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3798B1 -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3798B1
KR100663798B1 KR1020050081107A KR20050081107A KR100663798B1 KR 100663798 B1 KR100663798 B1 KR 100663798B1 KR 1020050081107 A KR1020050081107 A KR 1020050081107A KR 20050081107 A KR20050081107 A KR 20050081107A KR 100663798 B1 KR100663798 B1 KR 100663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rainwater storage
storage frame
hollow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05008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3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3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37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의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성형되어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고, 빗물이 용이하게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중공 및 유체이동공을 형성하는 블록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형성하고, 상기 완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용도에 따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앙에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1중공(110)의 둘레에 대칭형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고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중공(120)과 ,상기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각각의 내부벽체(130)와, 상기 내부벽체(130)에 형성되어 제 1중공(110)과 제 2중공(120) 사이에서 저장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유체이동공(131)과, 상기 제 2중공(120)을 둘러싸는 외부벽체(140)와, 상기 외부벽체(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중공(120)과 블록 외부 사이에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유체이동공(141)과, 상기 외부벽체(140)와 상기 내부벽체(130)를 연결하며 각각의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연결벽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의 조립에 의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블록, 제 1중공, 제 2중공, 내부벽체, 외부벽체, 연결벽체, 마감판, 침투형시트, 차수형시트

Description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MANUAL JOINTED FACILITIES KEEPING RAINWAT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IT}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수저류조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본체부용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각각의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도 3에 도시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도 3에 도시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체결하여 통공(A)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각각의 블록을 적층해 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각각의 블록을 적층해 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조립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마감판 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이물질제거홀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블록을 조립하여 구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공방법에 있어서 빗물저장틀을 조립하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빗물저장틀 2 : 지반
100 : 블록 110 : 제 1중공
120 : 제 2중공 130 : 내부벽체
140 : 외부벽체 150 : 연결벽체
200 : 체결구 300 : 마감판
400 : 투수형시트 500 : 차수형시트
600 : 이물질제거홀
본 발명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량의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성형되며, 빗물이 용이하게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중공 및 유체이동공을 형성하는 블록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형성하고, 상기 완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용도에 따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되며 현장 타설에 의해 시공되는 빗물저장시설은 현장 타설에 따른 공사기간의 지연은 물론 저장된 빗물이 범람하는 경우의 대비책은 없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발명의 명칭 : 우수저류조)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 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며 저류된 빗물이 서서히 지하로 배수되도록 배수공을 구비한 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에 있어서는 본체부용 블록과 주변부용 블록은 공장제작시 별도로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블록들의 재질을 콘크리트로 구성함으로서 현장 조립 시공시 각각의 블록의 자중 때문에 기중기 등을 필요로 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꼭지점 부근에 체결구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홈, 각각의 기둥의 구성 등 그 형상의 복잡함으로 인해 거푸집 형성의 어려움 등 공장제작에 있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형상이 동일하고 공장 제작이 용이하며 자중이 가벼운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성형된 블록을 이용하여 기중기 등 외부기계장치에 의존하지 않고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 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블록을 조립할 시에 적층되는 각각의 블록의 중공 및 유체이동공이 연통하도록 각각의 블록을 반 블록씩 양방향으로 엇갈리게 적층하여 체결구를 이용하여 강결하게 조립할 수 있어 재하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하며, 횡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블록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빗물의 저장량, 빗물의 저장용도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다수의 블록이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서,
