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7665A -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 Google Patents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7665A
KR20130137665A KR1020137019173A KR20137019173A KR20130137665A KR 20130137665 A KR20130137665 A KR 20130137665A KR 1020137019173 A KR1020137019173 A KR 1020137019173A KR 20137019173 A KR20137019173 A KR 20137019173A KR 20130137665 A KR20130137665 A KR 20130137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ide groove
cables
drainag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하타나카
료우스케 이노우에
다케오 구마시로
시게오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요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요교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이토 요교
Publication of KR20130137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76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7Gutters; Channels ; Roof drainage discharge ducts set in sidewal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made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류(5)의 부설, 추가 또는 교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한 측홈 블록(1)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케이블류(5)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하는 측홈 블록(1)에 관한 것이다. 이 측홈 블록(1)은 좌우의 측벽부(14, 14)와 그 하단부끼리를 잇는 저벽부(15)를 일체로 가지는, 위쪽이 개방된 블록 본체(11)와, 블록 본체(11) 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그 장착에 의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을 상부 측의 배수공간(17)과 하부 측의 케이블류용의 수납공간(38)으로 구분하는 중저부재(저판부재(1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GUTTER BLOCK, DRAINAGE INSTALLATION USING SAME, AND METHOD FOR BURYING CABLES UNDERGROUND}
본 발명은 케이블류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竝有)하는 측홈 블록과, 이것을 가지는 배수설비 및 그 측홈 블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 전화선 및 광섬유 등의 각종의 케이블류를 지중에 매설하면, 재해시의 긴급 수송 도로의 확보, 원활한 소방 활동, 태풍·지진 등의 재해시에 강한 마을의 조성, 고도 정보화를 향한 전력의 안정된 공급 및 통신의 신뢰성의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그래서,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기능적인 도로 공간을 형성하고 또한 아름다운 거리풍경을 실현하기 위해, 보도에 매설한 전선 공동홈(C·C·BOX)에 케이블류를 모아서 수납하는 것에 의해, 도로를 무전주화(無電柱化)하는 것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선 공동홈은 가옥으로의 케이블류의 인입(引入)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하기 위해, 보도의 관민(官民) 경계부를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보도의 관민 경계부에는 도로나 가옥으로부터의 빗물을 하수에 흘리는 측홈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선 공동홈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가 이미 측홈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와 중복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케이블류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하는 측홈 블록(이하, 「하이브리드형의 측홈 블록」이라고 하는 것이 있다.)이 제안되어 있다.
이 하이브리드형의 측홈 블록으로서는, 종래 2개의 타입이 있다. 이 중, 제1 타입은 위쪽이 개방된 단면 대략 'U'자형의 블록 본체와, 그 위쪽 개방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블록 본체의 측벽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케이블류를 수납하도록 한 것이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 제2 타입은 위쪽이 개방된 단면 대략 'U'자형의 블록 본체와, 그 위쪽 개방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내면에 케이블류의 유지부재를 돌출 마련함과 아울러, 블록 본체의 저부에 하수의 배수로를 형성한 것이다(특허문헌 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2003-14784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2008-215053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국 특허 제2523083호 공보
종래의 하이브리드형의 측홈 블록 가운데, 상기 제1 타입에서는, 블록 본체의 측벽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의해서 케이블류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수납공간의 내공(內空) 단면을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다. 따라서, 비교적 작은 관통구멍에 케이블류를 통과시켜 배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케이블류의 부설(敷設)작업에 수고가 든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특히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케이블류를 출입하기 위한 작업 홈이 블록 본체의 외측면으로 개구하고 있으므로, 블록 본체를 매설한 후에 케이블류를 추가 또는 교환하게 되었을 경우에는, 작업 홈을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해서, 그 측방의 지반을 파낼 필요가 있어 시공이 번잡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제2 타입에서는,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내면에 돌출 마련한 유지부재에 케이블류를 유지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케이블류의 추가 또는 교환에 대해서는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타입에서는, 상기 유지부재가 측벽부의 내면에 돌출 마련되고, 하수의 배수로가 블록 본체의 저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류가 방해가 되어 블록 본체의 저부에 청소도구가 들어가기 어려워, 오니(汚泥) 제거를 위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케이블류의 부설, 추가 또는 교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메인터넌스 작업이 용이한 측홈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은 케이블류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하는 측홈 블록으로서, 좌우의 측벽부와 그 하단부끼리를 잇는 저벽부를 일체로 가지는, 위쪽이 개방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그 장착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공간을 상부 측의 배수공간과 하부 측의 상기 케이블류용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는 중저(中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측홈 블록에 의하면, 블록 본체의 내부공간의 하부 측이 케이블류의 수납공간으로 되어 있으므로, 측벽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의해서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수납공간의 단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수납공간에 대한 케이블류의 부설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
또, 중저부재를 블록 본체의 내부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케이블류의 수납공간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류의 추가 또는 교환을 행할 때에, 블록 본체의 측방의 지반을 파낼 필요가 없어, 케이블류의 추가 또는 교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홈 블록에 의하면, 블록 본체의 내부에 장착된 중저부재가 블록 본체의 내공 단면을 상부 측의 배수공간과 하부 측의 케이블류용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므로, 배수공간에 케이블류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배수공간(배수로)을 청소할 때에 케이블류가 방해되지 않아, 오니 제거를 위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2) 본 발명의 측홈 블록에 있어서, 블록 본체 내의 상하방향 중도부에 중저부재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내면에 장착한 브래킷으로 중저부재를 지지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경우, 브래킷의 재료비와 타설수고에 의해서 제작비가 커지게 된다.
그래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중저부재의 좌우 양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단차부가 당해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브래킷 등을 마련하지 않아도, 블록 본체의 내공 단면의 상부 측에 중저부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를 염가로 억제할 수 있다.
(3) 또,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내면에 단차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중저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단차부 또는 측벽부 내면과의 사이를 수밀(水密)하게 밀봉하는 씰부재를 마련해 두면, 중저부재로 형성되는 배수로로부터의 아래쪽의 수납공간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수로로부터의 누수나 토사 유입에 의해서 수납공간이 폐색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동일한 이유로,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은, 상기 중저부재의 배수방향 단부끼리를 수밀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또한, 본 발명의 측홈 블록에 있어서, 상기 중저부재는,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a) ~ (d) 중 어느 하나의 부재를 채용할 수 있다.
