게이트 요소(워터 게이트 패널과 같은)(614a, 614b, 614c); 실질적으로 다수의 워터 게이트 요소 아래에 재위치결정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는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612); 상기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612)가 작동으로 응답하는 재위치결정 요소(다른 워터 게이트 요소아래에 상기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를 재위치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음)(608); 및 상기 다수의 워터 게이트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개별 게이트 요소가 각각 응답하는 다수의 지지 요소(7)(상승된 위치에서 상승된 워터 게이트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612)가 상기 워터 게이트를 상승시키기 위해 다른 워터 게이트 요소 아래로 재위치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상기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 (612)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에에서 2개의 수직으로 쌓인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팽창성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위치결정 요소(608)는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재위치결정 호스 어셈블리(608) 또는 상기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는, 상기 변환가능한 워터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에 대한 가이드 또는 트랙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 요소는 상부 지지대 부재 및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지지대 요소에 인접하는 수평적으로 길이 방향의 토크(torque)관에 의해 상기 상부 지지대 부재에 추축으로 응답하는 하부 지지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E1a를 참조하면, 게이트 패널(14a)는 힌지 수단(601)에 의해 배수로(605)에 고정되며 하부 위치에서 도시되며, 상기 위치는 범람하는 유수의 효율적인 소통을 위해 필요하다. 게이트 패널(614b)은 상부 챔버(612a) 및 하부 챔버(612b)를 포함하는 에어 블래더 액츄에이터(612)와 관련된 상승 위치에서 도시된다. 게이트 패널(614c, 614d)은 지지대(607)에 의해 상승이 유지되는 상승 위치에서 도시된다. 액츄에이터(612)는 호스 어셈블리(608)에 의해 임의의 게이트 패널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호스 어셈블리(608)는 도르래(608b, 608c, 608d, 608e, 608f) 주변을 통과하는 위치결정 케이블로서 이용된다. 도르래(608f)는 구동 메카니즘(608f)에 연결된다. 서로 접해있는 액세스 피트(609) 또는 피어(pier)(611)는 배수로(605) 위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액츄에이터(612)의 수리 또는 교체를 허용한다. 바람직한 작동 수단은 도 E1에 도시된 이중 챔버 에어 블래더(612)이지만, 상기 수단이 하강된 게이트 패널 아래에 들어맞도록 충분히 낮은 프로파일로 구성된다면, 나사 잭(jack) 또는 수압 실린더와 같은 선택적인 리프트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도 E2를 참조하면, 도 E1에서와 동일한 장치 배열의 세부사항이 도시된다.
도 E3을 참조하면, 게이트 패널(614)은 지지대(607)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상기 지지대 지원 수단은 종래기술 수단이며 그 자체로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지 않는다. 챔버(612a, 612b)를 포함하는 에어 블래더(612)는 임베드(imbed) (604)에 의해 하류 이동으로부터 고정될 수 있는 반면, 게이트 패널(614)은 힌지 수단(601)에 의해 배수로(605)에 고정될 수 있다. 와이어 로프나 와이어 로프와 호스의 결합물일 수 있는 위치결정 호스(608)는 에어 블래더(612)와 같은 작동 수단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관(608a)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도 E4를 참조하면, 도 E3에서와 동일한 장치 배열을 도시하지만, 게이트 패널(614)을 가지며, 하강된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E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게이트 패널(614e)은 요소(607d, 607g, 607f)로 구성된 지지대 수단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 놓여있다.
도E5a를 참고로 하면, 도E5의 실시예는 팽창된 구조에서 동작하는 에어 블래더(612)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E6을 참고로 하면, 도E5의 게이트 패널(614e)은 상단 표면이 기초(605a)의상단 에지를 가지는 플러쉬이며, 하강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쉬 표면은 영구적으로 고정된 콘크리트 범람 방지벽 또는 흙 제방 대신 홍수 방지벽으로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한 구조를 부여할 수 있는 차도, 인도, 또는 철도 등의 노상 표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시된 지지대 수단은 토크 튜브(607g)에 의해 조정되고 하부 요소들(607f)에 선회 연결된 상부 요소들(607d)을 포함한다. 게이트 패널(614f, 614g, 및 614h)에 대해 2개의 지지 포인트가 도시되어 있으나, 경제성과 공학적 고려에 의해 더 적거나 많은 수의 지지 포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도E6a를 참고로 하면, 도E6의 실시예는 디플레이트 구조에서의 에어 블래더(612)를 도시한다.
도E7a 및 E7b를 참고로 하면, 도E5, E5a, E6, 및 E6a의 실시예는 하류(범람으로부터 보호되는 쪽) 및 상류(범람되는 쪽)로부터 각각 다시 도시된다. 게이트 패널(614f)은 하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패널(614g)은 밑에서 작동하는 에어 블래더(612)에 의해 상승된 것으로 도시된다. 게이트 패널(14h, 14i)은 지지대 어셈블리(607)에 의해 상승되고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부 지지대 부재(607f)에 대한 상부 지지대 부재(607d)의 접힘은 토크 튜브(607g)에 의해 조정된다.
또 다른 워터 콘트롤 장치는 콘크리트 게이트 패널을 수반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3000); 상기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에 응답하는 슬라이딩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 측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표면 요소(3001)(가령, 워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블래더와 같은액츄에이터를 갖는 슬라이딩 마찰을 줄이도록 평탄화된 콘크리트 표면 또는 폴리에틸렌 표면); 및 상기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응답하고 오버플로우에 수직하게 인스톨된 워터 게이트 패널 바닥 에지(3003)에 고정되어 위치하는 수평 축 회전 힌지 대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3002)(수평축 회전 힌지으로의 콘크리트 게이트 패널의 부착을 허용하는)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표면 요소는 하류에 인스톨된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표면 요소(3004)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탄성 중합체 수평축 회전 힌지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는 용기에 넣어진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부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는 섬유 또는 철근 또는 포스트 텐션 로드로 강화된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될 수 있다. 관련 방법은 콘크리트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3000)를 생성하는 단계, 슬라이딩 마찰이 감소되고 액츄에이터 측 워터 콘트롤 게이트 패널 표면 요소(3001)를 설치하는 단계; 및 수평 축 회전 힌지 대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3002)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콘크리트 워터 게이트 패널 인스톨 사이트에서 수행된다(그래서 무겁고 부피가 큰 품목의 운송을 방지한다).
게이트 패널(14)에 대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재료는 강화 콘크리트가 될 수 있으나, 어떤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철, 광섬유, 또는 다른 구조가 바람직할 수 있다. 강화 콘크리트의 사용은, 또 다른 위치에서 제조되면 운반하기 어려울 수 있는큰 게이트 패널의 심플 필드 구조워터를 허용할 수 있다. 콘크리트 패널을 주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콘크리트 폼 조각들을 기초(605a)에 삽입하여 게이트 패널(614e)의 밑면을 형성한 후, 상기 콘크리트를 필요한 보강재와 함께 두고, 와이어 로프(601b)를 힌지 튜브(601c)에 고정한 채로 움직이는 힌지 요소(606)를 게이트 패널(614e)에 삽입된다.
도8a, 8b, 8c, 및 8d를 참고로 하면, 자동 트립핑 시스템(automatic tripping system)이 도시된다. 튜브형일 수 있는 지지대((707h)는 상류수압에 대해 게이트 패널(714)을 지지한다. 지지대(707h)의 하단부는 록킹 슈(rocking shoe, (707k)에 의해 배수로(705)의 스텝에 대해 지지된다. 록킹 슈((707k)는 연결 봉(707i)에 의해 패들((707j)에 연결된다. 패들(707j) 상에서 동작하는 높은 워터는 연결 봉(707i)을 당기고 수평 위치로 록킹 슈(707k)를 회전시켜, 지지대(707h)를 풀고 게이트 패널(714)이 낮아지도록 한다. 이러한 식으로 복수의 게이트 패널이 자동으로 낮아져 상류 범람에 대해 보호한다. 배수로(705)를 갖는 액츄에이터가 선택적으로 사용되어 록킹 슈(707k)가 수평 위치가 되도록 강제함으로써, 원격 조정으로 게이트 패널(714)을 하강시킬 수 있다.
도63 내지 71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개선된 에어 피팅 또는 압력이 가해진 유체 흡입 요소, 965)이 도시된다. 에어 피팅(965)은 손상 또는 손상을 줄 수 있는 돌출부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팅(965)은, 개시된 바와 같이, 팽창성 에어 블래더의 하부막 내의 강화 플라이들(806, 807, 및 8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피팅(865)은 일반적으로 원반형상일 수 있고 또 중앙에 위치한 관통공에서 파이프 쓰레드(865b)와 같은 결합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어 피팅(965)은 강화 패브릭 플라이(906, 907, 908)의 방향에서 바람직하지않은 변화를 제한할 수 있는 테이퍼된 프로필(965c)을 가질 수 있다. 강화 패브릭의 방향에서 과도한 변화는 상기 강화 패브릭 각각의 박리 또는 매립된 에어 피팅(965)으로부터 상기 강화 패브릭의 분해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피팅(965)은 상기 피팅이 상술한 강화 패브릭을 절단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원형 외부 엣지(965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형 외부 엣지의 반경(R)은 충분히 적은, 예컨대 0.0625 인치이어서 탄성 중합체중의 위치(965d)에서 보이드의 형성 및 강화 코드와 상기 에어 피팅 (965)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에어 피팅(965)은 가황되는 동안 상기 팽창성 블래더의 탄성 중합체 본체와 결합하는 물질로 구성되거나 그러한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에어 피팅(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압축된 유체 도입 장치)(965)은 압축 유체 수송 결합 요소(3050)(이 요소는 호스나 파이프와 같은 압축 유체 콘베이어에 결합될 수 있다); 두께 향상 내부 엣지 요소(3051)(이 요소는 장치의 나머지 부분의 두께 보다 더 두꺼운 장치의 내부 엣지 부분이다); 팽창성 막 분리 곡선(3053) 근접막(3054)(접촉 인접 층이 갈라져서 장치 주변을 통과할 때 장치의 외부 엣지에서 분리되는 팽창성 막임)과 접촉할 수 있게 설치된 배치인 두께 감소된 외부 엣지 요소(3052)(두께 향상된 내부 엣지 요소에 비하여 더 얇은 방사상 외부 엣지 부분);및 상기 두께 향상된 내부 엣지 요소 및 상기 두께 감소된 외부 엣지 요소 사이에 배치된 두께 가변 본체 요소(3055)(이 요소는 장치의 본체를 형성하고 또 외부 엣지 요소를 장치의 내부 엣지 요소(3052)에 접속함)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 향상 내부 엣지 요소(3051)는, 압축된 유체 콘베이어 결합 요소(3050)가 장치의 중앙에 또는 중앙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압축 유체 콘베이어 결합 요소(3050)이 쓰레디드 결합 요소(3060)인 경우에서 처럼), 두께 향상된 압축 유체 콘베이어 결합 요소 근접 내부 엣지 요소(3057)일 수 있다. 압축 유체 도입 장치(3061)는 압축 유체 도입 장치로서 작동될 수 있다. 두께 감소 외부 엣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환형(외부 엣지 요소에 노치(3062)가 있더라도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용어)일 수 있다. 또한, 두께 감소된 외부 엣지 요소는 외부적으로 원형(3064)이어서 팽창성 막 분리 곡선(3053)에서 보이드 형성을 배제하도록 충분히 작은 곡률(3065)의 외부 엣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곡률의 반경은 약 0.0625 인치일 수 있다). 두께 감소된 외부 엣지 요소는 평면도에서 장방형(정방향을 포함하는 기술적 용어)일 수 있다. 두께 가변 본체 요소는 내부 엣지 요소 및/또는 외부 엣지 요소 사이에 있기 위해 이들과 접촉할 필요는 없으며 또 프러스트랄(frustral)(절단된 원뿔형) 내부 (블래더의 팽창성 공동에 가까운 의미) 팽창성 막 접촉 엣지(3058) 및 대향하는 평면(실질적으로 평탄), 환형, 외부 팽창성 막 접촉 엣지(3059)(이 엣지는 외부 대기를 향상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중요하게는, 팽창성 부재의 접점-인접층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은 장치의 상술한 형상이므로, 팽창성 부재의 외부 표면으로 부터 오목하고 또 예컨대 블래더가 미끄러져도 외부 부분에 의해 손상되지않을 수 있는 압축 유체 도입 장치를 초래한다.
관련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압축 유체를 팽창성 부재으로 부터 전달하는 한가지 방법은 압축 유체 도입 요소 홀(3070)을 갖는 압축 유체 도입 요소(3061)의 크기를 재는 단계; 압축 유체 도입 요소(3061)를 2개의 접촉-인접한(나란하다는 의미로서 부분에서 접한다) 팽창성 부재층(또는 팽창성 막 층)(3071)사이에 설치하는 단계; 및 압축 유체 도입 요소 홀과 동축인 팽창성 부재층 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층들은 탄성 중합체층 또는 강화 탄성 중합체층일 수 있으며; 팽창성 부재층 홀은 탄성 중합체 팽창성 층 홀일 수 있다.
접합 플레이트 장치 (또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완화장치)는, 가능한 수문 위치 엣지 스윕(4002) (가능한 접촉 운동의 범위)을 통해서 평면 접합 시일면(이를테면 수직으로 된) 4001에 접촉하도록 된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4000); 및 플레트-대-기초 (plate-to-foundation) 표면 부착 부재 (4020) (이를테면 고정구 홀 (4004))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4000)는, 몇가지 예시한다면, 폴리에틸렌 플레이트 부재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플레이트 부재 및/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플레이트 부재)이거나; 암색의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4005) (가열 이득을 위해서)이거나; 고밀도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및/또는 초고분자량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이거나; 또는 강화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예를 들어 유리섬유)일 수 있다.
도 72a, 72b, 72c, 72d, 73 및 74에 의하면, UHMW 폴리에틸렌으로 된 접합 플레이트(966)과 그와 결합된 앵커 (anchor)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접합플레이트(66)는 낮은 열전도성, 낮은 빙착도 (ice adhesion) 및 연결된 게이트 패널 시일에 대한 낮은 마찰계수를 특징으로 한다. 두께 T에 대하여 홀 간격 치수 X (수평 정렬된 고정구 홀의) 및 Y (수직 정렬된 고정구 홀의)는 20 대 1, 또는 12 대 1, 바람직하기로는 8 대 1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 또는 수직의 고정구 홀 분리 거리를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두께로 나누면 (또는 관련된 수평 고정구 홀 분리거리에 대한 플레이트 두께의 비율 및 수직 고정구 홀 분리 거리에 대한 플레이트 두께의 비율), 대략 20 미만 (또는 비율로 표현할 경우 대략 20:1 미만), 대략 12 미만 (또는 비율로 표현할 경우 대략 12:1 미만), 또는 대략 8 (또는 비율로 표현할 경우 대략 8:1)이다. 관련 지수, 최근접의 고정구 홀 분리 거리의 평균 (최근접의 고정구 홀 분리 거리의 평균의 측정)을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로 나누면 (또는 관련된 평균 최근접 고정구 홀 분리 거리에 대한 플레이트 두께의 비율), 대략 20 미만 (또는 비율로 표현할 경우 대략 20:1 미만), 대략 12 미만 (비율로 표현할 경우 대략 20:1 미만), 또는 대략 8 (또는 비율로 표현할 경우 8:1)이다. 물론, 최근접 고정구 홀 분리 거리의 평균을 결정하기 위해서, 모든 최근접 고정구 홀 분리 거리가 측정되고 그 총합으로부터 평균이 계산된다. 이 방법은 플레이트 부재 표면 플러쉬 (flush), 낮은 열전도성 재료, 고정구 오목부 필러를 유지하기 위해서 고정구 홀의 엣지를 오목하게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고정구 홀(4004)는 고정구 홀 엣지 (4005)를 오목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플레이트 부재 표면 플러쉬, 낮은 열전도성 재료, 고정구 오목부 필러를 조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플레이트 부재 표면 플러쉬 폴리에틸렌, 고정구오목부 필러이다. 플레이트 부재 표면 플러쉬라 함은 설치된 필러 재료가 접합 플레이트 표면과 같은 높이임을 뜻한다.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는 열적 플레이트 버클링 효과 (buckling effect)가 완화된 상당수의 고정구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대략 등거리로 분리된 상당수의 고정구 홀이 예상되는 동작환경조건하에서 동작을 방해하는 열적 플레이트 버클링을 방지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는 열적 플레이트 버클링 효과가 완화된 두께 (예상되는 동작환경조건하에서 동작을 방해하는 열적 플레이트 버클링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실제 두께는, 열적 플레이트 버클링 효과가 완환된 상당수의 고정구 홀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플레이트가 부착되어 있는가의 여부에 의존한다. 가능한 두께 치수는 대략 15 mm 및 대략 25이지만, 다른 치수 역시 가능하다.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는 단일 중합성 플레이트 (4008) (즉 하나의 플레이트 부재)이거나, 복수개의 중합성 플레이트 (4009)일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 적어도 2개는 시일제가 결합된 홈 (4010)에 의해서, 설치된 형태에서의 분리를 위해서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나사홈진 콘크리트 앵커 (968)에 맞물릴 수 있는 원추형 볼트에 의해서 앵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볼트 (967)는 설치후에, 폴리에틸렌 플러그 또는 오토-버디 (auto-body) 필러와 같이 열전도성이 낮은 제거가능한 재료에 의해서 덮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문 슬라이드 마찰 완화방법은, 가능한 수문 엣지 스윕 (4002)을 통해서 접합 시일면 (4015)를 접촉시킬 수 있는 실질상 평면의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4000)를 형성하도록 중합성 재료를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실질상 평면의 중합성 플레이트 부재 (4000)가 대응하는 플레이트-대-기초 표면 부착 부재 (402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합성 재료는 암색의, 초고분자량의, 고밀도의 폴리에틸렌 또는 이를테면 강화재료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재료는 암색의, 초고분자량의, 고밀도의 또는 이를테면 강화재료일 수 있다. 강화는 이를테면 유리섬유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기타 다른 단계는 최근접의 고정구 홀 분리 거리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고정구 홀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패널간 시일(73)의 일실시예 (또는 좀더 일반적으로, 저수 누출 방지장치)는,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5001); 상기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5001)에 대응하는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에 대응하는, 방수 힌지 부재 (5003)에 맞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으로 된 수문 패널 엣지; 및 제1 수분 패널 (5007)의 제1 엣지 인접부 (5006) 및 제2 수문 패널 (5009)의 제2 엣지 인접부 (5008)에 견고하게 부착된 패널간 시일 부재 (500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문 패널 (5007)의 상기 제1 엣지 인접부 (5006)가 상기 제2 수문 패널 (5009)의 상기 제2 엣지 인접부 (5008)에 인접되게 위치하고, 상기 제1 수문 패널 (5007)이 상기 제2 수문 패널 (5009)에 인접되게 위치한다. 모든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들의 경우처럼,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5002)는 확장된 단면부 (5010) (콤머-형태 삽입부 (5011)을 가질 수 있음)일 수 있는데, 이는 클램프된 표면의 운동규제를 통해서 클램프력을 증가시킨다 (물론,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5001) 및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는패널간 시일 (73)을 기초 (5012)에 접착하게끔 동작하며, 이는 이를테면 댐 방수로 표면 (dam spillway surface)이다). 방수 힌지 부재 (5003)에 맞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으로 된 수문 패널 엣지는, 힌지로서 작용하고, 설치형태상 2개의 상부 스트림의 상부인, 상기 범람성, 직각으로 된 (예를 들어 상부스트림) 수문 패널 엣지 5016에 맞는 장치의 일부인데, 예를 들어 수문 패널 엣지 (5017)이다. 제1 수문 패널 (5007)의 제1 엣지 인접부 (5006) 및 제2 수문 패널 (5009)의 제2 엣지 인접부 (5008)에 견고하게 부착된 패널간 시일 부재는 두개의 인접된 (설치형태상) 수문 패널 (제1 및 제2 수문 패널) 간에 대부분의 시일을 성취하는 부분이다. 상기 수문 패널의 엣지 인접부는, 설치형태상 서로 인접된 다른 수문 패널의 엣지에 인접한 수문 패널의 일부이다. 패널간 시일 부재는 실질상 연장된 패널간 시일 부재 (길이를 갖는다는 뜻임)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패널간 시일 부착 부재의 프로파일 (단면 형태 및 사이즈)은 인접된 (또는 설치된-형태-인접된) 부착 부재 (설치된-형태-인접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도 77 참조), 또는 설치된-형태-인접된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도 77 참조)와 같은)의 프로파일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더욱이 부분들은, 설치후에 인접된 수분 시일 부재 (도 77 참조)에 대하여 팽팽하게 압박 시일하기에 적합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부분들을 사이징하여, 설치되는 동안 그 접합 엣지들이 서로에 대하여 압박되도록 함으로써 적합하게 삽입한다. 용어 "팽팽하게 압박 시일"이라 함은, 충분한 클램핑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클램프 (5020) 아래에 있는 상기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이 팽창하여접합 설치된 클램프 보유 부재에 대하여 정확하게 들어맞도록 됨을 뜻한다. 패널간 시일 부재 (5004)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액츄에이터 힌지 플랩 부재 인접부 (설치형태상 수문 액츄에이터 힌지 플랩 부재에 인접된 패널간 시일 부재의 일부)는 설치된-형태-인접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힌지 플랩 부재에 대하여 팽팽한 압박 시일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기초는 예를 들어 방수로일 수 있고, 따라서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는 패널간 시일-대-방수로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일 수 있다. 방수 힌지 부재 (5003)에 맞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패널 엣지는 범람성 직각의, 수직의,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면 접합, 코너-확대된 엣지 부재 (505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코너 (5051)을 형성하기 위해서 확대된 힌지 부재의 엣지이며, 설치형태상 패널간 시일-기초 클램프 (118)의 범람성 직각의 (예를 들어 하부스트림) 수직면 (5051)을 접합시키는 것이다. 이상적으로는, 이러한 엣지 부재는, 시일 및 클램프 동작을 손상시키는 모래 및 기타 유동에 포함된 입자 및 부스러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 범람성 직각의,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면 (118)의 실질상 모든 인접부가 접합되게끔 하는 형태를 취한다. 관련된 방법은, 범람성 직각의, 수직의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면 엣지 (1051 및 1052 참조)에 맞도록, 패널간 시일 힌지 부재의 상부 범람성 직각의 엣지를 코너 확대시키는 단계 (예를 들어 코너를 형성하기 위해서 탄성재료를 첨가함)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간 시일 부재 (5004)는, 냅 브레이크 부재 (nappe break element) (5053) 또는 냅 브레이커 (nappe breaker) 5053를 형성하기 위해서 게이트 패널 하부스트림 한계 (5052) 아래로 돌출될 수 있다 (형성되는 냅에 공기를 흡입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써 냅이 진동하는 부정적인 효과를 피하도록 함). 이러한 냅 브레이크 부재는 상부범람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유연성 냅 브레이커 (도 76 참조)일 수 있고, 이를테면 강화된 탄성 냅 브레이커일 수 있다. 용어 "상부범람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유연성 냅 브레이커"라 함은 냅 브레이크 부재가 충분한 유연성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상부범람 유동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는 동력학적 물체로부터 실질적으로 가소적 변형 충격이 없이 흡수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함을 뜻한다.
