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6157B1 -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6157B1
KR100736157B1 KR1020050087174A KR20050087174A KR100736157B1 KR 100736157 B1 KR100736157 B1 KR 100736157B1 KR 1020050087174 A KR1020050087174 A KR 1020050087174A KR 20050087174 A KR20050087174 A KR 20050087174A KR 100736157 B1 KR100736157 B1 KR 10073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nwater storage
storage frame
pip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834A (ko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050087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61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의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빗물이 용이하게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체이동공을 형성하는 관유닛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형성하고, 상기 완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용도에 따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양 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 내부와 외부에 유체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벽체에 다수의 유체이동공(110)이 형성된 관유닛(100)과, 상기 관유닛(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에 있어 최외각으로서 마감재가 부착되는 부위에 각각의 관유닛(100)의 관벽체 사이의 공간을 메워 상기 마감재와 상기 빗물저장틀(1)의 부착이 용이하고 외압에 의한 마감재의 찢김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200)의 조립에 의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관유닛, 유체이동공, 보강재, 보호재, 마감재, 침투형시트, 차수형시트, 이 물질제거홀

Description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USING PIPE UNI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수저류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본체부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관유닛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재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는 도 3a에 도시된 보강재가 각각의 관유닛의 접합부에 안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보호재가 빗물저장틀에 안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이물질제거홀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관유닛을 조립하여 구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빗물저장틀 2 : 지반
3 : 유입관 4 : 유출관
5 : 월류유출관 6 : 배수관
100 : 관유닛 110 : 유체이동공
200 : 보강재 300 : 보호재
310 : 볼록부 400 : 투수형시트
500 : 차수형시트 600 : 이물질제거홀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의 플라스틱재로 성형되며, 빗물이 용이하게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유체이동공을 형성하는 관유닛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형성하고, 상기 완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용도에 따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되며 현장 타설에 의해 시공되는 빗물저장시설은 현장 타설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은 물론 저장된 빗물이 범람하는 경우의 대비책은 없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발명의 명칭 : 우수저류조)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유닛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유닛과, 조립되었을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유닛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유닛에 결합되며 저류된 빗물이 서서히 지하로 배수되도록 배수공을 구비한 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에 있어서는 본체부용 유닛과 주변부용 유닛은 공장제작시 별도로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유닛들의 재질을 콘크리트로 구성함으로서 현장 조립 시공시 각각의 유닛의 자중 때문에 기중기 등을 필요로 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꼭지점 부근에 체결구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홈, 각각의 기둥의 구성 등 그 형상의 복잡함으로 인해 거푸집 형성의 어려움 등 공장제작에 있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형상이 동일하고 공장 제작이 용이하며 자중이 가벼운 플라스틱재로 성형된 관유닛을 이용하여 어떠한 체결장치 없이 빗물저장틀의 형성이 가능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관유닛을 나선파형관 또는 이중벽관 형상으로 구성하여 좌굴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작용에 의해 연약지반에서 유리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관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빗물의 저장량, 빗물의 저장용도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다수의 유닛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양 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 내부와 외부에 유체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벽체에 다수의 유체이동공이 형성된 관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에 있어 최외각으로서 마감재가 부착되는 부위에 각각의 관유닛의 관벽체 사이의 공간을 메워 상기 마감재와 상기 빗물저장틀의 부착이 용이하고 외압에 의한 마감재의 찢김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관유닛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보강재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재의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도 3a에 도시된 보강재가 각각의 관유닛의 접합부에 안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보호재가 빗물저장틀에 