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5453A -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453A
KR20120055453A KR1020110115167A KR20110115167A KR20120055453A KR 20120055453 A KR20120055453 A KR 20120055453A KR 1020110115167 A KR1020110115167 A KR 1020110115167A KR 20110115167 A KR20110115167 A KR 20110115167A KR 20120055453 A KR20120055453 A KR 2012005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ubber bar
water barrier
coupling groo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덕기
강경구
Original Assignee
유덕기
강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덕기, 강경구 filed Critical 유덕기
Priority to KR102011011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453A/ko
Publication of KR2012005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바닥 프레임이 필요 없으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무패킹을 붙일 필요도 없기 때문에 간편하게 제작하고 설치함으로써 침수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을 보호해줄 수가 있다.

Description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defense structure for preventing water intrusion from flood}
본 발명은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집중호우로 인해 침수가 예상되는 주택가나 상가의 출입구에 설치하여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수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집중호우에 의한 침수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 물론 배수 시설을 확충하여 피해를 예방하려는 노력은 지속되고 있지만, 기상 이변으로 인한 집중피해 빈도는 해가 지날수록 늘어나고 있어서 이를 모두 수용할 수 있는 배수 시설의 설치는 사실상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저지대에서는 도로를 따라 흘러 내려온 빗물에 의해 침수 피해를 당하는 일이 해마다 되풀이 되고 있다. 집중호우시 저지대에 위치한 주택이나 상가는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막지 못하여 침수 피해를 당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집중 호우가 예상될 시 출입구를 통한 빗물의 유입을 막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출입구 바닥과 양쪽 벽면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집중 호우시 방수벽을 프레임에 끼워 넣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바닥에도 반드시 프레임을 설치해야하기 통행에 방해를 줄 수가 있고, 시간이 지나면 바닥의 프레임이 손상되어 방수 효과를 볼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여 출입구 양측에만 지주를 세우고 지주 사이에 방수벽 구조물을 세우되, 방수벽 하부가 바닥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패킹을 부착시킨 기술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수벽에서는 고무패킹을 방수벽 하단에 접착하는 방식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접착 공정이 필요하여 제작 과정이 복잡하며, 접착이 잘못 이루어졌을 경우 수정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닥에는 프레임이 필요 없고 벽면에만 지주를 설치하며, 바닥으로부터의 빗물 유입 차단하기 위한 고무바를 접착식이 아닌 끼움식으로 제작하여 물막음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제작 공정은 단순화시킨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는, 양쪽 벽면에 각각 고정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주; 양측이 상기 지주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되는 물막이벽;을 포함하되, 상기 물막이벽은, 하부에 고무바가 끼움 결합되는 고무바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벽본체; 상기 벽본체의 상기 고무바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고무바; 및 상기 벽본체 양측에서 볼트를 통해 상기 벽본체에 결합되는 측면덮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무바는 상기 벽본체의 고무바결합홈에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 아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바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본체는 내측으로 길이 방향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접하게 되는 면이 굴곡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벽본체의 상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벽본체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함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의 안쪽으로 상기 고무바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되, 2 이상의 물막이벽을 적층할 시, 어느 일 물막이벽의 돌출부가 다른 물막이벽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주의 일측에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이 가능한 밀폐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 상기 물막이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가 압축하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물막이벽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지주는 한 쌍의 지주용프레임들이 상호간에 겹쳐져서 형성되며, 상기 지주용프레임들의 겹쳐지는 면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요부들과 철부들을 갖는 요철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집중 호우시 출입구 양측에 설치된 지주의 가이드홈에 물막이벽을 끼워 넣으면 주택이나 상가 밖의 도로에서의 빗물 흐름이 많더라도 물막이벽에 의해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침수 피해를 예방할 수가 있다.
특히 출입구 바닥에 별다른 프레임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 프레임에 의해 통행이 방해가 될 우려가 없다.