(a)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상하방향 중도부에 가설(架設) 가능한 저판(底板)부재
(b)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상하방향 중도부에 가설 가능한 수로(水路)부재
(c) 블록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걸기 가능한 걸기부를 가지는 수로부재
(d) 케이블류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아래쪽 개구 모양의 개방 단면이며, 블록 본체의 저부에 수납되었을 경우에 배수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천판부를 가지는 커버부재
(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은, 블록 본체의 단면 상부에 배수공간(배수로)이 형성되고, 또한, 단면 하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상하 2단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하 2단 구조의 측홈 블록으로 구성되는 측홈 구간에 집수(集水) 박스나 케이블 박스를 연결하는 경우의 레이아웃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집수 박스를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배치하고, 케이블 박스를 측홈 구간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 시켜 배치하는 레이아웃(도 10 참조)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레이아웃에서는, 집수 박스나 케이블 박스를 설치하는 구간에서, 케이블류를 측홈 블록의 외부로 우회시켜 부설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측홈 블록을 천공해야 한다는 점에서, 케이블류의 부설작업이 번잡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을 이용한 배수설비로서는, 배수에 대해서는 그 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지만, 케이블류에 대해서 그대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변경 블록」을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설치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배수설비는, 도로의 종단방향으로 연속하여 매설된 본 발명에 관한 복수의 측홈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측홈 구간과, 상기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홈 블록에 접속된 1 또는 복수의 변경 블록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경 블록이 상기 배수공간에 연통하고 또한 그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류를 굴곡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하부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본 발명의 배수설비에 의하면,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변경 블록이 측홈 블록의 배수로에 연통하고 또한 그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을 가지므로, 그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배수를 집수하는 집수 박스를 측홈 구간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측홈 블록의 수납공간이 집수 박스에 의해서 분단되지 않게 되므로, 집수 박스의 설치구간에서, 케이블류를 측홈 블록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고, 케이블류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8) 또, 본 발명의 배수설비에 의하면,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변경 블록이 측홈 블록의 수납공간에 연통하고 또한 케이블류를 굴곡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하부 공간을 가지므로, 그 하부 공간에 연통하는 케이블 박스를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측홈 블록 내의 케이블류를 변경 블록의 하부 공간을 통하여 굴곡시키지 않고 케이블 박스까지 늘릴 수 있으므로, 케이블 박스의 설치구간에서 케이블류를 측홈 블록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고, 케이블류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9) 본 발명의 공법은, 상기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으로서, 다음의 공정(a1) ~ (c1)를 포함하는 것이다.
(a1) 상단이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블록 본체를 신규로 매설하는 공정
(b1)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상기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c1)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이 지중화 공법에서는,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의 블록 본체를 시공 현장에 신설할 때에 지중화를 행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블록 본체의 신규의 매설 작업(공정(a1))이 완료한 후에, 그 매설된 블록 본체의 내부에 대해서, 케이블류의 수납(공정(b1))과 중저부재의 장착(공정(c1))이 순서대로 행해진다.
(10) 또, 본 발명의 다른 공법은, 상기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으로서, 다음의 공정(a2) ~ (c2)를 포함하는 것이다.
(a2)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설(旣設)의 상기 블록 본체로부터 상기 중저부재를 떼어내는 공정
(b2)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상기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c2)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이 지중화 공법에서는,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이 중저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기설의 블록 본체로부터 중저부재를 떼어내는 작업(공정(a2))이 완료한 후에, 그 기설의 블록 본체의 내부에 대해서, 케이블류의 수납(공정(b2))과 중저부재의 장착(공정(c2))이 순서대로 행해진다.
(11) 본 발명의 또 다른 공법은, 상기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으로서, 다음의 공정(a3) ~ (b3)를 포함하는 것이다.
(a3)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설의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b3)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이 지중화 공법에서는, 본 발명의 측홈 블록이 중저부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기설의 블록 본체로부터 중저부재를 떼어낼 필요가 없으므로, 기설의 블록 본체의 내부에 대해서, 케이블류의 수납(공정(a3))과 중저부재의 장착(공정(b3))이 순서대로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측홈 블록에 의하면, 케이블류의 부설, 추가 또는 교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음과 아울러, 배수로에 대한 오니 제거를 위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측홈 블록을 이용한 배수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측홈 블록의 사시도, 도 2의 (b)는 그 횡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저판부재의 평면도, 도 3의 (b)는 그 측면도, 도 3의 (c)는 그 저면도, 도 3의 (d)는 그 정면도이다.
도 4는 저판부재의 단부 연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의 다른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의 다른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의 (a)는 변경 블록과 집수 박스의 평면도, 도 8의 (b)는 방향변경부재의 사시도, 도 8의 (c)는 집수 박스의 종단면도, 도 8의 (d)는 변경 블록과 집수 박스의 횡단면도이다.
도 9는 변경 블록과 집수 박스를 이용한 박스부 구간의 구성예의 평면도로서, 도 9의 (a)는 케이블 박스가 있는 경우, 도 9의 (b)는 케이블 박스가 없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은 박스부 구간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덮개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홈 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측홈 블록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측홈 블록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그 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배수설비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측홈 블록(1)을 이용한 배수설비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배수설비는 도로(2)의 종단방향(A)을 따라서 측홈 블록(1)을 연속하여 매설하여 이루어지는 측홈 구간(3)과, 이 측홈 구간(3)끼리의 사이에 개재하는 박스부 구간(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은 케이블류(5)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하고 있으며, 도로(2)의 종단방향(A)을 따라서 당해 도로의 좌우 양쪽 측면에 복수 연속하여 매설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도로(2)는 횡단방향 중앙부에 합류식 하수관(6)을 가지는 비교적 폭이 작은 소규모의 포장 도로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도로 측면에 설치되는 각 측홈 블록(1)은 가옥(7)으로의 케이블(5A)의 인입거리를 가능한 한 짧게 하기 위해, 측홈 블록(1)의 폭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관민 경계선(B)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의 내부에 수납되는 케이블류(5)에는 가옥(7)의 주민의 라이프 라인이 되는 각종의 케이블(예를 들면, 저압 또는 고압의 각 전력선이나, 전화선 또는 광섬유 등의 통신선)(5A)이 포함된다.