중앙에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1중공(110)의 둘레에 대칭형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고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중공(120)과 ,상기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각각의 내부벽체(130)와, 상기 내부벽체(130)에 형성되어 제 1중공(110)과 제 2중공(120) 사 이에서 저장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유체이동공(131)과, 상기 제 2중공(120)을 둘러싸는 외부벽체(140)와, 상기 외부벽체(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중공(120)과 블록 외부 사이에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유체이동공(141)과, 상기 외부벽체(140)와 상기 내부벽체(130)를 연결하며 각각의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연결벽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각각의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도 3에 도시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도 3에 도시된 체결구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체결하여 통공(A)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각각의 블록을 적층해 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c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각각의 블록을 적층해 나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d는 도 2에 도시된 블록을 사용하여 조립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마감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이물질제거홀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 블록을 조립하여 구성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시공방법에 있어서 빗물저장틀을 조립하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블록은 중앙에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1중공(110)의 둘레에 대칭형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고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중공(120)과 ,상기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각각의 내부벽체(130)와, 상기 내부벽체(130)에 형성되어 제 1중공(110)과 제 2중공(120) 사이에서 저장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 1유체이동공(131)과, 상기 제 2중공(120)을 둘러싸는 외부벽체(140)와, 상기 외부벽체(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중공(120)과 블록 외부 사이에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유체이동공(141)과, 상기 외부벽체(140)와 상기 내부벽체(130)를 연결하며 각각의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연결벽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블록(100)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다수 조립함에 의해 내부에 빗물이 저장될 수 있는 빗물저장틀(1)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블록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블록(100)의 형상을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방향으로 대칭인 8각형 형상으로 구성하여 방향에 구애됨 없이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100) 중앙의 제 1중공(11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 1중공(110)을 형성하는 내부벽체(130)는 각각의 변의 길이가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벽체(150)는 상기 내 부벽체(130)가 접하는 각각의 모서리에서 시작하여 외부벽체(140)로 이어지며, 상기 제 2중공(120)은 상기 외부벽체(140),내부벽체(130) 및 연결벽체(150)에 의해 대칭인 6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 1중공(110)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된 4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100)의 구성에 의해 블록(100)을 조립하는 경우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준점(m)에 모아지는 4개의 블록의 외부벽체(14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A)과 상기 블록의 상부에 적층될 블록의 제 1중공(110)이 연통되도록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블록을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100)을 X,Y 방향으로 반 블록만큼 이동한 상태로 적층함에 따라 하부에 적층되는 각각의 내부벽체, 연결벽체, 외부벽체, 제 2중공 및 통공(A)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내부벽체, 연결벽체, 외부벽체, 제 2중공 및 제 1중공과 완전히 일치하게 적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일치되도록 적층할 수 있음에 따라 각각의 중공을 통해 빗물이 이동이 마찰 없이 용이하게 하면서 상,하로 조금씩 엇갈리도록 적층함에 의해 상기 블록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상재하중에 대한 강성면에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1중공(110) 및 제 2중공(120)의 크기 및 수는 현장시공여건을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빗물저장율이 좋은 구조물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중공(110) 및 제 2중공(12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단, 상기 제 1중공(110) 및 제 2중공(12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그 수를 늘리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각의 벽체 (130,140,150)의 두께가 작아지므로 축하중에 대한 강성이 작아지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재하하중 등도 고려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블록(100)은 상기 각각의 중공(110, 120)에 의한 종방향 빗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블록(100) 내부 및 블록(100) 상호간 횡방향 빗물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야 각각의 블록(100)의 중공(110, 120)에 저장되는 빗물이 균일하게 채워져 저장된 빗물의 불균형으로 인한 모멘트 발생으로 구조강도상의 불리함을 없애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내부벽체(130)에 형성되어 제 1중공(110)과 제 2중공(120) 사이에서 저장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유체이동공(131)과, 상기 