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3288B1 -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 Google Patents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3288B1
KR101323288B1 KR1020130084015A KR20130084015A KR101323288B1 KR 101323288 B1 KR101323288 B1 KR 101323288B1 KR 1020130084015 A KR1020130084015 A KR 1020130084015A KR 20130084015 A KR20130084015 A KR 20130084015A KR 101323288 B1 KR101323288 B1 KR 10132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filtration
pipe
penetrating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변주
백영석
이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Priority to KR1020130084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3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3Naturals or landscape retention bodies, e.g. p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도로의 일측에서 도로로부터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유입부와, 빗물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초기빗물 처리 여부에 따라 거름통 또는 거름망 형태를 가지는 거름부와, 침전조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상기 침전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1차 침투지와, 침전조 및 1차 침투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와, 저류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2차 침투지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침전성 오염물질 및 부유성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집중 호우시에도 빗물의 저장과 침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청천시에도 다양한 용도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도시 물순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PENETRATION TYPE RAIN WATER TREATMENT AND REU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빗물의 저장과 침투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특히 침전성 오염물질 및 부유성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제거한 후 토양으로 침투시키고 또한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특히 도시 지역에서는 불투수층으로 된 도로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도로들로 인해 각종 오염물들이 도로에 많이 축적되고, 이러한 오염물들은 강우시 비점오염원이 되어 하천으로 유출되어 하천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원 물질의 발생원은 크게 점오염원(또는 점오염물질)과 비점오염원(또는 비점오염물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점오염물질은 생활하수, 공장폐수, 산업폐수와 같이 비교적 일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강우시 또는 비강우시 배출량에 큰 변동이 없는 반면, 비점오염물질은 강우시 지표면 유출수와 함께 유출되는 오염물질로서 도시의 먼지와 각종 생활 쓰레기, 농지에 살포된 비료 및 농약, 토양 침식물, 축사유출물, 대기강하물 등을 의미하며 이는 넓은 지역으로 유출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계절간 배출량의 변화가 크고, 예측과 정량화가 어려우며, 기상조건, 지형, 지질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인위적 조절이 어려운 실정이다.
강우시, 불투수층으로 된 도로들이 곳곳에 존재하는 도시 지역에서 빗물의 대부분은 지표면 아래의 토양으로 침투되지 못하고, 우수관거나 하수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하수 처리장으로 유입되어 처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폭우, 집중호우로 인하여 대량의 강우 유출량이 발생하는 경우, 우수관거나 하수관거의 용량을 초과하는 사태가 발생되고, 그 결과 도시 침수뿐만 아니라 하천의 범람 등과 같은 재해가 유발된다.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종래 기술 중 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0910(2012년 04월 30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도로의 지면 상에 설치되는 그레이팅(grating)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수를 처리하는 초기 우수 처리형 빗물받이로서, 하부에 다수의 필터층을 설치하고, 필터층의 하부와 지중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초기 우수의 이물질을 여과한 후 지중으로 배수함으로써 지하수의 고갈을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이 개시되어 있다. 비점오염물질의 처리에 있어서, 위의 종래 기술과 같이 비교적 토지 이용에 제한이 적은 장치형 시설을 주로 이용하는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방안들은 지하매설물 설치에 있어서 초기 비용이 많이 투입됨에도 불구하고, 비점오염물질 제거에는 그다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해 왔으며, 대부분 물리적인 처리에 국한되어 왔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종래의 처리시설만으로는 빗물에 혼합된 여러 가지 협잡물(예, 부유물질(suspended solid), 유분, 침전성 오염물질 등)을 여과시켜 지중으로 배수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또한, 비점오염물질은 도로, 주거지역, 농촌지역 등 토지이용 특성에 따라 유출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의 선정시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도로면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은 차량 등의 이동에 따라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고 중금속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특성을 가지므로 초기 유출 부하량이 수계 및 하수처리시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도로면의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의 경우 여유부지 확보가 어렵고 차량사고에 대비한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기능적으로나 경관적으로 설치효과가 높은 시설 적용에 대한 기대가 높은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40910(공개일자 : 2012.04.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침전성 오염물질과 부유성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빗물과 함께 도로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집중 호우 발생시에도 빗물의 저장과 침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청천시에는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도로의 일측에서 도로로부터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유입부, 상기 빗물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초기빗물 처리 여부에 따라 거름통 또는 거름망 형태를 가지는 거름부, 상기 침전조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상기 침전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1차 침투지, 상기 침전조 및 상기 1차 침투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2차 침투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를 위해 개방가능한 점검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1,2차 침투지의 외곽에서 상기 1,2차 침투지를 통과하는 빗물이 토양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토양침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양침투부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1차 침투지 및 침전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을 상기 1차 침투지 및 상기 침전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1차 투수 매트와, 상기 1차 침투지와 상기 저류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상기 저류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2차 투수 매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 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일단은 상기 침전조와 상기 1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침전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1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 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저류조와 