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0364B1 -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 Google Patents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364B1
KR101100364B1 KR1020090133895A KR20090133895A KR101100364B1 KR 101100364 B1 KR101100364 B1 KR 101100364B1 KR 1020090133895 A KR1020090133895 A KR 1020090133895A KR 20090133895 A KR20090133895 A KR 20090133895A KR 101100364 B1 KR101100364 B1 KR 101100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positive pressure
control device
pip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987A (ko
Inventor
장혁수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시지이엔씨주식회사
박종민
장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지이엔씨주식회사, 박종민, 장혁수 filed Critical 시지이엔씨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32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1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 E02D31/1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soil pressure or hydraulic pressure against upward hydraulic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1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7/0106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 G05D7/0113Control of flow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er, e.g. bellows, diaphragm, capsule the sensing element acting as a valv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 공사 완료 후 버림 콘크리트 설치 전에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가장 효율적(최소량)으로 처리하기 위한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와 외부챔버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와; 상기 내부챔버의 측벽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에 유공집수관, 무공배수관 및 드레인보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 및 드레인보드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의 이중챔버의 외부챔버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의 외부챔버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관을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관을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의 내부챔버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양압력 조절장치, 영구배수공법

Description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Uplift Pressur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공사 완료 후 버림 콘크리트 설치 전에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구조물에 대한 양압력 해소방안으로 굴착이 완료된 최하층 바닥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유입 지하수를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압력배수 및 중력배수를 통하여 구조물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해소하여 구조물의 안정을 도모하는 공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영구배수공법은 MPC공법(Minimum Pipe & Clogging Drainage System), 부분배수로와 양면판형배수재를 이용한 설치공법, 전단면 자갈포설공법 및 드레인매트 배수공법 등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상기 MPC공법은 기존문제점인 눈막힘 현상과 배수로 터파기 과다에 따른 공사비 증가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시켜 최대의 안정성과 최소의 공사비로 품 질보강 및 공기를 단축하는 공법이나, 일부 구간의 기초지반에 추가 터파기가 반드시 필요하여 설치위치가 암반일 경우에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부분배수로와 양면판형배수재를 이용한 설치공법은 매트기초 아래의 수개 소의 배수로 내에 자갈을 포설하여 드레인보드로 유도된 지하수를 자갈층 및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설치위치가 암반일 경우에는 배수로 터파기에 과다한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단면 자갈포설공법은 최종 굴착완료 후 매트 기초 아래의 굴토 마감면의 전단면에 자갈 포설 및 자갈층 내에 다발관을 포설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골재의 대량수급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청소해야 하는 부담이 발생하고, 경비가 증가하며, 토공량이 부분 트랜치 공법에 비해 증가하고 공기가 늘어나며, 이물질 방지를 위하여 전단면에 토목섬유를 설치해야 하며, 또한 골재 채취로 인하여 골재의 고갈현상이 발생되며, 토공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드레인매트 배수공법은 매트기초 아래의 일부 배수로를 굴착 및 버림 콘크리트 내에 일체화된 편형드레인보드와 다발관을 통하여 집수하는 배수공법으로서, 시공면이 암반일 경우에는 면처리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며, 원형다발관과 직사각형 다발관 및 편형배수재의 연결로 인하여 공정관리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들 구조물 간에 일체성이 결여되며, 토립자 및 부유물질이 많은 지반에는 적용이 불가함으로 인하여 모든 지층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뒤따르며, 세척기능 및 통수 단면적 미확보로 인하여 구조적 안정에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압력을 해소하기 위한 영구배수공법들은 각각의 공법이 지니고 있는 기본적인 단점 외에도 전체적인 공법들이 기초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나 기구가 없어 유입되는 지하수 전체를 처리해야하므로 집수정으로 유입되는 지하수 유입량이 많게 되고 이에 따라 집수정 및 펌프의 용량이 증대되어 유지관리 측면에서 비경제적인 문제점 및 집수정에 연결되는 배수관의 막힘 또는 손상시 대체방안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법에 양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혼합 적용한 경우에도 기 양압력 조절장치는 건축 기둥, 벽체 또는 집수정 상부로 파이프 등을 일정 높이까지 연결 설치하여 양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건축공정과 간섭, 건축 기둥 및 벽체부 구조적 안정성 감소 및 누수 가능성, 건축 층고에 따른 수위 조절 높이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발명의 출원인은 등록특허 10-0556820호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안하였다.