외부벽체(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중공(120)과 블록 외부 사이에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유체이동공(141)이 구성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 1유체이동공(131)을 각각의 내부벽체(130)의 상,하면에 반원형상으로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100)의 제 1유체이동공(131) 또는 제 2유체이동공(141)과 함께 원형상으로 저장된 빗물이 이동하는 이동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 2유체이동공(141)도 연결벽체(150)가 연결되지 않은 각각의 외부벽체(140)의 상,하면에 반원형상으로 구성하여 상,하로 적층되는 블록(100)의 제 2유체이동공(141) 또는 제 1유체이동공(131)과 함께 원형상으로 저장된 빗물이 이동하는 이동공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블록(100)의 재질은 경량의 플라스틱재를 사용하는데, 경량이며, 완충성이 우수하고, 특히 땅에 묻어도 메탄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지하수를 오염시키지 않고, 불에 태워도 물과 이산화탄소만 배출하기 때문에 유해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재료인 발포폴리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량의 발포폴리스티렌으로 블록(100)을 구성함으로서 빗물저장시설의 조립시 어떠한 기계적 장비를 요하지 않고 수동에 의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각각의 블록은 체결구에 의해서 조립되어지는데, 상기 체결구(200)는 판형상의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100)에 있어 제 2중공(120)의 내주연으로 연결벽체(150)와 외부벽체(140)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측면 또는 상면에 조립되는 블록(100)을 체결하는 다수의 체결돌기(22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210a)는 도 3a에서는 원형의 판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그 형상은 공장제작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본체부(210a)의 크기가 각각의 블록의 접하는 외부벽체(140)의 두께보다 작아서 제 2중공(120)에서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타당하다. 상기 체결돌기(220a)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210a)의 테두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210a)를 기준으로 상,하로 대칭되게 4개가 구성되어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간 조립시 측면에 조립되는 블록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을 한번에 체결할 수 있으므로 4개의 블록이 상기 체결구(200a)에 의해 한 번에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구(200a)에는 블록간 체결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210a)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210a)의 테두리에 형성된 체결돌기(220a)의 내측으로 상기 본체부(210a)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하로 대칭되게 다수의 삽입돌기(230a)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돌기(230a)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220a)에 의해 제 2중공(120)의 내주연으로 연결벽체(150)와 외부벽체(140)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각각의 블록을 체결함에 더해 각각의 외부벽체(140)의 상,하면에 삽입됨으로서 블록간 체결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삽입돌기(230a)가 각각의 외부벽체(140)의 상,하면에 삽입이 가능한 것은 블록(100)의 재질이 상기에서 보듯이 발포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동에 의한 외압에 의해 삽입이 가능하도록 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돌기(230a)의 형상은 상기 본체부(210a)와 접합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구배를 형성하여 원뿔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200b)는 도 3b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10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의 최상부에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도 3a에 도시된 체결구(200a)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단, 본체부(200b)의 일면에만 체결돌기(220b) 및 삽입돌기(23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각각의 블록의 조립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4b는 블록(100)을 외부벽체(140)가 맞닿도록 안치한 상태에서 각각의 맞닿는 외부벽체(140) 부분으로서 각각의 제 2중공(120)의 내주연으로 연결벽체(150)와 외부벽체(140)가 접하는 4개의 부분에 상기 체결구(200a)의 각각의 체결돌기(220a)가 삽입되어 측면에 접하는 블록(100)간 체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100)의 외부벽체(14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A)과 제 1중공(110)이 연통하고, 하부에 적층되는 접하는 2개의 블록에서 각각의 제 2중공(120)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제 2중공(120)이 연통하도록 적층하여 도 5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 e는 블록 a와 블록 b를 체결하는 체결구(200a), 블록 c와 블록 d를 체결하는 체결구(200a), 블록 a와 블록 c를 체결하는 체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블록 b와 블록 d를 체결하는 체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삽입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체결에 의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 e와 블록 f는 상기 블록 b와 블록 d를 체결하는 체결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삽입 체결 된다. 