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5349B1 -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 Google Patents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5349B1
KR102055349B1 KR1020190082084A KR20190082084A KR102055349B1 KR 102055349 B1 KR102055349 B1 KR 102055349B1 KR 1020190082084 A KR1020190082084 A KR 1020190082084A KR 20190082084 A KR20190082084 A KR 20190082084A KR 102055349 B1 KR102055349 B1 KR 102055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ainwater
penetration
infiltr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원석
추연홍
김관수
김진
조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한국환경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한국환경공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to KR1020190082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5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5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5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도의 빗물을 유입하여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일정 수위 이상 시 지하로 침투시키는 전처리수로;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일정 수위 이상 시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관수챔버; 및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집수한 후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침투도랑집수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은 서로 연결되어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됨으로써 차도상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 여분의 빗물을 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침투수로 등에 의하여 지하로 빗물을 침투시킬 수 있어 지하수를 확보하고 가로수 등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며 빗물의 유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생태환경을 증진시키고 침수를 방지할 수 있고, 차도스크린망, 배출스크린망, 월류스크린망, 부직포 또는 직포 등에 의해 빗물과 혼합된 오염물의 지하 침투나 우수관으로의 배출을 방지함으로써 하천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Penetration gauges structure with penetration waterway}
본 발명은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로 도심지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차도의 빗물을 도로의 횡단경사를 따라 직접 배제시켜 노면수 배제효율을 높이고, 유입된 빗물은 지하로 침투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빗물은 우수관으로 신속히 배수시키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지표면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피복되는 불투수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불투수면으로 포장된 도로의 경우, 노면에서 발생하는 빗물이 도로의 길 어깨(일명 '갓길'이라 함)를 따라 흘러내리다 집수정을 통하여 배수되는 구조로서, 이러한 집수정에 의존하는 배수체계는 빗물이 노면에서 배제되는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빗물이 지하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여 지하수 고갈과 그에 따른 물순환체계의 왜곡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와 맞물려 도심침수피해를 가중시키고 빗물에 섞여 유출되는 오염물들이 빗물과 함께 하천으로 바로 배출됨으로써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예인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는 지하침투시설의 경우, 도로 구조물과 잘 부합하지 아니하여 그 설치가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공간이 확보가 쉽지 않아 시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물의 제거, 빗물의 침투 및 배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빗물의 흐름체계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예인,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기술의 경우,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의 제거가 비효율적이고, 한번 설치된 오염물 제거장치의 유지관리가 어려워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77695호 침투측구구조를 등록받은 바 있다.
상기 선 등록 특허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침투경계수로, 가로수관수박스 및 경계수로집수정 등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빗물을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지하로 침투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 등록 특허는 지하로 침투되는 빗물이 지하침투구 주변에 잔류함으로써 침투능력에 한계가 있고, 특히 빗물에 포함된 미립자 등이 지하침투구 주변에 지속적으로 충진 됨으로써 장기적으로 침투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로 침투된 빗물이 과도한 경우 이를 처리하는 방법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계수로집수정에는 차단판, 스크린망, 투수필터여제 등이 설치되어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고자 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폭우 시 과도한 빗물의 신속한 유출이 어려울 뿐 아니라 경계수로집수정 하측에 집적된 오염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본경계수로, 침투경계수로, 가로수관수박스, 경계수로집수정 등의 높이가 달라 시공시 지반 굴착면이 상이하여 시공이 어렵고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기우수의 오염물질이 지하로 그대로 침투함으로서 지하 오염을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39379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77695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규격화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을 다양하게 조합 배치함으로써, 시공지역의 강우 강도, 도로의 경사와 폭, 지반의 침투능력, 수목의 상황 등에 가장 적합한 침투측구구조를 신속하고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에서 발생한 노면수를 도로 종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제함으로써 도로의 빗물 배제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 후방의 보도 하측을 따라 침투수로를 구비함으로써, 지하 침투능력을 증대시켜 지하수를 확보하고 가로수 등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며 빗물의 유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생태환경을 증진시키고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도랑집수정의 후부에 침투수유입구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수로로 유입된 빗물이 과도한 경우 다시 우수관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빗물 흐름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차도스크린망, 배출스크린망, 월류스크린망, 부직포 또는 직포 등에 의해 빗물과 혼합된 오염물의 지하 침투나 우수관으로의 배출을 방지함으로써 하천 등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침투도랑집수정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빗물 