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485B1 -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485B1
KR102196485B1 KR1020180114049A KR20180114049A KR102196485B1 KR 102196485 B1 KR102196485 B1 KR 102196485B1 KR 1020180114049 A KR1020180114049 A KR 1020180114049A KR 20180114049 A KR20180114049 A KR 20180114049A KR 102196485 B1 KR102196485 B1 KR 1021964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drain pipe
coupling portion
body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4350A (ko
Inventor
김학기
Original Assignee
김학기
유한회사 엘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기, 유한회사 엘에스디 filed Critical 김학기
Priority to KR102018011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4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4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4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여러방향으로 유출 가능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Prefabricated Drainage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여러방향으로 유출 가능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순환을 위한 강수(precipitation)현상에 의한 강수는 바다나 땅으로 떨어지고, 땅위에 떨어지는 물은 중력으로 인해 땅위를 흐르게 된다. 이러한 흐르는 물의 일부는 골짜기의 강으로 들어가 바다로 흐르게 되지만, 대다수는 침투(infiltration)과정을 거쳐 땅으로 스며들게 된다.
그러나, 홍수 피해가 잦은 지역이나 인구가 밀집된 도시지역은 상기 강수의 원활한 배수가 어려워 태풍 등에 의한 홍수 및 범람 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이를 복구하는데 상당한 경제적, 시간적 자원이 소비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우, 아스팔트와 시멘트로 만들어진 도심의 배수시설이 폭우를 감당하지 못해 물에 잠기는 이른바 '도시홍수(Urban Flooding)'현상이 최근들어 잦아지고 있다.
이러한 홍수의 원인으로 저지대의 배수불량, 저지대 인구밀집, 불투수면의 증가, 도시 물 저장능력의 부족 등이 꼽히며, 상기 문제의 해결에 더불어 적절한 배수경로를 설정하여 쏟아지는 빗물을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 지역으로 빼내는 배수시설 내지는 시스템을 잘 구축하는 것이 홍수 방지의 핵심이라 하겠다.
<특허문헌>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3628호(2013.9.11) "부직포를 갖는 원형 다발배수관 및 부직포 포장방법"
상기 특허문헌에 도시된 발명은 '부직포를 갖는 원형다발배수관 및 부직포 포장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다발배수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흔히 사용되는 배수관부재를 부직포로 감싸 밀봉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구성으로, 4~6m에 달하는 상기 배수관부재를 모아 부직포로 감싸 매설해야 하므로 설치하는데 있어 크게 불편함 있었다.
또한, 배수가 필요한 지역이 경사지진 경우, 특히 볼록한 면이나 오목한 면을 형성하는 경사면인 경우, 4~6m에 달하는 직선형태의 상기 다발을 구부려서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수 경로가 합쳐지거나 나누어지게 되는 경우, 상기 원형다발 배수관 양쪽으로만 상호간에 연결이 가능하여 일방향으로만 배수 경로를 형성할 수 밖에 없고 시공현장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경로를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다발배수관 양단에 배수관 상호간을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부재 내지는 연결관 등이 존재하지 않아 복수의 배수관을 연결하는 경우 배수관 상호간의 틈새로 물의 흐름이 새어나가거나 끊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원형다발배수관 상측에 무거운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 배수관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내부의 배수관 부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연결된 배수관의 틈새가 일측 변형으로 인해 더욱 벌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현장에서의 설치가 간편하고, 다양한 지형에 적용 가능며, 상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경로로 물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배수관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관에 다양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여, 강수를 흡수하여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다양한 경로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으로써, 폭우나 폭설 등에 의한 침수피해를 방지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여러방향으로 유출 가능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관에 상기 배수관을 여러 각도로 탈부착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어, 복수의 배수관이 연결관에 탈착 가능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강수의 흐름을 합치거나 나눌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여, 배수관이 결합되지 않은 결합부로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방향의 유로를 형성 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수관이 결합되는 각도나, 배수관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결합 단면의 크기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시공자가 상기 덮개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시공자가 시공현장에서 강수의 배수 유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절단가이드홈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1절단가이드홈과, 상기 제2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2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시공자가 시공현장에서 연결관의 결합 크기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절단위치를 안내하여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수관과의 결합시 결합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배수관과 연결관 사이에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형성되어, 여러 각도로 삽입되는 배수관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몸통부는 배수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매설된 지반의 침하나 배수관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매설지역의 상부를 통과하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수관은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상에 관통 형성되어 강수를 몸통부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는 강수유입부를 포함하여, 강수를 몸통부 상에 형성된 강수유입부로 흡수하여 몸통부 내부를 통과하여 흘려보낼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수관은 상기 몸통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배수관과 연결관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수관의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배수관의 결합깊이와 결합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수관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매설된 지반의 침하나 배수관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매설지역의 상부를 통과하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몸통부 내부에 형성되어 몸통부 상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몸통부가 하중에 의하여 배수관이 비틀리거나 내부로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배수관은 배수관 외부를 감싸 상기 강수유입구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주변의 이물질로 인하여 강수유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필터부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시공자가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관에 다양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여러방향으로 유출 가능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시공자가 상기 덮개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가이드홈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1절단가이드홈과, 상기 제2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2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수관과의 결합시 결합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통부는 