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646B1 -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46B1
KR100625646B1 KR1020050033961A KR20050033961A KR100625646B1 KR 100625646 B1 KR100625646 B1 KR 100625646B1 KR 1020050033961 A KR1020050033961 A KR 1020050033961A KR 20050033961 A KR20050033961 A KR 20050033961A KR 100625646 B1 KR100625646 B1 KR 10062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clamping plate
rubber
reinforced composite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유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주식회사 유일기연,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국민씨아이
Priority to KR102005003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내부식,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을 보유한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하상 구조체 위에 고무보의 양쪽 단부를 겹쳐 적층하고 그 위에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며 저면에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하향으로 대칭되는 장변압착돌기가, 그리고 상부면 양측에는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상향으로 대칭되는 수직보강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핑 플레이트를 적층시켜 앵커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가, 그들 부재의 방향이 각각 종방향, 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열·직조된 각각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여 수지에 함침하고, 그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며 열이 가해진 중공단면 형상의 성형몰드에 통과시켜 급속 경화시킨 후 규격별로 절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진 클램핑 플레이트가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적합하여, 장기간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내하력 증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경량에 따른 운반과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FIBER REINFORCED COMPOSITES CLAMPING PLATE FOR RUBBER DAM AND METHOD FOR FABRICATION}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용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해 고무보가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상부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하부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에 있어서, 복합소재 적층판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를 이루는 복합소재 적층판의 적층도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110 : 복합소재 적층판
111, 112 : 장변압착돌기 113, 114 : 수직보강편
115 : 통공 120 : 섬유매트
130 : 유리섬유직포 140 : 로빙사
본 발명은 예컨대, 고무댐이나 가동보를 등을 하천 또는 강폭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램핑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강(STEEL)재료로 하는 고무댐 고정용 클램핑 플레이트를 경량성, 내부식성,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대체하여, 고무댐이나 가동보를 하천이나 강폭방향으로 고정할 때 경량에 따른 시공의 편리성과 클램핑 플레이트의 부식에 따른 별도의 방식공사가 필요치 않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이나 하천 또는 하구의 해수 댐(DAM)의 수위조절용 울타리로서 철제의 자동 전도식 울타리가 주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철제 울타리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정비조작이 대단히 곤란하며 약한 기초 위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최근에는 공기, 물 등과 같은 유체의 직접적인 공급에 의해서 운전되며 설비나 정비가 용이고무튜브로 이루어진 소위 조립식 고무댐 혹은 가동보라는 수위 조절용 댐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댐 또는 가동보들은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는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튜브(고무보)의 높이를 공기, 물 등의 유체의 공급 조절로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울타리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고무댐 또는 가동보의 대부분은 그 고무보의 팽창 기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천이나 강폭 방향의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보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플레이트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무댐 또는 가동보의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해 강이나 하천을 가로질러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는데, 이와 같은 고무댐 또는 가동보를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고무댐용 클램핑 플레이트의 예를 들면, 도 1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용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해 고무보가 하상 콘크리트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종래의 고무댐용 클램핑 플레이트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보(10)를 기립 및 도복시키기 위해 댐 경사부를 통해 하상 콘크리트(60)의 바닥에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공기 공급 및 배출용 공기관이 설치된다.
그리고 하상 콘크리트(60)에 폭방향을 따라 매설되어 있는 상기 공기관은 하상 콘크리트(60)의 바닥 면에 설치되는 고무보(10) 내로 연통되어 있다.
고무보(10)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 진다.
이와 같은 고무보(1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60)에 폭방향을 따라 매설되는 하상 구조체(30)를 상호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각각의 다수 개의 앵커볼트(40)를 각각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천 또는 강폭방향으로 매설하여 둔다.
