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870B1 -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870B1
KR101388870B1 KR1020130040436A KR20130040436A KR101388870B1 KR 101388870 B1 KR101388870 B1 KR 101388870B1 KR 1020130040436 A KR1020130040436 A KR 1020130040436A KR 20130040436 A KR20130040436 A KR 20130040436A KR 101388870 B1 KR101388870 B1 KR 101388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connector
frame
storage structure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to KR1020130040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1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into a body of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지하공간의 바닥면위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지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 서로에 대해 이웃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프레임에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에 커넥터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구축되므로 체결부속이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체결점이 없는 만큼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고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으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을 여건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Rainwater storaging facility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본 발명은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 지면(impervious land surface)의 면적 증가는,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가령 주위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화를 유발하며 동시에 하천의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상기 불투수지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주변에 하천이 있는 경우, 강우시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한 번에 모여들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가오지 않는 계절에는 평소 지하 토양이 함유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부족의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면 하천의 자연정화능력이 현저히 약해짐은 물론 약간의 오염물질로도 극심한 수질악화가 이어지게 된다.
한편,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재활용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빗물저류시설이다. 상기 빗물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탱크로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상기 빗물저류시설은 강우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저장해 빗물을 갈수기나 또는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
상기한 도로포장율의 상승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빗물의 재활용을 위한 빗물저류시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령 국내등록특허 제0553085호(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는, 다수의 박스형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그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국내등록특허에 소개된 빗물저장시설은, 수많은 박스형 블록을 상하 좌우로 쌓아 올린 구조이므로, 체결점이 많아 수직하중은 물론 횡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각 블록을 체결부속으로 아무리 고정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재하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어 내는 강성이 부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크리프 등에 의한 처짐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횡하중에 약한 구조를 가져 지진에 취약하고, 또한 연약지반이나 평지가 아닌 지역에 설치된 경우 주변에서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에 굴복하여 쉽게 변형되는 문제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블록이 체결용 부속을 통해 결합되므로 일단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 공사기간이 그만큼 오래걸린다. 아울러 상기 박스형 블록은 속이 빈 사출품으로서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으므로, 다수의 블록을 쌓을 경우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운반성도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에 커넥터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구축되므로 체결부속이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합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어 토압을 이기기 위한 별도의 구조체가 필요없으므로 굴착된 지하공간을 최대한 넓게 차지할 수 있어 그만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고,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각 프레임이나 커넥터를 겹쳐 쌓을 수 있어 시공현장까지의 운반도 간편하고, 길게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이나 커넥터를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절단해 현장에서 단지 끼워 조립함 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시공비도 크게 절약할 수 있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는,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의 바닥면위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지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 서로에 대해 이웃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그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길이는, 커넥터가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하부로 빗물 유동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커넥터를 받쳐 지지하고 그 하부에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빗물저류시설은,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의 바닥면위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지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 서로에 대해 이웃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하되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를 