상기한 종래의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 배수공(112)이 형성된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22)이 형성된 상판측벽(120)과, 상기 상판(110)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0)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된 하판(130)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00)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중앙에 배수공(212)이 형성된 상부판(210)과, 상기 상부판(210)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210)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220)과, 상기 하부판(220)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230)으로 이루어지 는 외부챔버(2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여 터파기(E)를 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E)가 완료된 바닥면에 챔버(C)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챔버(C)에 드레인보드(D)를 포설하는 단계; 상기 드레인보드(D) 상에 폴리에틸렌필름(PE)을 포설하는 단계; 상기 챔버(C)의 일정부분을 콘크리트를 타설함과 동시에 챔버(C)를 고정하는 버림 콘크리트(T)를 형성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은 챔버가 네방향으로 드레인보드 및 배수파이프가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챔버와 외부챔버로 분리되는 이중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외부챔버는 드레인보드와 연결되고, 내부챔버는 배수파이프와 연결되어 용이하게 유입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기초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을 내부챔버의 배수파이프의 높이까지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과 이와 유사한 기타 공법들은 슬래브 상부, 기둥 또는 벽체부에 수위 조절관을 설치함으로써, 건축 공정과 간섭, 건축 기둥 및 벽체부 구조적 안정성 감소 및 누수 가능성, 건축 층고에 따른 수위조절 높이 제한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축 구조물 공사를 위한 최종 터파기 공사 완료 후 버림 콘크리트 설치 전에 기초 바닥으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용이하게 처리하기 위한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와 외부챔버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와; 상기 내부챔버의 측벽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에 유공집수관, 무공배수관 및 드레인보드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 및 드레인보드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의 이중챔버의 외부챔버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의 외부챔버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관을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관을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의 내부챔버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 한 영구배수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는 양압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함으로 지하 유입수의 처리유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집수정 및 펌프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기초 바닥 또는 건축 외벽과 가시설 흙막이 벽체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건축공정과의 간섭, 누수, 기둥 및 벽체의 강도 감소 가능성이 없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이중챔버가 전후좌우의 네 방향으로 드레인보드 또는 유공집수관이 연결될 수 있도록 내부챔버와 외부챔버로 분리되는 이중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외부챔버는 드레인보드 또는 유공집수관으로 연결되고, 내부챔버는 무공배수관과 연결되어 유입부의 양압력과 유출부의 압력을 분리할 수 있으며, 유공집수관 및 무공배수관을 이중챔버와 연결하여 집수정으로 유도하여 가설시는 유공집수관의 밸브를 열고, 영구시는 무공배수관의 밸브를 닫을 수 있게 조절함으로써, 가설시와 영구시 양압력 조절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압력조절관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의 양압력조절은 일반 영구배수공법과 동일하나 무공배수관(내부챔버 연결관) 및 유공집수관(외부챔버 연결관)을 동시에 집수정으로 연결함으로써, 유공집수관의 손실 및 기능저하시 무공배수관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영구적인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공사에 필요한 모든 제품을 기성제품 및 정형화된 자재를 사용할 수 있고, 트랜치 등의 터파기 공정을 생략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전체적인 건축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 및 다양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내부챔버(110)의 측벽(또는 상, 하부면)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120)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200)으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1)는 이중챔버(100)와 압력조절관(200)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건축구조물에 발생하는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을 조절하여 유입 지하수를 가장 효율적(최소량)으로 영구 배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 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이중챔버(100)는 내부챔버(110)가 외부챔버(120) 내에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챔버(11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진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지지부(119)를 형성하는 이유는 내부챔버(110) 내의 유입수를 일정량 전달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판(118)에 지지부(119)를 형성하여, 이 지지부(119) 높이만큼 상판(112)이 이격된 상태로 하판(118)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챔버(1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진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128)를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챔버(120) 내의 유입수를 일정량 전달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부판(124)에 지지부(128)를 형성하여, 이 지지부(128) 높이만큼 상부판(122)이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128)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사유로 상판(122) 하부면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일반적인 파이프가 내부챔버(110)의 측벽(또는 상, 하부)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120) 내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이 압력조절관(200)을 설치한 이유는 외부챔버(120)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를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하면서 유속 및 양압력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즉, 유체역학에서 유체는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은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면 압력은 낮아지고, 반대로 감소하면 압력이 높아지는데 이를 베르누이 정리라고 한다.
