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204B1 -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204B1
KR101961204B1 KR1020180084238A KR20180084238A KR101961204B1 KR 101961204 B1 KR101961204 B1 KR 101961204B1 KR 1020180084238 A KR1020180084238 A KR 1020180084238A KR 20180084238 A KR20180084238 A KR 20180084238A KR 101961204 B1 KR101961204 B1 KR 101961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plate
nut
clamping
plat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자
조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
Priority to KR102018008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29C70/467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and impregnating the reinforcements during mould clo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섬유가 적어도 2 방향으로 배열 및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강화 복합체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제1 단계;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를 하부금형 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합형 -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되는 경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이 제공됨 - 하여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 복합체가 압축되는 제2 단계;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주입된 수지가 경화되어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된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가 되도록,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합형을 해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를 탈형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Method of Clamping plate for rubber dam and Clamping system for rubber dam}
본 발명의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에어백에 대한 클램핑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는 수위를 조절하여 특수 목적으로 사용토록 하는 일종의 담수를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농공업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목적으로 수위 조절 장치의 일종인 고무보가 이용되고 있다.
고무보는 강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콘크리트 기초부에 배치되고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기초하여 기립 및 도복이 구현되는 에어백, 및 상기 에어백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백을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종래의 클램핑 플레이트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25646호에 의하면 종방향, 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열·직조된 각각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여 수지에 함침하고, 그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며 열이 가해진 중공 단면 형상의 성형몰드에 통과시켜 급속 경화시킨 후 규격별로 절단하여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은 수지에 함침된 적층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이 중공 단면 형상의 성형몰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수지의 과도한 함침양에 의해 수지가 성형몰드에 지속적으로 달라붙어 성형몰드에 점점 두께가 두꺼워지는 막을 형성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제조하고자 하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규격의 정확도를 저하시켜, 클램핑을 하는 과정에서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막을 형성한 수지를 제거해야 하는 등의 이유로 제조 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제조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클램핑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은,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섬유가 적어도 2 방향으로 배열 및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강화 복합체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제1 단계;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를 하부금형 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합형 -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되는 경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이 제공됨 - 하여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 복합체가 압축되는 제2 단계;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되도록 하는 제3 단계; 상기 주입된 수지가 경화되어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된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가 되도록,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가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합형을 해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를 탈형시키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은, 강폭 방향으로 시공되고 단차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단차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기립 및 도복이 구현되는 에어백의 양단부가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에 의해 제공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양단부 및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앵커볼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단차부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너트를 수용하여 상기 너트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상면 및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양단부가 적어도 2회 이상 굴곡된 상태로 가압되도록 하는 저면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너트가 수용되는 경우, 고무보의 상류측에 존재하는 자갈이 상기 너트와 상기 수용홈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자갈에 의한 상기 너트의 체결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너트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상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상면에 존재할 수 있는 자갈이 상기 상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저면은, 돌출부 및 함입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측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의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보적인 상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의하면,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에 대한 클램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AA선에 따른 개략 확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임베디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및 AA선에 따른 개략 확대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임베디드 플레이트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강이나 하천 등에 적용되어 상류측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일종의 수위 조절 장치인 고무보(10)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1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무보(10)는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100) 및 에어백(2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200)은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100)에 의해 콘크리트 기초부(300) 상에 고정되어 기립 및 도복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100)은 임베디드 플레이트(110) 및 클램핑 플레이트(1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강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단차부(310)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기초부(300)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단차부(310)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단차부(3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300)는 일종의 강이나 하천 등의 바닥을 정리하기 위한 기초부로, 강폭 방향으로 시공될 수 있으며,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강폭 방향을 따라 축 방향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단차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백(200)의 양단부(210), 즉, 에어백(200)의 양쪽 단부가 겹쳐저서 적층되는 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는 삽입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31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상기 삽입공간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강이나 하천 등의 바닥에 위치한 후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300)와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주강 또는 복합 재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상기 단차부(310)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단차부(3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 앵커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상기 에어백(200)이 콘크리트 기초부(300) 상에 고정되는 경우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강폭 