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6126B1 -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6126B1
KR101226126B1 KR1020120109173A KR20120109173A KR101226126B1 KR 101226126 B1 KR101226126 B1 KR 101226126B1 KR 1020120109173 A KR1020120109173 A KR 1020120109173A KR 20120109173 A KR20120109173 A KR 20120109173A KR 101226126 B1 KR101226126 B1 KR 10122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member
tank
storage tank
rain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주) 일신이앤씨
(주)창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이앤씨, (주)창성이엔지 filed Critical (주) 일신이앤씨
Priority to KR102012010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022Large containers rigid in multiple arrangement, e.g. stackable, nestable, connected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빗물저류조로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복수의 본체 유닛을 연결시켜 형성된 일체화된 본체부재(10),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유공관(11), 상기 본체부재(10)의 전후에 설치되는 유입조(13), 유출조(23), 및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포함하여 현장에서 굴착 후 조립 후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Apparatus for storage of 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현장시공이 용이하도록 미리 공장에서 규격품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 및 시공이 가능한 빗물 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강우 강도 증가와 자연녹지의 개발 및 도시화로 인하여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어 유입 허용량을 초과하여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으로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지하수 고갈 및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이 때문에 빗물을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빗물저류조가 개발되고 있다.
근래 개발되는 빗물저류조에는 친환경을 중시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제품을 대신하여 수지로 제조된 부재가 도입되어 환경과 더불어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수지로 제조된 부재는 가능한 경량이고 컴팩트해야 한다. 부재 골격에 필요 이상의 강도를 부여할 경우, 부재의 비용 및 중량 증가를 초래하고, 시공 작업성을 현저히 악화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발명의 명칭 : 우수저류조)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유닛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유닛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유닛과, 조립되었을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유닛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유닛에 결합되며, 저류된 빗물이 서서히 지하로 배수되도록 배수공을 구비한 슬래브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서 시공이 용이한 우수저류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85742호에 있어서는 본체부용 유닛과 주변부용 유닛은 공장제작시 별도로 거푸집을 만들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상기 유닛들의 재질을 콘크리트로 구성함으로서 현장 조립 시공시 각각의 유닛의 자중때문에 기중기 등을 필요로 함으로 시공이 용이하지 않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꼭지점 부근에 체결구를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 홈, 각각의 기둥의 구성 등 그 형상의 복잡함으로 인해 거푸집 형성의 어려움 등 공장제작에 있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저류조 공법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공장에서 규격품 형태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조립 및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빗물저류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지하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것으로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복수의 본체 유닛을 연결시켜 형성된 일체화된 본체부재(10),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유공관(11), 상기 본체부재(10)의 전후에 설치되는 유입조(13), 유출조(23), 및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교차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 연결을 위한 종방향 연결 홈(15)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유닛의 측면에는 인접한 본체 유닛의 측면과 겹쳐진 상태에서 핀(18)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횡방향 연결 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재(10)가 접하는 상하좌우에 관버팀대(19)를 포함하여 유공관(11)에 작용하는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유입조(13)는 유입관로(23), 월류조(13b), 및 점검조(13c)를 포함하며, 상기 유출조(23)는 유출관로(23a), 월류조(23b), 점검조(23c), 및 월류관로(23d)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점검조(13c, 23c)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3e, 23e)를 포함한다.
상기 차수시트(14)는 가황고무계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저면부에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설치하는 제1단계, 일체화된 본체 부재(10)와 유공관(11)을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구조물을 병렬 설치 및 적층시키는 제3단계, 상기 구조물 전후에 유입조(13) 및 유출조(23)를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본제부재(10) 결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밴딩처리하는 제5단계, 상기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측면부 및 상부에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의 일체화된 본체 부재(10)는 복수의 본체 유닛들 상부와 하부에 교차 형성된 홈(15)을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본체 유닛들을 겹쳐진 상태에서 본체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횡방향 연결 홈(16)을 핀(18)으로 고정시켜 횡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10)와 유공관(11)을 설치하는 제2단계는, 상기 유공관(11)을 상기 본체부재(10) 하단부 설치 후 내부의 유공관 연결부재(17)에 적층시킨 후, 본체부재(10) 상단부를 위치시켜 상하부의 각 본체부재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의 유입조(13) 및 유출조(23)의 부재는 DB-24 하중에 대응하는 부재이면 설치 가능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규격품 형태의 부재를 현장에서 지반 굴착 후 조립 및 설치가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공기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적절한 결속수단을 이용하여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점검조를 설치하여 빗물저류조 내부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점검 가능하여 유지관리 및 점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를 시공한 조감도이다.
