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82B1 -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 Google Patents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482B1
KR102076482B1 KR1020190145797A KR20190145797A KR102076482B1 KR 102076482 B1 KR102076482 B1 KR 102076482B1 KR 1020190145797 A KR1020190145797 A KR 1020190145797A KR 20190145797 A KR20190145797 A KR 20190145797A KR 102076482 B1 KR102076482 B1 KR 102076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boundary
rainwater
sidewalk
d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건영
박정래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어반엘아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5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와 차도의 경계지점에서 식생도랑을 조성하면서 보/차도 양측으로부터 빗물의 유입구조를 이루게 조성하여 빗물의 효율적인 재활용 및 순환을 도모함을 제공하도록, 차도와 보도의 경계지점에 식생영역을 이루되 지반에 상하로 적층되어 빗물을 여과하는 여재층을 구비하며, 식생식물이 생장 가능하게 식재되는 식생도랑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보도 측에 형성하되 보도블록의 하부 지반을 조성하는 골재지지층과, 상기 골재지지층 상에 매립 설치하여 보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형성하는 L형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보도경계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차도 측에 형성하되 차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매립 설치하는 차도경계석을 구비한 차도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를 향한 빗물의 유입을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유입부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식생도랑부를 거친 빗물의 배수를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배수부를 포함하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Vegetation Ditch Structure Using a Boundary Block}
본 발명은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도와 차도의 경계지점에서 식생도랑을 조성하면서 보/차도 양측으로부터 빗물의 유입구조를 이루게 조성하여 빗물의 효율적인 재활용 및 순환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보행자와 주행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면서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로시설물로서, 도로 중 차도와 보도의 경계를 구분하도록 경계선상에 시공되는 다양한 유형의 경계석을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경계석은 초기에 차도와 보도 사이에 설치되는 단순한 경계석이나 가드레일를 적용하여 시공하였으나, 최근에는 차도와 인도를 보다 확실히 구분하면서 각종 나무나 화초를 심어 식생가능한 영역을 갖는 식생도랑을 구축하게 되었고, 식생도랑의 차도 측 또는 보도 측 경계선상에 경계석을 시공하여 조성되고 있다.
반면, 도시화와 인구집중에 따라 도로와 건물로 뒤덮이고,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전으로 토지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도로 및 산업단지 등 불투수층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비점오염물질에 의한 하천, 호소 등의 수질에 대한 악영향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비가 오면 빗물이 즉각적으로 포장된 도로와 우수관로를 따라 빠르게 이동하며, 이동하는 동안 도로의 많은 비점오염물질을 함께 담아 하천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지표면이 포장됨에 따라 흙을 통과해서 지하수가 되는 물의 양은 점점 줄어들고 고갈되어 버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과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71768호(2016.10.27.)에는 전단에 전처리조가 구비되는 침투도랑으로서, 상기 침투도랑은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처리대상수가 유입되고, 집중 강우 시에는 유입되는 처리대상수가 상기 침투도랑을 월류하여 상기 침투도랑의 후단에 형성된 유출수로로 배출되는 월류 유출형 침투도랑이고, 상기 월류 유출형 침투도랑은 여재 또는 쇄석을 포함하는 여재층을 포함하고 유입되는 처리대상수를 하부 지반으로 침투시키는 침투도랑으로서, 상기 침투도랑의 하부에는 다수의 침투공이 형성되어 처리수를 하부 지반으로 침투시키고, 상기 침투도랑은 집중 강우 시 처리대상수를 배수관로로 배출시키며, 상기 침투도랑에는 집중 강우 시에 유입수가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고 강우 중기 이후의 수질이 양호한 빗물은 별도의 처리 없이 신속하게 배제하기 위한 함침형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함침형 배출 수단은 유량이 많을 때 과대 유입수가 바이패스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함침형 빗물받이이고, 상기 함침형 빗물받이는 상기 침투도랑의 내측에는 설치되는 빗물받이이되, 상기 빗물받이는 상기 배수관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빗물받이의 높이는 상기 여재층의 높이보다는 높고 상기 침투도랑의 외부벽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초기 유입수는 상기 빗물받이로 유입되지 않으나, 많은 양의 유입수가 있는 경우 상기 침투도랑을 월류하기 전에 상기 빗물받이로 배출되게 구성함에 따라 많은 양의 강우유출수가 유입되는 경우에도 범람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침투도랑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333120호(2013.11.20.)에는 지중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방된 식재 및 여과공간을 가지는 박스형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와,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바닥보다 높고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상단보다 낮은 범위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집수공간을 가지는 박스형 집수챔버와,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식재 및 여과공간의 하층에 적층되는 하층 여재층과, 상기 하층 여재층의 상부에 적층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의 상부에 적층되며 그 상면이 상기 집수챔버의 상단보다 낮은 상층 여재층과, 상기 상층 여재층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식재 및 여과공간과 상기 집수챔버의 집수공간을 연결하는 1단계 월류통로 및 상기 집수챔버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집수챔버로 유입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는 바닥판체와 전후벽체 및 좌우벽체로 구성되며, 상기 집수챔버는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바닥판체보다 높고 전후벽체와 좌우벽체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는 집수챔버의 바닥판체와, 그 상단이 상기 가로수목 식재박스 몸체의 전후벽체와 좌우벽체의 상단보다 낮게 설치되는 전후벽체와 좌우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도로의 수목공간을 활용하여 물순환 환경 구축 및 비점오염물질의 처리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가로수목 식재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671768호의 경우에는 단순히 여재층 및 빗물받이만을 구비한 빗물처리 구조의 침투도랑을 조성하기 때문에 가로수와 같은 식생환경을 조성하기 어려우며, 보도 변에 조성되는 일반적인 가로수의 경우 차도나 보도로부터의 빗물 유입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 중 등록특허공보 제1333120호의 경우에는 보도나 차도와의 경계부분에 단순히 사각단면을 갖는 경계석을 설치하기 때문에 보도나 차도로부터 흐르는 빗물에 대해 식생도랑 즉 수목공간을 갖는 식재박스로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며, 식생도랑의 식생기능 및 도로 면의 빗물처리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모두 보도나 차도의 골재구조물에 대응하여 경계석과는 단순 접촉된 지지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외력에 따른 설치변형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71768호 (2016.10.27.)