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26B1 -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 Google Patents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26B1
KR101003526B1 KR1020100033823A KR20100033823A KR101003526B1 KR 101003526 B1 KR101003526 B1 KR 101003526B1 KR 1020100033823 A KR1020100033823 A KR 1020100033823A KR 20100033823 A KR20100033823 A KR 20100033823A KR 101003526 B1 KR101003526 B1 KR 101003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orage tank
hexagonal
hexagonal frame
fram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득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Priority to KR102010003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판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한 뒤 육각틀체 형태가 되도록 서로 맞대어 조립하고 상기 육각틀체를 저류조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육각틀체의 육각공간부들이 상하측 및 종횡방향으로 통하는 구조체가 되도록 하되 상기 판재를 중공상의 이중판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판재를 현장에서 절곡하여 육각틀체를 제작하므로 생산 및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저류조의 형태 및 깊이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가능한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를 저류조에 채워 빗물을 저장하는 구조체로 사용하기 위한 판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떨어진 내판 및 외판이 구비되고; 이들 내,외판의 사이에는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도록 주름지게 접어져 융착되는 주름판이 구비되며; 상기 내판 및 외판에는 한쌍의 절개부가 번갈아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상기 내,외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지면 직선구간부 및 경사구간부가 연속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다수개의 판재를 상기 직선구간부들이 서로 맞대어 고정되도록 하면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가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The board and it`s use the rainwater tank}
본 발명은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판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한 뒤 육각틀체 형태가 되도록 서로 맞대어 조립하고 이를 저류조에 내장하여 구조체가 되도록 하되 상기 판재를 중공상의 이중판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판재를 현장에서 절곡하여 육각틀체를 제작하므로 생산 및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저류조의 형태 및 깊이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가능한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 저류조는 공원이나 공공시설의 지하에 설치되는데, 대부분 콘크리트 구조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이 필요하며 또한 콘크리트가 양생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없다. 그리고 소규모 저류조에는 적합하나 공원처럼 넓은 공간에서는 낮은 깊이로 넓은 공간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해야 되므로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국내공개특허 제2009-11401호 및 일본공개특허 제2007-16555호에는 식재판 형태처럼 판재의 상부로 다수개의 컵이 돌출 형성된 판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판재를 종횡으로 적층하여 이들의 컵 사이 공간으로 빗물이 저장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판재는 넓은 공간에 시공하는데 용이한 점이 있는데 반하여 부피가 크기 때문에 생산 및 운반에 있어 어려움이 있으며, 판재의 상부로 다양한 형태의 컵을 돌출 시켜야 되므로 사출금형이 복잡하여 생산비가 증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3-155769호는 지그재그 형태로 사출된 요철판을 서로 맞대어 육각틀체가 되도록 한 판재가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본 발명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육각틀체의 일부가 사출과정에서 만들어져 나오기 때문에 역시 운반 및 생산부피가 커져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으며, 다수개의 요철판들이 저류조의 깊이에 맞게 하나의 층을 이루기 때문에 저류조의 깊이가 조금씩 변할 경우 이미 제작된 요철판은 사용할 수 없는 등의 기술적인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요철판들이 하나의 층을 이루기 때문에 이들 육각틀체 내부로 물이 통하도록 통로를 후가공으로 관통 형성해야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판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한 뒤 육각틀체 형태가 되도록 서로 맞대어 조립하고 상기 육각틀체를 저류조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육각틀체의 육각공간부들이 상하측 및 종횡방향으로 통하는 구조체가 되도록 하되 상기 판재를 중공상의 이중판으로 제작하여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판재를 현장에서 절곡하여 육각틀체를 제작하므로 생산 및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저류조의 형태 및 깊이에 관계없이 폭넓게 사용가능한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를 저류조에 채워 빗물을 저장하는 구조체로 사용하기 위한 판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떨어진 내판 및 외판이 구비되고; 이들 내,외판의 사이에는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도록 주름지게 접어져 융착되는 주름판이 구비되며; 상기 내판 및 외판에는 한쌍의 절개부가 번갈아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상기 내,외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지면 직선구간부 및 경사구간부가 연속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다수개의 판재를 상기 직선구간부들이 서로 맞대어 고정되도록 하면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가 만들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상의 판재는 내판과 외판의 이중판으로 구성되고 이들 내,외판은 에스자 형태의 주름판으로 융착 연결된 형태를 갖는 것이므로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버팀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판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한 뒤 다수개의 판재를 서로 맞대어 결합하면 내부에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가 만들어 진다.
