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755B1 -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755B1
KR102612755B1 KR1020217022040A KR20217022040A KR102612755B1 KR 102612755 B1 KR102612755 B1 KR 102612755B1 KR 1020217022040 A KR1020217022040 A KR 1020217022040A KR 20217022040 A KR20217022040 A KR 20217022040A KR 102612755 B1 KR102612755 B1 KR 102612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posing
modules
fluid passagewa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482A (ko
Inventor
제이미 호큰
린 보레시
애런 로웰
카일 맥크레디
제이슨 후크
더그 카엔크로스
톰 헤라티
딘 그로스
Original Assignee
스톰트랩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톰트랩 엘엘씨 filed Critical 스톰트랩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106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7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3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underground elongated vaul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1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imple casting, the material being neither forcibly fed nor positively compa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29Moulds or moulding surfaces not covered by B28B7/0058 - B28B7/36 and B28B7/40 - B28B7/465, e.g. moulds assembled from several parts
    • B28B7/0035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 B28B7/0044Mould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sidewalls of the mould and the moulded article move with respect to each other during demoulding the sidewalls of the mould being only tilted away from the sidewalls of the moulded article, e.g. moulds with hingedly mounted side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0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ejecting or detaching the moulded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6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for holders or similar hollow articles, e.g. vaults, sewer p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6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 B28B7/18Moulds for making shaped articles with cavities or holes open to the surface, e.g. with blind holes the holes passing completely through the articl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모듈식 어셈블리는 지표면 아래의 유체 흐름을 관리하기 위해 모듈식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복수의 모듈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각각은 데크 부분과 그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측벽을 갖는다. 상기 대향하는 측벽은 데크 부분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될 때, 외부로 그리고 서로 멀어지게 경사질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링크 슬래브를 지지하고 운송 또는 저장 중에 쌓인 모듈을 지지 및 분리하기 위한 숄더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측벽은 위에서 아래로 플레어 모양의 구성을 갖는 내부 유체 통로를 정의할 수 있다. 인접 모듈의 상기 링크 슬래브 및 측벽은 측면 유체 채널과 유체 소통하는 외부 유체 통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모듈식 어셈블리에 사용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된다.

Description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본 출원은 현재 계류중인“저심도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라는 명칭으로 2018년 12월 14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2/780,027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빗물 유출과 같은 유체의 지하 관리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 저심도 어플리케이션(shallow-depth application)에서 유체의 지하 유지 및 보유를 위한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precast concrete modules)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미국 및 전 세계의 많은 다른 선진국의 상업 개발 프로젝트는 빗물 관리(storm water management)를 다루기 위해 필요하다. 수질 및 공중 보건 문제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적절한 빗물 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상업용 토지 개발 및 도시화는 일반적으로 주어진 위치의 지붕, 주차장, 보도 및 차도와 같은 불 침투성 표면의 수를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더 많은 양과 유출의 비율은 물론 유출에서 더 높은 농도의 오염 물질이 발생한다.
미국 환경 보호국은 모든 상업용 건물 프로젝트에서 빗물을 제어하고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해 특정 모범 관리 관행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을 채택하도록 요구한다. 그러한 관행 중 하나는 빗물을 수집, 저장, 처리 및 방출하는 지하 유지/억류 침투 및 저장 챔버 시스템을 포함한다.
물 유지 및 억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빗물을 전환 또는 저장하고, 지표면에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하류 홍수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서 특정 사이트의 빗물 유출을 수용한다. 지하수 유지 또는 억류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건물 위치의 표면적이 개방된 저수지, 분지 또는 연못과 같은 다른 유형의 시스템을 수용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지하 시스템은 저수지, 분지 또는 연못에 비해 귀중한 표면적을 활용하지 않는다. 또한 모기 번식에 좋은 개방되어 고여있는 물을 피하는 것과 같이, 다른 시스템보다 공공 위험이 적다. 지하 시스템은 또한 조류 및 잡초 성장과 같은 다른 시스템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미적 문제를 방지한다. 따라서, 물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지하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좋다.
기존 지하 시스템의 한 가지 단점은 유틸리티 및 기타 매설된 도관과 같이 존재하거나 계획된 지하 시스템을 수용해야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지하수 유지 또는 억류 시스템은 물을 지표면에서 다른 위치로 전환하는 데 효과적이어야 한다. 따라서, 가정할 수 있는 계획 영역에서 설계의 융통성과 적응성이 뛰어난 모듈형 지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기존의 지하 시스템, 특히 대규모 개발에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또 다른 단점은 특정 위치에 유지하거나 억류하는 데 필요한 빗물 양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대형 스톰 챔버(storm chamber)가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상당한 높이와 무게를 가진 대규모 지하 시스템의 필요를 야기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사용 불가능하고/불가능하거나 굴착하는 데 상당한 노동력이 필요할 수 있는 경사 아래 상당한 깊이가 요구된다. 이러한 대규모 시스템은 제조, 운송 및 설치에 상당한 재료와 노동력을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은 또한 시스템 전체에 상대적으로 제한없는 물 흐름을 제공하지 못한다. 대신 여러 방향으로 내부 전체에 상대적으로 제한되지 않은 흐름을 허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및 적용 분야에 따라, 지하 시스템은 종종 균열, 붕괴 또는 기타 구조적 결함없이 위에서 적용되는 교통량 및 토양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한다. 실제로, 주어진 시스템을 둘러싼 토양의 무게에 더하여 지면에 적용되는 사실상 예측 가능한 하중을 수용하는 지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러한 요구하는 시스템은 또한 비용, 유체 저장 부피 및 사용된 재료의 무게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 할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쉽게 배송, 취급 및 설치할 수 있다.
모듈형 지하 시스템은 StormTrap LLC 미국 특허 번호 제6,991,402호; 제7,160,058호; 및 제7,344,335호 ("Burkhart Patents") 미국 특허 번호 제D617,867호; 제8,770,890호; 제9,428,880호; 제9,464,400호; 및 제9,951,508호 (“May Patents”)에서 설명될 뿐만 아니라, 이들 각각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은 모듈의 구성, 생산 및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를 사용하여 제작되고 일반적으로 세로 및 가로로 정렬된 구성으로 설치되어 물 및 기타 유체의 흐름을 관리, 유지 및/또는 억류하기 위한 지하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형성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는 더 크고, 더 높고, 더 무거운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는 전통적인 시스템과 비슷한 양의 빗물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더 얕은 설치 깊이를 요구하는 콤팩트한 높이를 갖는 낮은 프로파일 구성(lower profile)을 제공함으로써 대-규모 저심도-어플리케이션(large-scale shallow-depth applications)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모듈 설계는 많은 양의 내부 물 흐름을 허용하는 동시에 현장 설치 중에 필요한 굴착을 최소화하고 각 모듈이 차지하는 계획 면적 또는 풋프린트(footprint)를 최소화한다.
다양한 형태의 지하수 유지 및/또는 억류 구조가 제안되거나 만들어졌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며 매우 두꺼운 구성 요소가 필요한 큰 스팬(span)을 제공하려고 시도한다. 따라서 구조가 매우 거대하여, 비효율적인 재료 사용, 운송 및 취급이 더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비용이 높아진다. 파이프, 상자 암거(box culvert) 및 교량 암거(bridge culvert)와 같은 기타 지하수 운반 구조물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져 특정 용도를 위해 제안되거나 건설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다른 지하 구조물은 다른 응용을 위해 설계되거나, 본원에 개시된 모듈형 시스템의 필요한 특징 및 상기에 언급한 원하는 이점을 제공하지 못한다.