또한, 고무바를 벽본체 하부에 끼워 넣는 방식이기 때문에 접착 공정을 제거할 수가 있으며, 끼움이 잘못 되었을 경우 고무바를 빼고 다시 교정하여 끼우면 되기 때문에 제작 과정의 수정이 용이하다.
또, 고무바의 바닥에 둥근형태의 굴곡이 있고, 고무바의 중앙에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막이벽을 지주 사이에 끼워 설치하면, 물막이벽의 중량에 의해 고무바가 눌리면서 전후방으로 밀착되어, 고무바와 벽본체 하부 사이의 틈이 완벽하게 밀폐됨으로써 빗물이 유입될 틈을 주지 않게 된다. 즉 고무바의 중앙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바가 압축되면 전후방으로 원활하게 확장이 가능한 것이며, 이로 인해 밀폐 효과가 극대화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막이벽을 2개 이상으로 층을 쌓을 수가 있어서 설치환경에 맞게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밀폐부가 형성됨으로써 지주에 상기 물막이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밀폐부가 압축하면서 지주와 물막이벽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게되 므로 지주와 물막이벽의 사이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서 물막이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물막이벽의 단면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물막이벽을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서 지주에 물막이벽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5는 도1에 도시된 물막이벽이 지주에 결합된 후 고무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물막이벽을 다층으로 적층할 시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는 물막이벽(100,100',100'')과 지주(200,200')로 이루어진다.
지주(200,200')는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300)에 고정 설치되며 물막이벽(100,100',100'')이 슬라이딩되어 안착할 수 있는 가이드홈(210,210')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200,200')는 대략 'ㄴ'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한 쌍의 금속재질의 지주용프레임(201)들이 서로 겹쳐져서 벽면에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ㄷ'자 형태의 내측이 가이드홈(210,210')이 된다. 지주(200,200')를 구성하는 지주용프레임(201)은 'ㄴ'자로 꺾여진 일면이 돌출과 함몰이 교대하게 요철면(202)을 형성하고 있으며 다른 면의 내측에는 고무로 된 밀폐부(220)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205)이 형성된 장착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지주용프레임(201)의 요철면(202)은 물막이벽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지주용프레임(201)들의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주용프레임(201)들이 소정의 간격을 갖게 배열한 후 각각의 요철면(202)들을 상호 밀착시키면 요철면(202)의 요부 및 철부가 일방향으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철면(202)들을 밀착시키는 것만으로도 한 쌍의 지주용프레임(201)들은 수평정렬이 쉽게 이루어진다. 간격을 다르게 하려면 요철면(202)들의 상호밀착되는 위치를 변경하면 된다. 한 쌍의 지주용프레임(201)들을 겹친 후에 겹쳐진 지주(200,200')용 프레임을 볼트(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벽면에 고정하면 지주(200,200')의 설치가 완성된다.
지주(200,200')에 설치되는 밀폐부(220)는 물막이벽(100,100',100'')과 지주(200,200')의 사이로 물이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에 원형관 형상의 밀착부(221)가 형성되고 밀착부(221)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장착부(204)에 삽입되는 삽입부(225)가 형성된다. 밀착부(221)의 내부는 원통형 빈공간(222)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225)는 장착부(204)의 슬릿(205)으로 밀폐부(220)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양측으로 폭이 넓게 형성된다. 밀폐부(220)는 지주용프레임(201)의 장착부(204)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부(225)를 끼워넣음으로써 장착된다.
이러한 지주(200,200')에 물막이벽(100,100',100'')이 설치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후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에서 물막이벽(10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물막이벽(100)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막이벽(100)은 벽본체(110), 측면덮개(120) 및 고무바(130)를 포함한다.
