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300B1 -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 Google Patents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300B1
KR100822300B1 KR1020070126053A KR20070126053A KR100822300B1 KR 100822300 B1 KR100822300 B1 KR 100822300B1 KR 1020070126053 A KR1020070126053 A KR 1020070126053A KR 20070126053 A KR20070126053 A KR 20070126053A KR 100822300 B1 KR100822300 B1 KR 100822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ipe
discharge
rubber tube
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70126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05Deformable barrages or barrages consisting of permanently deformable elements, e.g. inflatable, with flexibl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의 가요성 보는, 배출관을 가지고 기초부에 설치되는 언체; 배출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 언체 사이에 설치되어 기립 및 도복하는 고무튜브; 기초부에 설치되어 고무튜브 상류측 전 영역의 물흐름과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유도하는 유로수단; 언체에 설치되어 물 넘침이 발생할 때 수문밸브로의 부유물과 물 유입을 차단해 주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수단은, 물흐름방향에 대해 면적이 선협후광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류측 물흐름을 가속 및 와류시키고 상류측의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하는 가속부; 강폭 방향에 대해 면적이 상협하광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고무튜브의 중앙부위에 쌓인 퇴적물을 가속부의 와류현상에 의해 배출관 쪽으로 포집시켜 주는 포집유도부룰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 또는 바닥의 전 영역에 쌓인 퇴적물을 저층수와 함께 보다 확실하게 하류측으로 배출시키면서도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또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과 소손이 방지되는 가요성 보의 설치가 가능하다.
Figure R1020070126053
가요성 보, 고무튜브, 배출관, 수문밸브, 유로부, 퇴적물,

Description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Rubber dam for discharge deposit and regulation water level}
도 1은 강폭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위조절과 퇴적물 배출을 위한 수문밸브와 유로부 및 배출관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가요성 보의 배출관에 적용된 수문밸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요성 보 20 : 고무튜브
30 : 기초부 40 : 언체
50 : 유로부 52 : 가속부
54 : 포집유도부 60 : 배출관
70 : 수문밸브 80 : 하우징
본 발명은 예컨대, 하천 또는 강폭 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유체의 공급 또는 배출에 의해 기립(起立)과 도복(倒伏)으로 담수량을 확보하는 튜브(Tube)형상의 가요성 보(洑: Weir)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요성 보를 도복시키는 일없이 계획된 담수량을 확보하면서도 상류측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 또는 담수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을 저층수와 함께 보다 빠르게 배출시켜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과 파손방지를 양립하도록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지 또는 농업/공업용 취수보, 소수력 발전용 상단보, 상수도용 취수보, 위락용 담수보 또는 하구의 해수 댐의 수위조절용 울타리로서 철제의 자동 전도식 울타리가 주지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철제 울타리는 유압 실린더 등에 의해 작동되므로 장비조작이 대단히 곤란하며 약한 기초 위에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를 위해 근래에는 공기, 물 등과 같은 유체의 직접적인 공급에 의해서 운전되며 설비나 정비가 용이한 소위 조립식 고무보라는 수위 조절용 보들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무보들은 그 재질이 대부분 에틸렌 프로피렌(EPDM :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의 합성고무 또는 클로로프렌(Chloroprene)의 합성고무 등으로 제작되어 산간 오지나 지형조건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효과적인 담수량의 확보와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또 목적하는 수위에 따 라 고무보의 높이를 공기, 물 등의 유체의 공급 조절로 관리하기 때문에 제방용 울타리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즉 강 또는 기타 하천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고무보는 강물의 흐름을 막기 위해 그 고무보(Rubber Weir)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팽창 기립시키고, 막힌 강물을 하류로 흘러 보내기 위해 고무보의 내부에 채워진 유체를 배출하여 수축 도복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무보들의 대부분은 고무튜브(에어백)를 이용, 보(Weir)를 설치함으로써, 토사나 자갈 등과 같은 침전물 배출 때와 홍수위에서 도복되어 하천의 하상 콘크리트(기초부)와 수평을 이루어 통수(通水) 단면적에 지장을 주지 않으나, 수위조절에 한계가 있어 강 또는 하천의 담수기능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된다. 즉 다시 말해 상기한 고무보들은 고무튜브가 완전히 도복되어 침전물의 걸림이 없이 하류로 그대로 흘려보내는 특징이 있긴 하나 고무보의 상류측 바닥에 쌓인 토사나 자갈 등과 같은 침전물과 바닥에 고인 저층수를 배출하려는 경우에도 고무튜브가 완전히 도복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계획된 담수량을 확보하지 못하고, 반대로 계획된 담수의 확보를 위해서는 침전물과 저층수를 배출하지 못하므로 담수의 수질오염이 발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에 대해 고무보의 하부에 고여있는 물(저층수)과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수압 차를 이용, 하류 쪽으로 저류방출시켜 담수의 수질오염을 방지해 주고 또한, 담수된 물의 방출량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설치되고 있다.