배수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은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상에 관통 형성되어 강수를 몸통부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는 강수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은 상기 몸통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수관의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몸통부 내부에 형성되어 몸통부 상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은 배수관 외부를 감싸 상기 강수유입구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관에 다양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여, 강수를 흡수하여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다양한 경로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으로써, 폭우나 폭설 등에 의한 침수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여러방향으로 유출 가능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관에 상기 배수관을 여러 각도로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어, 복수의 배수관이 연결관에 탈착 가능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강수의 흐름을 합치거나 나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단부에 상기 연결관 내부에 흐르는 물의 방향을 통제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여, 배수관이 결합되지 않은 결합부로 물이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일정한 방향의 유로를 형성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배수관이 결합되는 각도나, 배수관의 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결합 단면의 크기를 유연하게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시공자가 상기 덮개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시공자가 시공현장에서 강수의 배수 유로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절단가이드홈은 상기 제1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1절단가이드홈과, 상기 제2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2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시공자가 시공현장에서 연결관의 결합 크기나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절단위치를 안내하여 절단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수관과의 결합시 결합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배수관과 연결관 사이에 견고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형성되어, 여러 각도로 삽입되는 배수관의 방향에 따라 일정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몸통부는 배수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여, 매설된 지반의 침하나 배수관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매설지역의 상부를 통과하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은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상에 관통 형성되어 강수를 몸통부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는 강수유입부를 포함하여, 강수를 몸통부 상에 형성된 강수유입부로 흡수하여 몸통부 내부를 통과하여 흘려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은 상기 몸통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배수관과 연결관 사이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수관의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배수관의 결합깊이와 결합방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매설된 지반의 침하나 배수관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고 매설지역의 상부를 통과하는 보행자나 차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몸통부 내부에 형성되어 몸통부 상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여, 몸통부가 하중에 의하여 배수관이 비틀리거나 내부로 함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관은 배수관 외부를 감싸 상기 강수유입구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여, 주변의 이물질로 인하여 강수유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터부는 부직포로 형성되어, 시공자가 현장에서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원형다발배수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의 측면도
도 9는 도 5의 A-A'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B-B'의 단면도
도 13은 도 11의 C-C'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조립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조립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은 연결관(10)과 배수관(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1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30)으로부터 흡수한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납작한 사각기둥의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측면의 각 모서리마다 상기 배수관(30)이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0)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관 모양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비 또는 눈 등으로 인한 강수를 흡수하여 내부에 통과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0)은 몸통부(31), 강수유입부(33), 체결수단(35), 지지부(37), 필터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0)은 상기 연결관(10)에 다양한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함에 따라, 강수를 흡수하여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다양한 경로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함으로써, 폭우나 폭설 등에 의한 침수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0)의 평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0)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관(10)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5의 A-A'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관(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사각의 몸통부(11)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몸통부(11)의 측면 네 모서리에 배수관(30)을 수용하여 결합하기 위하여 돌출된 결합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1)는 상기 연결관(10)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빈 공간에 상기 배수관(30)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다른 배수관(30)으로 유출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1)는 다시 내부에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1)는 상기 몸통부(11) 내부공간을 지지하는 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연결관(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막아 원활한 물의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11)는 상기 몸통부(11) 상의 일정위치에 복수개로 형성 가능하고, 상기 몸통부(11)의 표면으로부터 일정부분이 상하측으로 대칭되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몸통부(11) 내부로 함입되어 돌출된 지지부(111)의 끝단은 상기 몸통부(11)의 내부에서 만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전해지는 하중을 전달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몸통부(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30)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몸통부(11)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의 단부는 물의 흐름을 통과시키기 위하여 상기 연결관(10) 내부공간과 바깥 공간이 이어지는 개구부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물의 흐름을 폐쇄하기 위하여 단부가 막힌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13)는 다시 덮개부(131), 제1결합부(133), 제2결합부(135), 절단가이드홈(137), 체결수단(1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0)의 폭 또는 삽입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결합부(13) 중 제1결합부(133) 또는 제2결합부(135)가 선택 및 절단되어 배수관(30)이 삽입되게 되는데 이에 따른 자세한 과정은 후술한다.
