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5534Y1 -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5534Y1
KR200195534Y1 KR2020000011248U KR20000011248U KR200195534Y1 KR 200195534 Y1 KR200195534 Y1 KR 200195534Y1 KR 2020000011248 U KR2020000011248 U KR 2020000011248U KR 20000011248 U KR20000011248 U KR 20000011248U KR 200195534 Y1 KR200195534 Y1 KR 200195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ubber dam
pipe
sedimen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홍계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일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일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일기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5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55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과 침전물을 수압차를 이용하여 저류방출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고안은 고무댐에 대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고무댐의 전방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다수의 물유입구를 갖는 수로관과, 수로관의 일단부에서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제방쪽에 설치되는 방출량조절관과, 방출량조절관의 단부에서 수평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류쪽으로 길게 뻗은 방출관과, 수로관으로부터 지면과 수평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고무댐 하부의 하상콘크리트를 통해 하류쪽으로 향하는 침전물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배관;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벤트;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설치되어 물의 방출량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 및 침전물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로관으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고무댐의 하부에 누적 및 고여있는 침전물과 물을 저류 방출함으로써, 고무댐 하부의 물이 부폐되지 않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Apparatus for Discharge Deposit of Rubber Dam}
본 고안은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농업 및 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건천방지 및 위락용 담수보, 배수지 펌프 부식 방지용 차수보, 폭풍 해일용 방조제, 폐수처리저장 등에 사용되는 여러가지의 댐(DAM) 중에서 특히 목적하는 수위에 따른 공기의 주입조절로 높이가 변화되는 고무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무댐의 하부에 누적 및 고여있는 침전물과 물을 하류쪽으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물의 부폐를 방지하고 또 저수량 조절의 용이성을 양립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등의 뚝으로서 절첩식 및 유체 팽창식 등의 많은 고무댐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산간지역이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저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고무댐의 높이를 공기압력으로 조절하여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뚝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같은 절첩식 또는 팽창식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그 본체의 팽창을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도록 되어 있고, 또 하상 콘크리트와 제방에 고무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와 공기를 공급 또는 배출하기 위한 배관설비 및 송풍기, 수위조절을 위한 프로트 밸브를 갖는 것들로서, 특히 팽창식 고무댐의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56240호(명칭: 유체 팽창식 고무댐)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56240호에 기재된 그와 같은 유체 팽창식 고무댐의 하나를 표시한 것으로서, 도 1은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한 유체의 급,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부에 가요성 중공체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고무댐이 하상에 고정·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유체 팽창식 고무댐에 있어서, 고무댐 내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속중공체(3)(4)는 고무호스로 되어 있다. 이 고무호스로된 연속중공체(3)(4)는 고무판 브라킷트(3a)(4a)를 이용하여 고무댐 본체(1)에 접착시킨다. 연속중공체(3)(4)가 공기 입, 배출구(8)에 모여 있으므로 최종적인 공기의 배출까지 연속중공체(3)(4)는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며, 특히 고무댐 본체(1)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 연속 중공체(3)는 고무댐 본체(1)가 팽창되는 곡선을 따라 자유로이 굽혀지므로써 고무댐 본체(1)의 팽창, 이완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균일한 공기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연속중공체(3)(4)가 고무호스로 제조되므로서 자체의 탄력이 있어 하상에 구르는 암석이나 유목에 의하여 고무댐 본체(1) 표면이 충격을 받는 것을 완화시키는 것이며, 연속중공체(3)의 내부로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기대하기 보다는 양쪽 고무판체(9)의 사이에 끼어 있어서 생기는 공간으로 공기가 유통되면서 탄력을 가지고 있어 항상 일정한 원형 단면 상태를 유지하여 주도록 하는 것이다.
가요성 고무판체(9)는 탄성고무로 제조되고 내부에 보강용 나이론 코드를 넣어서 충분한 인장을 갖도록 일반적인 고무판체로 제작되어진다.
이와 같은 고무판체(9)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균일하고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되는 하상 구조체(11)를 설치하고 앵커볼트(10)를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하여 둔다.
하상 구조체(11)에 고무판체(9)를 밀착고정시키기 위하여 단부에 걸림턱(5)과 안착홈(6) 및 보강살(7)이 형성된 고정금구(2)를 사용한다.