상기 수압 차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배출하는 고무보의 한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39312호(명칭: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특허등록 제0339312호에 의한 고무댐의 침전물 배출장치는 저층수 및 토사와 같은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메인배관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난이 하고,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하천 또는 강폭에 따라 다수의 메인배관들을 현장에서 직접 용접하여 연장해야 하기 때문에 수작업공수가 증가 됨은 물론 설비 면에 있어서도 경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메인배관의 물유입구가 하상 콘크리트의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면서 저층수 및 침전물을 수압의 차로 흡입하여 저류 방출하게 되는데, 이때 저층수는 에어밴트로부터의 공기유입에 따른 수압 차에 의해 흡입되어 저류방출이 가능하나 바닥에 퇴적된 입도분포가 큰 모래 또는 자갈과 같은 침전물을 흡입하여 저류방출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저층수 및 침전물을 수압 차를 이용하여 방출하고자 할 때에는 수위조절밸브와 드레인밸브를 각각 작업자가 별도로 조작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획된 담수량을 확보하면서도 바닥에 쌓인 퇴적사와 저층수만을 보다 확실하게 하류로 방류시켜 수질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설치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본인이 선출한 특허출원 제2007-72227호(명칭: 고무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제2007-72227호에 의하면, 하천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형성된 언체에 각각 배출관을 설치하고, 또한 하천 전영역의 퇴적사와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해 포집유도부를 배출관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하 며, 그리고 배출관에는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를 설치하여, 상기 수문밸브의 개도에 따라 고무튜브의 바닥에 쌓인 퇴적사를 수압에 의해 저층수와 함께 배출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무보 역시 퇴적사와 저층수의 배출 때 퇴적사를 배출관 쪽으로 유도하는 포집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물흐름을 유도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입도분포가 큰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퇴적사가 포집유도부를 통해 배출관 쪽으로 포집되는 효과가 미미하다. 즉 입도분포가 큰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퇴적사는 스스로가 포집유도부를 통해서 배출관으로 포집되지 않고 물흐름 세기에 휩쓸려 포집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유로 전술한 고무보는 배출관의 수문밸브를 열 때 물흐름이 배출관 입구 쪽에서만 강하게 흐르고 고무튜브의 중간부위에서는 물 흐름이 약하기 때문에 이 부분에 쌓여 있는 퇴적사가 포집유도부를 경유하여 저층수와 함께 휩쓸려 배출되는 것이 미약하다. 특히 배출관의 개도가 작으면 작을수록 수압 및 고무튜브의 중간부위의 물 흐름 또한 약하여, 결국 퇴적사는 저층수와 함께 하류 쪽으로 휩쓸려 방류되지 못하고 저층수만이 방류되는 관계로 원하는 저층수와 퇴적사 배출의 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문밸브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수압차가 없으므로 상류로부터 계속 흘러 내려오는 퇴적사가 바로 배출관 쪽으로 유도되지 못하고 고무튜브의 상류 전 영역으로 분포되어 쌓이게 되며, 이와 같이 상류 전 영역으로 쌓인 퇴적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수문밸브를 장시간 동안 열어주어야 하므로, 수위조절에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출관의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이 발생되거나 필요에 의해 고무튜브를 도복시킬 때 상기 수문밸브가 물에 잠기게 되며, 이것에 의해 수문밸브에 부유물이 스며들어 부식되거나 소손될 문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 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계획된 담수량을 확보하면서도 상류측 바닥, 특히 고무튜브의 중간부위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를 보다 확실하게 배출관 쪽으로 유도시켜 저류 방출하도록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가요성 보는 고무튜브의 상류측에 물흐름과 퇴적물을 유도하는 유로수단을 구비시켜, 상류측 바닥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 배출 때 고무튜브의 중간부위에 물흐름을 유도시켜 퇴적물과 저층수가 함께 배출관 쪽으로 휩쓸려 내려가도록 