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7074A -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7074A
KR20140127074A KR1020130045631A KR20130045631A KR20140127074A KR 20140127074 A KR20140127074 A KR 20140127074A KR 1020130045631 A KR1020130045631 A KR 1020130045631A KR 20130045631 A KR20130045631 A KR 20130045631A KR 20140127074 A KR20140127074 A KR 20140127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rage structure
rainwater
fit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5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997B1 (ko
Inventor
장영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명
Priority to KR20130045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997B1/ko
Publication of KR20140127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류구조체는,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고,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Upright type rainwater storaging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ing facility having the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the facility}
본 발명은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에 따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의 불투수 지면(impervious land surface)의 면적 증가는, 토양 내 저수량을 감소시켜 가령 주위 하천의 범람이나 건천화를 유발하며, 이와 동시에 하천의 수질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불투수지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는 지역의 주변에 하천이 있는 경우, 강우시 빗물이 토양에 스며들지 못하고 하천으로 한 번에 모여들기 때문에 하천의 범람을 야기할 수 있으며 반대로 비가오지 않는 계절에는 평소 지하 토양이 함유하는 물의 양이 적거나 아예 없기 때문에 하천의 수량부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하천의 수량이 부족하면 하천의 자연정화능력이 현저히 약해져 약간의 오염물질로도 극심한 수질악화가 이어지게 된다.
한편, 근래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물부족 현상에 따라 빗물을 재활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빗물 재활용방법으로서 대표적인 것이 우수저류시설이다.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비가 올 때 빗물을 받아 놓았다가 필요시 사용하기 위한 대규모 저장탱크로서, 최근 조성되는 신도시나 택지개발구역 대부분에 건설되고 있다.
상기 우수저류시설은 강우시에 증가한 빗물을 받아들여 일시적으로 저장해 두었다가 서서히 방류함으로써 하천이 범람하는 것을 예방하거나, 또는 방류하지 않고 저장했다가 갈수기나 또는 기타 필요시 외부로 펌핑하여 공급한다.
상기한 도로포장율의 상승에 따른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또한 빗물의 재활용을 위한 빗물저류시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가령 국내등록특허 제0553085호(보강대가 구비된 블록을 사용한 조립식 빗물저장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는, 다수의 박스형 블록(100)을 상하 좌우로 조립하여 구성하고 그 내부에 빗물을 저장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국내등록특허에 소개된 빗물저장시설은, 수많은 박스형 블록을 상하 좌우로 쌓아 올린 구조이므로, 체결점이 많아 수직하중은 물론 특히 횡하중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각 블록을 체결부속으로 아무리 고정한다 하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재하하중을 안정적으로 견디어 내는 강성이 부족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크리프 등에 의한 처짐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는 것이다.
특히 횡하중에 약한 구조를 가져 지진에 취약하고, 또한 연약지반이나 평지가 아닌 지역에 설치된 경우 주변에서 계속적으로 가해지는 토압에 굴복하여 쉽게 변형되는 문제를 갖는다.
