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0325B1 - 절첩식 고무댐 - Google Patents

절첩식 고무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0325B1
KR860000325B1 KR1019810000714A KR810000714A KR860000325B1 KR 860000325 B1 KR860000325 B1 KR 860000325B1 KR 1019810000714 A KR1019810000714 A KR 1019810000714A KR 810000714 A KR810000714 A KR 810000714A KR 860000325 B1 KR860000325 B1 KR 860000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dam
dam
pipe
rubber
flexib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0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5441A (ko
Inventor
다떼오 무라마쓰
마모루 구리하라
야수시 에나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브리지스톤
시바모또 시게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브리지스톤, 시바모또 시게마사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to KR1019810000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0325B1/ko
Publication of KR83000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0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첩식 고무댐
제1도는 종래의 고무댐에 있어서 배관의 설명도.
제2도 및 제3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collapsible) 고무댐에 사용되는 가용성 판체의 1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단부 부근의 부분 정면 및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절반 정면도.
제7a도, 제8a도, 제9a도 및 제10a도는 각각 순류(direct flow) 상태의 제6도에 있어서 선 VII-VII, VIII-VIII, IX-IX 및 X-X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b도, 제8b도, 제9b도 및 제10b도는 각각 역류(back-flow) 상태의 제6도에 있어서 선 VII-VII, VIII-VIII, IX-IX 및 X-X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에 있어서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의 취부상태를 설명하는 부분정면 및 측면도.
제13도 및 제14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고무댐에 하천제방의 경사부에서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을 취부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관의 1실시예의 설명도.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관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제18도는 드레인관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단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으로 사용되는 가요성 판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절첩식 고무댐에 적용할 수 있는 배관의 1실시예의 설명도.
제21도는 제19도의 절첩식 고무댐의 이완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다른 절첩식 고무댐의 주입구 부근 및 그 배관을 도시한 설명도.
제23도는 돌출부로서 연속 중공체를 갖는 절첩식 고무댐의 하상(river bed)에 고정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절첩식 고무댐의 팽창된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단면의 정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연속 중공체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26도 내지 제28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내에 연속 중공체의 배설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2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하천제방에 있어서 연속중공체의 배설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3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중공체의 고정수단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제31도는 탄성부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을 하상에 취부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2도는 제31도에 도시한 본 발명는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팽창된 상태를 도시하에 단면도.
제33도 및 제34도는 각각 제32도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이완상태를 시간의 경과에 따라 도시하는 설명도.
제35도 내지 제45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고무댐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46도는 본 발명에 적응할 수 있는 유체용 배관의 1실시예의 설명도.
제47도는 제46도에 도시한 유체관로의 상세도.
제48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버플로우트 밸브의 확대도.
제49도 내지 제52도는 각각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배관의 다른 실시예의 설명도.
본 발명은 관개용수의 취입댐으로서 폭풍해일용 방조제, 하구부근의 해수방벽용보(barrier) 등으로 사용되는 절첩식 고무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관개용수의 취입, 또는 하구에서의 해수방벽용 수위조정보로서, 근래 공기, 물 등과 같은 유체의 출입에 의해 작용하며, 취부작업 및 보수작업이 용이한 고무 시이트제로 구성된 수위조정댐 또는 소위 절첩식 고무댐이 개발되어 왔다. 현재 이 고무댐의 대부분은 실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 고무댐들은 댐의 팽창 및 이완을 위한 공기, 물 등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을 수행하지 않으면 않된다.
종래, 고무댐을 유체의 급배출에 의해 팽창 및 이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은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다. 이 배관은 하상에 놓인 수평관 2와 그 수평관 2와 고무댐 1을 연통하는 다수의 도관을 갖는다. 그리고 수평관 2에 연결되는 펌프 및 배출구 등의 유체의 펌핑장치는 통상적으로 하천제방상에 있는 조작실내에 배설되다.
설명된 배관로에 있어서, 고무댐 1을 팽창시키기 위해서 공기등의 유체를 펌프등(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평관 2 및 도관 3을 경유하여 고무댐내에 압송한다. 그러나 공기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압송중에 응축하여 드레인이 되어 고무댐 및 배관내에 잔류하게 된다. 특히 제1도와 같이 종래의 배관을 사용할 때, 드레인은 하상에 있는 수평관 2 내에 잔류한다. 여기서, 봉입공기를 배출하여 고무댐을 이완시킬 경우, 우선 밸브 V1을 개방하여 수평관 2내에 잔류한 드레인을 발취하고, 밸브 V2를 개방하여 고무댐내의 공기를 발취한다. 따라서. 고무댐의 이완작업이 불편하고 비능률적이다. 그리고, 하상하에 배관을 배설하는 것이 복잡하고 공기가 길게 된다.
또한, 고무댐이 호수등에 기인하여 이상하게 증가한 비상시에 고무댐을 자동적으로 이완시킬 때(통상적으로 플로우트 밸브의 자동개방에 의해 대기방출한다), 응축현상에 의해 생긴 드레인이 배관로 중에 잔류하므로, 고무댐내의 증기를 배출할 수 없다. 그리고 드레인이 동결하여 배관을 파손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고무댐의 결점을 제거하며, 하상하 배관이 필요없이 항상 대기방출에 의해 고무댐을 이완시킬 수 있게 배관내의 어떤 개소에도 드레인이 잔류하지 않도록 구성된 유체의 공급 및 배출용 배관을 갖는 절첩식 고무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역류가 발생하여 수위가 변하는 경우에도 급배출구에 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위치로 배치된 유체의 공급 및 배출용 배관을 갖는 절첩식 고무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체의 공급 및 배출용관의 단부가 고무댐을 고정하는 상기 하상부를 제외하는 1개 이상의 하천재방의 경사부로부터 상기 고무댐의 내부와 연통하는 것이 특징인 하천의 상류에서만 양 하천제방의 경사부 및 하상부에 고정되며 유체의 공급 배출에 의해 팽창 및 이완을 수행하는 절첩식 고무댐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채택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의 1단을 상기 경사부에서 그 경사부에 위치하는 고무댐의 상단과, 비탈 끝(toe)에서의 고무댐 이완폭의 거의 중간 위치를 연결하는 선과 상류측 취부위치를 포함하는 영역내에 위치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의 급배출용 도관을 고무댐이 고정되는 하상부를 제외한 양 하천제방 경사부에서 그 고무댐내의 잔류 드레인보다 상방으로 연통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무댐의 완전한 이완을 성취하기 위하여 고무댐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하며 수압에 내구적인 강성을 갖는 1개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무댐의 완전이완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고무댐의 적어도 1부에 팽창 형상에 따라 변형하는 탄성부재를 위치시키거나 팽창시에 고무댐의 높이를 하천폭 방향을 따른 적어도 1위치로 낮춘다.
지금부터 본 발명이 철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각 도면을 통해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번호와 심볼로 표시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본 발명에 사용될 가요성판체의 채택된 실시예가 각각 도시된다. 이 가요성판체는 탄성고무재로 제조되며 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리고 두께방향으로 예정된 위치에 형성된 1개 이상의 스플릿부를 갖는다. 제2도에서, 가요성 판체 10은 스플릿부 10a에 의해 그 폭방향 단부에서 개방된다. 제3도에서, 가요성판체 10'는 스플릿부 10'a를 포함하는 중공판체다. 도면에서, 번호 11은 가요성 판체를 보강하기 위한 캔버스, 편직섬유등과 같은 보강재를 나타낸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가요성판체는 채택된 실시예이며 그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예를 들어 보통 사용되는 고무시이트재의 가방 형상체, 하상이 팽창실의 일부를 성하는 고무댐 본체등도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의 가요성판체는 전체로서 그 길이방향을 따른 그 1폭 방향에서 2개의 파일된 고무시이트 12,13을 서로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가요성판체 10의 제조는 하기와 같이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성형 프레스의 열표면상에, 고무시이트 12, 13에 대응하는 2매의 생고무시이트를 중합시켜 놓고, 이들의 생고무시이트 사이에, 그들의 1측부만 남겨 길이 방향 전체로 이형재(antitack member)를 개재시킨 후 생고무시이트의 가황온도로 프레스 가황한다. 이 경우, 켄버스등을 생고무 시이트 중에 적당히 매설하면 소정의 보강층을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제조함으로써 판체 10을 소정길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규격화가 불가능한 하천에 항상 잘 적합시킬 수 있다. 또 그것은 1체 프레스성형으로 형성되므로, 고무 시이트 12,13의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가요성 판체 10은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로 하기와 같이 하상 및 하천제방에 고정된다.