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문밸브에 의해 배출관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상류로부터 계속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유로수단을 통해 바로 배출관 쪽으로 유도시켜 배출하도록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이 발생되거나 필요에 의해 고무튜브를 도복시킬 때 배출관에 장착되어 있는 수문밸브의 부식과 소손을 미연에 방지해 줄 수 있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가요성 보는 언체에 일정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을 설치하고 이 하우징 내에 수문밸 브를 내장시켜 물 및 부유물로부터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제안하는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에 의하면, 물흐름방향에 대해 배출관이 매설된 다수의 언체를 강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기초부 상에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류측 단부에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를, 그리고 상기 언체 사이에 고무튜브들을 각각 고정시켜 공기의 주입 및 그로부터의 배출에 의해 기립 또는 도복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가요성 보에 있어서,
상기 고무튜브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강폭 방향을 따라 상기 기초부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고무튜브의 상류측 전 영역으로의 물흐름과 상류측에서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유로수단; 및
상기 언체의 후벽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수문밸브를 내장하며 상기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 발생 때 상기 수문밸브로의 부유물과 물 유입을 차단해 주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수단은,
상기 물흐름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선협후광(先狹後廣)의 유선형으로 형성되 어 상류측의 물흐름을 가속 및 와류시키고 상류측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하는 가속부;
상기 강폭 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하향 경사진 유선형을 가지고 상기 가속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튜브의 중앙부위에 쌓인 퇴적물을 상기 가속부의 물흐름 유도와 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출관 쪽으로 포집시켜 주는 포집유도부룰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속부의 선단을 기준으로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은 상기 강폭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배출관의 쪽으로 하향 경사져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속부는 상기 고무튜브의 상류측 물흐름을 가속 및 와류시키기 위해 물흐름방향에 대해 강폭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에 의하면, 고무튜브의 상류측에 유로수단을 구비시켜서 상류측에서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시키고 또 고무튜브의 전 영역으로 물의 흐름을 유도하기 때문에 상류측 바닥 및 고무튜브의 중앙부위에 쌓인 퇴적물이 쉽게 물에 휩쓸려 배출이 이루어질 뿐 아니라 언체의 후벽에 설치된 하우징이 물 또는 부유물질로부터 수문밸브를 은폐시켜 보호해 주기 때문에 기존의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 또는 파손이 일어나지 않아, 결과적으로 계획된 담수량 조절과 함께 상류측에서 흘러 내오는 퇴적물 또는 고무튜브의 상류측 전 영역에 쌓여 있는 퇴적물을 신속하게 배출할 수가 있는 가요성 보의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강폭방향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위조절과 퇴적물 배출을 위한 수문밸브와 유로부 및 배출관을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가요성 보의 배출관에 적용된 수문밸브의 확대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10)는 하나의 가요성 고무판체가 반으로 접혀져 튜브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타입에 속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크게 하천 또는 강폭 방향을 가로질로 구축되는 기초부(30)와, 하천 또는 강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기초부(30) 상에 설치된 다수의 언체(40)와, 상기 하천 또는 강폭 방향을 따라 언체(40)의 사이에 설치되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의 공기 주입 및 그로부터의 배출에 의해 팽창 기립 또는 수축 도복하여 