상기 덮개부(131)는 상기 연결관(10)의 외부로 돌출된 결합부(13) 단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연결관(10) 내부의 공간을 폐쇄하도록 형성되어, 시공자가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의 물의 흐름을 통제하고 상기 연결관(10) 내부로 흐르는 물을 일정한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결합부(133)는 상기 몸통부(1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결합폭이 넓은 배수관(30)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배수관(30)을 수용하여 상기 연결관(10)에 결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135)는 상기 제1결합부(133)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11)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결합폭이 좁은 배수관(30)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배수관(30)을 수용하여 상기 연결관(10)에 결합 및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결합부(135)는 상기 제1결합부(133)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결합부(133)는 상기 제2결합부(135)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이로 인해 상기 연결관(10)에 크기가 다른 배수관(30)을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연결관(10)의 결합부(13)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33) 및 제2결합부(135)는 상기 몸통부(11)의 외측에 다양한 각도와 크기의 배수관(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으로 마주보는 2개의 결합부(13)가 상기 연결관(10)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반면에, 좌우측의 2개의 결합부(13)는 상기 연결관(10)의 중심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결합부(13) 모두 상기 연결관(10)의 중심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2개의 결합부(13)가 상기 연결관(10)의 중심방향과 경사를 이루되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3)는 상기 배수관(30)의 삽입과 삽입 이후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30)의 삽입방향에 맞추어 사선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로 돌아가 상기 연결관(10)의 다른 구성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절단가이드홈(137)은 상기 결합부(13)의 단부 경계에서 일정부분 후퇴한 위치에 상기 결합부(13)의 단부 경계와 평행하도록 형성되는 긴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시공상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13)의 상하면 상에 대칭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된 결합부(1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가이드홈(137)은 다시 제1절단가이드홈(137a)과 제2절단가이드홈(13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단가이드홈(137a)은 상기 제1결합부(133)의 외면상에 형성되어 제1결합부(133)의 단부 경계에 나란한 방향의 긴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단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결합부(133)의 단부 경계로부터 배수관(30)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만큼 후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단가이드홈(137b)은 상기 제2결합부(135)의 외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33)와 상기 제2결합부(135)의 경계에 나란한 방향의 긴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단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결합부(135)의 단부 경계로부터 배수관(30)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위치만큼 후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139)은 상기 결합부(13)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30)과 결합부(13)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수단(139)은 하나의 긴 홈의 형태로 형성 수도 있고, 짧은 두 홈이 연속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수단(139)은 다시 제1결합홈(139a)과 제2결합홈(13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139a)은 상기 몸통부(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13) 상에 상기 결합부(13)의 내부로 함입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결합홈(139a)은 상기 몸통부(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배수관(30)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홈(139a)은 상기 결합부(13)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139b)은 상기 몸통부(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부(13) 상에 상기 결합부(13)의 내부로 함입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홈(139b)은 상기 몸통부(11)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며 삽입되는 배수관(30)의 결합을 견고히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결합홈(139b)은 상기 결합부(13)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13) 중 제1결합부(133) 또는 제2결합부(135)가 선택 및 절단되어 배수관(30)이 삽입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조립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조립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조립도이다.
