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272B1 - 빗물저류조 - Google Patents

빗물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272B1
KR101249272B1 KR1020110018557A KR20110018557A KR101249272B1 KR 101249272 B1 KR101249272 B1 KR 101249272B1 KR 1020110018557 A KR1020110018557 A KR 1020110018557A KR 20110018557 A KR20110018557 A KR 20110018557A KR 101249272 B1 KR101249272 B1 KR 101249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rainwater
storage block
coupl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989A (ko
Inventor
이상록
Original Assignee
이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11001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272B1/ko
Publication of KR2012009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으면서 보다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같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쪽이 개구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요철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양단에 결합가이드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가 끼워져 상기 저류블록이 측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홈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저류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과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이 결합하여 상기 저장공간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따라, 빗물을 수용하는 양에 따라 빗물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보강블록에 보강부재 및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빗물저류조를 형성할 수 있고, 같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빗물저류조{A rainwater undercurrent tank}
본 발명은 빗물을 지하에 저장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빗물저류조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고, 빗물저류조의 저장공간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빗물을 신속하게 저장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빗물저류조의 크기를 빗물의 저장용량에 따라 미리 제작하거나, 단위 유닛으로 나눠서 별도의 볼트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형성하였다.
가령, 저류조를 일체로 형성하면 저류조를 제작하기도 힘들고, 저류조가 클수록 이송하기도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이 많아지면 빗물저류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며, 부품 수가 많아서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빗물을 수용하는 용량에 따라 빗물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부품 수가 적어서 결함요소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빗물저류조를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빗물저류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쪽이 개구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요철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양단에 결합가이드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가 끼워져 상기 저류블록이 측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홈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저류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과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이 결합하여 상기 저장공간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저장공간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저류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벌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블록을 보강하고,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에 빗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보조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저류블록의 상기 결합홈 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에 상기 결합가이드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일면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류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결합부가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와 결합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상기 적층된 저류블록을 보강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성품들을 슬라이드 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빗물을 수용하는 양에 따라 빗물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고, 보강블록에 보강부재 및 보강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빗물저류조를 형성할 수 있고, 같은 시간 내에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좌우로 확장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결합이 용이하여 빗물저류조를 손쉽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수의 저류블록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를 지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에서 보강플레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에서 상부보강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한 빗물저류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쪽이 개구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와 상기 저장부(11) 사이에 형성되는 요철홈(114)과, 상기 저장부(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112)과, 상기 저장부(11)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113)가 형성되고, 양단에 결합가이드(12)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류블록(1);을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1)의 결합가이드(12)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1)의 결합가이드(12)가 끼워져 상기 저류블록(1)이 측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저류블록(1)의 결합홈(112)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1)의 결합돌기(113)가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저류블록(1)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과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이 결합하여 상기 저장공간(111)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 상기 저장공간(111)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저류블록(1)이 결합한 상태에서 벌집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류블록(1)을 보강하고, 상기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에 빗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보조공간(231)이 형성되도록, 상기 저류블록(1)의 상기 결합홈(112) 또는 상기 결합돌기(113)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에 상기 결합가이드(12)에 대응하는 결합부(31)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3);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1)은 상기 결합가이드(12)의 일면에 장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저류블록(1)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3)의 결합부(31)가 상기 저류블록(1)의 결합가이드(12)와 결합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3)의 타단이 상기 장착홈(13)에 끼워져 상기 적층된 저류블록(1)을 보강할 수 있다.