방향으로 상기 단차부(310) 상에 설치되어 상기 단차부(310)를 포위할 수 있으며, 상기 단차부(3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백(200)은 양단부(210)가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에 배치되고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기립 및 도복이 구현되도록 하는 일종의 고무튜브로, 예를 들어, 외부의 동력에 의해 공기가 상기 에어백(200)의 내부로 주입되면 팽창되어 기립될 수 있으며, 내부로 주입된 공기에 외부로 유출되면 수축되어 도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200)은 유체의 유출입에 의해 기립 및 도복이 조절되어 상류측의 수위 조절 및 방류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는 상기 단차부(310) 및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에 의해 제공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 너트(N)가 앵커볼트(B)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너트(N)를 수용하여 상기 너트(N)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수용홈(G)이 형성되는 상면(US) 및 굴곡지게 형성되어 에어백(200)의 양단부(210)가 적어도 2회 이상 굴곡된 상태로 가압되도록 하는 저면(BS)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앵커볼트(B)는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300)의 내부에 매설되고,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 상기 에어백(200)의 양단부(210) 및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를 관통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너트(N)가 체결되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에어백(200)의 양단부(210)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백(200)이 상기 단차부(310)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에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용홈(G)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면(US) 및 굴곡지게 형성되는 저면(BS)을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면(BS)은 돌출부(122) 및 함입부(124)가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복 횟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돌출부(122) 및 상기 함입부(124)는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의 위치하는 에어백(200)의 양단부(210)가 굴곡진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에어백(200)은 콘크리트 기초부(300) 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되어, 상기 에어백(200)이 상류측 또는 하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면(US)에 형성되는 수용홈(G)은 상기 너트(N)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너트(N)가 상기 앵커볼트(B)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너트(N)를 수용하여 상기 너트(N)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류측에 존재하는 자갈 등에 의해 상기 너트(N)를 충격하여 상기 너트(N)의 체결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용홈(G)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너트(N)는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상류측에 존재하는 자갈 등에 의해 상기 너트(N)는 충격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되어 상기 너트(N)는 파손되거나 자연스럽게 앵커볼트(B)로부터 풀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너트(N)를 수용하는 수용홈(G)으로 인해 상기 너트(N)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G)은 돌출부(122)가 형성된 부분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측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수용홈(G)의 형성으로 인한 두께의 감소를 상쇄시킬 수 있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의 상면(U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에 의해 제공되는 삽입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너트(N)가 상기 앵커볼트(B)에 체결되어 상기 양단부에 대한 가압이 완료되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와 상기 양단부 사이로의 자갈의 침투에 의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백(200)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전체 영역이 상기 삽입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상기 삽입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에어백(200)을 가압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는 클램핑 플레이트(120)의 저면(BS)과 상보적인 상면을 구비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삽입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돌출부(122)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의 상면은 함입되어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124)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110)의 상면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에 제공되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클램핑 플레이트(220)는 앵커볼트(B)가 관통되는 본체부(226), 상기 본체부(226)의 상류측단 및 하류측단 각각으로부터 콘크리트 기초부(300)의 단차부(3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너트(N)가 상기 앵커볼트(B)에 체결되는 경우 에어백(200)의 양단부(2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대시키는 상류측날개부(227) 및 하류측날개부(228)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류측날개부(227) 및 상기 하류측날개부(228)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가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류측 날개부(227) 및 상기 하류측날개부(228)의 저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200)의 양단부(21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및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강화섬유가 적어도 2 방향으로 배열 및 직조되어 형성되는 섬유강화 복합체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제1 단계(S10),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를 하부금형 상에 위치시킨 후 상기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합형 -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이 합형되는 경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내부공간이 제공됨 - 하여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 복합체가 압축되는 제2 단계(S20),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되도록 하는 제3 단계(S30), 상기 주입된 수지가 경화되어 상기 주입된 수지에 함침된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가 되도록,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가하는 제4 단계(S40) 및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의 합형을 해제하여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를 탈형시키는 제5 단계(S50)가 진행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강화섬유는 경량성, 내부식성, 인장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는 상기 강화섬유가 종방향, 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열 및 직조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를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공정은 자동화된 설비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자동화된 설비는 강화섬유가 복수의 층을 구현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설비일 수 있다.
따라서, 강화섬유가 상기 자동화된 설비의 공간을 통과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층을 이룰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 제1 단계(S10)는 완료된다.
상기 제2 단계(S20)를 진행하기 위한 상기 상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은 상기 내부공간을 규정하는 일면에, 제5 단계(S50)에 따른 탈형 시, 상기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가 상기 상부금형의 일면 및 상기 하부금형의 일면 중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는 이형제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 진행 시, 즉, 상기 합형 시, 상기 하부금형 상에 위치한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가 압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소정의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압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계(S20)가 완료되면, 상기 내부공간으로 수지가 주입되는 제3 단계(S3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는 접착성, 내식성, 내화학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외부 유해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되는 에폭시 수지, 비닐에스터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및 페놀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단계(S30) 진행 시 상기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수지는, 상기 제2 단계(S20)를 통해 상기 적층된 섬유강화 복합체가 압축된 상태이므로, 적정량만이 주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근형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수지가 상기 내부공간으로 주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에어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한 에어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3 단계(S30)가 완료되면, 상기 상부금형 및 상기 하부금형 중 적어도 하나에 열을 가하는 제4 단계(S40)가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섬유강화 복합체는 상기 접착 성분의 상기 수지에 의해 일체화되게 된다.
