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0615B1 -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0615B1
KR101510615B1 KR20140125194A KR20140125194A KR101510615B1 KR 101510615 B1 KR101510615 B1 KR 101510615B1 KR 20140125194 A KR20140125194 A KR 20140125194A KR 20140125194 A KR20140125194 A KR 20140125194A KR 101510615 B1 KR101510615 B1 KR 10151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filtration
wall
storage tank
storm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Priority to KR2014012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0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Abstract

본 발명은, 하판(213), 및 상기 하판(213)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201), 후벽(203), 좌벽(205), 및 우벽(207)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는 빗물저류부(20); 상기 빗물저류부(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20)를 분할하는 격벽(209);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상부를 덮는 상판(30); 및 상기 상판(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전벽(401), 상후벽(403), 상좌벽(405), 및 상우벽(407)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는 빗물유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30)은 상기 빗물유입부(40)에서 상기 빗물저류부(20)로 연결되는 통공(301)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209)은 유입된 빗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구(211)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213)은 유입된 빗물이 지하로 침투할 수 있는 배수구(215)를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유입, 저류시킨 뒤 시간 경과와 함께 땅 속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도심지 침수 예방 등의 방재와 지하수 고갈에 따른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조경식재부를 조성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협소한 보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녹지와 빗물 유출 저감시설을 하나로 같이 설치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Penetration type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실시예는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떨어지는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류시켜 강우시에 빗물 유출을 저감시키고, 시간 경과와 함께 빗물을 땅 속으로 침투시키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땅의 표면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피복되는 불투수 면적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불투수 면적의 증가는 빗물이 지하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지하수 고갈과 그에 따른 물순환체계의 왜곡을 초래하는 한편, 최근 빈발하고 있는 기후 변화에 따른 돌발성 집중호우와 맞물려 도심 침수를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시내 불투수 면적의 증가에 따른 상기 문제점들을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서는 빗물을 단순 저장한 뒤 재활용하거나 방류시키는 단순 저장시설 외에도 빗물을 일시 저류시킨 뒤에 땅 속으로 침투시킬 수 있는 침투식 저류조의 확대 보급이 시급하다. 특히 도심내 불투수 면적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물, 도로(차도) 및 보도 중 하부 공간의 활용에 제약이 있는 건물과 도로를 제외한 보도는 건물에서 유출되는 빗물이 보도를 경유하여 도로 쪽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보도의 지하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침투식 저류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772481호는 "빗물침투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빗물침투 처리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박스 컬버트 구조나 U자 측구형의 다공판 부재(溝)를 지중에 매설하고, 이 다공판 부재의 주위에 쇄석을 포설하며, 다공판 부재 및 쇄석의 전체를 에워 싸도록 투수성 시트를 설치하고, 상기 다공판 부재에 형성된 세로 긴 구멍은 외측으로 향하여 넓어지는 테이퍼 단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보도는 각종 관로가 매설되어 있고, 사람들의 통행을 차단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기술을 보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형 빗물침투 처리장치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또한 가용 가능한 공간이 도로에 접하는 쪽의 협소한 공간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46424호는 "친환경 빗물 저류 및 침투조합장치"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상부로부터 내려오는 물을 하부의 지하로 침투시키도록 완충하는 자갈침투층과, 상기 자갈침투층 상부에 빗물 유출수가 유입되어 저류되도록 설치된 저류조와, 상기 저류조에 상하좌우로 서로 결합되어 조립됨으로써 다수개의 기둥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셀기둥과, 상기 저류조 셀기둥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저류조를 덮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 상부에 월류되는 물이 확산될 수 있도록 쌓인 자갈확산층과, 상기 자갈확산층의 양 끝단에 월류되는 물이 상기 저류조 측면을 따라 흘러내린 다음 상기 자갈침투층으로 침투되도록 설치된 자갈침투조로 구성된 빗물 유출수의 저류 및 침투 연계장치이다.