또, 상기 보강플레이트(3)는, 상기 저장공간(111)으로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복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복수의 저류블록(1)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를 지하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에서 보강플레이트(3)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빗물저류조에서 상부보강부재(21')의 다른 실시 예를 적용한 빗물저류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는, 저류블록(1), 보강부재(2) 및 보강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저류블록(1)은, 내부에 빗물이 저장되는 대략 단면이 육각인 저장공간(111)이 형성된 저장부(11)를 복수로 구비하고, 저장부(11)와 저장부(11) 사이의 거리가 저장부(11)의 상단 또는 하단 변의 길이 만큼 떨어져 저장부(11)들이 수평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저장부(11)들의 양측 모서리의 일부가 돌출되어 서로 연결된다. 즉, 저장부(11)들이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면서 저장부(11)와 저장부(11)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요철홈(1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저장부(1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저류조를 신속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만약, 저류블록(1)을 저장부(11) 단위로 형성하면 설치시간 및 결합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저류블록(1)을 복수의 저장부(11)를 연결시켜 일체로 형성하면, 빗물저류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설치시간 및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저류블록(1)은 저장부(11)의 상단에 사다리꼴 형태의 결합홈(1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13)가 저장부(11)의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저류블록(1)의 결합홈(112)에 또 하나의 저류블록(1)의 결합돌기(113)를 끼워서 저류블록(1)을 위 또는 아래로 계속해서 적층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결합홈(112)과 결합돌기(113)가 결합함으로써, 저류블록(1)과 저류블록(1)이 위 또는 아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류블록(1)이 적층되면, 하부에 배치된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과 상부에 배치된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이 결합하면서 저장부(11)의 저장공간(111)과 동일한 저장공간(111)이 형성된다. 즉, 저류블록(1)들이 적층되면서 벌집 모양이 형성된다. 벌집 형태의 구조물은 충격에 대한 흡수율이 매우 높아서 저장공간(111)에 빗물이 채워지더라도 저류블록(1)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벌집 형태의 구조물에 대한 기능 및 효과는 이미 널리 공지되고 공공연히 실시되고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저류블록(1)은 최 외곽에 배치된 저장부(11)의 양 모서리의 일부가 각각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대략 "ㄷ"형태의 결합가이드(12)가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저류블록(1)에 형성된 결합가이드(12)에 또 하나의 저류블록(1)에 대칭으로 형성된 결합가이드(12)를 끼워서 저류블록(1)들을 측방향으로 계속해서 연결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으며, 저류블록(1)과 저류블록(1)이 측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저류블록(1)은, 결합가이드(12)의 일면에 보강플레이트(3)가 끼워지도록 장착홈(13)이 저장부(1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른 설명은 후술한다.
보강부재(2)는, 대략 사각의 패널형태로 상부보강부재(21) 및 하부보강부재(22)를 포함한다.
상부보강부재(21)는, 상면이 평평하고, 저면에 저류블록(1)의 결합홈(112)에 대응하는 결합돌기(11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보강부재(21)의 결합돌기(113)가 저류블록(1)의 결합홈(112)에 끼워짐으로써, 저류블록(1)의 상부를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하부보강부재(22)는, 저면이 평평하고, 상면에 저류블록(1)의 결합돌기(113)에 대응하는 결합홈(1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보강부재(22)의 결합홈(112)이 저류블록(1)의 결합돌기(113)에 끼워짐으로써, 저류블록(1)의 하부를 평평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2)가 저류블록(1)에 끼워지고, 보강부재(2)가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을 덮음으로써, 보강부재(2)와 저류블록(1) 사이에는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보조공간(231)이 형성된다.
한편, 저류블록(1)이 적층된 후 최상단 및 최하단에 배치된 저류블록(1)의 경우에는 상단 또는 하단이 굴곡진 저장부(11)가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노출된 저장부(11)에 하중이 발생하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려서 휘어질 수 있다. 하지만, 노출된 저장부(11)에 보강부재(2)를 설치하면, 굴곡진 부분이 평평해지고, 저장부(11)와 저장부(11)를 잡아주어서 저장부(11)가 하중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재(2)는 저류블록(1)을 더욱 보강하기 위해서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에 대응하는 보강프레임(23)이 형성되고, 보강프레임(23)의 내부에는 빗물이 저장되는 보조공간(231)이 형성되며, 보강프레임(23)이 저류블록(1)의 요철홈(114)에 밀착된다. 이때, 저류블록(1)의 양단에 밀착하도록 보강부재(2)는 양단에 보강프레임(23)의 반쪽 형태인 마감프레임(24)이 형성된다. 그리고, 보강부재(2)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 마감프레임(24)의 외측면에 보강부재(2)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저장부(11)에 형성된 결합홈(112) 및 결합돌기(113)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결합홈(112) 및 결합돌기(113)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2)가 저류블록(1)에 끼워지고, 보강부재(2)의 보강프레임(23) 및 마감프레임(24)이 저류블록(1)에 밀착되어 저류블록(1)에 더욱 큰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보강부재(2)와 저류블록(1)의 밀착 면적이 더욱 넓어지고 이로 인해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저류블록(1)이 변형되는 것을 더욱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저류블록(1)이 측 방향으로 연결될 때, 보강부재(2)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홈(112)에 또 하나의 보강부재(2)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13)가 끼워짐으로써, 보강부재(2)들 끼리 결속되어 저류블록(1)의 측방향 결속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보강부재(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을 저장공간에 더욱 신속하게 저장하기 위해서 보강부재(2)의 일면에 복수의 유입공(23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보강부재(21)의 상면과 보조공간(231)이 연결되는 복수의 유입공(231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보강부재(21)의 상부로 유입되는 빗물이 유입공(231a)을 통해 보조공간(231)으로 유입되고, 보조공간(231)으로 유입된 빗물은 보조공간(231)의 양쪽 개구를 통해서 빗물저류조의 하부로 떨어지며 빗물은 빗물저류조의 하부에서부터 채워져 저장된다. 따라서, 빗물이 유입공(231a)을 통해 보조공간(231)을 타고 빗물저류조의 하부로 떨어질 때, 빗물이 넓은 보조공간(231)을 타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더욱 신속하고 빠르게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다.