우선, 하상 15 및 하천제방의 경사부에 기초 볼트 18을 매설하여 두고, 가요성판체 10의 개방단부를 상류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그 개방단부에 설치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기초 볼트 18을 삽입하여 당접판 17을 통해 너트 19로 고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은 상류측만을 고정한 가요성 판체 또는 절첩식 고무댐 본체의 적어도 1방측 하천제방의 경사부에 취부된다. 이 배관의 취부위치는 고무댐의 팽창, 이완 및 수류의 순류, 역류에 관계없이 경사부와 항상 접촉하고 있는 고무댐 부분이 바람직하다.
제6도와 같은 고무댐 10의 팽창시에 있어서, 선 VII-VII, VIII-VIII, IX-IX 및 X-X을 따라 취한 순류 및 역류에 대한 각 부분의 단면 형상을 제7a도 내지 제10b도에 나타내며 제7a도, 제8a도, 제9a도 및 제10a도는 순류의 경우를, 제7b도, 제8b도, 제9b도 및 제10b도는 역류의 경우를 나타내고, 1점 쇄선 Y는 하상 및 하천제방에 고정된 고무댐 본체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0a도 및 제10b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무댐 본체 10의 상류측만을 고정한 경우, 역류시에 고무댐 10의 하상부 15에 위치하는 중앙부는 역향한다. 또한, 제7b도, 제8b도 및 제9b도와 같이, 하상부와 하천제방의 경사부와의 경계 부근에 있어서도 역류시의 수류가 고무댐 본체 10을 고착부로 압상시키려는 힘이 작동한다.
제5도도 고무댐 본체 10이 하천제방의 경사부 16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5도에서, A는 고무댐의 경사부 취부정부. B는 비탈끝부에서 고무댐의 취부위치, C는 비탈끝부에서 고무댐의 이완시의 최선단을 나타낸다. 제5도와 같이, 고무댐 10의 이완시에 있어서 경사부와의 접촉면은 △ABC의 영역이다. 다음에, 유체를 봉입하여 고무댐을 팽창시키고 수류가 순류인 경우, 고무댐의 경사부와의 접촉면 △ABC로부터 △ABD로 변한다. 또 역류의 경우, 그 접촉면은 △ABD내의 사선으로 표시한 영역까지 약간 작아진다.
따라서 경사부의 비탈끝에서의 점 D의 위치는 고무댐의 팽창중 접촉면에서 중요하다. 각종 시험의 경과, 발명자는 BC=l(l은 고무댐의 폭에 기의 상당한다)로 한 경우 BD
Figure kpo00001
1/2인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을 경사부상의 취부정부와, 경사부상의 고무댐의 폭방향 거의 중간위치를 연결하는 선보다 상류측 영역내에 위치하도록 취부하면, 고무댐의 팽창, 이완 또는 역류시에도 그 취부 부분에는 거의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본 발명에 따른 급배출용 배관의 취부의 1실시예가 도시된다. 도면에서 20은 급배출관이며 그 1단은 송풍기등의 공급장치 및 배출밸브(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되고 있다. 관 20은 관로내에 드레인이 잔류하지 않도록 상향구배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1도와 같이 배관 20은 급배출구 부근에서 굴곡하지만, 이런 정도의 굴곡이면 드레인이 잔류하여도 유체압송시에 드레인을 고무댐내로 압축할 수 있으므로 어떤 경우라도 배관 20은 실질적으로 상향구배라 할 수 있다.
배관 20을 적어도 1방축의 하천베방 경사부에 취부할 때는, 우선 배관 20 및 기초볼트 21에 대응하는 고무댐 오피부분을 절결하고, 내부로부터 와서 22를 통해 배관 20의 1단을 너트 23으로 고정한다.
배관 20의 급배출구는 상술한 하천제방의 경사부의 접촉 영역내에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고무댐내에 드레인이 잔류하는 것을 고려하여(특히, 하상에 놓지 않고 하천제바의 경사부에만 배관을 배치한다) 고무댐내에 드레인의 허용 높이(팽창 상ㅊ태에서의 댐 높이의 약 10%)보다 상바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3도 및 제14도에 고무댐 본체의 경사부에의 취부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에서, 점선은 경사부에서의 급배출용 배관의 위치를 표시하며 고무댐의 팽창 상태에서 경사부와 접촉하는 지역은 사선으로 표시된다. 제13도에 도시한 경사부 취부형상은 사다리꼴이며, 이 경우 경사부의 상단 정부는 하류측의 단부가 된다. 제14도에서 배관의 위치는 상류측을 향해 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유체의 급배출관을 적어도 1쪽측의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부하므로, 하상하에 배관을 매설할 필요없이, 하상을 중심으로 한 하부구조의 시공이 현저히 간소화된다. 또한 고무댐내에 생긴 드레인이 배관내에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봉입유체를 배출할 때, 드레인 발취등의 조작이 불필요하며 특히 홍수시등의 긴급시에도 봉입유체의 배출이 정확하게 작동하고, 완전이완할 수 있다.
본 발명 따라 고무댐내에 드레인이 잔류하여도, 그것은 이완상태의 고무댐에 있어서 완충재가 되며, 돌등에 의한 충격에 의한 고무댐의 손상을 경감하는 작용도 갖는다. 그리고 드레인 잔류는 어느 정도의 단계에서 강제 배기에 의해 배출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1체 프레스 성형에 의해 제조된 고무댐 본체를 사용할 때, 하상에 배관을 매설하지 않는 본 발명의 장점은 효곽적으로 발휘된다.
특히,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을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부할 때, 그 배관을 고무댐의 취부위치에 의해 정해지는 경사부와의 접촉 영역내에 위치시킴으로써 수량의 변화 또는 역류가 발생하여도 급배출구 배관의 취부부분에는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고 고무댐의 조기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하상부로부터 배관을 취하지 않고 경사부로부터만 배관을 취하므로 응력집중을 배제하는데 특히 유효하다.
그리고, 유체의 급배출용 도관을 하천제방 경사부의 양측으로부터 고무댐내로 연통시키는 경우를 제15도를 참고로 서술한다.
제15도에서, 양측의 하천제방의 경사부 16으로부터 고무댐 10내로 도관 20을 연통한다. 이 경우, 도관 20은 제5도의 사선영역 △ABD 내에서 고무댐내의 잔류 드레인의 높이보다 상방 위치로부터 삽입한다. 따라서, 고무댐과 도관의 연결부에는 고무댐의 팽창시 또는 수류의 영향등에 의해 무리한 힘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관 20은 상방에 위치하는 배출용 밸브 25에 연통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1방측에서 밸브 조작이 가능하도록 도관 20을 하상하에 위치한 수평관 26에 연결시키고 있다. 임의의 경우에, 관 20은 상방에 위치하는 밸브 25까지 실질적으로 상향 구배를 갖고 신장되므로, 관로 도중에 드레인 잔류하지 않는다.
제15도에 도시한 배관로에 의한 고무댐의 팽창 및 이완은 하기와 같이 수행된다.
고무댐을 팽창시키기 위해서는 송풍기등의 공급장치 27에 의해 공기등의 유체를 고무댐내로 압송한다. 제15도에 도시한 배관로가 급배출 겸용이면 압송시에 다소 배관내에 드레인이 잔류하여도 이 드레인은 압송되는 유체에 의해 고무댐내로 압출되며 급기 작용에는 지장이 없다. 유체 압송시에 수평관 26내에 잔류한 드레인을 효율좋게 고무댐내로 압출하기 위해서는 제16도와 같이 공급장치 27측의 관 20'의 직경을 다른 재방측의 관 20의 직경보다 작게 하고 유체 봉입시의 압력손실을 크게 함으로써 수평관 26의 압력을 증가시켜 드레인을 고무댐내로 압상 유입하게 한 것이나, 제17도와 같이 공급장치 27측의 관 20내에 첵 밸브 28을 취부하고 유체 봉입시에는 수평관 26을 통해 다른 제방측의 관 20만에 의해 고무댐내에 송기되며, 배출시에는 양방의 관 20에 의해 유체를 발취하게 한 것 등이 있다. 팽창후 공급장치 27의 작동을 정지한 경우에도 드레인이 다시 배관내로 복귀하지 않는다. 역으로 종래의 제1도와 같은 배관로를 사용할 때, 공급장치에 의해 배관내의 드레인을 고무댐내로 압송하여도 다시 배관내에 잔류한다.