본원에는 지표면 아래의 유체 흐름을 관리하기위한 모듈형 어셈블리가 기재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 및 링크 슬래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듈은 제1 상부 데크 표면,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 단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1 데크 부분을 포함하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측벽은 제1 데크 부분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제1 데크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될 때 서로로부터 멀리 그리고 바깥쪽으로 추가로 경사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는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제1 상부 데크 표면과 같은 높이인 상부 슬래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데크 부분 및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제1 모듈에 대해 내부 유체 통로를 정의할 수 있고,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세로 방향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제1 데크 부분의 하부에 인접한 상부 부분 및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하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됨에 따라 넓어지는 플레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각각 측면 유체 채널(lateral fluid channel)을 정의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결합하는 측면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대향적인 이격된 측벽들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는 상기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링크 슬래브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어셈블리는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은 제2 상부 데크 표면을 갖는 제2 데크 부분 및 제2 데크 부분의 제1 세로 방향 측면으로부터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듈의 제1 측벽은 제1 모듈의 대향하는 이격된 제1 측벽 중 제1 측벽에 측면으로 인접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모듈의 제1 측벽인 상기 링크 슬래브는 제1 모듈 및 제2 모듈 사이의 외부 통로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제2 세로 방향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통로는 측면 유체 통로 및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는 상단 슬래브 표면이 제1 및 제2 상단 데크 표면과 같은 높이인 제2 모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외부 높이 및 상기 링크 슬래브의 밑면에 인접한 상단 부분과 제1 및 제 2 모듈의 제1 측벽의 각각의 하단 가장자리에 인접한 하단 부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상단 부분에서 하단 부분으로 확장함에 따라 좁아지는 테이퍼형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원에는 지표면 아래의 물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어셈블리가 기재된다. 상기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복수의 링크 슬래브,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은 각각 상부 데크 표면, 상기 데크 부분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구 말단, 및 적어도 2개 이상의 이격된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를 포함하는 데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제1 데크 부분에서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됨에 따라 다른 하나로부터 바깥쪽으로 그리고 멀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 슬래브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부 슬래브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은 내부 유체 통로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세로 흐름 경로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데크 부분의 밑면과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의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기 데크 부분의 밑면에 인접한 상부 부분과 상기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한 바닥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됨에 따라 넓어지는 플레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결합에서 측면 방향 유동 경로를 정의할 수 있는 측면 방향 유체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유체 통로는 복수의 모듈 중 일부의 대향하는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측면 개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듈 중 제1 사전 정의된 개수는 측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row)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듈 중 제2 사전 정의된 개수는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열(column)을 형성하도록 말단-대-말단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서, 상기 출구 포트는 입구 포트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입구 포트는 복수의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구 포트는 어셈블리에 의해 정의된 바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는 복수의 주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주변 벽을 포함하는 외부 주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주변 모듈은 견고한 외부 측벽과 외부 개구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벽은 각 주변 모듈의 외부 개구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본원에는 지표면 아래의 물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형 어셈블리에 사용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만드는 방법이 기재된다. 상기 방법은 몰드의 하부에 의해 정의된 중앙 세로 축을 따라 벌크헤드를 위치시키는 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원위 말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제1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원위 말단에 리드를 지지하는 단계, 고정 장치로 상기 리드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체결하는 단계, 상기 벌크헤드와 상기 몰드에 의해 정의된 보이드에 콘크리트를 도입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를 굳히는 단계, 상기 고정 장치를 풀고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하는 암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형성된 모듈을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벌크헤드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측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2 개의 측면 부분은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 보이드(seat void)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크헤드 노치 섹션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은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 보이드로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팔 노치 섹션(arm notched section)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팔 노치 섹션은 벌크헤드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벌크헤드 노치 섹션(bulkhead notched section)과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은 하부에 힌지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장치로 리드에 대해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적인 팔을 결합하는 단계는 복수의 래치(latch)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적인 팔을 고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장치를 풀고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적인 팔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래치로부터 적어도 2 개 이상의 대향적인 팔을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 이는 본 명세서의 일부를 형성하고 이와 함께 읽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retention)/억류(detention)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3은 링크 슬래브(link slab)없이 도시된 도 1 및 2의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다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어셈블리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라 스택된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하나의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제조를 위한 예시적인 기계적 몰드(mold)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제1 위치에 있는 도 19의 기계적 몰드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제2 위치에 있는 도 19 및 20의 기계식 몰드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제2 위치에 있는 도 19-21의 기계식 몰드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23은 도 19-22의 기계식 몰드의 벌크헤드(bulkhead)의 정면 입면도이다.
도 24는 도 19-23의 기계식 몰드의 단면 부분 정면 입면 상세도이다.
도 25는 도 19-24의 기계식 몰드의 리드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19-25의 기계식 몰드의 리드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27은 도 19-26의 기계식 몰드의 리드의 단면 정면 입면도이다.
도 28은 모듈이 있는 제1 위치에 있는 도 28의 기계식 몰드의 단면 상부 평면도이다.
도 29는 모듈없이 제2 위치에 있는 도 29의 기계식 몰드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모듈없이 제2 위치에 있는 도 28 및 29의 기계식 몰드의 측면 입면도이다.
도 31은 본원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모듈의 제조 방법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전체에 걸쳐 유사한 부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에서 요소의 비례 관계가 반드시 유지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실시양태가 가능하지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양태는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 간주되어야 함을 이해하고, 본 발명은 예시된 특정 실시양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 1 내지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대표적인 모듈 및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양태는 유체 유지/억류 모듈 및 빗물 유출과 같은 지하 유체 수집에 사용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로 이루어진 어셈블리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모듈은 서로 유체 연통하는 양방향 흐름 경로를 포함하는 복수의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모듈의 어셈블리를 형성하기 위해 말단-대-말단 및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모듈 또는 복수의 모듈 어셈블리는 일련의 스택된 레벨의 모듈 또는 어셈블리로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에 따른 모듈 및 어셈블리는 다량의 빗물을 포획하기 위해 지면 내에 설치하기 위한 컴팩트한 높이의 로우-프로파일(low-profile)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재된 모듈은 모듈형 어셈블리의 구성에 있어 큰 다양성을 제공한다. 상기 모듈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해당 경계에 대해 원하는 바에 따라 계획 영역 또는 풋프린트에 맞게 사용자 정의된 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모듈형 어셈블리는 유틸리티, 파이프라인, 저장 탱크, 우물 및 원하는대로 임의의 다른 구조물과 같은 기존 지하 장애물을 수용하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에 의해 수집된 빗물은 내부 흐름 경로를 통해 흐르도록 허용되어 배출 포트를 통한 침투 또는 배출을 통해 제어 방출을 위해 유지될 수 있다. 빗물은 또한 수동으로 제거하여 빗물 배수구, 연못 또는 습지와 같은 외부 지역으로 제거할 수 있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구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원하는 깊이에서 지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저설치 심도를 필요로 하거나 요구하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설계는 현장 설치 중에 필요한 굴착을 최소화하고 각 모듈이 차지하는 계획 면적 또는 풋프린트를 최소화하면서 많은 양의 내부 물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모듈의 어셈블리의 최상부 부분은 예를 들어 주차장, 공항 활주로 또는 공항 타맥(airport tarmac)과 같은 지상 표면 또는 교통 표면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모듈은 지면 내, 토양의 하나 이상의 층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에서, 상기 모듈은 토양, 차량 및/또는 물체의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하다. 본 기재 내용으로부터 당업자는 예시적인 모듈이 다수의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며, 예를 들어 잔디, 공원 도로, 주차장, 도로, 공항, 철도 또는 건물 바닥 아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모듈은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충분한 다용성과 설계 적응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물 흐름 관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물 유지 또는 구류를 허용한다.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들에 따르면, 각각의 유지/억류 모듈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일체형 단일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모듈은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오프-사이트 시설에서 제조될 수 있고, 완전히 형성된 유닛으로서 설치 장소로 운반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강철 보강 막대, 조립식 강철 메시 또는 기타 유사한 보강재일 수 있는 내장 보강재(embedded reinforcements)로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 막대 또는 메쉬 대신에, 프리-텐션 또는 포스트-텐션된 강철 스트랜드 또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섬유 또는 리본과 같은 다른 형태의 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모듈은 강화, 프리스트레스 스트랜드(prestressed strands)를 갖는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인 중공 코어 재료(hollow core material)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코어 재료는 길이를 따라 여러 개의 연속적인 보이드를 가지며 추가된 강도에 대하여 업계에서 알려져 있다. 모듈이 주차장, 도로, 고속도로, 기타 도로 또는 공항 교통 표면과 같은 교통 표면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모듈 구성은 미국 주 교통 및 고속도로 공무원 협회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Transportation and Highway Officials, "AASTHO") 표준을 충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는 다른 부하 표준이 사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업계에서 알려진 부하 표준인 HS20 부하를 견디기에 충분할 것이다.