안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이물질제거홀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유닛을 조립하여 구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관유닛(100)은 양 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 내부와 외부에 유체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벽체에 다수의 유체이동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유체이동공(110)의 크기 및 수는 현장시공여건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빗물저장율이 좋은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체이동공(11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 유체이동공(11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축하중 및 횡하중에 대한 강성이 작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재하하중 등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관유닛(100a)은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선파형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나선파형관으로 구성하는 경우 재하하중에 대해 좌굴강성을 우수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연약지반 상부에 상기 관유닛(100)을 조립하여 형성하는 빗물저장틀(1)을 시공하는 경우 상기 연약지반이 침하하더라도 상기 나선파형관 형상으로 구성된 관유닛(100a)의 스프링작용에 의해 이를 보완할 수 있으며, 관유닛(100)을 상,하,좌,우로 적층하여 조립하는 경우 관유닛(100)의 골과 타 관유닛(100)의 산이 맞닿도록 하여 견고하게 조립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관유닛(100b)은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벽관으로 구성하여 상기와 같이 나선파형관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빗물저장틀(1)을 상기 관유닛(100)의 적층에 의해 형성함으로서 각각의 관유닛(100)의 중공부분에서 빗물이 저장 및 이동이 용이하며 상기 관유닛(100)을 나란히 상, 하, 좌, 우로 단지 적층에 의해 조립이 가능한 바 어떠한 체결장치도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유닛(100)을 나선판형관(100a) 또는 이중벽관(100b)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재하하중에 대한 강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관유닛(100)은 재료면에서 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무게비 강성이 뛰어나며, 자중이 가벼워 시공이 간편한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섬유보강 플라스틱 등을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섬유보강 플라스틱(이하, "FRP"라 칭한다.)은 섬유보강수지·강화플라스틱이라고도 한다. 보강재로는, 유리섬유ㅇ탄소섬유 및 케블라라고 하는 방향족 나일론섬유가 사용되고, 상기 유리섬유 가 보강된 FRP를 유리섬유 보강 플라스틱(이하, "GFRP"라 칭함.)이라고 한다.
상기 GFRP의 구성재료로서 유리섬유, 열경화성수지 및 모래로 구성되는데,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에폭시수지, 비닐에스테르수지 등을 사용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는 내열성, 내식성 등의 성능은 여타 열경화성수지에 비해 중간정도이지만 재료가격은 다른 수지에 비해 경제적이며, 비닐에스테르수지는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시공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상기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큰 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지는 재료가 된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자체는 경질폴리염화비닐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에 비해서 강도는 작지만, 유리섬유로 보강하면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는 커진다. 따라서, 상기 GFRP는 부식에 대한 저항성은 물론 무게비 강성이 강관보다 크기 때문에 동일한 무게의 관이라면 강관보다도 좌굴강도가 훨씬 강하고, 또한 동일한 강도를 얻기 위한 무게가 강관보다 감소할 것이므로 동일한 현장 여건 하에서 강관보다 길이가 훨씬 긴 관을 제작하여 현장시공을 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연결부위의 접속이 작아질 것이며, 공기도 단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재(200)는 관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과 마감재의 부착에 있어서 빗물저장틀의 최외각으로서 각각의 관유닛(100)으로 상기 마감재와 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상기 마감재와 상기 빗물저장틀의 부착의 어려움과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마감재의 찢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공간부를 메우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강재(200a)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구성하여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관유닛(100)의 관벽체로 이루어지는 공간부에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옆면(210a)이 안치되고, 밑면(220a)은 빗물저장틀(1)의 최외각에 위치한 각각의 관유닛(100)으로 마감재와 접하는 각각의 부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강재(200b)의 형상을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구성하여 도면에는 도시된 바 없으나 각각의 관유닛(100)의 관벽체로 이루어지는 공간부에 경사구배를 형성하는 옆면(210b)이 안치되고, 밑면(220b)은 빗물저장틀(1)의 최외각에 위치한 각각의 관유닛(100)으로 마감재와 접하는 각각의 부분이 연결될 수 있도록 평평한 형상으로 구성하고, 밑면보다 짧은 길이의 변을 가진 윗면(230b)은 관벽체로 이루어지는 공간부의 일정부분에 놓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유닛(100)을 적층하여 빗물저장틀(1)을 형성하는 경우 빗물저장틀(1)의 최외각으로서 각각의 개구된 관유닛(100)의 양단과 마감재가 접하는 부분에 외압이 작용하는 경우 관유닛(100)의 양단이 개구됨으로 인해 마감재의 찢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보호재(3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호재(300)는 판형상으로 구성하여 하나의 부재로 구성하여 빗물저장틀(1)의 양단과 마감재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으나, 부재의 대형화에 의해 공장제작이 용이하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유닛화 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 공장제작이 용이하고, 형장시공도 용이하다.