팽창중, 봉입유체는 기온등의 변화에 의해 응축하면 드레인이 된다. 이 드레인의 대부분은 그 체적의 관점에서 고무댐내의 봉입 유체에 의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고무댐 내부에 드레인이 발생하여도 하상에 개구하는 배관을 갖지 않음으로써 배관내로 고무댐내의 드레인이 유입하지 않는다. 역으로 제1도의 종래의 관로에서는 고무댐내에 발생한 드레인은 항상 도관 3을 통해 수평관에 잔류하게 된다.
팽창된 고무댐은 하기와 같이 이완된다. 이 경우, 송풍기 작동에 의한 흡인도 고려되지만, 통상은 밸브 25의 개방에 의해 대기방출한다. 즉, 밸브 25의 개방으로 고무댐 10은 수류의 관계로 거의 중앙부로부터 이완하기 시작함으로써 봉입유체는 양측 경사부에 밀려지며 그 경사부에 위치하는 관 20 및 수평관 26을 통해 밸브 25로부터 대기중으로 원활히 배출된다. 역으로 제1도의 종래의 배관로에서, 수평관 2에 드레인이 잔류하므로, 이 드레인이 완전히 배출될 때까지 봉입유체는 고무댐의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없다.
제18도에는, 고무댐 10내에 잔류한 드레인을 발취하기 위해서, 드레인 발취 배관 29를 고무댐 본체 10에 설치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드레인 발취 배관 29는 하상부의 어디에 설치하여도 좋지만, 특히 전술한 1체 프레스 성형에 의한 고무댐 본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사부에 가까운 하상부(제15도의 점으로 도시한)에 취부하는 것이 취부작업상 바람직하다.
제3도에 도시한 고무댐 본체의 변형에로서, 제19도와 같은 봉입유체의 배출을 원활히 행하기 위한 주 팽창실 10d의 직경보다 충분히 작은 직경을 갖는 보조 팽창실 14를 갖는가요성 판체 10'가 있다. 가요성 판체 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상부 및 하천제방 경사부에 플랜지부 10'b로 고정되며 그 일방의 하천제방 경사부 16에 고정한 가요성 판체 10'의 단부 부근에 제20도에 도시한 배급로를 접속한다.
즉, 유체의 급 배출용 관 20,30을 각각 팽창실 10'a내로의 유체의 주입구 31 및 보조 팽창실 14에로의 유체의 주입구 32에 기밀하게 접속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20은 유체를 팽찰실 10'a에 급배출하기 위한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유체의 봉입용만의 도관을 별도로 접속하여 도관 20을 유체의 배출용만으로 작동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유체의 주입구 31 및 32는 제5도의 사선 영역 ABD내에 잔류하는 드레인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0도에서, 유채의 급배출용 관 20의 1단을 고무댐 10'의 팽창 높이의 최상단에서 하천제방 16의 고정부분에 설치한 주입구 31에 접속하고, 그 도관 20의 타단을 상향구배를 갖고 상방으로 신장하여, 밸브 b1, b2를 통해 송풍기 B와 연결한다. 그리고, 송풍기 B와 밸브 b2의 사이에 배출구 33을 밸브 b3을 통해 갖는 분기관 20'를 설치한다.
관 20의 밸브 b1과 b2사이에 분기관 20'를 연결하고, 그 분기관 20''의 하단을 밸브 b4를 통해 송풍기 B에 연결한다. 또, 송풍기 B와 밸브 b4의 사이에, 흡기구 34를 밸브 b5를 통해 갖는 분기관 20''를 설치한다.
분기관 20''에 유체의 보조 팽창실 14에로의 급배출용 관 30의 1단을 밸브 b6을 통해 연결한다.
그리고, 관 20의 1단이 연결된 주입구 31과 밸브 b1과의 사이로부터 분기관 35를 취출하고, 그 분기관 36의 타단에 플로우트 밸브 36을 설치한다. 플로우트 밸브 37은 그 직하방에 설치한 송풍기실 37내에 있는 송풍기 38과 연동하여 분기관 35의 거구 35'를 개폐하는 것이다. 플로우트실 37은 홍수등에 의한 물의 증가시의 위험수위를 검지하기 위한 고무댐의 상방에서 상류측(경우에 따라서는 하류측에 거의 위험수위의 높이에 설치된 하천등의 물의 취입구 39와 연통한다. 즉, 증수시에 물이 취입구 39로부터 플로우터실 37에 유입하면 그 수위에 따라 플로우트 3A이 상승하여 플로우트 밸브 36을 상방으로 압상하고 개구 35가 개방된다.
다음에, 제20도에 도시한 배관로의 작동 사이클에 대하여 서술한다.
(1) 가요성 판체 10'의 팽창
우선, 밸브 b3, b4및 b6을 달고, 밸브 b1, b2및 b5를 개방한다. 그리고, 송풍기 B를 작동시켜 흡기구 34로부터 공기를 흡인하고 이것을 밸브 b5, b2및 b1및 관 20을 통해 주입구 31로부터 주팽창실 10'a내로 압송하여 가요성 판체 10'를 팽창시킨다. 공기를 주팽창실 10'a내에 봉입하면, 송풍기 B를 정지하고 밸브 b5, b2, b1을 폐쇄한다.
(2) 가요성 판체 10'의 이완
(i) 강제 드레인에 의한 이완
우선, 밸브 b3, b1, b4를 폐쇄하고, 밸브 b5, b2, b6을 개방하여 송풍기 B를 작동시킴으로써 공기를 흡기구 34로부터 관 30을 경유하여 보조 팽창실 14내로 압송하여 그 보조 팽창실 14를 주팽창실 10'a내의 내벽으로 돌출시킨다. 이어서, 밸브 b5, b2, b6을 달고, 밸브 b1, b4, b3을 개방하여, 송풍기 B을 작동시킴으로써 주 팽창실 10'a내에 봉입된 공기가 주입구 31로부터 관 20 및 밸브 b1, b4, b3을 경유하여 배출구 33으로부터 배출되어 가요성 판체 10'가 이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보조 팽창실 14를 미리 팽창시켰으므로 가요성 판체 10'가 어느 위치에서 이완하여도 제2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보조 팽창실 14가 주 팽창실 10'a에 돌출하여 연속 간겨부 40을 형성한다. 따라서, 주 팽창실 10'a의 내벽은 서로 수압에 의해 밀착하는 일이 없다. 그리고, 연속 간겨부 40은 팽창하여 보조 팽창실 14에 따른 길이 방향으로 주입구 31 부근까지 신장하므로, 즉 팽창실 10'a내에 잔류하는 공기가 연속간겨부 40을 통해 발취되어 주입구 31로 이동하고, 전술한 배관로를 통해 완전히 배출된다. 그 결과 가요성판체 10'의 수압등의 영향에 의한 이상 이완이 방지된다.
(ii) 대기 방출에 의한 자동 이완
주 팽창실 10'a와 보조 팽창실 14를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팽창시킨 후 모든 밸브를 달고 가요성판체 10'를 실제로 가동시킨다. 홍수등에 의해 하천의 유량이 이상하게 증가하면, 우선 중량된 물이 취입구 39로부터 플로우트실 37에 유입한다. 그 결과, 플로우트 38이 상승하여 플로우트 밸브 36을 압상함으로써 주 팽창실 10'a내의 공기가 주입구 31로부터 관 20, 분기관 35를 경유하여 개구 35'로부터 대기중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 겨이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보조 팽창실 14의 작용에 의해 완전이완이 수행될 수 있다.
제1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요성 판체 10'를 사용함으로써, 완전이완을 달성할 수 있지만 보조 팽창실 14로의 유체 급배출을 필요로하므로 제20도와 같이 배관로가 복잡해진다. 본 발명에 따라서, 수압에 대향하는 돌출부를 보조 팽창실 대신에 가요성 판체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적어도 하상부의 영역에 신장시킴으로써 이완시의 가요성 판체 내벽면의 밀착을 방지할 뿐 아니라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로를 간단화할 수 있다.
돌출부로서 수압 및 가요판체의 자우엥 대항하는 강성을 갖는 재질이면 어떤 형상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합성수지 또는 규속등에 의한 중공체, 중실체 또는 체인형상체 등이 있다. 이런 중공체 또는 중심체의 단면은 원형, 장방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돌출부는 가요성 판체의 하상 고정시에 팽창실내에 그 고무댐의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방부 영역에 걸쳐 신장된다. 이 경우 돌출부를 연속체 또는 비연속체(블록체)로서 1열 이상 신장시킨다. 특히 돌출부는 유체의 급배출용 관의 주입구 근처까지 신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돌출부를 주 팽찰시 내면에 접착 고정시킬 수 있다.