배출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오염물질은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침투도랑집수정 등에서 제거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한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는,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도의 빗물을 유입하여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지하로 침투시키는 전처리수로;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관수챔버; 및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집수한 후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침투도랑집수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은 서로 연결되어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됨으로써 차도상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 여분의 빗물을 우수관으로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 후방의 보도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침투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투수로는 상기 전처리수로 또는 관수챔버로부터 침투된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킴과 동시에 하류로 유도한 후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을 통해 상기 우수관으로 배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로는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의 배면을 따라 충진되는 쇄석 또는 자갈과, 상기 쇄석 또는 자갈의 외측을 둘러싸는 부직포 또는 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로는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로 상측의 보도 하측에 적층되어 식생환경을 제공하는 식생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의 하부에 구비되는 쿠션모래층과, 상기 쿠션모래층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혼합석으로 충진되는 보조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는,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벽;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중간벽과 후면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저면벽; 상기 중간벽, 저면벽 및 후면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의 사이에서 상기 배수로로 연결되는 차도유입구; 상기 후면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침투수로와 연결되는 빗물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배출구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도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상기 배수로를 통해 하류측으로 먼저 흐른 후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상기 침투수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관수챔버는,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면 양단에서 후부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사각박스;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한 쌍의 사각박스 각각의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벽; 상기 사각박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배출구; 및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각박스를 연결하는 침투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바닥배출구 쪽으로 상향 경사져서 오염물 저류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도랑집수정은,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벽;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중간벽과 후면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벽; 상기 중간벽, 바닥벽, 후면벽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벽; 상기 중간벽, 후면벽, 바닥벽 및 한 쌍의 측면벽에 의해 형성되는 1자 또는 T자 형상의 저장공간; 상기 측면벽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월류부; 상기 후면벽에 관통 형성되는 침투수유입구; 상기 중간벽에 관통 형성되는 침투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수로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침투수로를 통해 지하로 침투되고, 여분의 빗물은 상기 침투수로와 침투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으로 유입된 후 상기 침투수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침투수로와 침투수유입구를 통한 지하 침투와 배출이 지체되어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월류부를 통해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으로 직접 유입 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투수유입구에 설치되고 후면이 부직포로 밀폐된 유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면벽과 중간벽에는 모르타르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벽에 경계석을 안치시킨 후 상기 모르타르 충진부에 모르타르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경계석이 상기 상면벽과 중간벽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은 상하류측 중 일측은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요홈결합부가 형성되어 상호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이용하여 체결부재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규격화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침투도랑집수정을 다양하게 조합 배치함으로써, 시공지역의 강우 강도, 도로의 경사와 폭, 지반의 침투능력, 수목의 상황 등에 가장 적합한 침투측구구조를 신속하고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에서 발생한 노면수를 도로 종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제함으로써 도로의 빗물 배제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 후방의 보도 하측을 따라 침투수로를 구비함으로써, 지하 침투능력을 증대시켜 지하수를 확보하고 가로수 등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며 빗물의 유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생태환경을 증진시키고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투도랑집수정의 후부에 침투수유입구를 구비함으로써, 침투수로로 유입된 빗물이 과도한 경우 다시 우수관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빗물 흐름체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차도스크린망, 배출스크린망, 월류스크린망, 부직포 또는 직포 등에 의해 빗물과 혼합된 오염물의 지하 침투나 우수관으로의 배출을 방지함으로써 하천 등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기간이 단축되고 시공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또한, 침투도랑집수정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빗물 배출효율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오염물질은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침투도랑집수정 등에서 제거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의 배치 모습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평면도이다.