고무판체(9)를 고정하는 방법은 고무판체(9)를 공장에서 공급된 상태 그대로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구조체(11) 위에 올려 놓은 다음 고정금구(2)를 덮어놓고 앵커볼트(10)에 너트(10a)를 조여주는 것으로 고정이 쉽게 완료되는 것이다.
고정장치에서는 고무판체(9)의 양단부를 펀칭하거나 손상시킴이 없어 뒷쪽에서만 앵커 보울트(10)의 하나로서 고정시키는 구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특히 하상 구조체(11)는 돌출부(12)를 부착시켰기 때문에 고무판체(9)가 고정금구(2)의 안착홈(6)에 밀착되는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수압에 의하여 고무댐 본체(1)가 하류 방향으로 빠져나가는 힘을 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가요성 고무판체(9)의 일단이 하상 콘크리트(13)에 고정되고 양단이 제방 경사부에 매설된 하상 구조체(11)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기와 같은 공기공급장치(14)를 통해 공기압을 발생시키면 그 공기는 공기입, 배출관(8a) 및 이에 결합된 공기 입, 출구(8)를 통해 가요성 고무판체(9)에 유입되어 고무댐 본체(1)가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높이가 변화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방용 뚝으로서의 고무댐들은 대부분 가요성 고무판체의 일단을 하상에 고정하고 양단을 제방 경사부에 매설된 구조체에 끼워 고정한 후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압력으로 고무판체의 높이를 조절하여 물을 하류쪽으로 배출하거나 또는 제방을 막아 저수량을 확보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고무댐들의 대부분은 상류쪽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고무댐의 상부면을 거쳐 하류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고무댐 하부면의 콘크리트상에는 각종의 침전물이 누적되며, 이것에 의해 고무댐의 하부쪽의 물이 순환되지 않고 고여있는 상태가 되므로 그 부분에서 물이 부폐 되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고무댐의 하부에 누적되는 각종의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고무댐 상류의 물 부폐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침전물 배출장치는 물흐름과 반대방향 또는 물흐름 방향으로 물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메인배관을 고무댐과 길이방향으로 하여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하고, 또 그 메인배관의 소정부위에는 침전물배출관을 하류쪽으로 향하도록 길게 형성하여 토사와 같은 침전물을 필요에 따라 저류 방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무댐에 의해 담수된 물의 방출 량을 간편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침전물 배출장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는 메인배관의 일단부를 고무댐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역 U자형으로 절곡하여 제방쪽에 설치하고, 또 역 U자형의 끝부분을 다시 하류쪽으로 길게 절곡하여 담수된 물의 수압차를 이용, 저류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해 하천 제방의 경사부에 설치한 공기 입, 배출관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고무댐의 팽창과 기복을 위한 유체의 급, 배출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내부에 가요성 중공체가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설치되고, 고무댐이 하상에 고정·팽창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를 하상 콘크리트에 설치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하상 콘크리트에 설치된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메인배관 21 : 수로관
21a : 물유입구 22 : 방출량 조절관
22a : 에어벤트 23 : 침전물 배출관
24 : 방출관 26 : 수위조절밸브
27 : 드레인밸브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측면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는,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금구를 덮은 후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너트를 조여 고정한 고무댐에 있어서:
(1) 상기 고무댐에 대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고무댐의 전방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다수의 물유입구를 갖는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의 일단부에서 대략 역 U자 형상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제방쪽에 설치되는 방출량조절관과, 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단부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류쪽으로 길게 뻗은 방출관과, 상기 수로관으로부터 지면과 거의 수평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무댐 하부의 하상콘크리트를 통해 하류쪽으로 향하는 침전물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배관; (2)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벤트; (3) 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설치되어 물의 방출량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 (4) 상기 침전물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으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물유입구들은 상기 고무댐의 길이방향에 대해 