도 2는 본체부재(10) 결합의 설치사시도이다.
도 3은 본체부재(10)를 구성하는 본체 유닛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2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관버팀대(19)의 사시도이다.
도 6과 7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우수저류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빗물의 저장 효과가 우수한 빗물저류조와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다음 도 1에서와 같이, 복수의 본체 유닛을 연결시켜 형성된 일체화된 본체부재(10),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유공관(11), 상기 본체부재(10)의 전후에 설치되는 유입조(13), 유출조(23), 및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를 구성하는 상기 본체부재(10)는 다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다음 도 3의 복수의 본체 유닛들, 바람직하기로는 4개의 본체 유닛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각 본체 유닛은 'ㄱ'자 형태의 모양을 가지며, 상기 본체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교차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 연결을 위한 종방향 연결 홈(15)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유닛의 측면에는 인접한 본체 유닛의 측면과 겹쳐진 상태에서 다음 도 4에 나타낸 핀(18)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횡방향 연결 홈(16)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체 유닛의 외벽은 막힌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다음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홈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상기 홈의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유닛의 종방향 연결을 위한 종방향 연결 홈(15)과, 횡방향 연결을 위한 횡방향 연결 홈(16), 및 유공관 연결을 위한 형틀(17)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 유닛은 그 내측면으로부터 간격유지부재(17a)가 형성되며, 상기 간격유지부재(17a) 단부에 일체로 유공관 연결부재(17)가 형성되며, 상기 유공관 연결부재(17)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며, 외측면 모서리는 곡선의 형태로 처리하여 부재에 적용하는 응력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음 도 3에 따른 본체 유닛 4개를 연결하면, 다음 도 2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원형의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빈 공간에 유공관(11)을 적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0)가 접하는 상하좌우에 관버팀대(19)를 포함하여 유공관(11)에 작용하는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관버팀대(19)는 버팀판(21)을 고정시킨 후 조절너트(20)를 이용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공관(11)은 다음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통공(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공관(11)의 통공(12)을 이용하여 외부의 물이 유입되어 본체부재(10)의 내부 공간까지 저류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공관(11)에 포함된 통공(12)의 크기 및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부로
부터 물이 효과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상기 본체부재(10)의 전후에 유입조(13)와 유출조(23)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조(13)는 유입관로(13a), 침전조(13b), 및 점검조(13c)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13b)와 점검조(13c)에는 내부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구(13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출조(23)는 유출관로(23a), 월류조(23b), 점검조(23c), 및 월류관로(23d)를 포함하며, 상기 침전조(13b)와 점검조(23c)에는 유지관리를 위한 점검구(23e)를 포함한다.
상기 침전조(13b)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사 및 부유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월류조(23b)에서는 저류조 용량 초과시 유출관로(23a)를 통하여 기존 관로로 유출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검조(13c, 23c)에서는 저류조 내부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점검할 수 있는 점검구(13e, 23e)가 구비되어 빗물저류조를 유지관리 및 점검 기능을 강화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포함한다. 상기 차수시트(14)는 가황고무계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빗물저류조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시트의 사용에 따라 저류조의 기능을 달리하며, 기능별로는 투수시트로 마감하는 침투형과 차수시트로 마감하는 저장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시트를 달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는 추가적으로 시트 시공 전 본체 부재(10)의 결속을 강화하고, 결합된 본체 부재(10)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밴딩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밴딩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 부재(10)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빗물저류조는 다음 도 1에서와 같이, 결속수단으로 결합되어 일체형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시공 현장에서 설치가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은 먼저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에 터파기 및 기초다짐 공정을 진행시킨 후 저면부에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설치하는 제1단계, 일체화된 본체 부재(10)와 유공관(11)을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구조물을 병렬 설치 및 적층시키는 제3단계, 상기 구조물 전후에 유입조(13) 및 유출조(23)를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본제부재(10) 결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밴딩처리하는 제5단계, 상기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측면부 및 상부에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를 시공하고자 하는 장소를 적절하게 준비하고, 본체 유닛들을 연결하여 일체화된 본체 부재를 마련한다.