돌출부로서 국속 체인과 같은 체인 형상체나 봉상체 또는 가용성 호오스의 중공부에 상온에서 고형화하는 유동성 재료를 봉입하여 되는 중심체 또는 복수개의 비연속 중공체를 사용하여 제2도에 도시한 가요성 판체 10의 주 팽창실 10a내에 길이 방향의 거의 전역에 걸쳐 신장시킨 경우, 제22도와 같은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로를 사용하면 좋다. 제22도에서, b1, b2는 밸브, B는 이젝터, P는 공기 압축기 또는 펌프다. 그리고 41은 안전장치 S와 가요성 판체 10내부를 연결하는 판이다. 여기서 안전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내부에 액체를 충전하여 수위차를 이용한 것이나, 고무나 스프링 등의 기계적인 탄성력을 이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하면, 보조 팽창실용의 유체의 급배출용 관을 생략할 수 있고 배관로를 제2도에 배하여 간략화할 수 있다.
가요성 판체 10이 제22도의 배관로에 의해 팽창될 때, 밸브 B1을 개방하고, 밸브 B2를 폐쇄한 상태로 공기 압축기 또는 펌프 P에 의해 공기, 물 등의, 유체를 급배출용 관 20으로부터 주 팽창실내로 압송하면 좋다. 이 경우, 유체를 착오에 인하여 다량 주 팽창실내로 압송함으로써 가요성 판체 내부의 압력이 적정압 이상이 되어도 과도한 압력은 관 41을 통해 정확히 안전장치 S에 전달되므로 안전장치 S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어 가요성 판체의 파손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된 가요성 판체를 이완시키기 위해서는, 단지 밸브를 개방하여 봉입유체를 대기중에 방출하여도 좋지만, 밸브 B1및 B2를 개방한 상태에서 펌브 P를 작동시켜 유체를 압송하면, 이젝터 E의 작용에 의해 주 팽창실내에 분입된 유체가 밸브 B로부터 강제적으로 배출되어 가요성 판체가 이완된다. 즉, 가요성 판체는 수류의 관계로부터 주 팽창실내의 압력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압과의 균형을 잃은 부분으로부터 신속하게 이완하기 시작한다.
종래의 고무댐에 있어서 주입구를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판체의 1방의 단부만에 설치한 경우, 예를 들면 가요성 판체의 중앙부 근처가 우선 이완되면 그 이완부분에서 주 팽창실의 내역이 밀착하며, 이것으로부터 주입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부간에 봉입되어 있는 유체가 배출할 수 없게 되어 이상 이완이 발생된다.
한편,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가요성 판체가 어느 곳으로부터 이완하여도 돌출부가 가요성 판체의 길이 방향 거의 전역에 걸쳐 신장되므로, 가요성 판체 내면이 밀착함이 없이 가요성 판체의 이완시에 길이 방향으로 거의 연속하는통기 공간이 형성된다. 그 결과, 주 팽창실의 내벽은 서로 수압에 의해 밀착하지 않는다. 또 통기 공간은 돌출부에 따라서 거의 길이 방향 주입구 근처까지 신장하므로, 가요성 판체내에 잔류해야 할 유체가 통기 공간을 통하여 발취되어 주입구로 이동하여 배출된다. 이러히게 해서 가요성 판체는 완전히 이완된다.
그러나, 상술한 체인 형상체 또는 중심체 등을 돌출부로서 사용한 경우에, 드래인이 그 돌출부의 높이보다 높게 잔류하면 가요성 판체를 이완할 때 돌출부에 따라 형성되는 통기 공간이 드레인으로 충만되며 봉입 유체의 원활한 배출이 곤란해져서 가요성 판체의 완전이완이 달성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채택된 실시예에서는,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여 중공이며 적어도 1단부가 가요성 판체내에서 상방으로 게구된 중공체를 돌출부로 사용한다. 이런 중공체로서는 단면이 원형, 장방형, 다각형 등의 임의의 형상을 갖는 외에 가용성 판체 내벽과 함께 중고부를 형성하는 단면이
Figure kpo00002
-자 형상이어도 좋다. 특히, 중공체의 지질로서는 고무상 탄성체와 같이 가요성 재료가 바람직하다.
중공체로서 제23도 및 제24도와 같이 와이어 편조 호오스 42를 사용하지만, 금속관을 하상부에 신장시켜 그 양단에 고무상 탄성체의 가요성관을 하천제방 검사부에 신장하도록 연결한 복합체 또는 금속관을 하천제방 비탈끝 부근에서 가요성 관에 의해 연결한 것도 좋다. 또한 제25도에 도시한 길이 방향측면서 반원 형상으로 된 중공체 43을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유체 통로를 길이 방향으로 넓게 취하는 이점이 있다.
제23도의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그 본의 중공체 42를 병렬로 가요성 판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신장시키지만, 가요성 판체의 설치 하천의 사용환경에 따라 가요성 판체내의 임의의 위치에 1개 이상의 중공체(또는 돌출부)를 신장시키면 좋다. 어떤 경우에도 그 중공체의 적어도 1단부를 가요성 판체내에서 하천제방 경사부에 따라서 상방으로 개구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중공체 단부의 개부위치는 가요성 판체내에 봉입되는 공기등에 포함되는 수분이 응축하여 드레인이 되며 그 가용성 판체 저부에 잔류하고 있으므로, 그 드레인 잔류의 높이보다 상방이면 좋다.
와이어 편조 호오스 42를 돌출부로서 제2도에 도시한 가요성 판체 또는 고무댐 본체 10에 취부할 때는 우선 가요성 판체 10의 개방측 부분을 하상 15 및 하천제방 경사부 16에 하천의 상류측을 향해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요성 판체 10의 개방단으로부터 스플릿부 10a를 열고, 그 스플릿부 하면에 와이어 편조 호오스 42를 가요성 판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설한다. 그후, 와이어 편조 호오스 42를 가요성 판체 내부에 접착제 또는 물리적인 감합등에 의해 고착한다. 이 경우, 그 호오스 42의 적당한 곳에 켄버스 등을 가요성 판체의 내부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착하여도 좋지만,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한 것 같이 고정 부지를 사용하여 고착할 수 있다.
제26a도에 도시한 고정부재 44는 고무제의 블록체이며, 이것을 가요성 판체 내면의 소정기소에 접착제로 고착하고, 제26b도와 같이 그 블록 44의 중공부 44a내에 호오스 42를 삽입한다. 제27도의 고정부제는 1측부에 플랜지부 45a를 갖는 중공의 고무제 블록체 45로서, 그 중공부 45b내에 호오스 42를 관통시킨다. 이 블록체 45는 플랜지부 45a와 가요성 판체 10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고착하기나 또는 플랜지 45a를 가요성 판체 10을 통해 하상에 미리 매설한 기초 볼트와 너트를 사용해서 고착하여도 좋다. 제27도의 변형예로서, 플랜지부 45a가 없는 중공의 고무제 블록체가 있으며, 이것을 제26도와 같이 가요성 판체 내면에 접착제로 고착하여도 좋다. 제28도의 고정부재는 강제의 단면이
Figure kpo00003
-형상인 블록체 46이다. 이것은 그 자체가 무거우므로 호오스 42는 단지 블록체 46에 의해 씌워진다. 그리고, 역시 볼트 및 너트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착될 수도 있다. 이들 고정부제의 사용은 가요성 판체의 내부에 드레인 등이 잔류한 경우에, 중공체의 부양을 방지한다. 그러나, 중고체로서 금속관과 같은 무거운 것을 사용하는 경우, 중공체의 이동이나 부상이 없으므로 도시한 실시예의 고정부재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하천제방 경사부에 가요성관이 중공체로서 신장하는 경우에는 그 가요성관을 적당한 곳에서 도면과 같이 고정부제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가용성 판체를 하상에 설치함에 있어, 그 하상부가 유체봉입시의 가요성 판체의 주 팽창실의 1부를 구성하는 경우, 중공체를 이 하상부의 콘크리트 면에 신장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중공체의 고착은 고무댐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자에 걸쳐 또는 적당한 곳에서 부분적으로 행할수 있다. 또는, 중공체의 단부만을 제29도와 같이 고정 켄버스를 사용하여, 또는 제30도의 고정부재 48과 볼트 너트를 사용하여 고착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1단부는 고무댐내에서 하천제방 경사부에 따라서 하상보다 상방을 향해 신장하고 개구된다. 그 중공체의 타단은 제24도와 같이 공기등의 유체를 고무댐내에 봉입하기 위한 급배출용 관 20의 출구 근처에서 종료하든가 또는 제29도와 같이 급배출용관 출구를 넘서 상방에서 종료하여도 좋다. 또는 그 중공체의 타단을 급배출용관 20내를 통하여, 또는 그 관내를 통하지 않고 가요성 판체 10밖에 위치시킬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가요성 판체 10과 별도의 돌출부를 적당한 가요성 판체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신장시켰지만 돌출부를 가용성 판체의 성형시에 1체적으로 성형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를 가요성 판체 내면에 배설한 후, 하상에 미리 배설한 기초볼트 18에 가요성 판체 10의 개방측 부분의 단부에 천설한 구성(도시하지 않음)을 각합시키고, 그 위에서부터 누름판 17을 당접시켜 너트 19에 의해 나착하여 가요성 판체 10을 하상에 기밀하게 취부한다. 가요성 판체 10을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부할 때에는 가요성 판체 10을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할 때에는 가요성 판체 10의 양단부를 하류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단하고, 그 절단 개방단부를 하사의 경우와 같이 기초볼트 누름판 및 너트에 의해 기밀하게 고착한다.