상기 보호재(300)는 일실시예로서 빗물저장틀(1)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형태(300a)와 빗물저장틀(1)의 상,하 면에 설치되는 형태(300b)로 구성할 수 있는데 도 4a에서 도시된 보호재(300a)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저장틀(1)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면에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각각 두 개의 1/4 원형상의 볼록부(310a)를 구성하여 상기 볼록부(310a)가 관유닛(100)의 개구된 단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결국 하나의 보호재(300a)에 구성된 4개의 볼록부(310a)에 4개의 관유닛(100)의 개구된 단이 삽입되고, 1개의 관유닛(100)의 개구된 단에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준점(x)에서 모아지는 각각의 보호재(300a,b)의 볼록부(310a,b)가 삽입되어 상기 보호재(300)가 마감재의 찢김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각각의 관유닛(100)을 체결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b에서 도시된 보호재(300b)는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저장틀(1)의 상,하 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면에 양쪽으로 대칭되도록 각각 1개의 1/4 원형상의 볼록부(310b)와 1개의 1/2 원형상의 볼록부(310b)를 구성하여 상기 볼록부(310b)가 관유닛(100)의 개구된 단에 삽입되도록 구성함으로서 결국 하나의 보호재(300b)에 구성된 4개의 볼록부(310b)에 4개의 관유닛(100)의 개구된 단이 삽입되는 것은 상기 보호재(300a)와 동일하다.
상기 보강재(200) 및 보호재(300)의 재질은 경량의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데, 경량이며, 완충성이 우수하고, 특히 땅에 묻어도 메탄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고, 불에 태워도 물과 이산화탄소만 배출하기 때문에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료인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며, 경량의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상기 보강재(200) 및 보호재(300)를 구성함으로서 빗물저장시설의 조립시 어떠한 기계적 장비를 요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유닛(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빗물저장틀(1)에는 건물 등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유입관(3)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빗물에는 원천적으로 내재된 이물질은 물론, 빗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돌, 흙, 쓰레기 등 각종 이물질이 섞이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섞인 빗물이 그대로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되어 필요에 의해 사용된다면 별도의 정화시설 등을 요할 것이므로 상기 유입관(3)과 상기 빗물저장틀(1) 사이에 이물질제거홀(60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맨홀 형상의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6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현장시공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PVC 등 플라스틱 등으로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설치를 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에 의해 현장타설 시공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몸체부(6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입관(3)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몸체부(610)의 내부에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에 섞인 각종 이물질은 시간이 경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몸체부(61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상기 몸체부(610)의 타측면에는 유출관(4)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된 빗물로서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바닥에 걸러진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 (1)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유출관(4)에는 상기 몸체부(610)와 연결되는 부분의 입구에 유출관필터(630)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만이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출관필터(630)는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빗물을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서도 유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620)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22)을 구성하여 상기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도 상기 몸체부(610) 내부로 유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은 상기 관통공(622)에 의해 쓰레기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은 1차적으로 제거될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덮개(620)의 밑면에는 덮개필터(621)를 상기 밑면과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밑면을 권하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걸러진 빗물은 상기 덮개필터(621)에 의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져서 상기 공간부에 축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621)의 경우도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 (621)는 상기 덮개(620)의 밑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공간부에 이물질이 포화된 경우 이를 탈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한 실시예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필터(621)의 테두리에 나사체결공(623)을 구성하여 상기 덮개필터(621)의 밑면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체결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610) 바닥면에 축적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는 이물질이 하강하여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받이(650)가 안치되는 이물질받이홈(6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은 원통형, 사각홈 등 상기 이물질받이(650)의 외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의 테두리 바닥면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받이홈(640) 방향으로 하강경사를 형성하여 바닥에 하강한 이물질이 용이하게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에 안치된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착, 탈이 가능한 이물질받이(650)를 바닥면에 구성함으로서 상기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된 이물질이 