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266B1 - 저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저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266B1
KR102539266B1 KR1020220126191A KR20220126191A KR102539266B1 KR 102539266 B1 KR102539266 B1 KR 102539266B1 KR 1020220126191 A KR1020220126191 A KR 1020220126191A KR 20220126191 A KR20220126191 A KR 20220126191A KR 102539266 B1 KR102539266 B1 KR 10253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eservoir
point pollution
pollution sourc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기
이정인
조규홍
박준하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뉴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뉴보텍
Priority to KR102022012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5Membranes impermeable
    • E02D2450/106Membranes im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경량이면서 조립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저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깊이로 굴착시켜 터파기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터파기 바닥에 바닥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시트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기초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바닥 상에 구성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되, 수집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비점오염원을 제공받아, 이를 저류, 저장시키도록 구성되는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에 저류, 저장되는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킴과 함께 저류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 기능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류시스템{Undercurrent system}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고, 경량이면서 조립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저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 상승에 따라 호우 시에 빗물 등의 비점오염원이 지하로 침수되지 않고, 하수도나 하천 등으로 일시에 유입되는 현상이 우기 시에 비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최근 도시발달에 따라 건축물 등 각종 구조물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 주차장 시설 등이 급격히 증가하여 빗물이 우수관로를 통해 하천으로 직접 유출되어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빗물 등의 비점오염원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천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의 유입 허용량이 초과하게 되면, 도로의 침수나, 가옥 및 건물의 침수로 이어지는 홍수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우수의 하천 유입량이 적어지면 하천의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점과 함께, 지하수 역시 고갈되는 문제점이 있어, 빗물 등의 비점오염원을 지하에 임시로 저장하여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저류조가 개발되어 왔다.
초기의 저류조는 콘크리트 프리캐스트를 이용한 저류시스템을 채택하였으나, 고중량에 의해 조립성이 저하되고, 공사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경량의 저류판을 이용한 저류부를 포함하는 저류시스템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경량의 저류판은 비대칭으로 형성됨에 따라 정확한 방향으로 조립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저류판에 의해 비점오염원의 흐름이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2050045호(2019.11.28.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류부에 대한 조립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저류시스템의 조립에 의한 불량을 원천 방지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저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깊이로 굴착시켜 터파기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터파기 바닥에 바닥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시트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기초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바닥 상에 구성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되, 수집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비점오염원을 제공받아, 이를 저류, 저장시키도록 구성되는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에 저류, 저장되는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킴과 함께 저류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 기능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닥시트는, 터파기 바닥에 잡석 및 버림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짐하고; 상기 다짐된 바닥에 보호시트 및 차수시트를 포설시키며; 상기 보호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이고, 중량(g/㎡)은 400이상이며, 투수계수(㎝/sec)는 1×10-1이상이고, 인장강도(N/5㎝)는 800이상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집수부는, 내측에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집된 비점오염원을 저류부 측으로 진출시키도록 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수집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수집공간을 양분시키도록 하는 분리격벽과; 상기 분리격벽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수집공간으로 수집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정화수단; 및 상기 집수구의 상단에 구성되어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에서 1차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그레이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류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방에 다수가 적층되게 구성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최하방에 구성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과, 경사판, 및 하판 사이에 구성되어, 각 구성요소들이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지지함과 함께 고정시키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판은, 평탄에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격자형 및 방사형을 이루는 다수의 보강빔 및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일측으로 경사지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과, 모서리 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 하 각각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태의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삼각판과, 상기 삼각판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삽입부에 삽입되는 웨이브형삽입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류부에는, 저류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저류부의 외곽 테두리에 고정시켜 마감처리하는 측면마감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류부에 대한 조립의 간편성과 편의성을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저류시스템의 조립에 의한 불량을 원천 방지하고, 시공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평면도.
도 3은 도 2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집수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개략적인 조립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상판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경사판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연결부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사판과 연결부재의 조립상태를 보인 일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의 하판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례를 보인 저류부의 개략적인 조립도.
도 12는 도 11의 상판 저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경사판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맨홀의 분리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맨홀에 결합되는 이경부싱의 사시도.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맨홀과 연결관 및 상판 간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도11의 저류부의 매설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를 보인 저류부의 저류블록 분해 사시도.
도 19a 내지 19i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부시스템의 시공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저류시스템(1)은, 지하에 매설하고, 그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여,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2)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 등의 비점오염원을 저장시키게 된다.
저류시스템(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0)와, 저류부(20), 및 배수부(30)를 포함한다.
집수부(10)는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되, 이를 정화시킴과 함께 저류부(20)로 유입시키도록 한다.