하상 구조체(30)에 고무보(10)를 밀착시켜 고정하기 위해서는 강(STEEL)재료로 하여 특수 주물 제작되어진 클램핑 플레이트(20)를 사용한다. 클램핑 플레이트(20)는 겹쳐진 고무보(10)의 양단부를 하상 구조체(30)에 보다 긴밀하게 밀착 고정시켜 고무보(10)의 양단부와 하상 구조체(30)의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양 날개부(20a)(20b)와 그 양날개부(20a)(20b)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살(20c)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보강살(20c)들의 사이에는 하상 콘크리트(60)에 매설되어 있는 엥커볼트(40)들이 관통되도록 통공들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무보(10)를 하상 콘크리트(60)에 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고무보(10)의 양 단부를 겹쳐서 하상 구조체(30) 위에 올려놓은 그 위로 강재로 이루어진 클램핑 플레이트(20)를 덮어놓고 앵커볼트(40)들에 너트(50)들을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완료되며, 또한 클램핑 플레이트(20)의 양 날개부(20a)(20b)가 하상 구조체(30)에 대하여 고무보(10)의 양 단부를 강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고무보(10) 내의 공기 기밀이 유지될 뿐만 아니라 하상 구조체(30)와 고무보(10)의 양단부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무보(10)가 클램핑 플레이트(20)에 의해 강 또는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60)에 폭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계획수위를 설정하여 상기 공기관으로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고무보(10)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획수위 만큼 기립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되고, 담수된 물을 방류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공기관을 통해 고무보(1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그 고무보(10)가 도복되어져 담수된 물이 방류된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댐용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강재료로 특수 주물 제작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중량이 무거워 취급 및 설치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물의 특성상 정밀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재가공을 필요로 하여 가공비 상승의 요인이 되었으며, 특히 강재로 제작되어진 클램핑 플레이트는 장기간 수중 바닥에 잠겨있기 때문에 오염된 생활 폐수, 공장 폐수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의해 강재가 심하게 부식되어 강도 및 내구년한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이것에 의해 구조적인 안전성에 문제가 되어 고무보가 상류의 수압을 견디지 못하고 물과 함께 휩쓸려 내려가게 되는 위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부식된 클램핑 플레이트를 교체하고자 할 때 교체비용과 공영 시 유지관리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고부식환경에 있는 강재 구조물은 내부식성을 가지므로, 부식방지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별도의 방식공사, 예컨대 전기방식, 방식피복, 도장 등의 별도의 공사를 해 주어야 하나, 이 또한 방식공사에 따른 재료비용의 상승과 작업손실이 따르는 또다른 문제점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무댐이나 가동보의 시설 때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적합하여, 장기간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내하력 증진이 보장된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는 경량, 내부식, 고강도, 고내구성을 보유하도록 두 가지 이상의 서로 특성이 다른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구성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종 고부식환경 등에 따른 강재의 부식 방지를 위한 전기방식, 방식피복, 도장 등의 별도의 방식공사가 필요치 않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물의 경량에 따른 운반과 시공의 편리성 및 공기가 단축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하면, 콘크리트의 하상 구조체 위에 고무보의 양쪽 단부를 겹쳐 적층하고 그 위에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며 저면에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하향으로 대칭되는 장변압착돌기가, 그리고 상부면 양측에는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상향으로 대칭되는 수직보강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핑 플레이트를 적층시켜 앵커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그들 부재의 방향이 각각 종방향, 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열·직조된 각각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여 수지에 함침하며, 그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며 열이 가해진 중공단면 형상의 성형몰드에 통과시켜 급속 경화시킨 후 규격별로 절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강화섬유와, 상기 강화섬유에 함침되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페놀, 에폭시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 직조되어 공급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방향별로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적층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준비된 소정의 수 지에 함침시키는 단계; 제작하고자 하는 클램핑 플레이트의 두께와 폭을 갖도록 그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중공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온의 성형몰드에 상기 수지에 합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성형몰드를 통과한 복합소재 적층판을 연속적으로 잡아당겨 급속하게 경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규격별로 절단하여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은 0°, 90°, ±45°의 방향으로 각각 배열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고무댐이나 가동보를 하천이나 강폭방향으로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경량성, 내부식성,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이 우수한 두 가지 이상의 서로 특성이 다른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방향별로 적층시켜서 고온의 성형몰드에서 인발성형(Pultrusion : 잡아당김) 공법으로 연속 성형하여 제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된 클램핑 플레이트는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적합하여, 장기간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내하력 증진이 보장되고, 또 각종 고부식환경 등에 따른 강재의 부식 방지를 위한 전기방식, 방식피복, 도장 등의 별도의 방식공사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경량에 따른 운반과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 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상부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의 하부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는, 하천 또는 강폭방향의 하상 콘크리트의 하상 구조체 위에 올려진 고무보의 양단부를 그 하상 구조체에 밀착시킨 다음 앵커볼트와 너트로서 고정하여 상기 고무보 내의 기밀을 유지시켜 주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며 저면에 장변압착돌기(111)(112)가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하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앵커볼트가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115)이, 그리고 상부면에는 수직보강편(113)(114)이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상향으로 대칭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중채널형 단면형상을 가지는 복합소재 적층판(110)으로 성형 제작된다.