하상 및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부된 가요성 판체 10에 설치한 유체의 급배출용 관 20을 제11도 및 제12도와 같이 설치한다.
제23도의 1점 쇄선은 급배출용 관 20에 의해 공기, 물 등의 유체를 가요성 판체 10내에 봉입하여 가요성 판체를 팽창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이 경우, 고무댐은 그 본체의 고무 시이트 12, 13이 두꺼우므로 유목(drift-wood) 드에 의한 외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고무 시이트 12, 13의 접합부 10b가 드토우트(throat) 역활을 하므로 고무댐에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진동에 따른 피로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된 댐 효과를 발휘한다.
제23도에 점쇄선으로 나타낸 고무댐의 팽창상태로부터 봉입유체를 배출하여 제23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완시키면 고무댐 내부에 수압 및 고무댐의 자주에 대항하여 길이 방향 전자에 걸쳐 와이어 편조 호오스 42가 신장되어 있으므로 그 중공부의 통로외에 길이 방향으로 연통하는 유체통로 46이 형성된다. 따라서, 1측 경사부만이 급배출용 관이 취부된 경우에도 고무댐 내면의 밀착이 방지되며, 또 급배출구가 없는 측에 봉입된 유체도 중공체내의 중공통리와 그 중공체와 고무댐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체통로 40내를 이동하고, 급배출용 관으로부터 서서히 배출된다. 따라서 고무댐이 어디서부터 이완하여도 도중에 봉입유체가 고무댐내에 잔류한 채 이완이 정지하지 않고 항상 제23도와 같이 평탄하게 완전이완한다. 그리고 제23도와 같이 하상 형상을 고무블록 형상에 맞춘 형상이 됨으로써 고무댐의 이완 형상은 하상면과 거의 10선이 되며, 수류의 방해가 되지 않고 고무댐의 손상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압에 대항하는 돌출부를 고무댐 내부에 그 길이 방향기의 전열이 걸쳐 신장시킴으로써 고무댐내의 유체의 배출에 의한 이완시에 수압 및 고무댐의 자중에 의한 고무댐 내벽면의 밀착을 방지하고 돌출부 부근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통기 공간에 따라서 내부유체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고무댐의 이상 이완이 없고 항상 완전이완이 기대될 수 있다. 또 설비면에서도 1개소의 주입구인 간단한 것으로 충분하며 하상등에의 배관이 불필요하여 시공성 및 하의 팽창 및 이완의 조작성이 우수하다. 특히, 돌출부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한 중공체를 사용하면 고무댐내에 드레인 등의 물이 중공체의 높이 이상에 잔류하고, 실질적으로 유체통로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도 중공체의 일단이 경사부 상방에 개구하고 있으므로 봉입유체는 중공체의 중공부를 통해 발취되어 급배출구로부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므로 항상 완전이완을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고무댐을 유체의 봉입에 의한 팽창 상태로부터 이완시키는 경우, 밸브의 개방에 의한 대기방출 또는 진공펌프에 의한 강제 배출을 행하는 것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수류의 영향에 의해 고무댐이 수압에 의해 늘려지므로 이완에 요하는 시간이 상당히 길어진다.
본 발명의 채택된 실시예에 따라서 고무댐 본체 10을 제31도와 같이 하상에 고착할 때, 우선 고무댐 본체 10의 개방측 부분을 하상 및 하천제방 경사부에 하천의 상류측을 향해서 위치시킨다. 그리고, 가요성 판체 10의 개방단으로부터 스플릿부 10a를 개방하고 그 스플릿부 내에 가요성 판체의 이완폭과 동일 또는 그것보다 약간 짧은 탄성부재 50을 위치시킨다. 이 경우, 탄성부재 50을 가요성 판체내에 적어도 1부에서 하천의 폭 방향의 적당한 곳에 신장시키면 좋고, 필요하면 폭방향 전체에 걸쳐 위치시킬 수도 있다.
탄성부재 50으로서 소성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고 복원력이 있는 재질이면 여하한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금속, 스프링강, 플라스틱, FRP, 경질고무 등이 있다. 그중에서 이런 재질의 판상체가 바람직하지만, 강 코오드, 피아노선 등과 같은 원형 단면의 탄성체를 복수개 병렬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제3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판상의 탄성부재 50이 가요성 판체내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며 스플릿부 10a가 폐쇄된 후, 가요성 판체 10은 기밀되게 하상 15에 고정된다. 이 경우, 제31도와 같이 하상 15에 미리 매설한 기초볼트 18에 개방단 및 탄성판 단부에 천설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강합시켜, 누름판 17을 당접한 후 너트 19에 의해 나착한다.
가요성 판체 10을 하천제방 경사부에 취부할 때는, 우선 가요성 판체의 양단부를 하류측을 향해 경사지게 절단하고, 그 절단 개방단부를 하상에 취부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기초볼트, 누름판 및 너트를 사용하여 하천재방 경사부에 기밀하게 고착한다.
이려게 해서 하상 15 및 하천제방 경사부 16에 취부한 가요성 판체 10에 유체의 급배출용 관을 제11도 및 제12도에 대해서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
제32도 및 제33도는 공기, 물 등의 유체를 가요성 판체 10내로 봉입하여 가요성 판체를 팽창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이 경우, 탄성부재 50은 가요성 판체의 팽창에 따라서 변형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요성 판체는 그 고무 시이트가 두꺼우므로 유목 등에 의한 의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고무 시이트 12, 13의 접합부 10b가 드로우트 역할을 하므로 고무댐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고 따라서 진동에 따라서 고무회로가 일어나지 않는 안정된 댐효과를 발휘한다.
제32도 및 제33도와 같이 팽창상태에 있어서, 주 팽창실 10a내의 봉입유체를 배출하면, 수압의 영향등에 의해 고무댐 10의 이완이 개시되지만, 주 팽창실 10a내에 배치한 탄성부재 50의 복원력에 의해 그 탄성부재의 배치위치로부터 신속히 이완하기 시작하며, 완전이완까지 요하는 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특히, 탄정부재 50을 제33도와 같은 급배출용 관 20과 반대측의 하천제방 경사부 근처에 위치시킨 경우, 봉입유체의 배출 개시와 함께 고무댐 10은 탄성부재 50의 배치부분으로부터 이완하기 시작하며, 그 결과 주 팽창실 10a내의 보입유체가 관 20에 압출되어 고무댐 10은 제34도에 화살표 G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완한다. 또한 고무댐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그 길이 방향에 따라 순차 변화시키면 예를 들어 탄성부재를 관 20의 방향을 향해 이간배치시켜 그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변화시키면 제34도와 같은 고무댐의 순차 이완이 1층 신속히 달성된다.
어떤 경우에도, 탄성부재 50을 제33도와 같이 위치시키면 고무댐의 이완에 따라 급배출구의 폐쇄가 발생하지 않고 고무댐은 이상 이완함이 없이 완전히 이완되고, 또 하상부에의 배관설비가 불필요해져 현장시공이 일층 용이해진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탄성부재 50으로서 1매의 탄성판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폭이 좁은 탄성 널(batten) 또는 원형단면의 탄성부재를 다수매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31도에서 탄성판을 하상에 매설한 기초볼트로 가요성 판체의 개방단부와 합께 고착하였지만 탄성부재 50을 가요성 판체 10의 성형시에 고무시이트 13내에 매설하여도 좋다. 또는 탄성부재 50을 스플릿부 10a의 하면 또는 가요성 판체의 하상에 면하는 외면에 가황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제로 부착시켜도 좋다.