물론, 후술의 수납공간(18)의 사이즈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이 케이블류(5)로서, 상하수도 배관이나 가스 배관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그들을 단독으로 수납할 수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말하는 「케이블류」란, 상기의 각 케이블(5A) 그 자체뿐만이 아니라, 케이블(5A)을 보호관(5B)에 삽입 통과하여 부설하는 경우에는, 그 보호관(5B)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설비예에서는, 좌측의 측홈 구간(3)의 측홈 블록(1)에 「통신 간선(幹線)」의 보호관(5B)이 수납되고, 우측의 측홈 구간(3)의 측홈 블록(1)에 「고압 전력선」의 보호관(5B)이 수납되어 있다.
[측홈 블록의 구성]
도 2의 (a)는 측홈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그 횡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은 개수로 단면인 블록 본체(11)와, 대략 평판 모양으로 형성된 저판부재(12)와, 블록 본체(11)의 위쪽 개방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블록 본체(11)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제이며, 좌우의 측벽부(14)와, 그 하단부끼리를 잇는 저벽부(15)를 일체로 가지는, 위쪽이 개방된 단면 대략 'U'자 모양의 시멘트 블록체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블록 본체(11)는 단면 폭보다도 단면 높이가 큰 장방형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단면 폭은 300 ~ 600㎜의 범위로 설정되며, 그 단면 높이는 450 ~ 85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블록 본체(11)의 길이는 1000 ~ 4000㎜의 범위로 설정되고, 덮개부재(13)의 길이는 500㎜ 정도가 일반적인 사이즈이지만, 블록 본체(11)의 길이에 특별히 속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저판부재(12)의 길이는 1000㎜ 정도까지이면 인력으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만, 이것도 블록 본체(11)의 길이와는 관계없는 것으로 설정 가능하다.
블록 본체(11)의 각 측벽부(14)는 그 외면이 평평하게 되어 있지만, 그 내면의 상하방향 대략 중앙부에 단차부(16)가 형성되어 있다(도 2의 (a) 참조). 이 단차부(16)는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측벽부(14)의 상반 부분의 단면 두께가 그 하반 부분의 단면 두께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벽부(14)와 저벽부(15)로 둘러싸이는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 가운데, 단차부(16)보다 위쪽의 상측 부분이 배수공간(배수로)(17)으로 되어 있고, 단차부(16)보다 아래쪽의 하측 부분이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으로 되어 있다.
또, 블록 본체(11)의 양측벽부(14)의 내면에는 덮개부재(13)의 폭방향 양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덮개걸이 리브(19)가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이 덮개걸이 리브(19)는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 도중의 소정 개소에서 중단되어 있고, 이 중단된 개소의 노치부(도시생략)는 저판부재(12)를 장착할 때에 이용하는 걸기도구(21)(도 2의 (b) 참조)의 틈새 부분으로 되어 있다.
도 3의 (a)는 저판부재의 평면도, 도 3의 (b)는 그 측면도, 도 3의 (c)는 그 저면도, 도 3의 (d)는 그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저판부재(12)는 배수로(17)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중저부재」의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 모양의 레진 콘크리트(resin concrete)제(다른 콘크리트제 혹은 금속제라도 된다.)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저판부재(12)의 표면은 폭방향 중앙부를 향할수록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해도 된다.
이 저판부재(12)는 배수로(17)의 저면이 되는 표면을 얇게 노치하여 구성된 연결대부(22)를 길이방향 양단부에 가진다. 또, 저판부재(12)의 폭방향 양단부의 이면 측에는, 단차부(16)에 맞물려 폭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결정 돌조(突條)(23)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다.
저판부재(12)의 폭치수는 블록 본체(11)의 개구 폭보다도 작지만, 좌우의 단차부(16) 사이의 폭방향 간격보다도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부재(12)의 폭방향 일단 가장자리를 한쪽의 단차부(16)에 놓은 상태에서, 타단 가장자리에 건 걸기도구(21)를 이용하여 타단 가장자리를 서서히 다른 쪽의 단차부(16)에 놓는 것으로,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의 상하방향 중도부에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저판부재(12)를 장착하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에서의 저판부재(12)의 위쪽에 배수로(17)가 형성되고, 아래쪽의 부분에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이 확보되게 된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16)의 상면에는 저판부재(12)의 가장자리부의 이면에 맞닿는 고무제의 씰부재(24)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씰부재(24)에 의해, 저판부재(12)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배수로(17)로부터 아래쪽의 수납공간(18)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씰부재(24)는 단차부(16)의 상면이 아니고, 저판부재(12)의 하면에 장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또, 씰부재(24)를 저판부재(12)의 폭방향 양가장자리면(단면)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저판부재(12)의 가장자리부와 측벽부(14)에서의 단차부(16) 바로 위쪽의 벽면 부분과의 사이에서 지수(止水)를 행해도 된다.
도 4는 저판부재(12)의 단부 연결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판부재(12)의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연결대부(2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배수로(17)의 배수방향)에 인접하는 저판부재(12)의 단면을 맞대면, 그 연결대부(22)의 폭의 대략 2배의 연결홈부가 형성된다.
그래서, 도 4에서는, 예를 들면 부틸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씰 테이프(연결부재)(25)를 연결홈부를 따라서 붙이는 것에 의해, 저판부재(12)의 단부끼리를 수밀하게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씰 테이프(25)는 블록 본체(11)의 측벽부(14)의 접합단에도 붙이도록 해도 되고,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부재(12)의 연결대부(22)에만 붙이도록 해도 된다.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1)]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을 이용한 케이블류(5)의 지중화 공법의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의 지중화 공법(이하, 「제1 공법」이라고 한다.)에서는, 블록 본체(11)를 시공 현장에 신설할 때에 지중화를 행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하, 이 도 5를 참조하면서, 제1 공법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도로(2)의 개착(開鑿)홈에 블록 본체(11)를 수용하는 것에 의해, 그 상단이 도로 표면과 대략 일치하도록 블록 본체(11)를 도로(2)에 매설한다.
