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280B1 -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280B1
KR101624280B1 KR1020150099836A KR20150099836A KR101624280B1 KR 101624280 B1 KR101624280 B1 KR 101624280B1 KR 1020150099836 A KR1020150099836 A KR 1020150099836A KR 20150099836 A KR20150099836 A KR 20150099836A KR 101624280 B1 KR101624280 B1 KR 10162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installing
rainwater
mainte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봉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to KR1020150099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280B1/ko
Priority to JP2016136464A priority patent/JP6250108B2/ja
Priority to CN201610539523.2A priority patent/CN106351292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및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지하공간의 저면에 바닥층을 설치하는 바닥층 설치단계; 바닥층의 바닥부 상부에 래핑시트를 설치하는 1차 래핑시트 설치단계; 바닥부의 1차 래핑시트 상부에 유지관리통로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 유지관리통로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상기 유지관리통로와 연결되는 점검구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점검구 설치단계; 일측의 점검구 외측 상부에 상기 점검구와 연결되는 전처리조를 설치하는 전처리조 설치단계; 유지관리통로의 상부면 및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빗물저류조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단계; 빗물저류조 상부에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 설치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물저류조 설치방법{INSTALL METHOD OF RAINWATER STORAGE THANK}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및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빗물저류조의 하부로 위치된 바닥층에 통로블록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져 하나의 유지관리통로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의 불투수 지면은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을 유발시키는 가운데 하천의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불투수 지면이 넓게 형성된 지역의 하천은 비가 올 경우,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모여들기 때문에 범람이 발생하고, 비가오지 않을 경우, 토양에 함유되어 있는 물의 양이 적어 수량 부족 현상이 발생한다.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저류시설을 이용하여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제안되었고, 빗물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빗물저류시설은 강우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되도록 하여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갈수기나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저류조가 대형화되거나 장기 사용될 경우 저류조 내부에 협잡물이 쌓이게 되는 경우 실질적으로 청소 등 관리가 불가능하고, 지형변경 등으로 콘크리트 바닥층의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보수공사가 불가능하여 빗물저류조로서의 역할을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공보 10-1388870호(2014.04.17)
이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빗물저류조의 내부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유지관리통로를 설치하여 관리자 또는 청소 등의 작업자가 빗물저류조의 내부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게 함으로써 빗물저류조의 내부의 청소 등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유지관리통로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상기 유지관리통로와 연결되는 점검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상기 유지관리통로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바닥층의 바닥부에 래핑시트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층의 균열이 발생할 경우에도 빗물저류조의 바닥층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처리조를 상기 일측의 점검구와 연결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빗물저류조로 유입되는 빗물속에 포함된 이물질 등의 협잡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 설치방법에 있어서, 빗물저류조 설치방법에 있어서, 지하공간의 저면에 바닥층(10)을 설치하는 바닥층 설치단계(S10); 바닥층(10)의 바닥부 상부에 래핑시트(70)를 설치하는 1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20);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 중앙에 유지관리통로(20)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S30); 유지관리통로(2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상기 유지관리통로(20)와 연결되는점검구(30)(3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점검구 설치단계(S40); 일측의 점검구(30) 외측 상부에 상기 점검구(30)와 연결되는 전처리조(40)를 설치하는 전처리조 설치단계(S50); 유지관리통로(20)의 상부면 및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단계(S60); 빗물저류조(50) 상부에 커버플레이트(60)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 설치단계(S70);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 및 빗물저류조(50)의 측면에 래핑시트(70)를 설치하는 2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80);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S30)에서의 유지관리통로(20)는 통로블록(210)을 서로 맞대어 설치하되, 상기 통로블록(210)은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211)가 형성되고 측면에 통로부(212)가 형성되며 상부의 평면받침부(213)에는 상기 빗물저류조(50)의 빗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1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빗물저류조 설치단계(S60)에서 상기 유지관리통로(20)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는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설치하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전체 빗물저류조(50)의 상부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횡하중 등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래핑시트(70)가 설치되는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 흙(S)을 복토하는 흙 복토단계(S9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닥층(10)은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저면에 흙이나 잡석다짐을 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전처리조(40)는 우수기에 빗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유입관(P)이나 맨홀(M)과 연결되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바닥층에 래핑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래핑시트가 설치된 바닥부 상부에 유지관리통로가 설치됨으로써, 대형 저류조의 장기간 빗물을 저류하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바닥층에 적층된 협잡물질을 보더 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내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
또한,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양측에 점검구가 상기 유지관리통로와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져 있음으로써,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외부로부터 내부로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양측으로 설치된 점검구 중 유입측 즉, 빗물이 유입되는 일측으로 위치된 점검구에 전처리조가 연결되게 설치됨으로써, 유입되는 빗물속에 포함된 이물질 등의 협잡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양측으로 설치된 점검구 중 배출측 즉, 타측으로 위치된 점검구에 펌프와 배수관이 설치됨으로써, 빗물저류조에 저류된 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바닥층에 래핑시트가 덮혀지게 설치되어져 있음으로써, 빗물저류조의 바닥층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발명은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일정 두께를 갖는 슬라브 형태의 커버플레이트가 덮혀지도록 함으로써, 복토되는 흙의 하중이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는 가운데 수평방향으로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 설치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에 있어 바닥층에 유지관리통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에 있어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에 있어 유지관리통로와 빗물저류조만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에 있어 빗물저류조만을 도시한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종단면도.
