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405B1 -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0405B1
KR101420405B1 KR1020130148998A KR20130148998A KR101420405B1 KR 101420405 B1 KR101420405 B1 KR 101420405B1 KR 1020130148998 A KR1020130148998 A KR 1020130148998A KR 20130148998 A KR20130148998 A KR 20130148998A KR 101420405 B1 KR101420405 B1 KR 10142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lock
block assembly
panel body
assembly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8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태
Original Assignee
박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태 filed Critical 박영태
Priority to KR1020130148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0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7Flood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의 수밀부재가 단지, 실리콘재질의 제1결합돌기와 제1수밀봉을 통해 바닥면과 면접촉되기 때문에 차수판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수밀부재가 미끄러지거나 찌그러져 뒤틀려서 차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과, 출입구 벽면이 없는 도로 또는 보행로 상에서는 일일이 수직방향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해야 하고 회수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 그리고 효율성이 떨어지고, 폭이 넓은 도로 또는 보행로 상에서는 유수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반발지지력이 약해서 유수와 함께 떠내려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요홈바닥지지부재(100),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로 구성됨으로서, 바닥면에 미리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만을 삽입시켜 단일 차수막 또는 복수 차수막을 짧은 시간에 바로 형성시킬 수 있어,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보행로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 학교 운동장, 하천 둘레에 바로 적용시킬 수가 있고, 기존 시설에 요홈바닥지지부재만을 바닥면에 함몰시켜 설치하면 되므로, 호환성이 좋고, 사용범위가 넓으며,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제1,2,3 사선형 지지대를 통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을 바닥면에서 견고하게 지지해 줄 수 있어,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흐름을 특정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으며, 무엇보다 이웃하는 복수개의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이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되어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어, 차수율을 기존에 비해 70% 향상시킬 수 있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THE APPARATUS OF SMART WATER BLOCK}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에 미리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만을 삽입시켜 단일 차수막 또는 복수 차수막을 짧은 시간에 바로 형성시킬 수 있어,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보행로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 학교 운동장, 하천 둘레 상에 바로 적용시킬 수가 있고, 기존 시설에 요홈바닥지지부재만을 바닥면에 함몰시켜 설치하면 되므로, 호환성이 좋고, 사용범위가 넓은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주자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의 지하시설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이들 시설로 출입하기 위한 지하출입구를 설치하여, 이 지하출입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지하시설로 출입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출입구는 이용자들의 출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출입구 바닥의 높이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장마철에 많은 비가 내리거나 태풍 등으로 집중호우 발생시 지상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우수가 지하출입구 바닥을 넘어서 지하시설 내부로 흘러들어가 지하시설이 침수되는 일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또한, 지선도로(支線道路: access road)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여름철 홍수기인 7, 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6218호에서는 침수예방을 위하여 출입구가 위치한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차수판넬이 설치되고, 차수판넬의 저면에 방수부재가 접착된 차수판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위치한 차수판넬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차수판넬의 테두리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둘레면에 제1,2,3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 부재; 상기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제1,2,3가이드홈에 보조패킹을 삽입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2가이드홈에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한 제3가이드홈에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2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제1,2수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밀부재; 및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출입구가 위치한 양측 벽면에 밀착 고정시켜 출입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이 제시된 바 있으나,
이는 수밀부재가 바닥면과의 별도의 삽입지지장치가 없고, 단지, 실리콘재질의 제1결합돌기와 제1수밀봉을 통해 바닥면과 면접촉되기 때문에 차수판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수밀부재가 미끄러지거나 찌그러져 뒤틀려서 틈이 발생되고, 그 틈을 통해 유수가 밀려들어와서 차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차수판은 출입구 벽면에 설치되는 수직방향의 지지프레임이 미리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출입구 벽면이 없는 도로 또는 보행로 상에서는 일일이 수직방향의 지지프레임을 설치해야 하고 회수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 그리고 효율성이 떨어지고, 폭이 넓은 도로 또는 보행로 상에서는 유수의 흐름이 빠르기 때문에 반발지지력이 약해서 유수와 함께 떠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66218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바닥면에 미리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만을 삽입시켜 단일 차수막 또는 복수 차수막을 짧은 시간에 바로 형성시킬 수 있고, 가볍고, 설치가 간단하며, 보관이 용이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제1,2,3 사선형 지지대를 통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을 바닥면에서 견고하게 지지해 줄 수 있으며,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되어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는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 보행로 일측 바닥면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 학교 운동장 바닥면, 하천 둘레 바닥면에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함몰 설치되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지지하는 요홈바닥지지부재(100)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단이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단일 차수막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둘 이상이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되어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켜,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흐름을 특정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로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보행로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학교 운동장, 하천 둘레 상에 바로 적용시킬 수가 있고, 기존 시설에 요홈바닥지지부재만을 바닥면에 함몰시켜 설치하면 되므로, 호환성이 좋고, 사용범위가 넓으며, 사각판넬형상으로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이 형성됨으로서 보관이 용이하고,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가벼우며,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됨으로서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어, 차수율을 기존에 비해 70%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중 