상호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물흐름 반대방향 또는 물흐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역 U자형을 갖는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는 상기 고무댐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고무댐의 하부에 누적되는 토사와 같은 침전물이 물과함께 수로관으로 유입된 후에 침전물배출관의 드레인밸브의 조작에 의해서 하류쪽으로 배출되며, 또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 있는 물이 수압차에 의해서 역 U자 형상의 방출량조절관을 통해 자연적으로 저류 방출되고, 또한 수위조절밸브의 열림량에 의해서 물의 방출량이 조절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고무댐의 하부에 누적되는 토사와 같은 침전물을 주기적으로 청소를 하여 주고, 또한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 있는 물을 수압차를 이용하여 저류 방출하여 줌으로써 고무댐 하부의 물이 부폐되지 않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은 고무댐의 크기에 무관하고 여러 종류의 댐, 예컨대 고무댐, 콘크리트 고정보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설명에 사용되는 각 도면에 있어서, 같은 구성성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표시하고 그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것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방용 뚝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고무댐에 적용한 예를 고려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를 하상 콘크리트에 설치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요성의 고무판체(9) 내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고무재질의 연속 중공체(3)(4)를 고무판 브라킷트(3a)(4a)를 이용하여 설치한 후 이 가요성 고무판체(9)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된 하상 구조체(11)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걸림턱(5)과 안착홈(6) 및 보강살(7)이 형성된 고정금구(2)를 길이방향으로 하여 덮은 다음 하상 콘크리트(13)에 매설되어 있는 제1 앵커볼트(10)에 너트(10a)를 조여 고정하며 고무판체(9) 내부에 공기를 유입하여 제방을 막는 고무댐 본체(1)에 있어서, 이 고무댐 본체(1)의 하부에 누적되는 침전물과 수위량을 조절하기 위해 설치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는, 제방 및 하상 콘크리트(13)에 설치되는 하나의 일체화된 메인배관(20) 및 토사와 같은 침전물과 물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때의 메인배관(2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판체(9)에 대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그 고무판체(9)의 전방 하상 콘크리트(13)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다수 개의 물유입구(21a)가 돌출되어 형성된 수로관(21)과, 수로관(21)의 일 단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제방에 설치되며 그의 만곡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에어벤트(air vent)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역 'U'자 형상의 방출량 조절관(22)과, 이 방출량 조절관(22)의 일 단부에서 지면에 대해 수평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는 방출관(24)과, 수로관(21)의 일 단부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하향으로 직각 절곡되어 고무판체(9) 하부의 하상 콘크리트(13)를 통해 하류쪽으로 향하는 침전물 배출관(2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토사와 같은 침전물과 물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로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출량 조절관(22)의 만곡부위에 설치되어 핸들(25)의 조작에 따라 수로관(21)으로 유입되어 방출관(24)으로 방출되는 물의 량을 조절하는 수위조절밸브(26)와, 침전물 배출관(23)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로관(21)으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배출하는 드레인밸브(27)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배관(20)의 수로관(21)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 개의 물유입구(21a)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고무판체(9)와 마주보도록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물흐름 반대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배관(20)의 방출량 조절관(22)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쪽에 설치되는데, 이때 방출량 조절관(22)의 만곡부위는 고무판체(9)가 팽창한 상태일 때, 그 고무판체(9)의 최대 높이보다 낮은 상태가 되도록 설치한다. 또한 침전물 배출관(23)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판체(9)가 설치되어 있는 하상 콘크리트(13)를 통해 하류쪽으로, 즉 다시 말해 고무판체(9)의 후방쪽으로 관통시켜서 후방쪽에 위치한 드레인밸브(27)의 조작에 의해서 수로관(21)의 물유입구(21a)로 유입된 침전물을 물과 함께 배출하도록 설치하며, 또한 방출관(2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쪽을 거쳐서 하류쪽으로 향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고무댐 본체(1)의 고무판체(9)에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제방 뚝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을 때, 고무판체(9)의 하부에는 상류에서 물과 함께 휩쓸려 내려 온 토사와 같은 침전물이 쌓이게 된다. 