또한, 이 경우, 길이방향으로 연속하는 블록 본체(11)의 접합단끼리는 도시하지 않은 지수재에 의해서 밀봉된다.
또한, 블록 본체(11)의 매설 위치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로(2)의 폭방향 단부의 관민 경계선(B)에 일치 또는 근접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도로(2)의 폭방향 중앙부에는 이미 관로(도 1의 합류식 하수관(6) 등)가 매설되어 있는 것이 많지만, 측홈이 마련되는 도로(2) 측면의 경우에는 그와 같은 기설의 관로와 간섭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그 후,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매설된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의 저부 측에 있는 수납공간(18)에 당해 구간에서 필요한 케이블(5A)의 보호관(5B)을 수납한다.
이 보호관(5B)의 수납 작업이 완료하면,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에 저판부재(12)를 삽입하고, 저판부재(12)의 폭방향 양가장자리를 좌우의 단차부(16)에 맞닿게 하여,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의 내부에 장착한다.
이 저판부재(12)의 장착에 의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이 저판부재(12)의 위쪽의 배수로(17)와 그 하부의 수납공간(18)과의 상하 2단 구조로 구획된다.
또한, 도 5에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저판부재(12)와 단차부(16)의 사이는 상기 씰부재(24)에 의해서 수밀하게 밀봉되고, 길이방향에서 인접하는 저판부재(12)끼리의 접속단은 상기 씰 테이프(25)로 수밀하게 밀봉된다.
그리고, 블록 본체(11)의 위쪽 개방부를 덮개부재(13)로 폐색하는 것에 의해, 도 5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에 대한 단면 폐색이 완료한다.
또한, 그 후는, 예를 들면 케이블 박스(34)(도 9 참조)로부터 보호관(5B)에 케이블(5A)을 삽입 통과시켜, 케이블(5A)을 측홈 블록(1)의 배수방향을 따라서 부설하면 된다.
다만, 이 케이블(5A)의 부설작업은 저판부재(12)를 장착하기 전(도 5의 (b)의 상태)에, 보호관(5B)과 함께 혹은 보호관(5B) 없이, 케이블(5A)을 수납공간(18)에 수납하는 것으로 행하도록 해도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여 측홈 블록(1)의 시공이 완료하고 나서 예를 들면 수년 후에, 특정 구간의 측홈 블록(1)에 대해서, 케이블(5A)을 추가적으로 부설할 필요가 생기거나 혹은 고장난 케이블(5A)을 교환할 필요가 생기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블록 본체(11)로부터 덮개부재(13)를 떼어내어, 특정 구간의 배수로(17)에 대해서 오니의 제거 등의 필요한 청소를 행하고 나서, 저판부재(12)의 가장자리부에 걸기도구(21)를 걸어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의 내부로부터 취출한다.
그러면,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록 본체(11)의 내부의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이 개방되므로, 이 개방된 특정 구간의 블록 본체(11)에 대해서 필요한 케이블(5A)이나 그 보호관(5B)의 추가나 교환을 행하면 된다.
[측홈 블록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에 의하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에서의 저판부재(12)보다도 아래쪽의 부분이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으로 되어 있으므로, 측벽부(14)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에 의해서 수납공간을 마련하는 경우에 비해, 수납공간(18)의 단면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공간(18)에 대한 케이블류(5)(케이블(5A) 그 자체 혹은 그 보호관(5B))의 부설작업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에 의하면, 배수로(17)를 청소하고 나서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측홈 블록(1)의 시공 완료 후에도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5A)이나 보호관(5B)의 추가 또는 교환을 행할 때에, 블록 본체(11)의 측방의 지반을 파낼 필요가 없고, 케이블류(5)의 추가 또는 교환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에 의하면,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에 장착된 저판부재(12)보다도 아래쪽의 수납공간(18)에 케이블류(5)가 수납되어 있으므로, 배수로(17)를 청소할 때에 케이블류(5)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배수로(17)에 대한 오니 제거를 위한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에 의하면, 블록 본체(11)의 측벽부(14)의 내면에, 저판부재(12)의 좌우 양가장자리부를 지지하는 단차부(16)가 당해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블록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브래킷(61)(도 12 참조)을 측벽부(14)에 장착하여, 저판부재(12)를 지지하는 단차부를 후작업으로 작성하는 경우에 비해, 재료비와 타설수고를 저감할 수 있어, 측홈 블록(1)의 제작비용을 염가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에 의하면, 상기 단차부(16)와 저판부재(12)의 사이를 씰부재(24)로 수밀하게 지수함과 아울러, 저판부재(12)의 길이방향 단부끼리를 씰 테이프(25)로 수밀하게 지수하는 것에 의해, 배수로(17)로부터 아래쪽의 수납공간(18)으로의 누수가 극력 방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배수로(17)로부터의 토사 등을 포함하는 누수가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에 이르는 것에 수반하는 수납공간(18)의 폐색을 가능한 한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2)]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을 이용한 케이블류(5)의 지중화 공법의 다른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지중화 공법(이하, 「제2 공법」이라고 한다.)에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이 저판부재(12)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었지만, 케이블류(5)의 지중화가 아직 끝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하, 이 도 6을 참조하면서, 제2 공법의 내용을 설명한다.
또한, 이 도 6의 지중화 공법이나 다음의 도 7의 지중화 공법과 같이, 케이블류(5)의 수납 기능을 가지는 측홈 블록(1)을 우선 배수 용도만으로 설치한 후 (예를 들면 수년 후)에 케이블류(5)를 수납하는 일이 있는 이유는, 전선 공동홈 공사의 경우는, 현지 주민과의 의견 조정에 매우 시간이 걸리는 케이스가 많으므로, 먼저 측홈 정비를 정돈하고 나서 케이블류(5)의 지중화를 검토 내지 결정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우선, 블록 본체(11)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덮개부재(13)를 떼어내어, 배수로(17)의 청소를 행한 후,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로부터 떼어내어, 수납공간(18)을 개방한다.
그 후,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관(5B)을 수납공간(18)에 수납하고 나서, 도 6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의 내부에 장착하고, 필요한 지수 개소의 씰을 행하여 배수로(17)를 원래 상태로 복구시킨다.
