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202A -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 Google Patents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202A
KR20200116202A KR1020190037610A KR20190037610A KR20200116202A KR 20200116202 A KR20200116202 A KR 20200116202A KR 1020190037610 A KR1020190037610 A KR 1020190037610A KR 20190037610 A KR20190037610 A KR 20190037610A KR 20200116202 A KR20200116202 A KR 20200116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wall
cores
plate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346B1 (ko
Inventor
최동우
최동훈
Original Assignee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filed Critical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037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3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체(10);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를 이루어, 상기 개구된 하부(22)가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적치되는 저류벽체(20);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저류코어들(30); 및 상기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덮는 덮개판체(40)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에는 삼각돌기들(51)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에는 사다리꼴돌기들(5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에는 V자홈들(55)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저류코어들(30)이 상기 V자홈들(55), 상기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상기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RUGGED CONSTRUCTION OF RAIN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류조 둘레를 감싸는 토사의 압력(이하, "측토압"라고 한다)이나 저류조 둘레에서 작용하는 지하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우수를 저류할 수 있는 우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수 저류조는 우천시 우수(빗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도로, 운동장, 공원 등의 지하 및 공공건축물, 다중이용 건축물 등의 지하에 설치된다.
우수 저류조는 우기에 집중호우가 발생되었을 때 우수를 대량으로 저장하여 하수관으로 흐르는 우수의 양을 조절함으로서 하천이 범람하거나 하수도가 역류하는 등의 피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부족 국가인 우리에게 필요한 각종 생활용수나 하천용수 등을 제공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39621호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 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 슬라브,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 슬라브, 상기 상부 슬라브를 하부 슬라브에 대해서 지지하는 기둥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저류블록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브와 하부 슬라브는, 상기 각 상부 슬라브와 하부 슬라브의 각 측면에 연접되는 다른 저류블록의 상부 슬라브 및 하부 슬라브를 체결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이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를 비롯한 대부분의 우수 저류조는 저류에 큰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기 때문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39621호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
본 발명의 목적은 저류조 둘레에서 작용하는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우수를 저류할 수 있는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체(10);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를 이루어, 상기 개구된 하부(22)가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적치되는 저류벽체(20);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저류코어들(30); 및 상기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덮는 덮개판체(40)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에는 삼각돌기들(51)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에는 사다리꼴돌기들(5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에는 V자홈들(55)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저류코어들(30)이 상기 V자홈들(55), 상기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상기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체(10) 및 상기 덮개판체(40)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벽체(20)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에는 제1 및 제2 유동공들(26)(3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류벽체(20)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판체(70)의 상면(71) 및 하면(72)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적층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서로 연결하는 통공(75)이 상기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체(10);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의 저류벽체(20)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저류코어들(3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덮는 덮개판체(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벽체블록(20a)은 삼각돌기(51)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체블록(20b)은 사다리꼴돌기(53)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벽체블록(20c)은 V자홈(55)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을 형성하고, 상기 저류코어들(30)이 상기 V자홈들(55), 상기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상기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판체(10) 및 상기 덮개판체(40)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에는 제1 및 제2 유동공들(26)(3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판체(70)의 상면(71) 및 하면(72)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적층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서로 연결하는 통공(75)이 상기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는 저류코어들이 그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육면이 서로 밀착 배열되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저류코어들이 V자홈들, 삼각돌기들 및 사다리꼴돌기들을 통해 저류벽체와의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밀착 배열되어 저류벽체와 저류코어들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바닥판체와 덮개판체가 저류코어들의 배열을 상하에서 더 지지함으로써, 저류벽체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류코어들이 형성한 허니콤 구조로 인해 우수를 장기간 효과적으로 저류시키기 때문에 우수 저류성이 뛰어나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덮개판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부를 덮개판체와 바닥판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저류코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분리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리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2 벽체블록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리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리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덮개판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일부를 덮개판체와 바닥판체를 제거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저류코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분리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분리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는 바닥판체(10), 저류벽체(20), 저류코어들(30) 및 덮개판체(40)를 포함한다. 바닥판체(10), 저류벽체(20), 저류코어들(30) 및 덮개판체(40)는 콘크리트 또는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공현장에서 직접 제작되거나 프리캐스트(precast) 형태로 제작되어 시공될 수 있다.