고무 뗏목 및 소선박 (승객이 승선하거나 그렇지 않은)이 상부범람 유동이 발견될 수 있는 물체에 속한다. 여기서, 주된 관심사는 승객의 안전에 관한 것이고, 많은 냅 브레이커가 그렇듯이, 구멍나거나 잘려지는 대신 고무 뗏목에 의해서 충돌될 시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냅 브레이커 (또는 충격 굴곡부 부재에 대응하는 것)가 수축된다. 관련된 방법은, 냅 브레이크 부재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게이트 패널 하부스트림 한계 아래로 실질상 연장된 패널간 시일 부재를 돌출 설치 (설치시에 돌출되는 결과를 뜻함)시키는 것이다.
도 76 및 77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앰 방수로 게이트 설치에 대한 투상도 및 분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패널간 시일 (73) (누수 방지 장치의 형태)은, 공기 블래더 (air bladder) 클램프성 보유 부재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가 그러하듯이, 클램프 바 (76)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5002)) 아래와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공기 블래더 (903)와 패널간 시일 (73)간의 인접면은 물론 공기 블래더 (903)와 접합 시일 (75)간의 인접면, 그리고 접합 플레이트 (966)와 접합 시일 (75)간의 인접면은 딱 맞도록 형성되는데, 설치동안에 약간의 간섭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클램프 바 (76)로부터 클램핑력을 후속적으로 인가하게 되면, 앞서 언급한 인접된 부재들이 수평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팽팽하게 팽창하게 되어 팽팽하게 시일된 접합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접합부의 시일은 가늘고 유연한 방수성 쉬트 (또는 가는 방수성 시일 보충 쉬트) (70) 및 (74)의 사용에 의해서 보강될 수 있다.
도 78에 의하면, 도 76과 77의 패널간 시일 (73)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패널간 시일은, 그 프로파일이 그에 결합된 인접된 공기 블래더의 프로파일과 동일한 경우에 최적으로 기능한다.
도 81에 의하면, 도 76과 78의 패널간 시일 (73)의 투상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9 및 80에의하면, 도 76 및 77의 접합 시일이 도시되어 있다. 접합 시일 장치 (또는 누수방지장치) (75)는,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 수문 패널 (6001)(6000)고하게 부착될 수 있으며, 수압 및 탄성력의 결합에 의해서, 대응되는 접합 플레이트 또는 접합부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초 슬라이드 표면) 6002에 대하여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는 유연한 플랩부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부재) (80)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의, 누수방지 부재 (6000)(6003)봉 부재 (6003)(6004)는 수문 패널; 및 세로로 된 코너 시일 부재 (6004)(6006)시일 부재 (6006)에 맞는, 두께가 감소된, 힌지로 기능할 수 있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패널 엣지와, 접합 시일-대-기초 부착 부재 (82)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기초 슬라이드 표면 6002"라 표현한 것은, 기초의 어느 부분으로서 또는 그에의 부착부 (예를 들어 접합 플레이트)로서, 누수방지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 부재 (80)가 수문 패널의 회전시에 그에 대해서 슬라이드하게 되어 있는 표면이 어떠한 재질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위함이다. 댐 세팅에 있어서 기초는 누수로 또는 접합부와 같은 댐의 본체 (보통 콘크리트)이며; 담아진 물이 매우 소량인 경우, 상기 기초는 본체 (하부 및 측면)라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어떠한 수량조절에 있어서도, 상기 기초는 필수적으로, 보충적인 수량조절부의 추가 이전에 존재하는 고형 본체부이며 보충부가 부착될 수 있는 곳이다. 탄성력은 보강 코드 (79)의 제공에 의해서 강화될 수 있다. 유연한 부분 (또는 달리 표현하자면, 방수 부재와 맞는, 두께가 감소되고, 힌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상부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패널 엣지) (81)은 접합 시일으로 하여금, 그와 결합된 블래더 힌지 플랩 (도 60a에서의 부분 862)에 구부러지도록 한다. 부분 (82)는 바람직하기로는, 두께 (D)와 길이 (B)에 있어서, 그에 결합된 공기 블래더와 매칭될 수 있다. 접합 시일장치는, 추가로 접합 시일-대-기초 부착 부재 (8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댐의 누수로처럼, 기초에다 그것을 부착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부착 부재는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평평함) 및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성 보유 부재 (6005)는 그것이 평평한 상부 또는 하부 표면을 갖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평평하다고 지칭될 수 있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질적으로 평평한 클램프성 보유 부재 어느것에도 적용될 수있는 용어정의임). 유연한 플랩부 80는 일례로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에폭시로 외장된 접합부에 대하여 사용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과 같이 마찰이 적은 외장재료를 함입할 수 있다. 상기 외장은 UHMW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접합 플레이트의 경우에는 불필요하다. 상기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강화 부재 (6007)는 콤머-형태 삽입부 21와 같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의 삽입부를 가질 수 있다. 접합 시일-대-기초 부착 부재 (82)는 쐐기형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부재 (도 10의 부분 10 참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치된-형태-인접된 쐐기형,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부착 부재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 부재는 접합 플레이트 인접된 누수방지부재 (즉 접합 플레이트에 인접되어 위치될 수 있다는 의미 (또는 실제로 그렇게 위치되어 있다는 뜻임)), 또는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 부재 (즉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 표면에 인접되어 위치될 수 있다는 의미 (또는 실제로 그렇게 위치되어 있다는 뜻임))일 수 있다. 접합 플레이트는 중합성 (이를테면 폴리에틸렌과 같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고무, 또는 저마찰성 재료일 수 있다. 표면을 슬라이딩하는 적합성에 있어서 일정한 제한이 존재하지만, 폴리에틸렌 (그리고 일반적으로 폴리머)이 고무, 스테인레스 스틸 및 콘크리트에 대하여 최적으로 슬라이딩한다.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부재는 저마찰의 누수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중합성 (폴리에틸렌과 같은) 시일 부재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시일부재 및/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일부재일 수 있다. 중합성 시일부재는 공가황 (co-vulcanized)됨으로써, EPDM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메틸렌) 고무를 함유하는 강화 엘라스토머가 되거나, 또는 공가황됨으로써 EPDM 고무 및 클로로부틸을 함유하는 강화 엘라스토머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부재는 그 대신에 고무시일부재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시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기초 슬라이드 표면에 대한 시일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강화 플라이 (ply) 보강된 바이어스 (bias)로 탄성적으로 모서리져서 경사되어 있다. 시일부재에 맞는 두께-감소, 힌지로서 기능하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패널 엣지는 수직의, 범람성 직각의,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면 접합, 코너-확대된 엣지 부재 (60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접합 시일-대-기초 클램프면 (1051)의 모든 인접부를 실질적으로 접합시킬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접합 시일-대-기초 부착부재 및 시일부재에 맞는 두께-감소된, 힌지로서 기능할 수 있는, 상부의, 범람성 직각의 수문 패널 엣지는 폭을 갖는 삽입 시일인데, 이는 곧 이들 부재들의 폭이 약간 과도한 크기로 되어 있음으로 인해서 (약 1/4 인치) 설치시에 팽팽한 압박이 가능하도록 된다. 일정한 형태의 히터 (이를테면 전기식)가 될 수 있는 열 부재 (6012)가 설치됨으로써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부재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또는 그 안으로 전반적으로 가황시킴에 의해서), 기초 슬라이드 표면 인접된, 누수방지부재가 열적으로 대응되도록 하고 따라서 슬라이드를 방해하는 얼음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용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는 길이의 대부분을 따른다는 것을 포함한다.
도 82a, 82b, 82c, 82d 및 86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합 시일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도 86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쐐기형 클램핑 시스템과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쐐기부 (84)는 단면상 인접된 힌지 부재 86에 합치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부러지는 부분 (81)은, 게이트 패널 (914)가 강하 또는 상승됨에 따라 접합 시일 (75)가 힌지 부재 (86)으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강화 부분 85는 클램프되어 게이트 패널 (914)로 된다. 구부러지는 부분(80)은, 인접 시일 플레이트 (966)에 대하여 라이드 (ride)할 수 있는 한편, 탄성력 및 수압의 결합에 의해서 꽉 시일되어 있다. 면(87)은 인접 힌지 부재(86)에 약간의 간섭 끼워맞춤 (interference fit)을 가지면서 들어맞도록 되어 있다. 구부러지는 부분(80)은, 예를 들어 UNJM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된, 마찰이 적은 표면 (88)을 특징으로 한다. 시일면 (89)는 인접 시일 플레이트에 딱 맞도록 설계된다. 접합 시일의 이 부분의 약간의 이동거리로 인해서, 저마찰 외장부(88)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이유로 인해서 어떤 경우에는 포함될 수 있다.
도 88, 89, 90 및 9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팽창성 댐 (또는 팽창성 탄성 댐)이 도시되어 있다. 소용돌이 유도 립 (rib)이 교대로 방향을 바꿔서 제공되는데, 이로써 상기 팽창성 댐 위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바꾸어서 흐름의 주된 방향에 통상적인 수평성분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류 성분은 회전류 패턴 (96) 및 (96)을 형성하는데, 이는 팽창된 댐의 본체에 통상적인 속도성분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서 핀 (95)의 효과는 확대된다. 핀 배치만으로 가능한 정도에 비해서 오버탑핑 (overtopping)의 정도가 보다 높은 경우에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해진다. 응력 완화 형태 (94)는 팽창성 댐의 내부 응력을 저감하고외팔보된 (cantilevered) 핀 특징 (95)의 스티프니 (stiffnee)를 증대할 수 있다. 팽창성 댐 (983)은 클램프 (101) 및 방수로 그루브 (102)에 의해서 댐 방수로 또는 기초 (995)에 고정될 수 있다.
왕복 또는 진동하는 냅의 파괴적 효과를 회피하는 한편, 저수 구조체에 범람하는 부스러기에 의한 파괴를 막을 수 있고, 선박에 대한 해가 상대적으로 없는 냅 에어레이션 장치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영역에 속한다. 냅 에어레이션 장치는, 오버탑 흐름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 (9500); 및 상기 오버탑 흐름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에 대응하는 연결자재한,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대-저수 부재 부착부재 (9501)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연결자재한,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대-저수 부재 부착부재 (9501)"은 냅 브레이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 (예를 들어 자석 및/또는 볼트 구멍을 포함할 수도 있음)을 지칭한다. 용어 "오버탑 흐름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라 함은, 냅 브레이크 부재가 충분한 유연성 (탄성적으로, 충격후에 실질적으로 충격적 형태로 되돌아감을 의미함)을 갖도록 제작됨으로써, 오버탑 ㅎ름내에 흐를 것으로 예상되는 동력학적 물체로부터의 실질적인 가소성 변형 충격이 없이 흡수 및 수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무 뗏목 및 소선박 (승객이 승선하거나 그렇지 않은)이 오버탑 흐름이 발견될 수 있는 물체에 속한다. 여기서, 주된 관심사는 승객의 안전에 관한 것이고, 많은 냅 브레이커가 그렇듯이, 구멍나거나 잘려지는 대신 고무 뗏목에 의해서 충돌될 시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냅 브레이커가 수축된다. 냅 브레이크 부재는 강화된 탄성중합체 냅 브레이커일 수 있다.
기타의 냅 에어레이션 장치는, 냅 브레이크 부재 (9505); 상기 냅 브레이크 부재에 대응하는 연결자재한, 유연한 냅 브레이크 부재-대-저수 부재 부착부재 (9506); 및 상기 냅 브레이크 부재에 대응하는 오버탑 흐름 모드 동력학적 물체 충격 수축부재 (9507)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이러한 두번째 장치에서, 충격에 의한 수축은 냅 브레이커 자체에 의해서가 아니라 (이러한 형태의 수축은 탄성체로 제작된 냅 브레이커에 의해서 가능함), 냅 브레이커에 대응하는 (이를테면 부착부에 의해서) 유연한 마운팅 스템 (몇가지 예시처럼) 또는 헬리컬 스프링 부재와 같은 정교한 수축 부재에 의해서 제공되는데, 이로써 오버탑 흐름내에 흐를 것으로 예상되는 동력학적 물체로부터의 실질적인 가소성 변형 충격으로부터 실수없이 흡수할 수 있다. 부착부재로 보이는 것이 충격시에 수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더라도 (예를 들어 유연한 스템의 경우에), 상기 부착부재는 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만으로 정의되고 (에폭시화된 후 제거될 수 있는 스템의 바닥부에 있는 표면 또는 스템의 바닥부에 있는 고정구 홀이 있을 수 있음), 따라서 장치의 다른 부재들의 정교성을 유지하게 한다.
개선된 저수조절시스템 동작유지장치는 과잉수 게이트패널 회전 방지 부재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저장형태에 있어서, 저수구조체의 (댐과 같은) 외관을 미적으로 훼손하지 않는다. 개선된 저수조절 시스템 동작유지장치는,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7020) (나일론 또는 탄성중합재료 또는 탄성중합체 코드로 만들어진 제한 스트랩과 같이 강한 인장력을 갖는 물질로서, 경우에따라서 수문 패널의 과잉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가 대응하는, 저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 방지부재-대-기초 부착부재 (7001)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를 기초에 부착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 및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103)에 대응하는 과잉의 게이트 회전 방지부재-대-수분 부착부재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20)을 수문 패널 (7052)의 부분에 부착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포함할 수 있다. 말단-인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7003)은 말단-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션 블래더 (7005)일 수 있으며, 말단-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션 블래더 (7006)의 하부스트림-극말단은 실질적으로 드립 플레인 (drip plain) (106)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말단-인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7003)은 적어도 하나의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부착부재 (7007)에 대응될 수 있으며, 쐐기형,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부재 (7008)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는 추가로, 인접된,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부재 (7009)의 대향 단면간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부재 대체 삽입부 (105)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삽입부는 인접된 수문 액츄에이터-대-기초 프로파일을 닮은 삽입부 (105)가 될 수 있다. 말단-인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는 팽창성 액츄에이터 대신에 말단-인접 수문 패널 부유 부재일 수 있다.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길이 (7010), 상부의, 과잉 게이트 회전 방지부재-대-수문 부착부재 위치 (7011), 및 저부의, 과잉 게이트 회전 방지부재-대-기초 부착부재위치 (7012)는 서로 관련되어 있어서, 상기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20)의 하부스트림의 극말단이 낮춰진 형태 (도 93)내에서 수조절 게이트 패널 부재 (7052) 아래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고, 그리하여 낮춰진 형태 104에서 과잉의 게이트 패널 회전방지장치가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인장성, 과잉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7020)는 인장성, 접을 수 있는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103)일 수 있는데, 이는 곧 그것이 접히거나, 망원경통처럼 끼워넣어지거나 또는 코일처럼 감겨질 수 있음을 뜻하는데, 예를 들어 인장력이 해제될 시에 인장 모드 형태로부터 다른 저장형태로 재형성된다. 앞서의 개선된 저수조절 시스템 장치중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액츄에이터-가동성 수문 패널 수조절 시스템 (즉,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게이트 패널 및 임의의 시일 장치) 역시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속한다.
독특한 형태의 과잉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를 접합부 영역에서 갖는 별도의 개선된 저수조절 시스템 동작유지장치는, 인장성, 과잉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상기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7020)이 대응하고,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와 실질적으로 수직의 기초 표면 (도 107)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된, 저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 방지부재-대-기초 부착부재 (7012); 및 상기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7010)에 대응하는 상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방지부재-대-게이트 패널 부착부재 (70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부재 (9572)와 실질적으로 수직의 기초 표면 (9571) 사이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부재 대체 삽입부 (10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것과 기타 다른 대체 삽입부들은, 인접된 수문 패널들 사이의 간격 아래로 과잉의 게이트 패널 회전 방지부재를 보이지 않게 배치함에 의해 팽창성 블래더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부착부재의 길이를 대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팽창성 블래더의 단면적을 불충분한 수준으로 감소시켜서 팽창성 블래더의 하부스트림 (또는 액츄에이터가 저수흐름측에 놓여져 있는 시스템내에서의 상부스트림)에 위치된 과잉의 게이트패널 회전 방지부재의 길이가 상기 길이를 초과할 필요가 없도록 하며, 예를 들어 낮춰진 형태에 있어서와 같이 스트랩이 돌출되는 결과를 낳는다.