상기 2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저류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2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거름부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결하는 거름부연결관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거름부연결관은 상기 침전조의 바닥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우수관로연결관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저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우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침전조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상기 침전조 내에 유입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침투지 상부의 조경 식생부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가 1차 침투지의 자갈층까지 생장하면 수목의 뿌리가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도로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도로로부터 빗물을 유입시켜, 유입되는 빗물이 우수관로로 유출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되는 빗물 중 일부를 월류시키는 빗물유입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월류된 빗물을 저장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부, 상기 침전조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상기 침전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1차 침투지, 상기 침전조 및 상기 1차 침투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2차 침투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를 위해 개방가능한 점검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1,2차 침투지의 외곽에서 상기 1,2차 침투지를 통과하는 빗물이 토양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토양침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토양침투부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1차 침투지 및 침전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을 상기 1차 침투지 및 상기 침전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1차 투수 매트와, 상기 1차 침투지와 상기 저류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상기 저류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2차 투수 매트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저류조와 상기 2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저류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2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저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우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상기 침전조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상기 침전조 내에 유입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1차 침투지 상부의 조경 식생부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가 1차 침투지의 자갈층까지 생장하면 수목의 뿌리가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은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빗물 유입부에 침전조를 설치하여 빗물받이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침전성 오염물질 및 부유성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의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점검구를 통하여 침전조의 내부 상태를 점검할 수 있고, 여과망 및 거름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시설의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의 침투조와 저류조를 구성함으로써 집중 호우 발생시에도 빗물의 저장과 침투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청천시에도 다양한 용도로 재이용이 가능하여 도시 물순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도로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수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도로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수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대응되는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에서 우수공급펌프를 추가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의도로 예시된 것이지,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제시된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특히,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은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일 구간을 절취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면들에서 각 구성요소의 폭, 치수, 상대적인 스케일 등은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형태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도로와 보도 사이에 설치된 상태의 수직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대응되는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로(차도)(1)와 보도(2),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조경 식생부(10a;10a1, 10a2))를 고려하여 설치된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인 도로(1)와 보도(2) 사이의 공간은 조경 식생부(10a)의 하부에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과 설치되지 않는 구간(10a2)으로 구분된다. 즉, 길이 방향으로 볼 때(도 2 참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과 설치되지 않는 구간(10a2)이 교대로 단속적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조경 식생부(10a) 중 천근성 수목이나 화초, 잔디 등이 식재되는 구간에 설치될 수도 있고, 조경 식생부(10a) 중 심근성 수목이 식재되는 구간에도 설치될 수 있다.
도로(1)와 보도(2) 사이의 공간 중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의 수직 구조를 살펴보면, 위에서부터 조경식생부(10a), 침투식생부(10b) 및 저류침투부(10c)로 구분된다.
조경식생부(10a)는 토양으로 구성되어 조경을 위한 식물들이 식재되는 부분이며, 침투식생부(10b)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들을 1차적으로 걸러내어 우수관로(5) 측으로 유출시킬 뿐만 아니라, 저비중의 부유성 오염물질들을 제거하여 하부의 저류침투부(10c) 측으로 내려보내는 부분이며, 저류침투부(10c)는 침투식생부(10b)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우수관로(5) 측으로 내보내거나 최종적으로 여과시켜 토양층(7)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침투식생부(10b) 및 저류침투부(10c)에 관한 구성이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핵심이므로, 이하에서는 이에 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빗물유입부(100), 침전조(110), 거름부(120), 1차 침투지(130), 저류조(140) 및 2차 침투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빗물유입부(100)는 불투수층인 도로(1)의 일측에 위치하여 도로(1)와 조경식생부(10a) 간을 구별하는 도로 경계석으로서의 역할도 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도로 경계석(106)과 함께 도로 경계석(106) 자리에 일렬로 배열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그 수직 구조에서, 침전조(110), 거름부(120) 및 1차 침투지(130)는 침투식생부(10b)를 구성하며, 저류조(140) 및 2차 침투지(150)는 저류침투지(10c)를 구성한다.
빗물유입부(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로(1)의 경계를 한정하는 도로 경계석으로서도 기능하며, 그 형상은, 예를 들어, 기존의 통상적인 직육면체 형태의 도로 경계석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빗물이 도로로부터 유입될 수 있도록 도로(1) 측으로 향하게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102)이 마련된다. 그리하여, 도로(1) 측으로부터 빗물과 협잡물이 함께 이 스틸 그레이팅(102,104)을 통해 유입된 후, 침전조(110)에 저장된다. 빗물유입부(110)에 마련되는 스틸 그레이팅(102)은 통상적인 스틸 그레이팅 뿐만 아니라, 빗물이 침전조(110)로 잘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다.