집수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구(12)와, 분리격벽(14)과, 정화수단(16), 및 그레이팅(18)을 포함한다.
집수구(12)는 저류부(20)의 외주연에 구성되되, 비점오염원의 1차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한다.
상기 집수구(12)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측에 비점오염원의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공간의 수집공간(122)이 형성되며, 일단 즉, 저류부(20)의 상단부에 비점오염원이 진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구(12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집수구(12)의 상단에는 그레이팅(18)이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집수구(12)의 상단 내측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의해 그레이팅(18)이 안착, 고정되도록 한다.
분리격벽(14)은 집수구(12)의 수집공간(122)을 양분시키도록 구성되어, 일단을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이 정화수단(16)을 거쳐 타단을 통해 저류부(20)로 배수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분리격벽(14)은 상단에서 하방으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하여 그레이팅(18)을 통과한 비점오염원이 일단으로 집수되도록 유도하는 경사판(14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142)의 끝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형성되되, 끝단이 집수구(12)의 내측면에 위치되지 않고 일정높이 이격된 유입공(14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격벽(14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분리격벽(14)은 그레이팅(18)을 통과한 비점오염원이 경사판(142)을 통해 일단으로 수집됨과 함께 격벽(144)에 의해 분리된 일단으로 집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격벽(144)의 하방에 형성된 유입공(146)을 통해 수집된 비점오염원이 타단으로 재상승됨에 따라 집수구(12)의 배수구(124)를 통해 저류부(20)로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다.
정화수단(16)은 집수구(12)의 일단 즉, 분리격벽(14)에 의해 분리된 일단에 형성되어, 집수구(12)의 수집공간(122)으로 집수되는 비점오염원을 1차 정화시켜, 집수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저류과정 중 막힘되는 등의 오류가 발생됨을 저지 또는 방지하도록 한다.
정화수단(16)은 집수구(12)로 비점오염원의 집수가 이루어지는 일단에 구성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정화수단(16)은 분리격벽(14)에 의해 분리되되, 저류부(20)로 배수되는 측에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이 저류부(20)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켜 제공할 수 있는 위치이면 어느 곳이든 설치 가능하다.
정화수단(16)은 1차 정화부재(162) 및 2차 정화부재(164)를 포함한다.
1차 정화부재(162)는 자갈로 이루어져,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1차 여과시키도록 한다.
2차 정화부재(162)는 1차 정화부재(162)의 하방에 구성되어, 1차 여과된 비점오염원을 2차 정화시키도록 함으로써,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이 제거된 비점오염원이 저류부(20)로 유입되도록 유도하여 이물질에 의해 저류과정에서 오류가 발생됨을 저지 또는 방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 2차 정화부재(164)는 자갈보다 적은 직경을 가진 여과부재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2차 정화부재(164)는 작은 자갈 또는 모래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레이팅(18)은 집수구(12)의 상단에 구성되어, 비점오염원이 집수구(12)로 유입될 때, 큰 덩어리 형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함과 함께, 통행하는 불특정인이 빠지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저류부(20)는 집수구(10)를 통해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저류시키도록 한다.
저류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22)과, 경사판(24)과, 하판(26), 및 연결부재(28)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저류부(20)의 상판(22)과 경사판(24)과 하판(26), 및 연결부재(28)는 GMT 소재로 구성된다.
상기 GMT 소재는 Glass-fiber Matreinforced Thermoplastic의 약자로, 이는 열가소성수지의 일종인 PP(Poly Propylene)과 유리섬유를 적층시킨 복합소재이다. 즉, GMT는 부직포 형태의 유리섬유에 PP수지를 함침시켜 제조한 경량이면서 고강도 복합수지이다. 예컨대, 유리섬유와 PP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복합소재로서, PP, 유리섬유, PP, 유리섬유, PP와 같이, 3개의 PP 사이에 2개의 유리섬유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5중 복합소재이다.
상판(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부의 최상단에 구성되는 평판의 마감재이며, 비점오염원 예컨대, 빗물을 투과시키도록 평탄에 다수의 투과공(2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판(22)은 하부에 위치하는 경사판(24)과 대응되게 맞닿도록 경사판(24)과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태를 가진다.
상기 상판(22)의 상면은 투과공(222)만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하면은 격자형 및 방사형을 이루는 다수의 보강빔과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빔은 원형의 중앙 보강빔(224),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보강빔(225), 코너에 형성되는 코너 보강빔(226), 수직형 및 방사형의 내부 보강빔(227)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강리브는 테두리 보강리브(228), 내부 보강리브(22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판(22)은 연결부재(28)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서리마다 연결부재(28)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여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는 하기에 설명되는 경산판(24)의 기둥부에 형성되는 삽입부와 동일 형상 및 치수를 가지게 된다.