따라서, 체결구(200a) 1개당 측면 및 상면에 적층되는 4개의 블록(100)이 체결되는 것으로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을 반 블록씩 양 방향으로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체결구(200)로 체결함에 따라 블록과 블록의 접합부의 재하하중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블록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빗물저장틀(1)에는 건물 등에서 흘러내리는 빗물을 유입관(3)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게 하는데, 상기 빗물에는 원천적으로 내재된 이물질은 물론, 빗물이 흐르는 과정에서 돌, 흙, 쓰레기 등 각종 이물질이 섞이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섞인 빗물이 그대로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되어 필요에 의해 사용된다면 별도의 정화시설 등을 요할 것 이므로 상기 유입관(3)과 상기 빗물저장틀(1) 사이에 이물질제거홀(600)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맨홀 형상의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6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현장시공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는 PVC 등 플라스틱 등으로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설치를 할 수도 있으며, 콘크리트에 의해 현장타설 시공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몸체부(610)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입관(3)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몸체부(610)의 내부에 저장되며, 저장된 빗물에 섞인 각종 이물질은 시간이 경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몸체부(610)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상기 몸체부(610)의 타측면에는 유출관(4)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된 빗물로서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바닥에 걸러진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빗물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유출관(4)에는 상기 몸체부(610)와 연결되는 부분의 입구에 유출관필터(630)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만이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유출관필터(630)는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빗물을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서도 유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620)에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22)을 구성하여 상기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도 상기 몸체부(610) 내부로 유입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물질제거홀(600)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은 상기 관통공(622)에 의해 쓰레기 등 부피가 큰 이물질은 1차적으로 제거될 것이며, 이에 더하여 상기 덮개(620)의 밑면에는 덮개필터(621)를 상기 밑면과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밑면을 권하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이 1차적으로 걸러진 빗물은 상기 덮개필터(621)에 의해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져서 상기 공간부에 축적이 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621)의 경우도 PVC 등 플라스틱류, 철 등 탄력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하여 이물질과의 충격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하며, 걸러야 할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필터간격을 선택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덮개필터(621)는 상기 덮개(620)의 밑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공간부에 이물질이 포화된 경우 이를 탈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한 실시예로서 도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덮개필터(621)의 테두리에 나사체결공(623)을 구성하여 상기 덮개필터(621)의 밑면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이 가능한 체결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610) 바닥면에 축적된 이물질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몸체부 바닥면에는 이물질이 하강하여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받이(650)가 안치되는 이물질받이홈(64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은 원통형, 사각홈 등 상기 이물질받이(650)의 외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의 테두리 바닥면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물질받이홈(640) 방향으로 하강경사를 형성하여 바닥에 하강한 이물질이 용이하게 상기 이물질받이홈(640)에 안치된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착, 탈이 가능한 이물질받이(650)를 바닥면에 구성함으로서 상기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된 이물질이 포화되는 경우 상기 이물질받이(650)만을 탈착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블록(100)들을 체결구(200)를 이용하여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장틀(1)이 완성되면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장틀(1)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4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400)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400)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5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500)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2)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장틀(1)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500)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로 투수형시트(400) 또는 차수형시트(500)를 사용함에 따른 본 발명의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투수형시트(400)를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2)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의 지반(2)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장틀(1)의 외부를 차수형시트(500)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500)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500)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400)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있는 빗물은 저장을 하기 위해 상기 차수형시트(500)를 설치하고 상부의 빗물은 지반(2)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수형시트(400)를 설치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침투형의 경우 상기 블록을 조립 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이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상기 투수형시트(400)가 