낮춰진 형태의 수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 방지부재 (7020)을 형성하는 단계 (이를테면 몇몇 제조공정에 의한 형상화를 의미함); 상기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20)이 대응하고 인접된, 수직으로 나온 흐름조절 부재 (7030)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된, 저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방지부재-대-기초 부착부재 (7012)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인장성, 접을 수 있으며,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20)에 대응하는 상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방지부재-대-게이트 패널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수직으로 나온 흐름 조절 부재 (7030)은,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와 같이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블래더 또는 부유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와 같이) 수직으로 나온 임의의 흐름 조절 부재이거나, 또는 접합 표면과 같은 기초 슬라이드 표면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의하면, 이 방법은 추가로, 쐐기형 패널간 시일-대-기초 클램프 보유 부재 아래에, 그리고 인접된, 수직으로 나온 흐름 조절 부재의 저수 흐름 인접된 (액츄에이터가 게이트 패널의 하부스트림측에 있도록 된 형태에서의 상부스트림; 및 액츄에이터가 게이트 패널의 상부스트림측에 있도록 된 형태에서의 하부스트림을 의미함) 대향면 (마주보고 있는) 사이의,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대-기초 클램프 보유 부재 대체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20)의 길이를, 저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방지부재-대-기초 부착부재 (7012) 및 상부의, 과잉의 게이트 회전방지부재-대-게이트 패널 부착부재 (7011) 각각의 위치에 관련시켜, 인장해제된, 비구속된 형태의 (예를 들어 접히거나 및/또는 구부러지거나), 인장성, 과잉의 바닥부-힌지 수문 패널 회전방지부재 (7040)의 하부스트림-극말단 (7021)이 낮춰진 수조절 게이트 패널 (914)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92, 93, 94 및 9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힌지 공기 액츄에이트된 게이트가 도시되어 있다. 제한 스트랩, 예를 들어 (1003)은 공기 블래더 (333)의 말단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블래더 크기가 최대화되거나 또는 최적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5 미터 높이의 게이트를 위해서, 상기 공기 블래더는 드립 라인 (drip line) (106)을 넘어서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내에서 가능한 길게 제작되어야 한다. 이로써 통상적인 제한 스트랩 (104)는 낮춰진 게이트 패널 (904)의 밑으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된 제한 스트랩은 소비자나 보유자에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게 여겨질 수 있다. 게이트 패널 (914)는 바람직하기로는 볼록하게 형성되어 제한 스트랩 부하를 수용할 수 있는 충분한 휨강도를 제공한다. 공기 블래더 (334)는 상승된 그리고 낮춰진 위치 모두에서 제한 스트랩 (103)을 위한 간극을 제공할 수 있게끔 짧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강화 고무로 제작된 삽입부 (105)는, 제한 스트랩 (103)을 위해 제공된 추가 간극 C로 인해서 직접적으로 인접되지 않은 공기 블래더 (334)들 사이에 클램핑 시스템을 채워넣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E11에 의하면, 바람직한 힌지 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동적자재한 보강판 (gusset) (806)이 동적자재한 힌지 튜브(1a)에 용접된다. 고정된 보강판(804)는 액츄에이터 가이드 튜브(804a) 및 고정된 힌지 튜브(801c)에 용접된다. 힌지 튜브(801a 및 801c)는 와이어 로프(801b)에 의해서 적절하게 견련되는데, 힌지 튜브(801a 및 801c) 주위에 나선형 도 8을 따른다. 와이어 로프(801b)는 보강판(806 과 804) 사이에 콘크리트를 넣음으로써 슬라이딩이 방지된다. 와이어 로프 (801b)와 힌지 튜브(801a 및 801c) 사이의 회전접촉 영역은 콘크리트 또는 기타의 고정 수단이 없는 상태로 남겨진다. 콘크리트로 고정된 와이어 로프의 경우에, 힌지를 수리할 필요가 생기면, 보강판 사이의 콘크리트가 고압의 물제트 (water jet)로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도 E12에 의하면, 도 E11에 나타낸 배치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C2에 의하면, 게이트-낮춰진 위치에서, 도 C1의 게이트 어셈블리에서 나타낸 힌지의 상세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게이트 패널(401)은 슬롯(402)을 삽입할 수 있는데, 상기 슬롯을 통해서 코드 (45)가 "도 8" 패턴으로 통과하며, 그럼으로써 게이트 패널(401)을 고정된 부재(49)에 연결시킨다. 고정된 부재(49)는코드(45)를 절단하지 않게끔 둥그렇게 엣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416)을 부착함으로써 프레임(406)에 고정될 수 있다.
도 C5 및 C6에 의하면, 도 C5는 게이트 어셈블리 힌지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고/도 C6은 게이트 어셈블리 힌지의 엣지에 대한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고정된 구조체 부재(409)는, 구조체 부재(409 및 442)에서 둥근 엣지 슬롯(402)를 통과하는 유연한 인장성 부재(445)에 의해서, 동적자재한 구조체 부재(4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부의 탄성중합체 커버(412)는 구조체 부재(409와 442)는 물론 유연한 인장성 부재(445)에 결합될 수 있다. 유연한 인장성 부재(445)는 또한 구조체 부재 (409와 442)에 결합될 수 있는데, 단 구조체 부재(409와 442) 사이에 회전접촉이 발생되는 곳은 제외된다.
도 C7에 의하면, 유연한 인장성 부재(445)는 튜브형 부재(438) 주위에 감기고 회전력(440)이 없는 영역에서 그에 결합되지만, 회전접촉(441)의 영역에서는 튜브형 부재(438)에 결합되지 않는다. 튜브형 부재(438)은 구조체 부재(439)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어서 힌지된 또는 고정된 구조체의 나머지 부분이 되거나 그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도 96, 97 및 98에 의하면, 세가지 다른 힌지가 도시되어 있는데, "S" 힌지, 통합된 도 8 힌지, 및 모듈러 도 8 힌지가 그것이며, 이들 각각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87a 및 87b에 나타낸 힌지는 "W" 힌지라고 지칭된다. 수조절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많은 적용이 가능한 힌지는 그 자체로 특허성이 있다.
앞서의 내용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다양한방식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조절과 액츄에이터 기술은 물론 적절한 수조절 또는 액츄에이션을 성취하기 위한 장치와도 관련되어 있다. 본 출원에 있어서 수조절 기술은, 기술된 다양한 장치에 의해서 성취되는 결과로서의 부분과, 적용에 고유한 단계로서 기술된다. 그들은 의도되고 기술된 상태로서의 장치를 이용한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더욱이, 몇몇 장치들이 기재되고 있으나, 이들이 특정한 방법을 성취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중요한 것은, 앞서의 모든 기재내용과 관련하여, 이들 측면은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내용은 기본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독자라면 구체적인 기술내용이 가능한 모든 구체예들을 명시적으로만 드러낸 것이 아니고; 많은 대안들이 내포되어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본 속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 못할 수도 있고, 각 특징부나 부재들의 보다 광범위하게 기능 또는 대안적으로 또는 균등한 부재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지 못할 수도 있다. 즉 그러한 내용들은 본 명세서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장치와 관련된 용어가 기술됨에 있어서, 장치의 각 부재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장치 클레임은 기술된 장치를 위하여 포함되며, 방법 또는 프로세스 클레임 역시 본 발명 및 각 부재가 수행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 있다. 기재내용 또는 용어들 모두 본 출원에 포함된 클레임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강조한다.
본 발명의 핵심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변형들은 본 명세서에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그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명시적으로 개시된 것이거나 또는 다양한 암시적 대안예들 모두를 포괄하는 포괄적인 기재, 그리고 광범위한 방법과 프로세스들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며, 본 출원의 클레임에 의존된다. 그러한 해석과정 및 광범위의 클레임이 본 출원에 의해 성취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출원인의 권리라고 할 수 있는 클레임을 넓게 해석한 기초하에서의 심사를 구하는 것이고, 전체 시스템으로서 그리고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부재 각각 및 클레임은 다양한 방식으로 성취된다. 본 명세서의 기재내용은, 그것이 어떠한 장치 실시예, 어떠한 방법이나 프로세스에 관한 실시예, 또는 심지어 이들 부재들의 단순한 변형이든지 상관없이, 그러한 변형들 모두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명세서가 본 발명의 부재에 관련되어 있으므로, 각 부재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균등한 장치 용어 또는 방법 용어들로 표현될 수 있고, 심지어 기능이나 결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한 균등한, 넓은 또는 심지어 포괄적인 용어들이 각 부재 또는 기능에 대한 기재내용에 있어서 포괄된다. 그러한 용어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에 관련되어 암시적으로 넓은 범위를 명시적으로 드러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일례를 들자면, 모든 작용들은 그러한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 또는 그러한 작용을 유발하는 부재로서 표현된다. 비슷하게, 기재된 각 물리적 부재들은 그 물리적 부재가 수행하는 작용들을 기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과 관련해서, 일례로서, "액츄에이팅 도구" 또는 "액츄에이터"는 "액츄에이팅" 작용을 뜻하는 것이며 (명시적으로 표현되었거나 아니거나), 달리 보자면, "액츄에이팅" 작용에 대한 기재가 있을을 경우, 그러한 기재내용은 "액츄에이터" 및 심지어 "액츄에이팅을 위한 도구"를 기재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변경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서에 언급된 법률, 법규, 규정 또는 예규들, 또는 특허, 공보, 또는 다른 문헌들이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서 포함된다. 더욱이, 사용된 용어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어가 그 해석과 일치되지 못할 경우,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편입된 사전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판)에 기초하여 각 용어들 및 정의들, 대안적 용어 및 유사어들이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특허출원의 참고문헌 리스트에 있는 모든 참고문헌이나 기타 정보진술서들 모두가 본 명세서의 참고문헌으로서 첨부되는데, 그 각각에 관련하여, 그러한 정보나 진술이 일치되지 못하는 경우, 그러한 진술들은 출원인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닌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출원인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사항, 즉, i)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고 설명된 각 수량 조절 작동기 디바이스, ii) 이와 관련되어 개시되고 설명된 방법들, iii) 이러한 각 디바이스 및 방법들과 유사, 동일, 또는 암시적 변형들, iv) 개시되고 설명된 것으로 나타낸 각 기능들을 달성하는 대안적 설계들, v) 개시되고 설명된 것을 달성하는 것을 암시적으로 나타낸 각 기능들을 달성하는 대안적 설계와 방법들, vi) 분리되고 독립적인 발명으로 나타낸 각 특징, 요소, 및 단계, vii) 개시된 다양한 시스템 또는 요소들에 의해 강화된 애플리케이션, viii) 그러한 시스템 또는 요소들에 의해 생산된 결과물, ix) 본 명세서와 동반된 모든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된 방법 및 장치, x) 개시된 각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과 순열, 및 xi) 부여된 모든 독립 청구항 또는 독립 개념들에 종속하는 잠재적인 종속항 또는 종속 개념들을 권리로서 청구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현실적인 이유 때문에 그리고 수백의 잠재적인 청구항을 부가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출원인은 결국 최초의 종속성을 갖는 청구항만을 제시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다른 독립항 또는 개념 하의 종속항 또는 개념으로서 하나의 독립항 또는 개념 하에서 부여되는 다양한 종속항 또는 다른 개념들의 부가를 허용하도록 지원은 새 법(유럽 특허법 123(2) 및 미국 특허법 35USC132 또는 유사법에 한정되지 않는) 하에서 요구되는 정도로 존재하도록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전통적인 청구항 해석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진행형 어구 "comprising"은 "open-end" 청구항을 유지하도록 사용된 것이다. 따라서, 문맥이 다른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면, "포함한다"는 용어는 어떤 요소 또는 단계 또는 요소군 또는 단계군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포함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러한 용어는 법이 허용할 수 있는 가장 넓은 범위를 출원인이 향유할 수 있도록 가장 확장된 형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28)

  1.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최소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곡률 반경 증가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제거 가능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횡단면이 드롭 형상인, 최소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곡률 반경 증가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돌기형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탄성 중합체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단면이 완만한 곡선 형상이고, 반원통형인,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 상기 단면이 완만한 곡선 형상이고, 반원통형인,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2개의 대향하며, 편평하고,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들; 상기 2개의 대향하며, 편평하고,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에 접촉 가능한 요소들에 대해 반응하는 선형의,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에 접촉 가능한 요소와 교차하는 와동 요소; 및 상기 단면이 완만한 곡선 형상이고, 반원통형인,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 상기 2개의 대향하며, 편평하고,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들; 및 상기 선형의,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에 접촉 가능한 요소와 교차하는 와동 요소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본체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대향하며, 편평하고, 인접한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접촉 가능 요소들 중 하나의 적어도 대부분의 표면부는 인접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에 점착 가능한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길이방향의 빈 공간에 둘러싸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빈 공간에 둘러싸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압축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길이방향의 빈 공간에 둘러싸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된 유체를 이송할 수 있는, 길이방향의 빈 공간에 둘러싸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상기 길이방향의 빈 공간에 둘러싸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길이방향 빈 공간에 대해 유체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블래더 내부-길이방향 빈 공간 유체 이송 구멍을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에 대해 반응하는압축된 유체 입구 요소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는 용해성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층의 일부분은 상기 압축된 유체 입구 요소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및 상기 길이방향 빈 공간에 둘러싸인 삽입 요소에 의해 둘러싸인 길이방향 빈 공간에 대해 유체 반응하는 멤브레인의 빈 공간을 둘러싸게 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의 빈 공간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블래더 내부-길이방향 빈 공간 유체 이송 구멍에 대해 유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인, 수축형 블래더 코너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을 가진 압축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부분은 단일 단에서 가황처리된 압축성 부분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부분은 유체 이송 호스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부분은 가압 유체 입구 요소,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요소에 반응하는 유체 이송 요소, 및 상기 유체 이송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불연속의 가압 유체 출구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호스이고, 상기 유체 이송 호스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을 가진 팽창성 부분을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단일 단에서 가황 처리된 압축성 부분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 잭, 팽창 호스,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팽창성 시일,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유체 이송 호스, 및 도크 범퍼로 구성된 팽창성 부분의 그룹에서 선택된 팽창성 부분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 호스 요소 및 상기 팽창 호스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 호스이고, 상기 팽창 호스 요소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도크 범퍼이고, 상기 도크 범퍼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유체 이송 호스 요소 및 상기 유체 이송 호스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이송 호스이고, 상기 유체 이송 호스 요소는 상기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하나의 완만하고 연속적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시일 요소 및 상기 팽창성 시일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시일이고, 상기 팽창성 시일은 상기 하나의 완만하고 연속적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잭 요소 및 상기 팽창성 잭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잭이고, 상기 팽창성 잭은 상기 하나의 완만하고 연속적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도크 범퍼이고, 상기 도크 범퍼는 상기 하나의 완만하고 연속적인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장방형 팽창성 잭 요소 및 상기 장방형 팽창성 잭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 잭이고, 상기 팽창 잭은 상기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도크 범퍼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도크 범퍼이고, 상기 도크 범퍼는 상기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액츄에이터 블래더,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 상기 팽창성 액츄에이터 블래더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에 반응하는 수문 패널 힌지 플랩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이고, 상기 팽창성의,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는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에 반응하는 팽창성 댐-부착 요소; 및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이고,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은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3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된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액츄에이터 블래더,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 상기 팽창성 액츄에이터 블래더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에 반응하는 수문 패널 힌지플랩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이고, 상기 팽창성의,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는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된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1.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에 반응하는 팽창성 댐-부착 요소; 및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블래더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이고, 상기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은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 2개의 평행하게 배열된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은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 상기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 대해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인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분은 팽창 호스 요소 및 상기 팽창 호스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 호스이고, 상기 팽창 호스 요소는 상기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 상기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 대해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들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4. 제2항에 있어서, 최소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곡률 반경은 유동-편향 핀 상부의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5.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오버플로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성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장치는 팽창성 블래더,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 상기 팽창성 블래더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에 반응하는 수문 패널 힌지 플랩을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부착 요소는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클램프 가능한 보유 요소 및 상기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클램프 가능한보유 요소에 반응하는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클램프 보유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는 단일 단에서의 가황 처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8. 제1항에 있어서, 청구항1에 기재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문 액츄에이터에 대해 반응하는 팽창성으로 작용하는 수문 패널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장치.
  49.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최소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곡률 반경 증가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성형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압출하여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3. 제49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인, 수축형 블래더 코너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4. 제49항에 있어서,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을 단일 단에서 가황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59.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제어 액츄에이터의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체 이송 호스의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2.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 호스의 2개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3.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에 대해 각각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에 대해 각각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제어 액츄에이터의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상기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에 대해 각각 수직한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하나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의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 잭의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8.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크 범퍼의 4개의 장방형으로 배치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69.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하나의 직교하는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하나의 직교하는 블래더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유체 이송 호스의 하나의 직교하는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 및 2개의 평행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1.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성 시일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3.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크 범퍼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4.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 잭의 완만한 곡선의 외주로 된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팽창 잭, 팽창 호스,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팽창성 시일,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유체 이송 호스, 및 도크 범퍼로 구성된 팽창성 부분의 그룹에서 선택된 팽창성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6.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탄성 중합체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내측면을 따라 상기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일부를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의 인접 표면에 점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8. 제49항에 있어서, 횡단면이 드롭 형상이고, 기다란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눈물 모양의 외측 경계 내에 길이방향 삽입 요소의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가압 유체 입구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 및 상기 길이방향빈 공간에 대해 유체 반응하는 멤브레인 빈 공간을 둘러싸도록 상기 팽창성 블래더 멤브레인의 적어도 일 층의 부분을 채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80. -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본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본체 요소의 외측 및 상기 요소와 연속으로 접촉 가능한 완만한 곡선의, 반원통형의,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삽입 요소의 본체 요소의 외측 및 상기 요소와 연속으로 접촉 가능한 2개의 대향하는, 평면의,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인접 표면 요소를 형성하고; 상기 2개의 대향하는, 평면의,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인접 표면 요소를 각각 상기 완만한 곡선의, 반원통형의,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표면 요소의 대향하는 부분에 접하게 하며; 상기 2개의 대향하는, 평면의, 기다란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인접 표면 요소를 선형의, 내측 내측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인접 표면 요소와 교차하는 와동 요소에 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형 블래더 응력 감소 방법.
  81. - 포지티브 상태로 채용된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를 가진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는 최소 곡률 반경을 크게 증가시키고 팽창성 블래더 응력을 감소시키도록 포지티브로 채용되며,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근사 프로파일은 대략 30도 이상의 수축 형태의 빈 공간 프로파일 포인트각을 나타내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곡률 반경은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유동 편향 핀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는 단일 단에서의 가황 처리 중에 채용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4.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는 단일 단에서의 가황 처리 중에 제조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5.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를 따라 배치된 최소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곡률 반경 증가 삽입 요소를 더 포함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6.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는 팽창 잭, 팽창 호스,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팽창성 시일,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유체 이송 호스, 및 도크 범퍼로 구성된 팽창성 부분의 그룹에서 선택된 팽창성 부분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7.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은 탄성 중합체 팽창성 멤브레인인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8.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거의 직선형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89.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는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0. 제8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1.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는 거의 직선형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및상기 거의 직선형의,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에 직교하는 2개의 평행한 수축형 블래더 단부 중첩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2. 제9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는 팽창성 하부 힌지형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3.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 응력 감소용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 요소는 2개의 직선형이고, 평행한 길이방향의 수축형 블래더 중첩 멤브레인인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4.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는 유체 이송 호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 보강 팽창성 블래더 장치.