경사판(24)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이 경사를 가지는 평면의 이동판(242), 상기 이동판(242)에 균일 간격마다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243), 상기 이동판(242)의 모서리 측에서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삼각기둥 형태의 기둥부(244)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244)는 내부가 상, 하부 동일한 깊이를 가지도록 양분되게 나눠지고, 그 중간에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어, 하기에 설명될 연결부재(28)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인 삽입부(246)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242)은 하면에 격자 형태의 보강리브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판(242)의 일측은 일측의 양 기둥부(244) 상단에 형성되며, 이동판(242)의 타측은 타측의 양 기둥부(244) 하단에 형성됨으로써, 이동판(242)의 경사는 기둥부(244)의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와 기둥부(244) 사이의 간격에 해당하는 밑변 길이를 가지게 된다.
연결부재(2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동일한 형상의 삼각판(282)으로 구성되며, 상기 삼각판(282)이 서로 평행하게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도록 상기 삼각판(282) 사이에 웨이브형지지대(284)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웨이브형지지대(284)는 삼각판(282) 상에 수직되게 세워진 띠이며, 상기 띠의 형상이 웨이브를 가지도록 굴곡되어 있다.
상기 웨이브형지지대(284)는 일 끝단의 수직면에 돌기(285)를 형성하고, 타 끝단에 홈(286)이 서로 끼워맞춤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돌기(285)와 홈(286)은 서로 대응되는 치수와 위치를 가지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삼각판(282) 상면과 하부 삼각판(282) 하면에는 웨이브형삼각대(283)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경사판(24)의 기둥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부(246)에 끼워맞춤되도록 그에 대응되는 형상 및 치수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부 경사판과 하부 경사판 각각의 삽입부(246)는 그 형태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응하여 끼워맞춤되는 웨이브형삽입대(283) 역시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하판(2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부(20)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평판의 마감재이며, 상판(10)과 동일하게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판(24)과 대응되게 맞닿도록 경사판(24)과 동일한 형상의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태를 가지며, 연결부재(28)와 연결되도록 상기 하판(26)은 그 중앙이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태로 통공되어 있다. 상기 통공은 가로 및 세로의 길이가 6 ~ 7㎝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판(26)의 상면은 상판(22)의 하면과 동일하게 격자형 및 방사형을 이루는 다수의 보강빔과 보강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리브의 두께는 4.5㎜, 리브의 높이는 1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판(26)은 연결부재(28)의 상부(웨이브형삽입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모서리마다 연결부재(26)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여 끼워맞춤될 수 있는 삽입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부의 연결부재(28) 사이에 경사판(24)이 연결되도록 체결되는 바, 상부 연결부재(28)의 웨이브형삽입대(283)를 경사판(24) 기둥부(244)의 상측 삽입부(246)에 삽입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부 연결부재(28)의 웨이형삽입대(283)를 경사판(24) 기둥부(244)의 하측 삽입부(246)에 삽입하게 된다.
따라서, 상, 하 웨이브형삽입대(283)의 양 측단 수직면과 기둥부(244)의 측면이 서로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맞추어진다.
또한, 일측 연결부재(28)의 돌기(285)가 타측 연결부재(28)의 홈(28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웨이브형지지대(284)의 일측면은 서로 수평된 위치에서 좌우로 맞닿게 되고, 그 타측면은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맞추어진다.
한편, 저류부(2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부(10) 외에 비점오염원, 예컨대, 빗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맨홀(29)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저류부(20)는 상판(22)과, 경사판(24)과, 하판(26), 및 연결부재(28)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저류블록이 종과 횡으로 연결됨에 따라 저류부(20)를 형성하고, 다수의 저류블록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류블록에 맨홀(29)을 구성함으로써, 폭우와 같은 긴박한 상황일 경우 신속한 저류작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맨홀(29)이 설치되는 저류블록의 상판(22a)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29)이 삽입되는 맨홀설치구멍(221)이 형성된다. 또한, 맨홀(29)이 설치되는 저류블록의 상판(22a) 하방에 구성된 경사판(24a)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설치구멍(221)과 동일한 위치에 맨홀설치구멍(241)이 형성된다.