갖는 저류구조체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복토된 토양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측부에 위치하며 강수시 지상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빗물을 통과시키며 상기 저류구조체로 유도하는 맨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그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길이는, 커넥터가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하부로 빗물 유동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커넥터를 받쳐 지지하고 그 하부에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류시설 시공방법은, 빗물저류시설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와; 상기 터파기단계를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의 바닥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설치단계와; 상기 베이스층의 상부에 빗물저류용 구조체를 구성하는 단계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종 다수의 프레임을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로 커넥터를 이용해 상호 이웃하는 프레임을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화 하는 커넥팅공정과, 상기 구조체의 상부에 수평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과, 랩핑시트를 이용해 상기 구조체를 감싸는 시트랩핑공정으로 이루어진 구조체세팅단계와; 상기 저류용구조체의 측부에 맨홀을 설치하는 맨홀설치단계와; 상기 구조체와 맨홀을 연결하여, 맨홀 내부로 유입한 빗물이 구조체로 흘러들게 하는 맨홀연결단계와; 상기 구조체의 상부에 토양을 덮는 복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일정폭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 부재로서 그 폭방향 양단부에 상기 조립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넥팅공정은; 상호 이웃하는 각 프레임의 조립홈에 커넥터의 걸림돌기부를 끼운 상태로, 커넥터를 조립홈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에 커넥터를 슬라이딩 결합시켜 구축되므로 체결부속이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어 토압을 이기기 위한 별도의 구조체가 필요없으므로 굴착된 지하공간을 최대한 넓게 차지할 수 있어 그만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고,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다양하게 변형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각 프레임이나 커넥터를 겹쳐 쌓을 수 있어 시공현장까지의 운반도 간편하고, 길게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이나 커넥터를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절단해 현장에서 단지 끼워 조립함 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시공비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중앙프레임에 대한 커넥터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3사이드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넥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시설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11)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11)은, 토양을 굴착하여 확보된 지하공간(51)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평평한 수평면을 제공하는 베이스(19)와, 상기 베이스(19)의 상부에 구축되는 저류구조체(25,41)와, 상기 저류구조체(25,41)의 상부에 씌워지며 상부에 복토된 토양(S)의 무게를 감당하는 커버플레이트(23)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3)와 저류구조체(25,41)와 베이스(19)를 감싸는 랩핑시트(21)와, 상기 저류구조체(25,41)의 측부에 위치하는 유입맨홀(13) 및 유출맨홀(15)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상기 지하공간(51)은 빗물을 모아 저장하기 위하여 별도의 굴착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상기 지하공간(51)의 면적은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지하공간(51)의 공간이 클수록 보다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9)는, 상기 저류구조체(25,41)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래나 자갈을 평평하게 다져 형성한 모래층이나 자갈층이 될 수 도 있고, 아니면 콘크리트를 슬라브 형태로 성형한 것일 수도 있다. 지반에 습기가 많아 연약한 경우 모래와 자갈과 콘크리트를 두 가지 이상 또는 모두 함께 사용할 수 도 있다. 여하튼 상기 베이스(19)는 견고한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한다.
상기 저류구조체(25,41)는 지하공간(51)의 내부에 구축된 상태로 랩핑시트(21)로 감싸인 부분으로서 유입맨홀(13)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일단 받아들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류구조체(25,41)는 도 2나 도 8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류구조체(25,41)에 대해서는 도 2 및 그 이후의 도면을 통해 본격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플레이트(23)는, 일정두께를 갖는 판상부재로서 조립되어 있는 저류구조체(25,41)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상부에 복토된 토양(S)의 무게를 받아 저류구조체의 수평방향으로 하중을 분산 전달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23)가 없다면 랩핑시트(21)가 토압을 못이겨 찢어지게 될 것이다.
상기 랩핑시트(21)는 상기 저류구조체(25,41)와 커버플레이트(23)와 베이스(19)를 감싸는 시트형 부재이다. 특히 상기 랩핑시트(21)로서 물을 투과시키는 침투형시트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차수형시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랩핑시트(21)로서 침투형을 사용할지 차수형을 사용할지는 공사 현장의 상황이나 기타 여러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침투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므로, 저류구조체(25,41)로 유입된 빗물을 저류구조체(25,41)의 외부로 서서히 배출함으로써, 홍수시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한다는 빗물저류시설의 중요 기능을 달성케한다.
또한 차수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로서, 저류구조체(25,41)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고스란히 지켜 빗물이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차수형시트를 적용함으로서, 빗물을 재이용한다는 빗물저류시설의 또 하나의 중요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참고로, 차수형시트가 적용된 저류구조체에는 저장빗물을 외부의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유출맨홀(15)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하부에 배치하였지만, 여건에 따라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와 저류구조체(25)의 사이에 위치시킬 수 도 있다. 가령 베이스(19)가 자갈이나 모래나 이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상부에 깔 수 밖에 없다.