그리고, 떼어낸 덮개부재(13)를 블록 본체(11)의 상단 개구부에 되돌리는 것에 의해, 도 6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에 대한 단면 폐색이 완료한다.
또한, 그 후는, 예를 들면 케이블 박스(34)(도 9 참조)로부터 보호관(5B)에 케이블(5A)을 삽입 통과시켜, 케이블(5A)을 측홈 블록(1)의 배수방향을 따라서 부설하면 된다.
다만, 이 제2 공법의 경우도, 저판부재(12)를 장착하기 전(도 6의 (b)의 상태)에, 보호관(5B)과 함께 혹은 보호관(5B) 없이, 케이블(5A)을 수납공간(18)에 수납해도 된다.
[케이블류의 지중화 공법(3)]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을 이용한 케이블류(5)의 지중화 공법의 다른 시공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의 지중화 공법(이하, 「제3 공법」이라고 한다.)에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이 저판부재(12)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었지만, 케이블류(5)의 지중화가 아직 끝나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하, 이 도 7을 참조하면서, 제3 공법의 내용을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블록 본체(11)의 상단 개구부로부터 덮개부재(13)를 떼어내어, 배수로로서 사용되고 있던 블록 본체(11)의 수납공간(18)의 내부를 청소하는 것에 의해, 그 수납공간(18)을 본래의 케이블류(5)의 수납용의 것으로 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다.
그 후,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관(5B)을 수납공간(18)에 수납하고 나서, 도 7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판부재(12)를 블록 본체(11)의 내부에 장착하고, 필요한 지수 개소의 씰을 행하여 배수로(17)를 형성한다.
그리고, 떼어낸 덮개부재(13)를 블록 본체(11)의 상단 개구부에 되돌리는 것에 의해,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홈 블록(1)에 대한 단면 폐색이 완료한다.
또한, 그 후는, 예를 들면 케이블 박스(34)(도 9 참조)로부터 보호관(5B)에 케이블(5A)을 삽입 통과시켜, 케이블(5A)을 측홈 블록(1)의 배수방향을 따라서 부설하면 된다.
다만, 이 제3 공법의 경우도, 저판부재(12)를 장착하기 전(도 7의 (b)의 상태)에, 보호관(5B)과 함께 혹은 보호관(5B) 없이, 케이블(5A)을 수납공간(18)에 수납해도 된다.
[박스부 구간의 구성 부재]
도 8의 (a) ~ 도 8의 (d)는 박스부 구간(4)(도 1 참조)의 구성 부재인 변경 블록(31)과 집수 박스(32)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의 (a)는 변경 블록(31)과 집수 박스(32)의 평면도, 도 8의 (b)는 방향변경부재(33)의 사시도, 도 8의 (c)는 집수 박스(32)의 종단면도, 도 8의 (d)는 변경 블록(31)과 집수 박스(32)의 횡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 블록(31)은 측홈 블록(1)의 블록 본체(11)와 동일한 횡단면 형상의 블록 본체(35)와, 저판부재(12)와 동일한 단면 형상의 저판부재(36)를 구비하고 있다.
블록 본체(35)의 내부에 저판부재(36)를 장착하면, 내부가 상부 공간(37)과 하부 공간(38)의 상하 2단으로 구획되지만, 이 경우, 상부 공간(37)은 측홈 블록(1)의 배수로(17)와 동일한 단면 형상이 되고, 하부 공간(38)은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과 동일한 단면 형상이 된다.
따라서, 변경 블록(31)을 임의의 측홈 블록(1)의 단부에 동심 모양으로 접속하면,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은 측홈 블록(1)의 배수로(17)에 연통하고, 하부 공간(38)은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에 연통한다.
변경 블록(31)의 블록 본체(35)에는 그 도로 중앙 측의 측벽부에 배수구(39)가 형성되어 있고,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에는 상부 공간(37)으로 유입한 배수를 그 배수구(39)로 유도하기 위한 방향변경부재(33)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방향변경부재(33)는, 예를 들면,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4분의 1둘레분의 오목 만곡면을 가지는 블록체 또는 판재로 이루어지고, 그 오목 만곡면의 곡률 반경은 상부 공간(37)의 단면 폭에 대략 상당하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 방향변경부재(33)는 상기 오목 만곡면을 상부 공간(37)의 입구와 배수구(39)의 쌍방으로 바라보게 한 상태에서 상부 공간(37)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8 중의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수가 상부 공간(37)의 입구로부터 유입하면, 오목 만곡면에 맞닿아 도로 중앙 측에 90도 방향 변환하여, 배수구(39)에 이르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변경 블록(31)을 측홈 블록(1)의 단부에 접속하면,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은 측홈 블록(1)의 배수로(17)로부터 유입한 도로 종단방향으로 흐르는 배수를 방향변경부재(33)에 의해서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것에 대해서, 변경 블록(31)의 하부 공간(38)의 경우는 종단방향으로 곧바로 연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방향변경부재(33)가 마련되지 않으므로, 수납공간(18)의 내부의 케이블류(5)를 굴곡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집수 박스(32)는 박스 본체(40)를 구비한다. 박스 본체(40)의 형상 및 치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변경 블록(31)의 블록 본체(35)와 대략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또한, 그 블록 본체(35)보다도 길이방향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이 박스 본체(40)의 측벽부에는 집수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집수구(41)와 배수구(39)가 합치하도록, 박스 본체(40)와 블록 본체(35)의 측벽부끼리가 서로 중합 모양으로 접속된다.
이 때문에, 상부 공간(37)에서 도로 중앙 측으로 방향 변환한 배수는 집수구(41)를 통과하여 집수 박스(32) 내의 집수 공간에 일단 저장되게 된다.
또한, 도 8의 (a)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변경 블록(31)의 블록 본체(35)와 집수 박스(32)의 박스 본체(40)의 상단 개구부에는 그레이팅(grating)이 끼워 넣어져 있지만, 통상의 콘크리트 덮개를 그 상단 개구부에 끼워넣기로 해도 된다.