도 1c 내지 1f는 도 1b의 횡단면도들이다.
도 2a, 2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의 전처리수로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2c 내지 2j는 도 2a, 2b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A-A, B-B,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차도스크린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 내지 3d는 도 3a의 평면도, 정면도, 좌측면도이다.
도 3e는 배출스크린망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f 내지 3j는 도 3e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이다.
도 4a,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의 관수챔버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4c 내지 4j는 도 4a, 4b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A-A, B-B, C-C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a,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의 침투도랑집수정을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5b 내지 5i는 도 5a, 5b의 평면도, 정면도, 배면도, 좌측면도, 우측면도, A-A, B-B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는 차도(1)와 보도(3)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도(1)의 빗물을 유입시켜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지하로 침투시키는 전처리수로(10);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관수챔버(20); 및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집수한 후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침투도랑집수정(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은 서로 연결되어 차도(1)와 보도(3)의 경계선상에 설치됨으로써 차도(1)상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 여분의 빗물은 우수관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은 각 하나 이상씩 포함하여 다양하게 조합 배치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는 차도(1)에 내린 빗물을 유입한 후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일정 수위 이상 시 후방의 침투수로(40)로 배출하여 지하로 침투시킬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는 다른 전처리수로(10), 후술하는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관수챔버(20)는 다른 관수챔버(20), 전처리수로(10), 침투도랑집수정(30) 등에 연결될 수 있다. 관수챔버(20)는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일정 수위 이상 시 하류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침투도랑집수정(30)은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등에 연결될 수 있다. 침투도랑집수정(30)은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우수관을 통해 배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 후방의 보도(3)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침투수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침투수로(40)는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의 배면을 따라 충진되는 쇄석 또는 자갈과, 부직포 또는 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침투수로(40)는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의 후방의 보도(3) 하측에 쇄석 또는 자갈을 충진하고, 그 둘레를 부직포 또는 직포로 둘러싸도록 시공할 수 있다. 부직포 또는 직포는 주변의 토사가 쇄석 또는 자갈 사이로 유입됨을 방지함으로써 지하 침투능력과 하류로의 흐름능력이 지속되게 할 수 있다. 부직포 또는 직포는 합성섬유나 자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침투수로(40)는 하부는 좁고 상부는 넓은 횡단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침투수로(40)의 시공을 위한 지반 굴착 시 굴착사면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고, 쇄석 또는 자갈의 충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침투수로(40)는 전처리수로(10) 또는 관수챔버(20)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킴과 동시에 여분의 빗물을 하류로 유도한 후 침투도랑집수정(30)을 통해 우수관으로 배수되게 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을 따라 길게 형성된 침투수로(40)는 빗물 침투능력을 현저히 증가시키고 동시에 여분의 빗물을 우수관으로 배수되게 함으로써 빗물 흐름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침투수로(40)의 상측에는 보도(3) 하측에 적층되어 식생환경을 제공하는 식생토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식생토부(50)는 보도(3)에 식재되는 식물의 성장을 돕고, 식물의 뿌리는 침투수로(40)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켜 침투수로(40)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침투수로(40),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의 하부에 구비되는 쿠션모래층(60)과, 쿠션모래층(6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혼합석으로 충진되는 보조기층(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지반을 굴착한 후 보조기층(70)과 쿠션모래층(60)을 시공하고, 그 상측에 적절한 개수의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을 설치한 후 후방에 침투수로(40)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는 식생토부(5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침투도랑집수정(30)의 조합 배치는 도로의 폭, 경사, 그 지역의 강우 강도,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로 유입된 빗물은 하류로 흘러 관수챔버(20)의 사각박스(24)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유입된 빗물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전처리수로(10) 후방의 침투수로(40)로 유출될 수 있다. 