아울러 각각의 블록이 체결용 부속을 통해 결합되므로 일단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길어 공사기간이 그만큼 오래걸리는 문제도 있다. 이에 더해 박스형 블록은 속이 빈 사출품으로서 어느 정도의 크기가 있으므로, 다수의 블록을 쌓을 경우 그 부피가 매우 커서 운반성도 좋지 못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직결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으므로 토압에 대비한 추가적 구조체가 필요없고 그에 따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저류구조체의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는, 굴착을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우수저류시설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중앙프레임에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를 구성하는 일부 중앙프레임의 하부에는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지며 일정폭을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시설은,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립식 저류구조체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 상부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빗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빗물저류시설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와; 상기 터파기단계를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의 바닥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설치단계와;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형성하는 끼움결합공정과,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수평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과, 랩핑시트를 이용해 상기 구조체를 감싸는 시트랩핑공정으로 이루어진 시트랩핑공정을 포함하는 저류구조체 구축단계와; 상기 저류용구조체의 측부에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을 저류구조체에 연결하는 맨홀세팅단계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토양을 덮는 복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결합공정은; 일측 플레이트부의 홀더부에 타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를 끼운 상태로 끼움고정부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양측 프레임을 직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개별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방식으로 직결 구축하므로 체결을 위한 별도의 부속이 전혀 사용되지 않아 그만큼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특히 압축하중이나 횡하중에 안정적이어서 주변 토양의 토압에 의한 변형의 발생이 없으므로 토압을 이기기 위한 추가적 구조체가 필요없고 그에 따라 저류공간을 최대화 할 수 있으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도 여건에 맞추어 매우 다양하게 변형 구현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최적 대응할 수 있고, 또한 각 프레임을 겹쳐 쌓을 수 있어 시공현장까지의 운반도 간편하고, 길게 압출 성형되는 프레임을 현장 여건에 맞추어 절단해 현장에서 끼워 조립함 하므로 시공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시공비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우수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일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끼움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3사이드프레임을 별도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저류구조체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 및 제 1,2사이드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13)를 갖는 우수저류시설(11)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11)은, 토양(S)을 굴착하여 확보된 지하공간에 시공되는 저류구조체(13)와, 상기 저류구조체(13)를 지지하는 베이스(19)와,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플레이트(17)와,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를 감싸는 랩핑시트(21)와,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측부에 배치되며 우수시 지하로 흘러 들어온 빗물을 상기 저류구조체(13)측으로 이동시키는 맨홀(25)과,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기계실(27)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하공간은 별도의 굴착작업을 통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상기 지하공간(51)의 규모는 해당 지역의 환경이나 필요에 맞추어 당연히 달라진다. 상기 지하공간(51)의 공간이 클수록 보다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상기 베이스(19)는, 상기 저류구조체(13)를 수평 및 수직으로 지지하기 위한 기초층으로서, 모래나 자갈을 평평하게 다져 형성한 모래층이나 자갈층이 될 수 도 있고, 아니면 콘크리트를 슬라브 형태로 성형한 것일 수도 있다. 지반에 습기가 많아 연약한 경우 모래와 자갈과 콘크리트를 두 가지 이상 또는 모두 함께 사용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19)는 견고한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여 저류구조체(13)가 침하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저류구조체(13)는, 다수의 직립프레임(15)을 직결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베이스(19)의 상부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상기 저류구조체(13)는 베이스(19)의 작용에 의해 침하되지 않고 수평으로 견고히 위치한다.
상기 직립프레임(15)은 압출장치를 이용해 압출 성형된 기둥형 프레임으로서 굴착된 지하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류공간(15a)을 형성한다. 상기한 직립프레임(15)으로서 후술할 중앙프레임(35,43)과, 사이드프레임(37,39,41,45,47)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특히 직립프레임(15)이 압출방식으로 성형되므로, 현장상황에 맞추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시공이 가능하다. 기존 저류구조체의 경우, 일정 크기로 제작된 박스형 블록이 사용되므로 현장 상황에 맞추어 블록의 크기 조절을 할 수 없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현장에서 길이 조절을 통해 정밀 시공이 가능한 것이다.
여하튼, 상기 저류구조체(13)는, 굴착된 지하공간에 시공된 상태로 랩핑시트(21)로 쌓인 구조체로서, 맨홀(25)을 통해 유입된 빗물을 일단 받아들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저류구조체(13)는 도 2나 도 7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7)는, 강성을 갖는 판상부재로서 저류구조체(13)위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그 상부에 복토된 토양의 무게를 받아 하중을 수평방향으로 분산 전달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17)가 없다면 랩핑시트(21)가 토압을 못이겨 찢어지게 될 것이다.