바닥판체(10)는 터파기가 완료된 설치공간의 바닥 위에 설치되어 저류조의 바닥을 이룬다. 바닥판체(10)는 저류조 바닥의 평활도를 제공하여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0)이 균형을 유지하며 배열되도록 함과 아울러 저류벽체(20), 저류코어들(30) 및 덮개판체(40)의 하중을 분산시킨다. 설치공간의 바닥 위에 모래나 자갈 등의 골재가 포설되어 바닥판체(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저류벽체(20)는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를 이루어, 개구된 하부(22)가 바닥판체(10) 위에 적치된다. 저류벽체(20)는 설치공간의 측면들과 대면하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저류시켜 저장한다. 설치공간의 측면들과 저류벽체(20)와의 사이에는 부직포 등이 개재될 수 있다. 저류벽체(20)에는 다수개의 제1 유동공들(26)이 형성되어 우수 유동성을 확보한다.
저류코어들(30)은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룬다. 저류코어들(30)은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된다. 저류코어들(30)은 육면을 서로 대면하며 배열됨으로써 서로를 지지하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다. 이와 같은 저류코어들(30)은 저류벽체(20)에 저류된 우수를 장기간 가둬 우수 저류성을 높이며, 제2 유동공들(36)이 각각 형성되어 우수 유동성을 확보한다.
저류코어들(30)은 한번에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6개의 판부들(31)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류코어들(30)은 사다리꼴 형태의 판부들(31)을 서로 접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저류코어들(30)의 우수한 시공성 뿐만 아니라 제조성, 보관성, 운반성 등이 확보될 수 있다.
저류코어들(30)을 이루는 판부들(31)은 서로 접하는 부위에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홈(31a)과 끼움돌기(31b)를 각각 형성하여 저류코어들(30)의 견고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2 유동공들(36)은 각 판부들(31)에 형성되어 우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덮개판체(40)는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저류코어들(30)을 덮어 보호한다. 저류코어들(30)은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와 동일면을 이루며 배열되며, 덮개판체(40)는 이와 같이 배열된 저류코어들(30) 및 저류벽체(20)를 간극없이 덮는다. 덮개판체(40)는 설치공간을 덮어 저류코어들(30) 및 저류벽체(20)를 매립하는 토사나 자갈, 또는 그 위에 시공되는 보도블럭 등의 구조물로부터 저류코어들(30) 및 저류벽체(20)를 보호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영향력을 작게 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서로 마주보는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에는 삼각돌기들(51)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에는 사다리꼴돌기들(5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에는 V자홈들(55)이 요입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에 각각 배열되는 저류코어들(30)은 V자홈들(55)에 간극없이 끼워져 고정되고,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을 따라 각각 배열되는 저류코어들(30)은 삼각돌기들(51) 사이에 간극없이 끼워져 고정되고,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4)을 따라 각각 배열되는 저류코어들(30)은 사다리꼴돌기들(53) 사이에 간극없이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는 저류코어들(30)이 그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육면이 서로 밀착 배열되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저류코어들(30)이 V자홈들(55), 삼각돌기들(51) 및 사다리꼴돌기들(53)을 통해 저류벽체(20)와의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밀착 배열되어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60)이 서로를 지지함으로써,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류코어들(30)과 각각 대면하는 바닥판체(10) 및 덮개판체(40)에는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저류코어들(30)의 상·하부에 각각 끼워진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은 저류코어들(30)의 배열을 상하에서 더 지지함으로써,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더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대면하는 저류벽체(20)와 덮개판체(40)의 부위, 및 저류벽체(20)와 바닥판체(10)의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더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0)은 적층되어 시공현장의 조건 등에 따라 우수 저류성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됨으로써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적층 저류조가 제공되고, 적층된 저류코어들(30)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우수 저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층판체(70)의 상면(71) 및 하면(72)에는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이 각각 돌출 형성됨으로써 수직으로 적층 배열된 저류코어들(30)을 지지하여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적층 저류조가 제공되고,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에는 통공(75)이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어 수직으로 적층 배열된 저류코어들(30)이 그 통공(75)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우수 저류성이 높아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대변하는 저류벽체(20)와 적층판체(70)의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더 견고한 구조이 적층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분리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2 벽체블록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적층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분리 도면이다. 도 21은 도 19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는 저류벽체(20)의 구조만 다를 뿐 나머지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 저류벽체(20)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우수 저류조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의 저류벽체(20)를 형성한다.