도 1 내지 3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모듈(100)은 일반적으로 제2 측벽 (120)과 대향하는 제1 측벽 (110) 및 상부 데크 부분(13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및 상부 데크 부분(130)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100)은 제1 개방 단부(102) 및 제2 개방 단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듈(100)은 제1 개방 단부(102)와 제2 개방 단부(미도시) 사이의 길이(ML)를 정의할 수 있다. 도 1에 가장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측벽(110, 120)은 상기모듈의 제1 개방 단부(102)와 제2 개방 단부 사이에서 연장될 때 그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대향하는 측벽(110, 120)은 상기 데크 부분(130)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피치되거나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 (110, 120)이 상기 데크 부분(130)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측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고 바깥쪽으로 경사지도록 한다.상기 제1 측벽(110)은 내부 표면(112), 외부 표면(114), 바닥 에지(116), 및 일부 실시양태에서 숄더(1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120)은 내부 표면(122), 외부 표면(124), 바닥 에지(126) 및 일부 실시양태에서 숄더(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118, 128)는 상기 모듈(100)의 측벽(110, 120)의 외부 표면(114, 124)과 결합되고 그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데크 부분(130)은 밑면(132) 및 상부 표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듈은 높이 H, 내부 치수 ID(즉, 대향하는 측벽(110, 120)과 내부 표면(112, 122) 사이의 공간) 및 외부 치수 OD(즉, 대향하는 측벽(110, 120)의 외부 표면 (114, 124)사이의 거리)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치수(ID) 및 외부 치수(OD)는 높이(H)에 대해 변할 수 있으므로, 특정 내부 치수(ID‘및 외부 치수 (OD')는 특정 높이(H ')에 상응하고 다른 내부 치수(ID″) 및 외부 치수(OD″) 다른 높이(H″)에 상응한다. 상기 모듈(100)의 내부 치수(ID) 및 외부 치수(OD)는 일반적으로 각각의 측벽(110, 120)을 따른 상대적 위치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상기 측벽(110, 120)을 따라 낮은 위치는 각진 측벽(110, 120)이 특정 높이(H, H', H″)와 관련한 다양한 위치에서 서로 멀어지면서 상기 모듈(100)의 더 큰 내부 치수(ID) 및 외부 치수(OD)를 초래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측벽(110, 120)의 내부 표면(112, 122) 및 데크 부분 (130)의 밑면(132)은 상기 데크 부분(130) 아래에서 모듈(100)의 바닥까지 연장되는 내부 유체 통로 또는 채널(140)을 정의할 수 있으며(상기 측벽 (110, 120)의 하단 또는 에지까지), 이를 통해 유체의 제한받지 않는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진 측벽(110, 120)은 내부 통로 (140)에 상부에서 하부로의 높이(H)를 따라 플레어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 내부 통로 (140)는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에지에 인접한 바닥 부분의 내부 치수(ID)가 상단(상기 데크 부분 (130)의 밑면 (132) 아래 부분)의 내부 치수(ID)가 크도록 바닥쪽으로 더 넓어진다. 상기 데크 부분(130)의 밑면(312)은 상기 내부 통로(140)의 상부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밑면 (132)은 상승될 수 있고, 평면 및/또는 상승된 중앙 섹션으로 상향 연장되는 측면을 따라 곡선 또는 경사진 섹션을 특징으로 하는 단면에서 해치형 또는 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대향하는 내부 표면 (112, 122) 및 측벽 (110, 120)의 각각의 외부 표면 (114, 124)은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3에 추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측벽 (110, 120)은 두께 (T)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벽 (110, 120)의 두께 (T)는 4 인치 내지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두께 (T)는 대략적으로 4 인치일 수 있다. 상기 데크 부분(130)은 데크 폭(deck width, DW)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데크 폭(DW)은 2 피트 내지 5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데크 폭(DW)은 대략적으로 3 피트, 7 인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데크 부분(130)의 상부 표면(134)은 실질적으로 수평이고 평평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데크 부분(130)의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크 부분 (130)의 두께는 중앙 부분을 향해 감소하는 두께와 함께 측면을 따라 더 큰 두께를 가짐으로써 그 폭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벽(110)은 제1 측벽 각도(θ1)를 정의 할 수 있고, 제2 측벽(120)은 제2 측벽 각도(θ2)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측벽 각도(θ1)는 15도 내지 85도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1 측벽 각도(θ1)는 대략 66도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2 측벽 각도 (θ2)는 15도 내지 85도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2 측벽 각도 (θ2)는 대략 66도 정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1 측벽 각도 (θ1) 및 제2 측벽 각도 (θ2)는 동일하거나 대략적으로 동등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측벽 각도 (θ1) 및 제2 측벽 각도 (θ2)는 변할 수 있고 동일하거나 대략적으로 동등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숄더(118, 128)는 숄더 높이(SH) 및 숄더 너비(SW)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숄더 높이 (SH)는 2 인치 내지 1 피트, 4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숄더 높이 (SH)는 대략적으로 9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숄더 폭(SW)은 1 인치 내지 1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숄더 폭(SW)은 대략적으로 4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지/억류 모듈(100)은 다양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따라 복수의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원에 기재된 그러한 예시적인 치수가 본 발명의 모든 가능한 실시양태를 포괄하는 것은 아니며, 대안적인 형상 및 치수가 제한없이 본 발명 내에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각 모듈 (100)의 길이 (ML)는 10 피트 내지 25 피트 이상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20 내지 23 피트 길이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2 피트 내지 6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대략적으로 4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1 피트, 6 인치 및 4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대략 3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1 피트 내지 3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H'')는 대략 2 피트 정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치수(ID)는 5 피트, 9 인치 및 9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치수(ID)는 대략 6 피트 9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치수 (ID′)는 5 피트, 3 인치 및 7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치수 (ID′)는 대략 5 피트 10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깊이 (ID″)는 4 피트, 9 인치 및 6 피트, 3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치수(ID″)는 대략 5 피트 정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5 피트, 6 인치 및 9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대략 7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5 피트 내지 8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대략 6 피트 7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4 피트, 6 인치 및 7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치수 (OD″)는 대략 5 피트 8 인치일 수 있다.
추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100)은 패널 또는 링크 슬래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 슬래브(150)는 상부 표면(152), 하부 또는 바닥 표면(154), 대향적인 측면 에지(156) 및 대향적인 말단 에지(158)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직선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모듈(100)의 숄더(118, 128) 상에 형성되고 이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 표면은 상기 링크 슬래브(150)의 바닥 표면(154)을 지지하기 위한 선반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링크 슬래브 (150)는 내부 폭 (IW), 외부 폭 (OW), 슬래브 두께 (ST) 및 슬래브 길이 (SL)를 더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내부 폭(IW)는 3 피트, 3 인치 및 6 피트, 9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폭(IW)은 대략 4 피트, 5 인치 정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폭(OW)은 3 피트 내지 7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폭(OW)은 대략 4 피트, 10 인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 (150)는 상부 및 하부 표면(152, 154) 사이에서 균일한 두께(ST)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150)의 두께(ST)는 4 내지 8 인치일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바람직한 두께는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 (150)의 길이 (SL)는 유지/억류 모듈 (100)의 길이(ML)의 절반 정도일 수 있다. 이는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 (100) 사이에 정의된 공간을 덮는 단계를 포함하여 모듈(100)과 관련하여 링크 슬래브(150)가 사용될 때, 모든 모듈 (100) 쌍은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대략 2 개의 링크 슬래브 (150)의 사용을 요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링크 슬래브(150)는 제한없이 더 길거나 더 짧은 길이 (SL)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모듈은 다양한 배열의 행과 열로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어셈블리(400)에서, 상기 모듈(100)은 또한 측면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인접한 모듈 (100)의 각각의 측벽 (120, 110)은 서로 나란하고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측벽 (120, 110)의 바닥 에지(126, 116)는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100)은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100)의 바닥 에지 (126, 116) 또는 그 근처를 포함하여 상기 측벽(120, 110)의 외부 표면(124, 114) 사이에 정의된 공간이 있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모듈(100)은 인접한 측벽(120, 110)의 바닥 에지 (126, 116) 및 그에 인접한 외부 표면(124, 114)이 서로 같은 높이가 되도록 배열되어 그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또는 최소 공간) 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100)의 인접한 측벽 (120, 110)은 각각의 바닥 에지 (126, 116)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때 서로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열을 형성하기 위해 모듈(100)을 나란히 배치하면(인접 모듈 (100)의 측벽 (120, 110)의 바닥 에지 (126, 116)가 서로 같은 높이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데크 부분 (130) 사이에 인접한 모듈 (100) 사이에 공간 또는 보이드가 생길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100) 사이의 공간은 일반적으로 그 높이를 따라 바닥에서 상단으로 벌어져서(또는 위에서 아래로 볼 때 테이퍼 됨) 일반적으로 삼각형 형상의 외부 통로(500)(즉, 인접한 모듈 (100)의 측벽 (120, 110)의 외부 표면 (124, 114) 사이의 공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이를 통한 유체의 제한없는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통로(500)는 일반적으로 상기 모듈(100)의 내부 통로 (140)에 평행하고 상기 모듈(100)의 대향하는 개방 단부 (102, 104)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른 외부 통로 (500)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됨에 따라 좁아질 수 있다.