  95. 제9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팽창 호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96. 제8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가 정확히 정합하는, 팽창된 변형력이 감소된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 요소가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 블래더 폴드인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97.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팽창성 실의 일부를 구성하는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98. 제9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팽창 잭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99.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가 정확히 정합하는, 팽창된 변형력이 감소된 수축 블래더 폴드 멤버레인 요소가 4개의 정방형으로 위치한 수축성 블래더 에지들인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100.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팽창성 잭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101. 제8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팽창 호스의 일부를 형성하는 강도가 보강된 팽창성 블래더 장치.
  102.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가 일부를 구성하는 청구항 86에 기재된 팽창성 부재.
  103. 제81항의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성 블래더를 갖는, 팽창하여 작동하는 수문 패널 물 조절 시스템.
  104. 제88항의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갖는 고무 댐.
  105. 감소된 팽창 블래더 변형력을 갖고, 멤브레인에 인접한 수축 블래더 폴드의 프로파일이 약 30도 이상의 수축 형상의 공간 공공 프로파일의 포인트 각도를 보이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고; 상기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반응하고 상기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06. 제105항에 있어서, 감소된 팽창 블래더 변형력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의 최소 곡률 반경을 증가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07. 제105항에 있어서, 감소된 팽창 블래더 변형력을 갖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을 따라 종축의삽입 요소를 가리키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을 가황 처리하고, 상기 종축의 삽입 요소를 분해하여 제거하는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08.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요소는 공정염(eutectic salt) 삽입 요소인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09. 제10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요소는 알미늄 삽입 요소인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0.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 및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단일 단계로 가황 처리하는 동안에 각각 수행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1. 제10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2. 제111항에 있어서,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3. 제111항에 있어서,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팽창성의, 밑면이 힌지된 물 조절 게이트 엑튜에이터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4. 제10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두 평행의 수축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및 상기 두 평행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5. 제114항에 있어서, 두 평행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및 상기 두 평행한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팽창성의, 밑면이 힌지된 물 조절 게이트 엑튜에이터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6. 제114항에 있어서, 상기 두 평행한 수축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및 상기 두 평행한 수축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의 실질적으로 직선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팽창성의 엘라스토머 댐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블래더 파괴 저항성의 보강 방법.
  117.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하나의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18.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팽창성의 실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블래더 파괴 저항성의 보강 방법.
  119.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팽창 잭 멤브레인에 정확히 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0. 제11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덕 범퍼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1.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두 평행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들 및 하나의 수직인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2. 제1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매끄러운 곡선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팽창 호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성의 보강 방법.
  123. 제10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은 4개의 장방형으로 위치하는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4. 제123항에 있어서, 4개의 장방형으로 위치한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팽창 잭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의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5. 제123항에 있어서, 4개의 장방형으로 위치한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덕 범퍼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6. 제10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축된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두 평행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7. 제126항에 있어서, 두 평행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팽창 호스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8. 제126항에 있어서, 두 평행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유체 수송 호스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29. 제126항에 있어서, 두 평행의, 종축의 수축된 블래더 단 폴드 멤브레인들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상기 공정은 덕 범퍼 멤브레인에 정확히 정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30. 제105항에 있어서,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의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문 패널의 상류 리딩 에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수문 패널을 회전하는 구성으로 된, 엘라스토머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 멤브레인을 설치하는 공정으로 구성되는 팽창성 블래더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31. 팽창성 멤브레인;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에 반응하는 상층류 굴절 핀; 및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이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은 상층류 굴절 핀과 실질적으로 공통 방사상으로 또한 그의 내부에 위치된 길이 방향의 삽입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2.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삽입 요소는 단면이 눈물 방울 형상의 삽입 요소인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3.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이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의 클램프 고정 강화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4. 제13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 및 팽창성 멤브레인은 각각 엘라스토머인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5. 팽창성 멤브레인;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에 반응하는 흐름 굴절 핀; 및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은 변형력이 감소되고 최소 곡률 반경이 증가하는 팽창된 블래더를 갖도록 정확히 정합된 내부 블래더부에 인접한 흐름 굴절 핀을 포함하고, 흐름 굴절 핀이 인접한 수축된 블래더 프로파일은 약 30도 이상의 공공 프로파일 포인트 각도 및 실질적으로 원호형의 내부 블래더 곡률을 보이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6. 제135항에 있어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형의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7. 제135항에 있어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팽창성인 멤브레인 대 기초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와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팽창성의 멤브레인 대 기초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클램프 고정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38. 팽창성 멤브레인;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에 반응하는 흐름 굴절 핀; 및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은 원형의, 내부를 가리키는 곡률 반경을 갖도록 내부 블래더부에 인접하는 흐름 굴절 핀을 포함하고, 흐름 굴절 핀이 인접한 수축된 블래더의 프로파일은 약 30도 이상의 공공 프로파일 포인트 각도 및 실질적으로 원호의 내부 블래더 곡률을 보이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방치.
  139. 제138항에 있어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형의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클램프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40. 제138항에 있어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 및 상기 실질적으로 평평한,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대 기초 클램프 고정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장치.
  141. 감소된 팽창 블래더 변형력을 갖고,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한 상류 굴절 핀 프로파일이 약 30도 이상의 수축된 구성의 공간 공공 프로파일의 포인트 각도를 보이도록,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한 상류 흐름 굴절 핀에 정합하고,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하는 상기 상류 굴절 핀에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42. 감소된 팽창 블래더 변형력을 갖고,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하는 상류 흐름 굴절 핀의 프로파일이 양의 원호형인 프로파일이 되도록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한 상류 굴절 핀에 정확히 정합하고; 블래더 폴드 멤브레인에 인접하는 상기 상류 굴절 핀에 반응하는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엘라스토머 댐 파괴 저항의 보강 방법.
  143. 팽창성 블래더 요소;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는 원주가 연속적이고, 전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블래더층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44.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가 연속적이고, 전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블래더층은 강화된 블래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45.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가 연속적이고, 전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블래더층은 가장 안쪽의 강화된 블래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46.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가 연속적이고, 전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블래더층은 적어도 하나가 상류, 수축된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47. 제14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의, 수축된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는 적어도 하나가 조이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48. 제14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이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는 두 개의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49.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가 연속적이고, 전체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블래더층은, 블래더 팽창축에 평행하고 노멀 벡터가 실질적으로 저장된 물의 수평력 성분에 수직인 평면 내에 위치하는 원주를 따라 연속적인 층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50.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에 반응하는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 요소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51.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유지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52.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형의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53.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는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 블래더 및 팽창성 댐으로 구성되는 팽창성 블래더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팽창성 블래더인 팽창성 부재 장치.
  154. 제14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는 덕 범퍼 및 팽창성 실로 구성되는 팽창성 블래더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팽창성 블래더인 팽창성 부재 장치.
  155. 제147항의 팽창성 부재 장치를 포함하는 팽창하여 작동하는 수문 조절 시스템.
  156. 제147항의 팽창성 부재 장치를 포함하는 고무 댐.
  157.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 요소;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 요소는 수평이고 돌출된 흐름 방향에 수직인 종축의 중심축인 장착되고, 팽창된 구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5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의 내부 블래더가 강화 블래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59.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은 가장 안쪽의 강화된 블래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0.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은 적어도 하나의 상류의, 수축된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1. 제16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의, 수축된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2. 제16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는 두 개의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3.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은, 블래더 팽창축에 평행하고 노멀 벡터가 실질적으로 저장된 물의 수평력 성분에 수직인 면 내에 위치한 원주를 따라서 연속적인 층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64.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에 반응하는 게이트 패널 힌지 플랩 요소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65.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의 고정가능한 유지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유지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66.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에지형의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유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장치.
  167.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는,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 블래더 및 팽창성 댐으로 구성되는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8. 제15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는,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 블래더 및 팽창성 댐으로 구성되는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팽창성 물 조절 블래더인 팽창성 부재 장치.
  169. 장착된 물 조절 게이트 패널 바닥 에지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팽창성의, 물 조절 블래더 요소; 상기 팽창성의, 물 조절 블래더 요소에 반응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 및 상기 팽창성의, 물 조절 블래더 요소가 반응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의, 물 조절 블래더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의 수축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를 포함하는 물 조절 장치.
  170. 제16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의 물 조절 블래더 요소는 전체적으로 연결된 내부 블래더층을 포함하는 물 조절 장치.
  171. 제16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 수축 블래더 조인트 트래버스 플라이는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물 조절 장치.
  172. 제17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범람하는 직교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는 두 개의 조인트 트래버스 강화 플라이인 물 조절 장치.
  173. 연속적으로 연결된 수직으로 평면의 주변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을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에 반응하는 팽창성 부재 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의 외부에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일부를 설치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일부를 통해 유체 이동 포트를 생성하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고; 층 분기선을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으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잔존 부분을 분기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적어도 상기 잔존 부분으로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강도 보강 방법.
  174.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적어도 상기 잔존 부분으로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상기 잔존 부분으로 수문 대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강도 보강 방법.
  175. 제17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재는 팽상성의, 수문 패널 조절 엑튜에이터 요소인 팽창성 부재 강도 보강 방법.
  176. 제17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부재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블래더인 팽창성 부재 강도 보강 방법.
  177. 제173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내부층을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엘라스토머 내부층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팽창성 외부층의 일부만을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적어도 하나의 강화된 엘라스토머 외부층의 일부만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강도보강 방법.
  178. 가압된 유체의 수송 결합 요소;
    두께가 보강된, 상기 가압된 유체의 수송 결합 요소에 반응하는 내부 에지 요소;
    두께가 감소된, 상기 두께가 보강된 외부 에지 요소, 인접한 가압 유체 수송 결합 요소, 내부 에지 요소 및 멤브레인에 인접한 팽창성 멤브레인 분리 곡선에 접촉가능한 장착된 구성; 및
    보강된 상기 두께 사이에 위치한 두께가 변하는 본체 요소, 인접한 가압 유체 수송 결합 요소, 내부 에지요소 및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포함하는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79.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수송 결합 요소는 가압 에어 수송 결합 요소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0.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장치는 가압 유체 출구 장치로서도 작동하는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1.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수송 연결 요소는 나사산 연결 요소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2.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변하는 본체 요소는 황동의 두께가 변하는 본체 요소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3.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수송 결합 요소, 상기 두께가 보강된 외부 에지 요소, 및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는 각각 황동으로 만들어진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4.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5.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변하는 본체 요소는 원추형의 팽창성 멤브레인이 접촉가능한 에지 및 마주보는 평면의, 애뉼러 팽창성 멤브레인이 접촉가능한 에지를 포함하는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6. 제185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의 팽창성 멤브레인이 접촉가능한 에지는 외부 멤브레인이 접촉가능한 에지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7.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는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에 인접한 가압 유체 수송 연결 요소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8.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는 외부 에지의 곡률 반경을 갖는 외부적으로 둥근 외부 에지 요소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89. 제18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에지의 곡률 반경은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 분리 곡선에 공공 형성을 방지할 만큼 충분히 작은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90. 제18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에지의 곡률 반경은 약 0.0625 인치인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91. 제178항의 가압 유체 입구 장치를 갖는 엘라스토머의 팽창성 부재 장치.
  192. 제178항의 가압 유체 입구 장치를 갖는 덕 범퍼.
  193. 제178항의 가압 유체 입구 장치를 갖는 팽창성 엘라스토머 댐.
  194. 제178항의 가압 유체 입구 장치를 갖는 팽창성 수문 패널 엑튜에이터.
  195. 제17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장치는 초기 가황 처리 동안 엘라스토머의 팽창성 부재 멤브레인에 설치된 가압 유체 입구 장치.
  196. 제178항의 가압 유체 입구 장치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성 수문 엑튜에이터를 포함하는 팽창하여 작동하는 수문 물 조절 시스템.
  197. 가압 유체 입구 요소의 홀을 갖는 가압 유체 입구 요소의 치수를 재고; 두 접촉한 팽창성 부재층 사이에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고;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요소의 홀로 팽창성 부재 층들의 홀을 동축으로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로부터( 및 까지)가압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
  198. 제197항에 있어서, 두 인접한 팽창성 부재 층들 사이에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두 접촉한 강화 엘라스토머의 팽창성 부재층들 사이에 상기 가압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팽창성 부재층들의 홀을 설치하는 상기 공정은 엘라스토머의 팽창성 부재층들의 홀을 설치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로부터( 및 까지)가압 유체를 수송하는 방법.
  199. 제198항의 방법을 이용하여 가압 유체 입구 홀이 설정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를 운반하는 방법.
  200.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의 운반을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가압된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를 형성하여, 상기 가압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에 응답하는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에 응답하며 적어도 하나의 팽창성 멤브레인 이격 곡선 근접 멤브레인과 접촉가능한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 및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사이에 두께가 가변하는 몸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1. 제20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된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 및 2개의 접촉-인접한 팽창성 멤브레인 층사이의 몸체 요소를 가변시키는 상기 두께로부터 생성된 가압된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2. 제20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멤브레인은 수량 조절 게이트 액츄에이터 요소 팽창성 멤브레인인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3. 제200항에 따라 생성된 가압된 유체 입구 요소를 갖는 수문 조절 액츄에이터 요소.
  204. 제200항에 있어서, 가압된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가압된 에어 컨베이어 결합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5. 제200항에 있어서, 가압된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나사산의 가압된 유체 컨베이어 결합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6. 제200항에 있어서,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놋쇠의, 두께가 보강된 내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놋쇠의, 두께가 감소된 내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두께가 가변하는 몸체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놋쇠의, 두께가 가변하는 몸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7. 제200항에 있어서, 두께가 가변하는 몸체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원추형의 내부 팽창성 멤브레인 접촉 에지 및 반대로 접한 평면, 원환의 팽창성 멤브레인 접촉 에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8. 제207항에 있어서, 원추형의 내부 팽창성 멤브레인 접촉 에지 및 반대로 접한 평면, 원환의 팽창성 멤브레인 접촉 에지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원추형의, 외부 팽창성 멤브레인 접촉 에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09. 제200항에 있어서,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10. 제200항에 있어서, 두께가 감소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외부 에지 곡률 반경을 갖는 외부적으로 라운딩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11. 제210항에 있어서, 외부 에지 곡률 반경을 갖는 외부적으로 라운딩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성 멤브레인 이격 곡선에서의 공백 형성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외부 에지 곡률 반경을 갖는 외부적으로 라운딩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12. 제211항에 있어서, 외부 에지 곡률 반경을 갖는 외부적으로 라운딩된 외부에지 요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0.0625 인치의 외부 에지 곡률 반경을 갖도록 외부적으로 라운딩된 외부 에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에 출입하는 가압된 유체 운반 촉진 방법.
  213.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에 응답하는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에 응답하여 워터 시일 힌지 요소에 정합하는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 및
    제1 수문 패널의 제1 에지 근접부 및 제2 수문 패널의 제2 에지 근접부에 고착가능한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문 패널의 제1 에지 근접부는 상기 제2 수문 패널의 제2 에지 근접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상기 제1 수문 패널은 상기 제2 수문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4.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에 응답하는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에 인접하여 설치가능한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5.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지지 보강 요소 프로파일에 근사한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6.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및 시일 힌지 요소에 정합하는 상기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는 각각 설치시에 인접한 포위된 시일 요소에 대해 압축 시일-타이트(seal-tight) 되도록 각각의 치수가 설정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7.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요소의 범람하는 직교의, 수문 액츄에이터 힌지 플랩 요소 인접부는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힌지 플랩 요소에 대해 압축 시일-타이트되도록 치수가 설정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8. 제21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시일-타이트 맞춤은 간섭 맞춤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19.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상기 시일 힌지 요소에 정합하는 상부의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 및 상기 인터패널 시일 요소 각각은 탄성 중합체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0. 제213항에 있어서, 설치된 상기 인터패널 시일 요소 하부에 시일가능하게 부착된 얇은 방수 시일 보조 시트를 더 포함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1.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인터패널 시일 대 방수로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2.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지지 보강 요소는 콤마 타입 삽입부를 포함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3.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문 패널 및 상기 제2 수문 패널을 더 포함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4. 제213항에 있어서,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5. 제2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요소는 수문 패널 하류 경계외로 돌출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6. 제22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한 인터패널 시일 요소는 냅(nappe) 차단 요소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7. 제226항에 있어서, 상기 냅 차단 요소는 상층류 모드 동적 객체 충격 가요성 냅 차단기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8. 제22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류 모드 동적 객체 충격 가요성 냅 차단기는 강화 탄성 중합체 냅 차단기인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29. 제213항에 있어서, 시일 힌지 요소와 정합하는 상기 상부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는,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인터패널 시일-대-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확대 에지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30. 제229항에 있어서, 시일 힌지 요소와 정합하는 상기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의, 상기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인터패널 시일-대-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확대 에지 요소는 범람하는 직교의, 인터패널 시일-대-기초 클램프 면의 모든 근접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저수 누수 방지 장치.
  231. 제213항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저수 누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 수문 패널 수량 조절 시스템.
  232. 제222항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저수 누수 방지 장치를 포함하는 팽창성 가동 수문 패널 수량 조절 시스템.
  233.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으로서,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제1 수문 패널의 제1 에지 근접부 및 제2 수문 패널의 제2 에지 근접부에 고착시키도록 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수문 패널의 제1 에지 근접부가 상기 제2 수문 패널의 제2 에지 근접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제1 수문 패널이 상기 제2 수문 패널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단계;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인터패널 시일 요소가 응답하는 인터패널 시일-대-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가 응답하는 인터패널 시일-대-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실질적으로 평탄한,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에 응답하는 인터패널 시일 힌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의 프로파일과, 설치-구성-인접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의 프로파일을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4.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힌지 요소는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를 상기 인터패널 시일 힌지 요소에 정합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5.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와 설치-구성-인접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일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6.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시일 간섭 단계 및 근접 수량 조절 액츄에이터 부착 요소사이에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시일 간섭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7.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요소,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및 상기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탄성 중합체인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8. 제233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요소 및 하부 수문 패널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얇은 방수 시일 보조 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39. 제233항에 있어서, 게이트 패널 하류 경계외에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설치 투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40. 제239항에 있어서, 게이트 패널 하류 경계외에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설치 투입하는 상기 단계는 냅 차단 요소를 충분히 형성하기 위해 상기 실질적으로 길게 연장된 인터패널 시일 요소를 투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41. 제240항에 있어서, 상기 냅 차단 요소는 상층류 모드 동적 객체 충격 가요성 냅 차단 요소인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
  242. 제233항에 기술된 수문 시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 방지 방법을 이용하여 저수된 물을 밀폐시키는 팽창성 작동 수문 패널 저수 시스템.
  243. 제242항에 있어서,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인터패널 시일 대 기초 클램프 면 에지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인터패널 시일 힌지 요소의 상부 범람 직교 에지를 코너-확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 수문 패널 저수 시스템.
  244. 팽창성 블래더(bladder) 요소;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에 응답하는 가압된 유체 입구 요소;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가 응답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에 응답하며,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확대 에지 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수문 패널 힌지 플랩(flap)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
  245. 제24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크가능 지지 요소가 응답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
  246. 제24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형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
  247. 제244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수문 패널 힌지 플랩 요소의 상기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확대 에지 요소는 범람하는 직교의, 수직인,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면의 실질적으로 모든 근접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
  248. 제24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 및 상기 전체 수문 패널 힌지 플랩 요소 각각은 탄성 중합체인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
  249. 제244항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장치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 수문 수량 조절 시스템.
  250.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시스템 보강 방법으로서,
    팽창성 블래더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에 응답하는 가압된 유체 입구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창성 블래더 요소가 응답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에 응답하는 전체 수문 패널 힌지 플랩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수직의,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면에 일치시키기 위해 상기 전체 수문 패널 힌지 플랩 부착 요소의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에지를 코너-확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시스템 보강 방법.