시공된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이물질제거홀(600)이 지면과 동일선상에서 매립되며,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측면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유입관(3)이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타 측면에는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시키는 유출관(4)이 상기 이물질제거홀(600)과 상기 빗물저장틀(1)에 연결된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는 지상과 관통하는 점검구(7)가 하나 이상 구성되며, 상기 점검구(7)의 구성에 의해 사후적으로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를 점검하여 침전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 테두리에는 하나 이상의 월류유출관(5)을 구성하여 상기 빗물저장틀(1)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경우 범람하는 빗물을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월류유출관(5)은 하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범람하는 빗물을 하수관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침투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건물 등에 흐르는 빗물이 상기 유입관(3)을 통해 또는 상기 이물질제거홀(600)의 상부에 내리거나 흐르는 빗물이 상기 덮개(620)의 관통공(622)을 통해 상기 이물질제거홀의 몸체부(610)에 저장된다.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되는 빗물은 자동적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전하여 상기 이물질받이(650)에 축적되거나, 덮개필터(621)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어 진다. 이에 더하여 저장된 빗물은 상기 유출관(4)을 통하여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되는데 상기 유출관(4) 입구에 설치된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한 번 더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유출관(4)을 통해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는 빗물은 빗물저장틀의 최 외곽에 조립된 블록의 다수의 유체이동공 및 중공을 통해 지반(2)으로 빗물이 침출되어 빗물이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여 홍수 등을 유발시킴을 사전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침출에 더하여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면에 다수 연결된 월류유출관(5)을 통해 하수관 등으로 빗물이 방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저장, 침출에 의해 많은 량의 우천시도 빗물이 지반으로 조금씩 침출되므로 빗물이 지반위로 범람하지 않게 되어 상기 침투형은 골프장, 운동장 등 빗물의 저장보다는 빗물을 지반으로의 침출이 중요한 경우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검구(7)를 통해 빗물저장틀(1)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저장형의 경우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이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과 밑면에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되며, 상기 차수형시트(400)의 내,외부로 투수형시트(400)를 보호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에 구성되는 상기 이물질제거홀(600)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점검구(7)및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 테두리에 하나 이상 구성되는 월류유출관(5)은 상기 침투형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저장형은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을 이용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상기 월류유출관(5)을 빗물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는 오리피스받이(8)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저장된 빗물도 배출을 하여 야 하므로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배수관(6)을 구성하여 상기 배수관(6)이 상기 오리피스받이(8)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저장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유입관(3) 및 이물질제거홀(600)에 의한 빗물의 유입 및 이물질 제거에 있어서는 침투형과 동일하나, 상기 유출관(4)을 통해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는 빗물은 측면 및 밑면에서 상기 빗물저장틀(1)이 차수형시트(500)에 의해 감싸지므로 빗물이 지반(2)으로 침출되지 않고, 다만, 상면에 침투형시트(400)가 설치되므로 상면을 통해서만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빗물이 침출된다. 상기와 같이 빗물의 침출이 없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에 빗물의 압력이 작용하여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의 안,팍으로 보호용으로 상기 투수형시트(400)을 설치하여 시트의 찢김 등에 의한 빗물의 침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다수 연결된 배수관(6)을 통해 오리피스받이(8)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오리피스받이(8)에 저장된 빗물은 식수, 방화용 등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다수 연결된 월류유출관(5)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빗물에 대해서는 상기 오리피스받이(8)로 배출한다. 또한, 저장형의 경우도 상기 점검구(7)를 통해 빗물저장틀(1)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병용형의 경우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이 지하로 매립되며, 상기 빗물저장틀(1)의 밑면과 하부 측면에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되며, 상기 차수형시트(400)의 내,외부로 투수형시트(400)를 보호용으로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빗물저장틀(1)의 측면에 구성되는 상기 이물질제거홀(600)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구성되는 점검구(7),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 테두리에 하나 이상 구성되는 월류유출관(5),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구성된 배수관 및 상기 월류유출관(5), 배수관(6)에 연결된 상기 오리피스받이(8)의 구성은 상기 저장형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병용형은 상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을 일부는 지반으로 침출하고, 일부는 다목적으로 이용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상기 빗물저장틀(1)의 일부를 차수형시트(500)로 시공하고, 일부를 투수형시트(400)로 시공하는 점만이 상기 저장형과 다른 점이다.