도로에 접하는 보도 공간은 도심내 부족한 녹지 공간을 보완하기 위해 띠녹지가 조성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그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조경식재부가 구비되는 녹지결합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빗물이 조경식재부내의 토사층을 경유하여 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로서, 빗물 유출 속도가 매우 빠른 도심내 불투수면의 특성상 빗물 유출 저감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허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72481 특허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6424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유입, 저류시킨 뒤 시간 경과와 함께 땅 속으로 흘려보내어 도심지 침수 예방 등의 방재와 지하수 고갈에 따른 도심 물순환체계를 개선할 수 있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조경식재부를 조성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협소한 보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녹지와 빗물 유출 저감시설을 하나로 같이 설치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저류부의 상부 일측에는 조경식재부를 조성하고 타측에는 보도 포장면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녹지의 폭이 제한을 받는 경우에도 동일한 저류용량을 유지할 수 있고, 녹지 하부에만 저류 공간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빗물 유출 저감의 효과가 배가 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저류부의 상부를 경계용 측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보도와 도로 사이의 보차도 경계 시설물로 활용할 경우에 경제적인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하판, 및 상기 하판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 후벽, 좌벽, 및 우벽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는 빗물저류부; 상기 빗물저류부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를 분할하는 격벽;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저류부의 상부를 덮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전벽, 상후벽, 상좌벽, 및 상우벽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는 빗물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은 상기 빗물유입부에서 상기 빗물저류부로 연결되는 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유입된 빗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유입된 빗물이 지하로 침투할 수 있는 배수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상측에 조경식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경식재부는 상기 빗물저류부의 전벽, 후벽, 좌벽, 또는 우벽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부분들이 조립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분할된 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에 단턱이 구비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부의 상부에는 그레이팅 또는/및 돌망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부의 상측에는 초기 우수 배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우수 배제장치는 ∩ 형상으로서, 상측에는 빗물이 유입된 후 하기 집적통으로 유도되게 하는 도수로, 상기 도수로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수로로 유입된 후 유도된 빗물이 집적되는 집적통, 상기 집적된 빗물이 상기 빗물유입부로 흘러 나가도록 상기 집적통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 및 상기 초기 우수 배제장치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빗물유입부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일측은 보도의 하부에 매립되고, 상기 상판의 타측은 차도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상기 상판과 이에 연접된 상기 빗물유입부의 벽이 경계용 측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의 통공은 상기 빗물유입부의 구멍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되어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침전되는 토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부는 상기 상판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격벽은 상기 빗물유입부의 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월류구는 상기 빗물저류부의 중앙부쪽으로 하향 경사져서 상기 빗물저류부로 유입되는 토사가 상기 월류구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과 월류구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로 유입되는 토사가 상기 월류구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구는 유입된 빗물이 잘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침투식 빗물저류조 하측의 토사가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월류구와 배수구는 거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유입부의 상부에는 그레이팅 및 조경상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강재, 콘크리트,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굴착 단계; 상기 굴착부에 자갈을 포설한 후 다짐하는 자갈층 형성 단계; 상기 자갈층 상측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부직포 포설 단계; 상기 부직포 상측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형성 단계; 상기 모래층 상부에 상기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예들 중 어느 하나를 설치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설치 단계; 및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상판 상측에 복토하는 복토 형성 단계; 상기 복토부에 식물을 식재하는 조경식재부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강우시 불투수면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신속하게 유입, 저류시킨 뒤 시간 경과와 함께 땅 속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도심지 침수 예방 등의 방재와 지하수 고갈에 따른 도심 물순환체계 개선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조경식재부를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고, 협소한 보도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녹지와 빗물 유출 저감시설을 하나로 같이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간을 침해하지 않고 동일 공간에 녹지의 조성이 가능하여 비용과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빗물저류부의 상부 일측에는 조경식재부를 조성하고 타측에는 보도 포장면을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녹지의 폭이 제한을 받는 경우에도 동일한 저류용량을 유지할 수 있고, 녹지 하부에만 저류 공간이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빗물 유출 저감이 배가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빗물저류부의 상부를 경계용 측구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보도와 도로 사이의 보차도 경계 시설물로 활용할 경우에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일부 노출시킨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배수구가 구비된 지점에서 수직 단면으로 잘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설치되는 초기 우수 배제장치의 사시도, 배면 사시도,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설치되는 조경상자 및 조경상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2는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일부 노출시킨 도면이다. 도 3a는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배수구가 구비된 지점에서 수직 단면으로 잘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굴착 단계(S10), 굴착부에 자갈을 포설한 후 다짐하는 자갈층 형성 단계(S20), 자갈층 상측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부직포 포설 단계(S30), 부직포 상측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형성 단계(S40), 모래층 상부에 후술할 침투식 빗물저류조(10)를 설치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설치 단계(S50), 침투식 빗물저류조(10) 의 상판(30) 상측에 복토하는 복토 형성 단계(S60), 및 복토부에 식물을 식재하는 조경식재부 형성 단계(S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토부의 일측에만 식물을 식재하고, 그 타측에는 보도블록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굴착부에 먼저 자갈을 포설한 후 모래층을 포설하는 것은 공극이 큰 자갈을 하측에 배치함으로써 빗물이 지하로 잘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자갈층과 모래층 사이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것은 입자가 작은 모래가 자갈 사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차도에 접하는 보도 하부에 지중 매입되며, 그 상부 일측에는 조경식재부(5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보도 포장면이 구비된다. 보도의 폭에 따라 조경식재부(50)의 폭이 제한되는 경우에도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조경식재부(50)의 하부와 함께 보도의 하부도 동시에 빗물 저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협소한 보도 공간에서도 빗물의 저류용량이 더욱 배가 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빗물저류부(20), 빗물유입부(40)로 구성된다.