[박스부 구간의 구성예]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변경 블록(31)과 집수 박스(32)를 이용한 박스부 구간(4)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중, 도 9의 (a)는 케이블 박스(34)가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박스부 구간(4)의 구성예에서는, 측홈 구간(3)의 종단부의 측홈 블록(1)에 변경 블록(31)이 접속되고, 그 변경 블록(31)에 다시 케이블 박스(3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케이블 박스(34)는, 이른바 공동홈 특수부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핸드 홀 혹은 맨홀 상당의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 케이블 박스(34)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전주를 마련하거나, 박스 내부에 통신용의 중계장치나 트랜스를 마련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다.
측홈 블록(1), 변경 블록(31) 및 케이블 박스(34)는 모두 그 폭방향 외측 가장자리를 관민 경계선(B)과 일치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집수 박스(32)는 변경 블록(31)의 도로 중앙 측(도 9의 하측)에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배수설비에 의하면,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변경 블록(31)이 측홈 블록(1)의 배수로(17)에 연통하고 또한 그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37)을 가지므로,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공간(37)으로부터의 배수를 집수하는 집수 박스(32)를 측홈 구간(3)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집수 박스(32)가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과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집수 박스(32)를 설치하는 구간에서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어,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배수설비에 의하면,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위치하는 변경 블록(31)이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에 연통하고 또한 케이블류(5)를 굴곡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하부 공간(38)을 가지므로, 도 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공간(38)을 통과하는 케이블류(5)를 받아들이는 케이블 박스(34)를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측홈 블록(1) 내의 케이블류(5)를 변경 블록(31)의 하부 공간(38)을 통과하여 굴곡시키지 않고 케이블 박스(34)까지 연장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박스(34)를 설치하는 구간에서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어,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향변경부재(33)는 측홈 구간(3)으로부터의 배수를 집수 박스(32)에 가능한 한 부드럽게 유도함으로써, 측홈 구간(3)의 종단부에 쓰레기나 오니이 모이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반드시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에 마련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9의 (b)는 케이블 박스(34)가 없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한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박스부 구간(4)의 구성예에서는, 측홈 구간(3)의 종단부의 측홈 블록(1)에 변경 블록(31)만이 접속되고, 이 변경 블록(31)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한 상태로 집수 박스(3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의 (b)의 경우도, 집수 박스(32)가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과 간섭하지 않게 되므로, 집수 박스(32)를 설치하는 구간에서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어,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9의 (b)의 구성예에서는, 좌우의 각 측홈 구간(3, 3)으로부터 각각 변경 블록(31)을 향하여 아래로 흐르는 배수를 각각 집수 박스(32)로 유도하기 위해,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은 각 측홈 구간(3, 3)의 배수로(17)에 연통하고 있어, 당해 상부 공간(37)에 방향변경부재(33)가 마련되지 않는다.
또, 도 9에서, 부호 42는 집수 박스(32)에 접속된 횡단 배수관이며, 이 배수관(42)은, 예를 들면 상기 합류식 하수관(6)(도 1 참조)으로 통해져 있다. 또, 부호 43은 케이블 박스(34)로부터 분기(分岐)하여 횡단방향으로 연장하는 보호관을 나타내고 있다.
[박스부 구간의 변형예]
도 10은 박스부 구간(4)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선 공동홈을 구성하는 측홈 블록(1)이 배수로(17)를 단면 상부에 가지고 또한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단면 하부에 가진다. 이러한 상하 2단 구조의 측홈 블록(1)으로 구성되는 측홈 구간(3)에 집수 박스(32)나 케이블 박스(34)를 연결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수 박스(32)를 종래대로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배치하고, 케이블 박스(34)를 측홈 구간(3)의 도로 중앙 측(도 10의 하측)에 오프셋시켜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의 측홈 블록(1)은 블록 본체(11) 내의 저부 측이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으로 되어 있으므로, 측홈 블록(1) 이상의 깊이의 집수 박스(32)를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배치하면, 집수 박스(32)에 의해서 수납공간(18)이 분단되게 된다.
따라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수 박스(32)의 설치구간에 대해서는,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켜 부설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서는 측홈 블록(1)의 측벽부(14)를 천공해야 하여,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된다.
또한, 수납공간(18)과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얕은 집수 박스(32)를 채용하면 상기의 문제는 생기지 않지만, 이것에서는 소망의 용량을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케이블 박스(34)를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하여 배치하면,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이 케이블 박스(34)의 내부공간과 연통하지 않게 되므로, 이 경우도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켜 부설할 필요가 있어,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이 매우 번잡하게 된다.
이것에 대해서, 도 9의 배수설비에서는,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37)과, 케이블류(5)가 곧바로 통과 가능한 하부 공간(38)을 가지는 변경 블록(31)을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접속하고, 그 변경 블록(31)의 상부 공간(37)에 연통하는 집수 박스(32)를 측홈 구간(3)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하여 배치하고 있으므로, 용량이 충분히 큰 집수 박스(32)를 채용해도, 측홈 블록(1)의 수납공간(18)이 분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집수 박스(32)의 설치구간에 있어서,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어져,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9의 배수설비에서는,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37)과, 케이블류(5)가 곧바로 통과 가능한 하부 공간(38)을 가지는 변경 블록(31)을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접속하고, 이 변경 블록(31)의 하부 공간(38)에 연통하는 케이블 박스(34)를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측홈 블록(1) 내의 케이블류(5)를 하부 공간(38)을 통해서 굴곡시키지 않고 케이블 박스(34)까지 연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박스(34)의 설치구간에 있어서, 케이블류(5)를 측홈 블록(1)의 외부로 우회시킬 필요가 없어져, 케이블류(5)의 부설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도 9의 배수설비와 같이, 변경 블록(31)의 하부 공간(38)에 연통하는 케이블 박스(34)를 측홈 구간(3)의 연장상에 배치하면, 케이블 박스(34)를 관민 경계선(B)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케이블 박스(34)를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하여 배치하는 경우(도 10의 경우)에 비해, 케이블 박스(34)로부터 민지(民地) 측으로의 케이블 부설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케이블 박스(34)의 도로 중앙 측으로의 비어져 나가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도로(2)의 유효한 포장 폭을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덮개부재의 변형예]
도 11은 덮개부재(13)의 변형예를 나타내기 위한 측홈 블록(1)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의 덮개부재(13)는, 덮개 본체(13A)와, 그 상면으로부터 일체로 돌출 마련된 연석(緣石)부(13B ~ 13D)로 이루어진다. 이 연석부(13B ~ 13D)에는 보차도(步車道) 경계부의 연석부(13B)와, 문지름(경사)부의 연석부(13C)와, 보도 올라타기부의 연석부(13D)의 3종류가 있다.