상기 병용형에 의해 빗물이 저장, 침출되는 과정을 보면 유입관(3) 및 이물질제거홀(600)에 의한 빗물의 유입 및 이물질 제거에 있어서는 침투형 및 저장형과 동일하나, 상기 유출관(4)을 통해 빗물저장틀(1)로 유입되는 빗물의 처리에 있어서, 병용형은 빗물저장틀(1)의 밑면 및 하부의 측면은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되므로 빗물은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된 부분에 있어 지반(2)으로의 침출 없이 저장되는 것이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옆면에 빗물의 침출이 없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에 빗물의 압력이 작용하여 하자를 유발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의 내,외부로 보호용으로 상기 투수형시트(400)을 설치하여 시트의 찢김 등에 의한 빗물의 침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병용형에 있어서도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된 부분에 저장된 빗물은 상기 빗물저장틀(1)의 하부에 다수 연결된 배수관(6)을 통해 오리피스받이(8)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오리피스받이(8)에 저장된 빗물 역시 식수, 방화용 등 적절한 용도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의 옆면은 투수형시트(400)가 시공되므로 상기 차수형시트(500)가 시공된 빗물저장틀(1) 부분을 범람하는 빗물에 대해서는 상기 투수형시트(400)를 통해 지반(2)으로 침출되도록 하여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여 홍수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더하여 상기 침투형, 저장형과 동일하게 상기 빗물저장틀(1)의 상부에 다수 연결된 월류유출관(5)을 통해 상기 빗물저장틀(1)을 범람하는 빗물에 대해서는 상기 오리피스받이(8)로 배출한다. 또한, 병용형의 경우도 상기 점검구(7)를 통해 빗물저장틀(1)에 빗물의 저장상태나, 내부하자 유무 점검 및 저장된 빗물로부터 걸어진 이물질의 제거를 할 수 있다.
또한, 도 5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빗물저장틀(1)에는 그 외부면에 상기 마감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빗물저장틀(1)의 빗물이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 2유체이동공(310)이 형성된 판형상의 마감판(300)이 더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이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착시공하는 단계(S10)와, 기초시공 하는 단계(S20)와, 바닥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바닥부에 마감판을 안치하는 단계(S40)와, 블록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시공하는 단계(S50)와, 빗물저장틀 외부에 마감판을 설치하는 단계(S60)와, 빗물저장틀을 외부시설에 연결 시공하는 단계(S70)와, 마감판이 시공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80)와, 매설다짐작업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블록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1)을 시공하는 단계(S50)에는 마감판 상부에 조립될 블록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단계(S51)와, 상기 하부에 조립된 블록의 상부에 각각의 블록을 적층하여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단계(S52)와, 상기 S51, S52단계를 반복하여 설계 높이만큼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S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판 상부에 조립될 블록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단계(S51)에는 마감판 상부에 놓여질 각각의 블록의 측면 접합부분을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면서 횡방향으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에 조립된 블록의 상부에 각각의 블록을 적층하여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단계(S5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100)의 외부벽체(14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제 1중공(110)이 연통하고, 하부에 적층되는 접하는 2개의 블록에서 각각의 제 2중공(120)과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제 2중공(120)이 연통하도록 적층하는 방식으로 상부에 적층되는 각각의 블록을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100)과 양 방향으로 반 블록만큼 엇갈리도록 상부에 적층하고,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의 하부는 상기 하부에 적층되는 블록을 체결하는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고, 블록의 상부는 각각의 블록 측면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시설과 연결시공하는 단계(S70)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투형의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측면에 구성된 이물질제거홀과 유출관(4)으로 연결하고, 타 측면에는 월류유출관(5)을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저장형의 경우에는 빗물저장틀(1)에 측면에 구성된 이물질제거홀과 유출관(4)으로 연결하고, 타 측면에 구성된 오리피스받이(8)와 상, 하부로 월류유출관(5) 및 배수관(6)을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병용형의 경우에는 상기 저장형과 동일하게 빗물저장틀(1)에 측면에 구성된 이물질제거홀과 유출관(4)으로 연결하고, 타 측면에 구성된 오리피스받이(8)와 상, 하부로 월류유출관(5) 및 배수관(6)을 연결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닥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마감판이 시공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80)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는 침투형시트 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는 차수형시트 중 하나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경량의 블록을 사용하여 기중기 등 외부기계에 의존함 없이 수동으로 조립할 수 있음으로 시공이 편리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블록의 조립시 중공 등이 연통하여 유체의 흐름을 방해받지 않게 하며 블록을 반 블록씩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재하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블록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로 부착함으로 저장된 빗물을 지반으로 침출하여 빗물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의 이물질이 빗물저장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상기 블록을 조립할 시에 별도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강결하게 조립하여 지진 등 횡하중에 대한 강성이 우수한 조립식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되며,