상기 제2단계의 일체화된 본체 부재(10)는 복수의 본체 유닛들 상부와 하부에 교차 형성된 홈(15)을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본체 유닛들을 겹쳐진 상태에서 본체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횡방향 연결 홈(16)을 핀(18)으로 고정시켜 횡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10)와 유공관(11)을 설치하는 제2단계는, 상기 본체 부재(10)를 연결하여 하단부를 먼저 마련하고, 상기 본체 부재 내부의 유공관 연결부재(17)에 유공관(11)을 적층시킨 후, 연결된 본체 부재(10) 상단부를 위치시켜 상하부의 각 본체부재들을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부재(10)의 상하부의 연결 역시, 종방향 연결 홈(15)과 횡방향 연결 홈(16)을 결합하여 연결시킨다.
또한, 추가적으로 유공관(11)에 작용하는 상면 및 측면 하중으로 인한 변형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상기 본체부재(10)가 접하는 부위인 상,하,좌,우에 관버팀대(19)의 버팀판(21)을 고정시킨 후 조절너트(20)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제3단계에서는 빗물저류조의 높이에 맞추어, 상기 2단계에서 제조된 구조물을 병렬로 설치하고, 적층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적층되는 높이는 용도에 맞게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제4단계는, 적층된 상기 구조물 전후에 유입조(13) 및 유출조(23)를 설치한다. 상기 유입조(13) 및 유출조(23)의 부재는 DB-24 하중에 대응하는 부재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입조(13)는 유입관로(13a), 침전조(13b), 및 점검조(13c)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조(13c)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3e)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출조(23)는 유출관로(23a), 월류조(23b), 점검조(23c), 및 월류관로(23d)를 포함하며, 상기 점검조(23c)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23e)를 포함한다.
상기 침전조(13b)에서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사 및 부유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점검조에서는 저류조 내부의 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점검 가능하여 유지관리 및 점검 기능을 강화하였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인위적으로 내부의 상태를 점검할 수 없었던 것과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시공 후에도 그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여 적절한 청소 및 부유물 제거 등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마지막 시트 시공 전에, 상기 본제부재(10) 결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밴딩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밴딩 부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 부재(10)의 결속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유입조(13)와 유출조(23)를 구조물에 설치한 다음,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측면부 및 상부를 마감시킨다. 상기 투수 및 차수시트(14)는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시트(14)는 차수성을 증대시키는 본드접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본체부재
11 : 유공관
12 : 통공
13 : 유입조
13a : 유입관로
13b : 침전조
23 : 유출조
23a : 유출관로
23b : 월류조
13c, 23c : 점검조
13e, 23e : 점검구
14 : 투수 및 차수시트
15 : 종방향 연결 홈
16 : 횡방향 연결 홈
17 : 유공관 연결부재
17a : 간격유지부
18 : 핀(pin)
19 : 관버팀대
20 : 조절너트
21 : 버팀판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하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빗물저류조로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복수의 본체 유닛을 연결시켜 형성된 일체화된 본체부재(10),
    상기 본체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교차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 연결을 위한 종방향 연결 홈(15);
    상기 본체 유닛의 측면에는 인접한 본체 유닛의 측면과 겹쳐진 상태에서 핀(18)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횡방향 연결 홈(16);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유공관(11);
    상기 본체부재(10)의 일 방향에 유입관로(23), 침전조(13b), 및 점검조(13c)로 구성된 유입조;
    상기 본체부재(10)의 타방향에 유출관로(23a), 월류조(23b), 점검조(23c), 및 월류관로(23d)로 구성된 유출조(23);
    상기 각 점검조(13c, 23c)에는 내부 점검을 위한 점검구(13e, 23e)를 포함하고,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10)가 접하는 상하좌우에 관버팀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8. 지하구조물을 설치하여 물을 저수하는 빗물저류조로서,
    상기 빗물저류조는 복수의 본체 유닛을 연결시켜 형성된 일체화된 본체부재(10),
    상기 본체 유닛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교차 형성되어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 연결을 위한 종방향 연결 홈(15);
    상기 본체 유닛의 측면에는 인접한 본체 유닛의 측면과 겹쳐진 상태에서 핀(18)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횡방향 연결 홈(16);