상기 랩핑시트(21)는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와 베이스(19)를 감싸는 시트형 부재이다. 특히 상기 랩핑시트(21)로서 물을 투과시키는 침투형시트를 사용할 수 도 있고,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차수형시트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랩핑시트(21)로서 침투형을 사용할지 차수형을 사용할지는 공사 현장의 상황이나 기타 여러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침투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는 성질을 가지므로, 저류구조체(13)로 유입된 빗물이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서서히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우수저류시설(11)이, 홍수시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하게 하는 완충수단의 역할을 하게 한다. 즉, 홍수시 저류구조체(13) 내부로 유입된 빗물을 지하로 흘려보냄으로써 주변 지역의 침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차수형시트는 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시트로서,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을 지켜 빗물이 가급적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한다. 차수형시트를 적용함으로서, 빗물을 재이용한다는 빗물저류시설의 또 하나의 중요 기능을 달성하게 된다. 참고로, 차수형시트가 적용된 우수저류시설(11)에는 저장빗물을 외부의 필요처로 펌핑하기 위한 기계실(27)이 함께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하부에 배치하였지만, 여건에 따라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와 저류구조체(13) 사이에 위치시킬 수 도 있다. 가령 베이스(19)가 자갈이나 모래나 이의 혼합체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랩핑시트(21)를 베이스(19)의 상부에 깔 수 밖에 없다.
도면부호 23은 받침부재이다. 상기 받침부재(23)는 맨홀(25)을 통해 저류구조체(13)의 내부로 들어온 빗물을 유동구(23a)를 통해 옆으로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재(23)의 형상이나 사이즈는 물론 설치 개수나 배치 위치는 현장 상황이나 요구 조건에 따라 다르게 설계된다.
한편, 상기 맨홀(25)은 저류구조체(13)의 측부에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강우시 빗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빗물을 연결관(25a)을 통해 저류구조체(13)로 보낸다. 경우에 따라 상기 맨홀(25) 자체를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붙여 배치할 수 도 있다. 즉, 상기 저류구조체(13)의 한 켠을 비우고 그 자리에 맨홀(25)을 위치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기계실(27)은, 저류구조체(13)의 또 다른 측부에 확보한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펌프(29)와 배수파이프(33)와 제어부(미도시) 등을 수용한다. 상기 펌프(29)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저류구조체(13)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W)을 배수파이프(33)를 통해 외부의 필요처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우수저류시설(11)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13)의 일 구현 예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13)의 구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저류구조체(13)의 일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13)는, 압출 성형된 다종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에 대한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하여 구축된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저류구조체(13)는, 서로에 대해 직결되어 있는 다수의 중앙프레임(35)과, 상기 중앙프레임(35)의 외곽부에 배치되며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며 서로에 대해서도 직결되는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프레임(35)은, 120도 각도로 벌어져 있는 세 개의 플레이트부(35c)와, 상기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고정부(35a) 또는 홀더부(35b)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프레임(35)은 두 가지 형태를 취하며, 한 종류의 중앙프레임에는 끼움고정부(35a)가 적용되어 있고 나머지 한 종류의 중앙프레임(35)에는 홀더부(35b)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끼움고정부(35a)는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 플레이트부(35c)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테면 환봉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끼움고정부(35a)가 각 플레이트부(35c)에 일체를 이룸은 물론이다. 상기 끼움고정부의 단면 형태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홀더부(35b)는 상기 끼움고정부(35a)를 그 내부에 수용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끼움고정부(35a)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5d)을 제공한다. 상기 홀더부(35b)를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제작하여 끼움고정부(35a)를 탄력적으로 압착 할 수 도 있다.
상기 구조를 갖는 중앙프레임(35)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서는, 일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35a)를 이웃 프레임의 슬라이딩홈(35d)에 슬라이딩 삽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새로 결합할 중앙프레임(35)을 들어올려 홀더부(35b)의 하단부를, 베이스(19)에 수직 상태로 기다리고 있는 상대 중앙프레임(35)의 끼움고정부(35a)에 맞춘 후, 들어 올렸던 중앙프레임을 수직 하부로 내려야 한다.