또한, 탄성부재의 크기는 주 팽창실의 적어도 1부에 위치하여 주 팽창실의 팽창형상에 따라 변형하고, 이완시에 탄성력(복원력)을 발생하는 정도면 좋다.
탄성부재의 배치위에는 하천폭 방향의 적당한 위치면 좋고, 제33도와 같이 급배출구용 관을 하상부가 아닌 하천제방의 한쪽 경사부만에 취하는 경우, 그 급배출구 부근이 최후로 이완하도록 배관취부와 반대측의 경사부에 가까운 부분에 탄성부재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부재를 경사부 근처에 위치시킨 경우, 이완개시시에 고무댐을 넘는 수류가 하류측에서 와류를 일으키며, 그 결과 고무댐과 하상 사이에 토사를 퇴적시킨다. 그래서, 탄성부재를 고무댐의 하천폭 방향의 기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다. 후자의 경우, 하류측에 있어서 토사의 퇴적이 없고 또 댐 높이의 정도도 용이하여 좋다.
탄성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2도와 같은 고무댐 본체를 팽창시로부터 봉입유체의 배출에 의해 이완시킬때, 이완개시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하기와 같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1) 이완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유체를 급배출하기 위한 배관을 고무댐을 설치하는 하상등에 행할 필요가 있으며 공사가 복잡하여 장시간을 요한다.
(2) 토사등 퇴적이 많은 하천등이 있어서 경사부로부터 이완한 경우에는, 이 이완부의 반대측에 있어서 고무댐의 하측에 토사등이 잔류하므로 배기가 계속하여도 불완전 이완이 되며, 이완을 자유롭게 행할수 있는 고무댐 본래의 기능이 해쳐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유체를 봉입하여 형성한 고무댐의 댐 높이를 하천폭 방향의 적어도 1부에서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한다. 이 낮게 한 부분이 항상 이완 개시 위치가 된다.
댐 높이를 낮게 하는 위치는 그 필요에 따라 적당히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천의 흐름중심을 하천폭의 중앙으로 설정하는 것을 수리상 반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하천등을 가로질러 설치하는 고무댐 중앙부의 댐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또, 급배출구를 하상부를 제외한 1방의 하천제방 경사부에 설치함은 복잡한 하상배관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며, 이 경우 그 경사부로부터 급배출을 행하기 위해서 급배출구를 설치한 경사부와 반대측의 하천제방 경사부 근처의 댐 높이를 낮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하천의 길이 방향을 따른 고무댐의 적어도 1부의 높이를 낮추기 위한 각종 실시예가 후술될 것이다.
제35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서, 가요성 판체 10이 설치되는 하천폭 방향에 있어서 하상의 중앙부를 미리 낮게 하여 둠으로써 가요성 판체 10의 중앙부 52의 댐 높이를 기타 부분보다 낮게 한다.
제36도는 제2도의 실시예로서, 가요성 판체의 하상취부부의 하천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 근처를 구속부재 54로 압입하므로써 댐 높이를 낮추는 것이다. 제37도는 제36도의 횡단면도서 중앙부 52 근처의 가요성 판체 취부부에 구속부재 5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속부재로서는 가요성 판체의 취부시에 사용하는 누름판으로서 중앙부만 폭을 넓힌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38도는 제3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하류측에 체인이나 로우트 55로 가요성 판체의 1부를 인장 구속함으로써 하천폭 방향의 중앙부 52의 댐 높이를 다른 부분보다 낮게 한 것이다. 이 경우, 제2도 및 제3도의 가요성 판체 10, 10'를 사용하면 접합부 10b에 체인이나 로우프가 용이하게 취부되며, 그러나 유체의 누설 등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무 시이트를 가방 형상으로 성형한 가요성 판체보다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39도는 제4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하천폭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의 가요성 판체의 내측에 구속부재 54를 설치하여 그 중앙부 11의 댐 높이를 저하시킨 것이다. 이 경우, 구속부재 54로서는 제36도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5도의 실시예로서는 제31도와 같이 탄성부재 50을 가요성 판체 10의 스플릿부 10a내에 위치시키고, 그 탄성부재 50의 반발력에 의해 중심부 52의 댐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탄성부재 50의 사용은 댐 높이를 낮게 할 뿐 아니라 이완시간의 단축화에도 역할을 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제40도는 상류측으로부터 본 제6도의 실시예로서 가요성 판체 10을 하상 15에 취부할 때 그 주변 길이가 짧아지게 하천폭 방향 중심에서 가요성 판체 10의 개방부분 53을 누름판 17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중심부 52의 댐 높이를 낮게 하는 것이다.
제41도는 주변 길이를 단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접합부 10b의 1부(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중앙부 52)를 개방축 부분으로 넓힘으로써 그 부분의 댐 높이를 낮게 한 것이다.
제42도는 제7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로우프, 벨트, 체인 55'등을 가요성 판체 10에 신장하고 그 상류 및 하류측에서 각각 고정함으로써, 가요성 판체의 1부(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중앙부 52)를 구속하며 댐 높이를 낮게 한 것이다.
중추를 고무댐의 1부에 취부하여서도 댐 높이를 낮게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상당히 무거운 중추를 필요로 한다. 제43도에 도시한 제8도의 실시예와 같이 중추 대신에 클립 피팅부재 56으로 접합부 10b로부터 주 팽창실 10a의 일부를 구속함으로써 그 부분의 가요성 판체의 주변 길이를 단축하여 댐 높이를 저하시킬 수 있다. 제44도는 제43도의 가요성 판체의 이완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다. 그리고, 주 팽창실 10a의 구속된 길이를 길게 하면 그 부분의 주변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이 클립 피팅부재 56을 가요성 판체에 취부하기 위해서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가요성 판체 10,10'를 사용하면 제44도와 같은 접합부 10b에 볼트 너트 등으로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다. 그러나, 봉입한 유체의 누설 등의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고무 시이트를 가방 형상으로 성형한 가요성 판체보다 적합하다.
제45도는 하천제방 경사부 근처의 댐 높이를 낮게 한 경우의 하류측으로부터 본 발명의 가요성 판체의 제9도의 실시예로서, 댐 높이를 낮추는 방법을 전술한 방법이 전부 사용된다. 하천제방 경사부의 댐 높이을 낮추면 단지 제45도와 같이 배기를 위한 관 20을 그 반대 하천제방에 설치함으로써 완전이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팽창시에 있어서 고무댐의 높이를 하천폭 방향의 적어도 1부에서 낮추면 봉입한 유체를 매기할 때 그 낮은 댐 높이의 부분으로부터 이완이 개시하므로, 이완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하기와 같은 장점이 있다.
(1) 중앙부의 댐 높이를 낮춘 경우에는 항상 유심이 중앙이 되므로, 댐 하류측의 토사퇴적이 벗어남이 없이 수리상 바람직하게 되며, 댐 높이 조정시에도 유심이 항상 중앙이 되어 수리상 바람직하다.
(2) 하천제방 경사부 근처의 댐 높이를 낮춘 경우에는 그 부분으로부터 이완이 개시하므로 복잡한 하상부 배관이나 스페이서가 불필요하며 공사가 간략화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팽창시의 댐 높이를 낮추는 위치는 전술한 것과 같이 중앙부 또는 하천제방 경사부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하천의 구조, 하상의 구조 등 여러 조건에 맞춰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제20도와 같은 유체의 급배출용 배관로를 사용하면 홍수 기타 원인으로 하천 수량이 현저히 증가한 경우, 고무댐을 이완시켜 수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플로우트 밸브 36의 개방에 의해 고무댐 10'가 급격히 이완하므로, 댐의 하류에 단파(step wave)가 발생하여 극히 위험하고, 또 플로우트 밸브 36의 개방에 의해 고무댐이 완전히 이완하므로 저장된 물이 전부 유출하여 다시 지수하기 위해서는 유체봉입에 많은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고무댐의 댐 높이를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고무댐의 급격한 이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간단한 배관로를 제46도에 도시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기초볼트 및 누름판을 통해 하상에 고정된 고무댐 10은 유체의 급배출용 관 2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급배출 수단에 접속되고 있다. 또 60은 건물의 굴곡부, 61은 그 굴곡부와 하천을 연결하는 도수관이다.
제47도는 제46도에 도시한 배관로의 상세를 도시한다. 고무댐 10은 그 내측에 내부의 유체를 균일 및 완전하게 뽑기 위해 작동하는 돌출부(또는 제23도의 중공체)를 가지며, 그 내부에의 유체의 잔류에 기인하는 고무댐 10의 손상을 방지하므로 그 내측은 드레인 발취배관 29(제18도 참조)에 의해 항상 표면에 연통한다.