도7은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에 있어 빗물저류조를 구비하는 기본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하여 확보된 미리 지하공간의 저면에 흙이나 잡석다짐을 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바닥층(10)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바닥층(10)의 바닥부 상부에 1차 래핑시트(70)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의 상부 중앙에 에 유지관리통로(20)가 설치되어 있어 관리자 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내부를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지관리통로(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육면체의 통로블록(210)을 맞대어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통로블록(21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211)가 형성되어지고, 육면체의 측면에는 각각 통로부(212)가 형성되어 상기 통로블록(210)을 길이방향으로 구비하였을 때 내부로 작업자가 이동하거나 빗물이 채워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통로블록(210)의 상부는 평면받침부(213)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가 안정되게 받쳐질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빗물저류조(50)의 내부에 있는 빗물이 하부로 배수되거나 하부에서 빗물저류조(50)로 유출입이 가능하게 한 배수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블록(210)은 가로, 세로, 높이가 1.0×1.0×1.2m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프리캐스팅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블록(210)은 콘크리트 이외에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크리트에 비해 내식성의 증가로 인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지관리통로(20)는 통로블록(210)이 맞대어져 설치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관리통로(2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각각 유지관리통로(20)에 연결되는 점검구(30)(30')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점검구(30)(30')의 내부에는 관리자 또는 작업자 등이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는 사다리(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일측의 점검구(30)에는 외측 상부로 전처리조(40)가 연결됨으로써, 점검구(30)를 통해 빗물저류조(50)로 유입되는 빗물속에 포함된 이물질 등의 협착물질이 제거되도록 하여 빗물저류조(50)의 바닥에 쌓이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처리조(40)는 내부에 침사조(410) 및 여과시설(420)이 구비되어 있어 유입되는 빗물속에 포함된 이물질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여과시설(420)은 스크린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조(40)는 유입관(P)이나 다목적맨홀(M)과 연결되어 우수기에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타측의 점검구(30')에는 빗물저류조(50)에 저류되어 있는 빗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펌프(32) 및 배수관(33)이 설치되어 필요한 곳으로 공급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빗물저류조(50)는 빗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하는 가운데 외부로부터의 횡하중 등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빗물저류조(50)는 기본유니트(510)가 커넥터(520)에 의해 좌,우로 결합되어짐으로써, 내부에 소정의 수직공간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기본유니트(510)와 거텍터(5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빗물저류조(50)의 상부는 거의 평평한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본유니트(510)는 6개의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2
형수직프레임(511a)이 6개의 커넥터(5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벌집모양을 갖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통로블록(210)의 평면받침부(213) 상부로 안착되는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3
형수직프레임(511a)과 커넥터(520)는 길이가 짧고, 바닥층(10)에 안착되는 다른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4
형수직프레임(511a)과 커넥터(520)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층(10)에 안착되는 다른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5
형수직프레임(511a)과 결합되는 커넥터(520)는 길이가 짧게 형성되도록 하여 빗물의 유입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동홀(H)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동홀(H)은 단순이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6
형수직프레임(511a)의 길이에 비해 커넥터(520)의 길이를 짧게 한 상태에서 상단이 일치되도록 할 수 있고, 길이를 짧게 하는 방법 이외에 하부가 개방된 별도의 커넥터 받침구(SG)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60)가 덮혀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커버플레이트(60)는 일정두께를 갖는 슬라브(slab)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 복토되는 흙(S)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 및 상기 빗물저류조(50)의 측면에는 2차 래핑시트(70)가 감싸여지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2차 래핑시트(70)가 설치되는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는 흙(S)이 복토되어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로 덮혀진 래핑시트(70) 표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흙(S)이 복토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래핑시트(70)는 강우시 주변지역의 침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지역과 환경에 따라서 저류된 빗물을 서서히 외부로 배출하게 하는 배출형시트(부직포 등)가 적용될 수 있고, 저류된 빗물을 오랫동안 저류조에 저류시키도록 하는 차수형시트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차수형 시트를 이용함으로써 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필요할 때 외부의 필요처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타측의 점검구(30')에 펌프(32) 및 배수관(33)을 구비하여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바닥층(1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는 래핑시트(70)는 차수형 시트를 사용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 및 빗물저류조(50)의 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지는 래핑시트(70)는 배출형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빗물저류조의 설치는 먼저, 바닥층 설치단계(S10)로 굴착작업을 통해 굴착된 지하공간의 저면에 바닥층(10)이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바닥층(10)은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저면에 흙이나 잡석다짐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 바닥층(10)이 설치된다.