즉, 이와 같은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외부챔버(120) 내는 크게 형성되고, 이 외부챔버(120) 내에 설치되는 압력조절관(200)의 직경은 가늘게 형성되어 유입수가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하면서 유속 및 동수구배가 증가하며, 동시에 기 초바닥의 양압력도 동수구배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기초 바닥의 양압력이 증가되면, 기초바닥과 건축물 외부의 지하수위에 의한 수두차가 감소되고, 이로 인하여 기초바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가 감소되므로 가장 효율적(최소량)인 영구배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압력조절관(200)의 개수, 직경 및 길이를 변화시켜 기초 바닥에 작용하는 양압력 및 유입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관(200)의 단부에는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압력조절관(210)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관내에 일정한 형상을 갖는 원형, 사각형, 나선형 돌기 등을 부착하여 유입속도 및 유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A1)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에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드(B)를 연 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무공배수관(OP)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형 돌기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됨과 동시에 집수정(S)에 연결함으로써, 유공집수관(IP)의 손실 및 기능저하 시 무공배수관(OP)을 이용하여 배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무공배수관(OP)의 재질은 유공 PVC관, 일반 다발관, 유공 PE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공집수관(IP)와 무공배수관(OP)의 연결은 병렬로 설치하여, 유공집수관(IP)의 기능 손상 또는 파손시 무공배수관(OP)을 이용하여 배수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유공집수관과 무공배수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일체형 유공집수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일체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조립형 유공집수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조립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외부 방수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여기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를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 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S) 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한다.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내부챔버(110)의 측벽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120)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압력조절관(200)의 단부에는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한다.
즉,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양압력 조절장치(A1)에 설치된 밸브(V)를 개방하여 건축물의 시공 중 양압력으로 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건축물의 시공 완료 후에는 건축물 자중에 의해 양압력에 대하여 저항을 함으로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함으로 밸브(V)를 영구히 폐쇄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지하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양압력 조절장치(A1)가 설치된 기초바닥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면, 이 지하수는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를 통해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이중챔버(100)로 유입되고,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에 유입되며, 이와 같이 외부챔버(120) 내에 유입된 지하수는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 간에 설치된 압력조절관(200) 내를 통과하되, 상기 압력조절관(200)를 통과하면서 유속 및 양압력이 조절되어 유량이 감소된 상태로 내부챔버(110)로 배수되며, 이와 같이 내부챔버(110)로 유입된 지하수는 내부챔버(110) 내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유출되며, 이 유출된 지하수를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면 일련의 양압력에 의해 상승된 지하수의 처리는 완료된다.