한편, 상기 유입맨홀(13)은 저류구조체(25)의 측부에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강우시 빗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빗물을 연결관(13b)을 통해 저류구조체(25,41)로 보낸다. 도면부호 13a는 상기 유입맨홀(13)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덮개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유입맨홀(13) 자체를 상기 지하공간(51)의 내부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저류구조체(25)의 한 켠을 비우고 그 자리에 유입맨홀(13)을 설치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유출맨홀(15)은, 저류구조체(15,41)의 또 다른 측부에 확보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펌프(15a)와 배수파이프(15b)와 제어장치(미도시) 등을 수용한다. 상기 펌프(15a)는 저류구조체(25,41)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R)을 끌어올려, 배수파이프(15b)를 통해 외부의 필요처로 압송한다.
상기 유출맨홀(15)도 덮개(15c)에 의해 커버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유입맨홀(13)과 마찬가지로 유출맨홀(15)도 지하공간(51) 한 쪽에 공간을 확보하고 그 자리에 설치할 수 도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빗물저류시설(11)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25)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25)는,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단면형상을 갖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을 커넥터(35)로 연결한 것으로서, 그 전체적인 평면형상이 다각형의 패턴을 취하며, 특히 도 2에 도시한 육각의 벌집모양이나 도 8에 도시한 사각의 바둑판 패턴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육각이나 사각 이외에, 삼각, 오각, 칠각, 팔각 등의 다각형 패턴을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만들기 나름인 것이다. 더 나아가서 원형의 패턴으로 만들 수 도 있다.
중요한 것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한 단면을 갖는 다수의 프레임과 커넥터를 연결하여 전체가 결합된 하나의 구조체를 구축한다는 것이다.
여하튼,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25)는, 다수의 중앙프레임(27)과,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과, 커넥터(35)로 조립 구성된다. 상기 중앙프레임(27)과,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의 길이방향 연장 길이는 상호 동일하다.
상기 중앙프레임(27)과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은 도 2에 도시한 육각 벌집구조의 저류구조체(25)를 구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것이다. 압출성형된 것이므로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짐은 물론이다. 특히 경우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각의 내부에 보강빔을 삽입하여 구조를 보강할 수 도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중앙프레임(27) 및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는 상기한 중앙프레임(27)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27)은, 서로에 대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벌어진 세 개의 플레이트부(27b)와, 상기 플레이트부(27b)의 내부에 끼워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빔(27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빔(27d)은 필요에 따라 적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각 플레이트부(27b)의 폭방향 단부 양측면에는, 조립홈(27a)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27a)은, 커넥터(35)의 걸림돌기부(도 2의 35b)가 끼워져 고정되는 홈으로서 각 플레이트부(27b)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중앙프레임(27)에 비해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은, 중앙프레임(27) 만으로 구축된 저류구조체(25)의 외곽부에 배치되어 저류구조체(25)의 측면이 사각의 벽을 가지도록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5b는 제 1사이드프레임(29)이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29)도 마찬가지로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29)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29b)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29)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와 작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지며, 작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가 큰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서 6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각 플레이트부(29b)의 폭방향 자유단부 양측면에는 조립홈(29a)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29a)은 커넥터(35)의 걸림돌기부(35b)가 끼워지는 홈이다.
또한 제 1사이드프레임(29)의 내부에는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29c)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도 5c에 도시한 제 2사이드프레임(31)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는 일체형 부재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된 것이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1)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플레이트부(31b)와,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두 개의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다. 좁은 폭의 플레이트부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3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고정되어 있다. 각 플레이트부(31b)의 폭방향 자유 단부의 양면에는 상기 걸림돌기부(35b)가 걸리는 조림홈(31a)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1)에도 보강빔(31c)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빔(31c)은 제 2사이드프레임(31)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제 3사이드프레임(33)은 도 5d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33)은, 90도의 사이각으로 벌어진 두 개의 플레이트부(33b)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끼워지되 일측 플레이트부에 대해 3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고정된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플레이트부(33b)로 이루어진다. 제 3사이드프레임(33)도 압출성형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각 플레이트부(33b)의 폭방향 단부에는 조립홈(3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홈(33a)은 걸림돌기부(35b)가 끼워진다. 아울러 제 3사이드프레임(33)에도 보강빔(33c)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3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저류구조체(25)의 네 귀퉁이부를 마감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구조체(25)는, 상기한 중앙프레임(27)과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을 나란하게 세운 상태로 커넥터(35)에 의해 조립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중앙프레임(27)과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35)는, 플라스틱 압출성형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을 갖는 띠 형 부재이다.
