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74A - 침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침수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74A
KR20200104774A KR1020190102193A KR20190102193A KR20200104774A KR 20200104774 A KR20200104774 A KR 20200104774A KR 1020190102193 A KR1020190102193 A KR 1020190102193A KR 20190102193 A KR20190102193 A KR 20190102193A KR 20200104774 A KR20200104774 A KR 2020010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
blocking plate
vertical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0492B1 (ko
Inventor
남은태
Original Assignee
남은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은태 filed Critical 남은태
Priority to KR102019010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9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침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단플레이트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무패킹부재; 상기 고무패킹부재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플레이트부재; 유입된 물의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부재;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수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보강부재;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보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보강부재;를 마련하여 차단플레이트부재와 고무패킹부재의 밀착에 의해 지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킬 수 있고, 차단플레이트부재를 수직보강부재 및 수평보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단플레이트부재가 견고하게 설치됨에 따라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폭우 및 산사태로 인한 흙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침수 차단장치{Flood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침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주차 공간의 진입로 또는 상가 미닫이문, 반지하 창틀, 지하가게 등에 설치되어 우수가 지하 공간으로 유입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여 지하 주차 공간 또는 지하 공간으로의 침수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침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주자장, 지하도,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의 지하시설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지상에 이들 시설로 출입하기 위한 지하출입구를 설치하여, 이 지하출입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지하시설로 출입하게 된다.
이러한 지하출입구는 이용자들의 출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출입구 바닥의 높이가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장마철에 많은 비가 내리거나 태풍 등으로 집중호우 발생 시 지상의 배수가 원활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우수가 지하출입구 바닥을 넘어서 지하시설 내부로 흘러 들어가 지하시설이 침수되는 일이 매년 되풀이되고 있다.
또한 지선도로(支線道路: access road)는 지역주민의 일상생활에 밀착된 도로로서 도시 내에 있어서는 구획도로라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지선도로는 대개 도로의 폭이 좁고 지역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여름철 홍수기인 7, 8월경에 주간선도로에서 유입된 빗물에 의해서 습관적으로 침수피해가 발생하여 많은 재산 피해나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기후 특성상 여름철 홍수기에 집중적인 호우가 쏟아져 많은 침수피해를 주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대규모의 택지조성, 도로건설 등과 같이 치밀한 도시계획 없이 개발된 시가지화 증대 등으로 물의 집중현상이 크게 변화되어 예상되지 않았던 피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지구의 온난화 등의 환경적 문제로 인해 계절과 관계없이 집중호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고, 상기와 같이 집중 호우가 발생하는 경우, 낮은 지대에 있는 건축물의 지하공간에는 순식간에 빗물이 넘쳐서 미처 배수되지 못한 우수가 출입구를 통해 내부 주차 공간으로 유입되어져 막대한 재산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즉, 집중호우가 발생되어 많은 양의 비가 바닥으로 흐를 경우 우수가 지하 주차장의 출입구를 통하여 경사 진입로를 따라 흘러 들어가고, 지하 주차장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소량의 경우 배수로를 통해 배수되게 되지만, 순간적으로 다량의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 지하 주차장에는 침수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때 별도로 준비된 배수펌프 등을 통해 강제로 배수시키게 된다. 이때, 집중호우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배수펌프를 통해 배출되는 양보다 유입되는 양이 많아 결국 침수되는 문제점 및 침수시 차량은 물론 지하 구조물에 설치된 각종 전기적 설비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침수예방을 위한 차수판은 침수예방을 위하여 출입구가 위치한 벽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차수판넬이 설치되고, 차수판넬의 저면에 방수부재가 접착된 차수판에 있어서, 전면에 위치한 차수판넬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차수판넬의 테두리에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둘레면에 제1,2,3가이드홈이 형성된 프레임 부재, 상기 상/하부 지지프레임과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제1,2,3가이드홈에 보조패킹을 삽입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되, 상기 하부 지지프레임의 바닥면에 위치한 제2가이드홈에 제1결합돌기가 삽입되된다.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의 후면에 위치한 제3가이드홈에 제2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제1,2결합돌기의 일측에는 제1,2수밀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수밀부재 및 상기 좌/우측 지지프레임을 출입구가 위치한 양측 벽면에 밀착 고정시켜 출입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차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차수장치는 평상시 양측 벽체 사이의 차수구역의 바닥에 형성된 차수판 설치홈에 위치되었다가 비상사태시 양측 벽체에 밀착 형성되면서 차수구역을 차단하여 물이 차수구역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차수구역의 바닥과 벽체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수구역을 개폐시키되, 차수구역 개방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폐쇄시키며 바닥과 일직선 상에 위치되고, 차수구역 폐쇄시 상기 차수판 설치홈을 개방시키며 양측 벽체에 밀착되어 차수구역을 폐쇄시키는 차수판,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과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차수판을 회동시켜 차수구역을 폐쇄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개폐고정수단 및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차수판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 및 개방된 상태를 해제시키는 잠금해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고정수단은 일단부가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쇽업쇼버(shock absorber) 및 일단부가 상기 차수판 설치홈의 바닥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유닛과, 일단부가 상기 제1링크유닛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차수판의 하부에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유닛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동관절링크부재를 포함한다.