이어 상기 바닥층(10)의 바닥부 상부에 래핑시트(70)를 설치하는 1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20),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 중앙에 유지관리통로(2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S30)}, 상기 유지관리통로(2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유지관리통로(20)와 연결되는 점검구(30)(3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점검구 설치단계(S40)}. 이때, 상기 점검구(30)(30')의 내부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는 사다리(31)가 구비되도록 하고, 타측의 점검구(31')에는 저류된 빗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32)와 배수관(33)이 설치되도록 한다.
다음, 전처리조 설치단계(S50)로 일측의 점검구(30) 외측 상부에 점검구(30)와 연결되는 전처리조(40)가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전처리조(40)의 내부에는 침사조(410) 또는 여과시설(420)이 구비되도록 하여 빗물에 함유되어 있는 협잡물이 걸러질 수 있게 되고, 상기 전처리조(40)는 우수기에 빗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유입관(P)이나 맨홀(M)과 연결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빗물저류조 설치단계(S60)로 유지관리통로(20)의 상부면 및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빗물저류조(50)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이때, 기본유니트(510)는 6개의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7
형수직프레임(511a)이 6개의 커넥터(5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벌집모양을 갖도록 한다.
다음, 커버플레이트 설치단계(S70)로 빗물저류조(50) 상부에 커버플레이트(60)를 설치되도록 한 후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 및 상기 빗물저류조(50)의 측면에 래핑시트(70)가 설치되도록 한다{2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80)}.
이어, 상기 래핑시트(70)가 설치되는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 흙(S)을 복토하는 흙 복토단계(S90)을 통해 빗물저류조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가
Figure 112015068057310-pat00008
형수직프레임(511a) 및 커넥터(520)에 의하여 좌우로 반복되게 결합되어 벌집모양을 갖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저류조(50)를 형성하는 기본유니트(510)의 수직프레임(511b)이 +자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자형태의 수직프레임(511b)에 커넥터(520)가 반복되게 결합되어짐으로써, 사각모양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S10:바닥층 설치단계 S20:1차 래핑시트 설치단계
S30: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 S40:점검구 설치단계
S50:전처리조 설치단계 S60:빗물저류조 설치단계
S70:커버플레이트 설치단계 S80:2차 래핑시트 설치단계
S90:흙 복토단계
10:바닥층 20:유지관리통로
30,30':점검구 40:전처리조
50:빗물저류조 60:커버플레이트
70:래핑시트 211:공간부
212:통로부 213:평면받침부
214:배수공 510:기본유니트
511a:
Figure 112015121184827-pat00017
형 수직프레임 520:커넥터

Claims (11)

  1. 빗물저류조 설치방법에 있어서,
    지하공간의 저면에 바닥층(10)을 설치하는 바닥층 설치단계(S10);
    바닥층(10)의 바닥부 상부에 래핑시트(70)를 설치하는 1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20);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 중앙에 유지관리통로(20)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S30);
    유지관리통로(20)의 길이방향 양측단부에 상기 유지관리통로(20)와 연결되는점검구(30)(3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점검구 설치단계(S40);
    일측의 점검구(30) 외측 상부에 상기 점검구(30)와 연결되는 전처리조(40)를 설치하는 전처리조 설치단계(S50);
    유지관리통로(20)의 상부면 및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를 수직으로 설치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단계(S60);
    빗물저류조(50) 상부에 커버플레이트(60)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 설치단계(S70);
    커버플레이트(60)의 상부 및 빗물저류조(50)의 측면에 래핑시트(70)를 설치하는 2차 래핑시트 설치단계(S80);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관리통로 설치단계(S30)에서의 유지관리통로(20)는 통로블록(210)을 서로 맞대어 설치하되, 상기 통로블록(210)은 육면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211)가 형성되고 측면에 통로부(212)가 형성되며 상부의 평면받침부(213)에는 상기 빗물저류조(50)의 빗물을 하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214)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빗물저류조 설치단계(S60)에서 상기 유지관리통로(20)의 상부면에 설치하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는 상기 바닥부 래핑시트(70) 상부면에 설치하는 빗물저류조(50)의 기본유니트(510)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전체 빗물저류조(50)의 상부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횡하중 등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래핑시트(70)가 설치되는 빗물저류조(50)의 상부에 흙(S)을 복토하는 흙 복토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층(10)은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의 저면에 흙이나 잡석다짐을 한 후 콘크리트(C)를 타설하는 