이 중, 보차도 경계부의 연석부(13B)는 차량이 타고 들어가기 불가능한 단면 높이를 가지고, 보도 올라타기부의 연석부(13D)는 그 타고 들어가기 가능한 작은 단면 높이로 되어 있다. 또, 문지름부의 연석부(13C)의 상면은 연석부(13B)의 상면으로부터 연석부(13D)의 상면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도록 문지르는 모양으로 경사져 있다.
[측홈 블록의 변형예]
도 12 및 도 13은 측홈 블록(1)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12의 (a)의 측홈 블록(1)은 블록 본체(11)의 각 측벽부(14)의 내면에 좌우 한 쌍의 브래킷(편지지 모양의 지지부재의 총칭)(61, 61)을 장착하여 단차부를 형성하고, 이 브래킷(61, 61) 사이에 저판부재(12)를 가설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저판부재(12)를 장착하기 위한 단차부(16)를 가지지 않는 통상의 블록 본체(11)에 대해서도, 배수로(17)를 단면 상부에 가지고 또한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단면 하부에 가지는 측홈 블록(1)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블록 본체(11)의 내공 단면의 상부에 배수로(17)를 형성하는 「중저부재」로서는, 상술의 평판 모양의 저판부재(12)뿐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12의 (b) ~ 도 12의 (d) 및 도 13의 (a) ~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여러 가지의 구조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도 12의 (b)에 나타내는 측홈 블록(1)에서는, 중저부재로서, 저판부의 좌우 양가장자리로부터 측판부를 위쪽으로 세워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위쪽 개구 모양의 수로부재(62)를 채용하고 있다.
도 1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수로부재(62)의 저판부를 블록 본체(11)의 양측벽부(14)에 마련한 브래킷(61, 61)에 가설하면, 배수로(17)를 단면 상부에 가지고 또한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단면 하부에 가지는 측홈 블록(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수로부재(62)에 대해서는, 단차부(16)가 측벽부(14)에 일체로 형성된 도 2의 블록 본체(11)에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2의 (c)에 나타내는 측홈 블록(1)에서는, 중저부재로서, 저판부의 좌우 양가장자리로부터 측판부를 위쪽으로 세워 마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각 측판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걸기부(63)를 가지는 수로부재(64)를 채용하고 있다.
이 수로부재(64)의 경우에는, 양걸기부(63, 63)를 블록 본체(11)의 상단부에 걸어 블록 본체(11) 내의 상부에 세팅하는 것에 의해, 배수로(17)를 단면 상부에 가지고 또한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단면 하부에 가지는 측홈 블록(1)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2의 (d)에 나타내는 측홈 블록(1)에서는, 천판부의 좌우 양가장자리로부터 측판부를 아래쪽으로 연장하여 마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쪽 개구 모양의 커버부재(65)를 채용하고 있다.
이 커버부재(65)의 경우에는, 측판부의 하단 가장자리가 블록 본체(11)의 저면에 도달할 때까지 수납하는 것에 의해, 커버부재(65)의 천판부에서 배수로(17)의 저면을 구성하고, 또한, 커버부재(65)의 내부에서 케이블류(5)의 수납공간(18)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블록 본체(11)의 내부에 장착하는 중저부재는 블록 본체(11)의 단면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그 장착에 의해, 상부 측의 배수로(17)와 하부 측의 수납공간(18)에 블록 본체(11)의 내부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측홈 블록의 다른 변형예]
도 13의 (a)는 측홈 블록(1)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3의 (b)는 그 횡단면도이다.
이 측홈 블록(1)은 블록 본체(11)와 그 내공단면의 상부에 끼워넣어진 배수로를 부착한 연석 블록(5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연석 블록(52)은 하부 측의 기초 부분(53)과, 이 기초 부분(53)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연석 부분(54)으로 이루어지며, 기초 부분(53)의 단면 내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단면 원형의 배수 통로(55)가 형성되어 있다.
연석 블록(52)의 기초 부분(53)은 블록 본체(11)의 내공 부분 중 단차부(16)보다 위의 상반 부분과 대략 동일한 단면 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석 부분(54)만이 블록 본체(11)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기초 부분(53)을 블록 본체(11)의 내부로 끼워넣을 수 있다.
또, 이 연석 블록(52)에는 연석 부분(54)의 근본으로부터 배수 통로(55)에 이르는 집수 슬릿(56)이 형성되고, 도로의 표면수는 여기로부터 유입하여 배수 통로(55)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이번 개시한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지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구성과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된다.
1 측홈 블록 2 도로
3 측홈 구간 4 박스부 구간
5 케이블류 11 블록 본체
12 저판부재(중저부재) 13 덮개부재
14 측벽부 15 저벽부
16 단차부 17 배수공간(배수로)
18 수납공간 24 씰부재
25 씰 테이프(연결부재) 31 변경 블록
32 집수 박스 33 방향변경부재
34 케이블 박스 37 상부 공간
38 하부 공간

Claims (11)

  1. 케이블류를 모아서 수납 가능한 전선 공동홈으로서의 기능과, 배수용의 측홈으로서의 기능을 병유(竝有)하는 측홈 블록으로서,
    좌우의 측벽부와 그 하단부끼리를 잇는 저벽(底壁)부를 일체로 가지는, 위쪽이 개방된 블록 본체와,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그 장착에 의해, 상기 블록 본체의 내부공간을 상부 측의 배수공간과 하부 측의 상기 케이블류용의 수납공간으로 구분하는 중저(中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홈 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의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중저부재의 좌우 양가장자리부를 지지하기 위한 단차부가 당해 블록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연장하여 마련되어 있는 측홈 블록.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저부재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단차부 또는 측벽부 내면과의 사이를 수밀(水密)하게 밀봉하는 씰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측홈 블록.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판부재의 배수방향 단부끼리를 수밀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측홈 블록.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부재는 다음의 (a) ~ (d) 중 어느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측홈 블록.