KR 5635 683 A (MCD ERMOTT.R.M.)1997.06.03. KR10-105775A 1998.04.24. 5쪽3-15줄.도면1
WAL.TON.Hermann. 초고주파 양자이론. 런던:Sweet와Max Well.1973.Voll.2. ISBN5-1234-5678-9.138-192쪽 고성능 컴퓨터 아키텍처에 대한 제 3차 국제 심포지움[on-line].1997.2(검색일:1998.05.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 주차 공간의 진입로 또는 상가 미닫이문, 반지하 창틀, 지하가게 등에 설치되어 우수가 지하 공간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하는 침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하 주차 공간 또는 지하 공간으로의 침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침수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차단플레이트부재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무패킹부재; 상기 고무패킹부재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플레이트부재; 유입된 물의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부재;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수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보강부재;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보강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보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수직보강부재가 결합되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형프레임; 상기 원형프레임에 상기 수직보강부재의 결합봉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형프레임의 일단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는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중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프레임; 상기 중간프레임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는 지면에 매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힌지구멍이 형성된 힌지부; 결합너트에 의해 상기 힌지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수직봉; 상기 결합너트에 의해 상기 제1 수직봉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수직봉; 상기 원형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수직봉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는 상기 제1 수직봉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결합봉; 상기 수직결합봉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봉; 상기 체결봉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봉;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가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봉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 상기 연장봉이 끼워지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지면에 매립되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 상기 고무패킹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수직보강부재의 결합봉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본체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에 의하면, 차단플레이트부재와 고무패킹부재의 밀착에 의해 지하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킬 수 있고, 차단플레이트부재를 수직보강부재 및 수평보강부재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차단플레이트부재가 견고하게 설치됨에 따라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폭우 및 산사태로 인한 흙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무패킹부재(10),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 유입된 물의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부재(30),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봉(46)과, 상기 결합봉(46)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43, 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수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보강부재(40),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보강부재(4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보강부재(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ㅍ의 제1 실시 예에 따른침수 차단장치는 지면에 매립되는 고무패킹부재(10)와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되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지지하는 보강플레이트부재(30), 수직보강부재(40) 및 수평보강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패킹부재(10)는 지하주차장 등의 입구에 매립되게 설치된다. 즉, 고무패킹부재(1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에 매립되어 설치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10)가 지면에 매립됨으로써, 고무패킹부재(10)에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결합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무패킹부재(10)는 대략 'ㅛ'자 형상으로 상기 패킹본체(11)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본체(11)의 양측으로 측면부(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부(12)에는 지면에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구멍(13)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양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일정 높이의 수직부(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평판으로 플레이트본체(21)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본체(21)는 주차장 입구를 차단시킬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플레이트본체(21)는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식이 이루어지지 않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본체(21)에는 수평보강부재(50)가 설치되도록 다수의 구멍(21a)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하부에는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되도록 하부프레임(22)이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상부에는 수직보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원형프레임(2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원형프레임(23)의 