도 4-10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링크 슬래브(150)는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슬래브(150)의 바닥 표면 또는 하부(154)는 외부 통로 (500)의 상부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150)의 측면 에지(156)는 인접한 모듈(100)의 각각의 각진 측벽(120, 110)의 외부 표면(124, 114)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링크 슬래브(150)의 외부 폭(OW)이 링크 슬래브(150)의 내부 폭(IW)보다 클 때, 상기 링크 슬래브 (150)의 측면 에지(156)의 베벨(bevel)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 슬래브 (150)는 링크 슬래브 (150)의 상부 표면 (152)이 모듈 (100)의 데크 부분(130)의 상부 표면 (134)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100) 사이에서 지지되어 대체로 수평인 플랫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표면 (152)을 따른 링크 슬래브 (150)의 외부 폭(OW)은 인접한 모듈 (100)의 데크 부분 (150)의 측면 에지 사이의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 슬래브 (150)는 링크 슬래브 (150)의 바닥 표면(154)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 다리(600)를 가질 수 있다. 각 다리(600)는 일반적으로 두께(LT) 및 높이(LH)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다리(600)는 측면 에지 (156)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 다리 (600)는 링크 슬래브 (150)의 일반적인 폭을 따라 실질적으로 중앙에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링크 슬래브 (150)에 일반적으로 단면이 T 자형을 제공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링크 슬래브(150)가 인접한 모듈 (100) 사이에 배치될 때, 상기 다리(600)는 링크 슬래브 (150)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각진 측벽 (110, 120)의 하부 부분에 안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리 높이 (LH)는 일반적으로 모듈 (100)의 높이 (H)와 대응할 수 있으므로, 각 다리(600)는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 (100) 사이의 표면 (미도시) 또는 그라운드 (미도시)에 안착되도록 아래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한 링크 슬래브 (150)의 상부 표면 (152)이 인접 모듈 (100)의 데크 부분 (130)의 상부 표면 (134)과 같은 높이가 되도록하여 일반적으로 평평한 플랫폼을 형성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다리 두께 (LT)는 3 내지 6 인치 정도일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두께 (LT)는 바람직하게는 4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유지/억류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은 측면 개구 (800)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면 개구 (8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 (110, 120)의 바닥 에지 (116, 126)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방 개구 (8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 에지(116, 126)로부터 상승된 일부 지점에 위치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측방 개구 (800)는 본원에서 논의된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여 측벽(110, 120)상의 임의의 지점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8 내지 10은 일반적으로 원형(또는 반원형)이고 유지/억류 모듈 (100)의 개방 단부 (102, 104)에서 세로 방향 개구보다 작은 유효 직경을 갖는 측면 개구 (800)를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측 방향 개구(800)는 제한없이 다른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세로 방향 개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면 개구 (800)가 측벽 (110, 120)의 바닥 에지 (116, 126)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경우, 공통 통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부 통로 (140) 및/또는 외부 통로 (500)가 측면 개구 (800)를 통한 것을 포함하여, 서로 유체 연통하는 어셈블리(400)를 통해, 측면으로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는 유체 흐름을 허용하는 측면 유체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내부 통로 (140) 및/또는 외부 통로 (500)를 통한 유체의 세로 방향 흐름에 추가하여, 이러한 측면 유체 흐름은 어셈블리(400)를 통한 유리한 양방향 유체 흐름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 개구(800)가 바닥 에지(116, 126) 위로 상승된 일부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내부 통로 (140) 및/또는 외부 통로 (500) 내의 유체는 일반적으로 측면 흐름으로부터 제한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상기 어셈블리(400)를 통해 측 방향으로 흐르기 위해 측 방향 개구(800)의 적어도 바닥 에지로 상승해야한다. 상기 공통 통로가 측면 유체 채널을 생성하는 그러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100)의 내부 통로(140) 내에서 흐르는 유체는 상기 유체가 특정 볼륨 또는 유속에 도달한 경우에만 인접한 모듈(100) 사이의 외부 통로 (500)로 측면 개구 (800)를 통과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2 개의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 (100)이 측면 개구 (800)를 갖는 측벽 (120, 110)을 포함하는 경우에, 하나의 모듈 (100)의 내부 통로(140) 내에서 흐르는 유체는 모듈 (100)의 상기 측면 개구(800)를 통해 외부 통로 (500)로 통과하도록 허용 될 수 있고, 다른 모듈(100)의 측면 개구(800)를 통해 이의 내부 통로 (140) 내로 통과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인접한 모듈(100)의 각각의 측면 개구(800)는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오프셋(offset)되거나 계층화 될 수 있다. 그러한 상응하는 측 방향 개구(800)가 계층화될 때, 상기 어셈블리(400)는 통로(140, 500)가 소정의 미리 정의된 부피 또는 유속에 도달할 때만 양방향 흐름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양방향 흐름에 대한 이러한 제한은 특정 보유(retention), 억류(detention) 및 배출(discharge) 표준을 충족할 목적으로 어셈블리 (400)를 통한 흐름 및 저장을 제어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100)의 제1 측벽 (110)에 정의된 제1 측면 개구(800)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내부 통로 (140)를 통과하는 공통 통로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상기 모듈(100)의 제2 측벽 (120)에 정의 된 제2 측면 개구(800)의 위치와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개별 모듈(100)의 측벽(110, 120)에 정의된 측면 개구(800)는 모듈(100)의 길이(ML)를 따라 서로 오프셋(offset)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모듈 (100)의 측면 개구 (800)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다른 모듈 (100)의 측면 개구 (800)의 위치와 정렬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외부 통로 (500)를 통과 할 수도 있는 어셈블리 (400) 전체에 걸쳐 공통 통로를 효과적으로 정의하기 위해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측면으로 인접한 모듈 (100)의 측면 개구 (800)가 일반적으로 어셈블리(400)의 공통 통로를 형성하도록 정렬되는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면 개구(800)는 상기 모듈(100) 사이에 연속적인 측면 유체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측 방향으로 인접한 모듈(100)의 상기 측 방향 개구(800)가 일반적으로 상기 모듈(100)의 길이(ML)를 따라 서로 오프셋되는 경우에, 측 방향으로 인접한 모듈(100)의 내부 통로(140) 사이의 유체 흐름은 측방 개구(800) 사이의 외부 통로(500)의 길이를 따라 지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개별 모듈(100) 및 집합 어셈블리(collective assembly)(400)의 공통 통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프로젝트 사이트를 통과해야하는 다양한 지하 시설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하 시설에는 유틸리티, 매립된 도관, 파이프라인 및 원하는 바와 같은 다른 구조물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100)은 다른 어셈블리 (1100)에서, 측면 방향으로 행을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배열된 모듈 (100)을 갖는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동시에 세로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기 위해 말단-대-말단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열은 말단-대-말단으로 배열된 일련의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의 제1 모듈 (100)의 세로 방향 말단은 동일한 열에 있는 인접한 제2 모듈(100)의 세로 방향 말단에 대해 실질적으로 같은 높이에 있다. 상기 어셈블리(1100)의 모듈(100)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인접한 모듈(100) 표면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joints)는 제한없이 비투매스틱 테이프(bitumastic tape), 랩(wraps), 필터 직물(filter fabric) 등 또는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실런트(sealant) 또는 테이프로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열은 세로 방향에 대해 측면 또는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련의 모듈(100)은 제1 칼럼(1110)을 형성하기 위해 말단-대-말단 구성으로 어셈블리(1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칼럼 (1110)은 일반적으로 어셈블리(1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모듈(100)의 제2 열 (1120)은 제1 열 (111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모듈(100)의 열 및 행의 어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유사하게, 추가적인 컬럼이 모듈(100)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어셈블리(1100)를 포함하는 다른 컬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100)은 내부 통로 (140) 및 외부 통로 (500)와 같은 유동 경로를 정의하면서. 오프셋 또는 엇갈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100)은 벽돌을 놓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향과 유사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모듈(100)의 어셈블리(1100)의 길이 또는 폭은 일반적으로 무제한 일 수 있으며, 상기 모듈(100)은 불규칙하거나 비-대칭 형상을 갖는 어셈블리(1100)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어셈블리(1100)는 유입(influent)/입구(inlet) 포트(1130) 및/또는 유출(effluent)/출구(outlet) 포트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포트(1130)는 예를 들어, 지면 수준에 축적되는 물 또는 지면 수준 또는 다른 수준에 위치한 다른 물 저장 영역으로부터의 물과 같은 상기 어셈블리(1100)의 외부 영역으로부터 유체가 어셈블리(1100)로 들어가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출구 포트는 물을 어셈블리(1100) 외부로, 바람직하게는 수로, 수처리 플랜트(water treatment plants), 다른 도시 처리 시설 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다른 위치 중 하나 이상으로 보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출구 포트는 어셈블리(1100)를 포함하는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출구 포트는 예를 들어 어셈블리(1100)의 바닥(미도시)을 포함하는 다른 위치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복수의 출구 포트는 어셈블리(1100)를 포함하는 상기 모듈(100)의 측벽(110, 120)의 다양한 위치 및 다양한 높이에 배치되어 그로부터 물을 방출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어셈블리(1100)의 상기 출구 포트는 바람직하게 어셈블리(1100)를 빠져 나가는 우수의 흐름을 일반적으로 제한하기 위해 어셈블리의 입구 포트(1130)보다 일반적으로 더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물은 천공 재료(perforate material)로 구성된 어셈블리(1100)의 바닥을 통한 침투 또는 흡수 과정을 통해 또는 바닥의 복수의 개구를 통하는 것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어셈블리 (1100)를 빠져 나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 포트 (1130)는 어셈블리 (1100)를 포함하는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입구 포트 (1130)는 상기 어셈블리 (110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 (100)의 데크 부분 (130)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듈(100)의 측벽(110, 120)에 위치된 입구 포트 (1130)는 사이트의 원격 위치로부터 파이프(미도시) 등을 통해 우수를 수용하기 위해 바람직한 사이트 요건에 의해 요구되는 맞춤형 위치 및 고도에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입구 포트 (1130) 또는 다양한 종류가 어셈블리 (1100)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위치가 알려진 경우, 유입 포트 (1130)의 위치는 모듈 (100)의 형성 또는 제조 중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경우, 입구 포트(1130)의 위치는 적절한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 중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2-15는 본원에 기재된 실시양태들에 따른 복수의 유지/억류 모듈 (100)로 구성된 예시적인 유체 관리 어셈블리(fluid management assemblies)(1200, 1300, 1400, 1500)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2-15는 특정 높이(H)를 갖는 모듈 (100)의 예시적인 어셈블리 (1200, 1300, 1400, 1500)를 도시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 (100)의 높이(H)는 대략 4 피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 (100)의 높이 (H)는 대략 3 피트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 (100)의 높이 (H)는 대략 2 피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어셈블리(1200, 1300, 1400, 1500)의 모듈 (100)의 H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어셈블리에서 유지/억류 모듈(100)의 수 또는 배열은 제한없이 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3-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1300, 1400, 1500)는 모듈 (100)의 외부 둘레 (1310, 1410, 1510) 및 모듈 (100)의 내부 배열 (1320, 1420, 1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듈(100)의 내부 배열 (1320, 1420, 1520)은 외부 둘레(1310, 1410, 15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외부 둘레 (1310, 1410, 1510)는 각각의 외부 개방 단부 (미도시) 및/또는 측면 개구없이 견고한 외부 측벽(미도시)에서 폐쇄된 세로 방향 단부를 가질 수 있는 모듈 (1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모듈 (100)의 각각의 외부 개방 단부에서의 세로 방향 개구는 어셈블리(1300, 1400, 1500)의 외부 둘레를 따라 세로 방향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음으로써 별도의 주변 벽(미도시)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외부 둘레 (1310, 1410, 1510)를 포함하는 모듈 (100)의 이러한 밀폐되고 불투과성 배열은 제공된 출구 포트(미도시)를 통해 빠져 나가는 유체를 제외하고, 모듈(100)을 통해 어셈블리(1310, 1410, 1510)를 빠져 나가는 것으로부터 유체를 제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어셈블리 (1300, 1400, 1500)의 내부 배열 (1320, 1420, 1520)은 외부 둘레 (1310, 1410, 1510)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외부 둘레 (1310, 1410, 1510)는 어셈블리(1300, 1400, 1500)의 모든 모듈(100)이 각각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단부에서 폐쇄된 세로 방향 단부 및/또는 측면 개구가 없는 견고한 외부 측벽을 갖지 않도록 부분 엔클로저(enclosur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15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 (1300, 1400, 1500)는 유효 길이 EL, EL', EL'' 및 유효 폭 EW, EW', EW''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1300)의 유효 길이(EL)는 195 피트에서 270 피트 사이일 수 있다. 