또한, 상기 블록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장틀의 외부를 침투형시트 또는 차수형시트를 설치하여 빗물의 저장량, 빗물의 저장용도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1)

  1. 다수의 블록이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은 중앙에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1중공(110)의 둘레에 대칭형으로 둘 이상이 형성되고 빗물이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 2중공(120)과 ,상기 제 1중공(110)과 상기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각각의 내부벽체(130)와, 상기 내부벽체(130)에 형성되어 제 1중공(110)과 제 2중공(120) 사이에서 저장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 1유체이동공(131)과, 상기 제 2중공(120)을 둘러싸는 외부벽체(140)와, 상기 외부벽체(140)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중공(120)과 블록 외부 사이에서 빗물이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제 2유체이동공(141)과, 상기 외부벽체(140)와 상기 내부벽체(130)를 연결하며 각각의 제 2중공(120)을 구획하는 연결벽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100)은 양 방향으로 대칭인 8각형 형상으로서 중앙의 제 1중공 (110)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고, 외부벽체(140), 내부벽체(130) 및 연결벽체(150)에 의해 대칭인 6각형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 1중공(110)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제 2중공(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00)는 판형상의 본체부(210)와, 상기 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블록(100)에 있어 제 2중공(120)의 내주연으로 연결벽체(150)와 외부벽체(140)가 접하는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측면 또는 상면에 조립되는 블록(100)을 체결하는 다수의 체결돌기(2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200)는 상기 본체부(2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220)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벽체(150)와 상기 외부벽체(140)가 접하는 부분이 상면 또는 하면에 삽입되어 블록(100)간 체결을 강결하게 하는 다수의 삽입돌기(230)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는 다수의 블록을 조립하여 형성된 빗물저장틀(1)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400) 또는 빗물저장틀(1)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500) 중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저장틀(1)에는 그 외부면에 상기 마감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빗물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 2유체이동공(310)이 형성된 판형상의 마감판(300)이 더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3)과 상기 빗물저장틀(1) 사이에는 상부가 개구된 맨홀 형상의 몸체부(610)와 상기 몸체부(610)의 개구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덮개(620)를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610)의 일측면에서 상기 유입관(3)과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3)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상기 몸체부(610)의 내부에 저장되고, 타측면에는 유출관(4)을 구성하여 상기 몸체부(610)에 저장된 빗물이 상기 빗물저장틀(1)로 유출되도록 구성된 이물질제거홀(600)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20)에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622)을 형성하며, 그 밑면에는 덮개필터(621)가 상기 밑면과 상기 덮개필터(621)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덮개필터(621)에 의해 걸러지는 이물질을 상기 공간부에 축적되도록 상기 밑면을 권회하면서 부착되고, 상기 유출관(4)에는 상기 몸체부(610)와 연결되는 부분의 입구에 유출관필터(630)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관필터(630)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빗물만이 상기 빗물저장틀(1)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몸체부(610)의 바닥면에는 저장된 빗물 중에 섞인 이물질이 하강하여 축적되는 이물질받이(650)가 안치되도록 이물질받이홈(64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9. 