또한, 침투수로(40)로 유입된 빗물은 과도한 경우 하류로 흘러 침투도랑집수정(30)으로 유입된 후 우수관을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10)로 유입된 빗물은 침투수로(40)를 통해 지하로 침투되고, 나머지는 관수챔버(20)로 흘러 지하로 침투되어 주변의 가로수에 공급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를 통한 지하 침투가 지체되어 수위가 점차 증가하면, 관수챔버(20)의 침투관(26)을 통해 하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3을 참조하면, 전처리수로(10)는 차도(1)와 보도(3)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5)의 전방에 전면벽(11)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11)의 후방이면서 경계석(5)의 후면 쪽에는 중간벽(12)이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12)은 경계석(5)의 후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12)의 후방에는 이격되게 후면벽(13)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11)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중간벽(12)과 연결되는 상면벽(14)이 설치될 수 있다. 상면벽(14)에는 경계석(5)이 안치될 수 있다. 중간벽(12)과 후면벽(13)에는 일정 높이에 저면벽(15)이 설치되어 중간벽(12)과 후면벽(13)을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중간벽(12)과 저면벽(15) 및 후면벽(13)의 사이에는 배수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로(16)를 통해 빗물을 하류측으로 보낼 수 있다. 상면벽(14)과 전면벽(11)의 사이에는 차도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차도유입구(111)는 배수로(16)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도유입구(111)는 차도(1)상의 빗물을 배수로(16)로 유입시킬 수 있다. 차도유입구(111)에는 차도스크린망(112)이 장착될 수 있다. 차도스크린망(112)에 의하여 차도유입구(111)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걸러낼 수 있다. 후면벽(13)에는 빗물배출구(13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빗물배출구(131)에 의하여 전처리수로(10)와 침투수로(40)가 연결될 수 있다. 빗물배출구(131)는 후면벽(13)에서 침투수로(40) 방향으로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빗물배출구(131)의 하향 경사는 쇄석 등이 배수로(1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빗물배출구(131)에는 배출스크린망(132)이 장착될 수 있다. 배출스크린망(132)에 의하여 침투수로(40)로 오염물이 배출되는 것을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배수로(16)에는 상측을 덮는 배수로덮개(161)가 설치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는 배수로덮개(161)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차도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배수로(16)를 통해 하류측으로 먼저 흐른 후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한 후 빗물배출구(131)를 통해 침투수로(40)로 배출되어 지하로 침투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관수챔버(20)는 차도(1)와 보도(3)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5)의 전방에 전면벽(21)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21)의 후방이면서 경계석(5)의 후면 쪽에는 중간벽(22)이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22)은 경계석(5)의 후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22)의 후면 양단에는 후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의 사각박스(24)가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21)의 상부와 중간벽(22) 사이에는 상면벽(23)이 설치되어 전면벽(21)과 중간벽(22)을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면벽(23)에는 경계석(5)이 안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각박스(24) 각각의 하부에는 바닥벽(25)이 설치될 수 있다. 바닥벽(25)은 한 쌍의 사각박스(24)의 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사각박스(24)의 상측은 개방되고 각각의 상측을 덮는 박스덮개(241)가 설치될 수 있다. 관수챔버(20)는 박스덮개(241)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사각박스(24)의 하부에는 바닥배출구(251)가 형성될 수 있다. 