이와같이 홀더부(35b)와 끼움고정부(35a)를 수직으로 맞춘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들어올려진 중앙프레임(35)을 하강시킴에 의해,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5a)의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진다. 두 개의 프레임이 상호 결합하되 서로에 대해 직결된 것이다.
상기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5a)의 결합을 압입방식으로 적용할 수 도 있고, 홀더부(35b)와 끼움고정부(35a)의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 고정할 수 도 있다.
아울러 도 3에서는, 홀더부(35b)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5)을 끼움고정부(35a)에 맞추어 하강 직결하는 예를 도시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홀더부(35b)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35)이 세워져 있다면, 끼움고정부(35a)를 갖는 프레임(35)을 들어 올려 홀더부(35b)에 맞추어 하강해야 함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사이드프레임은 제 1사이드프레임(37), 제 2사이드프레임(39), 제 3사이드프레임(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은,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직결 고정되어 평평한 외벽면을 제공한다. 즉, 저류구조체(13)의 측면이 사각의 외벽을 가지도록 마감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도 6에 상기 중앙프레임(35)과 제 1,2,3사이드프레임(37,39,41)을 구조를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
도 6a는 위에 설명한 중앙프레임(35)의 일 형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중앙프레임(35)은 홀더부(35b)가 적용되어 있는 것이다. 홀더부(35b)와 달리 끼움고정부(35a)가 적용되어 있는 중앙프레임도 마찬가지의 형태를 취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35)은, 서로에 대해 12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벌어진 세 개의 플레이트부(35c)와, 상기 플레이트부(35c)의 내부에 끼워져 구조적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빔(35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빔(35e)은 적용하지 않을 수 도 있다.
또한 각 플레이트부(35c)의 폭방향 단부에는 홀더부(35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35b)는 이웃하는 끼움고정부(35a,37a,39a,41a)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5d)을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부(35c)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
도 6b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이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도 압출 성형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단면을 가진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일정두께 및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37c)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며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부(37c)와, 상대적으로 작은 폭을 가지고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플레이트부(37c)로 이루어진다. 작은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가 큰 폭을 갖는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서 6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경사져 있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부(37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37a)나 홀더부(37b)가 마련된다. 상기 끼움고정부(37a)는 그에 대응하는 홀더부(37b)에 결합하는 부분으로서,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37d)을 갖는다.
도 6b에서 두 개의 홀더부(37b)와 하나의 끼움고정부(37a)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홀더부(37b)와 끼움고정부(37a)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조합된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에 있어서 끼움고정부(37a)의 설치 개수는 0개 ~ 3개가 될 수 있고, 홀더부(37b)의 설치 개수도 0 개 내지 3개 일 수 있다.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내부에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37e)이 더 적용될 수 있다.
도 6c에 도시한 제 2사이드프레임(39)은, 상대적으로 폭이 넓고 저류구조체(13)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레이트부(39c)와, 상대적으로 폭이 좁으며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진다. 좁은 폭의 플레이트부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부의 일측면에 30도의 사이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39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39a)나 홀더부(39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39b)는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딩홈(39d)을 갖는다.
상기 끼움고정부(39a)와 홀더부(39b)의 위치는 이웃하는 프레임의 형상에 대응하여 달라진다. 가령 일측 플레이트부(39c)에 대응하는 상대편 플레이트부에 끼움고정부가 위치한다면 홀더부(39b)가 형성될 것이고, 반대로 홀더부가 대응한다면 끼움고정부(39a)가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에도 제 2사이드프레임(39)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빔(39e)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도 6d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90도의 사이각으로 벌어진 두 개의 플레이트부(41c)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사이에 끼워지되 일측 플레이트부에 대해 30도의 사이각을 가지도록 기울어진 플레이트부(41c)로 이루어진다.