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33120호 (2013.11.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도와 차도의 경계지점에서 식생도랑을 조성하면서 보/차도 양측으로부터 식생도랑을 향하여 빗물이 자연 유입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강우시 차도 및 보도의 빗물 배수효율과 함께 식생도랑을 향한 급수효율을 높이고, 빗물의 순차적인 배수경로를 조성하여 빗물의 재활용 효율 및 순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식생도랑을 기준으로 양측에 매립 구조를 갖는 경계석을 구성하므로, 식생도랑을 향한 외압으로부터 설치변형을 방지한 채 구조물의 자체적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지점에 식생영역을 이루되 지반에 상하로 적층되어 빗물을 여과하는 여재층을 구비하며, 식생식물이 생장 가능하게 식재되는 식생도랑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보도 측에 형성하되 보도블록의 하부 지반을 조성하는 골재지지층과, 상기 골재지지층 상에 매립 설치하여 보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형성하는 L형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보도경계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차도 측에 형성하되 차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매립 설치하는 차도경계석을 구비한 차도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를 향한 빗물의 유입을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유입부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식생도랑부를 거친 빗물의 배수를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배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도랑부의 여재층은, 상부에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의 하부에 형성하되 빗물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식생쇄석층을 구비한다.
상기 여재층에는, 상기 차도경계부에 대응하여 상기 식생토양층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차도경계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 처리하는 스크린여과부를 구성한다.
상기 보도경계부의 L형 경계석은, 보도와의 경계선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계벽체와, 상기 경계벽체의 하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골재지지층 내 매설되는 매설지지단을 구비한다.
상기 경계벽체에는, 상단에 보도 면보다 상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하는 경계단부와, 상기 경계단부의 양쪽 끝단에 내측으로 오목하여 보도 면과 일치하고 보도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상기 식생도랑부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경로를 형성하는 빗물유입로를 구비한다.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 측에 상기 차도경계석을 매립 설치하게 오목한 단턱홈을 형성하는 기초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베이스층에는 상기 차도경계석 중 빗물유입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빗물유도홈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에 의하면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서 식생도랑을 조성하면서 보/차도 양측에서의 빗물 유입과 함께 빗물을 여과처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강우시 차도 및 보도의 빗물 배수효율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주변 식생환경을 조성하고, 차도 변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도로의 빗물처리효율을 증진시켜 보행자의 통행편의 및 도시환경개선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은 식생도랑을 기준으로 보/차도 측에 배치된 경계석을 매립 설치구조로 구성하므로, 식생도랑을 향한 외력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도모하면서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며 시설의 유지관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은 차도로부터 식생도랑을 향한 빗물의 유입영역과 식생도랑로부터 빗물의 배출영역을 구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식생도랑의 식생환경에 대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보도 측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차도 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지점에 식생영역을 이루되 지반에 상하로 적층되어 빗물을 여과하는 여재층을 구비하며, 식생식물이 생장 가능하게 식재되는 식생도랑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보도 측에 형성하되 보도블록의 하부 지반을 조성하는 골재지지층과, 상기 골재지지층 상에 매립 설치하여 보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형성하는 L형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보도경계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차도 측에 형성하되 차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매립 설치하는 차도경계석을 구비한 차도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를 향한 빗물의 유입을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유입부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식생도랑부를 거친 빗물의 배수를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배수부를 포함하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생도랑부(10)와, 보도경계부(20)와, 빗물유입부(36) 및 빗물배수부(38)를 구비하는 차도경계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도랑부(10)는 차도(CW)와 보도(SW)의 경계지점에서 보도(SW) 측 상에 구분된 식생영역을 조성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도랑부(10)는 상기 보도경계부(20) 및 상기 차도경계부(30)로 둘러 쌓인 식생영역을 조성하여 식생식물이 생장 가능하게 식재된다.