사각박스(24)는 바닥배출구(251)를 통해 빗물이 배출되고, 빗물이 계속 유입되어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하는 경우 후술하는 침투관(26)을 통해 월류함과 동시에 가로수에 공급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사각박스(24)의 사이에는 관통공들이 형성된 침투관(26)이 설치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침투관(26)은 빗물을 상류측 사각박스(24)에서 하류측 사각박스(24)로 월류함과 동시에 관통공을 통해 지하로 빗물을 공급함으로써 한 쌍의 사각박스(24) 사이에 위치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바닥벽(25)은 바닥배출구(251) 쪽으로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오염물 저류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오염물 저류공간은 초기 빗물에 포함된 오염물을 저류한 후 추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오염물 저류공간은 빗물의 낙하에 따른 바닥벽(25)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관수챔버(20)는 침투관(26)을 일정 높이에 설치함으로써 전처리수로(10)로 유입된 빗물이 먼저 침투수로(40)로 유출되게 유도할 수 있다. 이후 빗물이 더욱 증가하는 경우 침투관(26)을 통해 월류시켜 하류로 유도되게 할 수 있다. 즉, 관수챔버(20)는 빗물을 먼저 침투수로(40)로 유도 후 과도한 빗물은 하류측으로 월류시키고, 동시에 지하로 침투시킴으로써 가로수 및 토양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도로 주변의 생태환경의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침투도랑집수정(30)은 차도(1)와 보도(3)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5)의 전방에 전면벽(31)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31)의 후방이면서 경계석(5)의 후면 쪽에는 중간벽(32)이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32)은 경계석(5)의 후면에 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32)의 후방에는 이격되게 후면벽(33)이 설치될 수 있다. 전면벽(31)의 상부와 중간벽(32)을 연결하는 상면벽(34)이 설치되어 전면벽(31)과 중간벽(32)을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면벽(34)에는 경계석(5)이 안치될 수 있다. 중간벽(32)과 후면벽(33)에는 바닥벽(35)이 설치되어 하부가 연결될 수 있다. 중간벽(32), 바닥벽(35), 후면벽(33)의 양 단부에는 한 쌍의 측면벽(36)이 설치될 수 있다. 중간벽(32), 후면벽(33), 바닥벽(35) 및 한 쌍의 측면벽(36)은 1자 또는 T자 형상의 저장공간(37)을 형성할 수 있다. 1자 또는 T자 형상의 저장공간(37)에는 상류측에서 흘러온 빗물이 저장된 후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후술하는 침투수배출구(321)를 통해 우수관으로 빗물이 배출될 수 있다. 측면벽(36)의 상측에는 월류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월류부(38)는 빗물의 지하 침투와 배출이 지체되어 수위가 높아질 때 빗물을 월류시켜 직접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월류부(38)에는 월류스크린망이 설치될 수 있다. 월류스크린망에 의해서 빗물과 혼합된 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다. 후면벽(33)에는 침투수유입구(33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침투수유입구(331)에는 유공관(332)이 설치될 수 있다. 유공관(332)은 후면이 부직포로 밀폐되고 측면에는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유공관(332)의 후면을 부직포로 밀폐함으로써, 빗물과 혼합된 오염물을 걸러낼 수 있다. 침투수유입구(331)에 결합된 유공관(332)은 침투수로(40)의 빗물을 침투도랑집수정(3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중간벽(32)에는 침투수배출구(32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침투수배출구(321)를 통해 빗물을 우수관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침투수배출구(321)는 우수관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빗물받이를 거친 후 우수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침투도랑집수정(30)의 상측에는 집수정덮개(39)가 설치될 수 있다. 집수정덮개(39)를 제거하여 침투도랑집수정(30)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전처리수로(10)로 유입된 빗물은 침투수로(40)를 통해 지하로 침투될 수 있다. 이후 침투수로(40)의 빗물은 하류로 흘러 침투수유입구(331)를 통해 침투도랑집수정(30)으로 유입된 후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침투수로(40)를 통한 지하 침투와 배출이 지체되어 수위가 높아질 때 월류부(38)를 통해 침투도랑집수정(30)으로 직접 유입되어 우수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의 경우 과도한 빗물로 인한 도로 침수 등의 문제점이 전혀 발생하지 아니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침투도랑집수정(30)의 상면벽과 중간벽에는 모르타르 충진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면벽에 경계석(5)을 안치시킨 후 모르타르 충진부(80)에 모르타르를 충진시킴으로써, 경계석(5)이 상면벽과 중간벽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침투도랑집수정(30)은 상하류측 중 일측은 돌출결합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요홈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의 돌출결합부는 인접한 다른 구성의 타측에 형성된 요홈결합부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지반 침하 등의 경우에도 수평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은 연결부위에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을 이용하여 체결부재 즉, 볼트 및 너트 또는 앵커 등으로 상호 간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은 연결부위에 일측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너트가 매설되어 볼트로 체결되어 결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및 침투도랑집수정(30)을 시공현장의 도로에서 연결 결합하는 것만으로 시공할 수 있어 시공이 신속 용이하다. 또한, 전처리수로(10), 관수챔버(20), 침투수로(40) 등에 의해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킬 수 있어 토양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토양생태환경 회복에 탁월하다. 또한, 도로에 내린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함과 동시에 지하로 침투시킬 수 있어, 지하수의 확보와 더불어 도로에 내린 빗물을 원활하게 배수함으로써, 집중호우의 경우에도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도