요홈바닥지지부재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중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설치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에 위치되면서 설치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에 위치되면서 설치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요홈바닥지지부재(100)가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 보행로 일측 바닥면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 학교 운동장 바닥면, 하천 둘레 바닥면에 함몰 설치되고, 바닥면에 함몰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이 삽입되어 형성된 것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3 사선형 지지대가 바닥면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로 형성되어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이 적층형상으로 쌓여져 보관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지하철역 출입구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하철역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지선도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간선도로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지선도로 옆 보행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보행로쪽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보행로 바닥면에 설치되어 저지대 주택쪽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하천 둘레 바닥면에 설치되어 하천 보행로쪽으로 유입되는 빗물을 차수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가 학교 운동장 바닥면에 설치되어 저류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요홈바닥지지부재(100),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요홈바닥지지부재(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요홈바닥지지부재(100)는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 보행로 일측 바닥면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 학교 운동장 바닥면, 하천 둘레 바닥면에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함몰 설치되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홈지지부(110), "H"형 보조지지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요홈지지부(110)는 요홈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바닥면 내부방향으로 함몰 설치되어, 바닥면과 동일선상에 삽입홈을 형성시킨 후, 평상시에는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통해 밀봉시켰다가, 침수발생예상시, 밀봉된 고무패킹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1차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요홈형상의 몸체에 양측면으로 지지날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하단에 "H"형 보조지지부(1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홈형상의 몸체 상단 중앙부위에 삽입홈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지지부의 삽입홈은 평상시에 고무패킹부재를 통해 밀봉되어 있다가, 침수발생예상시, 삽입홈에 밀봉된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을 삽입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H"형 보조지지부(120)는 요홈지지부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H"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방향의 지하시설물과 맞닿아서 훼손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요홈지지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요홈지지부 하단을 지지해주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2차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H"형상의 본체로 형성되어, 본체 상단방향으로는 요홈지지부를 지지하고, 본체 하단방향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지하시설물과 맞닿을 시, 하단 수용공간으로 지하시설물을 수용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단이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단일 차수막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둘 이상이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되어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켜,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흐름을 특정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선택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만이 단독으로 설치되어 단일 차수막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가 서로 1차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킨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는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단독으로 이루어져 단일 차수막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양측면으로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선택되어 1차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연결되도록 기준점을 설정시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판넬몸체(211), 제1a 블럭끼임돌기부(212), 제1b 블럭끼임돌기부(213), 제1a 탄성압착연결부(214), 제1b 탄성압착연결부(215), 제1c 탄성압착연결부(216), 제1a 연결고리부(217), 제1b 연결고리부(218), 제1c 연결고리부(219), 제1 사선형 지지대(219a)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판넬몸체(211)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지지하고 외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양측면에 제1a 블럭끼임돌기부(212)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면에 제1b 블럭끼임돌기부(213)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제1a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고,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1b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또한, 후면 우측상단모서리 일측에 제1a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1b 연결고리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후면 상단쪽 제1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제1c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상단쪽 제1a 연결고리부 일측에 제1c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판넬몸체(211)는 가로길이가 900mm~3000mm로 형성되고, 세로길이가 400~800mm로 형성되며, 두께가 30mm~60mm로 형성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는 깊이가 100~20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판넬몸체(211)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1a 블럭끼임돌기부(212)는 제1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1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제1a 블럭끼임돌기부가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a 블럭끼임돌기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a 블럭끼임돌기부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2a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제1a 블럭끼임돌기부가 돌출되면, 이에 대응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a 블럭끼임돌기부(212)는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b 블럭끼임돌기부(213)는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b 블럭끼임돌기부(213)는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a 탄성압착연결부(214)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3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3a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1a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1a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1a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3a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1a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b 탄성압착연결부(215)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2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2a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1b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1b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1b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2a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1b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c 