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377B1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67377B1 KR101267377B1 KR1020130033428A KR20130033428A KR101267377B1 KR 101267377 B1 KR101267377 B1 KR 101267377B1 KR 1020130033428 A KR1020130033428 A KR 1020130033428A KR 20130033428 A KR20130033428 A KR 20130033428A KR 101267377 B1 KR101267377 B1 KR 1012673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tank
- flood
- river
- washing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24 Flood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특히, 본 발명은 소하천 주변의 도로 및 주거지역 또는 공원지역 지하에 저류조를 설치하여 폭우 시 소하천의 물이 도로 및 주거지역 또는 공원지역으로 범람하여 수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홍수위 예보선과 홍수위선 사이에서 소하천의 물을 무동력으로 저류조에 보관하였다가 비가 그칠 때 자연배수 또는 펌핑방식으로 소하천으로 다시 배수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하천(10)의 폭우 시 도로 또는 주거지역으로 범람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류, 중류, 하류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소하천(10)의 수위를 나타내기 위해 형성되는 홍수위 예보선(40) 및 홍수위 선(41); 상기 홍수위 예보선(40) 및 홍수위 선(41) 사이에서 소하천(10)의 물이 인입되도록 상기 소하천(10) 일측으로 구비되는 소하천 인입관(100); 상기 소하천 인입관(100)을 통해 폭우 시 하천물을 유입시키는 것으로,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폐판(210)이 구비되는 우수토실(200); 상기 우수토실(200) 다음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하천물의 이동시 슬러지를 걸러주도록 구비되는 제 1 침사지(211); 상기 제 1 침사지(211)의 일측으로 세척조 이송관(212)이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 이송관(212) 일측으로 상단에 개구부 형상의 세척조 월류턱(310)이 형성되는 세척조(300); 상기 세척조(300)의 저류조 월류턱(420)을 통과한 하천물을 저류하는 것으로, 저류된 하천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412)이 일측 하단에 형성되는 저류조(400); 상기 저류조(400)에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수위값이 일정치 이상이면 저류조(400)과 배출관(412)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유압수문(413)에 의하여 폐쇄되고, 수위값이 일정치 이하이면 제 2 유압수문(413)이 열려 저류조(400)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a와 2b는 본 발명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에 대한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에 대한 A-A'의 흐름도이다.
도 4a와 4b는 본 발명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에 대한 B-B'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에 대한 C의 단면도이다.
30 : 벤취레다 40 : 홍수위 예보선
41 : 홍수위선
100 : 소하천 인입관 110 : 스크린 장치
111 : 스크린 112 : 부력통
113 : 걸림구
200 : 우수토실 210 : 개폐판
211 : 제 1 침사지 212 : 세척조 이송관
300 : 세척조 310 : 세척조 월류턱
311 : 제 1 유압수문
400 : 저류조 410 : 침사지 이송로
411 : 제 2 침사지 412 : 배출관
413 : 제 2 유압수문 414 : 펌핑맨홀
420 : 저류조 월류턱
Claims (10)
- 소하천(10)의 폭우 시 도로 또는 주거지역으로 범람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류, 중류, 하류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소하천(10)의 수위를 나타내기 위해 형성되는 홍수위 예보선(40) 및 홍수위 선(41);
상기 홍수위 예보선(40) 및 홍수위 선(41) 사이에서 소하천(10)의 물이 인입되도록 상기 소하천(10) 일측으로 구비되는 소하천 인입관(100);
상기 소하천 인입관(100)을 통해 폭우 시 하천물을 유입시키는 것으로, 내부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에 의하여 폐쇄되는 개폐판(210)이 구비되는 우수토실(200);
상기 우수토실(200) 다음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하천물의 이동시 슬러지를 걸러주도록 구비되는 제 1 침사지(211);
상기 제 1 침사지(211)의 일측으로 세척조 이송관(212)이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 이송관(212) 일측으로 상단에 개구부 형상의 세척조 월류턱(310)이 형성되는 세척조(300);
상기 세척조(300)의 저류조 월류턱(420)을 통과한 하천물을 저류하는 것으로, 저류된 하천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관(412)이 일측 하단에 형성되는 저류조(400);
상기 저류조(400)에 수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센서에 의해 수위값이 일정치 이상이면 저류조(400)과 배출관(412)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유압수문(413)에 의하여 폐쇄되고, 수위값이 일정치 이하이면 제 2 유압수문(413)이 열려 저류조(400) 내부의 물을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하천(10)에 낙차를 이루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낙차보(2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300)의 하부면은 상기 저류조(400)의 하부면보다 높은 것으로, 세척조(300) 하부면과 저류조(400) 하부면의 낙차를 이용하여 저류조(400) 하부의 슬러지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300) 내부 일측에 수위센서가 구비되어 일정 수위일 경우 상기 세척조(300)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유압수문(311)의 개폐로 물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300)의 하부면은 저류조(400) 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저류조(400)의 하부면은 저류조(400) 하부면에 형성되는 슬러지가 침전되는 침사지 이송로(410)를 통해 제2침사지(411)로 이동되도록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2침사지(411)의 침전물을 외부에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류조(400) 일측으로 펌핑맨홀(414)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300) 하부면의 경사면 구배는 상기 저류조(400) 하부면의 경사면 구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400)에 구비되는 물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저류조(400) 상면에서 지상으로 형성되도록 벤취레다(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하천 인입관(100) 내부 천장에 고정되는 스크린 장치(110)로,