어셈블리 (1300)의 유효 폭(EW)은 35 피트에서 50 피트 사이의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셈블리(1400)의 유효 길이(EL')는 대략 150 피트에서 135 피트 사이일 수 있다. 어셈블리 (1400)의 유효 폭 EW '는 약 95 피트에서 140 피트 사이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 (1500)의 유효 길이 (EL″)는 약 195 피트에서 270 피트 사이일 수 있다. 어셈블리 (1500)의 유효 폭(EW‘은 100 피트에서 140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도 13-15는 본원에 설명된 실시양태에 따른 예시적인 어셈블리를 도시함에도 불구하고, 모듈의 임의의 구성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어셈블리의 유효 길이 및 유효 폭을 포함한 전체 치수는 그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어셈블리 (1500)는 가로 방향으로 행을 형성하기 위해 나란히 배열되고 세로 방향으로 열을 형성하기 위해 말단-대-말단으로 배열된 일련의 모듈 어레이(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련의 어레이의 각 어레이는 상기 모듈 (100)에 의해 정의된 다양한 수의 행 및 열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셈블리 (1500)는 일반적으로 모듈 (100)의 제1 어레이 (1530) 및 모듈(100)의 제2 어레이 (1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어레이 (1530)는 9 개의 행과 4 개의 열로 배열된 모듈 (1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100)의 제1 어레이 (1530)는 본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되고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어레이(1530)는 유효 길이 (EL″) 및 유효 내부 길이 (EIL″)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어레이 (1540)는 2 개의 행과 9 개의 열로 배열된 모듈 (100)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100)의 제2 어레이 (1540)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되고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모듈 (100)의 제2 어레이 (1540)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절한 방식으로 배열되고 함께 결합될 수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어레이 (144)는 유효 폭(EW″) 및 유효 내부 폭 (EIW″)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효 내부 길이(EIL″)는 약 125 피트에서 245 피트 사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효 내부 길이(EIL″)는 대략 184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효 내부 폭(EIW″)은 60 피트 내지 90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유효 내부 폭(EIW″)은 대략 76 피트 정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어셈블리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임의의 수의 어레이, 임의의 어레이의 배열, 및 모듈 (100)의 임의의 행 및 열의 배열을 포함하는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6-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 (160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각 시트(1600)는 내부 에지(16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1600)는 모듈(100)의 측벽(110, 120)의 내부 표면(112, 122)과 결합될 수 있고, 대향하는 측벽(110, 120)으로부터 내부 통로(14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6-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1600)의 내부 에지 (1602)는 상기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상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시트 (1600)에 의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형성되는 아래쪽으로 만나는 표면에서 종료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시트 (1600)에 의해 형성되고 정의된 아래쪽으로 향하는 표면은 레지(ledges)(1604)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의 모듈 (100)의 레지(1604)는 제2 모듈 (100)의 숄더(118, 128) 상에 형성되고 그에 의해 정의되는 위쪽으로 향하는 표면과 형상, 크기 및 상대적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듈(100)의 숄더(118, 128)는 제1 모듈 (100)의 레지(1604)를 수용하고 함께 맞물릴 수 있고 일반적으로 이를 지지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도 16-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 (1600)는 상기 측벽(110, 120)의 내부 표면(112, 122)에 대한 프로파일 두께(SET)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 두께(SET)는 상기 시트 (1600)가 내부 표면 (112, 122)으로부터 멀어 지도록 아래쪽으로 연장할 수 있게 하여 제1 모듈 (100)의 시트 (1600)의 레지 (1604)가 다른 모듈 (100)의 숄더(118, 128)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모듈 (100)의 상기 시트(1600)가 다른 모듈 (100)의 숄더(118, 128)를 지지할 수 있을 때, 제1 모듈의 레지(1604)는 상기 숄더(118, 128)에 의해 생성된 선반과 같은 높이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에 대한 시트 (1600)의 프로파일 두께 (SET)는 테이퍼(taper)를 가질 수 있거나 상기 내부 표면 (112, 122)을 따라 아래로 연장됨에 따라 시트(1600)의 길이에 걸쳐 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시트(1600)의 프로파일 두께(SET)는 일반적으로 다른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외부 표면 (114, 124)의 플레어 구성에 상응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모듈 (100)의 레지(1604)가 제2 모듈 (100)의 숄더 (118, 128)에 의해 수용되고 지지될 때, 공간(1610)은 제1 모듈의 데크 부분 (130)의 하부(132) 및 제2 모듈 (100)의 데크 부분(130)의 상면 (134)에 의해 제공되고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 (1610)은 다음 중 적어도 일부에 의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 제1 모듈 (100)의 시트 (1600); 및/또는 제2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외부 표면 (114, 124). 상기 공간 (1610)은 높이 (HS)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 (HS)는 1 피트 내지 2 피트 정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높이 (HS)는 대략 1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과 제2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외부 표면(114, 124) 사이에 거리가 정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거리는 6 인치에서 1 피트, 6 인치 정도일 수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모듈 (100)의 레지(1604)가 제2 모듈 (100)의 숄더 (118, 128)와 형상, 크기 및 상대적 위치에 상응하는 실시양태에서, 상기 2 개의 모듈(100)은 제1 모듈 (100)이 제 2 모듈(10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제2 모듈 (100)의 상부에 제1 모듈 (100)을 적층하여 제1 모듈 (100)의 시트 (1600) 및 레지(1604)를 제2 모듈 (100)의 숄더 (118, 128)와 인터페이스함으로서, 이는 운송 및 보관 관련 손상을 제한하기 위해 다수의 모듈 (100)의 운송 및 보관을 도울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모듈 (100)의 지지 배열 및 이에 의해 생성된 공간 (1610)은 특정 사이트로의 운송 및 동일한 저장 동안의 진동 또는 동일한 적층 동안 다중 모듈 (100) 사이의 마찰 및 상호 작용으로 인한 모듈(100)의 손상을 방지하는 데 유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공간 (1610)은 상기 모듈 (100)이 지지 장치에 적층될 때 함께 뭉치거나 쐐기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모듈 (100)의 적층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2 개의 모듈 (100)이 함께 적층된 것을 도시하며, 하나의 상부가 다른 하나의 상부에 있는 것으로, 당업자는 추가 모듈 (100)이 상부 제1 모듈 (100) 위에 및/또는 하부 제2 모듈 (100) 아래에 적층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 (1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크 부분 (130)의 밑면 (132) 및 내부 표면 (112, 122) 사이의 인터페이스 지점 또는 연결 지점 아래의 연결 지점에서 시작하여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 (16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데크 부분 (130)의 하부 (132)와 내부 표면 (112, 122) 사이의 인터페이스 지점 또는 연결 지점에서 시작하여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을 따라 아래로 연장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시트 (1600)의 내부 에지 (1602)는 테이퍼링될 수 있어서, 상기 내부 에지 (1602)는 모듈 (100)에 의해 정의된 수직 축에 대한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내부 에지 (1602)는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고, 테이퍼없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100)에 의해 정의된 수직 축에 평행할 수 있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시트 (1600)는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6 인치 내지 18 인치 이상의 범위,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대략적으로 10 내지 12 인치의 시트 길이 (SEL)에 대해 내부 표면 (112, 122)상의 연결 지점으로부터 내부 표면 (112, 122)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시트 (1600)는 모듈 (100)의 길이 (ML)의 전부 또는 대부분 (예를 들어, 20 내지 25 피트)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시트 (1600)는 모듈 (100)의 길이(ML)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따라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연장될 수 있어서, 모듈 (100)의 각각의 대향하는 측벽 (110, 120)은 상기 시트 (1600)의 일련의 섹션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 따르면, 시트 (1600)의 이러한 일련의 섹션은 대향하는 측벽 (110, 120) 상에 상응하거나 상응하지 않는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시트 (1600)의 일련의 섹션은 상기 모듈 (100)의 길이 (ML)를 따라 측벽 (110, 120)의 내부 표면 (112, 122)을 따라 수평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의 모듈 (100)의 시트 (1600)의 일련의 섹션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모듈 (100)의 숄더 (118, 128)의 위치와 상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하나의 모듈 (100)의 시트 (1600)의 일련의 섹션은 일반적으로 다른 모듈 (100)의 측벽 (110, 120)의 상응하는 숄더 (118, 128)의 위치와 상응할 수 있다. 모듈 (100)의 일련의 시트 섹션 (1600)은 1 피트 내지 6 피트 길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길이를 정의할 수 있고, 시트 (1600)의 인접 섹션은 6 인치 내지 3 피트의 범위 내의 거리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19 - 30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유체 유지/억류 모듈 (100)의 제조를 위한 기계적 몰드 또는 재킷(jacket) (1900)을 도시한다. 도 19-3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몰드(1900)는 복수의 모듈의 반복적인 제조를 위한 재사용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몰드 (1900)는 하부 부분(1910), 제1 대향하는 팔(1920), 제2 대향하는 팔(1930), 리드 (1940) 및 벌크헤드(19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분 (1910)은 제1 세로 방향 측면(1914) 및 제2 세로 방향 측면(1916)에 의해 정의되는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플랫폼 (191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제1 대향하는 팔(1920)은 근위 단부(proximal end) (1922) 및 원위 단부(distal end) (19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2 대향하는 팔(1930)은 근위 단부 (1932) 및 원위 단부 (193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팔 (1920, 1930)은 세로 방향 측면 (1914, 1916)을 따라 연결 지점에 힌지식(hingedly)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대향하는 팔 (1920, 1930)의 근위 단부 (1922, 1932)는 세로 방향 측면 (1914, 1916)을 따라 연결 지점에 힌지식으로 고정될 수 있고, 원위 단부 (1924, 1934)는 대향하는 팔 (1920, 1930)의 프리 단부(free ends)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팔(1920, 1930)은 도 19 및 2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폐쇄된 위치 및 도 21 및 2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또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베이스 플랫폼 (1912)에 대해 회전하거나 피벗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상기 팔(1920, 1930)은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크헤드 (1950)와 함께 보이드(void) 또는 공간(space) (1990) 위로 연장되고 정의된다. 