3: 보도
5: 경계석
10: 전처리수로
11: 전면벽
111: 차도유입구
112: 차도스크린망
12: 중간벽
13: 후면벽
131: 빗물배출구
132: 배출스크린망
14: 상면벽
15: 저면벽
16: 배수로
161: 배수로덮개
20: 관수챔버
21: 전면벽
22: 중간벽
23: 상면벽
24: 사각박스
241: 박스덮개
25: 바닥벽
251: 바닥배출구
26: 침투관
30: 침투도랑집수정
31: 전면벽
32: 중간벽
321: 침투수배출구
33: 후면벽
331: 침투수유입구
332: 유공관
34: 상면벽
35: 바닥벽
36: 측면벽
37: 저장공간
38: 월류부
39: 집수정덮개
40: 침투수로
50: 식생토부
60: 쿠션모래층
70: 보조기층
80: 모르타르 충진부

Claims (9)

  1.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차도의 빗물을 유입하여 하류측으로 이송함과 동시에 지하로 침투시키는 전처리수로;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켜 가로수에 빗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관수챔버; 및
    상류측에서 이송되어온 빗물을 집수한 후 우수관으로 배수하는 침투도랑집수정;을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은 서로 연결되어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됨으로써 차도상의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키고 여분의 빗물을 우수관으로 배수시키고,
    상기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 후방의 보도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침투수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침투수로는 상기 전처리수로 또는 관수챔버로부터 침투된 빗물을 지하로 침투시킴과 동시에 하류로 유도한 후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을 통해 상기 우수관으로 배수되게 하고,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은,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벽;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중간벽과 후면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벽;
    상기 중간벽, 바닥벽, 후면벽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벽;
    상기 중간벽, 후면벽, 바닥벽 및 한 쌍의 측면벽에 의해 형성되는 1자 또는 T자 형상의 저장공간;
    상기 측면벽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월류부;
    상기 후면벽에 관통 형성되는 침투수유입구;
    상기 중간벽에 관통 형성되는 침투수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수로로 유입된 빗물은 상기 침투수로를 통해 지하로 침투되고, 여분의 빗물은 상기 침투수로와 침투수유입구를 통해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으로 유입된 후 상기 침투수배출구를 통해 우수관으로 배출되고, 상기 침투수로와 침투수유입구를 통한 지하 침투와 배출이 지체되어 수위가 높아질 때 상기 월류부를 통해 상기 침투도랑집수정으로 직접 유입 우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투수로는 전처리수로, 관수챔버 및 침투도랑집수정의 배면을 따라 충진되는 쇄석 또는 자갈과, 상기 쇄석 또는 자갈의 외측을 둘러싸는 부직포 또는 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투수로 상측의 보도 하측에 적층되어 식생환경을 제공하는 식생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수로는,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면벽;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중간벽과 후면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저면벽;
    상기 중간벽, 저면벽 및 후면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수로;
    상기 상면벽과 전면벽의 사이에서 상기 배수로로 연결되는 차도유입구; 및
    상기 후면벽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침투수로와 연결되는 빗물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빗물배출구는 상기 배수로의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 설치됨으로써, 상기 차도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은 상기 배수로를 통해 하류측으로 먼저 흐른 후 수위가 일정 높이 상승한 후 상기 빗물배출구를 통해 상기 침투수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수챔버는,
    상기 차도와 보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의 후방이면서 상기 경계석의 후면에 접하여 설치되는 중간벽;
    상기 중간벽의 후면 양단에서 후부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사각박스;
    상기 전면벽의 상부와 상기 중간벽을 수평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경계석이 안치되는 상면벽;
    상기 한 쌍의 사각박스 각각의 하부를 밀폐하는 바닥벽;
    상기 사각박스의 하부에 형성되는 바닥배출구; 및