포화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받이(650)만을 탈착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관유닛(100)들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장틀(1)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4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400)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400)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5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500)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2)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장틀(1)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500)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로 투수형시트(400) 또는 차수형시트(500)를 사용함에 따른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형시트(400)를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2)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의 지반(2)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장틀(1)의 외부를 차수형시트(500)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500)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500)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40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투형"과 상기 "차수형"을 병용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침투형의 경우 상기 관유닛(100)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이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상기 투수형시트(400)가 시공된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물질제거홀(600)이 지면과 동일선상에서 매립되며,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측면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이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타 측면에는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시키는 유출관(4)이 상기 이물질제거홀(600)과 상기 빗물저장틀(1)에 연결된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는 지상과 관통하는 점검구(7)가 하나 이상 구성되며, 상기 점검구(7)의 구성에 의해 사후적으로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를 점검하여 침전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에는 하나 이상의 월류유출관(5)을 구성하여 상기 빗물저장틀(1)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경우 범람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월류유출관(5)은 하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범람하는 빗물을 하수관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침투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건물 등에 흐르는 빗물이 상기 유입관(3)을 통해 또는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이 상기 덮개(620)의 관통공(622)을 통해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몸체부(610)에 저장된다.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되는 빗물은 자동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전하여 상기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되거나, 덮개필터(62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어 진다. 이에 더하여 저장된 빗물은 상기 유출관(4)을 통하여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되는데 상기 유출관(4) 입구에 설치된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한 번 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유출관(4)을 통해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저장틀의 최 외곽에 조립된 관유닛의 다수의 유체이동공을 통해 지반(2)으로 빗물이 침출되어 빗물이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여 홍수 등을 유발시킴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침출에 더하여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저장틀(1)의 유출관(4)을 통해 상기 이물질제거홀(600)로 저장된 빗물이 역류되고, 역류된 빗물은 상기 월류유출관(5)을 통해 하수관 등으로 빗물이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저장, 침출에 의해 많은 량의 우천시도 빗물이 지반으로 조금씩 침출되므로 빗물이 지반위로 범람하지 않게 되어 상기 침투형은 골프장, 운동장 등 빗물의 저장보다는 빗물을 지반으로의 침출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검구(7)를 통해 빗물저장틀(1)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저장형의 경우 상기 유닛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이 지하로 매립되 며,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과 밑면에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되며, 상기 차수형시트(400)의 내,외부로 투수형시트(400)를 보호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에 구성되는 상기 이물질제거홀(600)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점검구(7)는 상기 침투형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저장형은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월류유출관(5)을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 테두리에 하나 이상 구성하여 빗물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는 오리피스받이(8)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저장된 빗물도 배출을 하여야 하므로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배수관(6)을 구성하여 상기 배수관(6)이 상기 오리피스받이(8)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장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유입관(3) 및 이물질제거홀(600)에 의한 빗물의 유입 및 이물질 제거에 있어서는 침투형과 동일하나, 상기 유출관(4)을 통해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는 빗물은 측면 및 밑면에서 상기 빗물저장틀(1)이 차수형시트(500)에 의해 감싸지므로 빗물이 지반(2)으로 침출되지 않고, 다만, 상면에 침투형시트(400)가 설치되므로 상면을 통해서만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빗물이 침출된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침출이 없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에 빗물의 압력이 작용하여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의 안,팍으로 보호용으로 상기 투수형시트(400)을 설치하여 시트의 찢김 등에 의한 빗물의 침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다수 연결된 배수관(6)을 통해 오리피스 받이(8)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오리피스받이(8)에 저장된 빗물은 식수, 방화용 등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다수 연결된 월류유출관(5)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빗물에 대해서는 상기 오리피스받이(8)로 배출한다. 