또한 상류에서 흘러 내리는 물이 목적하는 담수량 이상일 경우에 고무판체(9)의 상부면을 거쳐 하류쪽으로 흘러내기게 된다. 이때, 고무판체(9)의 하부쪽의 물은 순환되지 않고 고여있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고무판체(9)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을 하류쪽으로 저류방출 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방쪽에 설치되며 메인배관(20)의 방출량 조절관(22)에 설치된 핸들(25)을 조작하여 수위조절밸브(26)을 열어준다. 수위조절밸브(26)가 열리게 되면 고무판체(9) 하부에 고여있는 물은 고무판체(9) 하부에 물흐름 방향으로 설치되며 또 고무판체(9)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물유입구(21a)로 유입된 후에 수로관(21)과 역 U자 형상의 방출량 조절관(22) 및 방출관(24)을 통해 하류쪽으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역 U자 형상을 갖는 방출량 조절관(22)이 고무판체(9)의 최대 높이보다 낮게 제방쪽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고무판체(9)의 하부에 고여 있는 물이 수압차에 의해서 저류 방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수로관(21)에 형성된 다수의 물유입구(21a)를 물 흐름의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담수된 저수량의 수위가 고무판체(9)의 높이보다 낮으면, 즉 제방쪽에 설치되어 있는 방출량 조절관(22)의 높이보다 낮으면 물의 방출이 충단되어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방출량 조절관(22)의 만곡부위에 돌출되어 형성된 에어벤트(22a)는 수위조절밸브(26)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 담수된 수량이 적을 때 메인배관(20), 즉 수로관(21), 방출량 조절관(22) 및 방출관(24) 내의 진공으로 인하여 고무판체(9) 하부의 물이 전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수압차에 의해 물이 수로관(21), 방출량 조절관(22) 및 방출관(24)을 통해 저류 방출되어 적정 수위의 이하로 내려가는 상태에서 메인배관(20)내로 공기의 유통이 없을 경우에, 수압차에 관계없이 물이 하류쪽으로 계속해서 방출되어 고무댐으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메인배관(20) 내로 계속 공기가 유입되게 방출량 조절관(22)의 만곡부위에 에어벤트(22a)를 돌출 형성시킨 것이다.
그리고, 역 U자 형상의 방출량 조절관(22)을 통해 방출되는 물의 량이 많은 경우에 수위조절밸브(26)의 개폐량을 조작하여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무판체(9)의 하부에 누적되는 토사와 같은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방출하기 위한 작업은 먼저 작업자가 고무판체(9)의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는 드레인밸브(27)를 열어주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담수된 저수량의 수압차에 의해서 침전물이 물과 함께 다수의 물유입구(21a)로 유입된 후 수로관(21)과 이에 연통된 침전물 배출관(23)을 통해 하류쪽으로 저류 방출되어 고무판체(9)의 하부에 누적되는 침전물을 청소할 수가 있다. 여기서 드레인밸브(27)는 고무판체(9)의 하부를 청소하고자 할 때에만 열어주고 그 외에는 닫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레인 밸브(27)를 열어놓게 되면 담수된 물이 하류쪽으로 모두 방출되어 고무댐으로서의 기능이 상실 되므로 청소 때에만 드레인 밸브(27)를 열어 주도록 한다.
여기서, 침전물 배출관(23)은 도 3과 도 5와는 달리, 수로관(21)의 일 단부에서 지면에 대해 수직하도록 하향으로 직각 절곡된 후에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 및 도 5와 같이 침전물 배출관(23)의 중간부위가 상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설치할 경우에 침전물이 하류쪽으로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은 수가 있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침전물 배출관(23)을 지면에 대해 수평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지면에 대해 약간 하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침전물 배출관(23)을 고무판체(9)의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고무판체(9)의 양측 단부 또는 어느 한 단부의 하상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다수의 물유입구(21a)가 형성된 수로관(21)과 역 U자 형상을 가지며 만곡부위에 에어벤트(22a)가 형성된 방출량 조절관(22), 침전물 배출관(223) 및 방출관(24)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배관(20)을 하상 콘크리트(13) 및 제방쪽에 설치하여 담수된 물의 수압차를 이용, 고무판체(9)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과 침전물을 저류방출 할 수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고무댐의 대부분이 목적하는 수위에 따라 제방을 막아 저수량만을 확보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은 저수량의 확보는 물론 콘크리트 고정보 또는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과 누적되는 침전물을 수압차를 이용하여 저류 방출하고 또 수위조절밸브의 열림량에 의해서 물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고무댐 또는 콘크리트 고정보의 하부에 누적되는 토사와 같은 침전물을 청소하고, 또한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 있는 물을 저류 방출하여 줌으로써 고무댐 하부의 물이 부폐되지 않은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고안의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에 의하면, 고무댐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과 누적되는 침전물을 수압차를 이용하여 저류 방출하여 줌으로써 고무댐 하부의 물이 부폐되지 않은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고무판체의 양단부를 겹쳐서 하상 콘크리트에 매설된 구조체 위에 올려 놓고 그 위에 길이방향으로 고정금구를 덮은 후 콘크리트에 매설된 앵커볼트에 너트를 조여 고정한 고무댐에 있어서:
    (1) 상기 고무댐에 대해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상기 고무댐의 전방 하상 콘크리트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는 다수의 물유입구를 갖는 수로관과, 상기 수로관의 일단부에서 수직 상향으로 라운딩 절곡되어 제방에 설치되는 역 'U'자 형상의 방출량조절관과, 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단부에서 지면과 수평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하류쪽으로 길게 뻗은 방출관과, 상기 수로관으로부터 지면과 거의 수평하도록 직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무댐 하부의 하상 콘크리트를 통해 하류쪽으로 향하는 침전물배출관이 일체로 형성된 메인배관;
    (2)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벤트;
    (3) 상기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에 설치되어 물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 및
    (4) 상기 침전물배출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로관으로 유입되는 침전물을 하류쪽으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밸브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구는 상기 수로관에 일정 간격을 두고 물 흐름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유입구는 상기 수로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물흐름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 'U'자형을 갖는 방출량조절관의 만곡부위가 상기 고무댐의 최대 높이보다 낮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배출관이 상기 고무판체 양 단부 중에서 어느 한 단부의 하상 콘크리트를 통해 하류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KR2020000011248U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KR20019553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921A KR100339312B1 (ko)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921A Division KR100339312B1 (ko)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5534Y1 true KR200195534Y1 (ko) 2000-09-01

Family

ID=196657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921A KR100339312B1 (ko)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KR2020000011248U KR200195534Y1 (ko)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921A KR100339312B1 (ko) 2000-04-20 2000-04-20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39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91B1 (ko) * 2007-02-28 2007-05-08 주식회사유신코퍼레이션 하천 침전물의 제거가 용이한 여울발생블럭
KR100781134B1 (ko) 2007-07-19 2007-1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고무보
KR100878887B1 (ko) 2008-04-23 2009-01-15 (주)대도엔텍 가동보 바이패스관의 개폐장치
WO2022160324A1 (zh) * 2021-02-01 2022-08-04 浙江大学 一种正态曲面漏斗水库排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122A (ko) 2001-11-08
KR100339312B1 (ko) 200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5219B2 (en) Shoreline erosion control system
US20090279954A1 (en) Debris and sediment reduction apparatus for water drainage systems
US7828499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200195534Y1 (ko)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0780743B1 (ko) 높이차를 가지는 공기배출수단이 구비된 일련의사이펀여수로군(群)
KR101900943B1 (ko) 저층수 배출이 용이한 가동보의 개량형 패널 구조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200187341Y1 (ko) 고무댐의 본체 보호장치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120040316A (ko) 와류발생장치를 이용한 침전물 제거 기능을 갖는 사이펀여수로
KR101234325B1 (ko) 소수력 발전설비
KR20110108568A (ko) 다단계 수위 조절이 가능한 사이펀여수로
KR200333085Y1 (ko) 공압식 가동보의 저류수 배출장치
KR200340987Y1 (ko) 어도가 형성되고 심층수 배출이 용이한 공압식 가동보
JP5725419B2 (ja) 水田取水堰
KR100785175B1 (ko) 치수 시스템
KR100865872B1 (ko) 여울형 가동보 장치
KR102024706B1 (ko) 하수의 역류방지와 오니제거를 위한 하수구구조
KR200346725Y1 (ko) 고무댐 보호용 커버
KR100878887B1 (ko) 가동보 바이패스관의 개폐장치
JP4049699B2 (ja) 通水管取水口付近の堆積土砂の除去方法及びその除去装置
KR200367430Y1 (ko) 단계적 수위조절이 용이한 고무댐
KR101668220B1 (ko) 하수,오수,폐수관용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