침전조(110)는 빗물유입부(100)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부분으로서, 침전조(110)의 벽체(112, 114) 및 바닥(11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침전조(110)의 바닥(116)은, 거름부(120)에 가까울수록 수평 높이가 더 낮게 형성된다. 설명에서, 편의상 침전조(110)는 벽체들(112, 114) 및 바닥(116)으로 한정되는 공간뿐만이 아니라 벽체들(112, 114)을 상측으로 연장할 때, 투수 매트(180) 아래의 전체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거름부(120)는 침전조(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침전조(110)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부분이다.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은 이 거름부(120)에 침전 또는 퇴적된다. 거름부(120)에 의한 거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침전조(110)의 바닥(116)은 거름부(120) 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거름부(120)는 침전조(110)의 바닥(116)을 관통하는 거름부연결관(125)에 의해 우수관로(5)와 연통될 수 있다. 거름부(120)는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빗물과 함께 유입된 침전성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거름부(120)를 침전조(110)의 바닥(116)으로부터 분리하여 거름부(120)의 청소 작업을 수행한 후, 원위치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침전조(110) 내에 정체된 빗물이 거름부연결관(125)을 통해 우수관로(5)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거름부(120)는 거름통 형태일 수도 있고, 거름망 형태일 수도 있다. 거름부(120)가 거름망 형태인 경우, 초기 빗물을 우수관로(5)로 배출시키기에 효과적일 수 있다.
1차 침투지(130)는 침전조(110)에 저장되는 빗물이 거름부(120)가 오염물질에 의해 막혀 정체되어 월류하는 경우, 침전조(110)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침투지(130)는 침전조(110)와 구획되게 나란히 위치하여, 침전조(110)로부터 월류하는 빗물에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시켜 제거한다.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 및 여과시키기 위해, 1차 침투지(130)는 모래층과 자갈층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침투지(130)를 구성하는 자갈층과 모래층은 여과 및 흡착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공극률은 대체로 25%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빗물이 침전조(110)로부터 1차 침투지(130)로 유입되는 경로 상에는 여과망(135)이 구비된다. 이 여과망(135)에 의해, 협잡물의 1차 침투지 유입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1차 침투지(130) 상부의 조경 식생부(10a)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가 1차 침투지(130)의 자갈층까지 생장하면 수목의 뿌리가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저류조(140)는 침전조(110)와 1차 침투지(130)의 아래에 위치하여 1차 침투지(130)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저류조(140)의 벽체(142, 144) 및 바닥(14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1차 침투지(130)를 통과한 후 저류조(140)에 저장되는 빗물은 청천시, 청소용수, 살수용수 및 조경용수 등으로 재이용될 수 있다.
2차 침투지(150)는 저류조(140)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한다. 2차 침투지(150)는 주로 자갈층으로 구성되고, 대체로 25~40% 정도의 공극률을 갖도록 구성되어, 인접한 토양(7)으로의 침투에 용이하도록 한다. 2차 침투지(150)에 의한 인접 토양(7)으로의 침투량보다 저류조(140)의 월류량이 더 많을 경우, 저류조(140) 내의 빗물은 배수관(192)(이하의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 참조)을 통하여 우수관로(5)로 배출된다.
나아가,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침전조(110)의 상태 점검을 위한 점검구(160)를 더 구비한다. 점검구(160)는 침전조(110) 내부의 상태를 점검하여 청소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방가능한(또는 개폐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침전조(110) 내부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뿐만 아니라 침전조(110) 내에서 1차 침투조(130)로 월류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여과망(135)과, 침전조(110)의 바닥(116)에 위치한 거름부(120)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를 위해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2차 침투지(150)의 외곽에서 2차 침투지(150)를 통과하는 빗물이 토양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토양침투부(170;170a, 170b, 170c)를 더 포함한다. 이 토양침투부(170)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으로 제작될 수 있다(도 3을 참조하면, 토양침투부(170)의 공은 170a1, 170b1, 170c1으로 도시되어 있음). 또한 토양침투부(170)는 별도로 외부에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다.