유사하게, 상기 팔(1920, 1930)이 제1 위치에 있고 리드(1940)가 이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때, 상기 리드 (1940)는 팔 (1920, 1930)의 원위 단부 (1924, 1934)에 의해 정의된 공간 또는 거리에 걸쳐있을 수 있고, 도 20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벌크헤드 (1950)와 함께 보이드 또는 공간 (1992) 위로 연장되고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몰드(1900)는 제1 단부 플레이트(1960), 제2 단부 플레이트(1970) 및 체결 장치(fastening device)(19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9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플레이트 (1960, 1970)는 복수의 래치(latches) (1962, 19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래치 (1962, 1972)는 단부 플레이트(1960, 1970)를 몰드 (190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복수의 래치(1962, 1972)는 몰드 (1900)의 팔(1920, 1930)과 맞물려 제1 위치에서 동일한 것을 고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래치(1962, 1972)는 제1 위치에서 팔(1920, 193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 장치(198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 (1980)는 제1 위치에서 대향하는 팔(1920, 1930)을 고정하기 위해 리드(1940)의 외부 에지에 대해 대향하는 팔(1920, 1930)을 맞물리도록 제공되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장치 (1980)는 현재 공지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턴버클(turnbuckle) 또는 유사한 체결 수단일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팔(1920, 19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라이 바(pry bar)(2100)의 사용을 통해 제2 위치로 회전 또는 피벗될 수 있다.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크헤드 (1950)는 상기 몰드 (1900)의 하부 부분 (1910)에 의해 정의된 중심축을 따라 위치되거나 자리될 수 있다. 도 20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하는 팔 (1920, 1930)은 노치 섹션(notched sections) (2000, 201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노치 섹션 (2000, 2010)은 본원에 제시된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되는 모듈(미도시)의 숄더(미도시)의 원하는 프로파일 크기 및 모양에 상응하는 크기 및 모양의 보이드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섹션 (2000, 2010)이 제공되고 상기 모듈의 숄더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팔 (1920, 1930)은 모듈의 제조동안 녹아웃(knockouts)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를 따라 창(windows)(202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크헤드 (1950)는 상기 몰드 (1900)의 하부 부분 (1910)에 의해 정의된 중심축을 따라 위치되거나 자리될 수 있다. 도 20에 추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하는 팔 (1920, 1930)은 노치 섹션(notched sections) (2000, 2010)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노치 섹션 (2000, 2010)은 본원에 제시된 실시양태에 따라 제조되는 모듈(미도시)의 숄더(미도시)의 원하는 프로파일 크기 및 모양에 상응하는 크기 및 모양의 보이드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섹션 (2000, 2010)이 제공되고 상기 모듈의 숄더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팔 (1920, 1930)은 모듈의 제조동안 녹아웃(knockouts)을 수용하기 위해 길이를 따라 창(windows)(202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벌크헤드(1950)는 바닥 부분(2300), 제1 대향하는 측면 부분(2310), 제2 대향하는 측면 부분(2320) 및 지붕 부분(233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측면 부분(2310, 2320)의 외부 표면은 노치 섹션(2312, 2322)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노치 섹션(2312, 2322)은 제조되는 본원에 제시된 실시양태에 따라 모듈(미도시)의 시트(미도시) 및 레지(미도시)의 원하는 프로파일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의 보이드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섹션(2312, 2322)이 제공되고 상기 모듈의 시트 및 레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대향하는 측면 부분(2310, 2320)은 상기 지붕 부분(233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로부터 아래쪽 및 바깥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는 벌크헤드(1950)에 대한 일반적인 플레어 구성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대향하는 측면 부분(2310, 2320)은 또한 바닥 부분(230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벌크헤드(1950)는 상기 몰드(190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몰드(1900)의 하부(미도시)에 의해 정의된 중심 세로축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도 19-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1900) 및 그 구성요소는 제조되는 모듈의 원하는 프로파일 크기 및 모양에 상당하는 크기 및 모양의 보이드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벌크헤드(1950) 및 이의 구성요소는 상기 몰드(1900)의 하부(1910), 대향하는 팔(1920, 1930), 및 리드(1940)에 상응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2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향하는 팔(1920, 1930)의 노치 섹션(2000, 2010)은 상기 벌크헤드(1950)의 대향하는 부분(2312, 2322)의 노치 섹션(2312, 2322)과 정렬될 수 있다.
도 25-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940)는 제조되는 모듈(미도시)의 데크 부분(미도시)의 원하는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940)는 리드 길이(LIL) 및 리드 폭(LIW)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길이(LIL)는 대략 10피트 내지 25피트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길이(LIL)는 대략 20피트 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폭(LIW)은 대략 50인치 내지 80인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폭(LIW)은 대략 65인치 정도일 수 있다. 도 2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940)는 리드 높이(LIH)를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높이(LIH)는 대략 10인치 내지 22인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드 높이(LIH)는 대략 16.25인치일 수 있다. 도 2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1940)는 적어도 하나의 거싯(gusset) (2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각각의 거싯(2700)은 상기 리드(194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거싯(2700)은 높이가 대략 6인치인 0.25인치 거싯일 수 있다.
도 28 및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1920, 1930)은 상기 몰드(1900)의 전체 길이(LM)를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팔(1920, 1930)은 하부(1910)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1900)의 제1 단부 플레이트(1960) 및 제2 단부 플레이트(1970)는 상기 몰드(1900)의 폭(WM)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단부 플레이트(1960, 1970)는 하부 부분(1910)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부 플레이트(1960, 1970)는 몰드(1900)의 하부(1910)의 측면을 따라 연결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단부 플레이트(1960, 1970)는 높이 EPH를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 높이(EPH)는 대략 10인치 내지 70인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 높이(EPH)는 대략 55인치 정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원에 제시된 유형의 몰드(1900)를 사용하여, 모듈(100)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프로세스가 또한 본 발명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31은 상기 몰드(1900)를 사용하여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3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블록(block)(3110)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벌크헤드(1950)가 제공될 수 있고 몰드(1900)의 하부 부분(1910)에 의해 정의되는 중심 세로 방향 축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블록(3120)은 상기 몰드(1900)에 벌크헤드(1950)를 배치한 후, 상기 몰드(1900)의 대향하는 팔(1920, 1930)이 제1 위치로 회전되거나 피벗(pivoted)될 수 있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대향하는 팔(1920, 1930)의 이러한 회전은 팔(1920, 1930)이 위로 연장되고, 상기 벌크헤드(1950)의 대향하는 부분(2310)과 함께 보이드 또는 공간 (1990)을 정의할 때까지 각각의 팔(1920, 1930)의 원위 단부 (1924, 1934)를 서로를 향해 회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상기 팔(1920, 193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팔(1920, 1930)은 대향하는 부분(2310, 2320)에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블록(313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1920, 1930)을 제1 위치로 회전시킬 때, 리드 (1940)가 제공되고 시팅되거나 상기 몰드 (1900)의 상부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팔(1920, 1930)의 원위 단부 (1924, 1934)에 의해 접촉되고 지지된다. 그러한 배치에서, 상기 리드(1940)는 팔(1920, 1930)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팔(1920, 1930)의 원위 단부(1924, 1934)에 의해 정의된 공간 또는 거리에 걸쳐 있을 수 있다. 상기 리드(1940)는 벌크헤드(1950)의 지붕 부분(2330)과 함께 보이드 또는 공간(1992) 위로 연장되어 이를 정의할 수 있다. 블록(3140)은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몰드(1900)를 사용하는 동안 제1 위치에 대향하는 팔(1920, 1930)을 고정하기 위해, 리드(1940)의 외부 모서리에 대해 대향하는 팔(1920, 1930)을 결합하기 위해 체결 장치(1980)가 제공되고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래치(1962, 1972)가 제공되고 고정 장치(1980)와 함께 사용되어 팔(1920, 1930)을 제1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블록(3150)은 콘크리트가 상기 몰드(1900) 및 상기 벌크헤드(1950)에 의해 정의된 보이드 또는 공간으로 도입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블록(3160)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되고 경화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블록(3170)은 상기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 고정 장치(1980)가 느슨해지거나 고정 해제될 수 있는 방법을 예시한다. 고정 장치(1980)를 느슨하게 하고 고정 해제하는 것으로, 상기 리드(1940)를 제거할 수 있고 대향하는 팔(1920, 1930)을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전하거나 아래로 피벗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양태에서, 복수의 래치(1962, 1972)는 팔(1920, 1930)로부터 해제되어 제2 위치로 회전되거나 피벗될 수 있다. 블록(3180)은 상기 형성된 모듈(100)이 어떻게 몰드(1900) 및 벌크헤드(1950)로부터 들어올려지거나 분리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많은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관찰될 것이다. 본원에 예시된 특정 장치에 대한 제한이 의도되거나 추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물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수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추가로, 도면에 도시된 논리 흐름은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기재된 흐름으로부터 다른 단계가 제공되거나 단계가 제거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 요소가 기재된 실시양태에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Claims (21)

  1. 지표면 아래의 유체 흐름을 관리하기위한 모듈형 어셈블리(modular assembly)로서, 상기 어셈블리는;
    제1 상부 데크 표면(top deck surface)을 갖는 제1 데크 부분의 대향하는 길이 방향 측면으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되고 일체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opposing space-apart sidewalls),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 단부(open end)를 포함하는 제1 데크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제1 데크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하향 연장됨에 따라 서로 외측으로 멀어지게 경사지고, 상기 각각의 측벽은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을 갖는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first precast concrete module);
    제1 데크 부분의 밑면 및 상기 바닥 가장자리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 위치에서,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레지(ledge)를 포함하는 아래쪽으로 향한 표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