일단에는 수직보강부재(40)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원호부(24)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3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3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강플레이트부재(3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프레임(31),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중간을 지지하는 중간프레임(32),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33)과 상기 하부프레임(31)과 상부프레임(33)의 양단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프레임(34)의 일면에는 측면프레임(35)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프레임(35)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구멍(36)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는 수직보강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수직보강부재(4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미사용 시 지면에 매립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수직보강부재(40)는 주차장 입구를 통해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지면에 수평으로 매립되고,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40)는 지면에 매립된 매립봉(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41)와 상기 힌지부(41)에 체결되는 제1 수직봉(43) 및 제2 수직봉(4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부(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41)에는 매립봉(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힌지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41)에는 제1 수직봉(43)이 체결되며, 상기 제1 수직봉(43)이 체결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결합너트(44)가 구비된다. 이러한 결합너트(44)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일측에 힌지부(41)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고, 타측에 제1 수직봉(43)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아울러 상기 제2 수직봉(45)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수직봉(43)과 제2 수직봉(45)은 각각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직봉(43)과 제2 수직봉(45)은 일정 길이를 갖는 결합너트(미도시)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제2 수직봉(45)의 상부에는 결합봉(4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봉(46)과 제2 수직봉(45)은 결합너트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제1 수직봉(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결합봉(51)과 상기 수직결합봉(51)에 교차되게 형성되는 체결봉(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결합봉(51)은 제1 수직봉(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직결합봉(51)에는 체결봉(52)이 교차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봉(52)에는 한 쌍의 너트(53)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52)을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연장봉(54)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연장봉(54)은 보조프레임(55)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프레임(55은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제1 보조프레임(56과 제2 보조프레임(57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제1 보조프레임(56과 제2 보조프레임(57은 힌지(5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보조프레임(56은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며, 제2 보조프레임(57)은 힌지(5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고무패킹부재(10)를 지하주차장의 입구에 설치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되도록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회전 또는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다.
즉,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하부프레임(22)은 고무패킹부재(10)의 수직부(14)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는 침수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보강플레이트부재(30)를 설치하며, 지면에는 수직보강부재(40)의 힌지부(41)를 매립되게 설치한다.
또 상기 수평보강부재(50)의 제1 보조프레임(56)은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한다.
태풍, 강우 등이 내리는 경우, 지하주차장 등이 침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고무패킹부재(10)에 끼워 수직으로 설치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수직보강부재(40) 및 수평보강부재(50)를 설치한다.
상기 수직보강부재(40)는 힌지부(41)에 제1 수직봉(43)을 체결함과 함께 수평보강부재(50)의 수직결합봉(51)을 결합한다.
상기 제1 수직봉(43)의 상측에는 결합봉(46)을 원형프레임(23)에 끼워 결합함과 함께 제2 수직봉(45)을 제1 수직봉(43)에 결합너트(미도시)로 체결하여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체결봉(52)을 차단플레이투재(20)의 구멍(21a)에 끼우며, 상기 체결봉(52)에 체결된 한 쌍의 너트(53)를 플레이트본체(21)의 정면과 배면에 각각 밀착시켜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고무패킹부재(10)와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지하주차장 입구에 설치되어 지하주차장으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켜 줌으로써 지하주차장 등의 침수를 방지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고무패킹부재(10), 차단플레이트부재(20), 보강플레이트부재(30), 수직보강부재(40) 및 수평보강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무패킹부재(10), 보강플레이트부재(30), 수직보강부재(40) 및 수평보강부재(50)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플레이트본체(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일면에는 플레이트본체(21)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21b)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타측에는 플레이트본체(21)를 회전 및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회전프레임(25)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프레임(25)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프레임(25)에는 높이조절너트(25a)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고무패킹부재(10)에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결합되게 지하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무패킹부재(10와 차단플레이트부재(20에 의해 지하주차장의 입구가 수밀되어 지하주차장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하주차장의 침수를 방지하게 된다.