상기 맨홀(29)은 저류블록과 지상을 서로 연결하여 작업자를 출입시킬 수 있는 통로의 역할과, 맨홀(29)의 내부에 탈부착형 거름망(292)을 배치하여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리수거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비점오염원을 저류부(20) 즉, 저류블록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역할과,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창으로서의 역할과, 저류부(20)의 내부 상측 공간의 청소를 위한 역할, 및 맨홀(29)끼리 서로 연결되어서 비점오염원의 분산처리 역할 등과 같이 다목적 및 다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맨홀(29)은 수직방향으로 단순히 연결 통로 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비점오염원의 유입의 급격한 증가시, 다른 맨홀 쪽으로 비점오염원을 분산시켜서 저류부(20)의 내부에 비점오염원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29)은 개방된 상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개방된 저부를 갖는 중공형 본체부(294)와, 상기 본체부(294)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본체부(294)의 벽에 관통되게 형성된 복수의 인입관(296)(297)과, 상기 본체부(294)의 하부 타측에서 본체부(294)의 벽에 관통되게 형성된 배출관(298)(299)과, 상기 본체부(294)의 바닥에 관통되게 연결된 수직관(295)을 포함한다.
상기 인입관(296)(297) 및 배출관(298)(299)은 본체부(294)의 평면을 기준으로 본체부(294)의 중심을 서로 교차하는 기준선을 따라서 본체부(294)의 외측 방향 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맨홀(29)의 수직관(295)은 상판(22a)의 맨홀설치구멍(221) 또는 경사판(24a)의 맨홀설치구멍(241)을 통해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수직관(295)은 맨홀설치구멍(241)에 끼워맞춤으로 삽입,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수직관(295)의 확고한 고정을 위해 접착제, 실링부재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기밀성을 가지도록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맨홀(29)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294)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맨홀뚜껑(291)을 포함한다. 여기서, 맨홀뚜껑(291)은 본체부(294)로 비점오염원의 진입을 단속하도록 한다. 즉, 상기 맨홀뚜껑(291)은 본체부(294)의 상단을 폐쇄시켜 평상시 비점오염원이 진입됨을 차단시켜 저류부(20)의 일측에 구성된 집수부(10)로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본체부(294)의 상단을 개방시켜 폭우와 같은 급격히 비점오염원이 증가되는 긴박한 상황일 경우 집수부(10)와 함께 비점오염원의 진입을 유도시켜 저류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맨홀(29)은 본체부(294)의 벽 상부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본체부(294)의 중심쪽으로 돌출된 복수의 걸림턱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턱에 맨홀뚜껑(291)이 안착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맨홀뚜껑(291)의 일단에 힌지를 구성하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맨홀뚜껑(291)을 회동시켜 본체부(294)의 상단이 개폐되도록 한다.
이에, 작업자는 맨홀뚜껑(291)을 본체부(294)로부터 제거한 후, 거름망(292)을 들어내서, 거름망(292)에 걸려 있는 이물질을 손쉽게 제거하는 이물질 수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름망(292)은 본체부(294)의 걸림턱에 안착되는 링형상의 상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의 저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투수구멍을 갖는 용기 형상의 하부프레임, 및 상부프레임의 내주면의 일측 및 타측에서 힌지 결합된 한 쌍의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상부프레임을 접어서 걸림부를 만들고, 상기 걸림부에 하부프레임의 테두리의 구멍을 걸어 연결하는 방식의 판금 가공에 의해 서로 연결되거나, 또는 벤딩 및 압착 가공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거름망(292)은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서 부식 방지 성능 및 내구성이 뛰어난 소재로 제작되어 있다. 또한, 하부프레임은 이물질을 걸러내는 대신 비점오염원을 통과시키도록 메쉬망 또는 다공판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름망(292)에는 집수부(10)의 정화수단(16)을 구성하는 1차 및 2차정화수단(162)(164)을 동일하게 구성함에 따라 비점오염원에 대한 이물질 제거 및 정화작용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맨홀(29)은 인입관(296)(297) 및 배출관(298)을 저류블록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시키고, 상기 맨홀(29)을 저류블록의 상면에 지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직관(295)의 외주면에 대하여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맨홀(29)의 바닥에서 돌출된 다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맨홀(29)의 바닥에는 경사 구배(Q)가 형성되어서,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배치된다.
상기 경사 구배(Q)로 인하여 인입관(296)(297)의 비점오염원이 더욱 원활하게 배출관(298) 또는 수직관(295) 쪽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맨홀(29)은 관막음 캡(293)을 포함한다. 상기 관막음 캡(293)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이 연결관, 유출관 및 월류유출관 중 어느 하나에 관통되게 연결되지 않고,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에 대하여 막음 처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맨홀(29)의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에는 관막음 캡(293)이 삽입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관막음 캡(293)은 접착제를 통해서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의 내경에 삽입 및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의 내경은 미리 정한 사이를 갖는다. 이때,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에 배관하려는 연결관, 유출관 및 월류유출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이즈에 대응하지 않고 작은 경우를 위하여 이경부싱(27)이 사용된다. 이경부싱(27)은 맨홀(29)의 본체부(294)와 동일한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이경부싱(27)은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의 내경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갖는 부싱몸체(272)와, 연결관, 유출관 및 월류유출관 중 어느 하나를 삽입시키기 위해 부싱몸체(272)에 관통하게 형성된 체결구멍(274)을 포함한다.