탄성압착연결부(216)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1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4d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4d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1c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1c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1c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4d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1c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a 연결고리부(217)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2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1b 연결고리부(218)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3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1c 연결고리부(219)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1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4d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사선형 지지대(219a)는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1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후면지지판(219a-1), 제1 전단힌지축(219a-2), 제1 길이조절부(219a-3), 제1 후단힌지축(219a-4), 제1 바닥지지판(219a-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후면지지판(219a-1)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제1 길이조절부와 제1 바닥지지판에 의해 제1 판넬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전단힌지축(219a-2)은 제1후면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1 후면지지판을 기준으로 제1 길이조절부의 상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219a-3)는 제1 전단지지축과 제1 후단지지축 사이에 위치되어, 마디와 마디사이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면서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디 표면에 복수개의 볼트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볼트삽입홈에 볼트를 삽입시켜 마디의 길이를 조절시킨다.
상기 제1 후단지지축(219a-4)은 제1 바닥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1 바닥지지판을 기준으로 제1 길이조절부의 후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바닥지지판(219a-5)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제1 길이조절부와 제1 후면지지판을 사선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사선형 지지대(219a) 일측에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사선형으로 연결되는 요홈보조와이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제1 사선형지지대와 함께 보조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에 위치되면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1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판넬몸체(221), 제2a 블럭끼임돌기부(222), 제2b 블럭끼임돌기부(223), 제2a 탄성압착연결부(224), 제2b 탄성압착연결부(225), 제2c 탄성압착연결부(226), 제2a 연결고리부(227), 제2b 연결고리부(228), 제2c 연결고리부(229), 제2 사선형 지지대(229a)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판넬몸체(221)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양측면에 제2a 블럭끼임돌기부(222)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면에 제2b 블럭끼임돌기부(223)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제2a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고,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2b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또한, 후면 우측상단모서리 일측에 제2a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2b 연결고리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후면 상단쪽 제2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제2c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상단쪽 제2a 연결고리부 일측에 제2c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판넬몸체(221)는 가로길이가 900mm~3000mm로 형성되고, 세로길이가 400~800mm로 형성되며, 두께가 30mm~60mm로 형성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는 깊이가 100~20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판넬몸체(221)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2a 블럭끼임돌기부(222)는 제2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제2a 블럭끼임돌기부가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2a 블럭끼임돌기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2a 블럭끼임돌기부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a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2a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제2a 블럭끼임돌기부가 돌출되면, 이에 대응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2a 블럭끼임돌기부(222)는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b 블럭끼임돌기부(223)는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b 블럭끼임돌기부(223)는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a 탄성압착연결부(224)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a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2a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2a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2a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1a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2a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b 탄성압착연결부(225)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2b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2b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2b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2b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c 탄성압착연결부(226)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2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2c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2c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2c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2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2c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a 연결고리부(227)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2b 연결고리부(228)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b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2c 연결고리부(229)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2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사선형 지지대(229a)는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2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후면지지판(229a-1), 제2 전단힌지축(229a-2), 제2 길이조절부(229a-3), 제2 후단힌지축(229a-4), 제2 바닥지지판(229a-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후면지지판(229a-1)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제2 길이조절부와 제2 바닥지지판에 의해 제2 판넬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전단힌지축(229a-2)은 제2후면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2 후면지지판을 기준으로 제2 길이조절부의 상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길이조절부(229a-3)는 제2 전단지지축과 제2 후단지지축 사이에 위치되어, 마디와 마디사이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면서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디 표면에 복수개의 볼트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볼트삽입홈에 볼트를 삽입시켜 마디의 길이를 조절시킨다.