<제3 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차단플레이트투재(20)와 수평보강부재(50)로 이루어진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차단플레이트부재(20)는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26)와 상부플레이트(27) 및 차단막(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6 및 상부플레이트(27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26와 상부플레이트(27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26의 양측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구멍(26a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27의 양측에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구멍(27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차단막(28)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막(28)의 하부에는 하부플레이트(26)에 밀착되도록 지면접촉부(28a)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차단막(28)의 양측에는 상하부플레이트(26, 27)의 볼트구멍(26a, 27a)에 대응되게 고정구멍(28b)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체결봉(61), 상기 체결봉(61)에 체결된 한 쌍의 고정너트(62), 상기 체결봉(6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제1 보조프레임(64)과 제2 보조프레임(6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봉(61)은 한 쌍의 고정너트(62)가 체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체결봉(61)의 양측에는 연장봉(6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보조프레임(64)과 제2 보조프레임(65)은 지면에 매립되는 하부프레임(66)과 상기 하부프레임(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프레임(67) 및 상기 상부프레임(67)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66)은 지면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며, 상기 상부프레임(67)은 힌지(68)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부프레임(67)에는 소정의 높이로 나사산(67a)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67a)에는 연장봉(63)을 고정시키는 너트(67b)가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강우 또는 쓰나미 등에 의해 해안가 도로에 위치한 건물 또는 가정집 등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건물의 외측에는 차단막(28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막(28의 지면접촉부(28a는 지면에 접촉되게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플레이트(27는 상기 차단막(28의 지면접촉부(28a를 지면에 밀착되고, 차단막(28과 하부플레이트(26 및 상부플레이트(27는 건물의 벽면에 고정되어 건물 내부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침수 차단장치는 해안 또는 해안도로를 침범하는 쓰나미 등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게 된다.
<제4 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는 하부플레이트(26) 및 상부플레이트(27)로 이루어진 차단플레이트부재(20)로써,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하부플레이트(26)와 상부플레이트(27)는 건물의 지하 입구에 설치되어 건물의 지하로 유입되는 물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플레이트(26) 및 상부플레이트(27)는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플레이트(26)의 양측에는 각각 볼트구멍(26a)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27)의 둘레에는 볼트구멍(27a)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7)의 중앙에는 개폐도어(27b)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26)와 상부플레이트(27)가 밀폐되도록 고무패킹(27)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하부플레이트(26)는 건물의 지하계단 입구 등에 설치되어 건물의 지하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제5 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 실시 예에 따른 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침수 차단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사용되는 역류차단부재(70)로써, 도 12(a)는 화장실 하수구, 소변기, 싱크대, 욕조 등에 설치되어 역류로 인한 침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도 12(b)는 지하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역류로 인한 침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12(a)에서와 같이, 상기 역류차단부재(70)는 파이프(71)의 연결 부위에 확관부(72)가 형성되고, 상기 확관부(72)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받침돌기(73)가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돌기(73)는 대략 십(十)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72)의 내부에는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볼(74)이 설치된다.
상기 볼(74)은 부력에 의해 부유되도록 내부에 공기가 포함되며, 상기 볼(74)은 확관부(72) 내측으로 돌출된 받침돌기(73)에 안착되어 파이프(71)의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내린 물이 배수되게 한다.
한편 볼(74)은 파이프(71)의 하부에서 물이 차오르게 되면, 상기 볼(74은 확관부(72의 상측으로 부유하게 되고, 상기 부유된 볼(74은 상부에 설치된 파이프(71의 하단에 접촉된다.