나아가, 토양침투부(170)는 1차 침투지(130)의 외곽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3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3에서 2차 침투지(150)의 일 측벽 역할을 하는 토양침투부(170a)의 위로 더 연장되게 1차 침투지(130)의 측벽(132)이 형성되어, 이 측벽(132)에 복수 개의 공이 형성되어 1차 침투지(130)로부터 그 인접 토양(7)으로 빗물이 침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1차 침투지(130)와 침전조(1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 즉 조경식생부(10a)로부터 빗물이 스며들도록 하여, 스며드는 빗물이 1차 침투지(130) 및 침전조(110)로 유입되도록 하는 1차 투수 매트(180)와, 1차 침투지(130)와 저류조(140) 사이에 위치하여 1차 침투지(130)에 의해 흡착 및 여과 단계를 거친 빗물이 저류조(140)로 유입되도록 하는 2차 투수 매트(182)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1차 침투지(130)와 침전조(110)의 상부의 투수 매트(180)는 조경식생부(10a)와 침투식생부(10b)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이고, 1차 침투지(130)와 저류조(140) 사이의 투수 매트(182)는 침투식생부(10b)와 저류침투부(10c)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들 투수 매트들(180, 182)은 복수 개의 공(180a, 182a)이 형성된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별도로 외부에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두 개의 우수관로연결관(190, 192)을 포함한다. 두 개의 우수관로연결관(190, 192) 중 침전조(110)와 우수관로(5) 간을 연통시키는 제1 우수관로연결관(190)은 침전조(110) 내 빗물의 일부를 우수관로(5)로 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우수관로연결관(190)의 일단(190a)은 침전조(110)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높이, 즉, 침전조(110)와 1차 침투지(130) 사이의 벽체(114)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하고, 타단(190b)은 우수관로(5) 측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1차 침투지(130)에 의한 침투 및/또는 저류조(140) 측으로의 빗물 배출이 정체되는 경우, 침전조(110) 내의 빗물의 일부가 우수관로(5)로 유출될 수 있다. 설명에서, 편의상 침전조(110)는 벽체들(112, 114) 및 바닥(116)으로 한정되는 공간뿐만이 아니라 벽체들(112, 114)을 상측으로 연장할 때, 투수 매트(180) 아래의 전체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은 저류조(140)와 우수관로(5) 간을 연통시켜, 저류조(140) 내의 빗물의 일부를 우수관로(5)로 유출시킨다. 따라서,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의 일단(192a)은 저류조(140)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높이, 즉 저류조(140)와 2차 침투지(150) 사이의 벽체(144)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하고, 타단(192b)은 우수관로(5) 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2차 침투지(150)에 의해 인접 토양(7)으로의 침투가 정체되는 경우, 저류조(140) 내의 빗물의 일부가 우수관로(192)로 유출된다.
나아가, 앞서 설명한 거름부(120)와 우수관로(5) 간을 연통시키는 거름부연결관(125)이 침전조(110)와 저류조(140) 사이의 바닥 벽체(116), 즉 침전조(110)의 바닥을 관통한 후, 이 거름부연결관(125)이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내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의 직경이 거름부연결관(12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거름부연결관(125)이 제2 우수관로연결관(192)의 내에 포함되도록 하여, 거름부(120)에 의해 걸러진 초기 빗물과 저류조(140) 내의 빗물 중 일부가 합류되어 우수관로(5)로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저류조(14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공급펌프(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공급펌프(500)에 의해, 저류조(140) 내에 저장된 빗물을 배관(550)을 통해 펌핑하여 청천시, 청소용수, 살수용수 및 조경용수 등으로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조경식생부(10a), 침투식생부(10b) 및 저류침투부(10c)로 구분하여 다시 한번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조경식생부(10a)와 침투식생부(10b)의 경계에는 투수매트(180)가 구비되어, 빗물유입부(100)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조경식생부(10b)로 스며든 빗물도 또한 침투식생부(10b)로 흘러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침투식생부(10b) 측으로 유입된 빗물은 먼저 침전조(110)로 유입되고, 침전조(110)를 월류하는 빗물은 1차침투지(130)로 유입된다. 침전조(110)의 바닥은 거름부(120) 측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침전물이 침전조의 바닥(116) 및 거름부(120)에 잘 모이도록 한다. 침전조(110)의 바닥에 설치된 거름부(120)는 바닥에 축적되는 침전물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침전조(110)의 상부에는 점검구(160)가 구비되며, 이 점검구(160)를 통하여 침전조(110)에 축적되는 토사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거름부(120)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110)의 바닥면(116)에는 우수관로(5) 측으로 연결된 거름부연결관(125)이 구비되어 있다. 거름부(120)를 바닥면(116)에서 분리시킴으로써, 침전조(110) 내에 정체된 빗물을 우수관로(5)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전조(110)는 빗물받이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며, 거름부(120)를 통해 초기빗물을 우수관로(5) 측으로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조경식생부(10a)와 조화되게 설치함으로써, 토양층으로 구성된 조경식생부(10a)에는 식물의 식재를 통해 경관을 조성하고,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통해 빗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2차 침투지(150)를 통해 토양(7) 속으로 빗물을 침투시겨 오염원이 제거된 지하수 생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빗물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의 물순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도 또한 도로(1)와 보도(2),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한 조경 식생부(10a) 등을 고려하여 설치되며, 도로(1)와 보도(2) 사이의 공간은 조경 식생부(10a)의 하부에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과 설치되지 않은 구간(10a2)으로 구분된다. 즉, 길이 방향으로 보면,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과 설치되지 않은 구간(10a2)이 교대로 단속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도로(1)와 보도(2) 사이의 공간 중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가 설치되는 구간(10a1)의 수직 구조를 살펴보면, 위에서부터 조경식생부, 침투식생부 및 저류침투부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에 관하여는 앞서 도 3의 10a, 10b, 10c로 표시된 참조부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도 5 내지 도 8에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다.