상기 식생도랑부(10)에는 지반에 상하로 구분 적층되어 빗물을 여과하는 여재층(11)을 구비한다.
상기 여재층(11)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에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토양층(12)과, 상기 식생토양층(12)의 하부에 형성하되 빗물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식생쇄석층(13)을 구비한다.
상기 여재층(11) 중 식생토양층(12)에는 일반적인 토양이나 마사토 및 화산석을 사용하여 구성가능하며, 특히 마사토로는 빗물의 여과기능과 함께 투수기능을 갖는 백마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백마사는 점토성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돌가루와 비슷한 상태의 흙으로, 배수성이 뛰어나고 흙속의 산소함유량이 높으며, 세근이 빨리 나오고 착근 형성이 용이하여 소나무 이식이나 정원수 식재 등에 사용되고, 특히 배수성이 뛰어나면서 부서진 면이 각지지 않고 부드럽다는 특징이 있어서 상기 식생토양층(12)으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쇄석층(13)은 상기 식생도랑부(10)에 대해 지지 가능한 기초 지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식생토양층(12)을 거친 빗물을 여과 배출시키게 구성한다.
상기 여재층(11)에는 상기 차도경계부(3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 처리하는 스크린여과부(15)를 구성한다.
상기 스크린여과부(15)는 상기 여재층(11)에서 상기 식생토양층(12)의 일측에 형성하되 상기 차도경계부(30)에 대응하여 구비토록 구성한다. 즉, 상기 스크린여과부(15)는 상기 차도경계부(30)의 빗물유입부(36)에 대응하여 상기 여재층(11) 중 식생토양층(12)에 매설하므로, 식생도랑을 향한 유입수 내 이물을 여과한다.
상기 스크린여과부(15)는 내측에 빗물의 이물질을 여과토록 채워지는 쇄석여과층(16)과, 상기 쇄석여과층(16)을 감싸 일체화하면서 빗물 내 이물질을 걸러주는 스크린망(17)으로 구성한다.
상기 보도경계부(20)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생도랑부(10)를 기준으로 보도(SW) 측 경계를 이루는 구조로서, 골재지지층(21) 및 L형 경계석(25)을 구성한다.
상기 골재지지층(21)은 보도(SW)의 지면을 조성하는 보도블록의 하부에 보도(SW)의 기초를 이루는 지반을 조성한다.
상기 골재지지층(21)은 보도블록으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을 배수 가능하게 공극을 갖는 쇄석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L형 경계석(25)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생도랑부(10)와 보도(SW)와의 경계선상에 상기 식생도랑부(10)의 영역 둘레를 따라 상호 접촉상태로 연속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L형 경계석(2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L"자 단면형상을 이루며, 상기 골재지지층(21) 상에 하단부가 매립 설치하며, 보도(SW) 측 상기 식생도랑부(10)와의 경계 벽면을 형성한다.
상기 L형 경계석(25)은 경계벽체(26) 및 매설지지단(27)으로 구성한다.
상기 경계벽체(26)는 보도(SW)와의 경계선상에 기립하여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매설지지단(27)은 상기 경계벽체(26)의 하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상기 L형 경계석(25)에서 상기 경계벽체(26)의 일부와 상기 매설지지단(27)이 상기 골재지지층(21)과 일체를 이루게 매설됨에 따라 상기 경계벽체(26)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지지토록 설치한다.
상기 경계벽체(26)에는 상단부에 경계단부(26a) 및 빗물유입로(26b)를 형성한다.