이에 파이프(11는 상승된 볼(74에 의해 차단되며, 이에 역류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를 방지하게 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11에는 볼(74이 설치되도록 확관부(72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72의 일측에는 수평관(75이 설치되고, 상기 수평관(75에는 볼(74이 출입하도록 볼(74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볼(74)에는 볼(74)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연결줄(76)이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저지대 아파트와 1층 지하로 내려가는 문, 1층 가구수대로 적용, 각 문마다 차단막을 시공할 수 있다. 또한, 1층 출입구에 도어의 여닫힘 상태에 따라 옥내 또는 옥외 차단막 설치가 용이할 경우 모든 시공은 출입구 하나로 종결될 수 있다.
10: 고무패킹부재 11: 패킹본체
12: 측면부 13: 볼트구멍
14: 수직부
20: 차단플레이트부재 21: 플레이트본체
22: 하부프레임 23: 원형프레임
24: 원호부 25: 회전프레임
26: 하부플레이트 27: 상부플레이트
28: 차단막
30: 보강플레이트부재 31: 하부프레임
32: 중간프레임 33: 상부프레임
34: 수직프레임 35: 측면프레임
36: 볼트구멍
40: 수직보강부재 41: 힌지부
42: 힌지구멍 43: 제1 수직봉
44: 결합너트 45: 제2 수직봉
46: 결합봉
50: 수평보강부재 51: 수직결합봉
52: 체결봉 53: 너트
54: 연장봉 55: 보조프레임
56: 제1 보조프레임 57: 제2 보조프레임
58: 힌지
61: 체결봉 62: 고정너트
63: 연장봉 64: 제1 보조프레임
65: 제2 보조프레임 66: 하부프레임
67: 상부프레임 68: 힌지
70: 역류차단부재 71: 파이프
72: 확관부 73: 받침돌기
74: 볼

Claims (6)

  1.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지면에 매립되게 설치되는 고무패킹부재(10);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는 차단플레이트부재(20);
    유입된 물의 수압에 견디는 강성을 갖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플레이트부재(30);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봉(46)과, 상기 결합봉(46)의 저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수직봉(43, 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지면에 수납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직보강부재(40);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상기 수직보강부재(40)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보강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는 상기 수직보강부재(40)가 결합되도록 상기 차단플레이트본체(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형프레임(23);
    상기 수직보강부재(40)의 결합봉(46)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원형프레임(23)의 일단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호부(24);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30)는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1);
    상기 하부프레임(31)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중간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중간프레임(32);
    상기 중간프레임(32)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어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3);
    상기 하부프레임(31)과 상기 상부프레임(33)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부재(40)는 지면에 매립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힌지구멍(42)이 형성된 힌지부(41);
    결합너트(44)에 의해 상기 힌지부(41)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 수직봉(43);
    상기 결합너트에 의해 상기 제1 수직봉(43)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 수직봉(45);
    상기 원형프레임(23)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수직봉(43)의 상단에 형성되는 결합봉(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보강부재(50)는 상기 제1 수직봉(43)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수직결합봉(51);
    상기 수직결합봉(5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체결봉(52);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부재(30)가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봉(52)에 체결되는 한 쌍의 너트(53);
    상기 체결봉(52)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봉(54);
    상기 연장봉(54)이 끼워지도록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지면에 매립되어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프레임(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본체(21);
    상기 고무패킹부재(10)에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프레임(22);
    상기 수직보강부재(40)의 결합봉(46)이 결합되도록 상기 플레이트본체(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원형프레임(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부재(20)는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형성되는 하부플레이트(26);
    상기 소정의 길이와 높이로 형성되는 상부플레이트(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차단장치.