저류코어들(30)은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며, 덮개판체(40)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저류코어들(30)을 덮는다.
제1 벽체블록(20a)은 삼각돌기(51)를 가지고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을 형성하고, 제2 벽체블록(20b)은 사다리꼴돌기(53)를 가지고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을 형성하고, 제3 벽체블록(20c)은 V자홈(55)를 가지고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을 형성한다.
저류코어들(30)은 V자홈들(55),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된다.
따라서 저류벽체(20)가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을 통한 조립 구조를 이루어도,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는 저류코어들(30)이 그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육면이 서로 밀착 배열되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저류코어들(30)이 V자홈들(55), 삼각돌기들(51) 및 사다리꼴돌기들(53)을 통해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와의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밀착 배열되어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60)이 서로를 지지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 구조를 이루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은 저류벽체(20)의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조성, 보관성, 운반성 등의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C1)과 돌기(C2)가 좌우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그 홈(C1)과 돌기(C2)를 끼워 서로를 지지하며 배열됨으로써, 저류벽체(2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D1)과 돌기(D2)가 상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그 홈(D1)과 돌기(D2)를 끼워 서로를 지지하며 수직 적층됨으로써, 적층 저류벽체(20)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여, 적층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유동공들(26)은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에 각각 형성되어 조립된 저류벽체(10)에 우수 유동성을 확보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저류벽체(20)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및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견고하게 적층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서로 대면하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과 적층판체(70)의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여 끼워지는 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더 견고한 구조의 적층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는 저류코어들(30)이 그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육면이 서로 밀착 배열되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저류코어들(30)이 V자홈들(55), 삼각돌기들(51) 및 사다리꼴돌기들(53)을 통해 저류벽체(20)와의 사이에 어떠한 간극없이 밀착 배열되어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0)이 서로를 지지하고, 또한 바닥판체(10)와 덮개판체(40)가 저류코어들(30)의 배열을 상하에서 더 지지함으로써, 저류벽체(20)의 둘레에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저류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저류코어들(30)이 형성한 허니콤 구조로 인해 우수를 장기간 효과적으로 저류시키기 때문에 우수 저류성이 뛰어나고, 조립성이 우수하여 시공이 편리하다.
또한, 저류벽체(20)와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됨으로써 측토압이나 지하수압이 작용하여도 변형되지 않고 견고한 구조의 적층 저류조가 제공되고, 적층된 저류코어들(30)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우수 저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바닥판체 11: 제1 육각돌기
20: 저류벽체 20a: 제1 벽체블록
20b: 제2 벽체블록 20c: 제3 벽체블록
21: 개구된 상부 22: 개구된 하부
23,24: 저류벽체의 내벽면 25: 모서리 부위
26: 제1 유동공 30: 저류코어
31: 판부 31a: 끼움홈
31b: 끼움돌기 36: 제2 유동공
40: 덮개판체 41: 제2 육각돌기
51: 삼각돌기 53: 사다리꼴돌기
55: V자홈 70: 적층판체
71: 상면 72: 하면
73: 제3 육각돌기 74: 제4 육각돌기
75: 통공

Claims (8)

  1.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체(10);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를 이루어, 상기 개구된 하부(22)가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적치되는 저류벽체(20);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저류코어들(30); 및
    상기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덮는 덮개판체(40)를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에는 삼각돌기들(51)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에는 사다리꼴돌기들(53)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에는 V자홈들(55)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저류코어들(30)이 상기 V자홈들(55), 상기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상기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체(10) 및 상기 덮개판체(40)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벽체(20)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에는 제1 및 제2 유동공들(26)(3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벽체(20)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판체(70)의 상면(71) 및 하면(72)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적층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서로 연결하는 통공(75)이 상기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5. 