이러한 육각틀체를 저류조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하면 저류조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구조체가 되는 것이며, 이의 상부를 복개하여 공원이나 공공시설의 주차장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육각틀체를 다단으로 적층하는 과정에서 내부의 육각공간부가 상하측 및 종횡방향으로 통하게 되어 빗물이 저류조 전체에 채워지므로 별도의 통로를 육각틀체에 후가공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육각틀체를 구성하는 판재는 중공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볍고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이므로 생산 및 운반부피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류조의 형태에 맞게 현장에서 육각틀체의 폭 및 적층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PE재질로 형성되므로 수질오염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한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류조의 내부에 자외선램프 및 송풍팬을 설치하여 유해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므로 위생적으로 빗물을 활용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판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육각틀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저류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판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육각틀체의 평면도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판재(10)는 내판(10)과 외판(20)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내,외판(10)(20)은 일정간격 떨어지도록 이들 사이에 에스자 형태로 주름져 융착 연결되는 주름판(40)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내,외판(10)(20) 및 주름판(40)은 압출 방식으로 PE재질을 사출금형에서 연속으로 뽑아내어 필요한 높이로 절단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내판(10) 및 외판(20)은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하기 위해 한쌍의 절개부(50)가 서로 엇갈리게 번갈아 형성되는데, 이들 절개부(50)를 이용하여 판재(10)를 절곡하면 상기 내판(10) 및 외판(20)에는 직선구간부(51) 및 경사구간부(52)가 번갈아 형성된다.
상기 절곡된 판재(10)를 다수개 준비한 뒤 직선구간부(51)들을 서로 맞대어 접착재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볼트(63) 및 너트(64)로 체결하면 육각공간부(61)를 갖는 육각틀체(60)가 만들어진다. 상기 볼트(63) 및 너트(64)를 사용하기 위해선 상기 직선구간부(51)들에 볼트구멍(62)을 후가공으로 천공해야되는데, 생산공장에서 미리 제작하거나 또는 저류조 설치현장에서 핸드드릴을 이용하여 천공할 수 있다. 상기 육각틀체(60)는 판재(10)의 높이 및 상기 절개부(50)의 간격에 따라 육각공간부(61)의 크기가 결정되는데, 육각공간부(61)가 작은 육각틀체(60)를 조밀하게 저류조(80)에 채워 넣으면 위쪽에서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이나 옥외시설물이 있는 저류조에 적합하며, 반대로 육각공간부(61)가 큰 육각틀체(60)를 만들어 주면 넓은 광장에 시공할때 편리하다.