상기 배수관(30)은 상기 연결관(10)에 삽입되는 각도와 크기에 따라 삽입 단면적이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배수관(30)은 제1결합부(133)와 제2결합부(135) 중에서 삽입 각도 또는 크기에 맞는 결합부(13)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배수관(30)의 삽입단면적이 넓어 상기 제1결합부(133)에 적합한 경우, 후술하는 제1절단가이드홈(137a)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관(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3)는 제1절단가이드 홈을 따라 현장에서 절단되어 상기 배수관(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배수관(30)의 삽입단면적이 작아 상기 제2결합부(135)에 적합한 경우, 후술하는 제2절단가이드홈(137b)을 기준으로 상기 연결관(1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결합부(13)는 제2절단가이드 홈을 따라 현장에서 절단되어 상기 배수관(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0)이 상기 연결관(10)에 경사진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삽입단면적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연결관(10)의 중심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결합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수관(30)의 폭에 따른 제1결합부(133) 및 제2결합부(135)의 선택 및 절단은 위와 같다.
이처럼, 상기 배수관(30)은 현장의 상황 및 시공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연결관(10)에 다양한 크기와 각도로 삽입이 가능하며, 상기 결합부(13)상에 형성된 절단가이드홈(137)을 통해 불필요한 결합부(13)를 현장에서 용이하게 절단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 및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30)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관(30)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C-C'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30)은 몸통부(31), 강수유입부(33), 체결수단(35), 지지부(37), 필터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31)는 상기 배수관(30)을 이루는 몸체로 양단이 열려 있는 납작한 타원형상의 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고,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배수관(30) 일측에서 유입된 물을 타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다.
상기 강수유입부(33)는 상기 몸통부(31)상에 얇고 긴 홈 또는 슬릿의 형태로 몸통부(31) 내부 공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30) 외부의 강수를 몸통부(31)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71) 사이에 슬릿의 형태로 복수로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71) 사이로 고이는 강수를 상기 몸통부(31) 내부로 보다 효율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5)은 상기 몸통부(31)상에 요철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10)의 결합부(13)와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관(30)의 외주면 전체를 둘러싸는 요철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지지프레임(371)의 역할을 겸할 수 있고, 상기 배수관(30)의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시공자는 상기 복수의 체결수단(35)을 통하여 주변의 환경이나 배수유로에 알맞는 배수관(30)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부(37)는 상기 몸통부(31) 외부면의 일부가 몸통부(31) 내측으로 함입되거나 돌출되어 몸통부(31) 내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부(37)는 복수로 형성 가능하며, 상기 배수관(30)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몸통부(31)의 상하면상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7)를 통해 상기 배수관(30)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배수경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상기 연결관(10)과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배수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7)는 지지프레임(371)과 지지대(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371)은 상기 배수관(30)의 삽입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몸통부(31)의 둘레를 감싸는 띠 모양의 요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371)은 상기 배수관(30)의 외부면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371)은 상기 체결수단(35)과 별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지지프레임(371)은 상기 몸통부(31)를 둘러싸는 요철의 형상을 통하여 체결수단(35)의 기능을 겸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373)는 상기 몸통부(31)의 외주면의 일부가 상하면을 대칭으로 일정부분 내부로 함입되어 상기 배수관의 몸통부 내부공간를 지지하는 작은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통부의 상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대(373)은 상기 몸통부(31)의 외주면상에 상기 배수관(30)의 삽입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9)는 상기 배수관(30)의 외부를 둘러싸는 상하면이 열린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9)는 상기 배수관(30)의 외부를 감싸고 강수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킴으로써 상기 강수유입구가 이물질로 인하여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부(39)는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 1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은 강수에 의한 범람이 잦은 지역에 일정 깊이 이상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해당 지역이 흡수 또는 배수할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는 눈이나 비가 내렸을 때에 이로 인한 강수를 상기 배수관(30)의 강수유입부(33)로 흡수하여 범람의 위험이 없는 지역으로 우회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 1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을 그림과 같이 그물망의 형태로 배수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범람지역에 넘치는 강수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배수가 원활한 지역에 집중시킴으로써, 특정 지역의 범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8의 형태는 배수로 구성의 일 예이며, 상기 연결관(10)에 다양한 각도로 탈부착할 수 있는 배수관(30)의 특성상 상기 배수관(30) 및 연결관(10)의 구성을 조합하여 일자형, 격자형, 방사형 등 지형이나 강수 상황에 따라 상기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1)의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0: 연결관
11: 몸통부