조경식생부(10a)는 토양(7) 측으로 구성되어 조경을 위한 식물들이 식재되는 부분이며, 침투식생부(10b)는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오염물질들을 1차적으로 걸러내어 우수관로(5) 측으로 유출시킬 뿐만 아니라, 저비중의 부유성 오염물질들을 제거하여 하부의 저류침투부(10c) 측으로 내려보내는 부분이며, 저류침투부(10c)는 침투식생부(10b)로부터 유입된 빗물을 우수관로(5) 측으로 내보내거나 최종적으로 여과시켜 토양(7) 층으로 침투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빗물유입부(200), 침전조(210), 1차 침투지(230), 저류조(240) 및 2차 침투지(250)를 포함한다. 수직 구조에서, 침전조(210) 및 1차 침투지(230)는 침투식생부(10b)를 구성하며, 저류조(240) 및 2차 침투지(250)는 저류침투지(10c)를 구성한다. 더 나아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침전조(210)의 바닥에 거름부(2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실시예에서, 거름부(220)와 우수관로(5) 간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즉, 거름부(220)가 마련되더라도 폐쇄된 상태로 설치된다.
빗물유입부(200)는 도로(1)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도로(1)로부터 빗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유입되는 초기 빗물은 빗물유입부(200)에 연결된 제1 우수관로연결관(208)에 의해 우수관로(5)로 유출된다. 이후, 빗물유입부(200)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협잡물에 의해 빗물의 우수관로(5)로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빗물유입부(200)로 유입되는 빗물 중 일부는 빗물유입부(200)로부터 월류된다. 빗물유입부(200)로의 월류는 빗물유입관(204)을 통해서일 수 있다. 빗물유입부(200)는 도로(1)의 일측에 위치하며, 스틸 그레이팅(steel grating)(202)을 구비한다. 이러한 스틸 그레이팅(202) 구조 뿐만 아니라, 빗물을 유입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다른 구조물도 가능하다. 도면부호 206은 도로 경계석을 나타낸 것이다.
침전조(210)는 빗물유입부(200)를 통해 유입된 빗물, 즉 빗물유입부(200)로부터 월류한 빗물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침전조(210)의 벽체(212, 214) 및 바닥(21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1차 침투지(230)는 침전조(210)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침전조(210)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침투지(230)는 침전조(210)와 구획되게 나란히 위치하여, 침전조(210)로부터 월류하는 빗물에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시켜 제거한다.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흡착 및 여과시키기 위해, 1차 침투지(230)는 모래층과 자갈층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침투지(230)를 구성하는 자갈층과 모래층은 여과 및 흡착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해 공극률은 대체로 25% 정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빗물이 침전조(210)로부터 1차 침투지(230)로 유입되는 경로 상에는 여과망(235)이 구비된다. 이 여과망(235)에 의해, 협잡물의 1차 침투지 유입이 제어된다. 또한, 상기 1차 침투지(230) 상부의 조경 식생부(10a)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가 1차 침투지(230)의 자갈층까지 생장하면 수목의 뿌리가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저류조(240)는 침전조(210)와 1차 침투지(230)의 아래에 위치하여 1차 침투지(230)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부분으로서, 저류조(240)의 벽체(242, 244) 및 바닥(246)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콘크리트일 수 있으며, 콘크리트는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된 후 설치될 수도 있다. 1차 침투지(230)를 투과한 후 저류조(240)에 저장되는 빗물은 청천시, 청소용수, 살수용수 및 조경용수 등으로 재이용될 수 있다.