벽본체(110)는 대략 내측이 비어 있는 판자 형상이며,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의 함몰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함몰부(112)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고무바결합홈(114)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고무바결합홈(114)과 함몰부(112)의 경계에는 전후방에서 돌출된 고무바지지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벽본체(110)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정도의 강도만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내부가 가득차 있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완전히 빈 공간일 경우 보관이나 이동중에 찌그러질 우려도 있기 때문에 중앙 부분에 중앙지지부(113)가 전후방을 연결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벽본체(110)의 양측(측면덮개(120)가 결합되는 측면)에는 볼트결합홈(116)이 다수 마련되어 있고, 측면덮개(120)에는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볼트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무바(130)가 벽본체(110) 하부에 끼워져 결합된 이후 측면덮개(120)를 벽본체(110)의 양측에 대고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면 벽본체(110)와 측면덮개(120)가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벽본체(110)는 종래의 다른 방수벽들의 제작과정과는 다른 차이점을 보일 수 있다. 즉, 종래의 다른 방수벽의 경우 설치를 요하는 장소의 길이를 먼저 잰 후 이에 맞추어 방수벽을 제작하여야만 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벽본체(110)는 압출성형을 통해 무한히 긴 벽본체(110)를 찍어낼 수가 있고(물론 이동을 위해서는 적정한 길이로 잘라야만 한다), 이렇게 길이가 최대한 확보된 벽본체(110)를 설치를 위한 장소에 가져간 후 길이를 재고 즉석에서 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고무바(130)와 측면덮개(120)를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시간이 매우 단축되는 것이다.
또한, 벽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11)와 하부에 형성된 함몰부(112)는 벽본체(110)를 다층으로 적재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6을 통해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고무바(130)는 하부의 바본체(131)와 상부의 끼움부(132)로 구분되며, 바본체(131)와 끼움부(132)는 연결부(133)에 의해 연결된 상태이다. 이러한 고무바(130)의 끼움부(132)를 벽본체(110)의 측면에서 하부에 노출된 고무바결합홈(114)에 끼우고 밀어 넣으면 벽본체(110)와 고무바(130)의 결합이 완료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본체(110)와 고무바(1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고무바(130)의 끼움부(132)가 벽본체(110)의 고무바결합홈(114)에 안착되어 있고, 바본체(131)는 벽본체(110)의 함몰부(112)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끼움부(132)는 고무바지지턱(115)에 걸리기 때문에 아래 방향으로 빠지지 않는다.
고무바(130)의 바본체(131)는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통공(131b)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접하게 되는 면(굴곡형바닥부(131a))은 전후방으로 둥글게 굴곡되어 있다. 이러한 굴곡형바닥부(131a)와 통공(131b)의 역할은 도3 및 도5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벽본체(110)의 고무바결합홈(114)에 고무바(130)의 끼움부(132)를 끼워 결합시키고, 벽본체(110)의 양측으로 측면덮개(120)를 덮은 후 볼트를 조여주면 물막이벽(100)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물막이벽(100)은 출입구에 지주(200,200')(200)가 설치된 주택이나 상가의 창고 등에 위치하여 보관된다. 따라서 출입구를 통한 통행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다.
만약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보관된 물막이벽(100)을 꺼내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의 벽면(300)에 설치된 지주(200,200')(200)의 가이드홈(210)에 물막이벽(100)의 양측을 끼워 넣어 출입구의 바닥까지 밀어넣는다. 이 때 지주(200,200')(200)의 밀폐부(220)의 밀착부(221)를 물막이벽의 하단으로 눌러서 물막이벽이 진입할 공간을 만들어 준 다음에 물막이벽을 아래로 밀어내림으로써 지주(200,200')에 대한 물막이벽의 삽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로에서 빗물이 많이 흐르더라도 물막이벽(100)에 의해 출입구 내측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출입구의 바닥에 별다른 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물막이벽(100)의 하부와 바닥면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유입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를 할 수가 있다.