그리고,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의 복합소재 적층판(110)은 경량성, 내부식성, 인장강도, 고내구성 특성이 아주 우수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등과 같은 강화섬유와 수지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복합소재 적층판(110)은 상기한 강화섬유를 적층 구조로 배열한 후 상기 수지에 함침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의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구성하는 상기 수지로는 내식, 내화학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외부 유해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증대되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페놀 또는 에폭시 등이 사용된다.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의 복합소재 적층판(110)으로 사용되는 상기한 복합소재에 있어서, 강화섬유의 방향은 0°, 90°, +45°, -45° 등과 같이 배열될 수 있으며, 강화섬유의 방향 및 각 방향의 섬유량은 강성에 맞게 설계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강화섬유로서는 경사방향(±45°)으로 다축 직조된 섬유매트(chopped strand mat), 종방향(90°)으로 직조된 로빙사(roving), 횡방향(0°)으로 직조된 유리섬유직포(longitudanal transverse fabric) 등을 사용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소재 적층판(110)에 사용되는 강화섬유가 유리섬유인 경우, 이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섬유매트(120)의 위에 유리섬유직포(130), 로빙사(140), 유리섬유직포(130)를 차례로 적층하고 그 유리섬유직포(130) 위에 다시 섬유매트(120)를 적층하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의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상기한 수순으로 상기 복합소재들을 차례로 적층한다. 이렇게 적층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전술한 상기 수지에 함침시켜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가지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인발성형(pultrusion) 공법을 사용한다.
상기한 인발성형 공법은 상기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열을 가한 성형몰드에 통과시켜 형시킨 후 잡아당김으로서 원하는 단면의 부재를 연속적으로 제작하는 공법으로서, 전 공정이 자동화되어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를 저생산가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이후에 상세히 설명될 상기 수지에 함침시킨 복합소재 적층판(110)이 가열된 성형몰드를 통과하면서 급속하게 경화되므로 빠르게 성형이 이루어지는 고온경화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한 인발성형 공법을 이용하여,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를 제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작하고자 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의 두께와 폭을 갖도록 그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중공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온의 성형몰드를 준비한다.
이후 상기 준비된 성형몰드에 상기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통과시키게 되면 복합소재 적층판(110)의 복합소재들이 열에 의해 용융된 상기 수지에 의해 일체화되면서 원하는 단면형상, 즉 도 4와 같이 축선을 기준하여 서로 대칭인 이중채널형 단면형상으로 성형 배출되고 그 배출과 함께 상온에서 급속하게 경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몰드를 통해 성형되고 경화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잡아당기면서 연속적으로 제작한다. 여기서, 상기 성형몰드를 통과한 복합소재 적층판(110)이 이중채널형 단면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나, 성형몰드에 따라 도 6과 같이, 축선을 기준하여 서로 대칭인 날개형 단면형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단면을 가진 복합소재 적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이후 상기 성형몰드를 통과하여 경화, 성형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을 규격별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복합소재 적층판(110)에 상기한 엥커볼트들이 관통되도록 통공(115)들을 형성해 줌으로써, 도 2 및 도 4와 같은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가 제작 완성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100)에 있어서, 장변압착돌기(111)(112)가 상기한 앵커볼트와 너트의 조임에 의해서 고무보의 겹쳐진 양단부를 상기한 하상 구조체에 안정되게 밀착 고정시켜 주게 됨으로써, 고무보 내의 공기 기밀이 유지되고, 또한 하상 구조체와 고무보의 양단부 사이의 수밀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강재로 제작되어진 클램핑 플레이트가 강이나 하천의 고부식환경에 의해 심하게 부식되어 강도 및 내구년한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고무보를 고정할 때 사용되는 클램핑 플레이트를 경량성, 내부식성,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를 적층시켜서 고온의 성형몰드에서 인발성형 공법으로 성형 제작하여 사용하게 됨 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는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적합하여, 장기간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내하력 증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경량에 따른 운반과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고무댐용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에 의하면, 경량성, 내부식성, 고강도, 고내구성 특성이 우수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제작됨으로써, 강이나 하천의 수처리 구조물 등의 각종 고부식환경에 적합하여, 장기간 구조적 안전성 확보와 내하력 증진이 보장되고, 또 각종 고부식환경 등에 따른 강재의 부식 방지를 위한 전기방식, 방식피복, 도장 등의 별도의 방식공사가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클램핑 플레이트의 경량에 따른 운반과 시공의 편리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콘크리트의 하상 구조체 위에 고무보의 양쪽 단부를 겹쳐 적층하고 그 위에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며 저면에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하향으로 대칭되는 장변압착돌기가, 그리고 상부면 양측에는 축선을 기준하여 수직상향으로 대칭되는 수직보강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클램핑 플레이트를 적층시켜 앵커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그들 부재의 방향이 각각 종방향, 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배열·직조된 각각의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여 수지에 함침하고, 그 수지에 함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며 열이 가해진 중공단면 형상의 성형몰드에 통과시켜 급속 경화시킨 후 규격별로 절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를 이루는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강화섬유와, 상기 강화섬유에 함침되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페놀, 에폭시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은 경사방향으로 다축 직조된 섬유매트와, 횡방향으로 직조된 유리섬유직포 및 상기 종방향으로 직조된 로빙사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4. 청구항 1항의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 직조되어 공급되는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을 소정의 두께로 방향별로 적층하는 단계;