    (a)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상하방향 중도부(中途部)에 가설(架設) 가능한 저판(底板)부재
    (b) 블록 본체의 측벽부의 상하방향 중도부에 가설 가능한 수로부재
    (c) 블록 본체의 상단 개구부에 걸기 가능한 걸기부를 가지는 수로부재
    (d) 케이블류를 내부에 수납 가능한 아래쪽 개구 모양의 개방 단면이며, 블록 본체의 저부에 수납되었을 경우에 배수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천판부를 가지는 커버부재
  6. 도로의 종단방향으로 연속하여 설치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복수의 측홈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측홈 구간과, 상기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측홈 블록에 접속된 1 또는 복수의 변경 블록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변경 블록이 상기 배수공간에 연통하고 또한 그 배수방향을 도로 중앙 측으로 변경하는 상부 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케이블류를 굴곡시키지 않고 통과시킬 수 있는 하부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설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배수를 집수(集水)하는 집수 박스가 상기 측홈 구간의 도로 중앙 측에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배수설비.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공간에 연통하는 케이블 박스가 상기 측홈 구간의 연장상에 배치되어 있는 배수설비.
  9. 다음의 공정(a1) ~ (c1)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a1) 상단이 도로면과 일치하도록 상기 블록 본체를 신규로 매설하는 공정
    (b1)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상기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c1)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10. 다음의 공정(a2) ~ (c2)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a2)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설(旣設)의 상기 블록 본체로부터 상기 중저부재를 떼어내는 공정
    (b2)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상기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c2)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11. 다음의 공정(a3) ~ (b3)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측홈 블록을 이용한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a3)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배수용의 측홈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기설의 상기 블록 본체 내의 저부에 케이블류를 수납하는 공정
    (b3) 상기 블록 본체 내에 상기 중저부재를 장착하는 공정
KR1020137019173A 2010-12-27 2011-11-10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KR201301376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0750 2010-12-27
JP2010290750A JP5065475B2 (ja) 2010-12-27 2010-12-27 側溝ブロックを用いた排水設備
PCT/JP2011/075959 WO2012090596A1 (ja) 2010-12-27 2011-11-10 側溝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排水設備及びケーブル類の地中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7665A true KR20130137665A (ko) 2013-12-17

Family

ID=4638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9173A KR20130137665A (ko) 2010-12-27 2011-11-10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65475B2 (ko)
KR (1) KR20130137665A (ko)
WO (1) WO20120905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4737A (zh) * 2014-09-22 2015-01-21 国家电网公司 路缘石和电力井配套装置
KR102124839B1 (ko) * 2020-01-08 2020-07-07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차단 장치
AT524531B1 (de) * 2021-04-30 2022-07-15 Pichler Alois Tiefbauwerk für das Führen einer Leitung in einer Bodenfläche im Frei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8593B2 (ja) * 2013-12-03 2017-09-20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雨水処理システム
DE202014101152U1 (de) * 2014-03-13 2014-04-30 Birco Gmbh Entwässerungsrinnenelement
JP6353312B2 (ja) * 2014-08-04 2018-07-04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ブロックセットとこれを用いた地中電線路
CN109837962A (zh) * 2019-02-01 2019-06-04 刘海涛 分段式多功能蓄排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939A (ja) * 1985-07-19 1987-01-30 日立造船株式会社 トラフ
JPH02125041A (ja) * 1988-10-31 1990-05-14 Shigeaki Sugiyama 複合ます
JPH0319742U (ko) * 1989-07-06 1991-02-26
JPH0849285A (ja) * 1994-08-04 1996-02-20 Takashi Matsushima 側溝用ダクト
JP2002233019A (ja) * 2000-11-28 2002-08-16 Jiro Kihara 電線類管路
JP4446868B2 (ja) * 2004-11-22 2010-04-07 アーキヤマデ株式会社 溝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94737A (zh) * 2014-09-22 2015-01-21 国家电网公司 路缘石和电力井配套装置
KR102124839B1 (ko) * 2020-01-08 2020-07-07 주식회사 건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우수차단 장치
AT524531B1 (de) * 2021-04-30 2022-07-15 Pichler Alois Tiefbauwerk für das Führen einer Leitung in einer Bodenfläche im Freien
AT524531A4 (de) * 2021-04-30 2022-07-15 Pichler Alois Tiefbauwerk für das Führen einer Leitung in einer Bodenfläche im Frei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0596A1 (ja) 2012-07-05
JP2012136887A (ja) 2012-07-19
JP5065475B2 (ja)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7665A (ko) 측홈 블록과 이것을 이용한 배수설비 및 케이블류의 지중화 방법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JP5660885B2 (ja) 排水設備
JP5836588B2 (ja) 側溝の共同溝化工法
JP5480587B2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に用いる集水桝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7100506A (ja) 集水桝とこれを用いた舗装道路の排水構造
JP5667599B2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ケーブル類の地中化方法
JP6353312B2 (ja) ブロックセットとこれを用いた地中電線路
JP2009155928A (ja) 雨水排水機能を有する歩車道境界部構造物
JP6198593B2 (ja) 雨水処理システム
JP2009249874A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CN109689986A (zh) 用于包括沟槽式排水管的下水道系统的设备
CN112942394A (zh) 一种装配化排水装置及其制作方法
JP2019203261A (ja) 共同溝用埋設部材、および、共同側溝ユニット
KR100755997B1 (ko) 유입수방지구조를 갖춘 맨홀
JP2003253611A (ja) 境界ブロック
CN219840186U (zh) 排水结构及雨水处理系统
JPH11286983A (ja) 多目的街渠構造
JP2013217194A (ja) 側溝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排水設備及びケーブル類の地中化方法
JPS61294042A (ja) 複合機能管路
JP2008303548A (ja) 水路ブロックの溝蓋受枠部の構造及び水路ブロックの溝蓋受枠部材
JP2009068184A (ja) 雨水貯留浸透槽、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及びインフラ管路連結方法
KR20090014932A (ko) 배수관용 배수 유도장치
JP2023003504A (ja) トラフ体及び、該トラフ体を用いたケーブル類の地中化方法
JP2006034184A (ja) 屋上等の基盤緑化用ドレイ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