도 3에서 저류조(80)는 공원, 골프장, 대형 주차장 및 대단위 아파트단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저류조(80)를 굴착하고 경사면 및 바닥면에 방수시트(81)를 깔아 누수를 막는다. 그리고 바닥에는 수평을 잡으면서 방수시트(81)를 보호하는 모래층(83)을 형성하고 그 위에 다수개의 육각틀체(60)를 다단으로 적층한다. 본 발명의 육각틀체(60)는 판재(10)를 절곡하여 만들어진 것이므로 그 폭을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저류조(80)가 상부로 확대된 경사면을 갖는 경우 적층 높이에 맞게 상기 육각틀체(60)의 폭을 조절하면서 판재(10)를 절곡 제작하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저류조(80)에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 저류조(80)에 육각틀체(60)를 채워 넣은 뒤 상부에 덮개(87)를 덮어 복개하면 주차장이나 기타 공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우수관과 통하는 침전조(82) 및 저류조(80)를 연결하여 빗물이 저류조(80)에 채워지도록 만들고 한쪽에는 펌프(84)가 내장된 파이프(85)를 수직으로 입설하고 상단은 맨홀(86)을 설치하여 빗물을 사용 목적에 맞게 활용한다. 저류조(80)에는 오버플로우관(88)을 설치하여 빗물의 넘침을 막으며, 또한 상기 덮개(87)의 내부에는 자외선램프(90) 및 송풍팬(91)을 설치하여 각종 유해세균 및 해충이 저류조(80)에 발생되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그리고 저류조의 용도에 따라 위쪽을 생태공원이나 연못으로 만들수 있는데, 이때는 덮개(87)를 저류조(80)의 상부에 부분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완전 제거한다. 덮개(87)가 제거된 부분에는 빗물에 잠긴 육각틀체(60)의 상부로 수생식물을 식재하거나 또는 연못 분위가 연출되도록 둘레에 화단을 조성하고 소형분수를 설치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판재(10)는 내,외판(20)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주름판(40)이 융착된 구성이므로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어 내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판재(10)는 압출 방식으로 PE재질을 연속사출하여 필요한 폭으로 절단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내,외판(10)(20)에는 사출과정에서 절개부(50)가 형성되므로 별도의 후가공으로 이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판재(10)는 저류조(80) 현장까지 운반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생산, 보관 및 운반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저류조(80)의 폭 및 높이가 다양하게 변화되더러도 동일한 형태의 판재(10)를 필요한 폭 및 길이로 절단하여 현장시공하는 것이므로 시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상기 판재(10)는 도 2에서와 같이 조립된다. 즉 절개부(50)들을 이용하여 내,외판(10)(20)을 직선구간부(51) 및 경사구간부(52)가 연속으로 교차 형성되도록 절곡한 뒤 상기 직선구간부(51)들을 서로 맞대어 접착하거나 또는 볼트(63) 및 너트(64)로 체결하면 육각공간부(61)를 갖는 육각틀체(60)가 완성된다.
이러한 육각틀체(60)를 저류조(80)의 내부에 다단으로 적층하면 저류조의 붕괴를 막으면서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구조체가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육각틀체(60)는 이들의 육각공간부(61)들이 서로 엇갈리게 다단으로 적층되므로 빗물이 각 육각틀체(60)의 상하측 및 종횡방향으로 흘러 육각공간부(61)들에 모두 채워지는 것이므로 별도의 통로를 종래와 같이 후가공으로 만들 필요가 없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판재 및 이를 이용한 육각틀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내,외판(10)(20) 및 주름판(40)으로 판재(10)를 형성하고 이들 내,외판(10)(20)에 절개부(50)를 형성하여 직선구간부(51) 및 경사구간부(52)가 연속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은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단지 직선구간부(51)들에 철부(70) 및 요부(71)를 번갈아 형성한 차이가 있다.
이처럼 형성된 철부(70) 및 요부(71)는 판재(10)를 조립할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판재(10)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한 뒤 이들의 직선구간부(51)들에 형성된 철부(70) 및 요부(71)를 퍼즐 맞추듯이 수직으로 끼워 조립하면 다수개의 판재(10)들이 연결되어 육각공간부(61)를 갖는 육각틀체(60)가 만들어지므로 이를 저류조(80)에 채워 넣으면 된다.