상기 커넥터(35)는, 중량을 고려하여 중앙이 비어있는 대신 다수의 보강리브(35a)로 보강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35a)는 커넥터(35)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강성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커넥터(35)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수용슬릿부(35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슬릿부(35d)는 연결할 프레임(상호 이웃하는 중앙프레임과 중앙프레임, 또는 사이드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 또는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의 플레이트부의 폭방향 단부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걸림돌기부(35b)를 갖는다.
상기 걸림돌기부(35b)는 수용슬릿부(35d)에 삽입된 플레이트부의 조립홈에 끼워져, 플레이트부가 수용슬릿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홀더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에 대한 커넥터(35)의 조립방식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상호 결합할 두 개의 프레임을 커넥터(35)의 폭간격으로 이격 배치한 상태로, 상기 커넥터(35)를 수직으로 들어 올려 커넥터(35) 하단부의 걸림돌기부(35b)를 상기 프레임(27,29,31,33) 상단의 각 조립홈(27a,29a,31a,33a)에 맞춘 상태로, 커넥터(35)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35)를 하강시키면, 커넥터(35)가 프레임(27,29,31,33)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다운(slide-down)되며 해당 프레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다른 프레임간의 결합을 계속하면 도 2에 도시한 구조체를 얻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커넥터(35)의 사이즈를 조절하여, 프레임에 대한 커넥터의 결합을 압입방식으로 구현하거나, 아니면 접착제를 추가하여 접착공법으로 고정할 수 도 있다.
특히,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커넥터(35)의 길이는 각 프레임(27,29,31,33)의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커넥터(35)의 상단부를 프레임의 상단부 높이에 맞추게 되면, 커넥터(35)의 하부에 유동구(37)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유동구(37)는 유입맨홀(도 1의 13)을 통해 저류구조체(25)로 들어온 빗물이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가이드하는 통로이다. 이와같이 유동구(37)를 둠으로써 저류구조체(25,41) 내부의 수위는 중앙프레임(27)과 관계없이 하나의 수위를 이룬다.
상기 커넥터(35)의 상단부가 주변 프레임(27,29,31,33)의 상단부의 높이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조립홈(27a,29a,31a,33a)내에 막힘부재(도 4의 27c)를 고정하여도 된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중앙프레임(27)에 대한 커넥터(35)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27)의 각 조립홈(27a) 내에 막힘부재(27c)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막힘부재(27c)는 조립홈(27a)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커넥터(35)의 하단부를 받쳐 커넥터가 하강하지 않게 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27b)에 대한 막힘부재(27c)의 고정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이나 녹여붙힘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4의 경우 중앙프레임(27)을 예로 들었지만, 상기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의 조립홈(29a,31a,33a)에도 상기 막힘부재(27c)를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막힘부재(27c)는 저류구조체(25,41)의 시공시 작업자가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고 그 지점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막힘부재(27c)의 구조나 고정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막힘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가령 상기한 압입방식이나 접착방식 공법을 적용하여 커넥터(35)가 흘러 내릴 염려가 없을 경우에는 굳이 막힘부재(27c)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여하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가 중앙프레임(27)의 조립홈(27a)에 끼워지되 상기 막힘부재(27c)에 의해 상부로 받쳐짐으로써, 커넥터(35)가 바닥부로부터 H 만큼의 높이로 이격되어 유동구(37)가 확보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높이 H는 저류구조체(25,41)의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넥터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타입의 커넥터(35)를 적용할 경우, 굳이 상기한 접착공법이나 압입공법을 적용하지 않더라도 커넥터(35)의 하강을 막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의 하단부에 한 쌍의 받침다리(35c)가 더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받침다리(35c)는 커넥터(35)를 지탱하는 것으로서 그 측면에 상기한 수용슬릿부(35d)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35)의 길이는 프레임의 길이와 동일하여, 커넥터(35)가 바닥에 닿은 상태로 커넥터(35) 상단부가 각 프레임의 상단부 높이와 같다. 상기 받침다리(35c)의 사이 공간이 빗물이 통과하는 유동구(37)이다. 