다수의 블록이 체결구에 의해 조립된 빗물저장틀(1)과 상기 빗물저장틀(1)의 외부에 마감재를 부착하고, 그 내부에 건물 등에서 유출되는 빗물을 유입관(3) 등으로 흐르게 하여 빗물을 저장시키기 위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굴착시공하는 단계(S10)와, 기초시공 하는 단계(S20)와, 바닥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바닥부에 마감판을 안치하는 단계(S40)와, 블록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을 시공하는 단계(S50)와, 빗물저장틀 외부에 마감판을 설치하는 단계(S60)와, 빗물저장틀을 외부시설에 연결 시공하는 단계(S70)와, 마감판이 시공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80)와, 매설다짐작업 단계(S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블록을 조립하여 빗물저장틀(1)을 시공하는 단계(S50)에는 하부에 체결구를 이용하여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S51)와, 조립된 4개의 블록의 중앙부분에 각각의 외부벽판에 의해 형성된 통공과 제 1중공이 연통하도록 상부에 다수의 블록을 적층하여 체결구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단계(S52)와, 상기 S51, S52단계를 반복하여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S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바닥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30)와 마감판이 시공된 빗물저장틀의 외부에 시트를 시공하는 단계(S80)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는 침투형시트 또는 빗물저장틀의 내부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는 차수형시트 중 하나를 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시공방법.
KR1020050081107A 2005-09-01 2005-09-01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0663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07A KR100663798B1 (ko) 2005-09-01 2005-09-01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1107A KR100663798B1 (ko) 2005-09-01 2005-09-01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3798B1 true KR100663798B1 (ko) 2007-01-02

Family

ID=3786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1107A KR100663798B1 (ko) 2005-09-01 2005-09-01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379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526B1 (ko)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1051778B1 (ko) 2010-01-19 2011-07-26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KR101099777B1 (ko) * 2011-07-20 2011-12-28 주식회사 장호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101226126B1 (ko) * 2012-09-28 2013-01-25 (주) 일신이앤씨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60719B1 (ko) * 2013-10-22 2015-10-1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CN109056897A (zh) * 2018-09-30 2018-12-21 六环景观(辽宁)股份有限公司 辐射型雨水蓄释渗井系统
KR102467704B1 (ko) * 2021-07-20 2022-11-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수·지열 냉난방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778B1 (ko) 2010-01-19 2011-07-26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집수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우수처리 시스템
KR101003526B1 (ko)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1099777B1 (ko) * 2011-07-20 2011-12-28 주식회사 장호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KR101226126B1 (ko) * 2012-09-28 2013-01-25 (주) 일신이앤씨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60719B1 (ko) * 2013-10-22 2015-10-16 주식회사 클레이맥스 조립식 침투저류조 블록유닛 및 이를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CN109056897A (zh) * 2018-09-30 2018-12-21 六环景观(辽宁)股份有限公司 辐射型雨水蓄释渗井系统
KR102467704B1 (ko) * 2021-07-20 2022-11-16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빗물 저류조를 이용한 수·지열 냉난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798B1 (ko)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20120065375A (ko) 물의 유동을 관리하기 위한 조립체 및 모듈
KR100576508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US201002210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KR100736157B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0553085B1 (ko) 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0813995B1 (ko) 주철판넬을 이용한 저류조 구조물 및 저류조 축조방법
JP2008253977A (ja) 水処理装置
KR200403791Y1 (ko) 관유닛을 이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JP2004052243A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0658971B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KR100553086B1 (ko) 지지대를 보강할 수 있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JP2006169814A (ja) 雨水流出抑制施設及びその清掃方法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KR101826619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KR200419136Y1 (ko) 경사면을 형성하는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그 시공방법
JP2004285754A (ja) 雨水貯水槽及び雨水貯水槽を形成するための支持構造体。
JPH09184159A (ja) 地下壁排水用パネル及び地下壁の内側排水構造
JP2003020696A (ja) 貯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