제 3사이드프레임(41)도 압출성형된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저류구조체(13)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41c)의 폭방향 단부에는 끼움고정부(41a) 또는 홀더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41b)는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딩홈(41d)을 갖는다. 제 3사이드프레임(41)에도 보강빔(41e)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중앙프레임(35)은, 각 끼움고정부(35a)가 홀더부(35b)에 슬라이딩 결합함에 의해 저류구조체(13)의 중앙부를 구성한다. 특히 각 중앙프레임(35)은 이웃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된 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육각의 벌집 형태의 평면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사이드프레임(37)은, 서로에 대해 직결된 상태로 중앙프레임(35)에 결합하여 저류구조체(13)의 양측벽을 이룬다. 상기 중앙프레임(35)에 대한 제 1사이드프레임(37)의 결합은, 홀더부(35b)에 대한 끼움고정부(37a)의 슬라이딩 결합이나, 홀더부(37b)에 대한 중앙프레임(35)의 끼움고정부(35a)의 슬라이딩 결합이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도 서로에 대해 직결된 상태로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어 저류구조체(13)의 나머지 두 벽면을 제공한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39) 끼리의 결합이나, 제 2사이드프레임(39)의 중앙프레임에 대한 결합은 상기한 바와같다.
아울러 상기 제 3사이드프레임(41)은, 중앙프레임(35)과 제 1사이드프레임(37)과 제 2사이드프레임(39)에 동시에 결합한다. 즉 일측 플레이트부(41c)는 제 1사이드프레임(37)에, 타측 플레이트부는 제 2사이드프레임(39)에 중앙의 플레이트부는 중앙프레임(35)에 직결되는 것이다.
상기한 직결 결합방식을 통해 구축된 저류구조체(13)의 평면형상은 도 2에 도시한 육각의 벌집모양이나 도 6에 도시한 사각의 바둑판 패턴을 가지도록 제작할 수 있다. 육각이나 사각 이외에, 삼각, 오각, 칠각, 팔각 등의 다각형 패턴을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부 중앙프레임(35)의 하부에는 받침부재(23)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25)는 그 하부에 유동구(23a)가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서 해당 중앙프레임(35)을 받쳐 지지한 상태로 빗물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부재(23)가 있음으로 해서 저류구조체(13) 내부로 유입한 빗물이 저류구조체(13)의 전체적으로 퍼져나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받침부재(23)의 형상은 매우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23)의 경우 상부에 지지홈(23b)을 갖는다. 상기 지지홈(23b)은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홈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3)의 측부에는 끼움돌기(2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기(23c)는 이웃 중앙프레임(35)의 홀더부(35b)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부재(23)가, 홀더부(35b)를 갖는 중앙프레임(35)을 지지할 경우에는, 상기 끼움돌기(23c) 대신 (이웃 중앙프레임의 끼움고정부(35a)를 수용할 수 있는) 홈(미도시)을 갖는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받침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프레임(35)에 빗물을 통과시키기 위한 유동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에 장착구멍(35f)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35f)에 받침부재(49)를 고정시킬 수 도 있다.
상기 장착구멍(35f)은, 준비된 중앙프레임(35)의 하단부를 별도의 기계가공을 통해 형성한 관통구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49)는 상기 장착구멍(35f)에 형합하도록 만들어진 부재로서 장착구멍(35f)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받침부재(49)는 가령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그 하부에 유동구(49b)를 갖는다. 상기 유동구(49b)는 받침부재(23)의 유동구(23a)와 같은 기능을 한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저류시설에 적용될 수 있는 저류구조체(13)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a,8b,8c는 상기 도 7의 저류구조체(13)에 사용되는 중앙프레임(43) 및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한 저류구조체(13)는 그 전체적인 평면구조가 마치 바둑판과 같은 사각의 패턴 형태를 취한다. 도 7의 저류구조체(13)의 구축 방식은 도 2에 도시한 저류구조체와 동일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저류구조체(13)는, 열십자 형태의 중앙프레임(43)과, ㅗ 자의 형태를 취하는 제 1사이드프레임(45)과, L 자의 형태를 치하는 제 2사이드프레임(4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의 세부 구조는 도 8에 도시하였다.