  251. 제250항에 있어서,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가 응답하는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시스템 보강 방법.
  252. 제250항에 있어서,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쐐기형 팽창성 블래더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시스템 보강 방법.
  253. 제250항에 있어서, 팽창성 블래더 요소를 형성하는 상기 단계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블래더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시스템 보강 방법.
  254. 수문 패널에 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의 에지 근접부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에 고정적으로 부착가능한 상부의 저수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데,
    상기 상부의 저수 시일 요소는,
    수문 패널 정합가능 시일 요소;
    상기 수문 패널 정합가능 시일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 및
    실질적으로 상기 수문 패널 정합가능 시일 요소와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사이에 설치된 길이 방향 코너 시일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의 저수 시일 요소에 응답하여 수량 시일 요소와 정합하는 두께가 감소된, 힌지가능한,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 및
    수량 시일 요소와 정합하는 두께가 감소된, 힌지가능한, 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가 응답하는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55.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는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및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가 응답하는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56. 제255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가능 요소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근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저수 시일 장치.
  257. 제256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탄성 중합체이며 실질적으로 평탄한 저수 시일 장치.
  258. 제256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는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 프로파일에 실질적으로 근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저수 시일 장치.
  259. 제255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인 저수 시일 장치.
  260. 제259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는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가능 요소 프로파일을 나타내는 저수 시일 장치.
  261. 제255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종단면 삽입부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62. 제261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는 콤마 타입 삽입부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63.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형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64. 제263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는설치-구성-인접한 쐐기형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부착 요소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성되는 저수 시일 장치.
  265. 제254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66. 제254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 판인 저수 시일 장치.
  267. 제26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 판은 스테인레스 스틸인 저수 시일 장치.
  268. 제26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 판은 중합체인 저수 시일 장치.
  269. 제268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 판은 폴리에틸렌인 저수 시일 장치.
  270.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마찰 마모 저수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71. 제270항에 있어서, 상기 저마찰 마모면 저수 시일 요소는 중합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72. 제27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시일 요소는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73. 제27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는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74. 제27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75. 제27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 시일 요소는 EPDM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 탄성 중합체로 공-가황처리되는(co-vulcanized) 저수 시일 장치.
  276. 제27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는 EPDM 고무 및 염소부틸 (chlorobutyl)을 포함하는 보강 탄성 중합체로 공-가황처리되는 저수 시일 장치.
  277. 제27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시일 요소에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78. 제27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고무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79.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고무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80. 제279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중합체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81.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스테인레스 스틸 시일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82. 제28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접한 중합체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83.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접한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84. 제28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면은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페인팅된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면인 저수 시일 장치.
  285.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탄성적으로 각져서 바이어스되는 저수 시일 장치.
  286. 제28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각 바이어스는 보강 플라이(ply) 강화 바이어스인 저수 시일 장치.
  287. 제254항에 있어서, 수문 패널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88. 제254항에 있어서, 설치-구성-인접한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장치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89. 제254항에 있어서, 설치-구성-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90. 제254항에 있어서, 시일 요소에 정합하는 상기 두께가 감소된, 힌지가능한,상부의, 범람하는 직교 수문 패널 에지는 수직인, 범람하는 직교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 확대 에지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91. 제29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면 당접, 코너 확대 범람 직교 에지 요소는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면의 모든 근접부와 접하도록 구성되는 저수 시일 장치.
  292. 제254항에 있어서, 수량 시일 요소와 정합하는 상기 두께 감소, 힌지가능, 상부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 및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는 간섭 시일 폭 치수가 정해지는 저수 시일 장치.
  293.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이 열로 응답하는 발열 요소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94. 제25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은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의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설치된 전체적으로 가황처리된 발열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장치.
  295. 제254항에 기술된 적어도 하나의 저수 시일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 수량 조절 시스템.
  296. 시일 요소에 정합가능한 수문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일 요소에 정합가능한 수문 패널이 응답하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
    실질적으로 상기 시일 요소에 정합가능한 수문 패널과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사이에 길이 방향의 코너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일 요소에 정합가능한 수문 패널,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 및 상기 길이 방향의 코너 시일 요소는 함께 상부 저수 시일 요소를 형성하며;
    수문 패널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의 에지 근접 부분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의 에지 근접부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에 상부 저수 시일 요소를 고착시키도록 하는 단계;
    시일 요소에 정합하는 두께가 감소되며, 힌지가능하고, 상부의,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를 상부 저수 시일 요소에 힌지형태로 부착하는 단계; 및
    시일 요소에 정합하는 두께가 감소되며, 힌지가능하고, 상부의,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가 응답하는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297. 제296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에 응답하여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 및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298. 제297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가능 요소 프로파일과 근사하도록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299. 제298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탄성 중합체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0. 제298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 프로파일에 근사한 프로파일을 갖는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1. 제297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2. 제301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설치-구성-인접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가능 요소 프로파일을 갖는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가능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3. 제297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보강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삽입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4. 제303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원형의 단면 삽입부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콤마 타입 삽입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5. 제296항에 있어서,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쐐기형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6. 제305항에 있어서, 쐐기형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설치-구성-인접한 쐐기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부착 요소 프로파일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7.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콘크리트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8.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09. 제308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판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당접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0. 제308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당접판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폴리에틸렌 당접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1.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마찰 마모의 저수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방법.
  312. 제311항에 있어서, 저마찰 마모의 저수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중합체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3. 제312항에 있어서, 저마찰 마모의 저수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4. 제313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5. 제314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6. 제315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EPDM 고무를 포함하는 보강 탄성 중합체로 공가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7. 제316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폴리에틸렌 시일 요소를 EPDM 고무 및 염소부틸로 구성된 보강 탄성 중합체로 공가황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8. 제317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19. 제318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스테인레스 스틸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0.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고무 저수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1. 제320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폴리에틸렌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2.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스테인레스 스틸 저수 시일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3. 제322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폴리에틸렌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4. 제296항에 있어서, 시일 요소에 정합가능한 상기 수문 패널이 응답하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각도를 가지며 탄성 중합체로 바이어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5. 제324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각도를 가지며 탄성 중합체로 바이어싱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강화 탄성 중합체 플라이 보강 바이어싱하는 단계는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6. 제296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면 당접 시일 대 기초 클램프면의 모든 근접부를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하기 위해 시일 요소에 정합하는 상기 두께가 감소되며, 힌지가능하고, 상부의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를 코너 확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7. 제296항에 있어서, 시일 요소에 정합하는 상기 두께가 감소되며, 힌지가능하고, 상부의 범람 직교 수문 패널 에지 및 상기 당접 시일 대 기초 부착 요소를 간섭 시일 폭 치수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8. 제296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이 열로 응답하는 발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29. 제328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의 일부로서 상기 발열 요소를 전체적으로 가황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30. 제296항에 있어서,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저수 시일 요소에 인접한 실질적으로 수직인 공면의, 수직 기초 슬라이드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시일 방법.
  331.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로서,
    가능한 수문 위치 수직 에지 스위프(sweep)를 통해 평면 당접 시일면을 접하도록 치수설정된 중합성 판 요소; 및
    상기 중합성 판 요소가 응답하는 판 대 기초 면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2.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폴리에틸렌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3. 제33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판 요소는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4. 제33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판 요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5.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어두운 색의 중합성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6.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초 고분자량 중합성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7.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고밀도 중합성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8.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보강 중합성 판 요소인 수문 패널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39. 제33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중합성 판 요소는 섬유유리 보강 중합성 판 요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0.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는 평균의, 최근접 패스너 홀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패스너 홀을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1. 제340항에 있어서,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되는 상기 평균의 최근접 패스너 홀 간격은 약 20 미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2. 제341항에 있어서,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되는 상기 평균의 최근접 패스너 홀 간격은 약 12 미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3. 제342항에 있어서, 다수의 패스너 홀 에지는 요부의 패스너 홀 에지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4. 제34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되는 상기 평균의 최근접 패스너 홀 간격은 약 8 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5.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판 대 기초 면 부착 요소는 거의 동일한 수평 패스너 홀 간격 및 거의 동일한 수직 패스너 홀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수평 및 수직으로 정렬된 패스너 홀을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6. 제345항에 있어서,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된 상기 패스너 홀 간격 각각은 약 20 미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7. 제34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된 상기 패스너 홀 간격 각각은 약 12 미만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8. 제347항에 있어서, 다수의 패스너 홀 에지는 움푹 패인 패스너 홀 에지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49. 제34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 두께로 분할된 상기 패스너 홀 간격 각각은 약 8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0.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판 대 수직 기초 면 부착 요소는 다수의 요부 패스너 홀 에지를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1. 제35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움푹 패인 패스너 홀 에지의 대부분은 각각 판 요소 면 플러시(flush), 낮은 열전도성 재료, 패스너 요부 충전재를 보유하도록 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2. 제351항에 있어서, 상기 판 요소 면 플러시, 낮은 열전도성 재료 및 패스너 요부 충전재는 판 요소 면 플러시 폴리에틸렌, 패스너 요부 충전재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3.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단일 중합성 판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4. 제35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중합성 판은 폴리에틸렌 판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5.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다수의 중합성 판을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6. 제35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성 판 중 적어도 2개는 시일런트 (sealant) 수용 홈에 의해 설치 구성에서 이격되도록 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7. 제35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성 판은 상기 수직 기초 면에 고착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8. 제357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된 다수의 중합성 판은 시일런트 수용 홈에 의해 이격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59. 제35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중합성 판은 다수의 폴리에틸렌 판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0. 제35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폴리에틸렌 판의 최종 2개는 시일런트 (sealant) 수용 홈에 의해 설치 구성에서 이격되도록 조절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1. 제35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폴리에틸렌 판은 상기 기초 면에 고착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2. 제361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된 다수의 폴리에틸렌 판은 시일런트 수용 홈에 의해 이격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3.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상당한 수의 패스너 홀을 포함하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4. 제363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를 갖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5. 제364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는 약 15 mm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6. 제364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는 약 25 mm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7. 제33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판 요소는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를 갖는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8. 제367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는 15 mm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69. 제367항에 있어서, 상기 열판 버클링 효과가 완화되는 두께는 약 25 mm인 수문 패널 슬라이드 마찰 감소 장치.
  370.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으로서,
    가능한 수문 에지 스위프를 통해 당접 시일 면과 접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중합성 판 요소를 형성하기 위해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인 중합성 판 요소가 응답하는 판 대 기초 면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1. 제370항에 있어서,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어두운 색의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2. 제370항에 있어서,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초 고분자량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3. 제370항에 있어서,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고밀도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4. 제370항에 있어서,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보강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5. 제374항에 있어서, 보강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섬유유리 보강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6. 제370항에 있어서, 중합성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7. 제370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어두운 색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8. 제370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초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79. 제370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0. 제370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보강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1. 제380항에 있어서, 보강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섬유유리 보강 폴리에틸렌 재료의 용량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2. 제370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인 중합성 판 요소가 응답하는 판 대 기초 면 부착 요소를 설정하는 상기 단계는 평균의, 최근접 패스너 홀 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패스너 홀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3. 제382항에 있어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만큼 분리된 복수의 패스너홀의 설치 단계는,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4. 제383항에 있어서,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5. 제384항에 있어서,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8:1 미만의 판두께비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6. 제382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 요소가 응답하는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패스너홀의 요부 에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7. 제386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 요소가 응답하는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요부 패스너 홀 에지가, 판 요소면 플러쉬, 낮은 열전도성 재료, 패스너 요부 충전제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8. 제387항에 있어서, 상기 요부 패스너 홀 에지가, 판 요소면 플러쉬, 낮은 열전도성 재료, 패스너 요부 충전제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는, 상기 요부 패스너 홀 에지가, 판 요소면 플러쉬, 중합적, 패스너 요부 충전제를 지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89. 제382항에 있어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만큼 분리된 복수의 패스너홀의 설치 단계는, 거의 같은 수평 패스너홀 분리 거리 및 거의 같은 수직 패스너홀 분리 거리만큼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0. 제389항에 있어서, 거의 같은 수평 패스너홀 분리 거리 및 거의 같은 수직 패스너홀 분리 거리만큼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직 패스너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 및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평 패스너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평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1. 제390항에 있어서,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직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직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약 20: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평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평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평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평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2. 제391항에 있어서,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직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8: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직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직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약 12: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평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평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는, 약 8:1 미만의 판두께비로, 수평 패스너 홀 분리 거리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패스너홀을 수평으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3. 제382항에 있어서, 평균의, 가장 가까운 패스너 홀 분리 거리만큼 분리된 복수의 패스너홀을 설치하는 단계는, 열판의 버클링 효과를 완화하는 다수의 패스너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4. 제370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를 상기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기초 슬라이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5. 제370항에 있어서, 가능한 수문 에지 스위프에 걸쳐 당접 시일 면과 접축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일 중합체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6. 제370항에 있어서, 가능한 수문 에지 스위프에 걸쳐 당접 시일 면과 접축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중합체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7. 제39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합체판을, 상기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기초 슬라이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8. 제397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편평한 중합체 판요소를 상기 기초 슬라이드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중합체판 중 적어도 2개를 실런트 수용 홈에 의해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399. 제370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가 열적으로 응답하는 가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0. 제37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단일의 중합체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1. 제370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중합체판을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2. 제40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중합체판을, 상기 판 대 기초면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기초 슬라이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3. 제401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를 기초 슬라이드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중합체판 중 적어도 2개를 실런트 수용 홈에 의해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4. 제370항에 있어서, 가능한 수문 위치 수직 에지 스위프에 걸쳐 수직으로 평면의 당접 시일 면과 접촉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평면의 중합체 판요소를 형성하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열판의 버클링 효과를 완화하는 두께를 갖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5. 제404항에 있어서, 열판의 버클링 효과를 완화하는 두께를 갖도록 폴리에텔렌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약 15mm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6. 제404항에 있어서, 열판의 버클링 효과를 완화하는 두께를 갖도록 폴리에텔렌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약 25mm의 두께를 갖도록 상기 중합체 재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문 슬라이드 마찰 감소 방법.
  407.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에 응답하는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 및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응답하고, 범람 직교 설치 수문 패널 저부 에지에 고정 위치된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수량 조절 장치.
  408. 제407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면 요소는,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하류 설치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인, 수량 조절 장치.
  409.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가 응답하고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회전식으로 응답하는 탄성, 수평축 회전 힌지 요소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장치.
  410.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가, 평활한 콘크리트면인 수량 조절 장치.
  411.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가, UHMW 폴리에틸렌 면인 수량 조절 장치.
  412.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는,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내장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수량 조절 장치.
  413.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인, 수량 조절 장치.
  414.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는, 리바아(rebar) 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인, 수량 조절 장치.
  415.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는, 포스트 텐션 로드 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인, 수량 조절 장치.
  416. 제407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상기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에 상승적으로 응답하는 팽창성 수량 조절 게이트 액츄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수량 조절 장치.
  417. 제407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수량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액튜에이버블 수문 수량 조절 시스템.
  418.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에 응답하는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응답하고, 범람 직교 설치 수문 패널 저부 에지에 고정 위치된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19.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응답하고, 범람 직교 설치 수문 패널 저부 에지에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가 회전적으로 응답하는 탄성중합성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0.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에 응답하여 상기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평활한 콘크리트 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1.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에 응답하여 상기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중합성 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2.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가 응답하고, 범람 직교 설치 수문 패널 저부 에지에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수평축 회전 힌지 대 수문 패널 부착 요소의 적어도 일부를 콘크리트적으로 둘러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3.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4.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리바아 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5.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형성하는 단계는, 포스트 텐션 로드 보강 콘크리트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본체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6. 제41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마찰이 감소된 액츄에이터측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면 요소가 상승적으로 응답하는 팽창성 수량 조절 게이트 액츄에이터를 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의 조절 방법.
  427. -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
    - 단부 근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단부의 대향 단부들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 및
    -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에 응답하는, 상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28. 제4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인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는 단부 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작동 불래더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29. 제428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작동 불래더의 최하류 에지는 실질적으로 드립(drip) 평면에 위치되어 있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0. 제4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각각은 기초 부착 요소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수문 액츄에이터에 응답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1. 제43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가 응답하는 수문 게이트 액츄에이터 대 기초 부착 요소가,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2. 제431항에 있어서,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에 인접한 대향 단부들간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 대체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3. 제427항에 있어서, 인접한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프로파일 유사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4. 제427항에 있어서, 제413항의 저수 누출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5. 제42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근접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가, 단부 근접 수문 패널 부동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6. 제427항에 있어서,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의 길이, 상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 위치, 및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 위치는,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의 최하류단이 낮아진 형상으로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요소 하방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관관계를 갖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7. 제427항에 있어서,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인장성의, 절첩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38. 제427항의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성 수문 패널 수량 조절 시스템.
  439. -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
    -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기초 면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 및
    -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에 응답하는, 상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0. 제439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는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1. 제440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인접 팽창성 수문 패널 작동 불래더의 최하류 에지는 실질적으로 드립(drip) 평면에 위치되어 있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2. 제439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가 응답하는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3. 제442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지지 요소와 상기 실질적으로 수직의 기초면 사이에 실질적으로 위치된, 웨지형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 대체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4. 제439항에 있어서, 인접한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프로파일 유사 인서트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5. 제213항에 기재된 저수 누출 방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6. 제439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가, 수문 패널 부동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7. 제439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인,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8. 제447항에 있어서,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의 길이, 상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 위치, 및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 위치는,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의 최하류단이 낮아진 형상으로 수량 조절 게이트 패널 요소 하방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관관계를 갖는,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
  449. 제439항에 기재된 개선된 저수 조절 시스템 운용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작동성 수문 패널 수량 조절 시스템.
  450. -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의 치수를 결정하는 단계;
    - 수직으로 돌출하는 유량 조절 요소에 인접한,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에 응답하는, 상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1. 제45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으로 돌출하는 유량 조절 요소에 인접한,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2. 제45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팽창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블래더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3. 제45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부동성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4. 제450항에 있어서, 수직으로 돌출하는 유량 조절 요소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절첩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는, 기초 슬라이드 면과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의 인접 단부들 사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인장성의, 절첩성의, 여분의 저부 힌지식 수문 패널 회전 방지 요소가 응답하는 하측의, 여분의 게이트 회전 방지 요소 대 기초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5. 제450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한, 수직으로 돌출하는 유량 조절 요소의 적어도 하나가 응답하는 수문 액츄에이터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웨지형의, 게이타 패널 액츄에이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인, 낮아진 형상의 수량 조절 게이트 시스템의 외형을 개선하는 방법.
  456. 제45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형상의 게이트 패널 액츄에이터와 기초간의 클램프 유지부재 대용 인서트를 쐐기 형상을 갖는 패널 사이의 시일재와 기초간의 유지강화부재 아래에 그리고 가장 가깝고 수직으로 돌출하는 흐름 조절부재들의 저수흐름 근접 양단 사이에 설치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개선방법.
  457. 제450항에 있어서, 기능적이며 근접한 수문 액츄에이터와 기초간의 프로파일모방 인서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개선방법.
  458. 제450항에 있어서, 제223항의 물조절 게이트 스템에 의해 저수된 물의 누수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개선방법.
  459. 제 45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가 응답하는 상기 하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기초간의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하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기초간의 부착부재를 실질적으로 적하면에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개선방법.
  460. 제45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의 길이를 상기 하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기초간의 부착부재 및 상기 상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게이트 패널간의 부착부재 각각의 위치와 상관시켜서, 인장이 가해지지 않은 비구속 형태의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의 최하류단이 낮아진 물조절 게이트 패널 밑에 위치되도록 하는 개선방법.