10 : 판재 20 : 내판
30 : 외판 40 : 주름판
50 : 절개부 51 : 직선구간부
52 : 경사구간부 60 : 육각틀체
61 : 육각공간부 70 : 철부
71 : 요부 80 : 저류조
90 : 자외선램프 91 : 송풍팬

Claims (5)

  1.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를 저류조에 채워 빗물을 저장하는 구조체로 사용하기 위한 판재에 있어서,
    상기 판재는 서로 떨어진 내판 및 외판이 구비되고; 이들 내,외판의 사이에는 경량이면서 수직하중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도록 주름지게 접어져 융착되는 주름판이 구비되며; 상기 내판 및 외판에는 한쌍의 절개부가 번갈아 서로 떨어져 형성되어 상기 내,외판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지면 직선구간부 및 경사구간부가 연속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다수개의 판재를 상기 직선구간부들이 서로 맞대어 고정되도록 하면 육각공간부를 갖는 육각틀체가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용 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간부들에는 다수개의 볼트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볼트구멍들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직선구간부들이 결합된 상태로 육각틀체가 만들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용 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간부들에는 철부 및 요부가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철부 및 요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직선구간부들을 서로 맞대어 다수개의 판재를 육각틀체가 만들어지도록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용 판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육각틀체를 이용하여 빗물 저류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저류조에 상기 육각틀체를 다단으로 적층하되 상기 육각공간부들이 상하측 및 종횡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육각틀체를 불규칙적으로 적층하여 빗물이 채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의 상부에는 덮개가 마련되어 주차장 및 공원으로 활용되며,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자외선램프 및 송풍팬이 구비되어 빗물의 유해세균 번식을 억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저류조.
KR1020100033823A 2010-04-13 2010-04-13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1003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23A KR101003526B1 (ko) 2010-04-13 2010-04-13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3823A KR101003526B1 (ko) 2010-04-13 2010-04-13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3526B1 true KR101003526B1 (ko) 2010-12-28

Family

ID=43513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823A KR101003526B1 (ko) 2010-04-13 2010-04-13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5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69B1 (ko) 2011-01-05 2011-06-20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관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1249272B1 (ko) * 2011-03-02 2013-04-01 이상록 빗물저류조
KR101495997B1 (ko) * 2013-04-24 2015-02-25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087A (ja) 2000-09-05 2002-03-08 Environmental Assessment Center Co Ltd 積層構造体
KR100663798B1 (ko) 2005-09-01 2007-01-02 한승희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0087A (ja) 2000-09-05 2002-03-08 Environmental Assessment Center Co Ltd 積層構造体
KR100663798B1 (ko) 2005-09-01 2007-01-02 한승희 수동에 의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969B1 (ko) 2011-01-05 2011-06-20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관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1249272B1 (ko) * 2011-03-02 2013-04-01 이상록 빗물저류조
KR101495997B1 (ko) * 2013-04-24 2015-02-25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1148B2 (ja) 植物が植えられる壁のための構造体
CN202055616U (zh) 组合式绿化隔离栏
US8474195B1 (en) Storage reservoir wall system
KR101003526B1 (ko)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100839566B1 (ko)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US9725871B2 (en) Retaining wall kit having interconnecting units
AU2004208647A1 (en) Water storage tank
CN103114540A (zh) 绿化隔离栏
KR101042969B1 (ko) 빗물 저류조용 관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JP2012062686A (ja) 貯水施設の施工法及び貯水ユニット
KR101231177B1 (ko) 투수성 보도블록 침하방지 구조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466359Y1 (ko) 빗물 저류조
KR200469568Y1 (ko) 평장식 친환경 해주구조
CN219753431U (zh) 一种波纹钢蒸发池
KR101756367B1 (ko) 기초 구조물
ES1072313U (es) Deposito modular para el drenaje o almacenamiento de aguas pluviales.
CN215802175U (zh) 地下混凝土椎台中空柱
CN210460182U (zh) 一种装配式抗风围挡
JP4474920B2 (ja) 人工地盤用壁体及びそれを用いた緑化設備
JP5686758B2 (ja) パネル塀製作方法およびパネル塀
KR101331599B1 (ko) 조립식 벽체를 이용한 시설물
KR100409197B1 (ko) 조립식 강재틀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N104213524A (zh) 方便组装和拆卸的可移动小型简单绿化护栏
JP3802919B1 (ja) 雨水貯留構造用部材と雨水貯留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