상기 중앙프레임(43)은,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열십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상기 중앙프레임(43)도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된 것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단면형상을 가지며, 서로에 대해 직각으로 벌어져 있는 네 개의 플레이트부(43c)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각 플레이트부(43c)의 폭방향 단부에는 홀더부(43b) 또는 끼움고정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도 8a에는 홀더부(43b)만 도시되어 있으나, 도 7을 참조하면 끼움고정부(43a)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부(43b)에는 대응 끼움고정부(43a)를 수용 고정하는 슬라이딩홈(43d)이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프레임(43)의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내부에 보강빔(43e)을 추가 할 수 도 있다. 상기 보강빔(43e)은 다른 보강빔들과 마찬가지로 금속판으로 제작된 보강부재로서, 외력에 의해 중앙프레임(43)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8b에 도시한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ㅗ 자의 단면 형태를 취한다. 즉, 제 2사이드프레임(45)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5c)를 직각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당연히 상기 각 플레이트부(45c)의 각 단부에 끼움고정부(45a)와 홀더부(45b)가 마련됨은 물론이다. 상기 홀더부(45b)에는 슬라이딩홈(45d)이 형성되어 끼움고정부(45a)를 수용 고정한다.
제 1사이드프레임(45)의 내부에도 보강빔(45e)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7c는 L 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제 2사이드프레임(47)이다. 상기 제 2사이드프레임(47)은, 직각의 사이각을 갖는 두 개의 플레이트부(47c)와, 각 플레이트부(47c)의 폭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홀더부(47b) 또는 끼움고정부(47a)와, 보강빔(47e)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홀더부(47b)는 이웃 끼움고정부를 수용 고정하는 슬라이딩홈(47d)을 갖는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에 있어서, 중앙프레임(43)은 저류구조체(13)의 거의 대부분을 채우는 것이고, 제 1사이드프레임(45)은 저류구조체(13)의 외벽면을 마감한다. 또한 제 2사이드프레임(47)은 저류구조체(13)의 네 귀퉁이부에 위치하며 귀퉁이부를 마감한다.
이 때, 상기 중앙프레임(43)과 제 1,2사이드프레임(45,47)은 서로간에 직결되어 매우 견고한 결합을 유지한다. 특히 상기 중앙프레임(43) 중 일부 중앙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한 받침부재(23,49)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을 정리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은, 터파기단계(101)로 시작된다. 상기 터파기단계(100)는, 우수저류시설(11)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과정이다. 상기 지하공간의 깊이나 넓이는 해당 지역의 제반 여건이나 기타 필요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상기 터파기단계(101)가 완료되었다면 베이스설치단계(103)를 수행한다. 기본적으로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는 지하공간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시 지반을 보강하는 지반 보강공정을 추가로 진행할 수 있다. 가령 저류구조체(13)가 들어갈 바닥이 습기가 많거나 또는 연약한 경우, 흙을 더 파내고 모래나 자갈을 채운다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평평하고 단단한 바닥면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설치단계(103)에 이어서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를 수행한다. 상기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는 상기한 베이스(19)의 상부에 저류구조체(13)를 구축하는 끼움결합공정(105a)과, 상기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커버플레이트(17)를 배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105b)과, 상기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 및 베이스(19)를 랩핑시트(21)로 감는 과정을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저류구조체(13)와 커버플레이트(17)만 감을 수 도 있다.
상기 끼움결합공정(105a)은, 베이스(19) 위에 상기 프레임(35,37,39,41,43,45,47)을 세우되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직결 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저류구조체구축단계(105)가 완료되었다면 맨홀세팅단계(107)가 이어진다. 상기 맨홀세팅단계(107)는 저류구조체(13) 측부의 적절한 장소에 맨홀(25)을 배치하고 연결관(25a)을 통해 저류구조체(13)에 연통시키는 공정이다.