이와같이 받침다리(35c)를 갖는 커넥터(35)는 커넥터를 압출한 후 해당 부위를 절단하여 제작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에 별도의 관통구멍(35p)을 추가 형성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유동구(37)의 상부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35p)을 가공하여 유동구(37)가 막히거나 유동구(37)를 통한 빗물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게 될 경우를 대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커넥터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35)가 그 하부에 받침블록(55)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 받침블록(55)은, 대략 육면체 형태의 부재로서 상부홈(55a)과 측부홈(55b)을 가지며 하부에는 유동구(55c)를 제공한다. 상기 유동구(55c)는 빗물을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상부홈(55a)은 커넥터(35)의 하단부가 끼워지는 홈이고, 측부홈(55b)은 이웃하는 사이드프레임의 플레이트부를 수용하는 홈이다. 이와같이 상부홈(55a) 및 측부홈(55b)을 형성하여 주변에 지지시킴으로써 받침블록(55)은 그 자리에 견고히 위치하며 움직이지 않는다.
도 8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41)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저류구조체(41)는 그 전체적인 평면구조가 마치 바둑판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25)의 경우 평면 형상이 육각의 패턴을 취함에 비해, 도 8의 저류구조체(41)는 사각의 패턴형상을 갖는 것이다.
상기 저류구조체(41)는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25)와 동일한 조립 방식을 가지되 다만 그 모양이 다를 뿐이다.
여하튼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른 예에 따른 저류구조체(41)는, 열십자 형태의 중앙프레임(43)과, ㅗ 자형 및 L 자형 사이드프레임(45,47)과, 상기 프레임(43,45,47)을 상호 연결하는 커넥터(35)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세부 구조는 도 9에 도시하였다.
도 9는 상기 도 8의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43)은 열십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상기 중앙프레임(41)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벌어져 있는 네 개의 플레이트부(43b)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43b)의 폭방향 자유단부에는 조립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홈(43a)에는 커넥터(35)의 걸림돌기부(35b)가 삽입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중앙프레임(41)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내부에 보강빔(43c)을 추가 할 수 도 있다. 상기 보강빔(43c)은 다른 보강빔들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강부재로서, 외력에 의해 중앙프레임(43)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9b에 도시한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ㅗ 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즉, 제 2사이드프레임(45)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5b)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각 플레이트부(45b)의 자유단부에 조립홈(45a)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아울러 제 1사이드프레임(45)의 내부에도 보강빔(45c)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9c는 L 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제 2사이드프레임(47)것으로서, 직각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7b)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부(47b)의 폭은 동일하다. 또한 각 플레이트부(47b)의 폭방향 단부에는 사이 걸림돌기부(35b)가 끼워지는 조립홈(47a)이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47)에도 보강용 보강빔(47c)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에 있어서, 중앙프레임(43)은 저류구조체(41)의 거의 대부분을 채우는 것이고,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저류구조체(41)의 네 벽면을 마감한다. 또한 제 2사이드프레임(47)은 저류구조체(41)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하며 귀퉁이부를 마감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프레임(43) 및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길이도 커넥터(35)의 길이보다 길어, 커넥터(35)의 하부에 유동구(도 4의 37)가 마련됨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커넥터(35)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커넥터(35)의 일측면 중앙에 연장부(35m)가 추가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5m)는 커넥터(35)의 압출가공시 함께 형성된 것으로서 일체를 이루며 측방향으로 일정폭(W) 만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폭은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35m)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35)는, 연장부(35m)를 가지기 때문에, 구조체(25)의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의 연결에 적용하기 더욱 적합하다. 즉, 제 1사이드프레임(29)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제 2사이드프레임(31)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제 1사이드프레임(29)과 제 3사이드프레임(33)에 연결하거나, 제 2사이드프레임(31)과 제 3사이드프레임(33)을 연결할 때 사용하기에 좋다.