    상기 레지와 상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 사이 부분을 따라 평행한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대향하는 이격된 제1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이상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shoulder)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는 위쪽으로 향하는 표면을 갖고,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과 동일한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상기 레지가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위쪽으로 향하는 표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상기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에 의해 지지되고, 제1 상부 데크 표면과 동일한 높이인 상부 슬래브 표면을 포함하는, 링크 슬래브(link sla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데크 부분 및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제1 모듈에 대해 내부 유체 통로를 정의하고,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제1 데크 부분의 하부에 인접한 상부 부분 및 상기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하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됨에 따라 넓어지는 플레어 구성(flared configuration)을 가지며;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종적 흐름 경로(longitudinal flow bath)를 정의하는 것인 지표면 아래의 유체 흐름을 관리하기위한 모듈형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은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연결(communication)하는 측면 유체 채널을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lateral opening), 상기 어셈블리를 통한 측면 흐름 경로(lateral flow path)를 정의하는 측면 유체 채널(lateral fluid channel), 각각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lateral openin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 개구는 상기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하기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면 개구는 상기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로부터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제2 상부 데크 표면을 갖는 제2 데크 부분 및 상기 제2 데크 부분의 제1 종 방향 측면으로부터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되어 완전하게 형성된 제1 측벽을 포함하는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제2 모듈의 제1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shoulder)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제1 측벽은 제1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의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의 제1 측벽에 측면으로 인접하고;
    상기 링크 슬래브(link slab)와 제1 및 제2 모듈의 제1 측벽은 제1 모듈과 제2 모듈 사이의 외부 유체 통로(exterior fluid passageway)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제2 종 방향 흐름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측면 유체 채널 및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결합하며;
    상기 링크 슬래브는 상단 슬래브 표면이 제1 및 제2 상단 데크 표면과 같은 높이인 제2 모듈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상기 링크 슬래브의 하부에 인접함 상부 부분 및 제1 및 제2 모듈의 제1 측벽의 각각 하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하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외부 유체 통로는 상부 부분에서 하부 부분으로 확장됨에 따라 좁아지는 테이퍼 구성(tapered configura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슬래브와 완전하게 형성되고 링크 슬래브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다리(leg)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9. 지면 아래의 유체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형 어셈블리로서, 상기 어셈블리는
    상부 데크 표면(top deck surface)을 포함하는 데크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상기 데크 부분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opposing spaced-apart sidewalls),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방 단부(open end), 및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 제1 데크 부분으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아래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멀어지면서 바깥쪽으로 기울어진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으로서, 상기 각 측벽은 내부 표면과 외부 표면을 갖고;
    제1 데크 부분의 밑면 및 상기 바닥 가장자리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 위치에서,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레지(ledge)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로서, 상기 레지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중 다른 모듈의 숄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시트;
    상기 레지와 상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 사이 부분을 따라 평행한 상기 측벽의 내부 표면 및 외부 표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숄더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상부 슬래브 표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링크 슬래브(link slab);
    입구 포트(inlet port); 및
    출구 포트(outlet port); 를 포함하며,
    상기 각 모듈은 세로 흐름 경로를 정의하는 내부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기 데크 부분의 밑면과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의 내부 표면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데크 부분의 밑면에 인접한 상부 부분과 대향하는 측벽의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에 인접한 바닥 부분을 가지며, 상기 내부 유체 통로는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됨에 따라 넓어지는 플레어 구성을 가지며;
    모듈 중 적어도 일부는 측면 흐름 경로(lateral flow path)를 정의하는 측면 유체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유체 통로는 모듈 중 적어도 일부의 대향하는 측벽을 통해 연장되는 측면 개구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측면 유체 통로는 내부 유체 통로와 유체 연합 상태에 있으며;
    측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row)을 형성하도록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모듈의 제1 사전 정의된 개수; 및
    세로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column)을 형성하도록 말단-대-말단으로 배열된 복수의 모듈의 제2 사전 정의된 개수를 포함하는, 지면 아래의 유체의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형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입구 포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는 복수의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데크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어셈블리에 의해 정의된 바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13.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주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 및 주변 벽을 포함하는 바깥쪽 주변(outer perimeter)을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각 주변 모듈은 고체 외부 측벽 및 외부 개구 말단을 포함하며;
    상기 주변 벽은 각 주변 모듈의 외부 개구 말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은 중공 물질(hollow core material) 및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어셈블리.
  15. 지표면 아래의 물 흐름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형 어셈블리에 사용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몰드(mold)의 하단 부분으로 정의된 중심 가로 축을 따라 벌크헤드(bulkhead)을 위치시키며, 상기 벌크헤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며; 각 측면 부분은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시트 보이드를 정의하는 벌크헤드 노치 섹션(bulkhead notched section)을 정의하는 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원위 단부(distal ends)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제1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원위 단부에 리드(lid)를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상기 리드에 대하여 맞물리게 하는 단계;
    상기 벌크헤드 및 상기 몰드에 의해 정의된 보이드(void)로 콘크리트를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를 단단하게 하여, 데크 부분 및 데크 부분의 대향하는 세로 방향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까지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을 포함하는 형성된 강성 모듈(formed rigid module)을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몰드로부터 상기 형성된 강성 모듈을 분리하는 단계로서;
    상기 벌크헤드는 적어도 2개의 측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측면 부분 각각은 상기 모듈의 시트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트 보이드(seat void)로 정의하는 노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벌크헤드와 몰드 사이에 정의된 상기 보이드는 상기 시트 보이드와 벌크헤드의 바닥 사이의 부분을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은 상기 모듈의 적어도 하나의 숄더를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숄더 보이드를 정의하는 적어도 하나의 팔 노치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숄더는 제2 모듈의 상기 시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트는 상기 데크 부분의 밑면과 상기 각각의 바닥 가장자리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대향하는 이격된 측벽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레지(ledge)를 갖는 것;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모듈을 제조하는 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은 상기 몰드의 상기 하단 부분에 힌지식으로(hingedly)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상기 리드에 맞물리는 단계는 고정 장치로 리드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맞물리게 하고 복수의 래치(latches)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제2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는 잠금 장치(fastening device)를 푸는 단계 및 복수의 래치로부터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대향하는 팔을 해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삭제
KR1020217022040A 2018-12-14 2019-12-16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KR102612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80027P 2018-12-14 2018-12-14
US62/780,027 2018-12-14
PCT/US2019/066482 WO2020124071A1 (en) 2018-12-14 2019-12-16 Module and assembly for underground management of fluids for shallow-depth applica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482A KR20210106482A (ko) 2021-08-30
KR102612755B1 true KR102612755B1 (ko) 2023-12-11

Family

ID=7107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040A KR102612755B1 (ko) 2018-12-14 2019-12-16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186979B2 (ko)
EP (1) EP3894157A4 (ko)
JP (1) JP7124224B2 (ko)
KR (1) KR102612755B1 (ko)
CN (1) CN113453859A (ko)
AU (1) AU2019397179A1 (ko)
BR (1) BR112021011511A2 (ko)
CA (1) CA3123399C (ko)
CO (1) CO2021009073A2 (ko)
MX (1) MX2021007081A (ko)
SG (1) SG11202106319UA (ko)
WO (1) WO2020124071A1 (ko)
ZA (1) ZA202104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0835B2 (en) * 2020-07-27 2024-05-14 Foley Products Company, Llc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CN112411294B (zh) * 2020-11-25 2022-04-01 安徽百年基业建设工程有限公司 公路沥青路面的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7122A1 (en) * 2005-08-10 2007-04-05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Leaching chamber having joint with access port
US20180112385A1 (en) * 2016-10-26 2018-04-26 Innovative Design Solutions, Inc. Modular Precast Concrete Water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Proc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292A (en) 1907-05-22 1907-08-06 Martin Jay Stoffer Culvert.
US925019A (en) 1909-02-20 1909-06-15 Morden F Parks Culvert.
US1028638A (en) 1912-02-14 1912-06-04 California Corrugated Culvert Company Metallic culvert.
GB191216232A (en) 1912-07-11 1913-04-10 Richard Ames New or Improved Tiles for Filter Beds.
US1060271A (en) 1912-11-20 1913-04-29 Duncan D Mcbean Method of building subaqueous tunnels.
US1137230A (en) * 1913-11-06 1915-04-27 Judson E Petty Wheeled scraper.
US1144200A (en) 1915-01-20 1915-06-22 William S Hewett Culvert.
US1184634A (en) 1915-05-10 1916-05-23 Paul B Lehrkind Culvert.