  461. 제45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가 응답하며 그리고 가장 가깝고 수직으로 돌출하는 흐름조절부재들의 양 근접단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된 상기 하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기초간의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가 응답하며 그리고 끝이 근접한 팽창가능한 수문 패널 액츄에이터 블래더들의 대향단부들 사이에 견고하게 설치된 하부의 게이트 과잉회전 방지부재와 기초간의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개선방법.
  462. 제450항에 있어서, 인장가능한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를 얻는 단계는 인장가능하며 접을 수 있는 바텀 힌지방식의 수문 패널 과잉회전 방지부재를 얻는 단계를 구비하는 개선방법.
  463.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 및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가 응답하는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와 저수부재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구비하는 수맥 에어리션 장치.
  464. 제463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는 강화 탄성중합체 수맥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에어리션 장치.
  465. 제46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는 팽창작동식 수문 패널, 팽창가능한 중합체 댐 및 콘크리트 댐으로 이루어진 저수부재의 군에서 선택된 저수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에어리션 장치.
  466. 제46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는 수문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맥 에어리션 장치.
  467.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가 응답하는 수맥 차단부재와 저수부재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댐 오버탑 수맥을 산기하는 방법.
  468. 제467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를 생성하는 단계는 강화 탄성중합체 수맥 차단기를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댐 오버탑 수맥을 산기하는 방법.
  469. 제467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가 응답하는 수맥 차단부재와 저수부재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수맥차단부재와 팽창작동식 수문 패널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댐 오버탑 수맥을 산기하는 방법.
  470. 제467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가 응답하는 수맥 차단부재와 저수부재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수맥차단부재와 콘크리트 댐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댐 오버탑 수맥을 산기하는 방법.
  471. 제467항에 있어서, 상기 수맥 차단부재와 저수부재간의 결합해제가능한 부착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월류 모드 다이나믹 대상물 충격 가요성 수맥 차단부재를 상부 저수 구조체의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댐 오버탑 수맥을 산기하는 방법.
  472. 복수의 수문 부재;
    상기 복수의 수문부재 아래에 위치복원가능하게 위치가능하며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
    상기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가 작동식으로 응답하는 위치복원 부재;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별개 수문 부재가 응답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3. 제47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는 바텀 힌지식 수문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4. 제472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팽창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5. 제47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팽창가능한 액츄에이터는 2개의 팽창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6. 제47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팽창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는 수직으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7. 제47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 부재는 수문 액츄에이터 위치복원 호스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8. 제47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79. 제47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 부재는 상부 스트럿 부재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스트럿 부재를 연결하는 수평 길이방향의 토크 튜브에 의해 상기 상부 스트럿 부재에 피봇식으로 응답하는 하부 스트럿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 조절 시스템.
  480. 제472항의 저수 조절 시스템을 구비하는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
  481. 기초 위에 복수의 수문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 아래에 위치복원가능하게 위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가 작동식으로 응답하는 위치복원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 및
    각각이,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별개 수문 부재가 응답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2. 제48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복수의 보텀 힌지식 수문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3. 제48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문 부재 아래에 위치복원가능하게 위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4. 제48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형가능한 팽창성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2개의 팽창성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5. 제48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팽창성 변형가능한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2개의 팽창성 변형가능한 수직 적층 수문 액츄에이터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6. 제48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수문 액츄에이터 위치복원 호스 어셈블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7. 제48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8. 제48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트럿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는, 상부 스트럿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와, 적어도 2개의 인접하는 스트럿 부재를 연결하는 수평 길이방향의 토크 튜브에 의해 상기 상부 스트럿 부재에 피봇식으로 응답하는 하부 스트럿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저수 조절 방법.
  489.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가 응답하며 그리고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단면이 확대된 클램프 유지 개선 부재를 구비하는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부착부재;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응답하는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에 응답하는 힌지와 저수부재 간의 부착부재; 및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가 응답하는 힌지와 기초간의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의 회전축이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의 단부에 있고,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플러쉬 상부 교통가능 표면을 갖는 저수장치.
  490.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단면이 확대된 클램프 유지 개선 부재가 쐐기형상의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클램프 유지 부재인 저수장치.
  491.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단면이 확대된 클램프 유지 개선 부재가 콤마 타입의 팽창성 액츄에이터와 기초 간의 클램프 유지 증진 부재 인서트인 저수장치.
  492.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 부재는 8개의 일체형 가요성힌지를 구비하는 저수장치.
  493. 제492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일체형 가요성 힌지가 응답하는 탄성중합체 힌지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저수장치.
  494.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는 8개의 모듈형 가요성 힌지를 구비하는 저수장치.
  495.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는 S형 가요성 힌지를 구비하는 저수장치.
  496.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는 W형 가요성 힌지를 구비하는 저수장치.
  497.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중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섬유는, 트위스트 코드, 와이어 로프, 땋은 로프, 편포, 직물섬유, 탄성중합체내에 내장된 트위스트 코드, 탄성중합체내에 내장된 와이어 로프, 탄성중합체내에 내장된 땋은 로프, 탄성중합체내에 내장된 편포, 탄성중합체내에 내장된 직물섬유, 탄성중합체로 피복된 트위스트 코드, 탄성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중합체로 피복된 편포, 탄성중합체내로 피복된 직물섬유로 이루어진 가요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가요성 섬유인 저수장치.
  498.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에 피봇식으로 응답하는 교통 표면 힌지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저수장치.
  499.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오버탑 차량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00.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오버탑 보행자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01.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오버탑 열차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02.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는 하류측에 위치하는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인 저수장치.
  503.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상승 형태로 응답하는 저수부재 과잉회전 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저수장치.
  504. 제50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 과잉회전 방지부재는 인장가능하며 접을 수 있는 저수부재 과잉회전 방지부재인 저수장치.
  505. 제50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재 과잉회전 방지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식 과잉회전 방해 멈춤인 저수장치.
  506. 제489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는 저수측에 위치하는 팽창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인 저수장치.
  507. 제50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부유성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08. 제506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부유가능하게 응답하는 부유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인 저수장치.
  509. 제50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 아래에 설치되는 저수장치.
  510. 제508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성 저수부재의 액츄에이터 부재는 상기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의 일부분을 형성하는 저수장치.
  511.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응답하는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부재에 응답하는 힌지와 저수부재 간의 부착부재;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부유가능하게 응답하는 부유부재; 및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가 응답하는 힌지와 기초 간의 부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가 플러쉬 상부면을 갖는 저수장치.
  512.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의 회전축은 저수부재의 단부에 있는 저수장치.
  513.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차량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14.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보행자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15.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는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열차 교통가능 저수부재인 저수장치.
  516.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떠오를 수 있는 오버탑 교통가능 저수부재에 피봇식으로 응답하는 교통 표면 힌지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저수장치.
  517. 제5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섬유강화 힌지 부재는 8개의 일체형 가요성 힌지를 구비하는 저수장치.
  518. 제517항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일체형 가요성 힌지가 응답하는 탄성중합체 힌지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저수장치.
  519.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모듈형 8자형 신축성 경첩(modular figure eight flexible hinge)을 포함하는 저수 장치.
  520.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S-형 신축성 경첩을 포함하는 저수 장치.
  521.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W-형 신축성 경첩을 포함하는 저수 장치.
  522.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섬유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땋은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 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신축성 섬유인, 저수 장치.
  523.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뜰 수 있도록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부풀려진 구조에서 응답하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excessive water impoundment element rotation prevention element)를 더 포함하는 저수 장치.
  524. 제523 항에 있어서,
    상기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는 신장되고 접히는(tensionable, collapsible)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인, 저수 장치.
  525. 제523 항에 있어서,
    상기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과 회전 방해 스톱인, 저수 장치.
  526.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가 응답하고 단면상으로 확대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
    상기 저수 요소가 응답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에 응답하는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 및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이 응답하는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 요소의 회전축은 실질적으로 저수 요소 단부에 있는, 저수 장치.
  527.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는 쐐기형의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요소인, 저수 장치.
  528.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는 콤마-형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요소 삽입인, 저수 장치.
  529.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집적된 8자형 신축성 경첩인, 저수 장치.
  530. 제529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된 8자형 신축성 경첩이 응답하는 탄성 중합체 커버를 더 포함하는, 저수 장치.
  531.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모듈형 8자형 신축성 경첩인, 저수 장치.
  532.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S-형 신축성 경첩을 포함하는, 저수 장치.
  533.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는 W-형 신축성 경첩을 포함하는, 저수 장치.
  534.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섬유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땋은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 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신축성 섬유인, 저수 장치.
  535.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는 바다를 향해 배치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인, 저수 장치.
  536.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는 강을 향해 배치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요소인, 저수 장치.
  537.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가 부풀려진 구조에서 응답하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더 포함하는, 저수 장치.
  538. 제537 항에 있어서,
    상기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는 신장되고 접히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인, 저수 장치.
  539. 제537 항에 있어서,
    상기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과 회전 방해 스톱인, 저수 장치.
  540. 제52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요소가 응답하는 부풀려진 저수 요소 위치 보수 요소를 더 포함하는, 저수 장치.
  541.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플러시 상부 교통 표면(flush upper trafficable surface)을 갖도록 구성하는 단계;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응답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실질적으로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 단부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가 응답하는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2. 제541 항에 있어서,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를 기초에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쐐기 모양의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3. 제541 항에 있어서,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를 기초에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콤마-형의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삽입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4. 제541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집적된 8자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5. 제54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된 8자형 경첩에 응답하는 탄성 중합체 경첩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6. 제541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모듈형 8자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7. 제541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S-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8. 제541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W-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49. 제541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땋은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 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0. 제54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에 피벗식으로(pivotally) 응답하는 트래픽 표면 경첩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1. 제541 항에 있어서,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차량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2. 제541 항에 있어서,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보행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3. 제541 항에 있어서,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철도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4. 제541 항에 있어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다운플로우-측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5. 제54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부풀려진 구조에서 응답하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6. 제555 항에 있어서,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되고 접히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7. 제555 항에 있어서,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과 회전 방해 스톱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8. 제541 항에 있어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업플로우 측으로 위치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59. 제558 항에 있어서,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뜰 수 있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0. 제558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뜰 수 있게 응답하는 뜰 수 있는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1. 제560 항에 있어서,
    뜰 수 있는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의 실질적으로 밑에 상기 뜰 수 있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2. 제560 항에 있어서,
    뜰 수 있는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뜰 수 있는 저수 요소를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의 일부로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3.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에 응답하는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에 응답하는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플러시 상부 교통 표면을 갖도록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가 응답하는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4. 제563 항에 있어서,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실질적으로 저수 요소 단부에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5. 제563 항에 있어서,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차량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6. 제563 항에 있어서,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보행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7. 제563 항에 있어서,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오버탑 철도용 교통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8. 제563 항에 있어서,
    상기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에 피벗식으로 응답하는 트래픽 표면 경첩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69. 제563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된 8자형 경첩에 응답하는 탄성 중합체 경첩 커버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0. 제563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모듈형 8자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1. 제563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S-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2. 제563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W-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3. 제563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땋은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4. 제563 항에 있어서,
    상기 뜰 수 있게 부푸는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가 부풀려진 구조에서 응답하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5. 제574 항에 있어서,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되고 접히는 과 저수 요소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6. 제574 항에 있어서,
    과 저수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과 회전 방해 스톱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7.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수 요소가 응답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실질적으로 저수 요소의 세로 방향 단부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가 응답하는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8. 제577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모듈형 8자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79. 제577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S-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0. 제577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W-형 신축성 경첩을 설치하는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1. 제577 항에 있어서,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꼬인 코드(twisted cord), 와이어 로프(wire rope), 땋은 로프(braided rope), 짠 직물(knitted fabric), 누빈 직물(woven fabric), 탄성 중합체(elastomer)에 삽입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짠 직물, 탄성 중합체에 삽입된 누빈 직물,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꼬인 코드,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와이어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땋은 로프,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짠 직물, 및 탄성 중합체로 피복된 누빈 직물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신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2. 제577 항에 있어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바다를 향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3. 제577 항에 있어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강을향한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에 응답하는 저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4. 제577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저수 요소가 부풀려진 구조에서 응답하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5. 제577 항에 있어서,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신장되고 접히는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6. 제577 항에 있어서,
    과 저수 요소 회전 억제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과 회전 방해 스톱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7. 제577 항에 있어서,
    부풀려진 구조 저수 요소 위치 보수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8. 제577 항에 있어서,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기초에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쐐기 모양의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89. 제588 항에 있어서,
    단면상으로 확대된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기초에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콤마-형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요소 삽입을 포함하는 팽창성 작동기 대 기초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팽창성 저수 요소 작동기 요소를 기초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590. 팽창성 주머니(bladder) 제조 프레임에 응답하는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bend resistant deflated bladder fold creation facilitation element)를 설치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가장 안쪽 주머니 층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합체 층의 적어도 일부를 폴딩(folding)하는 단계;
    대향하는 가장 안쪽 층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대향하는 가장 안쪽 주머니 층의 접합 방지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생성된 탄성 중합체 폴드로부터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inflatable article) 제조 방법.
  591.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실질적으로 곧고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2.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신장되는 와이어,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3.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신장되는 봉(rod),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4.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금속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5.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6. 제595 항에 있어서,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신장시키는 상기 단계는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수동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7. 제595 항에 있어서,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신장시키는 상기 단계는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자동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8. 제595 항에 있어서,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신장시키는 상기 단계는 수축된 주머니 폴드생성 촉진 요소를 수력 신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599. 제590 항에 있어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0. 제599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1. 제600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 중 다른 적어도 하나 주위에 주머니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삽입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2. 제600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 중 다른 적어도 하나 주위에 주머니 대 기초 클램프 지지 강화 삽입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병렬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 중 다른 적어도 하나 주위에 패널 대 패널 작동기 요소 클램프 지지 강화 삽입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3. 제599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적어도 4개의 사각으로 배열된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기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4. 제59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중 적어도 일부 주위에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5. 제60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주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합체 층의 적어도 일부를 폴딩하는 상기 단계 전에 수행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6. 제59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 클램프 지지 촉진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7. 제60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의 적어도 일부 주위에서 클램프 지지 촉진 삽입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구부러짐 방지 수축된 주머니 폴드 생성 촉진 요소 주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 중합체 층의 적어도 일부를 폴딩하는 상기 단계 전에 수행되는,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
  608. 제590 항의 팽창성 부재 제조 방법을 사용하는 팽창성 주머니 제조 프레임.
  609. 제54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된 주머니 스트레스 감소 방법.
  610. 제609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단면상으로 물방울 모양의 수축된 주머니 폴드 막 삽입 요소를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팽창된 주머니 스트레스 감소 방법.
  611. 제133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성 막 대 기초 부착 요소는 쐐기 모양의 팽창성 막 대 기초 클램프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장치.
  612. 제418 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물 제어 게이트 패널체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슬라이딩 마찰이 감소되고 작동기 측 물 제어 게이트 패널 표면 요소를 설치하는단계; 및
    오버플로우에 수직하게 인스톨된 워터 게이트 패널 모서리에 수평 축 회전 경첩 대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의 각 단계가 콘크리트 워터 게이트 패널 인스톨 사이트에서 수행되는, 저수 제어 방법.
  613. 냅 브레이크 요소(nappe break element);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연결해제가 가능한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 및
    임팩트 만곡 요소(impact flexure element)를 포함하는 냅 에어레이션 장치(nappe aeration apparatus).
  614. 제613 항에 있어서,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는 강화된 탄성 중합체 냅 브레이커인 냅 에어레이션 장치.
  615. 제6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 요소는 콘크리트 댐,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및 워터 게이트 패널들로 이루어진 저수 요소군으로부터 선택된 저수 요소인, 냅 에어레이션 장치.
  616. 냅 브레이크 요소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연결해제가 가능한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임팩트 만곡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17. 제616 항에 있어서,
    냅 브레이크 요소를 생성하는 상기 단계는 강화된 탄성 중합체 냅 브레이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18. 제616 항에 있어서,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임팩트 만곡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방법은 탄성 중합체 임팩트 만곡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19. 제616 항에 있어서,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팽창성있게 작동되는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20. 제616 항에 있어서,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팽창성 탄성 중합체 댐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21. 제616 항에 있어서,
    상기 냅 브레이크 요소가 응답하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콘크리트 댐 워터 게이트 패널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22. 제6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이 해제될 수 있는 냅 브레이크 요소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의 사용을 통해 상기 오버탑 플로우 모드 다이내믹 오브젝트 임팩트 신축성 냅 브레이크 요소를 상부 저수 구조 표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댐 오버탑 냅 에어레이션 방법.
  623.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요소는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의 일부를 형성하는 저수 장치.
  624.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요소는 상기 오버탑 교통 저수 요소의 외부에 위치하는 저수 장치.
  625.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는 단면상으로 확대된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장치.
  626. 제5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는 단면상으로 확대된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포함하는 저수 장치.
  627. 제563 항에 있어서,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상기 단계는 단면상으로 확대된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628. 제56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성 강화 섬유 경첩 요소가 응답하는 경첩 대 기초 부착 요소를 고정하는 상기 단계는 경첩 대 저수 요소 부착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단면상으로 확대된 클램프 지지 개선 요소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수 방법.
KR1020047000403A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KR101066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426301P 2001-07-09 2001-07-09
US60/304,263 2001-07-09
US32909001P 2001-10-13 2001-10-13
US60/329,090 2001-10-13
US33487001P 2001-10-18 2001-10-18
US60/334,870 2001-10-18
US34383401P 2001-10-19 2001-10-19
US60/343,834 2001-10-19
US37940102P 2002-05-09 2002-05-09
US60/379,401 2002-05-09
PCT/US2002/021766 WO2003006747A2 (en) 2001-07-09 2002-07-09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22A Division KR20070086967A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056A true KR20040019056A (ko) 2004-03-04
KR101066825B1 KR101066825B1 (ko) 2011-09-23

Family

ID=2754090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22A KR20070086967A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KR1020077018003A KR101066826B1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KR1020047000403A KR101066825B1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KR1020077019957A KR20070100410A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522A KR20070086967A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엑츄에이터
KR1020077018003A KR101066826B1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9957A KR20070100410A (ko) 2001-07-09 2002-07-09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7) US7114879B2 (ko)
EP (1) EP1415049B1 (ko)
JP (3) JP4394439B2 (ko)
KR (4) KR20070086967A (ko)
CN (2) CN1553981B (ko)
AU (2) AU2002316634B2 (ko)
CA (4) CA2982981A1 (ko)
ES (1) ES2603402T3 (ko)
MX (1) MXPA04000282A (ko)
WO (1) WO20030067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82981A1 (en) * 2001-07-09 2003-01-23 Henry K. Obermeyer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GB0127216D0 (en) * 2001-11-13 2002-01-02 Univ Edinburgh Watertight gate mechanism
US20060165320A1 (en) * 2003-01-02 2006-07-27 Stephens Thomas C Inlet port for a container made of geotextiles
JP3950090B2 (ja) * 2003-07-25 2007-07-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アイスブレーカー
US20060102170A1 (en) * 2004-11-17 2006-05-18 Wirz Christian H Mobile protection against high waters
US7670083B2 (en) * 2005-09-19 2010-03-02 Mcwha William W Inflatable weir fish passage systems and methods
US20070217868A1 (en) * 2006-03-17 2007-09-20 Beidle Thomas R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ering flooding in coastal areas
MX2008016554A (es) * 2006-06-23 2009-04-02 Hans Christian Behm Vertedero ajustable para instalaciones de presas hidroelectricas.