상기 과정을 마친 후 이어지는 복토단계(109)는, 저류구조체(13)의 상부에 흙을 덮는 과정이다. 상기 저류구조체(13)에 복토된 토양의 상부에, 보도블록이나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복토단계(109)를 통해 모든 시공과정을 마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우수저류시설 13:저류구조체 15:직립프레임
15a:저류공간 17:커버플레이트 19:베이스
21:랩핑시트 23:받침부재 23a:유동구
23b:지지홈 23c:끼움돌기 25:맨홀
25a:연결관 27:기계실 29:펌프
31:제어부 33:배수파이프 35:중앙프레임
35a:끼움고정부 35b:홀더부 35c:플레이트부
35d:슬라이딩홈 35e:보강빔 35f:장착구멍
37:제 1사이드프레임 37a:끼움고정부 37b:홀더부
37c:플레이트부 37d:슬라이딩홈 37e:보강빔
39:제 2사이드프레임 39a:끼움고정부 39b:홀더부
39c:플레이트부 39d:슬라이딩홈 39e:보강빔
41:제 3사이드프레임 41a:끼움고정부 41b:홀더부
41c:플레이트부 41d:슬라이딩홈 41e:보강빔
43:중앙프레임 43a:끼움고정부 43b:홀더부
43c:플레이트부 43d:슬라이딩홈 43e:보강빔
45:제 1사이드프레임 45a:끼움고정부 45b:홀더부
45c:플레이트부 45d:슬라이딩홈 45e:보강빔
47:제 2사이드프레임 47a:끼움고정부 47b:홀더부
47c:플레이트부 47d:슬라이딩홈 47e:보깅빔
49:받침부재 49a:끼움홈 49b:유동구

Claims (14)

  1. 굴착을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흘러들어온 빗물을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우수저류시설에 포함되는 것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중앙프레임에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를 구성하는 일부 중앙프레임의 하부에는 빗물을 통과시키는 유동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지며 일정폭을 갖는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7.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상기 중앙프레임 결합체의 외곽부에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중앙프레임에 직결 고정되어 수직의 외벽면을 제공하는 다수의 사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직립식 저류구조체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저류구조체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를 커버하며 저류구조체 상부의 무게를 받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저류구조체를 감싸는 랩핑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프레임의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다각형의 패턴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11.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구조체의 평면 형상은, 벌집 형태의 육각형의 패턴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랩핑시트는;
    빗물이 통과할 수 있는 침투형시트이거나 빗물을 차단하는 차수형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13. 빗물저류시설이 들어갈 지역의 토양을 굴착하여 지하공간을 확보하는 터파기단계와;
    상기 터파기단계를 통해 확보된 지하공간의 바닥에 베이스층을 형성하는 베이스설치단계와;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상기 지하공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되 서로에 대한 길이방향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상호 직결 고정되는 다수의 중앙프레임과 사이드프레임을 슬라이딩 결합하여 직립식 저류구조체를 형성하는 끼움결합공정과,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수평의 커버플레이트를 설치하는 커버플레이트설치공정과, 랩핑시트를 이용해 상기 구조체를 감싸는 시트랩핑공정으로 이루어진 시트랩핑공정을 포함하는 저류구조체 구축단계와;
    상기 저류용구조체의 측부에 맨홀을 설치하고 맨홀을 저류구조체에 연결하는 맨홀세팅단계와;
    상기 저류구조체의 상부에 토양을 덮는 복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프레임은, 압출공정을 통해 제작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단면을 가지며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하여 사용하는 일체형 부재로서, 소정 사이각으로 벌어진 다수의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플레이트부에는 이웃 플레이트부와 슬라이딩 결합하는 고정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호 이웃하는 플레이트부 중 일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을 제공하는 홀더부와,
    타측 플레이트부에 형성되며 상기 홀더부의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되는 끼움고정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끼움결합공정은;
    일측 플레이트부의 홀더부에 타측 프레임의 끼움고정부를 끼운 상태로 끼움고정부를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양측 프레임을 직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저류시설 시공방법.