2차 침투지(250)는 저류조(240)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한다. 2차 침투지(250)는 주로 자갈층으로 구성되고, 대체로 25~40% 정도의 공극률을 갖도록 구성되어, 인접한 토양(7)으로의 침투에 용이하도록 한다. 2차 침투지(250)에 의한 인접 토양(7)으로의 침투량보다 저류조(240)의 월류량이 더 많을 경우, 저류조(240) 내의 빗물은 배수관(292)(이하의 제2 우수관로연결관(292) 참조)을 통하여 우수관로(5)로 배출된다.
나아가,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침전조(210)의 상태 점검을 위한 점검구(260)를 더 구비한다. 점검구(260)는 침전조(210) 내부의 상태를 점검하여 청소하기에 용이하도록 개방가능한(또는 개폐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침전조(210) 내부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뿐만 아니라 침전조(210) 내에서 1차 침투조(230)로 월류하는 경로 상에 위치한 여과망(235)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를 위해 개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2차 침투지(250)의 외곽에서 2차 침투지(250)를 통과하는 빗물이 토양(7)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토양침투부(270;270a, 270b, 270c)를 더 포함한다. 이 토양침투부(270)는 복수 개의 공(270a1, 270b1, 270c1)을 갖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별도로 외부에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다.
나아가, 토양침투부(270)는 1차 침투지(230)의 외곽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7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7에서 2차 침투지(250)의 일 측벽 역할을 하는 토양침투부(270a)의 위로 더 연장되게 1차 침투지(230)의 측벽(232)이 형성되고, 이 측벽(232)에 복수 개의 공이 형성되어 1차 침투지(230)로부터 그 인접 토양(7)으로 빗물이 침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1차 침투지(230)와 침전조(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 빗물이 스며들도록 하여, 스며드는 빗물이 1차 침투지(230) 및 침전조(210)로 유입되도록 하는 1차 투수 매트(280)와, 1차 침투지(230)와 저류조(240) 사이에 위치하여 1차 침투지(230)에 의해 흡착 및 여과 단계를 거친 빗물이 저류조(240)로 유입되도록 하는 2차 투수 매트(282)를 포함한다. 전체적으로 보면, 1차 침투지(230)와 침전조(210)의 상부의 투수 매트(280)는 조경식생부(10a)와 침투식생부(10b)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이고, 1차 침투지(230)와 저류조(240) 사이의 투수 매트(282)는 침투식생부(10b)와 저류침투부(10c)의 경계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들 투수 매트들(280, 282)은 복수 개의 공(280a, 282a)을 갖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별도로 외부에서 제작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현장에서 타설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제2 우수관로연결관(292)을 더 구비한다. 제2 우수관로연결관(292)은 저류조(240)와 우수관로(5) 간을 연통시켜, 저류조(240) 내의 빗물의 일부를 우수관로(5)로 유출시킨다. 따라서, 제2 우수관로연결관(292)의 일단은 저류조(240)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높이, 즉 저류조(240)와 2차 침투지(250) 사이의 벽체(244)의 높이보다 더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5) 측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여, 2차 침투지(250)에 의해 인접 토양(7)으로의 침투가 정체되는 경우, 저류조(240) 내의 빗물의 일부를 우수관로(5)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저류조(240)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수공급펌프(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공급펌프(500)에 의해, 저류조(240) 내에 저장된 빗물을 배관(550)을 통해 펌핑하여 청천시, 청소용수, 살수용수 및 조경용수 등으로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조경식생부(10a), 침투식생부(10b) 및 저류침투부(10c)로 구분하여 다시 한번 전체적으로 설명하면, 조경식생부(10a)와 침투식생부(10b)의 경계에는 투수매트(280)가 구비되어, 빗물유입부(200)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조경식생부(10a)로 스며든 빗물이 침투식생부(10b)로 흘러들어가도록 유도한다. 침투식생부(10b) 측으로 유입된 빗물은 먼저 침전조(210)로 유입되고, 침전조(210)를 월류하는 빗물은 1차 침투지(230)로 유입된다. 침전조(210)의 상부에는 점검구(260)가 구비되며, 이 점검구(260)를 통하여 침전조(210)에 축적되는 토사 등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관리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도 침전조(210)의 바닥(216)에 거름부(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침전조(210)의 바닥(216)이 거름부(220) 측으로 갈수록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침전물이 바닥(216) 및 거름부(220)에 잘 모이도록 하여, 침전조의 바닥(216)에 설치된 거름부(220)를 이용하여 바닥에 축적되는 침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조경식생부(10a)와 조화되게 설치함으로써, 토양층으로 구성된 조경식생부(10a)에는 식물의 식재를 통해 경관을 조성하고,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통해 빗물에 혼합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는 2차 침투지(240)를 통해 토양(7) 속으로 빗물을 침투시겨 오염원이 제거된 지하수 생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빗물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도시의 물순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이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조합한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될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200 : 빗물 유입부
110, 210 : 침전조
120, 220 : 거름부
130, 230 : 1차 침투지
135, 235 : 여과망
140, 240 : 저류조
150, 250 : 2차 침투지
160, 260 : 점검구
170, 270 : 토양 침투부
180, 182, 280, 282 : 투수 매트
190, 192, 290, 292 : 우수관로연결관
500 : 우수공급펌프

Claims (11)

  1. 도로의 일측에서 도로로부터 빗물을 유입시키는 빗물유입부;
    상기 빗물유입부를 통해 유입된 빗물을 저장하고 빗물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초기빗물 처리 여부에 따라 거름통 또는 거름망 형태를 가지는 거름부;