상기 제2 후단지지축(229a-4)은 제2 바닥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2 바닥지지판을 기준으로 제2 길이조절부의 후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바닥지지판(229a-5)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제2 길이조절부와 제2 후면지지판을 사선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사선형 지지대(229a) 일측에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사선형으로 연결되는 요홈보조와이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제2 사선형지지대와 함께 보조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에 위치되면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2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판넬몸체(231), 제3a 블럭끼임돌기부(232), 제3b 블럭끼임돌기부(233), 제3a 탄성압착연결부(234), 제3b 탄성압착연결부(235), 제3c 탄성압착연결부(236), 제3a 연결고리부(237), 제3b 연결고리부(238), 제3c 연결고리부(239), 제3 사선형 지지대(239a)로 구성된다.
상기 제3 판넬몸체(231)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양측면에 제3a 블럭끼임돌기부(232)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면에 제3b 블럭끼임돌기부(233)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제3a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고,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3b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또한, 후면 우측상단모서리 일측에 제3a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3b 연결고리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후면 상단쪽 제3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제3c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상단쪽 제3a 연결고리부 일측에 제3c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판넬몸체(231)는 가로길이가 900mm~3000mm로 형성되고, 세로길이가 400~800mm로 형성되며, 두께가 30mm~60mm로 형성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는 깊이가 100~200mm가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 판넬몸체(231)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제3a 블럭끼임돌기부(232)는 제3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3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3a 블럭끼임돌기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제3a 블럭끼임돌기부가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3a 블럭끼임돌기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3a 블럭끼임돌기부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a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제3a 블럭끼임돌기부가 돌출되면, 이에 대응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a 블럭끼임돌기부(232)는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b 블럭끼임돌기부(233)는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3b 블럭끼임돌기부(233)는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3a 탄성압착연결부(234)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1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1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3a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3a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3a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1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3a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b 탄성압착연결부(235)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b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3b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3b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3b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1b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3b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c 탄성압착연결부(236)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3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3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3c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3b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3c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1c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상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3c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3a 연결고리부(237)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3b 연결고리부(238)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1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3c 연결고리부(239)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3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3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상기 제3 사선형 지지대(239a)는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3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후면지지판(239a-1), 제3 전단힌지축(239a-2), 제3 길이조절부(239a-3), 제3 후단힌지축(239a-4), 제3 바닥지지판(239a-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후면지지판(239a-1)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제3 길이조절부와 제3 바닥지지판에 의해 제3 판넬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전단힌지축(239a-2)은 제3후면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3 후면지지판을 기준으로 제3 길이조절부의 상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길이조절부(239a-3)는 제3 전단지지축과 제3 후단지지축 사이에 위치되어, 마디와 마디사이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이면서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마디 표면에 복수개의 볼트삽입홈이 형성되고, 그 볼트삽입홈에 볼트를 삽입시켜 마디의 길이를 조절시킨다.