KR20130045631A 2013-04-24 2013-04-24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KR101495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ko) 2013-04-24 2013-04-24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ko) 2013-04-24 2013-04-24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4737A Division KR20140141550A (ko) 2014-10-24 2014-10-24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074A true KR20140127074A (ko) 2014-11-03
KR101495997B1 KR101495997B1 (ko) 2015-02-25

Family

ID=52451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5631A KR101495997B1 (ko) 2013-04-24 2013-04-24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9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171A (zh) * 2015-12-04 2016-04-20 东南大学 一种补给地下水的城市道路排水方法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KR20200116202A (ko)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KR102451462B1 (ko) * 2022-04-13 2022-10-07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7746Y1 (ko) 2005-11-10 2006-02-02 대림산업 주식회사 빗물 처리 시스템
KR101003526B1 (ko) * 2010-04-13 2010-12-28 주식회사 대목환경건설 빗물 저류조용 판재 및 이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KR20120063942A (ko) * 2010-12-08 2012-06-18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우수 저류조 구축용 블록 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7171A (zh) * 2015-12-04 2016-04-20 东南大学 一种补给地下水的城市道路排水方法
KR20190135301A (ko) * 2018-05-28 2019-12-06 동아컨설탄트(주) 셀 구조물 및 저장조 장치
KR20200116202A (ko) * 2019-04-01 2020-10-12 제이에이치종합건설(주) 견고한 구조의 우수 저류조
KR102451462B1 (ko) * 2022-04-13 2022-10-07 이노블루산업 주식회사 자유단면형 우수 저류조 및 그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997B1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5375A (ko) 물의 유동을 관리하기 위한 조립체 및 모듈
KR100949781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095581B1 (ko) 조립식 빗물 저류용 블록과 그 블록을 이용한 빗물 저류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970065905A (ko) 구조물용 보강틀 및 보강틀을 이용한 건설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95997B1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및 이를 갖는 우수저류시설과 우수저류시설의 시공방법
AU20223756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on of under-slab utilities from changes in soil volume
KR101388870B1 (ko) 빗물저류시설용 저류구조체와 이를 갖는 빗물저류시설 및 상기 저류시설 시공방법
JP2665144B2 (ja) 補強土構造物
KR101487814B1 (ko) Upc슬래브를 이용한 교차 2방향 철근콘크리트 슬림 바닥판 구조 및 이에 대한 시공방법
JP6240625B2 (ja) 擁壁、造成地及び造成地の造成方法
KR101881577B1 (ko) 강재와 콘크리트로 보강된 중공형 말뚝을 활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770268B1 (ko) 우수 침투 및 저류를 위한 저류 단위블록, 저류조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119651B1 (ko) 원형 phc말뚝을 이용한 집수구가 구비된 친환경 옹벽 및 그 시공공법
JP3072682U (ja) コンクリート製の排水溝ブロック
JP4092284B2 (ja) 雨水地下浸透構造物とその施工方法
JP6931876B2 (ja) 法面補強用透水壁の構築方法
CN210737589U (zh) 重力式挡墙的墙身单元及重力式挡墙
KR20030015480A (ko) 옹벽용 상부 마감용 블록 및 이와 연설되는 유공관으로시공되는 옹벽
KR20140141550A (ko) 우수저류용 직립식 저류구조체
JP4998872B2 (ja) 透水型土留柵渠及びその設置工法
KR101694681B1 (ko) 저류 조 및 그 시공방법
JP2611940B2 (ja) 暗渠形組立式水路
JP5067762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
JP5067759B2 (ja) 雨水等の貯留施設並びに浸透施設
KR102605191B1 (ko) 상부보강형 옹벽 구조 및 옹벽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