보강플레이트(3)는, 대략 직사각의 패널형태로, 일단에 저류블록(1)의 결합가이드(12)에 대응하도록, 대략 "ㄷ"형태의 결합부(31)가 형성된다. 이때, 보강플레이트(3)는 저류블록(1)이 2개 이상 적층된 후, 일단의 결합부(31)가 저류블록(1)의 결합가이드(12)에 끼워지고, 타단은 저류블록(1)의 장착홈(13)에 끼워져 저류블록(1)과 저류블록(1) 사이에 배치된다. 즉, 최 외곽에 배치된 저류블록(1)의 외부로 돌출된 결합가이드(12) 부분이 구조상 취약하여 휘어질 수 있는데, 저류블록(1)과 저류블록(1) 사이에 보강플레이트(3)가 끼워짐으로써 저류블록(1)의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가이드(12)의 취약한 부분을 보강하여 결합가이드(12)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강플레이트(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류블록(1)의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에 빗물이 더욱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보강플레이트(3)의 일면에 복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공(32)이 형성된 보강플레이트(3)를 저류블록(1)과 저류블록(1) 사이에 끼워서 설치하면, 빗물이 보강플레이트(3)의 관통공(32)을 통해서 저류블록(1)을 타고 저류블록(1)의 전후방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저류블록(1)의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으로 빗물이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다. 만약, 보강플레이트(3)에 관통공(32)이 생략되면, 빗물은 보강플레이트(3)의 바깥쪽으로만 흘러서 저류블록(1)의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다. 즉, 이동공간이 좁기 때문에 빗물은 저류블록(1)의 전후방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빗물이 천천히 이동되어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으로 유입되는 속도가 지연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보강플레이트(3)에 관통공(32)을 형성하면, 빗물은 보강플레이트(3)의 외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관통공(32)으로 유입되고, 관통공(32)으로 유입된 빗물은 보조공간(231)으로 모이게 되고, 보조공간(231)을 통해 저류블록(1)의 전후방으로 빠르게 이송할 수 있다. 즉, 보조공간(231)이 넓기 때문에 빗물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서 저류블록(1)의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으로 빗물이 빠르게 투입되어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짧은 시간 동안 더욱 많은 양의 빗물을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빗물저류조의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저장할 빗물의 양을 설정하고, 지면에 구덩이를 형성한다.
구덩이의 크기에 따라 다수의 저류블록(1), 보강부재(2) 및 보강플레이트(3)를 결합한 후, 빗물저류조의 외면에 부직포(4)를 감싸고,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을 차수막(5)으로 감싸서 구덩이에 삽입한다.
구덩이에 삽입한 후,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흙으로 덮는다.
이후, 비가 오면 빗물이 빗물저류조의 상부에 덮인 흙속으로 스며들고, 스며든 빗물은 부직포(4)로 스며든다.
부직포(4)로 스며든 빗물은 차수막(5) 하부로 이동하고, 차수막(5)의 하부에 모이게된다. 이때, 부직포(4)로 스며든 빗물은 상부보강부재(21)의 유입공(231a)을 통해 보조공간(231)을 타고 차수막의 하부에 모일 수도 있다.
차수막(5)의 하부에 모인 빗물이 빗물저류조의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으로 유입되면서 빗물저류조의 하부에서부터 채워져 올라간다.