즉,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를 기초바닥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기초바닥에 설치한 후,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로 유입된 피압상태의 지하수를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와 압력조절관(200) 및 내부챔버(110)를 통과하면서 압력수두차에 의한 배수방식으로 외부로 유출시켜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축구조물에 대한 양압력을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수위가 작용하는 모든 건축구조물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하수위의 양압력에 의해 손상된 기존 건축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및 그 보수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 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박스(4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2)는 이중챔버(100)와 압력조절박스(400)가 연결소켓(300)에 의해 연결되어, 건축구조물에 발생하는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을 구조적으로 영구 배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즉, 상기한 이중챔버(100)는 내부챔버(110)가 외부챔버(120) 내에 설치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챔버(11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이 지지부(119)를 형성하는 이유는 내부챔버(110)내의 유입수를 일정량 전달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판(118)에 지지부(119)를 돌출 형성하여, 이 지지부(119) 높이만큼 상판(112)이 이격된 상태로 하판(118)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외부챔버(1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지지부(128)를 형성하는 이유는 외부챔버(120)내의 유입수를 일정량 전달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부판(124)에 지지부(128)를 돌출 형성하여, 이 지지부(128) 높이만큼 상부판(122)이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부(128)는 상기와 같은 동일한 사유로 상판(122) 하부면에도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개의 압력조절관(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압력조절박스(41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의 좌우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에 비해서 규모가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메인압력조절박스(410)와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중챔버(100)를 통과한 지하수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여 양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개의 압력조절관(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좌우측의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 내까지 연장되고, 그 단부에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는 메인압력조절박스(410)의 좌우 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에 비해서 규모가 1/3 정도 작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구조체이며, 측면에는 연결소켓(300)이 고정 설치되어, 지하수의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 를 이용한 영구배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이중챔버(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에 양압력 조절박스(400),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드(B)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박스(400)를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를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압력 조절박스(400)는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 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 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한다.
한편,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 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박스(400)로 구성된다.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개의 압력조절관(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압력조절박스(41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의 좌우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에 비해서 규모가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 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좌우측의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 내까지 연장 연결되고, 그 단부에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의 측면에는 연결소켓(30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에는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시공중인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한다.
즉,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양압력 조절장치(A2)에 설치된 밸브(V)를 개방하여 건축물의 시공 중 양압력으로 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건축물의 시공 완료 후에는 건축물 자중에 의해 양압력에 대하여 저항을 함으로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2)의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함으로 밸브(V)를 영구히 폐쇄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지하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양압력 조절장치(A2)가 설치된 기초바닥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면, 이 지하수는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를 통해 양압력 조절장치(A2)의 이중챔버(100)로 유입되되,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에 유입되며, 이와 같이 외부챔버(120) 내에 유입된 지하수는 외부챔버(12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 연결된 압력조절박스(400)로 유입된다.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로 유입된 지하수는 압력조절박스(400) 내를 통과하면서 유량은 감소되고, 유속은 증가된 상태로 양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지하수는 다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이 유출된 지하수를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면 일련의 양압력에 의해 상승된 지하수의 처리는 완료된다.
즉,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를 기초바닥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기초바닥에 설치한 후,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로 유입된 피압상태의 지하수를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와 압력조절박스(400) 및 내부챔버(110)를 통과하면서 압력수두차에 의한 자연배수방식으로 외부로 유출시켜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축구조물에 대한 양압력을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수위가 작용하는 모든 건축구조물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하수위의 양압력에 의해 손상된 기존 건축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및 그 보수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3]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압력조절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1이며,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압력조절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3)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3)는 이중챔버(100)와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가 연결되어, 건축구조물에 발생되는 지하수에 의한 양압력을 구조적으로 영구 배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 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내부챔버(110)의 상판측벽(116)은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됨과 동시에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측벽이다.
이는 내부챔버(110)를 이루는 상판(112)과 하판(118)과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상판측벽(116)에 형성된 파이프공(114)은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를 통해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각 구성부분을 통과한 유입수가 최종적으로 이중챔버(100)의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판측벽(116)에 다수개가 천공 형성됨과 동시에 이 파이프공(114)에 무공배수관(OP)을 일체로 연결하여 유입된 유수를 원활하게 흘러가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한 상판측벽(116)의 파이프공(114)에 무공배수관(OP)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무공배수관(OP)을 분리 및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현장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하판(118)은 그 상부를 덮는 상판(112)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얇은 판이다.
상기 내부챔버(110)를 구성하는 상판(112)과 하판(118)과의 결합은 상판(112)이 하판(118)의 상부에 얹혀 놓이는 형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외부챔버(1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중챔버(100)는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에 내부챔버(110)의 하판(118)이 설치되고, 상기 내부챔버(110)의 하판(118) 상에 내부챔버(110)의 상판(112)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챔버(110)의 상판(112) 상에 외부챔버(120)의 상부판(122)이 결합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이중챔버(100)로 유입되는 지하수가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를 통해 유입 및 유출이 이루어진다.