유체의 급배출용 관 20을 공급관 64 및 배출관 65을 통해 각각 공급수단 66 및 배출수단 67에 접속한다. 여기서 공급수단 66은 필터 66a 및 송풍기 66과, 그 송풍기 66b를 구동하는 원동기 66c로 구성되며, 이들을 가요성 커플링 68을 통해 공급관 64에 접속한다. 설명된 실시예의 배출수단 67은 수동 개폐 밸브 67a로 구성된다. 도면에서 79,70은 각각 공급관 64에 설치한 공급밸브 및 압력계를 나타낸다.
또한, 관 20으로부터 작은 직경의 배출관 71을 분기시켜, 이 작은 직경 배출관 71의 중간부 또는 단부에 배출 밸브로서 작용하는 플로우트 밸브 72를 설치한다. 이 플로우트 밸브 72는 그 작동수위가 계획 이완수위가 되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제48도와 같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는 플로우트 72a, 그 플로우트 72와 링크기구 72b를 연결하는 레버 72c와 링크기구 72b의 밸브 본체 72d에 대해 회전하는 중간 레버 72e에 의해 작동되는 밸브 요소 72f, 이 밸브 요소 72f에 고착되며 밸브 본체 72d의 밸브 시이트에 대해 밀착 이간하는 시이트 패킹 72g를 구비한다.
계획 이완 수위 이상의 수위의 상승에 의해 플로우트 72a가 상승하면, 링크기구 72b의 작동에 기인하여 밸브 요소 72f도 상승하고, 시이트 패킹 72g가 밸브 시이트로부터 이간한다. 역으로, 이 수위로부터 그 하강이 발생한 경우에는, 플로우트 72a의 하가에 동반하여 시이트 패킹 72g가 밸브 시이트에 밀착한다.
플로우트 밸브 72의 이 구조에 있어서, 플로우트 72a 및 레버 72c를 시이트 패킹 72g의 수압면적과의 관계하에 충분히 경탕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댐 내압의 상승에 기초하여 시이트 패킹 72g를 밸브 시이트로부터 이간시킬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에는 플로우트 밸브 72는 안전밸브로서도 기능을 발휘한다.
제47도에서, 73,74는 각각 관 20에 배설한 점검 밸브 및 가용성 커플링이다.
이하 제47도에 도시한 배관로의 작동이 서술될 것이다.
고무댐 10을 팽창시키는 경우에는, 우선 밸브 29 및 수동개폐밸브 67a를 폐쇄한 상태에서 관 64 및 관 20을 통해 공급수단 66으로부터 공기 또는 물,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공기를 고무댐 10내로 공급한다. 이때에는 관 20은 공급관으로서 작용한다. 공기의 공급중, 압력기 70에 의해 고무댐 내압을 감시하며, 이것이 댐 높이 수두압 정도가 된 때에 공급수단 66의 운전을 정지한다.
고무댐은 이 상태에서 그 상류측에 일정량의 물을 막는다. 하천수량이 증가하여 댐 상류측의 수위가 계획 이완 수위가 도는 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배출 밸브로서의 플로우트 밸브 72가 작동하여 작은 직경 배출관 72로부터 댐내 유체(공기)를 배출한다. 이 경우에는 관 20은 배출관으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고무댐 본체의 채워진 유체는 레버 플로우드 밸브 72의 작동에 따라 서서히 작은 배출관 71을 통해 배출되고 단파가 생기지 않고 흘러 내려간다.
한편 홍수로 수위가 급작스럽게 상승할 때 작은 배출관 71을 통해 잠긴 유체의 배출이 충분하지 않다면 수동개폐 밸브 67a가 개방되어 큰 배출관 65를 통해 잠긴 유체가 배출된다. 그 결과 고무댐 본체 10은 급히 그리고 완전히 이완되며 저수된 모든 물이 하류로 흘러나간다. 이 경우 고무댐 본체 10의 댐 수위가 어느 정도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를 개방할 때까지 내려간 후 수동개폐 밸브 67a는 개방된다. 그러므로 단파는 일어나지 않는다.
제49도는 제47도에 보인 배관로의 제1의 변형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복수개의 레버 플로우트 밸브가 다를 계획 수위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고 배출 수단이 긴급시 고무댐 본체를 급히 이완하도록 상기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바와 같이 수동 개폐 밸브 67a와 같다.
제49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3개의 작은 배출관 75a, 75b 및 75c는 배관 20으로 분기되어 있으며 각각의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a, 76b 및 76c를 구비하여 이 밸브들의 각각은 제48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기능을 갖는다. 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a, 76b 및 76c의 각각은 다른 계획수위에서 동작하도록 위치되 있다.
제49도의 배관로에 따라 수위가 제1회 계획수위 L3까지 상승하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a만이 개방되어 저수된 물을 서서히 배출한다. 즉 고무댐 본체의 이완이 서서히 일어난다. 이때 수위가 제2의 계획 수위 L2에 도달하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a와 76b는 개방되고 비교적 빠른 율로 고무댐 본체의 이완이 일어난다. 만약 수위가 제3의 계획 수위 L3에 도달하면, 3개의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a, 76b 및 76c 모두가 개방되고 아주 빠른 율로 고무댐 본체의 이완이 일어난다. 다시 말해 수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또는 위험도가 크면 클수록 고무댐 본체의 이완율은 빠르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수의 배출은 레버 플로우트 아브 76a, 76b 및 76c의 연속적인 개방에 의해 작은 배출관 75a, 75b 및 75c를 통해 일어나므로 고무댐 본체의 급격한 이완으로 인한 단파는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 더우기 레버 플로우트 밸브 중 어떤 것이 수위의 저하로 폐쇄되면 고무댐 본체의 이완은 정지되고 적당량의 물을 저수하므로 소정의 댐 높이까지 고무댐 본체의 재 팽창이 짧은 시간내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49도의 실시예에서 이완에 대한 계획 임기 수위는 위치 L1에서 채택되며 레버 플로우트 밸브 76c는 주 배출 밸브로 작동되므로 고무댐 본체의 이완은 서서히 적당한 속도록 일어난다.
제50도는 제47도에 보인 배관로의 제2도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 배출수단 67은 주 배출 밸브 67b, 주 배출 밸브 67b의 밸브 본체와 일체가 되고 밸브 본체에 회전 모멘트를 주는 크랭크부재 67c, 밸브 본체의 폐쇄 위치에서 크랭크 부재를 유지하기 위해 크랭크 부재 67c와 계합할 수 있는 레버 67d, 레버 67d로 피벗하는 플로우트 97e 및 스프링 67e를 구비하고 있다.
제47도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가 배관 20에서 분기된 작은 배출관 71에 설치되었다.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는 작동수위 L4가 플로우트 67d의 작동 수위 또는 이완을 위한 계획수위 L5보다 충분히 낮게 되도록 위치되므로 고무댐 본체의 급한 이완이 방지된다.
제50도의 실시예에서 상류측에서 수위가 유량의 증가로 인한 위치 L4까지 도달하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가 작동하여 작은 배출관 71을 통해 댐내 유체(공기)를 서서히 유출한다. 그 결과 수위는 위치 L4이하로 내려가고 그중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는 폐쇄되어 특정량의 지수가 계속된다. 만약 수위가 계획 수위에 도달하면 주 배출 밸브 67b는 플로우트 97d의 부력과 스프링 67f의 힘에 의해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의 개방과 함께 개방된다. 그러므로 저수의 배출이 큰 배출관 65를 통해 일어난다. 그러므로 고무댐 본체 10이 급히 그리고 완전히 이완되고 하류로 저수된 물이 모두 흘러나간다.
제50도의 배관로에서 위치 L4와 L5사이의 차이는 고무댐 본체 10의 댐 높이가 어느 정도까지 레버 플로우트 밸브 72를 개방하므로서 이완되고 단파가 완전히 소멸된 후 주 배출 밸브 67d가 개방되도록 선별된다.
제51도로 댐 수위의 자동제어에 목적을 둔 제47도에 보인 배관로의 제3의 변형 실시예이다.
유체 특히 공기는 배관 20을 통해 송풍기 80까지 양 강둑 사이에 신장하고 있는 고무댐 본체 10의 내측으로 공급된다. 고무댐 본체의 내부 압력이 통상 사용상태에서 소정 댐 수위에 대한 수두 압력에 대응하므로 대용량의 송풍기 80을 사용하므로서 내부 압력의 마이크로 조정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경제적이 아니다. 마이크로 조정에서 압축기 82로 탱크 81에 축적된 공기가 보조 급기관 83을 통해 고무댐 본체의 내부에 공급된다. 후자의 경우에서 배관 20에 배치된 개폐 밸브 84는 폐쇄된다.