    (2) 상기 적층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준비된 소정의 수지에 함침시키는 단계;
    (3) 제작하고자 하는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두께와 폭을 갖도록 그 클램핑 플레이트와 대칭되는 중공단면 형상을 가지는 고온의 성형몰드에 상기 수지에 합침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통과시켜 성형하는 단계;
    (4) 상기 성형몰드를 통과한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을 연속적으로 잡아당겨 급속하게 경화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경화된 복합소재 적층판을 규격별로 절단하여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로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 램핑 플레이트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 복합소재들은 0°, 90°, ±45°의 방향으로 각각 배열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은,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중의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강화섬유와, 상기 강화섬유에 함침되는 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페놀, 에폭시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적층판은, 경사방향으로 다축 직조된 섬유매트와, 횡방향으로 직조된 유리섬유직포 및 종방향으로 직조된 로빙사가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0050033961A 2005-04-25 2005-04-25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KR10062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61A KR100625646B1 (ko) 2005-04-25 2005-04-25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3961A KR100625646B1 (ko) 2005-04-25 2005-04-25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416U Division KR200390471Y1 (ko) 2005-04-25 2005-04-25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646B1 true KR100625646B1 (ko) 2006-09-20

Family

ID=37631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961A KR100625646B1 (ko) 2005-04-25 2005-04-25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62B1 (ko) * 2014-12-31 2015-07-09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
KR101543269B1 (ko) * 2014-12-31 2015-08-12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CN105178247A (zh) * 2015-07-28 2015-12-23 烟台桑尼橡胶有限公司 一种挡水坝用坝袋、气囊及其生产方法
KR101961204B1 (ko) * 2018-07-19 2019-03-22 주식회사 이도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762B1 (ko) * 2014-12-31 2015-07-09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
KR101543269B1 (ko) * 2014-12-31 2015-08-12 주식회사 유일기연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CN105178247A (zh) * 2015-07-28 2015-12-23 烟台桑尼橡胶有限公司 一种挡水坝用坝袋、气囊及其生产方法
CN105178247B (zh) * 2015-07-28 2016-11-02 烟台桑尼橡胶有限公司 一种挡水坝用坝袋、气囊及其生产方法
KR101961204B1 (ko) * 2018-07-19 2019-03-22 주식회사 이도 고무보용 클램핑 플레이트 제조 방법 및 고무보용 클램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499B2 (en) Hybrid composite beam system
US8567734B2 (en) Cable support system
US8141307B2 (en) Hybrid composite beams and beam systems
US6591567B2 (en) Lightweight fiber reinforced polymer composite modular panel
CN101503881B (zh) 纤维增强复合材料网格筋加固水下结构的方法
US8925268B2 (en) Process for reinforcing a construction structure, and structure thus reinforced
KR100625646B1 (ko)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및 그제조방법
US6145270A (en) Plasticon-optimized composite beam system
US6557201B1 (en) Stressed-skin modular fiber reinforced plastic bridge
KR101385269B1 (ko) 보강된 콘크리트 구조물
Canning et al. MANUFACTURE, TESTING AND NUMERICAL ANALYSIS OF AN INNOVATIVE POLYMER COMPOSITE/CONCRETE STRUCTURAL UNIT.
JP4264095B2 (ja) マンホールの補強構造
KR200390471Y1 (ko) 고무댐용 섬유강화 복합소재 클램핑 플레이트
KR20200052727A (ko) 내진보강 및 내화성 확보를 위하여 에프알피 시트 및 시멘트보드를 이용한 기둥 보강방법
CN219548919U (zh) 拼装衬砌式压缩气体储能库
US11611203B2 (en) Cable racks for reduced stress and increased load capacity
DE102008028195B3 (de) Verbundwandelement
KR20020070065A (ko) 자유선형의 일체 접착식 섬유강화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그 제조방법 및 연결구조
JP4171018B2 (ja) マンホールの補強構造
KR100434820B1 (ko) 강화성 수지섬유와 결합한 구조물의 강성보강재
KR0163475B1 (ko) 교량하부 수중구조물 방식공법
KR102108691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용 난연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034777A (zh) 一种多孔梁及后预应力人行桥
Fornander et al. A New Method for using Prestressed Fibre-Reinforced Polymer Laminates for Strengthening and Repair of Structural Members
Preis et al. Fiberglass tendons for posttensioning concrete bri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