즉, 외부챔버(120)를 통해 유입된 지하수는 아직 양압력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의 지하수이며,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후,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 연결된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를 통과하여 내부챔버(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지하수는 유량 및 유속이 조절되어 양압력 조절이 이루어진 지하수이다.
한편,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설치한 이유는 유체역학에서 유체는 좁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이 증가하고, 넓은 통로를 흐를 때 유속이 감소한다.
유체의 유속이 증가하면 압력은 낮아지고, 반대로 유체의 유속이 낮아지면 압력은 높아지는데 이것을 베르누이 정리라고 한다.
즉, 이와 같은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의 직경을 서로 다르게 입구는 대구경관(510)을 출구는 소구경관(520)으로 형성하여서 대구경관(510) 내에서는 유량은 크고 유속은 작은 상태로 흘러가나 급격하게 관의 직경이 바뀌는 부분인 소구경관(520)에서는 유량은 작고, 유속은 큰 상태로 하여 유입수가 빨리 통과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는 관의 직경차이에 의해서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하여 내부챔버(110)로 적절한 유량 및 유속으로 유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이며,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A3)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에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드(B)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를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 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S) 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한다.
한편,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구성된다.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 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에는 그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한다.
즉,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양압력 조절장치(A3)에 설치된 밸브(V)를 개방하여 건축물의 시공 중 양압력으로 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건축물의 시공 완료 후에는 건축물 자중에 의해 양압력에 대하여 저항을 함으로, 이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3)의 정상적인 기능이 가능함으로 밸브(V)를 영구히 폐쇄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시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지하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양압력 조절장치(A3)가 설치된 기초바닥으로 지하수가 유입되면, 이 지하수는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를 통해 양압력 조절장치(A3)의 이중챔버(100)로 유입되되,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의 하부판(124)에 유입되며, 이와 같이 외부챔버(120) 내에 유입된 지하수는 외부챔버(12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 연결된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유입된다.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유입된 지하수는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통과하면서 유량은 감소되고, 유속은 증가된 상태로 양압력이 조절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지하수는 다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며, 이 유출된 지하수를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시키면 일련의 양압력에 의해 상승된 지하수의 처리는 완료된다.
즉,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를 기초바닥에서 유입되는 지하수를 처리하기 위해 기초바닥에 설치한 후, 유공집수관(IP) 또는 드레인보드(B)로 유입된 피압상태의 지하수를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와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 및 내부챔버(110)를 통과하면서 압력수두차에 의한 자연배수방식으로 외부로 유출시켜 집수정(S)으로 모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건축구조물에 대한 양압력을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은 지하수위가 작용하는 모든 건축구조물에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특히 지하수위의 양압력에 의해 손상된 기존 건축구조물의 안정성 확보 및 그 보수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실시예 4]
한편,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기초바닥에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집수정 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건축기둥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A1, A2, A3, A4)는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다양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양압력 조절장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조합으로도 건축물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한 양압력 조절장치(A3)중에서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만을 이중챔버(100)로부터 분리시켜 양압력 조절장치(A4)를 구성하되,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4)를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 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4에 적용된 유공집수관(IP)은 토목섬유(미도시)에 감싸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에 적용된 법칙은 다음과 같다.