즉, 연결관, 유출관 및 월류유출관은 인입관(296)(297) 또는 배출관(298)(299)에 배관되기 어려운 작은 사이즈의 외경을 가질 경우, 상기 이경부싱(27)의 체결구멍(274)에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맨홀(29)은 서로 비점오염원을 유입 또는 유출받을 수 있도록 연결관을 통해 관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관의 일측 끝단은 일측 맨홀(29)의 배출관(298)에 배관되고, 연결관의 타측 끝단은 일측 맨홀(29)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타측 맨홀(29)의 인입관(296)에 배관될 수 있다. 맨홀(29)은 2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각 맨홀(29) 당 4개의 연결지점에 해당하는 인입관(296) 및 배출관(298)을 구비함에 따라 복수로 배치 및 상호 연결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비점오염원의 분산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비점오염원의 분산처리란 비점오염원이 맨홀(29)을 통해서 분산되어 저류부(20)의 내부로 효율적으로 유입되게 하거나, 저류부(20)의 저수 용량 이상의 비점오염원이 저류부(20)로 유입되지 않고 하수관으로 유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맨홀(29) 중 어느 하나에는 유출관이 배관되어 있을 수 있고, 맨홀(29) 중 다른 하나에는 월류유출관이 배관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저류부(20)의 다른 일례를 살펴보면, 상판(22)과, 경사판(24)과, 하판(26)과, 연결부재(28), 및 측면마감패널(25)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판(24)에는 외주 일단에 일정높이 돌출되는 안착돌기(248)가 형성되고, 이와 대칭되는 타단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안착홈(249)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돌기(248)는 경사판(24)의 외주측면에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측면마감패널(25)의 평면에 삽입이 이루어져 경사판(24)의 측면에 측면마감패널(25)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착홈(249)은 상기 안착돌기(248)와 대칭되는 외주측면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측면마감패널(25)의 평면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됨에 따라 경사판(24)의 측면에 측면마감패널(25)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248)와 안착홈(249)은 상호 교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다수의 저류블록들을 조립시켜 저류부(20)를 형성하기 위해 경사판(24)의 측면으로 다른 경사판(24)을 위치시킬 때, 안착돌기(248)와 안착홈(249)의 교합에 의해 저류블록들에 대한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한다.
상기 측면마감패널(25)은 상판(22)과 경사판(24)과 하판(26) 및 연결부재(28)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저류블록들이 종과 횡으로 구성됨에 따라 저류부(20)를 형성하고, 상기 저류부(20)의 평면 상을 기준으로 최 외주면에 조립으로써, 저류부(20)에 대한 보강력을 강화시키도록 한다.
상기 측면마감패널(25)은 외부에서 비점오염원 등의 수분이 침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투수공(2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마감패널(25)에는 내측면에 일정높이 돌출되어, 최외곽에 구성된 경사판(24)의 안착홈(249)에 삽입되는 조립돌기(254)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254)는 측면마감패널(25)의 측면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경사판(24)의 안착홈(249)에 교합됨으로써, 최외곽에 위치한 저류블록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조립돌기(254)가 형성된 측면마감패널(25)과 대칭되게 위치되는 측면마감패널(25)에는 경사판(24)의 안착돌기(248)가 삽입됨에 따라 최외곽에 위치되는 저류블록에 측면마감패널(25)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일정깊이의 조립홈(256)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256)은 측면마감패널(25)의 측면에서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조립돌기(254)가 형성된 측면마감패널(25)과 대칭되게 위치되는 측면마감패널(25)이 저류블록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배수부(30)는 저류부(20)를 통해 유입된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한다.
배수부(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구(32), 및 배수펌프(34)를 포함한다.
U형구(32)는 저류부(20)의 하방에 일정깊이로 형성되어, 상기 저류부(20)로 유입된 비점오염원이 수집되도록 유도한다.
배수펌프(34)는 U형구(32)에 수집된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킴에 따라 저류시스템을 통한 비점오염원의 저류기능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도 19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은 터파기 단계(S1)와, 바닥시트 형성단계(S2)와, 기초바닥 형성단계(S3)와, U형구 형성단계(S4)와, 집수부 형성단계(S5)와, 배수부 형성단계(S6)와, 저류부 형성단계(S7)와, 저류부 측면 마감단계(S8), 및 되메우기 단계(S9)로 이루어진다.