    상기 본체부재에 삽입되는 유공관(11);
    상기 본체부재(10)의 전후에 설치되는 유입조(13), 유출조(23), 및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의 상하좌우 사방을 마감하는 투수 및 차수시트;
    상기 차수시트(14)는 가황고무계 재료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저면부에 투수 및 저장형 차수시트(14)를 설치하는 제1단계;
    일체화된 본체 부재(10)와 유공관(11)을 상기 본체부재(10) 하단부 설치 후 내부의 유공관 연결부재(17)에 적층시킨 후, 상기 본체부재(10)의 상단부를 위치시켜 상하부의 각 본체부재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일체화된 본체부재(10)는 상기 본체부재(10)가 접하는 상하좌우에 관버팀대(19)로 고정시키고,
    상기 일체화된 본체 부재(10)는 복수의 본체 유닛 상부와 하부에 교차 형성된 홈(15)을 지그재그로 맞물려서 종방향으로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본체 유닛들을 겹쳐진 상태에서 본체 유닛의 측면에 형성된 횡방향 연결 홈(16)을 핀(18)으로 고정시켜 횡방향으로 연결시켜 유공관(11)을 설치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의 구조물을 병렬 설치 및 적층시키는 제3단계;
    상기 구조물 전후에 유입조(13) 및 유출조(23)를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본제부재(10)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하여 벤딩 처리하는 제5단계;
    상기 투수 및 차수시트(14)를 측면부 및 상부에 마감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빗물저류조의 시공방법.
KR1020120109173A 2012-09-28 2012-09-28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2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173A KR101226126B1 (ko) 2012-09-28 2012-09-28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173A KR101226126B1 (ko) 2012-09-28 2012-09-28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126B1 true KR101226126B1 (ko) 2013-01-25

Family

ID=47842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173A KR101226126B1 (ko) 2012-09-28 2012-09-28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1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7482A (ja) * 2004-07-26 2006-02-09 Ebata Kk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100663798B1 (ko) * 2005-09-01 2007-01-02 한승희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2008208521A (ja) * 2007-02-23 2008-09-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貯水施設
JP2011247014A (ja) * 2010-05-28 2011-12-08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流出抑制施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7482A (ja) * 2004-07-26 2006-02-09 Ebata Kk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100663798B1 (ko) * 2005-09-01 2007-01-02 한승희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JP2008208521A (ja) * 2007-02-23 2008-09-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雨水貯水施設
JP2011247014A (ja) * 2010-05-28 2011-12-08 Sekisui Plastics Co Ltd 雨水流出抑制施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9477A1 (en) Methods and modules for an underground assembly for storm water retention or detention
AU2010273166B2 (en) Liquid run-off disposal system
JP4695037B2 (ja) 雨水貯留槽
KR100663793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
KR101321992B1 (ko) 블록식 우수 저류조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1226126B1 (ko) 빗물저류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12755B1 (ko)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CN109083176B (zh) 一种设计有辅助注浆功能的局部降排水系统
KR100984675B1 (ko) 친환경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4029098B2 (ja) 雨水貯留装置
JP6250108B2 (ja) 雨水貯留槽の設置方法
KR101103051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1099777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시설
JP5622113B2 (ja) ポンプユニット
KR100378702B1 (ko) 드레인 필터가 내장된 조립식 옹벽수로
US20090183461A1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wimming pools, ponds and other similar areas of water
KR101277086B1 (ko) 조립식 우수저류조 및 그 시공방법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KR101371151B1 (ko) 밸브실
KR101373110B1 (ko) 조립식 빗물 재이용시설 및 그 설치방법
JP6839438B2 (ja) 雨水浸透貯留槽の構築方法
KR101020566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빗물저류조용 관유닛 조립체
US10214891B2 (en) Modular stormwater captu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