US7717645B2 (en) * 2006-10-27 2010-05-18 Mclaughlin Consulting Company Adjustable physical structures for producing hydraulic formations for whitewater recreationalists
US7712998B2 (en) * 2007-04-13 2010-05-11 Bernard Salemie Flood wall
CA2613433A1 (en) * 2007-11-21 2009-05-21 Lizete Lombadi Awazu Improvement in rubber profile for flood gate sealing, manufacturing system and product thereof obtained
MX2009001624A (es) * 2008-02-15 2009-08-31 Nicolon Corp Tubo geotextil con extremos planos.
KR100994552B1 (ko) 2008-04-28 2010-11-16 주식회사 청수환경 역전도방지용 공압식 가동보
CN101619567B (zh) * 2009-07-29 2011-01-12 江河机电装备工程有限公司 基于双气袋的挡水闸门系统
KR101108477B1 (ko) 2009-09-10 2012-01-30 (주)현진엔지니어링 다기능 전도식 가동보
CN101914906A (zh) * 2010-06-30 2010-12-15 江苏扬州合力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在斜坡式河道中安装橡胶坝的方法
SG188541A1 (en) * 2010-09-02 2013-04-30 Henry K Obermeyer Flood protection gate for vehicular/pedestrian traffic
WO2012047173A1 (en) * 2010-10-04 2012-04-12 Parafoil Design & Engineering Pte Ltd A floodgate
CN102071664B (zh) * 2010-12-16 2012-11-21 江河机电装备工程有限公司 一种室温硫化高强无缝大型橡胶气囊及其生产工艺
US20120163917A1 (en) * 2010-12-27 2012-06-28 Waters Jr Louis A Super elevation surface self-actuating flood barrier
US8511939B2 (en) 2010-12-27 2013-08-20 Floodbreak, L.L.C. Self-actuating storm surge barrier
US20120285662A1 (en) * 2011-05-10 2012-11-15 Celsia Technologies Taiwan, I Vapor chamber with improved sealed opening
NO20111077A1 (no) * 2011-07-29 2012-09-03 Minihydro Norge As Lavtrykks elvekraftverk
JP5845025B2 (ja) * 2011-08-24 2016-01-20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の扉体構造
US20120148346A1 (en) * 2012-03-01 2012-06-14 Shahriar Eftekharzadeh Self-deploying floodwall
US8925870B1 (en) 2012-03-09 2015-01-06 The Boeing Company Morphing wing leading edge
WO2014064404A1 (en) * 2012-10-23 2014-05-01 Michael Mulvihill A retention device
JP5790637B2 (ja) * 2012-12-20 2015-10-0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式防舷材
CN103046787A (zh) * 2013-01-08 2013-04-17 中山市中山纪念中学 一种停车位上防洪涝装置
CN103061318B (zh) * 2013-01-25 2015-04-15 河海大学 一种气囊式船闸灌泄水辅助系统
CN103132490A (zh) * 2013-02-19 2013-06-05 江河机电装备工程有限公司 1~4米气动盾形闸门夹铸具
JP5793162B2 (ja) * 2013-06-04 2015-10-14 株式会社Ihiインフラシステム 高圧ゲート
CN105593437B (zh) * 2013-08-31 2017-12-05 亨利·欧伯梅尔 水控闸门的墩台板
WO2015042616A1 (en) * 2013-09-23 2015-03-26 Henry Obermeyer Inflatable article with reduced stress concentrations
CN103741648B (zh) * 2013-10-30 2019-02-01 高邮市恒立液压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全自动液压卧倒坝闸门
CN103898878A (zh) * 2013-12-02 2014-07-02 烟台桑尼橡胶有限公司 一种生态气囊支撑坝的气动盾形闸门
US9598167B2 (en) 2014-03-04 2017-03-21 The Boeing Company Morphing airfoil leading edge
US20150308064A1 (en) * 2014-04-27 2015-10-29 David Doolaege Water containment structure with finger ends
KR101514959B1 (ko) * 2014-05-19 2015-07-03 (주)에스엔비 침수방지용 홍수벽
US9415856B2 (en) 2014-06-04 2016-08-16 The Boeing Company Dual-rib morphing leading edge
PT3169849T (pt) * 2014-07-18 2020-01-20 Henry Obermeyer Sistema e método de ancoragem de comporta de controlo de água
GB2529648B (en) * 2014-08-27 2017-03-29 Hadden John A flood barrier device
JP6438282B2 (ja) * 2014-11-28 2018-12-12 日立造船株式会社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498470B1 (ko) * 2014-12-26 2015-03-04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가동보
CN104775400B (zh) * 2015-04-13 2016-04-27 翟德海 矿井泵房至吸水井全自动配水闸门
CN105714744A (zh) * 2015-06-03 2016-06-29 浙江海洋学院 一种拦水大坝
US10711419B2 (en) * 2015-12-16 2020-07-14 Ali Farhadzadeh Boardwalk and sidewalk system with dual use as flood control barrier
KR101626912B1 (ko) * 2015-12-24 2016-06-03 제이씨엔(주) 고무댐
CN107083763B (zh) * 2015-12-28 2019-01-11 芜湖乐佳自动化机械有限公司 一种带有液压封闭的水闸
CN106930243A (zh) * 2015-12-29 2017-07-07 江河机电装备工程有限公司 固定气动盾形闸门的铰链盖板
CN109312550A (zh) * 2016-02-23 2019-02-05 亨利·K·欧伯梅尔 控水闸门
US10179282B2 (en) 2016-02-26 2019-01-15 Impyrium, Inc. Joystick input apparatus with living hinges
DE202016001576U1 (de) 2016-03-09 2016-05-12 Günther Rösch Beweglicher Wehrständer zur Wasserabflussregulierung als Aufsatz für bestehende Wehre, insbesondere zur Stauhaltung bei Wasserkraftwerken
CN105839598B (zh) * 2016-05-19 2017-12-19 江苏扬州合力橡胶制品有限公司 一种气盾坝
CA3027502A1 (en) * 2016-06-13 2017-12-21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US10975538B2 (en) 2016-06-13 2021-04-13 Rsa Protective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CN106166655B (zh) * 2016-08-31 2018-02-02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T型材制作工装
CN106239006B (zh) * 2016-08-31 2017-12-0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t型材的制作方法
CN106284206B (zh) * 2016-09-07 2019-01-11 刘喆 一种水利用多功能防洪墙
US10697143B2 (en) 2016-12-22 2020-06-30 HTE Engineering LLC Inflatable dam and method thereof
US10273645B2 (en) 2016-12-22 2019-04-30 HTE Engineering LLC Inflatable dam and method thereof
CN106638495B (zh) * 2017-01-17 2019-06-14 张家口市江城工程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水利闸门
FR3062406B1 (fr) * 2017-01-31 2019-04-05 Hydroplus Deversoir evacuateur de crues pour barrages et ouvrages similaires comportant un dispositif integre d'aeration de la nappe d'eau aval.
RU177102U1 (ru) * 2017-02-07 2018-02-08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орского и речного флота имени адмирала С.О. Макаров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паводка
US11916508B1 (en) 2017-03-13 2024-02-27 Aquaenergy Llc Underground pumped hydro storage
US10707802B1 (en) 2017-03-13 2020-07-07 AquaEnergy, LLC Pressurized pumped hydro storage system
DK179294B1 (da) * 2017-03-30 2018-04-16 Steen Olsen Invest Aps Stormflodssikring
CN107044239B (zh) * 2017-05-18 2019-02-22 湖北宏远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散装料运输车进料口仓门
CN107288103A (zh) * 2017-08-22 2017-10-24 黄芳 一种升降闸门
CN108221883A (zh) * 2018-02-14 2018-06-29 章帆 一种用于水利工程上的上翻式闸门结构
CN108468748A (zh) * 2018-04-11 2018-08-31 天津大学 一种用于弧型闸门的空气弹簧隔振装置
KR101961204B1 (ko) * 2018-07-19 2019-03-22 주식회사 이도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CN108951553A (zh) * 2018-07-31 2018-12-07 黄芳 一种气盾坝结构及其实现方法
US10731308B2 (en) * 2018-09-20 2020-08-04 Joseph SHERIDAN Flood control system
IT201800009417A1 (it) * 2018-10-12 2020-04-12 Sws Eng Spa Impianto idrico a soglia di sfioro
CN110042805B (zh) * 2019-04-29 2021-04-30 黄芳 一种锚固结构及气盾坝
US10619318B1 (en) * 2019-05-24 2020-04-14 Floodbreak, L.L.C. Flood barrier
CN110453642A (zh) * 2019-06-20 2019-11-15 庞双芹 一种沉淀黄河泥沙输出清水的装置
CN110359421A (zh) * 2019-07-30 2019-10-22 沈阳化大高分子材料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长寿命高压堵水橡胶气囊及生产工艺
JP7329415B2 (ja) * 2019-10-25 2023-08-18 日立造船株式会社 ゲート
US10927520B1 (en) * 2020-02-07 2021-02-23 Mooring Manufacturing LLC Watertight flexible flood barrier system
CA3116876C (en) * 2020-04-29 2023-01-03 Canadian National Railway Company Device for dewate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1052329B1 (en) 2020-06-11 2021-07-06 Jerry D. Janssen Launder cover system
CN112214003B (zh) * 2020-09-09 2021-12-24 武汉乐庭软件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canoe的自动泊车执行器的功能和性能测试系统
USD961802S1 (en) 2021-01-08 2022-08-23 Devra Elze Interlocking water-fillable flood barrier
CN112854150B (zh) * 2021-01-19 2022-06-14 中国电建集团华东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便于检修的底枢翻板闸门侧止水装置及结构
US11702810B2 (en) * 2021-01-22 2023-07-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Barrier for hazardous liquids
CN112962524A (zh) * 2021-02-20 2021-06-15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用于抢险的整体式充水子堤结构及其构筑方法
CN113128083B (zh) * 2021-03-15 2024-04-19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水工弧形钢闸门振动控制的作动器优化布置方法
CN113789728B (zh) * 2021-09-30 2023-03-14 中建港航局集团有限公司 一种水下构件安装缝连接装置
CN113863237B (zh) * 2021-10-19 2022-08-30 安徽名川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带止水结构的液压坝
CN115094838B (zh) * 2022-04-12 2023-10-03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阻止进口水闸门门槽杂物附着的装置
CN114719937B (zh) * 2022-04-15 2023-05-09 深圳市科振建设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液位检测系统及其方法
CN114945257B (zh) * 2022-05-18 2024-03-12 扬州市鑫通智能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信号灯控制机的防潮结构
CN115059042B (zh) * 2022-06-24 2023-01-10 广东省源天工程有限公司 船闸人字门止水装置环氧树脂浇注封堵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91142A (en) * 1938-12-15 1940-02-20 Adrian Bailey Tank packing
US3173269A (en) 1961-10-13 1965-03-16 Norman M Imbertson Collapsible dam
US3298794A (en) * 1964-01-28 1967-01-17 Chicago Bridge & Iron Co Sealing means for pressure vessels
US3638429A (en) * 1970-05-18 1972-02-01 Susquehanna Corp Apparatus for confining material floating on water
US3786638A (en) 1972-06-27 1974-01-22 D Fish Inflatable dams and dam units
GB1448233A (en) 1972-10-18 1976-09-02 Pnejmatiques Caoutchouc Manufa Inflatable barriers
US3861081A (en) * 1973-09-20 1975-01-21 Stanley J Maskell Flood barrier
US3975915A (en) * 1974-10-23 1976-08-24 The Firestone Tire & Rubber Company Anchor assembly for an inflatable fabric dam
US4103497A (en) * 1976-04-28 1978-08-01 Pirelli Furlanis - Applicazioni Idrauliche Agricole Gomma S.P.A. Manoeuvrable weir
US4167358A (en) * 1977-10-04 1979-09-11 Besha James A Open-channel flow control system
JPS5519371A (en) 1978-07-28 1980-02-12 Hokoku Kogyo Kk Water gate upper and lower limit detector
JPS5520835A (en) 1978-07-31 1980-02-14 Hokoku Kogyo Kk Opening indicator for sluice door
JPS5920122B2 (ja) 1978-08-29 1984-05-11 豊国工業株式会社 上流水位自動調節装置の上流水位変更装置
AU523045B2 (en) 1978-09-09 1982-07-08 Bridgestone Tire Co. Ltd. Collabsible rubber dam
US4299514A (en) 1978-12-06 1981-11-10 Bridgestone Tire Co., Ltd. Collapsible rubber dam
US4330224A (en) 1979-03-20 1982-05-18 Bridgestone Tire Company Limited Collapsible rubber dam installation
JPS566012A (en) 1979-06-26 1981-01-22 Kinichi Takeuchi Apparatus for conserving fuel consumption and reducing noxious ga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664013A (en) 1979-10-31 1981-06-01 Hokoku Kogyo Kk Automatic expanding dam
IT1137416B (it) 1980-03-06 1986-09-10 Bridgestone Tire Co Ltd Sbarramento di gomma pieghevole
US4498810A (en) 1980-03-06 1985-02-12 Bridgestone Tire Company Limited Collapsible rubber dam
JPS6020526B2 (ja) 1980-04-12 1985-05-22 豊国工業株式会社
JPS5856766B2 (ja) 1980-06-11 1983-12-16 豊国工業株式会社 堰の自動起伏装置
JPS576013A (en) 1980-06-11 1982-01-12 Hokoku Kogyo Kk Self-pressure reducing, falling down device for weir
JPS6037244B2 (ja) 1980-06-11 1985-08-24 豊国工業株式会社
JPS576012A (en) 1980-06-11 1982-01-12 Hokoku Kogyo Kk Self-water level adjuster
JPS5855288B2 (ja) 1980-08-29 1983-12-09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扉の昇降装置
JPS5748008A (en) 1980-08-30 1982-03-19 Hokoku Kogyo Kk Opening meter of operating device for water gate
JPS5766215A (en) 1980-10-09 1982-04-22 Hokoku Kogyo Kk Levee gate
JPS5943608B2 (ja) 1981-02-25 1984-10-23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開閉装置
KR860000325B1 (ko) * 1981-03-05 1986-04-09 가부시끼 가이샤 브리지스톤 절첩식 고무댐
JPS5841370B2 (ja) 1981-03-18 1983-09-12 豊国工業株式会社 通船用扉装置
JPS57169122A (en) 1981-04-11 1982-10-18 Hokoku Kogyo Kk Taitner gate
JPS59343Y2 (ja) * 1981-04-23 1984-01-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可撓性膜製可動堰
JPS5919202B2 (ja) * 1981-06-08 1984-05-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振動防止可撓性膜堰
JPS58176310A (ja) 1982-04-08 1983-10-15 Hokoku Kogyo Kk 堰の起伏装置
JPS5915111A (ja) 1982-07-13 1984-01-26 Hokoku Kogyo Kk 堰の起伏装置
JPS5941506A (ja) 1982-08-31 1984-03-07 Hokoku Kogyo Kk 堰の起伏装置
JPS6037246B2 (ja) 1982-09-08 1985-08-24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放水装置
JPS6037247B2 (ja) 1982-09-08 1985-08-24 豊国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
JPS5948512A (ja) 1982-09-14 1984-03-19 Hokoku Kogyo Kk 自動水門扉
JPS59109873A (ja) 1982-12-16 1984-06-25 Fuji Electric Corp Res & Dev Ltd 三相共通タンク形遮断器の試験装置
JPS59201578A (ja) 1983-04-28 1984-11-15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の伝送制御方式
JPS59178425U (ja) * 1983-05-13 1984-11-29 建設省九州地方建設局長 河川等の溢水止体
JPS6023512A (ja) 1983-07-16 1985-02-06 Bridgestone Corp 可撓性膜堰
GB8327817D0 (en) 1983-10-18 1983-11-16 Scras 4-halo-furo-(3 4-c)-pyridine derivatives
JPS6095016A (ja) 1983-10-31 1985-05-28 Hokoku Kogyo Kk 堰の起伏装置
JPS60173209A (ja) 1984-02-16 1985-09-06 Hokoku Kogyo Kk 袋状起伏堰の操作装置
JPS60199110A (ja) 1984-03-19 1985-10-08 Hokoku Kogyo Kk 水式袋状起伏堰の操作装置
US4662783A (en) * 1984-03-26 1987-05-05 Bridgestone Corporation Flexible membraneous weir
JPS60219313A (ja) 1984-04-14 1985-11-02 Hokoku Kogyo Kk 袋状堰の全自動制御装置
JPS60219314A (ja) 1984-04-16 1985-11-02 Hokoku Kogyo Kk 袋状起伏堰の半自動制御装置
JPS60246912A (ja) 1984-05-21 1985-12-06 Hokoku Kogyo Kk 袋状起伏堰の操作装置
JPS6128608A (ja) * 1984-07-18 1986-02-08 Sumitomo Electric Ind Ltd 嵩上げ起伏堰を備えるダム
JPS6149014A (ja) 1984-08-18 1986-03-10 Hokoku Kogyo Kk 袋状堰の吐水装置
JPS6164912A (ja) 1984-09-04 1986-04-03 Hokoku Kogyo Kk 水式袋状堰の制御装置
JPS6173209A (ja) 1984-09-17 1986-04-15 Ulvac Corp 磁気ヘツド
JPS6187008A (ja) 1984-10-05 1986-05-02 Hokoku Kogyo Kk 袋状堰の排水装置
JPS6198809A (ja) 1984-10-18 1986-05-17 Hokoku Kogyo Kk 水式袋状堰の過圧防止装置
JPS6198810A (ja) 1984-10-18 1986-05-17 Hokoku Kogyo Kk 袋状堰の倒伏装置
FR2576936A1 (fr) 1985-02-04 1986-08-08 Pouillen Daniel Dispositif de regulation d'un effluent pour regler le niveau d'un fluide
JPS61200215A (ja) 1985-02-28 1986-09-04 Hokoku Kogyo Kk 袋状堰の自動倒伏装置
JPH0639771B2 (ja) 1985-05-22 1994-05-25 豊国工業株式会社 取入水門の自動降下装置
JPS61268276A (ja) 1985-05-24 1986-11-27 株式会社三洋物産 パチンコ機の球発射装置
DE3519610A1 (de) * 1985-05-31 1986-12-04 Vossloh-Werke Gmbh, 5980 Werdohl Mitverspanntes federndes oder nicht-federndes element
JPS6233918A (ja) * 1985-08-05 1987-02-13 Sumitomo Electric Ind Ltd 可撓膜製堰
JPS6290420A (ja) 1985-08-30 1987-04-24 Hokoku Kogyo Kk 自動転倒堰
JPS6290421A (ja) * 1985-09-10 1987-04-24 Mizota Kogyo Kk 防潮堰
GB2184150B (en) 1985-10-12 1989-11-29 Bridgestone Corp Flexible sheet dam
JPS637409A (ja) 1986-06-25 1988-01-13 Hokoku Kogyo Kk 自動水門扉装置
US4702657A (en) * 1986-06-27 1987-10-27 Parker Hannifin Corporation Self centering seal
JPS6313745A (ja) 1986-07-04 1988-01-2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耐熱性複合フイルム
JPS6355210A (ja) 1986-08-27 1988-03-09 Hokoku Kogyo Kk 空気堰の過剰給気防止装置
JPS63115736A (ja) 1986-11-05 1988-05-20 東洋製罐株式会社 金属接着構造物
JPS63147007A (ja) 1986-12-08 1988-06-20 Hokoku Kogyo Kk 転倒堰の巻上装置