또한, 저장형의 경우도 상기 점검구(7)를 통해 빗물저장틀(1)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병용형의 경우 상기 침투형과 저장형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다만, 상기 저장형의 월류유출관(5)을 오리피스받이(8)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에 연결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상기 병용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침투형 빗물저장틀(1)이 매설된 파트에서는 상기 침투형과 동일하게 빗물이 저장, 침출되며, 저장형 빗물저장틀(1)이 매설된 파트에서는 상기 저장형과 동일하게 빗물이 저장, 침출된다. 다만, 상기 병용형은 상기 침투형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경우 침투형에서 이물질제거홀(600)에 구성된 월류유출관(5)을 통해서 지반(2)으로 유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과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을 연결시키는 월류유출관(5)을 통해서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로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의 저장된 빗물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범람하는 경우에는 상기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과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을 연결시키는 월류유출관(5)을 통해서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로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의 저장된 빗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 침투형과 저장 형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유닛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착시공하는 단계(S10)와, 기초시공 하는 단계(S20)와, 바닥부 및 측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바닥부와 측부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40)와, 관유닛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시공하는 단계(S50)와, 빗물저장틀을 외부시설에 연결 시공하는 단계(S60)와, 빗물저장틀의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70)와, 매설다짐작업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닥부와 측부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다수의 관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의 최외각에서 마감재와 부착되는 각각의 관유닛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를 메울 수 있도록 미리 마감재에 보강재를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바닥부와 측부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다수의 관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의 최외각으로서 각각의 관유닛의 개구된 양단과 마감재가 접하는 부위에 마감재가 각각의 관유닛의 개구된 양단에 의해 찢김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재를 미리 마감재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관유닛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시공하는 단계(S50)에는 상기 S40단계에서 마감재에 보강재와 보호재가 부착된 상태에서 관유닛을 적층하여 빗물저장틀 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닥부 및 측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빗물저장틀의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70)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는 침투형시트 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는 차수형시트 중 하나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외부시설과 연결시공하는 단계(S6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투형의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측면에 구성된 이물질제거홀과 유출관(4)으로 연결하고, 이물질제거홀(600)의 타 측면에는 월류유출관(5)을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저장형의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측면에 구성된 이물질제거홀과 유출관(4)으로 연결하고, 타 측면에 구성된 오리피스받이(8)와 상, 하부로 월류유출관(5) 및 배수관(6)을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병용형의 경우에는 상기 침투형과 저장형의 빗물저장틀을 각각 구성하고, 저장형의 빗물저장틀(1)과 침투형의 빗물저장틀(1)을 월류유출관(5)으로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닥부 및 측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빗물저장틀의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70)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는 침투형시트 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는 차수형시트 중 하나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경량의 관유닛을 사용하여 어떠한 체결장치도 필요 없이 상기 관유닛의 적층만으로 빗물저장틀을 성형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관유닛을 나선파형관 또는 이중벽관 형상으로 구성하여 좌굴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스프링작용에 의해 연약지반에서 유리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관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로 부착함으로 저장된 빗물을 지반으로 침출하여 빗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이물질이 빗물저장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상기 관유닛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빗물의 저장량, 빗물의 저장용도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다수의 유닛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서,