111: 지지부
13: 결합부
131: 덮개부
133: 제1결합부
135: 제2결합부
137: 절단가이드홈
139: 체결수단
30: 배수관
31: 몸통부
33: 강수유입부
35: 체결수단
37: 지지부
39: 필터부

Claims (19)

  1.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배수관과,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받은 물을 여러 방향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연결관에 다양한 방향으로 탈부착 가능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배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였다가 여러 방향으로 유출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에서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연결관 내부로 들어온 물이 상기 연결관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의 단부면을 감싸 폐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현장 상황에 따라 상기 덮개부를 제거해 가며 상기 연결관에 상기 배수관을 연결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이루는 일부가 상기 몸통부의 외측방향으로 더욱 돌출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제2결합부보다 큰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는
    상기 몸통부의 중심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수관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시공현장에서 시공자가 상기 덮개부의 절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가이드홈은 제1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1절단가이드홈과, 제2결합부의 외면상에 형성되는 제2절단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수관과의 결합시 결합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결합홈과, 상기 몸통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과 경사를 이루는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홈과 제2결합홈은 상기 결합부의 상하면을 대칭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일정 위치마다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배수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내부에 물을 통과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가진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상에 관통 형성되어 강수를 몸통부 내부에 유입시킬 수 있는 강수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몸통부상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과의 결합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배수관의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통부의 둘레를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몸통부 내부에 형성되어 몸통부 상하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배수관 외부를 감싸 강수유입구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부직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KR1020180114049A 2018-09-21 2018-09-21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KR102196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49A KR102196485B1 (ko) 2018-09-21 2018-09-21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049A KR102196485B1 (ko) 2018-09-21 2018-09-21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50A KR20200034350A (ko) 2020-03-31
KR102196485B1 true KR102196485B1 (ko) 2020-12-30

Family

ID=7000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049A KR102196485B1 (ko) 2018-09-21 2018-09-21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4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717B2 (ja) * 1995-07-06 2001-09-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及び励磁コイル
KR100905661B1 (ko) * 2008-08-06 2009-06-30 엄기형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JP2010101051A (ja) * 2008-10-23 2010-05-06 Asahi Kasei Homes Co 長さ調整用連結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0364B1 (ko) * 2009-09-23 2011-12-30 시지이엔씨주식회사 양압력 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영구배수공법
JP3207717U (ja) * 2016-05-31 2016-12-01 フォンキァンシィラウ・ファウンデーション,リミテッド 自吸式排水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7717B2 (ja) * 1995-07-06 2001-09-10 京セラミタ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及び励磁コイル
KR100905661B1 (ko) * 2008-08-06 2009-06-30 엄기형 배수처리용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시스템
JP2010101051A (ja) * 2008-10-23 2010-05-06 Asahi Kasei Homes Co 長さ調整用連結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4350A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157B1 (ko) 배수형 브레이싱 및 보강수로가 설치된 터널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20190053753A (ko) 조립식 빗물침투 배수측구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196485B1 (ko) 조립식 배수관 시스템
JP5552432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20110050577A (ko) 연약지반용 8자형 수평 드레인보드
KR101009949B1 (ko) 이탈방지 및 안정성과 조립성을 향상한 맨홀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924402B1 (ko) 유공관을 구비하는 배수 시스템 및 그의 배수 방법
JP3943114B2 (ja) 水路の敷設工法
KR102430713B1 (ko) 옹벽 배수 시스템
JP3871397B2 (ja) 雨水マスシステム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JP2011032703A (ja) 雨水地中浸透施設
KR102096852B1 (ko) 지하 배수 시스템
WO2018178730A2 (en) System for efficient collection and drainage of groundwater
KR200314875Y1 (ko) 배수처리 구조물용 커넥터
KR102574196B1 (ko)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539266B1 (ko) 저류시스템
KR20190010513A (ko) 배수시스템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87866Y1 (ko) 투수파브릭 소재로 전체를 감싼 조립식 유공블록을 이용한빗물저장 및 이용장치의 월류수의 지하 침투장치
KR101313747B1 (ko) 플라스틱 토류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