    관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사각박스를 연결하는 침투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벽은 상기 바닥배출구 쪽으로 상향 경사져서 오염물 저류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침투수유입구에 설치되고 후면이 부직포로 밀폐된 유공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9. 청구항 5 내지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벽과 중간벽에는 모르타르 충진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벽에 경계석을 안치시킨 후 상기 모르타르 충진부에 모르타르를 충진시킴으로써, 상기 경계석이 상기 상면벽과 중간벽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20190082084A 2019-07-08 2019-07-08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2055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84A KR102055349B1 (ko) 2019-07-08 2019-07-08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084A KR102055349B1 (ko) 2019-07-08 2019-07-08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5349B1 true KR102055349B1 (ko) 2019-12-13

Family

ID=68847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084A KR102055349B1 (ko) 2019-07-08 2019-07-08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53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46B1 (ko) * 2021-05-27 2021-08-18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102326538B1 (ko) * 2020-05-28 2021-11-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빗물 침투 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9A (ja) * 1995-06-19 1997-01-07 Terakon:Kk 雨水浸透型側溝用ブロック
JP2006257739A (ja) * 2005-03-17 2006-09-28 Ito Yogyo Co Ltd 縁石付き水路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舗装路面の排水構造
KR20130091900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도로공사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639379B1 (ko) 2016-03-24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KR101703319B1 (ko) * 2016-07-28 2017-02-22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KR101977695B1 (ko) 2018-02-14 2019-05-13 한국환경공단 침투측구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039A (ja) * 1995-06-19 1997-01-07 Terakon:Kk 雨水浸透型側溝用ブロック
JP2006257739A (ja) * 2005-03-17 2006-09-28 Ito Yogyo Co Ltd 縁石付き水路ブロ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舗装路面の排水構造
KR20130091900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도로공사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639379B1 (ko) 2016-03-24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비점오염 및 강우유출수 배출저감 측구
KR101703319B1 (ko) * 2016-07-28 2017-02-22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KR101977695B1 (ko) 2018-02-14 2019-05-13 한국환경공단 침투측구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538B1 (ko) * 2020-05-28 2021-11-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빗물 침투 처리 시스템
KR102290646B1 (ko) * 2021-05-27 2021-08-18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540B2 (en) Transport corridor infiltration system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KR101977695B1 (ko) 침투측구구조
US3837168A (en) Drainage system
CN113818534B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1127810B1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KR101673421B1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11074563A (ja) 雨水浸透システム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CN211547157U (zh) 一种海绵城市道路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1038336B1 (ko) 도로 l형 측구에 저류조 방식을 이용한 빗물분산과 빗물을 지하로 유입시키는 공법 및 비점 오염 저감 여과 장치
CN214460937U (zh) 交通枢纽雨水花园结构
NL2024264B1 (en) Urban artificial wetland and method for building such an urban artificial wetland.
KR102638787B1 (ko) 비점 오염 빗물 분리 정화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102290646B1 (ko)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및 초기우수 분리배수 측구구조 시스템
KR20160061284A (ko) 우수용 배수관로 시스템
KR102219577B1 (ko)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CN217579586U (zh) 一种用于市政道路的下沉式绿化带结构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15105840U (zh) 一种道路雨污分离连续排水系统
KR100771586B1 (ko) 터널형 빗물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