상기 경계단부(26a)는 상기 경계벽체(26)의 상단에 보도(SW) 면 보다 상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한다. 즉, 상기 경계단부(26a)는 보도(SW) 면 보다 상향 돌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식생도랑부(10)에 대한 명확한 경계를 확인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빗물유입로(26b)는 상기 경계단부(26a)의 양쪽 끝단에 내측으로 오목하여 보도(SW) 면과 일치한 수평면을 형성하고, 보도(SW)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상기 식생도랑부(10)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L형 경계석(25)의 경계벽체(26)에 보도(SW) 면보다 돌출된 노출구조를 조성하게 되면, 보행자로부터 식생도랑의 경계를 명확히 확인가능하며, 식생도랑에 대한 보도와의 명확한 경계를 표출하여 식생도랑 내 식재된 식생식물들을 보호하고, 나아가 빗물유입로(26b)로 보도의 빗물이 흐름 유입됨에 따라 보도의 원활한 배수효율과 함께 식생도랑의 원활한 자연 급수효율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차도경계부(3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생도랑부(10)를 기준으로 차도(CW) 측에 대응하여 형성한다.
상기 차도경계부(3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도(CW)와 동일 수평면을 조성토록 형성하는 기초베이스층(31)과, 차도(CW) 측 상기 식생도랑부(10)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매립 설치하는 차도경계석(3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기초베이스층(31)은 상기 식생도랑부(10) 측에 상기 차도경계석(35)을 매립 설치하게 오목한 단턱홈(32)을 형성한다.
상기 차도경계석(35)은 차도(CW) 측 상기 식생도랑부(10)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설치하되, 상기 기초베이스층(31)의 단턱홈(32)에 대응하여 매립 설치한다.
상기 차도경계부(3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식생도랑부(10)를 향한 빗물의 유입을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유입부(36)와, 상기 식생도랑부(10)를 거친 빗물의 배수를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배수부(38)를 구비한다.
상기 빗물유입부(36) 및 상기 빗물배수부(38)는 상기 식생도랑부(10)의 길이에 대응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한다.
상기 빗물유입부(36) 및 상기 빗물배수부(38)의 차도경계석(35)에는 빗물의 유출입을 위한 경로 즉 빗물진입로(37)와 빗물배수로(39)를 형성한다. 즉, 상기 빗물유입부(36)에는 차도(CW)로부터 흐르는 빗물이 상기 식생도랑부(10)를 향해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빗물진입로(37)를 형성하고, 상기 빗물배수부(38)에는 상기 식생도랑부(10) 내 빗물이 차도(CW) 측을 향해 유출될 수 있게 개방된 빗물배수로(39)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빗물배수부(38)는 일반적으로 차도(CW) 변에 설치되는 하수로와 인접하게 조성하므로, 상기 빗물배수로(39)로 유출된 빗물을 원활히 배수처리하게 된다.
상기 차도경계부(30)의 기초베이스층(31)에는 상기 차도경계석(35) 중 빗물유입부(36)의 차도경계석(35)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빗물유도홈(33)을 구성한다.
상기 빗물유도홈(33)은 상기 기초베이스층(31)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빗물유도홈(33)은 상기 기초베이스층(31)의 상면에 상기 빗물유입부(36)를 향한 사선형태로 형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에 의하면, 보도와 차도의 경계에서 식생도랑을 조성하면서 보/차도 양측에서의 빗물 유입과 함께 빗물을 여과처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강우시 차도 및 보도의 빗물 배수효율을 증진시킴과 동시에 주변 식생환경을 조성하고, 차도 변 물 고임 현상을 방지하면서 도로의 빗물처리효율을 증진시켜 보행자의 통행편의 및 도시환경개선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식생도랑을 기준으로 보/차도 측에 배치된 경계석을 매립 설치구조로 구성하므로, 식생도랑을 향한 외력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도모하면서 구조물의 변형을 방지하며 시설의 유지관리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차도로부터 식생도랑을 향한 빗물의 유입영역과 식생도랑로부터 빗물의 배출영역을 구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식생도랑의 식생환경에 대한 유지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W : 차도 SW : 보도
10 : 식생도랑부 11 : 여재층 12 : 식생토양층
13 : 식생쇄석층 15 : 스크린여과부 16 : 쇄석여과층
17 : 스크린망 20 : 보도경계부 21 : 골재지지층
25 : L형 경계석 26 ; 경계벽체 26a : 경계단부
26b : 빗물유입로 27 : 매설지지단 30 : 차도경계부
31 : 기초베이스층 32 : 단턱홈 33 : 빗물유도홈
35 : 차도경계석 36 : 빗물유입부 37 : 빗물진입로
38 : 빗물배수부 39 : 빗물배수로

Claims (6)

  1. 차도와 보도의 경계지점에 식생영역을 이루되 지반에 상하로 적층되어 빗물을 여과하는 여재층을 구비하며, 식생식물이 생장 가능하게 식재되는 식생도랑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보도 측에 형성하되 보도블록의 하부 지반을 조성하는 골재지지층과, 상기 골재지지층 상에 매립 설치하여 보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형성하는 L형 경계석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보도경계부와;