지반 및 드레인보드 내 흐름
* Darcy의 법칙 적용
- 유량/투수 계수/동수경사의 상관 관계 이용
- 동일한 지반조건에 대하여 동수경사를 변화시키면 유량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
Q = KAI , Q = KAΔh/L
Q: 유량(㎥/day)
K: 지반의 투수계수(m/sec)
A: 흐름이 발생되는 흙의 단면적(㎡)
I: 동수경사(Δh/L)
Δh: 수두차(m)
L: 유선(흐름)의 길이(m)
배수관내 흐름
* Hazen-William Equation 적용: 관수로 흐름
- 유량/유속/관경/수두손실 변화에 따른 상관관계 이용
- 동일한 유량에 대하여 관경을 변화시키면 수두(수압) 및 유속이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
V=0.84935CR0.63I0.54 D=1.6258C-0.38Q0.38I-0.205
Q=0.27853CD2.63I0.54 I=10.666C-1.85D-4.87Q1.85
V: 관내의 유속(m/sec)
Q: 유량(㎥/day)
D: 관직경(m)
R: 경심(m)
C: 유속계수
I: 동수경사(Δh/L)
도 1은 종래의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가 설치 후 지하수 처리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1의 이중챔버와 압력조절관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1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압력조절박스를 도시한 평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2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을 도시한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이중챔버를 도시한 평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압력조절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1,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압력조절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2,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1,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실시예 3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2,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기초바닥에 수평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집수정 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가 건축기둥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3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유공집수관과 무공배수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일체형 유공집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일체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조립형 유공집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조립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압력 조절장치의 외부 방수형 무공배수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중챔버 110: 내부챔버
112: 상판 114: 파이프공
116: 상판측벽 118: 하판
119: 지지부 120: 외부챔버
122: 상부판 124: 하부판
126: 코너부측벽 128: 지지부
200: 압력조절관 210: 유량조절 개폐마개
300: 연결소켓 400: 압력조절박스
410: 메인압력조절박스 420: 유입박스
430: 유출박스 500a: 압력조절파이프
500b: 압력조절파이프 510: 대구경관
520: 소구경관 530: 엘보
540: 중구경관 550: 통수공
560: 비닐시트
A1: 양압력 조절장치 A2: 양압력 조절장치
A3: 양압력 조절장치 A4: 양압력 조절장치
B: 드레인보드 IP: 유공집수관
OP: 무공배수관 S: 집수정
V: 밸브

Claims (41)

  1.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내부챔버(110)의 측벽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120)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24) 또는 상판(122) 하부면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200)의 단부에는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7.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박스(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 수개의 압력조절관(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압력조절박스(41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의 좌우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에 비해서 규모가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좌우측의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내까지 연장되고, 그 단부에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관내에 일정한 형상을 갖는 원형, 사각형, 나선형 돌기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의 측면에는 연결소켓(30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2.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 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
  15.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A1)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에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 드(B)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관(200)을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집수관(IP)과 무공배수관(OP)은 그 단면형상이 원형, 사각형, 나선형 돌기중 어느 하나가 형성됨과 동시에 집수정(S)에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집수관(IP)과 무공배수관(OP)은 병렬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내부챔버(110)의 측벽에 일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이 외부챔버(120) 내에 고정 설치되는 압력조절관(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챔버(100)는 소정의 단면형상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상판(112)과, 상기 상판(112)의 테두리를 따라 직하부로 절곡되면서, 다수개의 파이프공(114)이 형성된 상판측벽(116)과, 상기 상판(11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판(11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하판(118)으로 이루어지는 내부챔버(110)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판(122)과, 상기 상부판(122)이 덮여짐과 동시에 상기 상부판(122)과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판(124)과, 상기 하부판(124)의 코너부로부터 직상부로 절곡 형성된 코너부측벽(126)으로 이루어지는 외부챔버(1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12)은 원형, 십자형, 마름모형, 사각형, 팔각형, 우물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118)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19)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24)에는 일정한 크기 및 높이를 다수개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3.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200)의 단부에는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4.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는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1)의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 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6.