강물의 흐름을 제한 또는 자유롭게 하는 고무튜브(20)와, 물흐름방향에 대해 다수의 언체(40)의 하부에 매설되어 상류측과 하류측의 유로를 형성하는 배출관(60)과, 배출관(60)의 하류측 단부에 설치되고 언체(40) 의 후벽에 고정되어 배출관(60)의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70)와, 고무튜브(20)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하천 또는 강폭 방향을 따라 기초부(30)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고무튜브(20)의 상류측 전 영역으로의 물흐름과 상류측에서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60) 쪽으로 바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유로부(50)와, 언체(40)의 후벽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설치되어 수문밸브(70)를 내장하며 고무튜브(20)로의 물 넘침이 발생할 때 수문밸브(70)로의 부유물과 물 유입을 차단해 주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80a)을 갖는 하우징(80)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유로부(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흐름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선협후광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고무튜브(20)의 상류측 물흐름을 고무튜브(20)의 양단부에 위치해 있는 배출관(60) 쪽으로 가속 및 와류시키고 상류측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60) 쪽으로 바로 유도하는 가속부(52)와, 상기 하천 또는 강폭 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상협하광으로 하향 경사진 유선형을 가지고 가속부(52)와 일체로 형성되어 고무튜브(20)의 중간부위에 쌓인 퇴적물을 가속부(52)의 물흐름 유도와 와류현상에 의해 양 배출관(60) 쪽으로 포집시켜 주는 포집유도부(5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에서 수문밸브(7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호 대향한 가이드홈(71a)(72a)을 가지고 언체(40)의 후벽에 일정간격으로 수직하게 앵커로 고정되는 브라킷트(71)(72)와, 브라킷트(71)(72)의 가이드홈(71a)(72a)을 따라 승, 하강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관(60)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폐관(73)과, 언체(40)의 후벽 상부에 수평하게 돌출 고정된 지지프레임(76)과, 지지프레임(76) 을 축으로 제자리 회전하는 상단에 휠(75a)이 고정된 스핀들(75)과, 개폐관(73)의 중앙에 수직하게 고정되어 스핀들(75)의 제자리 회전 때 그 스핀들(75)의 나산산을 따라 승, 하강하면서 개폐관(73)을 수직이동시키는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승강관(74)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요성 보(10)의 고무튜브(20)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 기립하여 하천 또는 강물의 흐름을 제한하고 고무튜브(20)로부터 공기를 방출하면 다시 수축 도복하여 물의 흐름을 자유롭게 한다.
이때, 가요성 보(10)의 고무튜브(20)가 공기의 주입에 의해 팽창 기립되어 제방의 둑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을 때 상류에서 물과 함께 휩쓸려 내려온 모래, 흙 및 자갈 등과 같은 퇴적물이 고무튜브(20)와 언체(40)로부터 구속을 받지 않고 고무튜브(20) 및 언체(40)의 상류측에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어 있는 유로부(50)의 가속부(52)의 벽을 따라 배출관(60) 쪽으로 바로 유도되어 그 배출관(60) 입구 쪽의 기초부(30) 바닥면에 쌓이게 되며, 또한 일부의 퇴적물은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가속부(52)의 벽을 타고 포집유도부(54)에 쌓이게 된다.
또한, 상류에서 지속적으로 흘러 내려오는 물로 인하여 담수의 수위가 고무튜브(20) 보다 높아질 경우 고무튜브(20)의 상부면을 거쳐 부유물과 함께 하류로 흘러 내려가게 된다. 그러나 고무튜브(20)의 바닥면의 저층수는 순환되지 않고 고여있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퇴적물이 계속 쌓이고 저층수가 오랫동안 고이게 되면 담수된 물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시키면서 담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하우징(80)의 뚜껑(80a)을 열어 수문밸브(70)의 휠(75a)을 조작하게 되면 스핀들(75)이 언체(40)의 후벽 상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76)을 축으로 제자리 회전하고 이에 결합된 승강관(74)이 스핀들(75)의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개폐관(73)이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체(40)의 후벽에 수직하게 고정된 브라킷트(71)(72)의 가이드홈(71a)(72a)을 따라 상승하면서 폐쇄하고 있던 배출관(60)을 서서히 개방시키게 된다.