터파기 단계(S1)는 도 19a와 같이, 설치될 레인스테이션 즉, 저류부의 크기를 고려하여 여유분을 두고 굴착하여 터파기바닥(101)을 형성한다.
또한, 굴착된 바닥은 다짐기(tamper, 램머 등)를 이용하여 다짐하고, 굴착 깊이 예컨대, 1.5m 이상일 경우 흙막이를 시공하거나, 토질조건, 지하수위, 굴착깊이, 주변지역의 영향을 고려하여 오픈컷, 흙막이 등의 적절한 공법을 적용한다.
바닥시트 형성단계(S2)는 도 19b와 같이, 터파기 단계(S1)를 통해 형성된 터파기 바닥(101)에 바닥시트(102)를 형성한다.
이는, 터파기 바닥(101)에 잡석다짐과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시켜 바닥의 다짐을 완료한다.
그리고, 기초용 거푸집, 대략 60cm 이상의 높이를 가지도록 거푸집을 설치한 후 상부 및 측면에 보호시트(1022)를 부착한다. 이 경우, 보호시트(1022)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 또는 동등이상의 제품을 사용한다. 예컨대, 보호시트(1022)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이고, 중량(g/㎡)은 400이상이며, 투수계수(㎝/sec)는 1×10-1이상이고, 인장강도(N/5㎝)는 800이상 인 것을 사용한다.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보호시트(1022)를 대체하도록 하는 방수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수시트는 합성고무시트계의 재질이고, 1mm 두께 이상이며, 인장강도(N/㎟)rk 10이상이고, 신장율(%)가 450이상이며, 인열강도(N/mm)rk 40이상 인 것을 사용한다.
이어서, 보호시트(1022) 상에 차수시트(1024)를 형성하여 바닥시트(102)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 경우, 상기 차수시트(1024)는 PP, PE의 재질에 5mm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층과, GMT(Glass Mat-reinforced Thermoplastics) 재질에 3mm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2층이 적층된 시트이다.
기초바닥 형성단계(S3)는 도 19c와 같이, 바닥시트 형성단계(S2)를 통해 바닥시트의 형성이 완료되면, 기 설치된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정두께를 가지는 기초바닥(103)을 형성한다.
U형구 형성단계(S4)는 도 19d와 같이, 기초바닥 형성단계(S3)를 통해 기초바닥(103)이 형성되면, 상기 기초바닥에 U형구(104)를 형성한다.
이 경우, U형구(104)는 도 2와 같이, 굴착된 바닥에서 일정깊이와 폭을 굴착시켜 U형구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U형구(104)는 스테인리스 스틸의 앵글(1042)과 GMT판(1044)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형성한다.
즉, U형구(104)는 도 2와 같이, 터파기 바닥(101)에 일정깊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앵글(1042)과 GMT판(1044)으로 이루어진 블록을 기 형성된 기초바닥(103)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U형구(104)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사용목적과,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취사 선택한다.
집수부 형성단계(S5)는 도 19e와 같이, U형구 형성단계(S4)를 통해 U형구(104)의 형성이 완료되면, 일측에 집수부(10)를 형성한다.
상기 집수부(10)는 일명 '맨홀'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비점오염원을 수집하여, 이를 저류부(20)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배수부 형성단계(S6)는 도 19f와 같이, 집수부 형성단계(S5)를 통해 집수부(10)의 형성이 완료되면, 타측에 배수부(30)를 형성한다.
상기 배수부(30)는 일명 '점검 맨홀'이라고도 하는 것으로서, 저류판(20)에 유입된 비점오염원을 배수시킴과 함께, 저류판(20)을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저류부 형성단계(S7)는 배수부 형성단계(S6)를 통해 배수부(30)의 형성이 완료되면, 기초바닥(103) 상에 저류부(20)를 조립시켜, 레인스테이션인 저류부(20)를 형성한다.
즉, 기초바닥(103) 상에 하판(26)을 배열하고, 상기 하판(26)에 연결부재(28)의 연결을 완료한다.
이어서, 경사판(24)을 하판(26)에 연결된 연결부재(28)의 상방에 위치시킨 후, 상기 경사판(24)의 삽입부(246)에 연결부재(28)의 웨이브형삽입대(283)가 삽입되도록 하여 하판(26)의 상방에 경사판(24)이 조립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판(24)의 상단에 연결부재(28)를 연결시키고, 상술한 방식으로 연결부재(28)의 상방에 다른 하나의 경사판(24)을 조립함으로써, 다수의 경사판(24)이 적층되게 한다.