상기 연장부(35m)가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35)는,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에 적용되되, 상기 연장부(35m)가 중앙프레임(27)에 도달한 상태로 세팅되어, 제 1,2,3사이드프레임(29,31,33)이 안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연장부(35m)가, 구조체(25)가 주변 토압에 의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버텨주는 보강체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류시설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류시설 시공방법은 터파기단계(100)로 시작된다. 상기 터파기단계(100)는, 빗물저류시설(11)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깊이나 넓이는 해당 지역의 제반 여건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터파기단계(100)가 완료되었다면 베이스설치단계(101)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1)는 지하공간의 바닥면을 고르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1)시 지반을 보강하는 지반 보강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가령 저류구조체(25,45)가 들어갈 바닥이 습기가 많거나 또는 연약한 경우, 흙을 더 파내고 모래나 자갈을 채운다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1)에 이어서 구조체세팅단계(102)를 수행한다. 상기 구조체세팅단계(102)는 상기한 베이스의 상부에 저류구조체(25,41)를 구축하고 그 위에 커버플레이트(23)를 씌운 후 랩핑시크(21)로 감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구조체세팅단계(102)는, 베이스위에 상기 프레임(27,29,31,33,43,45,47)들을 세우고 커넥터(35)로 프레임을 연결해나가는 커넥팅공정(101a)과, 상기 커넥팅공정(101a)을 통해 저류구조체(25,41)가 구축된 후 저류구조체(25,41) 상부에 상기 커버플레이트(23)를 배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102b)과, 상기 저류구조체(25,41)의 측면과 커버플레이트(23)를 랩핑시트로 둘러싸 감는 시트랩핑공정(102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팅공정(101a)은, 베이스(19)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각 프레임에 대해 커넥터를 슬라이딩 삽입하는 과정으로서 그에 대한 설명은 위에 설명한 바와같다.
상기 구조체세팅단계(102)가 완료되었다면 맨홀설치단계(103)와 맨홀연결단계(104)가 이어진다. 상기 맨홀설치단계(103)는 저류구조체(25,41)의 측부의 적절한 장소에 유입맨홀(13)을 배치하는 고정이고, 맨홀연결단계(104)는 연결관(13b)을 통해 유입맨홀(13)을 저류구조체(25,41)에 연통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맨홀연결단계(104)에 의해 차후, 강우시 유입맨홀(13)로 유입한 빗물이 저류구조체(25,41)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든 과정을 마친 후 복토단계(106)가 이어진다.