상기 제3 후단지지축(239a-4)은 제3 바닥지지판 상에 설치되어, 제3 바닥지지판을 기준으로 제3 길이조절부의 후단부를 1°~180°로 회전시킨 후, 특정 위치에 정위치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바닥지지판(239a-5)은 바닥면 상에 설치되어, 제3 길이조절부와 제3 후면지지판을 사선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3 사선형 지지대(239a) 일측에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사선형으로 연결되는 요홈보조와이어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제3 사선형지지대와 함께 보조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에 위치되면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3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상단 세로방향으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4 판넬몸체(241),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 제4a 탄성압착연결부(245), 제4b 탄성압착연결부(246), 제4c 탄성압착연결부(247), 제4d 탄성압착연결부(248), 제4a 연결고리부(249), 제4b 연결고리부(249a), 제4c 연결고리부(249b), 제4d 연결고리부(249c)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제4 판넬몸체(241)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 판넬몸체(241)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양측면에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단면에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하단면에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가 복수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제4a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고,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4b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또한, 후면 우측상단모서리 일측에 제4a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제4b 연결고리부가 형성되어 "/"의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후면 상단쪽 제4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제4c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상단쪽 제3a 연결고리부 일측에 제4c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된다.
또한, 후면 하단쪽 제4b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제4d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하단쪽 제4b 연결고리부 일측에 제4d 탄성압착연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4 판넬몸체(241)는 가로길이가 900mm~3000mm로 형성되고, 세로길이가 400~800mm로 형성되며, 두께가 30mm~60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 판넬몸체(241)는 알루미늄합금재질로 이루어져 가볍고, 내구성이 강한 특성을 가진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는 제4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4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설치된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정면방향에서 바라봤을 때, 복수개의 제4a 블럭끼임돌기부가 하단방향으로 갈수록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4a 블럭끼임돌기부 일측에는 복수개의 돌기삽입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4a 블럭끼임돌기부와,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N+2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즉,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제4a 블럭끼임돌기부가 돌출되면, 이에 대응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에 돌기삽입홈이 형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는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는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4b 블럭끼임돌기부와,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N+5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는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는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하단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각형상 또는 원통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4c 블럭끼임돌기부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b 블럭끼임돌기부가 서로 짝을 이루며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는 하단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킬 때, 압착력을 높이기 위해 고무패킹부재가 블럭끼임돌기 표면상에 도포되어 형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4a 탄성압착연결부(245)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a 탄성압착연결부(245)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4a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4a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4a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3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4a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제4b 탄성압착연결부(246)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b 탄성압착연결부(246)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4b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4b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4b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2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4b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제4c 탄성압착연결부(247)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c 탄성압착연결부(247)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4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4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4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4c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4c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c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N+4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4c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제4d 탄성압착연결부(248)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d 탄성압착연결부(248)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하단 제4b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c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상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연결고리부에 연결시키는 제4d 사각고리가 형성되고, 제4d 사각고리를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압착시켜 제4d 사각고리에 연결된 제1c 연결고리부를 당겨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탄성압착시키는 제4d 탄성압착부가 형성된다.
아홉째, 본 발명에 따른 제4a 연결고리부(249)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a 연결고리부(249)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열번째, 본 발명에 따른 제4b 연결고리부(249a)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b 연결고리부(249a)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열한번째, 본 발명에 따른 제4c 연결고리부(249b)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c 연결고리부(249b)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4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4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열두번째, 본 발명에 따른 제4d 연결고리부(249c)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제4d 연결고리부(249c)는 제4 판넬몸체의 후면 하단 제4b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c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상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 일측을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ㄱ"자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돌출된 연결고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은 호형구조의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는 요홈바닥지지부재의 곡선형상을 따라 삽입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단독으로 이루어져 호형구조로 단일 차수막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양측면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호형구조의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1차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연결되도록 기준점을 설정시켜 호형구조의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곡선형상으로 형성된 요홈바닥지지부재와 짝을 이루며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주로, 학교 운동장의 타원형 바닥면, 곡선형태의 도로 바닥면에 주로 설치된다.
상기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는 호형구조의 판넬몸체로 형성되고, 좌우측면과, 상단면, 하단면에 블럭끼임돌기부가 형성되며, 후면에 복수개의 탄성압착연결부, 연결고리부가 형성되고, 후면 중앙부위에 제5 사선형지지대가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단일 차수막 형성과정]
먼저,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 보행로 일측 바닥면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 학교 운동장 바닥면, 하천 둘레 바닥면에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한다.