    상기 식생도랑부를 기준으로 차도 측에 형성하되 차도 측 상기 식생도랑부와의 경계 벽면을 이루게 매립 설치하는 차도경계석을 구비한 차도경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를 향한 빗물의 유입을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유입부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식생도랑부를 거친 빗물의 배수를 유도 가능하게 형성하는 빗물배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생도랑부의 여재층은, 상부에 식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생토양층과, 상기 식생토양층의 하부에 형성하되 빗물을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식생쇄석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여재층에는, 상기 차도경계부에 대응하여 상기 식생토양층의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차도경계부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여과 처리하는 스크린여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도경계부의 L형 경계석은, 보도와의 경계선상에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계벽체와, 상기 경계벽체의 하단부에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하여 상기 골재지지층 내 매설되는 매설지지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체에는, 상단에 보도 면보다 상향 연장하여 돌출 형성하는 경계단부와, 상기 경계단부의 양쪽 끝단에 내측으로 오목하여 보도 면과 일치하고 보도를 따라 흐르는 빗물이 상기 식생도랑부로 유입될 수 있게 개방된 경로를 형성하는 빗물유입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도경계부에는, 상기 식생도랑부 측에 상기 차도경계석을 매립 설치하게 오목한 단턱홈을 형성하는 기초베이스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초베이스층에는 상기 차도경계석 중 빗물유입부에 대응하여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하는 빗물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1020190145797A 2019-11-14 2019-11-14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102076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97A KR102076482B1 (ko) 2019-11-14 2019-11-14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797A KR102076482B1 (ko) 2019-11-14 2019-11-14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482B1 true KR102076482B1 (ko) 2020-02-13

Family

ID=69515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797A KR102076482B1 (ko) 2019-11-14 2019-11-14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4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1069A1 (zh) * 2020-07-28 2022-02-03 韩春俏 一种植被养护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987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20110025364A (ko) * 2009-09-04 2011-03-10 최영호 정화용 도로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배수구조물
KR20130070071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130091900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도로공사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333120B1 (ko) 2011-01-03 2013-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1671768B1 (ko) 2016-03-21 2016-11-03 주식회사 에코스타 빗물받이 함침형 침투도랑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0987A (ko) * 2008-05-21 2009-11-25 주식회사 자연과건설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측구
KR20110025364A (ko) * 2009-09-04 2011-03-10 최영호 정화용 도로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도로의 배수구조물
KR101333120B1 (ko) 2011-01-03 2013-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20130070071A (ko) * 2011-12-19 2013-06-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가로수목 식재 박스
KR20130091900A (ko) * 2012-02-09 2013-08-20 한국도로공사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101671768B1 (ko) 2016-03-21 2016-11-03 주식회사 에코스타 빗물받이 함침형 침투도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1069A1 (zh) * 2020-07-28 2022-02-03 韩春俏 一种植被养护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77132A (zh) 道路下沉式绿化带及施工方法
KR101510615B1 (ko)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CN107044081B (zh) 生态型街道排水结构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101333120B1 (ko) 가로수목 식재박스 및 이를 이용한 물 순환 환경 구축을 위한 가로 수목 공간 조성 구조
KR102076482B1 (ko) 경계석을 이용한 보차도 간격설치 식생도랑 구조물
KR102194284B1 (ko) 저영향개발시설의 식물재배화분
KR101282914B1 (ko) 비투수성 도로의 배수시스템
JPH06146380A (ja) 浸透桝を埋設する道路構築工法
JP2002061105A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および道路における排水処理構造
JP2008255757A (ja) 流出抑制街渠工
JP2886528B1 (ja) 多目的街渠構造
JPH033010B2 (ko)
JPH0786247B2 (ja) 複合機能型側溝
KR102051860B1 (ko) 보도용 배수 트렌치
JPH08205691A (ja) 植樹帯
JP4250719B2 (ja) 境界導水溝ブロック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377744B1 (ko) 저영향개발 침투도랑을 조합한 식물재배화분
BE1019528A5 (nl) Dal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dal en hemelwaterafvoersysteem voorzien van zulke dal.
JPH10183729A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CN218893916U (zh) 一种园林道路雨水回渗结构
JPH0699954B2 (ja) 複合機能型側溝
JP6198592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境界ブロック
CN216786743U (zh) 一种智慧海绵城市全透水沥青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