하지만 물막이벽(100)을 지주(200,200')(200)의 가이드홈(210)에 끼워넣고 완전히 바닥에 밀어 넣으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본체(110) 하부에 결합된 고무바(130)의 바본체(131)가 압축된다. 즉 바본체(131)의 굴곡형바닥부(131a)가 바닥면에 밀착한채로 눌려서 압축되면 바본체(131)의 전후방이 확장하면서 바본체(131)와 함몰부(112) 사이의 틈새를 완전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벽본체(110)와 고무바(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빗물이 유입되는 우려를 완전히 없애줄 수가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본체(131)의 내측에 통공(131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본체(131)가 바닥에 눌려질 경우 통공(131b)이 압축되면서 바본체(131)가 전후방으로 더욱 원활하게 확장될 수가 있다.
또한 바본체(131)는 신축성이 좋은 고무재질이면서 동시에 내부에 통공(131b)이 형성되어 있어서 쉽게 변형될 수 있고 따라서 바본체(131)가 접하게 되는 지면에 미세한 요철이 있더라도 그 틈새를 모두 눌러주어 바본체(131)의 저면과 지면의 사이로 빗물이 새어 들어갈 여지를 없애줄 수가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막이벽이 지주(200,200')의 가이드 홈에 결합되면 밀폐부(220)의 밀착부(221)가 압축하면서 지주(200,200')와 물막이벽의 사이의 틈새를 없애기 때문에 물막이벽의 측방향 단부와 지주(200,200')의 사이로 물이 새어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폐부(220)의 밀착부(221)는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쉽게 압축될 수 있어서 물막이벽(100,100',100'')을 지주(200,200')의 가이드 홈으로 삽입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쪽 지주용프레임(201)의 장착부(204)에는 밀폐부(220)가 형성되지 않더라도 한 쪽의 지주용프레임(201)에 설치된 밀폐부(220)만으로도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데에는 문제가 없다. 양쪽 지주용프레임(201)에 모두 장착부(204)를 형성한 것은 비용절감을 위해 하나의 형태로 지주용프레임(201)이 제작하였기 때문이다. 지주용프레임(201)은 요철면(202)들에 의해 간격이 단계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만약 지주(200,200')에 밀폐부(220)를 형성하지 않는다면 지주용프레임(201)과 물막이벽(100,100',100'')의 사이의 틈새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렵다.
한편 집중호우 때 침수 피해가 더욱 심각한 지역에서는 물막이벽을 더욱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막이벽을 제작할 시 높이를 더욱 높게하여 제작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이는 기본 단위의 물막이벽과 높이를 높게한 물막이벽을 따로 제작해야 하는 제작상의 애로사항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물막이벽의 벽본체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별도 높이의 물막이벽을 제작하지 않더라도 높은 수위의 침수 피해까지 예방할 수가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바(130)와 벽본체(110)가 결합된 상태의 물막이벽(100')의 상부에 고무바(130)가 제거된 물박이벽(100'')를 결합한 후 측면덮개(120')를 덮으면 높이가 두배가 된 물막이벽을 구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단에 위치하는 물막이벽(100'')에서 고무바(130)가 제거된 함몰부(112)의 위치에는 하단에 위치하는 물막이벽(100')의 돌출부(111)가 삽입 안착됨으로써 두 개의 물막이벽(100',100'')이 견고하게 결합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물막이벽을 다수개 적층할 시에는 그 길이에 맞도록 측면덮개(120')를 제작하여 양측을 덮고, 다수개의 적층에 따른 높이에 대응하도록 지주(200,200')(200')를 설치하면 된다. 따라서 이렇게 제작된 물막이벽(100',100'')을 지주(200,200')(200')의 가이드홈(210')에 끼워 결합하면 높은 수위의 침수까지도 예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100',100'' : 물막이벽
110 : 벽본체
111 : 돌출부
112 : 함몰부
113 : 중앙지지부
114 : 고무바결합홈
115 : 고무바지지턱
116 : 볼트결합홈
120,120' : 측면덮개
121 : 볼트공
130 : 고무바
131 : 바본체
131a : 굴곡형바닥부
131b : 통공
132 : 끼움부
133 : 연결부
200,200' : 지주
210,210' : 가이드홈
300 : 벽면

Claims (5)

  1. 양쪽 벽면에 각각 고정되고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지주;
    양측이 상기 지주의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되어 안착되는 물막이벽;을 포함하되,
    상기 물막이벽은,
    하부에 고무바가 끼움 결합되는 고무바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벽본체;
    상기 벽본체의 상기 고무바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는 상기 고무바; 및
    상기 벽본체 양측에서 볼트를 통해 상기 벽본체에 결합되는 측면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바는 상기 벽본체의 고무바결합홈에 끼움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 아래에서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는 바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본체는 내측으로 길이 방향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에 접하게 되는 면이 굴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본체의 상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벽본체의 하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크기의 함몰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의 안쪽으로 상기 고무바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되,