    상기 침전조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상기 침전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1차 침투지;
    상기 침전조 및 상기 1차 침투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2차 침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2. 도로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도로로부터 빗물을 유입시켜, 유입되는 빗물이 우수관로로 유출되도록 하고, 상기 유입되는 빗물 중 일부를 월류시키는 빗물유입부;
    상기 빗물유입부로부터 월류된 빗물을 저장하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침전조 내로 빗물과 함께 유입되는 침전성 오염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거름부;
    상기 침전조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우, 상기 침전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1차 침투지;
    상기 침전조 및 상기 1차 침투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저장하는 저류조; 및
    상기 저류조를 월류하는 빗물에 혼합된 부유성 오염물질을 2차적으로 흡착 및 여과하는 2차 침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상태 점검 또는 청소를 위해 개방가능한 점검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2차 침투지의 외곽에서 상기 1,2차 침투지를 통과하는 빗물이 토양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토양침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토양침투부는 다공성 플라스틱 또는 다공성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침투지 및 침전조의 상부에 위치하여 지면으로부터 스며드는 빗물을 상기 1차 침투지 및 상기 침전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1차 투수 매트와,
    상기 1차 침투지와 상기 저류조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1차 침투지를 통과한 빗물을 상기 저류조로 유입시키기 위한 2차 투수 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침전조와 상기 1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침전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침전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1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 처리 및 재이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저류조와 상기 2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저류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2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저류조와 상기 2차 침투지 사이의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하고, 타단은 우수관로 측으로 연결되어, 상기 저류조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통시켜 상기 저류조 내의 빗물의 일부를 상기 우수관로로 유출하기 위한, 제2 우수관로연결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름부와 상기 우수관로 간을 연결하는 거름부연결관은 상기 침전조의 바닥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우수관로연결관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 내에 저장된 빗물을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우수공급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 내에 저장되는 빗물이 월류하는 경로 상에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상기 침전조 내에 유입된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침투지 상부의 조경 식생부에 식재된 수목의 뿌리가 1차 침투지의 자갈층까지 생장하면 수목의 뿌리가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오염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20130084015A 2013-07-17 2013-07-17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132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015A KR101323288B1 (ko) 2013-07-17 2013-07-17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015A KR101323288B1 (ko) 2013-07-17 2013-07-17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3288B1 true KR101323288B1 (ko) 2013-10-29

Family

ID=4963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015A KR101323288B1 (ko) 2013-07-17 2013-07-17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3288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101510615B1 (ko) * 2014-09-19 2015-04-09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528889B1 (ko) * 2014-12-02 2015-06-16 (주)성보기술 인공토양여재를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56668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CN106013389A (zh) * 2016-07-13 2016-10-12 黑龙江省九0四环境工程勘察设计院 雨水自然净化回渗井三维渗滤自净系统
KR101701387B1 (ko) * 2016-06-07 2017-02-01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KR101822899B1 (ko) * 2017-01-24 2018-01-30 지성산업개발(주)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CN109440898A (zh) * 2018-12-27 2019-03-08 广州怡境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渗透型雨水花园
FR3076844A1 (fr) * 2018-01-17 2019-07-19 Bernard Sikora Avaloir pour une voie de circulation telle qu'une rue
KR102229560B1 (ko) * 2019-12-23 2021-03-17 민병영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CN112575639A (zh) * 2020-12-24 2021-03-30 荀敬川 公路路基用防积水的排水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47357B1 (ko) * 2021-02-10 2021-05-04 더죤환경기술(주) 친환경 여과 수처리 시스템