이후 제5 단계(S50)가 진행되면서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공정이 진행되면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120, 220)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110: 임베디드 플레이트
120: 클램핑 플레이트
200: 에어백
300: 콘크리트 기초부

Claims (5)

  1. 삭제
  2. 강폭 방향으로 시공되고 단차부를 구비하는 콘크리트 기초부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시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단차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임베디드 플레이트;
    유체의 유출입 정도에 의해 기립 및 도복이 구현되는 에어백의 양단부가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에 의해 제공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클램핑 플레이트;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초부의 내부에 매설되고,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상기 양단부 및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앵커볼트; 및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양단부를 가압하여 상기 에어백이 상기 단차부 상에 고정되도록,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삽입공간에 삽입된 후, 상기 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양단부에 대한 가압이 완료되면,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면을 구비하여 상기 상면에 존재할 수 있는 자갈이 상기 상면으로부터 쉽게 떨어져 나가도록 하며,
    상기 상면은,
    상기 가압이 완료되면,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와 상기 양단부 사이로의 자갈의 침투에 의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파손을 방지하고, 상기 에어백의 반복적인 기립 및 도복 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전체 영역이 상기 삽입공간 내에 위치하여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에어백을 가압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에는 상기 너트가 상기 앵커볼트에 체결되는 경우, 상기 너트를 수용하여 상기 너트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양단부가 적어도 2회 이상 굴곡된 상태로 가압되도록 하는 저면을 구비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너트가 수용되는 경우, 자갈이 상기 너트와 상기 수용홈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자갈에 의한 상기 너트의 체결력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너트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저면은,
    돌출부 및 함입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수직 방향으로의 상측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플레이트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저면과 상보적인 상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KR1020180084238A 2018-07-19 2018-07-19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KR101961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38A KR101961204B1 (ko) 2018-07-19 2018-07-19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238A KR101961204B1 (ko) 2018-07-19 2018-07-19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037 Division 2018-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204B1 true KR101961204B1 (ko) 2019-03-22

Family

ID=65949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238A KR101961204B1 (ko) 2018-07-19 2018-07-19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2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3027A1 (en) * 2001-07-09 2003-07-31 Henry K. Obermeyer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KR200390471Y1 (ko) *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KR100625646B1 (ko) * 2005-04-25 2006-09-2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KR101543269B1 (ko) * 2014-12-31 2015-08-12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43027A1 (en) * 2001-07-09 2003-07-31 Henry K. Obermeyer Water control gate and actuator therefore
KR200390471Y1 (ko) * 2005-04-25 2005-07-21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KR100625646B1 (ko) * 2005-04-25 2006-09-20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KR101543269B1 (ko) * 2014-12-31 2015-08-12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3340A (en) Composites and multi-composites
FI87677C (fi) Isolerad vaegg
US8925268B2 (en) Process for reinforcing a construction structure, and structure thus reinforced
US4637754A (en) Lining of pipelines and passageways
WO1995023692A1 (en) Cellulose surface material adhered to a panel
US11299895B2 (en) Method for strengthening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using CFRP strips and concrete or timber structures strengthened by this method
AU706549B2 (en) Strengthening of structural members
JP2017160661A (ja) 長尺構造物の補強構造
US85671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concrete
KR101961204B1 (ko)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JP7149090B2 (ja) 突起付きfrp格子材
KR100625646B1 (ko)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KR100985563B1 (ko) 폴리프로필렌 안전벨트가 내장된 복합섬유 보강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0985569B1 (ko) 폴리에틸렌 안전벨트가 내장된 복합섬유 보강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JP7085539B2 (ja) コンクリートの構成要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985886B1 (ko) 폴리아세탈 안전벨트가 내장된 복합섬유 보강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KR101777255B1 (ko) 고무보 에어백 제조 방법
US7018577B2 (en) Panel liner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984740B1 (ko) 내진보강용안전벨트가 내장된 복합섬유 보강판,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진보강공법
JP2001232624A (ja) コンクリート補強材、コンクリート構造体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形成方法
US1156660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gments for a tower, prestressed segment, tower ring, tower, wind turbine, and prestressing device
KR10210869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난연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24761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을 위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보강방법
KR200390471Y1 (ko)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KR10071626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보강용 에프알피 보강재와 이에프알피 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