빗물저류부(20)는 하판(213), 하판(213)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201), 후벽(203), 좌벽(205), 및 우벽(207)으로 구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이다. 전벽(201)과 후벽(203)은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길이 방향 측면이며, 필요에 따라 중간에 추가로 벽이 설치될 수도 있고, 침투식 빗물저류조(10)가 연속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벽(201)과 후벽(203) 중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도 있다.
빗물저류부(20)의 내부에는 빗물유입부(40)의 직하부에 한 쌍의 격벽(209)이 수직으로 이격 설치되어 빗물저류부(20)를 분할하며, 격벽(209) 상부에는 유입된 빗물이 월류될 수 있는 월류구(211)가 구비된다. 월류구(211)는 빗물저류부(20)의 중앙부쪽으로 하향 경사져서 빗물저류부(20)로 유입되는 빗물과 토사가 월류구(211)를 넘어 이동되지 않고 빗물저류부(20)의 중간 부분에 쌓이도록 한다. 또한 하부 지반과 접하는 하판(213)에는 배수구(215)가 구비되어 침투식 빗물저류조(10)에 유입되는 빗물이 하부 지반으로 침투할 수 있다. 배수구(215)는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함으로써 유입된 빗물이 잘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침투식 빗물저류조(10) 하측의 토사나 자갈 등이 빗물저류부(2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수구(215)는 제1배수구(216)와 제2배수구(217)로 형성되며, 제1배수구(216)는 양 격벽(209) 사이 즉, 중앙 부분에 형성된 공간 하부의 하판(213)에 구비되고, 제2배수구(217)는 좌벽(205) 또는 우벽(207)과 격벽(209) 사이 즉, 양측 부분에 형성된 공간 하부의 하판(213)에 구비된다. 상기 월류구(211)와 배수구(215)는 형상 및 크기, 수량 등이 가변적이며, 거름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월류구(211)에 설치되는 거름장치는 빗물과 함께 유입된 토사가 빗물저류부(20)의 양측에 구비된 공간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빗물저류부(20)의 상측에는 상판(30)이 결합되어 빗물저류부(20)의 상부를 덮으며, 상판(30)은 상측에 설치되는 조경식재부(50)와 보도를 지지한다. 또한 상판(30)의 상부에는 빗물유입부(40)가 구비되며, 상판(30)에는 빗물이 빗물유입부(40)에서 빗물저류부(20)로 유입되기 위해 통공(301)이 구비된다. 통공(301)은 빗물유입부(40)의 구멍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되거나 빗물유입부(40)의 구멍과 다른 형태 또는 크기로 구성(도 5 참조)될 수 있다. 통공(301)을 빗물유입부(40)의 구멍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하는 경우 빗물유입부(40) 하측의 빗물저류부(20)에 침전되는 토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통공(301)과 월류구(211)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도 빗물유입부(40)로 유입된 빗물과 토사 중 토사는 빗물저류부(20)의 중간 부분으로 침전되고 빗물만 월류구(211)를 넘어 그 이웃 공간으로 이동됨으로써 토사는 빗물저류부(20)의 중간 부분에 남게 되어 제거하기가 용이해진다.