배출관(60)이 개방되면 담수된 물의 수압차와 유로부(50)에 형성된 가속부(52) 및 포집유도부(54)에 의해서 고무튜브(20)의 하부 전 영역, 즉 배출관(60) 입구쪽의 기초부(30) 바닥에 쌓인 많은 량의 퇴적물과 포집유도부(54) 상에 쌓여 있는 일부의 퇴적물이 저층수와 함께 빠른 구속력을 가지고 배출관(60)을 통해 하류측으로 방출된다. 즉 다시 말해 전술한 수문밸브(70)의 조작에 의해 배출관(60)이 개방되면, 담수의 수압차에 의해 상류측의 물(저층수)이 유선형으로 이루어진 가속부(52)의 양측 벽을 따라 유체의 저항을 받지 않고 가속화되어 배출관(60) 쪽으로 흐르고 또 일부는 그 가속부(52)의 양측 벽을 타고 포집유도부(54) 쪽으로 와류현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것에 의해 고무튜브(98)의 중간부분에서 물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계속 가속부(52)에 의해 발생된 와류현상과 담수의 수압차에 의해 유선형의 포집유도부(54)를 경유하여 양 배출관(88) 쪽으로 저항 없이 빠르게 흐르게 되어 결과적으로 고무튜브(20)의 중간부분, 즉 유선형의 포집유도부(54) 상에 쌓인 토사와 같은 일부의 퇴적물과 가속부(52)의 유도에 의해서 배출관(60) 입구쪽에 미리 쌓여 있던 비교적 입도분포가 큰 모래나 자갈 등과 같은 많은 량의 퇴적물이 물과 함께 빠르게 휩쓸려 배출관(6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퇴적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기초부(30)의 바닥면을 가속부(52)의 선단을 기준으로 강폭 방향에 대해 배출관(60) 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하고, 또한 가속부(52)는 물흐름방향에 대해 강폭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고무튜브(20)의 전 영역, 즉 포집유도부(54) 및 가속부(52)의 유도에 의해 배출관(60)의 입구쪽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가 배출되면 담수에는 오염원이 제거되어 담수의 수질 오염이 방지될 뿐 아니라 저층수를 배출하면서 담수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담수의 수위가 고무튜브(20) 보다 높아져 고무튜브(20)의 상부로 물 넘침이 발생하더라도 도 2와 같이 뚜껑(80a)을 갖는 하우징(80)이 수문밸브(70)를 밀폐하고 있으므로, 물 또는 부유물 유입에 따른 수문밸브(70)의 부식 또는 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기초부의 바닥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를 수압차 만을 이용하여 배출하게 되므로 배출관과 멀리 떨어진 고무튜브 중간부위의 퇴적물 배출에 미약한 단점이 있고, 또 수문밸브가 물 및 부유물에 노출되어 부식 또는 소손될 염려가 있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고무튜브의 상류측에 유로수단을 구비시켜서 고무튜브의 상류측 전 영역의 물흐름과 퇴적물을 배 출관 쪽으로 빠르게 유도시켜 배출시키고, 또한 수문밸브를 외부로부터 은폐시켜 줌으로써, 기존의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과 파손이 미연에 방지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류측 바닥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를 보다 확실하게 하류측으로 배출시키면서도 목적하는 수위를 유지할 수 있고, 또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과 소손이 방지되는 가요성 보의 설치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에 의하면, 상류측 바닥에 쌓인 퇴적물과 저층수를 유로수단을 통해 빠르게 배출관쪽으로 유도시켜 줌으로써, 퇴적물 및 저층수의 배출이 확실하고, 또 하우징이 물 또는 부유물로부터 수문밸브를 은폐시켜 보호해 주기 때문에 기존의 물 넘침으로 인한 수문밸브의 부식과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며, 특히 계획된 담수량을 조절하면서도 상류측 바닥에 쌓이거나 고인 퇴적물과 저층수 또는 상류에서 계속 흘러 내려오 는 퇴적물 만을 보다 확실하게 배출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흐름방향에 대해 배출관이 매설된 다수의 언체를 강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거리를 두고 기초부 상에 설치하고, 상기 배출관의 하류측 단부에 개도를 조절하는 수문밸브를, 그리고 상기 언체 사이에 고무튜브를 고정시켜 공기의 주입 및 배출에 의해 기립 및 도복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가요성 보에 있어서,
    (1) 상기 고무튜브의 중앙을 중심으로 상기 강폭 방향을 따라 상기 기초부 상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고무튜브의 상류측 전 영역으로의 물흐름과 상류측에서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유로수단; 및
    (2) 상기 언체의 후벽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고 설치되어 상기 수문밸브를 내장하며 상기 고무튜브로의 물 넘침 발생 때 상기 수문밸브로의 부유물과 물 유입을 차단해 주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뚜껑을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유로수단은,
    상기 물흐름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선협후광(先狹後廣)의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류측의 물흐름을 가속 및 와류시키고 상류측으로부터 흘러 내려오는 퇴적물을 배출관 쪽으로 바로 유도하는 가속부;
    상기 강폭 방향에 대하여 면적이 상협하광(上狹下廣)으로 하향 경사진 유선형을 가지고 상기 가속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무튜브의 중앙부위에 쌓인 퇴적물을 상기 가속부의 물흐름 유도와 와류현상에 의해 상기 배출관 쪽으로 포집시 켜 주는 포집유도부룰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부의 선단을 기준으로 상기 기초부의 바닥면이 상기 강폭 방향에 대하여 상기 배출관 쪽으로 하향 경사져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속부는 물흐름방향에 대해 강폭 방향으로 경사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20070126053A 2007-12-06 2007-12-06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KR100822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53A KR100822300B1 (ko) 2007-12-06 2007-12-06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053A KR100822300B1 (ko) 2007-12-06 2007-12-06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300B1 true KR100822300B1 (ko) 2008-04-17