연결바 및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되는 스크린(111);
상기 스크린(111)의 상부 일측면에 결합되는 부력통(1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장치(110)가 하천물의 흐르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상기 스크린(11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111)이 고정되는 위치 소하천 인입관(100) 바닥에 설치되는 걸림구(113);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400)에서 배출관(412)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소하천(10)에 형성되는 다수의 낙차보(20) 중 마지막 낙차보(20)에 상기 배출관(412)이 연결되어 물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428A KR101267377B1 (ko) | 2013-03-28 | 2013-03-28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428A KR101267377B1 (ko) | 2013-03-28 | 2013-03-28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67377B1 true KR101267377B1 (ko) | 2013-05-27 |
Family
ID=4866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34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267377B1 (ko) | 2013-03-28 | 2013-03-28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6737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60703A (zh) * | 2016-05-03 | 2016-07-13 | 大连理工大学 | 一种基于聚合水库蓄放水模拟的洪水预报方法 |
CN105839758A (zh) * | 2016-05-05 | 2016-08-10 | 山东大学 | 一种可变初期雨水弃流控制系统、控制方法及构建方法 |
CN113834629A (zh) * | 2021-09-30 | 2021-12-24 | 山东良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防洪板试验装置及试验方法 |
CN113931287A (zh) * | 2021-10-26 | 2022-01-14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海绵湖体的雨水调蓄结构及其排放控制工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634B1 (ko) | 2009-08-31 | 2011-01-19 | 이경섭 | 비점오염 정화장치 |
KR101220901B1 (ko) | 2012-09-27 | 2013-01-11 |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
KR101233093B1 (ko) | 2012-09-25 | 2013-02-14 |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 저류조 세척장치 |
-
2013
- 2013-03-28 KR KR1020130033428A patent/KR10126737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9634B1 (ko) | 2009-08-31 | 2011-01-19 | 이경섭 | 비점오염 정화장치 |
KR101233093B1 (ko) | 2012-09-25 | 2013-02-14 |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 저류조 세척장치 |
KR101220901B1 (ko) | 2012-09-27 | 2013-01-11 |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760703A (zh) * | 2016-05-03 | 2016-07-13 | 大连理工大学 | 一种基于聚合水库蓄放水模拟的洪水预报方法 |
CN105760703B (zh) * | 2016-05-03 | 2018-04-10 | 大连理工大学 | 一种基于聚合水库蓄放水模拟的洪水预报方法 |
CN105839758A (zh) * | 2016-05-05 | 2016-08-10 | 山东大学 | 一种可变初期雨水弃流控制系统、控制方法及构建方法 |
CN113834629A (zh) * | 2021-09-30 | 2021-12-24 | 山东良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防洪板试验装置及试验方法 |
CN113834629B (zh) * | 2021-09-30 | 2024-04-05 | 山东良成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 防洪板试验装置及试验方法 |
CN113931287A (zh) * | 2021-10-26 | 2022-01-14 |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 一种海绵湖体的雨水调蓄结构及其排放控制工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29096C (en) | Closed flow sewer system | |
KR101039196B1 (ko) |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 |
CN104878825B (zh) | 一种大容量蓄水管道雨水蓄排系统和蓄排方法 | |
KR101096768B1 (ko) | 빗물이용장치 | |
WO2020044355A1 (en) | Integration of multipurpose box tunnels with empty lakes and mini dam for effective flood control | |
KR101267377B1 (ko) | 자연담수 홍수방지 저류 시스템 | |
KR101220901B1 (ko) |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 |
CN207376562U (zh) | 一种能够过滤泥沙的水利枢纽 | |
KR20080112531A (ko) | 빗물 저장 탱크 | |
CN105064274A (zh) | 蓄排一体化箱式驳岸 | |
KR100822300B1 (ko) |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 |
CN207944527U (zh) | 雨水收集系统 | |
CN104878823A (zh) | 一种合流管道初期雨水截流蓄排系统及蓄排方法 | |
KR101468324B1 (ko) | 자동 및 반자동 겸용 저류 시스템 | |
JP6132141B2 (ja) | 下水・雨水切換型貯留施設 | |
JP6739887B1 (ja) | 水害時2次排水方法 | |
CN106988400A (zh) | 一种挡潮、防堵、检修便捷、可冲砂清淤的干沟式截流系统及方法 | |
KR101316313B1 (ko) | 저류조를 이용한 계곡수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 |
RU144821U1 (ru) | Эксплуатационный водосброс плотины (варианты) | |
KR100957070B1 (ko) |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 |
JP6153122B2 (ja) |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 |
CN207392146U (zh) | 一种具有过滤功能的水利枢纽 | |
RU2694189C2 (ru) |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приема воды из горных и предгорных рек для малых ГЭС | |
CN204982783U (zh) | 蓄排一体化箱式驳岸 | |
CN105971087A (zh) | 虹吸式排水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3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