US1349166A (en) 1918-05-25 1920-08-10 Paff Charles Retaining-wall for embankments
US1412616A (en) 1921-07-27 1922-04-11 Arthur Henning Culvert
US1453136A (en) 1922-08-21 1923-04-24 Walter E Hitchcock Culvert
US2095024A (en) 1935-12-12 1937-10-05 Edward W N Boosey Floor drain
US2184137A (en) 1936-12-01 1939-12-19 Nat Fireproofing Corp Composite building member
US2477256A (en) 1947-09-17 1949-07-26 Frank N Kneas Cantilever floor structure
US2708780A (en) * 1954-03-24 1955-05-24 Norton R Burkhalter Form for concrete structure
US2900083A (en) 1956-09-10 1959-08-18 Burton L Oliver Filter bed structure
US3339366A (en) 1965-10-20 1967-09-05 Robert M Gogan Structure for leaching fields
GB1137230A (en) * 1966-04-26 1968-12-18 Bombrini Parodi Delfino S P A Modular element mould for concrete structures
US3570251A (en) 1969-01-08 1971-03-16 Dennis G Roberts Drainage tile
US3626823A (en) 1970-02-02 1971-12-14 Andrew A Toth Combination storm water retention assembly and sidewalk
US3821869A (en) 1972-03-02 1974-07-02 B Morgan Joint construction for concrete structures
DE2338390A1 (de) 1973-07-28 1975-02-13 Gustav Ickes Tragendes wandelement als teil eines begrenzten raumes zur erstellung von gertigbauten
US3910051A (en) 1974-05-03 1975-10-07 Joseph A Komisarek Leaching system cavity of preformed components
US4211504A (en) 1976-06-24 1980-07-08 Sivachenko Eugene W High strength corrugated metal plate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4027439A (en) 1976-08-10 1977-06-07 Robert Willard Floor support for sectionalized buildings
IT1114157B (it) 1977-09-19 1986-01-27 Pirelli Furlanis Mezzi per sostenere lo strato impermeabile flessibile di rivestimento d'una cavita' in un'opera civile e procedimento relativo all'applicazione di tali mezzi
US4141666A (en) 1978-02-16 1979-02-27 Kaiser Aluminum & Chemical Corporation Low headroom culvert
US4314775A (en) 1979-09-10 1982-02-09 Johnson Delp W Method of site casting tunnels, culverts, pressure pipes with minimum forming
US4523613A (en) 1980-07-01 1985-06-18 Hancor, Inc. Multi-layered corrugated conduit with "black-eye" like apertures
BR8307706A (pt) 1983-03-18 1985-03-19 Asi Holding Inc Molde de fundicao modular tendo armacao de base,molde de fundicao modular portatil,forma de arco,forma de canto,vedacao de viga para vedacao entre duas formas de paredes,molde de fundicao para moldagem de produto moldado a partir de material endurecivel,vedacao de arco e vedacao de canto
US4797030A (en) 1983-12-28 1989-01-10 Con/Span Culvert Systems, Inc. Precast concrete culvert system
US4687371A (en) 1983-12-28 1987-08-18 Con/Span Culvert Systems, Inc. Precast concrete culvert section
US4595314A (en) 1983-12-28 1986-06-17 Lockwood William D Precast concrete culvert section
US4993872A (en) 1983-12-28 1991-02-19 Con/Span Culvert Systems, Inc. Precast concrete culvert system
US4638920A (en) 1984-06-26 1987-01-27 Goodhues Jr George S Underground facility for storage of liquids
JPS6135989U (ja) 1984-08-07 1986-03-05 鶴見コンクリ−ト株式会社 遊水池装置
US4759661A (en) 1987-02-27 1988-07-26 Infiltrator Systems Inc Leaching system conduit
GB2219813B (en) 1988-05-25 1992-04-15 Blackbourne And Mccombe Ltd Building
US5017041A (en) 1989-04-24 1991-05-21 Infiltrator Systems Inc. Leaching system conduit with high rigidity joint
IT1234461B (it) 1989-06-21 1992-05-18 Carcassi Marco Procedimento ed attrezzatura di prefabbricazione di ponti ed opere simili, con getto simultaneo dei segmenti componenti una campata
JPH069100Y2 (ja) 1990-11-30 1994-03-09 千葉窯業株式会社 地下貯水槽
FR2682410B1 (fr) 1991-10-11 1994-07-22 Hamon Ind Thermique Structure de reservoir de retenue d'eau.
JPH07119483B2 (ja) 1992-03-11 1995-12-20 羽田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雨水の貯留浸透用地下構造物
JPH083443Y2 (ja) 1992-04-24 1996-01-31 有限会社クリーン・アップ・システム 排水・保水装置
JPH0632395A (ja) 1992-07-13 1994-02-08 Koken Sangyo Kk 地下式貯水槽
JPH07116741B2 (ja) 1993-06-16 1995-12-13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分割カルバートを用いた遊水池
JPH071169A (ja) 1993-06-17 1995-01-06 Toshiba Corp レーザ溶接方法及びレーザ溶接装置
JP2504690B2 (ja) 1993-06-28 1996-06-05 千葉窯業株式会社 地下貯水槽
AUPM294493A0 (en) 1993-12-14 1994-01-13 Urriola, Humberto Underground drainage system
JP3185085B2 (ja) 1994-10-26 2001-07-09 興建産業株式会社 T型ボックスカルバートを用いた地下構造物
US5890838A (en) 1995-12-21 1999-04-06 Infiltrator Systems, Inc Storm water dispensing system having multiple arches
CA2196135A1 (en) 1996-11-01 1998-05-01 Dennis L. Peppard Interlocking modular fluid-containment system
US5836716A (en) 1997-02-05 1998-11-17 Johnson; Wm. Ralph Drainage pipe
JP3066401B2 (ja) 1997-10-02 2000-07-17 永井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流雪溝
JP3453514B2 (ja) * 1998-04-30 2003-10-06 有限会社ウエスト 側溝用ブロック及び道路側溝
JP2000213014A (ja) 1999-01-27 2000-08-02 Chiba Yohgyoh Co Ltd 多層型地下貯水槽
US6368017B2 (en) 1999-03-16 2002-04-09 Charles E. Black Storm water detention filter system
US6277274B1 (en) 1999-04-16 2001-08-21 Larry Steven Coffma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stormwater runoff
US6221445B1 (en) 1999-07-20 2001-04-24 U.S. Greentech, Inc. Composite artificial turf structure with shock absorption and drainage
JP3429230B2 (ja) 1999-10-12 2003-07-22 興建産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からコンクリート構築物を構築するための工法
CA2303658C (en) 2000-02-23 2009-01-06 Robert J. Ditullio Storm or waste water chamber featuring strain relief notches for improved flexibility and contouring the chamber
US6361248B1 (en) 2000-08-25 2002-03-26 Robert M. Maestro Stormwater dispensing chamber
US6719492B1 (en) 2002-03-22 2004-04-13 Bebotech Corporation Top arch overfilled system
US20080149188A1 (en) * 2002-08-30 2008-06-26 Charles River Watershed Association Modular blocks for rainwater recovery system
US6991402B2 (en) 2002-10-17 2006-01-31 Stormtrap Llc Methods and modules for an underground assembly for storm water retention or detention
US20050204671A1 (en) 2004-03-16 2005-09-22 The Cretex Companies, Inc. Concrete section joint apparatus and method
EP1863977A1 (en) 2005-02-04 2007-12-12 Cubeco Systems Limited Subsurface stormwater system
JP2007177433A (ja) 2005-12-27 2007-07-12 Sekisui Chem Co Ltd 門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排水構造、該門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排水構造を用いた排水システ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排水構造に用いる門型部材
US7770250B2 (en) * 2008-01-22 2010-08-10 County Materials Corporation Flared leg precast concrete bridge system
US8113740B2 (en) * 2008-02-06 2012-02-14 Oldcastle Pre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FR2927913B1 (fr) 2008-02-25 2013-10-18 Prefac Beton Environnement Element prefabrique en beton destine a la realisation d'un reservoir de recuperation et/ou de retention d'eau pluviale
US20110308648A1 (en) * 2009-02-09 2011-12-22 Lrm Industries International, Inc.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US8770890B2 (en) 2009-03-05 2014-07-08 Stormtrap Llc Module and assembly for managing the flow of water
US8366346B2 (en) 2010-06-11 2013-02-05 Ditullio Robert J Storm water chamber with floor liner
US9371938B2 (en) * 2014-03-12 2016-06-21 Joseph S. Miskovich Modular construction conduit unit
US10597861B2 (en) * 2014-03-12 2020-03-24 J.M. Sales Associates, Inc. Modula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US9580899B2 (en) * 2015-06-18 2017-02-28 Rotondo Environmental Solutions, Llc Storm-pod system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storm wa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7122A1 (en) * 2005-08-10 2007-04-05 Advanced Drainage Systems, Inc. Leaching chamber having joint with access port
US20180112385A1 (en) * 2016-10-26 2018-04-26 Innovative Design Solutions, Inc. Modular Precast Concrete Water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Process, and Method of Manufa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21009073A2 (es) 2021-10-29
CA3123399A1 (en) 2020-06-18
JP7124224B2 (ja) 2022-08-23
EP3894157A4 (en) 2022-02-16
ZA202104373B (en) 2022-09-28
CN113453859A (zh) 2021-09-28
BR112021011511A2 (pt) 2021-08-31
AU2019397179A1 (en) 2021-07-22
KR20210106482A (ko) 2021-08-30
SG11202106319UA (en) 2021-07-29
JP2022514562A (ja) 2022-02-14
US20200190785A1 (en) 2020-06-18
MX2021007081A (es) 2021-08-11
CA3123399C (en) 2024-02-27
US11186979B2 (en) 2021-11-30
EP3894157A1 (en) 2021-10-20
WO2020124071A1 (en) 2020-06-18
NZ777690A (en)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6978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US7344335B2 (en) Methods and modules for an underground assembly for storm water retention or detention
KR102612755B1 (ko) 저심도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유체의 지하 관리를 위한 모듈 및 어셈블리
US11879246B2 (en) Module and method for managing water and other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