Family

ID=39571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053A KR100822300B1 (ko) 2007-12-06 2007-12-06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3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09B1 (ko) 2011-09-08 2012-02-27 주식회사 대도엔텍 다중 유입 배사형 고무보
CN103103963A (zh) * 2012-11-14 2013-05-15 安徽铜都阀门股份有限公司 插板闸门
KR101435766B1 (ko) * 2014-03-10 2014-08-28 주식회사 유일기연 저층수 배출장치
KR20170039401A (ko)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오선 자동제어가 가능한 저층수배출장치
KR20180111113A (ko) * 2017-03-31 2018-10-11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부력 댐
KR20200091120A (ko) *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013A (en) 1985-07-02 1987-04-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for impeding fine sediment deposition in harbors and navigational channels
JPH11190016A (ja) 1997-12-26 1999-07-13 Kubota Corp 制水扉の扉体
JP2004162393A (ja) 2002-11-13 2004-06-10 Kaisei Kogyo Kk 逆流防止ゲートの土砂排出構造
KR100660008B1 (ko) 2006-09-15 2006-12-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하천 수중보
KR100781134B1 (ko) 2007-07-19 2007-1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고무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013A (en) 1985-07-02 1987-04-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pparatus for impeding fine sediment deposition in harbors and navigational channels
JPH11190016A (ja) 1997-12-26 1999-07-13 Kubota Corp 制水扉の扉体
JP2004162393A (ja) 2002-11-13 2004-06-10 Kaisei Kogyo Kk 逆流防止ゲートの土砂排出構造
KR100660008B1 (ko) 2006-09-15 2006-12-29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퇴적물 방류기능을 갖는 하천 수중보
KR100781134B1 (ko) 2007-07-19 2007-11-30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고무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409B1 (ko) 2011-09-08 2012-02-27 주식회사 대도엔텍 다중 유입 배사형 고무보
CN103103963A (zh) * 2012-11-14 2013-05-15 安徽铜都阀门股份有限公司 插板闸门
KR101435766B1 (ko) * 2014-03-10 2014-08-28 주식회사 유일기연 저층수 배출장치
KR20170039401A (ko) 2015-10-01 2017-04-11 주식회사 오선 자동제어가 가능한 저층수배출장치
KR20180111113A (ko) * 2017-03-31 2018-10-11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부력 댐
KR101979992B1 (ko) * 2017-03-31 2019-08-28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부력 댐
KR20200091120A (ko) *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KR102223239B1 (ko) * 2019-01-22 2021-03-05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A2929096C (en) Closed flow sewer system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JP2004524467A (ja) サンドトラップから沈殿物を除去する方法
CN105756179A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100783747B1 (ko) 터널내의 배수로 구조
KR101267377B1 (ko)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KR100597464B1 (ko) 수문을 구비한 고무댐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JP5695495B2 (ja) 伏越し構造
CN106592748A (zh) 水下初雨调蓄利用系统
RU2694189C2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KR200239149Y1 (ko) 고무댐의 침전물 자동 폭기장치
CN205577088U (zh) 一种污水流量可控及拦渣防倒灌截流井
KR20190038517A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JP3470044B2 (ja) 河川水の取水装置
KR101379795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일시 저류조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KR200217679Y1 (ko) 수질 및 퇴적물에 의한 고무댐의 자동 개폐장치
KR20050004456A (ko) 물추와 지렛대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수문 시스템
KR100996366B1 (ko) 빗물저류시설
KR20180093178A (ko) 친환경 관로형 생태보
JP2567343B2 (ja) 取水ストレーナと自動逆洗装置を設けた河川表流水取水工法
JP2015101849A (ja) 溜め池の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