배관 20으로부터 분기된 보조 급기관 83은 탱크 81의 내압을 고무댐 본체의 소정 내압에 대응하는 값가지 감소하는 감압 밸브 85와 플로우트 또는 수위의 위치에 대해 작동하는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와 함께 있는.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은 제48도에 보인 것과 동일 구조를 갖고 있으며 관 83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해 플로우트 86a과 함께 서로 로크하는 폐쇄제어부 86b와 플로우트 86a를 구비하고 있다. 즉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은 수위가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하면 관 83을 폐쇄하도록 작동한다.
도시예에서 배출관 87은 배관 20로부터 분기된다. 배출관 87은 수동 배출 밸브 88과 한 끝단에 구비되고 이 수동 배출 밸브 88로부터 레버 플로우트 밸브 89의 단부 또는 중앙부에 구비된 작은 배출관 90이 분기된다. 즉 레버 플로우트 밸브 89는 수위 상승과 함께 관 90을 개방하도록 작동한다.
더우기 보조 급기관 83의 각각의 작은 배출관 90이 가요성 관으로 제작되면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과 89의 위치는 쉽게 변해질 수 있고 이완용 계획 수위도 쉽게 변한다. 첨가해서 수동 배출 밸브 88은 자동적으로 고무댐 본체를 이완하기 위하여 계획 수위를 검출하는 자동 제어 밸브를 교체될 수 있다.
제51도에 보인 배관로의 동작에서 고무댐 본체 10은 주로 송풍기 80의 작동에 의해 팽창되고 그 내부 압력은 탱크 81에서 강저수까지 공기 공급으로 조정된다.
통상의 수위 조정중 팽창된 고무댐 본체 10은 항상 일정량의 물을 저수한다.
만약 저수 수위가 상승하면 댐 수위를 낮추므로서 수위를 하강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 경웨 있어서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과 89는 소정 수위에서 동시에 작동된다. 즉 보조 급기관 83은 레버 플로우트 밸브에 의해 폐쇄되고 탱크 81과 고무댐 본체 1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한다. 그 반면 작은 배출관 90은 레버 플로우트 밸브 89에 의해 개방되고 대기로 고무댐 본처 10을 연결한다. 그러므로 고무댐 내압은 배출관 87,90을 따라 방출되고, 댐 높이가 서서히 저하하여 저수 수위를 저하한다.
저수 수위가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89의 작동에 의해 소정값까지 저하되면 배관 83은 밸브 86에 의해 개방되고 배관 90은 밸브 89에 의해 폐쇄된다. 그 결과 내부 압력의 감소량을 보상하는데 충분한 공기가 탱크 81에서 공급되고 원 댐 수위까지 고무댐 본체 10을 팽창한다.
더우기,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과 89의 작동 수위가 다르면, 즉 밸브 85의 작동 수위가 밸브 89의 수위보다 다소 낮으면 고무댐 본체에 공기의 공급과 배출을 하지 않는 소정의 수위지역을 얻을 수 있고 마이크로 제어용 압축기 82의 힘이 감소될 수 있다.
도시예에서 저수 수위의 변화는 주수 배출에서 댐 높이의 변화에 기준하여 배관 83,90의 각각의 직경이 유체의 과잉공급과 배젝을 방지하기 위하여 충분히 작게 제작된다.
제52도로 유체로서 물을 사용하고 있는 제51도에 보인 배관도의 수정 실시예이다. 이 경우 물탱트 91은 탱크와 압축기 대신에 사용되고 펌프 80a가 송풍기 대신에 사용되며 배관 20a, 83a, 87a 및 90a는 물 공급 및 배출관으로 사용된다.
고무댐 본체 10의 팽창은 펌프 80a의 작동에 의해 일어나고 댐 높이의 마이크로 조정 제어는 물탱크 91과 연결된 레버 플로우트 밸브 86의 작동에 의해 일어난다. 한편 물은 공급 수도관 92를 통해 탱크 91에 공급된다. 후자의 경우에서 물탱크 91의 수위는 레버 플로우트 밸브 93의 작동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고 수위가 소정 위치이하로 내려가면 탱크 91에 물을 공급한다.
제53도의 배관로는 수위의 상승과 하강에 따라 댐 수위의 조정에 대해 제51도에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제51도 및 제52도의 실시예에서 고무댐 본체 10이 수위의 급작스런 상승으로 완전히 팽창하면 개폐 밸브 84와 보조관 83 또는 83a(도시하지 않았음)에 배치된 밸브가 폐쇄되고 그 반면 수동 배출 밸브 88이 개방되어 하류로 저수된 물을 흘러 보낸다.
상기에 보인 유체의 공급과 배출용관은 구조상 간단하고 항상 신뢰할 수 있는 작동을 하여 일정한 저수량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레버 플로우트 밸브를 사용하면, 팽창된 고무댐 본체는 서서히 이완되고 단파의 방지 뿐만 아니라 하류측에 배치된 고무댐 본체에 악영탕을 제기시킬 수 있다. 더우기 고무댐 본체는 상승 수위가 이완을 위해 계획 수위의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특정량의 물을 저수할 수 있으므로 소정 댐 높이까지 제 팽창이 쉽고 시간, 공급 유체량 및 소비전력이 종래 기술보다도 현저하게 감소한다.

Claims (1)

  1. 강 상류측의 하상부와 양측 하천제방의 경사부에 설치되며 유체의 급, 배출에 의해 팽창과 이완을 행하는 절첩식 고무댐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급, 배출용 배관의 1단부가, 상기 고무댐이 설치된 하상부를 제외한 적어도 1측의 하천제방의 경사부로부터 고무댐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경사부에 위치한 고무댐의 상단과, 상기 고무댐의 상단을 경사부의 비탈 끝에서의 고무댐의 이완된 두께의 중앙부에 연결한 선과 상기 경사부의 비탈 끝에서의 고무댐의 취부위치에 의해 한정된 영역내에 위치하며, 상기 고무댐이 그 내측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장하고 수압을 견딜 수 있는 1개 이상의 돌출부재를 구비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절첩식고무댐.
KR1019810000714A 1981-03-05 1981-03-05 절첩식 고무댐 KR860000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14A KR860000325B1 (ko) 1981-03-05 1981-03-05 절첩식 고무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0714A KR860000325B1 (ko) 1981-03-05 1981-03-05 절첩식 고무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41A KR830005441A (ko) 1983-08-13
KR860000325B1 true KR860000325B1 (ko) 1986-04-09

Family

ID=1922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0714A KR860000325B1 (ko) 1981-03-05 1981-03-05 절첩식 고무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03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26B1 (ko) * 2001-07-09 2011-09-23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826B1 (ko) * 2001-07-09 2011-09-23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KR101066825B1 (ko) * 2001-07-09 2011-09-23 헨리 케이 오베르메이어 수량 조절 게이트 및 그의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5441A (ko) 198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810A (en) Collapsible rubber dam
US4330224A (en) Collapsible rubber dam installation
US4299514A (en) Collapsible rubber dam
US4167358A (en) Open-channel flow control system
US4494345A (en) Back flow valve
US8740576B2 (en) Pumping system for pumping liquid from a lower level to an operatively higher level
US5503190A (en) Method for repairing a tubular conduit
CN109707443A (zh) 一种可恢复式隧道排水系统及方法
KR900006382B1 (ko) 공기팽창식 가요성 막으로된 기복 가능한 둑
GB2077825A (en) Collapsible Rubber Dam
GB2030624A (en) Collapsible rubber dam
KR860000325B1 (ko) 절첩식 고무댐
EP0797042B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ining an underground pipe
US3313241A (en) Over-the-top delivery for pumps having anti-freeze properties
EP1143073A2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the internal pressure of flexible membrane dam
CN108193656B (zh) 一种橡胶坝工程河面专用的除污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405472Y1 (ko) 수압을 이용한 자동보
JPS59145812A (ja) 暗渠の袋状体弁
CN210713124U (zh) 一种排水管道的冲洗、检修系统
KR910000225Y1 (ko) 유체 팽창식 고무댐
JPS627693Y2 (ko)
EP0054289A1 (en) Collapsible dam
KR200195534Y1 (ko)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JPS6227202B2 (ko)
KR200206348Y1 (ko) 고무댐의 공기압 자동 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