이는 커팅기를 통해 바닥면의 깊이를 요홈바닥지지부재 높이만큼 판 후, 요홈바닥지지부재를 매설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시켜서 함몰 설치한다.
다음으로, 바닥면에 함몰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삽입시켜 밀봉시킨다.
다음으로, 침수발생예상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보관함에서 가져와,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밀봉시킨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끝으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복수 차수막 형성과정]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도 바닥면에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하거나,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에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하거나,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행로 일측 바닥면에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하거나,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에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한다.
이는 커팅기를 통해 바닥면의 깊이를 요홈바닥지지부재 높이만큼 판 후, 요홈바닥지지부재를 매설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시켜서 함몰 설치한다.
다음으로, 바닥면에 함몰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삽입시켜 밀봉시킨다.
다음으로, 침수발생예상시,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보관함에서 가져와,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밀봉시킨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2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끝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3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켜 복수 차단막을 형성시킨다.
[세로방향 적층형 복수 차수막 형성과정]
먼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천 보행로가 범람할 위험이 있는 하천둑 바닥면에 미리 일자형상으로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한다.
이는 커팅기를 통해 바닥면의 깊이를 요홈바닥지지부재 높이만큼 판 후, 요홈바닥지지부재를 매설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시켜서 함몰 설치한다.
다음으로, 바닥면에 함몰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삽입시켜 밀봉시킨다.
다음으로, 침수발생예상시,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보관함에서 가져와,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밀봉시킨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2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3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4c 블럭끼임돌기부를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에 형성된 돌기삽입홈에 삽입시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4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끝으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일측면에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키며,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타측면에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이처럼,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켜 세로방향 적층형 복수 차단막을 형성시킬 수 있어, 하천둑이 무너져 범람할 위험이 있는 곳에 미리 요홈바닥지지부재를 설치한 후에,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쌓아서 복수 차수막으로 이루어진 제방을 순간적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어, 2차, 3차 하천 범람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다.
[ 저류지용 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복수 차수막 형성과정]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시 침수가 예상되는 저지대 주택 및 상가지역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학교 운동장과 같은 빈공터에 임시저류지시설을 설치해서 임시적으로 빗물을 보관하고 저장시키는 저류지용 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복수 차수막 형성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학교 운동장 바닥면 중 직선부위는 직선형상의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설치하고, 곡선부위는 곡선형상의 요홈바닥지지부재를 함몰 설치한다.
이는 커팅기를 통해 바닥면의 깊이를 요홈바닥지지부재 높이만큼 판 후, 요홈바닥지지부재를 매설시킨 후, 콘크리트 타설시켜서 함몰 설치한다.
다음으로, 바닥면에 함몰 설치된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삽입시켜 밀봉시킨다.
다음으로, 침수발생예상시, 직선형상의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보관함에서 가져와,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밀봉시킨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1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학교운동장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2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학교운동장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3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학교운동장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다음으로, 침수발생예상시, 곡선형상의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중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를 보관함에서 가져와, 요홈바닥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밀봉시킨 고무패킹부재를 제거한 후,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밑단을 곡선형상의 요홈바닥지지부재 삽입홈에 삽입시킨다.
끝으로,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제5 사선지지대를 통해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학교운동장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킨다.
이로 인해,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제5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시켜 저류지용 학교 운동장에 설치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킨다.