빗물유입부(40)는 상판(30)의 중앙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전벽(401), 상후벽(403), 상좌벽(405), 및 상우벽(407)으로 구성되는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이다. 상좌벽(405)과 상우벽(407)은 서로 이격되어 조경식재부(50) 또는 보도 포장면과 같은 높이에 구비되어 빗물이 유입되고, 조경식재부(50)의 토사 또는 보도 포장면의 수평 이동을 구속한다. 상전벽(401)과 상후벽(403)은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길이 방향 측면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 중간에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고, 침투식 빗물저류조(10)가 연속으로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어느 한쪽은 생략될 수도 있다.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60)이 설치된다. 보행자의 안전사고 예방 및 빗물유입부(40)로 낙엽이나 담배꽁초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빗물유입부(40) 상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그레이팅(60)이 설치된다. 또한 그레이팅(60)을 대신하거나 추가로 돌망태(70)(도 8a 참조) 등의 필터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강재, 콘크리트,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강우량 및 강우강도에 따라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땅 속으로 침투하는 모습이다.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하부에는 모래층과 자갈층 등의 배수층이 형성되어 배수구(215)를 통해 배출되는 빗물의 침투를 촉진하며, 빗물이 배수층 내 입자간 간극에 일시 저류되어 저류 용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4a는 강우가 없는 경우의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모습이다. 도 4b는 비교적 약한 강우인 경우의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모습으로서, 빗물유입부(40)로 유입된 빗물이 월류구(211)를 넘지 않고 빗물저류부(20)의 격벽(209) 사이의 공간 즉, 중앙부 공간에만 저류되어 제1배수구(216)를 통해 하부 지반으로 침투된다. 도 4c는 비교적 많은 강우가 오는 경우의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모습으로서, 빗물유입부(40)로 유입되어 제1배수구(216)를 통해 하부 지반으로 침투되던 빗물이 하부 지반의 포화로 더 이상의 침투가 진행되지 않거나 지연되어 수위가 상승하면 격벽(209) 상부에 구비된 월류구(211)를 통해 좌벽(205) 또는 우벽(207)과 격벽(209)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양측의 공간으로 월류되어 빗물이 제1배수구(216)와 제2배수구(217)를 통해 지반으로 침투된다. 도 4d는 집중호우 등 강우가 많은 경우의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모습으로서, 도 4c에서 설명한 빗물의 유입, 침투 및 저류 과정을 거쳐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내부가 지표에서 유입된 빗물로 채워져 빗물의 수위가 지표와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들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배면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설치되는 초기 우수 배제장치의 사시도, 배면 사시도, 길이 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설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에 설치되는 조경상자 및 조경상자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가 지중에 매입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상하로 분할되어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침투식 빗물저류조(10)가 상하 등으로 분할되는 경우에는 빗물저류부(20)의 청소를 위해 분할된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상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분할된 각 부분의 무게가 가벼워 시공이 용이하다.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재료에 따라 일체형보다는 분리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경제적 또는 유지관리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상하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향으로 복수 분할이 가능하며, 분할된 단면들에는 조립 결합으로 고정을 강화할 수 있는 단턱이 각각 구비되어 상호 끼움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단면들에는 조립 결합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요부와 철부를 형성하여 끼움결합하고, 요부와 철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형성한 후 이 구멍에 볼트 등을 결합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유입부(40)의 상측에 초기 우수 배제장치(90)를 구비할 수 있다. 초기 우수 배제장치(90)는 내부 공간부를 가지는 ∩ 형상으로서, 상측의 도수로(901), 양 측의 집적통(903), 집적통(903) 내측 상부의 배출공(905), 및 상부 테두리에 형성된 지지턱(907)으로 구성된다. 초기 우수 배제장치(90)에서 도수로(901)의 상측은 개방되거나 그레이팅(60)이 설치되어 빗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빗물은 양측의 집적통(903)으로 이동된다. 비가 오기 시작한 초기의 우수에는 지표면의 여러 오염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도수로(901)를 거쳐 집적통(903)으로 이동된 빗물 속의 오염물질은 집적통(903)에 퇴적되고, 빗물은 집적통(903)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905)을 통해 빗물유입부(40)로 흘러나간다. 지지턱(907)은 초기 우수 배제장치(9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어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지지된다. 도수로(901)는 평평하거나 집적통(903)쪽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위가 볼록한 포물선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지지턱(907)은 초기 우수 배제장치(90)가 그레이팅(60)과 일체로 제작되는 경우에 생략이 가능하다. 초기 우수 배제장치(90)는 그레이팅(60)이 미처 거르지 못했던 이물질을 침전시켜, 비점오염원이 존재하는 곳에서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기능까지 부가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집적통(903)에 집적된 이물질은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 등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 그레이팅(60) 및 조경상자(80)를 설치할 수 있다. 