그리고, 빗물저류조에 빗물이 가득 채워지면 빗물은 지면을 타고 흘러가거나 땅속으로 스며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저장부(11)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빗물저류조를 단시간 내에 형성할 수 있고, 보강부재(2) 및 보강플레이트(3)를 설치함으로써, 빗물저류조의 상단, 하단 및 양측 단의 취약한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빗물저류조에 수용되는 빗물의 하중을 견고하게 버틸 수 있다. 이때, 보강부재(2)에서 보강프레임을 생략할 수도 있지만, 보강부재(2)에 보강프레임(23)을 형성함으로써 보강부재(2)와 저류블록(1)의 밀착 면적을 넓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보강부재(2)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써 보강부재(2) 및 저류블록(1)의 구조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보강플레이트(3)에 복수의 관통공(32) 및 보강부재(2)에 복수의 유입공(231a)을 형성함으로써 저장공간(111) 및 보조공간(231)에 빗물을 신속하게 저장할 수 있으며, 별도의 볼트 및 너트 등의 결합수단 없이도 빗물저류조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볼트 및 너트 등으로 결합하면 부품 수가 증가하는 만큼 결함요소가 증가하여 구조적인 취약점을 가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부품의 수를 최소화하고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슬라이드 체결만으로 모든 구성을 결합함으로써, 구조적인 결함요소를 최소화하여 견고한 빗물저류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결함요소가 줄어듦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작비 및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모든 부품을 사출 또는 압출로 제작할 수 있어서 제작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그 실시 예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필요에 따라 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 실시 예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영역의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저류블록
11; 저장부
111; 저장공간
112; 결합홈
113; 결합돌기
114; 요철홈
12; 결합가이드
13; 장착홈
2; 보강부재
21, 21'; 상부보강부재
22; 하부보강부재
23; 보강프레임
231; 보조공간
231a; 유입공
24; 마감프레임
3, 3'; 보강플레이트
31; 결합부
32; 관통공
4; 부직포
5; 차수막

Claims (5)

  1. 양쪽이 개구되고 등 간격으로 형성되며 빗물을 저장하는 복수의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 사이에 형성되는 요철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과, 상기 저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양단에 결합가이드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저류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가 끼워져 상기 저류블록이 측 방향으로 결합하고,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홈에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돌기가 끼워져 적층되며, 상기 저류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과 또 하나의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이 결합하여 상기 저장공간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공간을 형성하며,
    일단에 상기 결합가이드에 대응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강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류블록은 상기 결합가이드의 일면에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저류블록이 적층된 상태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결합부가 상기 저류블록의 결합가이드와 결합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의 타단이 상기 장착홈에 끼워져 상기 적층된 저류블록을 보강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저장공간으로 빗물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은 단면이 육각형으로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저류블록이 결합한 상태에서 벌집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블록을 보강하고, 상기 저류블록의 요철홈에 빗물을 저장하기 위해서 보조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저류블록의 상기 결합홈 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저류조.
  4. 삭제
  5. 삭제
KR1020110018557A 2011-03-02 2011-03-02 빗물저류조 KR101249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57A KR101249272B1 (ko) 2011-03-02 2011-03-02 빗물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557A KR101249272B1 (ko) 2011-03-02 2011-03-02 빗물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89A KR20120099989A (ko) 2012-09-12
KR101249272B1 true KR101249272B1 (ko) 2013-04-01

Family

ID=47109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557A KR101249272B1 (ko) 2011-03-02 2011-03-02 빗물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202A (ko)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742B1 (ko) * 2020-12-11 2022-03-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천연스펀지층을 이용한 소규모 침수 저감시설
CN115030297A (zh) * 2022-07-04 2022-09-09 中铁二院(广东)港航勘察设计有限责任公司 一种装卸油品码头面初期雨水的收集循环利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45B1 (ko) * 2003-10-30 2006-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
KR101003526B1 (ko) *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645B1 (ko) * 2003-10-30 2006-03-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빗물 저수장치
KR101003526B1 (ko) *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6202A (ko)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KR102205346B1 (ko) * 2019-04-01 2021-02-03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989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1247C (en) Underground infiltration tank module
CA2668999A1 (en) Rig mat system using panels of composite material
KR101249272B1 (ko) 빗물저류조
KR101186358B1 (ko) 녹화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녹화 구조물
KR100839566B1 (ko)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KR101285266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KR101374053B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럭
KR101030605B1 (ko) 혼합형 빗물 저류조
KR101067046B1 (ko)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KR20090006315A (ko) L형 우수저류조
KR200290011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 축조구조
KR101481656B1 (ko) 저수조용 구조 부재
KR20120055453A (ko)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JP4933867B2 (ja) 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部材、雨水等貯留浸透施設用構造体、及び、これらを用いた雨水等貯留浸透施設
KR101713383B1 (ko) 주름형코어를 가진 연약지반 개량용 탄성배수재
KR200466359Y1 (ko) 빗물 저류조
KR101958172B1 (ko) 조립식 집수정 블록
KR101167980B1 (ko) 조립식 빗물저장시설의 상판 구조
KR101673823B1 (ko) 옹벽 시스템
JP5550070B2 (ja) 地盤排水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454621Y1 (ko) 고강도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배수로
KR101312604B1 (ko) 옹벽블록
CN103352478A (zh) 自锁式加筋土挡墙面块及挡墙系统
KR100911795B1 (ko) 친환경 다목적 자전거도로
KR102327191B1 (ko) 오물방지 투수형 그레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