아울러, 최상단의 경사판(24)의 상방에 상판(22)을 연결시킴으로써, 저류부(20)의 저류블록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방식으로 조립된 저류블록을 종 및 횡방향에 위치시킴으로써, 일정면적을 가지는 저류부(2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8과 같이, 경사판(24)의 외주면에 상호 대칭되게 안착돌기(248)와 안착홈(248)이 형성됨에 따라 저류블록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조립할 때,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이웃하는 경사판(24)들 각각에 형성된 안착돌기(248)와 안착홈(248)이 상호 교합으로 조립이 이루어져 저류블록들의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적층되는 하판(26), 경사판(24), 및 상판(22)에는 확고한 고정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접착제 또는 열융착 등의 고정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조립된 저류블록들에 의해 형성된 저류부(20)의 최외곽에 측면마감패널(25)을 조립시킴으로써, 상기 측면마감패널(25)에 의해 저류부(20)의 고정력 향상과 함께 보강력을 증진시킨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측면마감패널(25)을 생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목적 또는 설치환경에 따라 취사선택할 수 있다.
저류부 측면 마감단계(S8)는 도 19g와 같이, 저류부 형성단계(S7)를 통해 저류부(20)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저류부(20)의 외곽 테두리에 GMT소재로 이루어진 측면마감재(106)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저류부(20)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한다.
즉, 저류부(20)의 외곽 테두리에 측면마감재(106)를 밀착시킨 후 열융착, 인두 또는 레진접합 등의 접합방식을 통해 저류부(20)에 측면마감재(106)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저류부(20)의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저류부(20)로 유입된 비점오염원이 외부로 배수됨을 방지함과 함께, 외부의 이물질 등이 임의로 저류부(20)의 내측으로 진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측면마감재(106)는 저류부(20)에 측면마감패널(25)을 구성할 경우 생략할 수도 있고, 또는 측면마감패널(25) 및 측면마감재(106)를 함께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는 측면마감패널(25)이나 측면마감재(106) 중 어느 하나만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측면마감재(106)는 제1재(106a) 및 제2재(106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재(106a)는 PP 또는 P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방수성능과 함께 인장성을 보강하도록 하고, 상기 제2재(106b)는 GMT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 보강을 강화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1재(106a)의 두께는 3 ~ 8mm,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이고, 제2재(106b)의 두꼐는 2 ~ 5mm, 바람직하게는 3mm 이상이다. 또한, 상기 제1재(106a)는 내측면에 구성되고, 제2재(106b)는 외측면에 구성된다.
되메우기 단계(S9)는 도 19i와 같이, 저류부 측면 마감단계(S8)를 통해 저류부(20)에 대한 밀폐가 완료되면, 굴토된 토양의 되메우기 작업을 저류시스템의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저류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저류시스템 10: 집수부
12: 집수구 122: 수집공간
124: 배수구 14: 분리격벽
142: 경사판 144: 격벽
146: 유입공 16: 정화수단
162: 1차 정화부재 164: 2차 정화부재
18: 그레이팅 20: 저류부
22, 22a: 상판 221: 맨홀설치구멍
222: 투과공 224: 원형보강빔
225: 테두리보강빔 226: 코너보강빔
227: 내부보강빔 228: 테두리보강리브
229: 내부보강리브 24: 경사판
241: 맨홀설치구멍 242: 이동판
243: 관통홀 244: 기둥부
246: 삽입부 248: 안착돌기
249: 안착홈 25: 측면마감패널
252: 투수공 254: 조립돌기
256: 조립홈 26: 하판
27: 이경부싱 272: 부싱몸체
274: 체결구멍 28: 연결부재
282: 삼각판 283: 웨이브형삽입대
284: 웨이브형지지대 285: 돌기
286: 홈 29: 맨홀
291: 맨홀뚜껑 292: 거름망
293: 관막음캡 294: 본체부
295: 수직관 296, 297: 인입관
298, 299: 배출관 30: 배수부
32: U형구 34: 배수펌프

Claims (6)

  1. 일정 깊이로 굴착시켜 터파기 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터파기 바닥에 바닥시트를 형성하며;
    상기 바닥시트에 콘크리트 타설을 통해 기초바닥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바닥 상에 구성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되, 수집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에서 비점오염원을 제공받아, 이를 저류, 저장시키도록 구성되는 저류부; 및
    상기 저류부에 저류, 저장되는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킴과 함께 저류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 기능을 포함하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부는,
    내측에 비점오염원을 수집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집된 비점오염원을 저류부 측으로 진출시키도록 하는 배수구가 형성되는 집수구와;
    상기 집수구의 수집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수집공간을 양분시키도록 하는 분리격벽과;
    상기 분리격벽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수집공간으로 수집되는 비점오염원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정화수단; 및
    상기 집수구의 상단에 구성되어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에서 1차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는 그레이팅;를 포함하며,
    상기 저류부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방에 다수가 적층되게 구성되어 저류공간을 형성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최하방에 구성되는 하판; 및