1 :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100 : 요홈바닥지지부재
110 : 요홈지지부 120 : "H"형 보조지지부
200 :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

Claims (8)

  1. 상시 침수가 발생되는 도로 일측 바닥면, 보행로 일측 바닥면 또는 지하주차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저지대 주택의 출입구 바닥면, 학교 운동장 바닥면, 하천 둘레 바닥면에 일자형상 또는 곡선형상으로 함몰 설치되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지지하는 요홈바닥지지부재(100)와,
    사각판넬형상으로 형성되고, 밑단이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지지된 상태에서, 단일 차수막으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둘 이상이 서로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연결되어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켜,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를 차단시키거나 또는 전면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흐름을 특정방향으로 변경시키는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로 구성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200)은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단독으로 이루어져 단일 차수막을 형성시키거나, 또는 양측면으로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선택되어 1차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연결되도록 기준점을 설정시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에 위치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1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일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측단 가로방향으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에 위치되고, 요홈바닥지지부재에 삽입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2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타측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측단 가로방향으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와;,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에 위치되면서 이웃하는 또 다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연결되도록 제3 추가연결점을 설정시킨 후,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의 상단면과 1차 블럭끼움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 연결되어 상단 세로방향으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가 서로 1차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되고, 2차 탄성압착방식으로 압착시켜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블럭조립 연결된 복수 차수막을 형성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바닥지지부재(100)는
    요홈형상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을 기준으로, 바닥면 내부방향으로 함몰 설치되어, 바닥면과 동일선상에 삽입홈을 형성시킨 후, 평상시에는 삽입홈에 고무패킹부재를 통해 밀봉시켰다가, 침수발생예상시, 밀봉된 고무패킹부를 제거한 상태에서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이 삽입되도록 안내하고, 일측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1차 지지해주는 요홈지지부(110)와,
    요홈지지부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H"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단 방향의 지하시설물과 맞닿아서 훼손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면서, 요홈지지부가 외압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요홈지지부 하단을 지지해주어,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모듈의 밑단부위를 2차 지지해주는 "H"형 보조지지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10)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판넬몸체(211)와,
    제1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1a 블럭끼임돌기부(212)와,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1b 블럭끼임돌기부(213)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3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1a 탄성압착연결부(214)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2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1b 탄성압착연결부(215)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1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4d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제1c 탄성압착연결부(216)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2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1a 연결고리부(217)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1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3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1b 연결고리부(218)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1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1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4d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제1c 연결고리부(219)와,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1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1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제1 사선형 지지대(219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20)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2 판넬몸체(221)와,
    제2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또 다른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2a 블럭끼임돌기부(222)와,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2b 블럭끼임돌기부(223)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a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2a 탄성압착연결부(224)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2b 탄성압착연결부(225)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2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1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제2c 탄성압착연결부(226)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2a 연결고리부(227)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2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b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2b 연결고리부(228)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2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2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2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제2c 연결고리부(229)와,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2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2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제2 사선형 지지대(229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30)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3 판넬몸체(231)와,