KR102292290B1 (ko) * 2021-02-05 2021-08-24 (주)리드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KR102326538B1 (ko) * 2020-05-28 2021-11-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빗물 침투 처리 시스템
KR102373103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받이
KR20220099612A (ko) * 2021-01-06 2022-07-14 김종현 친환경 빗물 재활용 우수 유출 저감 저류조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010A (ko) * 2003-06-04 2003-07-07 김승희 침사분리기
KR20110032200A (ko) * 2009-09-22 2011-03-30 홍석희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오일 및 슬러지분리처리장치
KR20120095767A (ko) * 2011-04-08 2012-08-29 한일환경기술(주)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KR20120106047A (ko) * 2011-03-17 2012-09-26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9010A (ko) * 2003-06-04 2003-07-07 김승희 침사분리기
KR20110032200A (ko) * 2009-09-22 2011-03-30 홍석희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오일 및 슬러지분리처리장치
KR20120106047A (ko) * 2011-03-17 2012-09-26 알에스티이엔씨 주식회사 초기우수 처리장치
KR20120095767A (ko) * 2011-04-08 2012-08-29 한일환경기술(주)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설비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15B1 (ko) * 2014-09-19 2015-04-09 주식회사 모아에코텍 침투식 빗물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488139B1 (ko) * 2014-09-25 2015-01-29 동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우수를 활용한 무동력 가로수 관수시스템
KR101528889B1 (ko) * 2014-12-02 2015-06-16 (주)성보기술 인공토양여재를 이용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656668B1 (ko) * 2015-12-18 2016-09-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식생수로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KR101701387B1 (ko) * 2016-06-07 2017-02-01 (주) 일신네이쳐 빗물 침투 시설
CN106013389A (zh) * 2016-07-13 2016-10-12 黑龙江省九0四环境工程勘察设计院 雨水自然净化回渗井三维渗滤自净系统
CN106013389B (zh) * 2016-07-13 2018-06-15 黑龙江省九0四环境工程勘察设计院 雨水自然净化回渗井三维渗滤自净系统
KR101822899B1 (ko) * 2017-01-24 2018-01-30 지성산업개발(주)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FR3076844A1 (fr) * 2018-01-17 2019-07-19 Bernard Sikora Avaloir pour une voie de circulation telle qu'une rue
CN109440898A (zh) * 2018-12-27 2019-03-08 广州怡境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渗透型雨水花园
KR102229560B1 (ko) * 2019-12-23 2021-03-17 민병영 비점오염원 처리 시스템
KR102326538B1 (ko) * 2020-05-28 2021-11-1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빗물 침투 처리 시스템
KR102373103B1 (ko) * 2020-10-23 2022-03-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받이
CN112575639A (zh) * 2020-12-24 2021-03-30 荀敬川 公路路基用防积水的排水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20099612A (ko) * 2021-01-06 2022-07-14 김종현 친환경 빗물 재활용 우수 유출 저감 저류조 시스템
KR102540453B1 (ko) 2021-01-06 2023-06-07 김종현 친환경 빗물 재활용 우수 유출 저감 저류조 시스템
KR102292290B1 (ko) * 2021-02-05 2021-08-24 (주)리드코 저영향개발 우수관리 침투시설
KR102247357B1 (ko) * 2021-02-10 2021-05-04 더죤환경기술(주) 친환경 여과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288B1 (ko) 침투식 빗물처리 및 재이용 장치
KR101288606B1 (ko) 침투도랑
KR101923926B1 (ko)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KR101319073B1 (ko) 우수 집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우수 관리장치
KR20060094596A (ko) 우수 저류 및 지하 침투를 유도하는 시스템
KR101105272B1 (ko) 녹지 생태축 연결 및 비점오염원 제거를 위한 도로용 소규모 인공습지
KR101410194B1 (ko) 초기우수 처리가 가능한 교량 배수시설, 그 배수시설을 이용한 초기우수유도방법, 그 배수시설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물 및 저감방법
KR20090124660A (ko) 개방형 우수처리 시스템
KR101578551B1 (ko) 우수 오염 방지와 건강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식생체류지
KR100991175B1 (ko)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58326B1 (ko) 침투 및 식생을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160022140A (ko)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KR101239389B1 (ko) 자연형 침투도랑형 재이용수 활용 비점오염저감시설
KR20130091900A (ko) 침투도랑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 시설물 및 그 저감 시설물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방법
KR200413946Y1 (ko)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102089235B1 (ko) 다기능 비점오염 저감 구조물
KR100791965B1 (ko) 비점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수 처리장치
CN104532942B (zh) 一种雨水净化树箱系统
KR101560289B1 (ko) 비점오염 자연 정화 시스템
KR100601908B1 (ko) 우수저류연못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정화 및 친수시설활용방법과 그 장치
JP4445168B2 (ja) 雨水浸透システム
JPH05132993A (ja)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KR20120006715A (ko) 배수가 용이한 비점오염원 처리 기능을 갖는 측구 및 초기우수 재활용 방법
KR100714315B1 (ko) 화단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170084428A (ko) 식생포트 및 상기 식생포트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