것을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조(40)는 우수기에 빗물을 유입하기 위하여 유입관(P)이나 맨홀(M)과 연결되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99836A 2015-07-14 2015-07-14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KR101624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36A KR101624280B1 (ko) 2015-07-14 2015-07-14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JP2016136464A JP6250108B2 (ja) 2015-07-14 2016-07-09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CN201610539523.2A CN106351292B (zh) 2015-07-14 2016-07-11 雨水存储箱的安装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36A KR101624280B1 (ko) 2015-07-14 2015-07-14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280B1 true KR101624280B1 (ko) 2016-05-25

Family

ID=5611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36A KR101624280B1 (ko) 2015-07-14 2015-07-14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50108B2 (ko)
KR (1) KR101624280B1 (ko)
CN (1) CN106351292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66B1 (ko) * 2022-10-04 2023-06-02 주식회사 뉴보텍 저류시스템
KR102574196B1 (ko) * 2022-10-04 2023-09-08 주식회사 뉴보텍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70B1 (ko)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828A (ja) * 2000-09-12 2002-03-27 Genichiro Nakamura 貯水管およびそれを積層した地下貯水構造物
CN1419008A (zh) * 2002-12-30 2003-05-21 孙学年 多功能飞机跑道模块
JP4163088B2 (ja) * 2003-10-16 2008-10-0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雨水の貯水施設
JP3976760B2 (ja) * 2004-12-15 2007-09-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JP4299879B2 (ja) * 2005-06-08 2009-07-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雨水流出抑制排水路構造
JP5033406B2 (ja) * 2006-11-30 2012-09-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雨水流出抑制施設
KR100813995B1 (ko) * 2007-08-31 2008-03-14 (주)일산금속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JPWO2009128116A1 (ja) * 2008-04-15 2011-08-04 エバタ株式会社 雨水等処理装置
CN103570149B (zh) * 2012-08-06 2015-05-27 郭天鹏 从雨水径流中去除污染物的装置
CN104131593A (zh) * 2014-07-02 2014-11-05 苏州汇邦环保科技有限公司 雨水收集模块
KR102010038B1 (ko) * 2015-07-15 2019-10-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캡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870B1 (ko) * 2013-04-12 2014-04-23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433900B1 (ko) * 2013-04-30 2014-08-29 이상우 빗물 저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66B1 (ko) * 2022-10-04 2023-06-02 주식회사 뉴보텍 저류시스템
KR102574196B1 (ko) * 2022-10-04 2023-09-08 주식회사 뉴보텍 저류시스템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351292B (zh) 2019-01-01
JP6250108B2 (ja) 2017-12-20
JP2017020331A (ja) 2017-01-26
CN106351292A (zh)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74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US89858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JP5791287B2 (ja) 雨水貯留施設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KR101624280B1 (ko)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813995B1 (ko)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KR20150138771A (ko) 이중벽체형 저수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5610632B2 (ja) 雨水貯留施設における点検口の構造
KR101206266B1 (ko) 도로의 형태에 따라 최적의 차집효율을 분석하고 그에 맞는 배수구를 제공하도록 하는 도로의 수리실험장치
KR20150065477A (ko) 메쉬형 개구부가 형성된 산마루 측구 및 시공방법
JP5025364B2 (ja) 雨水貯留浸透施設用組立体、及び、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浸透施設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JP2006307494A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及びこれらの施設に使用する点検用充填体
KR101224380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100556645B1 (ko) 빗물 저수장치
KR101036279B1 (ko) 집배수시설용 침투식 비점오염 정화장치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102290646B1 (ko)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20190010513A (ko) 배수시스템
KR101568018B1 (ko) 터널형 빗물 저류침투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1176B1 (ko) 지중침투형 빗물받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