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A2)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에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드(B)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박스(400)를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를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박스(400)로 구성됨을 특징으 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박스(40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다수개의 압력조절관(20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압력조절박스(410)와,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의 좌우측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메인압력조절박스(410)에 비해서 규모가 작은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관(200)은 좌우측의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내까지 연장 연결되고, 그 단부에 유량조절 개폐마개(21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및 유출박스(420, 430)의 측면에는 연결소켓(30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1.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는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 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2.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2)의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3. 건축물의 소정의 위치에 양압력 조절장치(A3)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에 유공집수관(IP), 무공배수관(OP) 및 드레인보드(B)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유공집수관(IP) 및 드레인보드(B)를 통한 지하수 집수단계;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의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한 유입수 전달단계;
    상기 이중챔버(100)의 외부챔버(120)를 통과한 유입수가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통과하면서,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하는 양압력 조절단계;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를 통과한 유입수는 연결된 이중챔버(100)의 내부챔버(110)를 통한 배수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형상의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이중챔버(100)와; 상기 이중챔버(100)에 연결소켓(300)에 의해서 결합됨과 동시에 이중챔버(100)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입수의 유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 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7.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는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8.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양압력 조절장치(A3)의 일측에 별도의 밸브(V)를 설치하고, 상기 밸브(V)의 개폐에 의하여 지하수의 양압을 조절하며, 건축물의 가설시에는 개방하고, 영구시에는 폐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39. 압력조절파이프(500a, 500b)로 구성되는 양압력 조절장치(A4)를 기초바닥면에 수평하게 설치하거나, 건축물 기둥 내부에 설치하거나, 지하외벽과 흙막이 벽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집수정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a)는 전체적으로 좌우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41.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파이프(500b)는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U자 형상의 구조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입구는 유입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대구경관(510)이 설치되고, 상기 대구경관(510)의 타측에는 대구경관(510)에 비해서 직경이 좁아지는 소구경관(520)이 엘보(530)를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엘보(530)의 일측에는 상기 소구경관(520)에 비해서 관경이 커지는 중구경관(540)이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력 조절장치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KR1020090133895A 2009-09-23 2009-12-30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KR101100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9980 2009-09-23
KR1020090089980 2009-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87A KR20110032987A (ko) 2011-03-30
KR101100364B1 true KR101100364B1 (ko) 2011-12-30

Family

ID=43937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895A KR101100364B1 (ko) 2009-09-23 2009-12-30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485B1 (ko) * 2018-09-21 2020-12-30 김학기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485Y1 (ko) 2005-06-24 2005-09-23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0556820B1 (ko) 2003-07-28 2006-03-10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22631B1 (ko) 2007-04-06 2008-04-16 박영옥 상향수압 감쇄용 챔버
KR200445948Y1 (ko) 2007-07-03 2009-09-11 엄기형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820B1 (ko) 2003-07-28 2006-03-10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96485Y1 (ko) 2005-06-24 2005-09-23 드레인시스템개발 주식회사 지하구조물 하부지반의 지하수 집배수 장치
KR100822631B1 (ko) 2007-04-06 2008-04-16 박영옥 상향수압 감쇄용 챔버
KR200445948Y1 (ko) 2007-07-03 2009-09-11 엄기형 지하수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987A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84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KR100822300B1 (ko) 수위조절 및 퇴적물 배출용 가요성 보
CN205776409U (zh) 控制岩土层中超额孔隙水压装置
KR101100364B1 (ko)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JP2007023603A (ja) 既設マンホールの耐震補強方法とその装置
KR101771073B1 (ko) 빗물의 저장과 지중 침투 복합형 저수 시설 및 시공 공법
KR200411498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665986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배수로 시공방법
KR100656410B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100556820B1 (ko) 양압력 감쇄처리용 챔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945595B1 (ko) 지하수 배수장치
JP4675391B2 (ja) 地下構造物
JP3777085B2 (ja) 地下貯留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地下貯留構造物
JP2002317486A (ja) 雨水流出抑制処理施設
JP4443869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200446848Y1 (ko) 상향 수압 조절이 가능한 배수 구조체
KR100666103B1 (ko) 용이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감압배수 시스템 시공방법 및그 시스템
KR100666102B1 (ko) 상향수압 조절이 가능한 연직 배수시스템
KR200413305Y1 (ko) 용이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한 감압배수 시스템
KR100693807B1 (ko) 적정수압 유지를 위한 트렌치형 배수로 시공방법
KR100814380B1 (ko) 유도형 측구 배수구조
KR200412083Y1 (ko) 유역별 상향수압 조절 연직 배수시스템
JP3002436B2 (ja) 雨水流出防止施設
KR200411497Y1 (ko) 수압 조절 배수 구조체
KR102120879B1 (ko)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