침투식 빗물저류조(10)가 복수개의 빗물유입부(40)로 구성되거나 한 개의 빗물유입부(40) 내에 추가로 벽을 설치하여 형성된 다수의 구간 중 일부 구간에 조경상자(80)를 설치함으로써 미관이 아름다운 효과가 있다. 빗물유입부(40)의 상좌벽(405)과 상우벽(407)옆으로 불투수면이 존재하는 경우 미관상 삭막함을 해소하며, 상좌벽(405) 또는 상우벽(407) 옆으로 조경식재부(50)가 형성되는 경우 그레이팅(60)이 연속되는 모습에 미관상의 변화를 줄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상판(30)의 상측에 조경식재부(50)를 형성하고, 조경식재부(50)의 외측에 빗물저류부(20)의 전벽(201), 후벽(203), 좌벽(205) 또는 우벽(207)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50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는 침투식 빗물저류조(10)가 상하부로 분할되어 내부 청소를 위해 분할된 상부를 들어올릴 경우에 조경식재부(50)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조경식재부(50)의 내부에 빗물을 모을 수 있어 식재된 식물에 수분공급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침투식 빗물저류조는, 상판(30)의 일측은 보도의 하부에 매립되고, 상판(30)의 타측은 차도로 노출되어 노출된 상판(30)과 이에 연접된 빗물유입부(40)의 벽이 경계용 측구로 사용될 수 있다. 경계용 측구로 사용되는 상판(30)에는 차도상의 빗물이 유입되는 차도 빗물 유입 통공을 구비할 수도 있다. 경계용 측구는 별도의 보도와 차도의 경계석과 측구를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이루어 질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침투식 빗물저류조
20 : 빗물저류부
201 : 전벽
203 : 후벽
205 : 좌벽
207 : 우벽
209 : 격벽
211 : 월류구
213 : 하판
215 : 배수구
216 : 제1배수구
217 : 제2배수구
30 : 상판
301 : 통공
40 : 빗물유입부
401 : 상전벽
403 : 상후벽
405 : 상좌벽
407 : 상우벽
50 : 조경식재부
501 : 테두리벽
60 : 그레이팅
70 : 돌망태
80 : 조경상자
90 : 초기 우수 배제장치
901 : 도수로
903 : 집적통
905 : 배출공
907 : 지지턱
S10 : 굴착 단계
S20 : 자갈층 형성 단계
S30 : 부직포 포설 단계
S40 : 모래층 형성 단계
S50 : 침투식 빗물저류조 설치 단계
S60 : 복토 형성 단계
S70 : 조경식재부 형성 단계

Claims (16)

  1. 하판(213), 및 상기 하판(213)의 전후좌우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전벽(201), 후벽(203), 좌벽(205), 및 우벽(207)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 형상으로 되는 빗물저류부(20);
    상기 빗물저류부(2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20)를 분할하는 격벽(209);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상부를 덮는 상판(30); 및
    상기 상판(3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전벽(401), 상후벽(403), 상좌벽(405), 및 상우벽(407)으로 구성되며 속이 빈 사각기둥 형상으로 되는 빗물유입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30)은 상기 빗물유입부(40)에서 상기 빗물저류부(20)로 연결되는 통공(301)을 포함하며,
    상기 격벽(209)은 유입된 빗물이 월류할 수 있는 월류구(211)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213)은 유입된 빗물이 지하로 침투할 수 있는 배수구(215)를 포함하며,
    상기 빗물유입부(40)의 상측에는 초기 우수 배제장치(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 우수 배제장치(90)는 ∩ 형상으로서, 상측에는 빗물이 유입된 후 하기 집적통(903)으로 유도되게 하는 도수로(901), 상기 도수로(901)의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 도수로(901)로 유입된 후 유도된 빗물이 집적되는 집적통(903), 상기 집적된 빗물이 상기 빗물유입부(40)로 흘러 나가도록 상기 집적통(903)의 내측 상부에 형성된 배출공(905), 및 상기 초기 우수 배제장치(90)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 지지되는 지지턱(907)을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의 상측에 조경식재부(50)를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경식재부(50)는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전벽(201), 후벽(203), 좌벽(205), 또는 우벽(207)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벽(501)을 더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복수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부분들이 조립 결합되는 구조인 침투식 빗물저류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분할된 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에 단턱이 구비되어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인 침투식 빗물저류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60) 또는/및 돌망태(70)를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의 일측은 보도의 하부에 매립되고, 상기 상판(30)의 타측은 차도로 노출되며 이 노출된 상기 상판(30)과 이에 연접된 상기 빗물유입부(40)의 벽이 경계용 측구로 사용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30)의 통공(301)은 상기 빗물유입부(40)의 구멍과 동일한 형태 및 크기로 구성되어 침투식 빗물저류조(10)에 침전되는 토사를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부(40)는 상기 상판(30)의 중앙에 결합되고,
    상기 격벽(209)은 상기 빗물유입부(40)의 직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월류구(211)는 상기 빗물저류부(20)의 중앙부쪽으로 하향 경사져서 상기 빗물저류부(20)로 유입되는 토사가 상기 월류구(211)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301)과 월류구(211)는 서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상기 빗물저류부(20)로 유입되는 토사가 상기 월류구(211)를 넘어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15)는 유입된 빗물이 잘 배출되게 함과 동시에 침투식 빗물저류조(10) 하측의 토사가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된 침투식 빗물저류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월류구(211)와 배수구(215)는 거름장치를 더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빗물유입부(40)의 상부에는 그레이팅(60) 및 조경상자(80)를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침투식 빗물저류조(10)는 강재, 콘크리트,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침투식 빗물저류조.