    상기 유닛은 양 단이 개구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 내부와 외부에 유체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관벽체에 다수의 유체이동공(110)이 형성된 관유닛(100)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유닛(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에 있어 최외각으로서 마감재가 부착되는 부위에 각각의 관유닛(100)의 관벽체 사이의 공간을 메워 상기 마감재와 상기 빗물저장틀(1)의 부착이 용이하고 외압에 의한 마감재의 찢김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유입관(3)과 상기 빗물저장틀(1) 사이에는 상부가 개구된 맨홀 형상의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62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6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유입관(3)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몸체부(610)의 내부에 저장되고, 타측면에는 유출관(4)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이물질제거홀(600)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20)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22)을 형성하며, 그 밑면에는 덮개필터(621)가 상기 밑면과 상기 덮개필터(621) 사이에 공간부 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필터(621)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상기 공간부에 축적되도록 상기 밑면을 권회하면서 부착되고, 상기 유출관(4)에는 상기 몸체부(610)와 연결되는 부분의 입구에 유출관필터(630)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만이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610)의 바닥면에는 저장된 빗물 중에 섞인 이물질이 하강하여 축적되는 이물질받이(650)가 안치되도록 이물질받이홈(64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9. 다수의 유닛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착시공하는 단계(S10)와, 기초시공 하는 단계(S20)와, 바닥부 및 측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바닥부와 측부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40)와, 관유닛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시공하는 단계(S50)와, 빗물저장틀을 외부시설에 연결 시공하는 단계(S60)와, 빗물저장틀의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70)와, 매설다짐작업 단계(S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바닥부와 측부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강재를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각각의 관유닛의 개구된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시공된 마감재에 보호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바닥부 및 측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빗물저장틀의 상부에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S70)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는 침투형시트 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는 차수형시트 중 하나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관유닛을 이용한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KR1020050087174A 2005-09-20 2005-09-20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73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174A KR100736157B1 (ko) 2005-09-20 2005-09-20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174A KR100736157B1 (ko) 2005-09-20 2005-09-20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873U Division KR200403791Y1 (ko) 2005-09-20 2005-09-20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34A KR20070032834A (ko) 2007-03-23
KR100736157B1 true KR100736157B1 (ko) 2007-07-06

Family

ID=4156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174A KR100736157B1 (ko) 2005-09-20 2005-09-20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6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52B1 (ko) * 2022-06-22 2022-12-05 주식회사서인산업 배수용 배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621B1 (ko) * 2010-03-25 2013-07-23 고희봉 배수성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8631B1 (ko) * 2013-02-05 2013-07-19 연합개발 주식회사 우수 저류장치
KR101588201B1 (ko) * 2015-03-09 2016-01-2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빗물 활용시스템
KR102539266B1 (ko) * 2022-10-04 2023-06-02 주식회사 뉴보텍 저류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83A (ja) * 1998-09-03 2000-03-21 Genichiro Nakamura 地下貯水構造物
JP2002088828A (ja) * 2000-09-12 2002-03-27 Genichiro Nakamura 貯水管およびそれを積層した地下貯水構造物
JP2003056748A (ja) * 2001-08-20 2003-02-26 Genichiro Nakamura 管体集成構造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83A (ja) * 1998-09-03 2000-03-21 Genichiro Nakamura 地下貯水構造物
JP2002088828A (ja) * 2000-09-12 2002-03-27 Genichiro Nakamura 貯水管およびそれを積層した地下貯水構造物
JP2003056748A (ja) * 2001-08-20 2003-02-26 Genichiro Nakamura 管体集成構造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452B1 (ko) * 2022-06-22 2022-12-05 주식회사서인산업 배수용 배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34A (ko) 200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576508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663798B1 (ko)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20100110994A (ko) 경사지의 지중에 매설되는 빗물용 저수조 블럭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200403791Y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KR101287621B1 (ko) 배수성 도로 및 이의 시공방법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0553085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JPH1171750A (ja) 排水機能付矢板、該矢板用フィルターの装着方法および排水用部材
JPH04289315A (ja) 排水機能付矢板、その製作方法、および栓
KR100658971B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KR200417094Y1 (ko) 원형맨홀
JP5396368B2 (ja) 舗装構造
KR100553086B1 (ko) 지지대를 보강할 수 있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200616981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KR200419136Y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JP2005023589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
JP4084706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と、その施工方法
JP3311741B1 (ja) 管体集成構造体
JP2005179919A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KR102539266B1 (ko) 저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