바닥을 이루는 바닥판체(10);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상부(21) 및 하부(22)가 개구된 사각통체의 저류벽체(20)를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육각의 관 형태를 이루며,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수직으로 배열 입설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개의 저류코어들(3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개구된 상부(21)에 설치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내부에 장입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덮는 덮개판체(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벽체블록(20a)은 삼각돌기(51)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3)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벽체블록(20b)은 사다리꼴돌기(53)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저류벽체(20)의 2개의 내벽면들(24)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벽체블록(20c)은 V자홈(55)를 가지고 상기 바닥판체(10) 위에 배열되어 상기 저류벽체(20)의 모서리 부위(25)을 형성하고,
    상기 저류코어들(30)이 상기 V자홈들(55), 상기 사다리꼴돌기들(53)의 사이 및 상기 삼각돌기들(51)의 사이에 각각 끼워지며 배열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이 형성한 저류벽체(20)의 내벽면들(23)(24) 및 모서리 부위(25)와 간극없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체(10) 및 상기 덮개판체(40)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1 및 제2 육각돌기들(11)(41)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에는 제1 및 제2 유동공들(26)(36)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벽체블록들(20a)(20b)(20c) 및 상기 저류코어들(30)은 적층판체(70)를 개재하여 수직으로 적층되며, 상기 적층판체(70)의 상면(71) 및 하면(72)에는 상기 저류코어들(30)에 끼워지는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이 각각 돌출 형성되고, 적층된 상기 저류코어들(30)을 서로 연결하는 통공(75)이 상기 제3 및 제4 육각돌기들(73)(74)을 관통하여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 저류조.
KR1020190037610A 2019-04-01 2019-04-01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KR10220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10A KR102205346B1 (ko) 2019-04-01 2019-04-01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610A KR102205346B1 (ko) 2019-04-01 2019-04-01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202A true KR20200116202A (ko) 2020-10-12
KR102205346B1 KR102205346B1 (ko) 2021-02-03

Family

ID=7288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610A KR102205346B1 (ko) 2019-04-01 2019-04-01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3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21B1 (ko) 2009-11-02 2011-06-09 최승선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
KR101067046B1 (ko) * 2010-11-03 2011-09-22 (사단법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KR101249272B1 (ko) * 2011-03-02 2013-04-01 이상록 빗물저류조
KR101286583B1 (ko) * 2010-01-19 2013-07-22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KR20140127074A (ko)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621B1 (ko) 2009-11-02 2011-06-09 최승선 우수저장조의 저류블록
KR101286583B1 (ko) * 2010-01-19 2013-07-22 황순호 우수저장 블록
KR101067046B1 (ko) * 2010-11-03 2011-09-22 (사단법인)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KR101249272B1 (ko) * 2011-03-02 2013-04-01 이상록 빗물저류조
KR20140127074A (ko) *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태명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5346B1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5742B1 (ko) 우수 저류조
KR20110034255A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옹벽 및 그 시공공법
KR20100130795A (ko) 지하 매립식 저류조
JP2012057441A (ja) 雨水貯留槽、雨水貯留槽充填構造
KR102205346B1 (ko)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KR100702860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20070074512A (ko) 조립식 저류조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0731773B1 (ko) 감량구조의 저류블록을 구비한 우수 저류조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080114297A (ko) 소하천 아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810425B1 (ko) 측면 밀착형 수밀용 고무링을 갖는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맨홀
KR100740052B1 (ko) 지중 송전용 조립식 맨홀
JPS61189116A (ja) 情報等の伝送用管路
KR200384474Y1 (ko) 조립식 피씨 암거
KR20090031027A (ko) 암거용 어셈블리
KR102571761B1 (ko) 구조 개선형 빗물저류시설
KR102018992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맨홀 구조체
CN211395215U (zh) 一种预制人行步道模块及其人行步道
KR200240308Y1 (ko) Frp로 제작된 조립식 맨홀
KR102386350B1 (ko) 세로형 수로관
KR101288436B1 (ko) 조립식 지중 우수 저류조 시공방법
CN102677660A (zh) 快速成桩的方法及利用该方法快速搭建城市立交桥的方法
KR101070356B1 (ko) 조립식 저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