  16. 지면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형성하는 굴착 단계(S10); 상기 굴착부에 자갈을 포설한 후 다짐하는 자갈층 형성 단계(S20); 상기 자갈층 상측에 부직포를 포설하는 부직포 포설 단계(S30); 상기 부직포 상측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형성 단계(S40); 상기 모래층 상부에 청구항 1 내지 6 및 청구항 8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침투식 빗물저류조(10)를 설치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 설치 단계(S50); 및 상기 침투식 빗물저류조(10)의 상판(30) 상측에 복토하는 복토 형성 단계(S60); 상기 복토부에 식물을 식재하는 조경식재부 형성 단계(S70)를 포함하는 침투식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
KR20140125194A 2014-09-19 2014-09-19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10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5194A KR101510615B1 (ko) 2014-09-19 2014-09-19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5194A KR101510615B1 (ko) 2014-09-19 2014-09-19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0615B1 true KR101510615B1 (ko) 2015-04-09

Family

ID=53034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5194A KR101510615B1 (ko) 2014-09-19 2014-09-19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06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377B1 (ko) * 2016-03-23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침투식 빗물저류 구조
KR20160141308A (ko) 2015-05-29 2016-12-08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2219577B1 (ko) * 2020-06-03 2021-02-24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KR2021009252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21009251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91B1 (ko) * 2006-04-20 2007-03-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관거 기능의 선형침투시스템
KR101323288B1 (ko) * 2013-07-17 2013-10-29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591B1 (ko) * 2006-04-20 2007-03-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우수관거 기능의 선형침투시스템
KR101323288B1 (ko) * 2013-07-17 2013-10-29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308A (ko) 2015-05-29 2016-12-08 박지운 분할 조립형 pc 블록을 갖는 빗물 저류조 및 이를 이용한 조경수 빗물 저류시스템
KR101639377B1 (ko) * 2016-03-23 2016-07-13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저영향개발기법 기반의 침투식 빗물저류 구조
KR2021009252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210092514A (ko) * 2020-01-16 2021-07-26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KR102370200B1 (ko) * 2020-01-16 2022-03-03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102438273B1 (ko) * 2020-01-16 2022-08-29 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KR102219577B1 (ko) * 2020-06-03 2021-02-24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08193758B (zh) 海绵城市道路收蓄排水结构
KR101393021B1 (ko) 저영향개발 방식의 가로환경 식재플랜터 구조물
KR101206057B1 (ko) 보도의 식생 배수 구조물
KR100879402B1 (ko)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생태 확장형 주차장 포장구조
CN110042724A (zh) 湿陷性黄土地区道路海绵设施雨水收集利用和排放系统
KR101020718B1 (ko) 지반보강용 지오셀과 중공형 섬유보강 투수블록을 이용한 지반침투형 포장구조
JP4284665B2 (ja) 側溝の排水構造
CN113818534A (zh) 用于海绵城市道路的生物滞留设施
KR100834551B1 (ko) 우수유출 저감장치
CN206971366U (zh) 一种结合生物滞留带设置的沉砂井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KR20080101132A (ko) 녹지대용 빗물 저류 화단
CN211547157U (zh) 一种海绵城市道路
KR102055349B1 (ko) 침투도랑이 구비된 침투측구구조
JP4511077B2 (ja) 雨水排水処理システム
KR20120078850A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CN207987674U (zh) 一种道路路缘石渗透装置以及海绵城市道路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CN203977495U (zh) 用于居民小区道路的花园式抗雨水冲击系统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KR101906075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CN214033246U (zh) 一种用于海绵城市设计的道路防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