KR1020190102193A 2019-08-19 2019-08-19 침수 차단장치 KR10217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93A KR102170492B1 (ko) 2019-08-19 2019-08-19 침수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93A KR102170492B1 (ko) 2019-08-19 2019-08-19 침수 차단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839 Division 2019-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74A true KR20200104774A (ko) 2020-09-04
KR102170492B1 KR102170492B1 (ko) 2020-10-28

Family

ID=72470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193A KR102170492B1 (ko) 2019-08-19 2019-08-19 침수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735B1 (ko) * 2022-12-23 2024-01-3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개폐식 슬라이딩 차수문의 락킹장치
KR20240038517A (ko) 2022-09-16 2024-03-25 허종석 반지하 침수 시 탈출용 출입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5683A (en) 1995-01-04 1997-06-03 Calcomp Technology, Inc. Dynamic pressure adjustment of a pressure-sensitive pointing device for a digitizer
JP2010077685A (ja) * 2008-09-26 2010-04-08 Shibata Ind Co Ltd 浸水防止構造
KR20140013367A (ko) * 2012-07-23 2014-02-05 최동선 침수방지장치
KR101420405B1 (ko) * 2013-12-03 2014-07-17 박영태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JP2018150705A (ja) * 2017-03-10 2018-09-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KR20180133707A (ko) * 2017-06-07 2018-12-17 김병우 차단판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5683A (en) 1995-01-04 1997-06-03 Calcomp Technology, Inc. Dynamic pressure adjustment of a pressure-sensitive pointing device for a digitizer
JP2010077685A (ja) * 2008-09-26 2010-04-08 Shibata Ind Co Ltd 浸水防止構造
KR20140013367A (ko) * 2012-07-23 2014-02-05 최동선 침수방지장치
KR101420405B1 (ko) * 2013-12-03 2014-07-17 박영태 설치보관·수밀성이 우수한 다용도 스마트 블럭조립형 차수장치
JP2018150705A (ja) * 2017-03-10 2018-09-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物内への浸水防止装置
KR20180133707A (ko) * 2017-06-07 2018-12-17 김병우 차단판 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AL.TON.Hermann. 초고주파 양자이론. 런던:Sweet와Max Well.1973.Voll.2. ISBN5-1234-5678-9.138-192쪽
고성능 컴퓨터 아키텍처에 대한 제 3차 국제 심포지움[on-line].1997.2(검색일:1998.05.03)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8517A (ko) 2022-09-16 2024-03-25 허종석 반지하 침수 시 탈출용 출입문
KR102630735B1 (ko) * 2022-12-23 2024-01-30 케이비엔지니어링(주) 개폐식 슬라이딩 차수문의 락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92B1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209B1 (en) Automatic flood gate
KR102170492B1 (ko) 침수 차단장치
JP6574657B2 (ja) 雨水排水貯留設備
US20170183896A1 (en) Drain track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US11613901B2 (en) Flood-resistant building equipped with flood barrier, and renovation method
JP2003027855A (ja) フロート形防水装置
JP2001214425A (ja) 建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ゲート及びそのロック装置
BRPI0910344B1 (pt) Aparelho de drenagem, grade de drenagem e método para instalação de um aparelho de drenagem
JP7467228B2 (ja) 配管構造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US10344495B2 (en) Flood defense system
WO2021125172A1 (ja) 耐洪水塀を備えた耐水害施設
JP3243330U (ja) 既設建築物の浸水防止構造
GB2371324A (en) Pivotable flood barrier
JP2619605B2 (ja) 防潮装置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JPH0886119A (ja) 浸水防壁工法
KR200262733Y1 (ko) 부력봉을 이용한 역류방지용 콘크리트 박스 자동수문
BR112021015497A2 (pt) Parede de corte de água multiplex
KR20210051327A (ko) 하수구의 악취 저감 장치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KR200426719Y1 (ko) 터널형 빗물 침투 및 저류 시스템
KR200378305Y1 (ko) 지하 주차장 램프용 방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