    2 이상의 물막이벽을 적층할 시, 어느 일 물막이벽의 돌출부가 다른 물막이벽의 함몰부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주의 일측에는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압축이 가능한 밀폐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지주에 상기 물막이벽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밀폐부가 압축하면서 상기 지주와 상기 물막이벽의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지주는 한 쌍의 지주용프레임들이 상호간에 겹쳐져서 형성되며, 상기 지주용프레임들의 겹쳐지는 면은 직선으로 연장되는 요부들과 철부들을 갖는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KR1020110115167A 2011-11-07 2011-11-07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KR20120055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67A KR20120055453A (ko) 2011-11-07 2011-11-07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5167A KR20120055453A (ko) 2011-11-07 2011-11-07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453A true KR20120055453A (ko) 2012-05-31

Family

ID=4627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5167A KR20120055453A (ko) 2011-11-07 2011-11-07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4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784B1 (ko) * 2016-03-28 2016-10-06 (주)도래샘 차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수문 자동제어 방법 및 차수문 자동제어 시스템
JP2020112024A (ja) * 2015-12-18 2020-07-27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板の梱包構造
CN114215465A (zh) * 2021-12-21 2022-03-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地下配电室防水侵入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12024A (ja) * 2015-12-18 2020-07-27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止水板の梱包構造
KR101662784B1 (ko) * 2016-03-28 2016-10-06 (주)도래샘 차수문을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차수문 자동제어 방법 및 차수문 자동제어 시스템
CN114215465A (zh) * 2021-12-21 2022-03-2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地下配电室防水侵入装置
CN114215465B (zh) * 2021-12-21 2023-10-03 国网河南省电力公司洛阳供电公司 一种地下配电室防水侵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2016B2 (en) Wall and sub-floor water drain barrier panel for basement water-control systems
JP5681321B1 (ja) 止水壁構成体の支柱、止水壁構成体及び構造物の出入口の止水構造
CN106368167B (zh) 一种防洪组合式挡板机构
KR20120055453A (ko)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IT201900007234A1 (it) Metodo per la costruzione di una diga in materiale sciolto, con cordoli estrusi e membrana impermeabile protetta
KR20150047172A (ko) 우수 저장공간이 구비된 투수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140038660A (ko)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CN206477304U (zh) 一种防洪组合式挡板机构
CN107938897B (zh) 一种防内渗幕墙体系
JP5991832B2 (ja) 水切構造及び建物
KR101424107B1 (ko) 홍수방어용 간이화단
KR101420405B1 (ko)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US200900382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weatherproofing an entryway
KR101308949B1 (ko) 창틀용 우수 배수 장치의 시공방법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101188590B1 (ko) 후방 돌출 경사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CN209874278U (zh) 一种装配式集成房防水楼顶
CN215977142U (zh) 一种用于地下洞室的防洪闸门结构
CN112482302B (zh) 一种应急抢护漫溢险情的防洪箱、应急栈道和防洪方法
SK50022011U1 (sk) Protipovodňová zábrana
CN215949572U (zh) 隔离锁水排水板
CN217481161U (zh) 快装应急挡板防汛装置
CN213897659U (zh) 一种外墙板开放式防水系统
KR20140104089A (ko) 침수방지용 경량화 플라스틱 차수판
JP5183872B2 (ja) 目地止水構造及び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