JP2688896B2 (ja) 1987-02-03 1997-12-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損傷防護可撓性膜堰
JPS63194946A (ja) 1987-02-10 1988-08-12 東洋製罐株式会社 多層樹脂成形体
JPS63240043A (ja) 1987-03-27 1988-10-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3297419A (ja) 1987-05-29 1988-12-05 Mitsui Petrochem Ind Ltd イミド系プレポリマ−組成物
JP2527959B2 (ja) 1987-04-18 1996-08-28 豊国工業株式会社 袋状ゴム堰付巻上ゲ−ト
US4757119A (en) 1987-05-04 1988-07-12 Ethyl Corporation Epoxy resin compositions containing poly-(hydrocarbylthio)aromatic diamines
US4780024A (en) * 1987-06-05 1988-10-25 Obermeyer Henry K Crest gate
JPS6429991A (en) 1987-07-27 1989-01-31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in storage/annunciation system
JPS6471913A (en) 1987-09-09 1989-03-16 Bridgestone Corp Water level regulator for lock gate
JPH01167611A (ja) 1987-12-24 1989-07-03 Hokoku Kogyo Kk 水位差検出装置
JP2576879B2 (ja) 1988-03-31 1997-01-29 豊国工業株式会社 多段式シリンダゲート
JPH01280115A (ja) 1988-04-30 1989-11-10 Hokoku Kogyo Kk 上下流水位の調節および流量調節のためのゲートの自動制御装置
JP2582620B2 (ja) 1988-04-30 1997-02-19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操作装置を備えた上流水位調節ゲート
JPH01280134A (ja) 1988-04-30 1989-11-10 Hokoku Kogyo Kk 取水装置
JP2654804B2 (ja) 1988-05-13 1997-09-17 豊国工業株式会社 取水装置
JP2640493B2 (ja) 1988-05-19 1997-08-13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起伏堰
US4881854A (en) * 1988-08-17 1989-11-21 Jbi Corporation Pressure activated fluid retaining system and method
JPH0290980A (ja) 1988-08-17 1990-03-30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瓶の洗浄方法
JPH089857B2 (ja) 1988-09-13 1996-01-31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逆潮防止ゲート
JPH0290974A (ja) 1988-09-26 1990-03-30 Sumitomo Metal Ind Ltd 金属管の内面樹脂被覆方法
JPH0294968A (ja) 1988-09-30 1990-04-05 Olympus Optical Co Ltd 撮影装置
JPH0742136B2 (ja) 1988-11-11 1995-05-10 旭硝子株式会社 改良されたリン酸塩系ガラス釉薬
JP2683929B2 (ja) 1988-12-24 1997-12-03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開閉ゲート
JP2514841B2 (ja) 1988-12-24 1996-07-10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水位制御ゲ―ト
JP2683930B2 (ja) 1988-12-29 1997-12-03 豊国工業株式会社 下流遠隔地点との水位差を一定に保持するゲートの制御装置
JPH02190509A (ja) 1989-01-18 1990-07-26 Hokoku Kogyo Kk リミットスイッチ位置補正機付開度計
JPH02190508A (ja) 1989-01-18 1990-07-26 Hokoku Kogyo Kk リミットスイッチ補正装置
JP2717564B2 (ja) 1989-01-20 1998-02-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バーダム
US4877352A (en) 1989-02-10 1989-10-31 Waterman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an upstream water level
JPH02279815A (ja) 1989-04-19 1990-11-15 Hokoku Kogyo Kk 魚道自動ゲート
JPH02279816A (ja) 1989-04-20 1990-11-15 Hokoku Kogyo Kk ダムのための魚道用搬送装置
JPH0339513A (ja) 1989-07-05 1991-02-20 Hokoku Kogyo Kk 洪水に対応する自動堰上げゲート
JP2764311B2 (ja) 1989-07-21 1998-06-11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水位調節開閉ゲート装置
JPH03151408A (ja) 1989-11-06 1991-06-27 Nagasaki Pref Gov 自動スウイング魚道
JP2794216B2 (ja) 1989-12-28 1998-09-0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可撓性膜堰
JP2753877B2 (ja) 1990-01-20 1998-05-20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流量制御弁装置
JPH089858B2 (ja) 1990-01-31 1996-01-31 豊国工業株式会社 流量即応ゲート
JP2818957B2 (ja) 1990-02-14 1998-10-30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開閉装置
SU1729567A1 (ru) * 1990-03-27 1992-04-30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Нефтя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Насадка дл проведени процессов сепарации и массообмена
JPH0699893B2 (ja) 1990-04-27 1994-12-07 豊国工業株式会社 液圧式制水装置
JPH0833003B2 (ja) 1990-05-31 1996-03-29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回動堰
JP2887691B2 (ja) 1990-06-30 1999-04-26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転倒堰の排砂装置
JP2818969B2 (ja) 1990-07-24 1998-10-30 豊国工業株式会社 並列式魚道装置
JPH04111806A (ja) 1990-08-30 1992-04-13 Hokoku Kogyo Co Ltd 取水装置
JPH04149306A (ja) 1990-10-15 1992-05-22 Hokoku Kogyo Co Ltd 降下魚道装置
US5092707A (en) * 1990-10-25 1992-03-03 Obermeyer Henry K Crest gate operating system
JPH06102885B2 (ja) 1990-10-26 1994-12-14 豊国工業株式会社 水位予測制御装置
JPH04228648A (ja) 1990-12-27 1992-08-18 Bridgestone Corp エアバッグ
JP2514866B2 (ja) 1991-04-05 1996-07-10 豊国工業株式会社 用水路用流量応答ゲ―ト
JPH089859B2 (ja) 1991-05-02 1996-01-31 豊国工業株式会社 水圧制御装置
JP2944795B2 (ja) 1991-07-22 1999-09-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可撓性膜堰の取付構造
JP2964184B2 (ja) 1991-09-19 1999-10-18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開閉機
JP3141211B2 (ja) 1991-09-30 2001-03-05 豊国工業株式会社 管水路用制水装置
JP2653954B2 (ja) 1992-01-08 1997-09-17 コクヨ株式会社 蝶番取付構造
JP3170725B2 (ja) 1992-02-25 2001-05-28 豊国工業株式会社 浮遊防止装置付袋状起伏堰
JPH05230817A (ja) 1992-02-25 1993-09-07 Hokoku Kogyo Co Ltd 浮遊抑制装置付袋状起伏堰
US5538360A (en) * 1992-03-02 1996-07-23 Obermeyer; Henry K. Crest gate operating system
US5713699A (en) * 1992-03-02 1998-02-03 Obermeyer; Henry K. Spillway crest gate system and inflatable bladder therefor
JP3206677B2 (ja) * 1992-07-13 2001-09-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可撓性膜堰
US5577863A (en) 1992-08-24 1996-11-26 Nottle; Murray K. Self-Actuating sluice gate
JP2552616B2 (ja) 1992-10-19 1996-11-13 豊国工業株式会社 魚道装置の制御ゲートおよびその集魚装置
JP3302430B2 (ja) 1993-02-03 2002-07-1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堰本体の製造方法
JPH06272232A (ja) 1993-03-19 1994-09-27 Hokoku Kogyo Co Ltd 余水吐用ゲート
JP3278251B2 (ja) 1993-07-08 2002-04-30 マツダ株式会社 プラズマ浸炭焼入方法
JP2665874B2 (ja) 1993-07-31 1997-10-22 豊国工業株式会社 堰の自動起伏装置
JP2627479B2 (ja) 1993-11-19 1997-07-09 豊国工業株式会社 貯溜量配分ゲート
JPH07150541A (ja) 1993-11-30 1995-06-13 Hokoku Kogyo Co Ltd 貯水池の取水装置
JP3500508B2 (ja) 1994-02-23 2004-02-23 豊国工業株式会社 制水用複合ゲート
JP3086940B2 (ja) 1994-03-15 2000-09-11 豊国工業株式会社 管水路における減圧・安全装置
JP3076891B2 (ja) 1994-03-26 2000-08-14 豊国工業株式会社 最大流量規制装置
JP2739635B2 (ja) 1994-06-07 1998-04-15 豊国工業株式会社 積み上げ式魚道装置
JP2565475B2 (ja) 1994-06-24 1996-12-18 株式会社ホギメディカル 止血バンド
US5451075A (en) * 1994-06-29 1995-09-19 Davidson Textron Inc. Closure for an air bag assembly
JPH0881945A (ja) 1994-09-09 1996-03-26 Hokoku Kogyo Co Ltd デニール式組立魚道
JP3191137B2 (ja) 1994-09-16 2001-07-23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用開閉装置
JPH08105033A (ja) 1994-10-07 1996-04-23 Hokoku Kogyo Co Ltd 水門開閉装置のセルフロック機構
JPH08120652A (ja) 1994-10-19 1996-05-14 Hokoku Kogyo Co Ltd 水門開閉装置のセルフロック機構
JPH08120653A (ja) 1994-10-19 1996-05-14 Hokoku Kogyo Co Ltd 河川ゲート用開閉装置
JPH08120974A (ja) 1994-10-20 1996-05-14 Hokoku Kogyo Co Ltd 可倒式防水隔壁
US6328840B1 (en) 1994-10-27 2001-12-11 Bridgestone Corporation Process for adhering vulcanized rubbers and process for producing rubber products using said process for adhering
JPH08134876A (ja) 1994-11-11 1996-05-28 Bridgestone Corp ゴム堰排気弁の復帰装置
JP2565271B2 (ja) * 1994-11-28 1996-12-18 富士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データ収集システムの交信方法
JPH08165632A (ja) 1994-12-12 1996-06-25 Sumitomo Electric Ind Ltd 可撓性膜製起伏堰
NL9500237A (nl) 1995-02-09 1996-09-02 Johann Heinrich Reindert Van D Beweegbare waterkering.
JP3613619B2 (ja) 1995-02-23 2005-01-26 豊国工業株式会社 水位追従型フロート式魚道ゲート
DE19513145A1 (de) 1995-04-07 1996-11-14 Hans Schick Wehreinrichtung
JPH0951732A (ja) 1995-08-11 1997-02-25 Hokoku Kogyo Co Ltd フロートバルブ装置
US5709502A (en) * 1995-08-23 1998-01-20 Obermeyer; Henry K. Connection system for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US5642963A (en) 1995-08-24 1997-07-01 Obermeyer; Henry K. Spillway gate system
JPH0969799A (ja) 1995-09-01 1997-03-11 Antenna Giken Kk 自動制御サーキュレータ装置
JPH09119125A (ja) 1995-10-24 1997-05-06 Hokoku Kogyo Co Ltd 水門用開閉装置
JPH09119124A (ja) 1995-10-24 1997-05-06 Hokoku Kogyo Co Ltd 袋状堰の堰高測定装置
JP3653620B2 (ja) 1995-10-26 2005-06-02 豊国工業株式会社 連結桁堰
JPH09125348A (ja) 1995-10-31 1997-05-13 Hokoku Kogyo Co Ltd 袋状堰の自動倒伏装置
JPH09125350A (ja) 1995-11-02 1997-05-13 Hokoku Kogyo Co Ltd 水門用開閉装置
JPH09137435A (ja) 1995-11-09 1997-05-27 Hokoku Kogyo Co Ltd 水門用開閉装置
JPH09137434A (ja) 1995-11-13 1997-05-27 Sumitomo Electric Ind Ltd 可撓性膜製起伏堰
JP3605739B2 (ja) 1995-11-15 2004-12-22 豊国工業株式会社 防水扉の起立装置
JPH09151444A (ja) 1995-11-30 1997-06-10 Hokoku Kogyo Co Ltd 袋状堰の設置構造
JPH09151443A (ja) 1995-11-30 1997-06-10 Hokoku Kogyo Co Ltd 袋状堰の設置構造
JP3030803B2 (ja) 1996-01-22 2000-04-10 豊国工業株式会社 流量応答ゲート
JPH105757A (ja) 1996-06-27 1998-01-13 Hokoku Kogyo Co Ltd 上澄水およびスカム排出装置
JPH1060872A (ja) 1996-08-27 1998-03-03 Bridgestone Corp 魚 道
JP3630869B2 (ja) 1996-09-09 2005-03-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堰群
JP3726200B2 (ja) 1996-12-06 2005-12-14 豊国工業株式会社 水門開閉装置
JP3813283B2 (ja) 1997-01-23 2006-08-23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可撓性膜構造物の起伏制御装置
JPH10282028A (ja) 1997-04-09 1998-10-23 Hokoku Kogyo Co Ltd 水分測定装置を持つ昇降機
JP3228893B2 (ja) 1997-06-16 2001-11-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機器
JPH1132322A (ja) 1997-07-11 1999-02-02 Hitachi Eng & Services Co Ltd 凶器所持者自動追尾装置
JPH1152433A (ja) 1997-07-29 1999-02-26 Canon Inc 液晶素子および液晶装置
JPH1152739A (ja) 1997-08-08 1999-02-26 Ricoh Co Ltd 液体現像剤供給方法
JPH1164542A (ja) 1997-08-26 1999-03-05 Rhythm Watch Co Ltd 掛け時計
JPH11117271A (ja) 1997-10-16 1999-04-27 Kaisei Kogyo Kk 水路用ゲート装置
JP3069850B2 (ja) 1997-11-05 2000-07-24 豊国工業株式会社 防護柵を備えた防潮ゲート
JPH11156956A (ja) 1997-12-02 1999-06-15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のカーカス層端部折り返し用ブラダー
JP3956070B2 (ja) 1998-01-06 2007-08-08 豊国工業株式会社 自動魚道ゲート
JP3792873B2 (ja) 1998-01-13 2006-07-0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ラバーダム
JPH11229357A (ja) 1998-02-17 1999-08-24 Hokoku Kogyo Co Ltd シ−ト状堰
JP3965612B2 (ja) 1998-02-20 2007-08-29 豊国工業株式会社 ラジアルゲート
JPH11256554A (ja) 1998-03-11 1999-09-21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プロテクターを備えたゴム堰
JPH11269856A (ja) 1998-03-20 1999-10-05 Kantou Regional Constr Bureau Ministry Of Constr 斜行式ゲート
JPH11303049A (ja) 1998-04-20 1999-11-02 Nishida Marine Boiler Co Ltd ゴム堰
JPH11303051A (ja) 1998-04-24 1999-11-02 Bando Chem Ind Ltd 振動防止ゴム製堰
JPH11303050A (ja) 1998-04-24 1999-11-02 Bando Chem Ind Ltd ゴム製起伏堰
GB9810192D0 (en) * 1998-05-14 1998-07-08 Timms Cyril A Self-regulating weirs and fishways
JP2935185B1 (ja) 1998-05-26 1999-08-16 日東河川工業株式会社 過圧防止機構を備えたゴム堰の自動倒伏装置
US6019898A (en) 1998-06-23 2000-02-01 Aqua-Aerobic Systems, Inc. Weir assembly with movable baffle member
CN2344433Y (zh) * 1998-09-25 1999-10-20 尹学军 堵漏气囊
JP3291473B2 (ja) 1998-10-28 2002-06-10 コクヨ株式会社 蝶 番
JP3228912B2 (ja) 1999-02-22 2001-11-12 株式会社ミゾタ 可撓性膜堰の過圧防止装置
DE29903284U1 (de) 1999-02-24 1999-05-20 Ebeling Kersten Dipl Ing Vorrichtung gegen den Zustrom von Flüssigkeiten durch eine Maueröffnung eines Gebäudes
JP4357027B2 (ja) 1999-03-31 2009-11-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シート状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0290974A (ja) 1999-04-05 2000-10-17 Hokoku Kogyo Co Ltd 袋状堰内の排水装置および排水方法
JP2000290973A (ja) * 1999-04-05 2000-10-17 Bridgestone Corp 取付金具及び可撓性膜堰
JP2000290980A (ja) 1999-04-09 2000-10-17 Hokoku Kogyo Co Ltd 水力発電装置を備えた魚道設備
JP2000297419A (ja) 1999-04-14 2000-10-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アンダーフロー型ゴム堰
JP2000297421A (ja) 1999-04-15 2000-10-24 Sumitomo Electric Ind Ltd ゴム堰魚道
JP2001132322A (ja) * 1999-10-29 2001-05-15 Hokoku Kogyo Co Ltd 転倒型防水扉
JP2001271328A (ja) 2000-03-28 2001-10-05 Bridgestone Corp 可撓性袋体の内圧調整装置、それを用いた可撓性膜堰及びその内圧調整方法
CN1279318A (zh) * 2000-04-28 2001-01-10 王岳松 便携式管涌快速封堵器
JP2002038454A (ja) 2000-07-28 2002-02-06 Bridgestone Corp 可撓性膜堰
JP3496146B2 (ja) * 2001-04-16 2004-02-09 章雄 飯田 防潮ゲート
CA2982981A1 (en) * 2001-07-09 2003-01-23 Henry K. Obermeyer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US6623209B1 (en) * 2002-04-04 2003-09-23 Floodbreak Llc Automatic flood gate
JP4149306B2 (ja) 2003-04-30 2008-09-10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および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CN2723515Y (zh) * 2004-08-25 2005-09-07 侯作启 一种橡胶坝
JP2008003661A (ja) 2006-06-20 2008-01-10 Sumitomo Chemical Co Ltd プロセス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4833154B2 (ja) * 2007-06-11 2011-12-07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起伏ゲート
JP5606012B2 (ja) 2009-06-15 2014-10-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エジェクト方法
WO2011151850A1 (en) 2010-06-01 2011-12-08 Enrico Ghidi Building sheet with sealing device
SG188541A1 (en) * 2010-09-02 2013-04-30 Henry K Obermeyer Flood protection gate for vehicular/pedestrian traffic
JP2012132223A (ja) * 2010-12-22 2012-07-12 Marsima Aqua System Corp 起伏ゲ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06747A2 (en) 2003-01-23
KR101066825B1 (ko) 2011-09-23
US10370813B2 (en) 2019-08-06
US20090180835A1 (en) 2009-07-16
MXPA04000282A (es) 2005-03-07
CA2491968A1 (en) 2003-01-23
CA2491968C (en) 2011-09-20
WO2003006747A3 (en) 2003-04-03
CN1553981A (zh) 2004-12-08
AU2008202683A1 (en) 2008-07-10
JP2011017247A (ja) 2011-01-27
US20130343821A1 (en) 2013-12-26
KR101066826B1 (ko) 2011-09-23
US9765495B2 (en) 2017-09-19
JP4394439B2 (ja) 2010-01-06
CN1553981B (zh) 2010-04-21
CA2982972A1 (en) 2003-01-23
EP1415049A2 (en) 2004-05-06
CN1908317B (zh) 2012-04-25
KR20070086967A (ko) 2007-08-27
AU2002316634B2 (en) 2008-03-20
ES2603402T3 (es) 2017-02-27
CA2982972C (en) 2019-01-29
EP1415049B1 (en) 2016-08-17
EP1415049A4 (en) 2005-01-12
US20110116871A1 (en) 2011-05-19
US20030143027A1 (en) 2003-07-31
US20180094397A1 (en) 2018-04-05
US20060072969A1 (en) 2006-04-06
JP2006312874A (ja) 2006-11-16
US7114879B2 (en) 2006-10-03
KR20070090271A (ko) 2007-09-05
US9028170B2 (en) 2015-05-12
CA2747379C (en) 2018-09-04
US8511937B2 (en) 2013-08-20
JP5745243B2 (ja) 2015-07-08
US20150337513A1 (en) 2015-11-26
CN1908317A (zh) 2007-02-07
CA2982981A1 (en) 2003-01-23
CA2747379A1 (en) 2003-01-23
KR20070100410A (ko) 2007-10-10
JP2005520952A (ja)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6826B1 (ko)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AU2002316634A1 (en)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US5713699A (en) Spillway crest gate system and inflatable bladder therefor
US4299514A (en) Collapsible rubber dam
WO2012030399A1 (en) Flood protection gate for vehicular/pedestrian traffic
US20180179716A1 (en) Inflatable dam and method thereof
TWI292002B (en)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Jena Bonding and anchoring system for rubber dam
Van Breukelen Improvement and scale enlargement of the inflatable rubber barrier concept: A case study applicable to the Bolivar Roads Barrier, Texas, US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