상기 복토단계(106)는, 저류구조체(25,41)의 상부에 흙을 덮는 과정이다. 상기 저류구조체(25,41)에 복토된 토양의 상부에 보도블록이나 기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복토단계(106)를 통해 모든 시공과정을 마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빗물저류시설 13:유입맨홀 13a:덮개
13b:연결관 15:유출맨홀 15a:펌프
15b:배수파이프 15c:덮개 19:베이스
21:랩핑시트 23:커버플레이트 25:저류구조체
27:중앙프레임 27a:조립홈 27b:플레이트부
27c:막힘부재 27d:보강빔 29:제 1사이드프레임
29a:조립홈 29b:플레이트부 29c:보강빔
31:제 2사이드프레임 31a:조립홈 31b:플레이트부
31c:보강빔 33:제 3사이드프레임 33a:조립홈
33b:플레이트부 33c;보강빔 35:커넥터
35a:보강리브 35b:걸림돌기부 35c:받침다리
35d:수용슬릿부 35f:어뎁터 35k:홀딩홈
35m:연장부 37:유동구 41:저류구조체
43:중앙프레임 43a:조립홈 43b:플레이트부
43c:보강빔 45:제 1사이드프레임 45a:조립홈
45b:플레이트부 45c:보강빔 47:제 2사이드프레임
47a:조립홈 47b:플레이트부 47c:보강빔
51:지하공간 55:받침블록 55a:상부홈
55b:측부홈 55c:유동구

Claims (15)

  1.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의 바닥면위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지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 중 서로에 대해 이웃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
    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길이는 커넥터가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하부로 빗물 유동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그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커넥터를 받쳐 지지하고 그 하부에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
  7. 굴착을 통해 형성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이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의 바닥면위에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지는 다종 다수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 서로에 대해 이웃하는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여 전체 프레임을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하되 일정폭의 띠의 형태를 취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하는 프레임의 사이에 끼움 결합하는 다수의 커넥터를 갖는 저류구조체;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며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복토된 토양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 및
    상기 저류구조체의 측부에 위치하며 강수시 지상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빗물을 통과시키며 상기 저류구조체로 유도하는 맨홀;
    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의 길이는 커넥터가 프레임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 하부로 빗물 유동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프레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는, 그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폭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조립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하부에는, 커넥터를 받쳐 지지하고 그 하부에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형성되어 있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시설.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040436A 2013-04-12 2013-04-12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388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36A KR101388870B1 (ko) 2013-04-12 2013-04-12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36A KR101388870B1 (ko) 2013-04-12 2013-04-12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870B1 true KR101388870B1 (ko) 2014-04-23

Family

ID=50658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36A KR101388870B1 (ko) 2013-04-12 2013-04-12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8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280B1 (ko) * 2015-07-14 2016-05-25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KR101962037B1 (ko) * 2017-11-10 2019-03-26 김종현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KR2022012234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42A (ko) * 2000-02-18 2001-08-29 심영일 침전지용 경사관형 침전장치
KR200431532Y1 (ko) * 2006-08-23 2006-11-23 박기호 배수용 허니컴
KR20100100092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조립식 저수조
KR101067046B1 (ko) * 2010-11-03 2011-09-22 (사단법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1742A (ko) * 2000-02-18 2001-08-29 심영일 침전지용 경사관형 침전장치
KR200431532Y1 (ko) * 2006-08-23 2006-11-23 박기호 배수용 허니컴
KR20100100092A (ko) * 2009-03-05 2010-09-15 오성훈 조립식 저수조
KR101067046B1 (ko) * 2010-11-03 2011-09-22 (사단법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280B1 (ko) * 2015-07-14 2016-05-25 주식회사 태명 빗물저류조 설치방법
CN106351292A (zh) * 2015-07-14 2017-01-25 株式会社太明 雨水存储箱的安装方法
KR101962037B1 (ko) * 2017-11-10 2019-03-26 김종현 침투식 홍수조절 기능을 갖는 우수 맨홀
KR20220122344A (ko) * 2021-02-26 2022-09-02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2571761B1 (ko) * 2021-02-26 2023-08-29 주식회사 피앤아이휴먼코리아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08178T3 (es) Módulo y conjunto para gestionar el flujo de agua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1615614B1 (ko) 제주를 포함한 우수 집중 지역의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JP3208379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材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1661320B1 (ko) 조립식 투과형 체크댐
KR20130062566A (ko)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935100B1 (ko) 지하수의 저류조 유입을 위한 저수 시스템 및 그 설치 방법
KR100802994B1 (ko) 대형 우수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36420A (ko) 말뚝을 이용한 옹벽
JP3867960B2 (ja) 雨水等の貯留及び浸透施設用充填体に取り付ける土砂浸入防止板
JP3793434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及び浸透施設
JP5610632B2 (ja) 雨水貯留施設における点検口の構造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0737331B1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0593186B1 (ko) 친환경적 옹벽
JP5067762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
KR200299545Y1 (ko) 도로 보강토 구간의 누수방지를 위한 콘크리트 보강블록설치구조
KR101372223B1 (ko) 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61467B1 (ko) 우수 저류 및 침투조용 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