    상기 상판과, 경사판, 및 하판 사이에 구성되어, 각 구성요소들이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지지함과 함께 고정시키도록 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류부는 상판, 경사판, 하판 및 연결부재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는 저류블록들이 종과 횡으로 구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저류부 하방에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U형구; 및
    상기 U형구에 수집된 비점오염원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격벽은 상기 분리격벽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분리격벽의 일단으로 비점오염원을 수집시키는 경사판;
    상기 경사판 끝단에 형성된 격벽; 및
    상기 격벽의 하방에 형성되며 수집된 비점오염원이 통과하는 유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공을 통과한 비점오염원이 분리격벽의 타단으로 상승하여 상기 배수구를 통해 저류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시트는,
    터파기 바닥에 잡석 및 버림콘크리트로 바닥을 다짐하고;
    상기 다짐된 바닥에 보호시트 및 차수시트를 포설시키며;
    상기 보호시트는 폴리에스테르 장섬유 부직포이고, 중량(g/㎡)은 400이상이며, 투수계수(㎝/sec)는 1×10-1이상이고, 인장강도(N/5㎝)는 800이상 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평탄에 다수의 투과공이 형성되고, 하면에 격자형 및 방사형을 이루는 다수의 보강빔 및 보강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판은, 일측으로 경사지는 이동판과, 상기 이동판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과, 모서리 측에 테두리를 따라 상, 하 각각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삼각기둥 형태의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상판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삼각판과, 상기 삼각판에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삽입부에 삽입되는 웨이브형삽입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에는, 저류부의 형성이 완료되면 상기 저류부의 외곽 테두리에 고정시켜 마감처리하는 측면마감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시스템.
KR1020220126191A 2022-10-04 2022-10-04 저류시스템 KR10253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91A KR102539266B1 (ko) 2022-10-04 2022-10-04 저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91A KR102539266B1 (ko) 2022-10-04 2022-10-04 저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266B1 true KR102539266B1 (ko) 2023-06-02

Family

ID=8675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91A KR102539266B1 (ko) 2022-10-04 2022-10-04 저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2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34A (ko) * 2005-09-20 2007-03-23 한승희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248015B1 (ko) * 2012-04-02 2013-03-27 주식회사 뉴보텍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624280B1 (ko) * 2015-07-14 2016-05-25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KR20180043917A (ko) * 2016-10-21 2018-05-02 박지운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2050045B1 (ko) 2019-01-07 2019-11-28 주식회사 뉴보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834A (ko) * 2005-09-20 2007-03-23 한승희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248015B1 (ko) * 2012-04-02 2013-03-27 주식회사 뉴보텍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624280B1 (ko) * 2015-07-14 2016-05-25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KR20180043917A (ko) * 2016-10-21 2018-05-02 박지운 트렌치 pc 블록을 갖는 가로수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2050045B1 (ko) 2019-01-07 2019-11-28 주식회사 뉴보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생태환경 빗물집수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4326B2 (en) Curb-and-grate inlet filter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JP5791287B2 (ja) 雨水貯留施設
JP5117932B2 (ja) 地下貯溜浸透槽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5610632B2 (ja) 雨水貯留施設における点検口の構造
JP6854479B2 (ja) 地下構造物の液状化対策構造物
KR102539266B1 (ko) 저류시스템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2184981B1 (ko) 노면 배수 특성이 향상된 친환경 측구 구조물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CN210597544U (zh) 土壤及建筑垃圾浇筑自动喝水过滤式整体管道及其管井
KR102574196B1 (ko)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JP3546263B2 (ja) 地下貯水槽等に用いる積上げ部材
US20100296871A1 (en) Trench for storing and/or seeping/retaining surface water
KR100658971B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KR102430713B1 (ko) 옹벽 배수 시스템
KR100799733B1 (ko) 우수 저류 장치
KR20220122344A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20240106435A (ko) 저류시스템의 저류부
KR101524682B1 (ko) 탈부착형 거름망을 구비한 맨홀과 gmt 소재를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653722B1 (ko) 조립식 원심력 배수로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