    제3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3a 블럭끼임돌기부(232)와,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3b 블럭끼임돌기부(233)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1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3a 탄성압착연결부(234)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3b 탄성압착연결부(235)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3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3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제3c 탄성압착연결부(236)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a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3a 연결고리부(237)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3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1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3b 연결고리부(238)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3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3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3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제3c 연결고리부(239)와,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에 설치되어 접힘구조로 접혀있다가, 힌지축회전과 길이 가변을 통해 제3 판넬몸체의 후면 중앙부위를 기준으로 바닥면쪽까지 사선형으로 지지대를 형성시켜, 제3 판넬몸체의 전진방향으로 밀려오는 유수의 힘에 대응되는 반발지지력을 생성시키는 제3 사선형 지지대(239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240)는
    사각형상의 판넬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4 판넬몸체(241)와,
    제4 판넬몸체의 양측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일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고, 타측면으로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4a 블럭끼임돌기부(242)와,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단면으로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4b 블럭끼임돌기부(243)와,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에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하단면으로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부와 블럭끼임맞춤식으로 연결시키는 제4c 블럭끼임돌기부(244)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4a 탄성압착연결부(245)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4b 탄성압착연결부(246)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4a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4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제4c 탄성압착연결부(247)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하단 제4b 연결고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c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연결고리부에 고리를 걸은 후,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상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 일측에 압착시키는 제4d 탄성압착연결부(248)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우측 상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2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과 이웃하는 제N+2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일측면 상단을 압착시키는 제4a 연결고리부(249)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좌측하단모서리 일측에 형성되어, 제4a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3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과 이웃하는 제N+3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측면의 연결부위를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타측면 하단을 압착시키는 제4b 연결고리부(249a)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상단 제4a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b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N+4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과 이웃하는 제N+4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하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상단면 타측을 압착시키는 제4c 연결고리부(249b)와,
    제4 판넬몸체의 후면 하단 제4b 탄성압착연결부 일측에 형성되어, 제4c 블럭끼임돌기부를 통해 블럭끼임맞춤식으로 1차 연결조립된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의 제1c 탄성압착연결부에 연결되어,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과 이웃하는 제1 블럭조립형 차수판넬 상면의 연결부위에 한번 더 탄성압착방식으로 제4 판넬몸체의 하단면 일측을 압착시키는 제4d 연결고리부(249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8. 삭제
KR1020130148998A 2013-12-03 2013-12-03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KR10142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98A KR101420405B1 (ko) 2013-12-03 2013-12-03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8998A KR101420405B1 (ko) 2013-12-03 2013-12-03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0405B1 true KR101420405B1 (ko) 2014-07-17

Family

ID=51742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8998A KR101420405B1 (ko) 2013-12-03 2013-12-03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04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0801A (ja) * 2018-12-03 2020-06-11 三和鋼業株式会社 持ち運び式止水板装置
KR20200104774A (ko) * 2019-08-19 2020-09-04 남은태 침수 차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567A (ja) * 2002-08-07 2004-03-04 Oyama Koki Seisakusho:Kk 簡易止水装置
KR20050037080A (ko) * 2003-10-17 2005-04-21 홍 대 박 연결식침수방지장치
KR20130001606U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드림건설 수해 방지용 차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8567A (ja) * 2002-08-07 2004-03-04 Oyama Koki Seisakusho:Kk 簡易止水装置
KR20050037080A (ko) * 2003-10-17 2005-04-21 홍 대 박 연결식침수방지장치
KR20130001606U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 드림건설 수해 방지용 차수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0801A (ja) * 2018-12-03 2020-06-11 三和鋼業株式会社 持ち運び式止水板装置
JP7194984B2 (ja) 2018-12-03 2022-12-23 三和鋼業株式会社 持ち運び式止水板装置
KR20200104774A (ko) * 2019-08-19 2020-09-04 남은태 침수 차단장치
KR102170492B1 (ko) * 2019-08-19 2020-10-28 남은태 침수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q et al. Flood management and vulnerability of Dhaka City
KR101420405B1 (ko)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KR20130137665A (ko)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CN105970764B (zh) 一种排水路面的铺设方法
US10364564B2 (en) Super drainage system and method for flood control
KR102170492B1 (ko) 침수 차단장치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KR102004140B1 (ko) 우수관로 월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심지 침수 방지를 위한 자연 압송식 배수공법 및 우수저류조 유입공법
CN209292970U (zh) 一种防汛墙
CN215486159U (zh) 一种下穿暗埋段隧道排水结构
CN215977142U (zh) 一种用于地下洞室的防洪闸门结构
KR20120055453A (ko) 침수 예방을 위한 물막이 장치
EP1206600A1 (en) Anti-flood barrier
CN210370663U (zh) 一种平行双孔洞隧道结构
CN204715206U (zh) 一种桥梁排水系统
CN210564251U (zh) 地铁站出入口弧形挡水槛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KR102654514B1 (ko) 차수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차수장치
Rouault et al. Multifunctional areas, one of the solutions for Hamburg (Germany) on the way towards a water sensitive city
CN113323721B (zh) 一种下穿暗埋段隧道排水结构及其排水方法
CN221236165U (zh) 一种排涝井盖
CN207295915U (zh) 一种雨水渗透系统
CN211547961U (zh) 一种防沉陷的道路路基
KR102609563B1 (ko) 모듈형 플라스틱 배수 장치
CN213867180U (zh) 一种便于排水的市政道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