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1031B1 -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 Google Patents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1031B1
KR100531031B1 KR1020050030321A KR20050030321A KR100531031B1 KR 100531031 B1 KR100531031 B1 KR 100531031B1 KR 1020050030321 A KR1020050030321 A KR 1020050030321A KR 20050030321 A KR20050030321 A KR 20050030321A KR 100531031 B1 KR100531031 B1 KR 10053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groove
drainage
dra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철
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조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3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1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1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마와 같은 우기에 도로보다 낮게 위치하는 공간으로 우수 또는 각종 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가 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침수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에 관한 것으로, 실내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문틀을 구비한 문; 상기 문의 전방지하에 매설되며,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을 갖는 가이드홈체; 상기 가이드홈체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문을 덮는 충분한 면적으로 된 평판형상을 이루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부력부재가 구비된 방수패널; 상기 문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 및 가이드홈체와 연통되되, 상기 가이드홈체의 하단이 바닥부로부터 소정높이에 배치된 유입구를 통해 연통되는 집수조; 상기 유입구의 위치보다 낮은 상기 집수조의 하단에 연통되어, 집수조에 집수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 내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배수구멍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수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을 유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되되,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만이 상기 배수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구멍을 밀폐하는 가로막과 이 가로막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맞닿아 상기 개폐도어이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수문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Drain-line protecting inundation and flowing backward to building}
본 발명은 장마와 같은 우기에 도로보다 낮게 위치하는 공간으로 우수 또는 각종 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우수 또는 하수가 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침수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특정기간에 집중되는 많은 강우량은 침수피해를 동반한다. 특히, 지면보다 낮게 위치하는 공간에서는 공공배수시설이 수용하지 못한 다량의 우수 및 하수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침수에 의한 피해가 커지게 된다.
이러한 피해발생을 막기 위해 국가적으로 배수량 증가를 위한 공공배수시설의 확충을 꾀하고 있지만, 이러한 확장사업은 초기비용에 대한 부담이 커 쉽게 진행할 수 없을 뿐만아니라 그 실효성 또한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매년 침수피해가 빈번한 지역의 주택만 침수가 일어나게 되는 문제를 낳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면으로부터 다소 낮게 위치되는 실내에 문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의 침수를 막고, 상기 우수 및 하수의 배수를 원활히 수행하여 실내 침수발생을 막는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문틀을 구비한 문;
상기 문의 전방지하에 매설되며,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을 갖는 가이드홈체;
상기 가이드홈체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문을 덮는 충분한 면적으로 된 평판형상을 이루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부력부재가 구비된 방수패널;
상기 문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 및 가이드홈체와 연통되되, 상기 가이드홈체의 하단이 바닥부로부터 소정높이에 배치된 유입구를 통해 연통되는 집수조;
상기 유입구의 위치보다 낮은 상기 집수조의 하단에 연통되어, 집수조에 집수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 및,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 내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배수구멍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수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을 유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되되,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만이 상기 배수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구멍을 밀폐하는 가로막과 이 가로막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벽과 맞닿아 상기 개폐도어이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수문;
으로 이루어진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수라인에 있어서,
상기 문틀은, 그 전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방수패널은, 그 후면에 상기 고정레일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레일형 돌기가 종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누수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이 설치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라인의 일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100)은, 실내를 개폐하는 도어(11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문틀(112)을 구비한 문(110); 상기 문(110)의 전방지하에 매설되며,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홈(142)을 구비하고,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141)을 갖는 가이드홈체(140); 상기 가이드홈체(140)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142)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문(110)을 덮는 충분한 면적으로 된 평판형상을 이루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41)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12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부력부재(122)가 구비된 방수패널(120); 상기 문(110)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130); 상기 배수구(130) 및 가이드홈체(140)와 연통되되, 상기 가이드홈체(140)의 하단이 바닥부로부터 소정높이에 배치된 유입구(151)를 통해 연통되는 집수조(150); 상기 유입구(151)의 위치보다 낮은 상기 집수조(150)의 하단에 연통되어, 집수조(150)에 집수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160); 및, 격벽(175 ; 도 4 참조)으로 구획된 다수의 배수구멍(172 ; 도 4 참조)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160) 내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71 ; 도 4 참조)과, 상기 배수구멍(172)에서 회전축(174a ; 도 4 참조)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수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172)을 유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174 ; 도 4 참조)로 되되, 상기 개폐도어(174)는 상기 집수조(150)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만이 상기 배수구멍(172)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구멍(172)을 밀폐하는 가로막(174c ; 도 4 참조)과 이 가로막(174c)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격벽(175)과 맞닿아 상기 개폐도어(174)이 일방향으로만 회동되도록 하는 스토퍼(174b)로 이루어진 수문(170 ; 도 4 참조)으로 이루어진다.
집중 호우에 의한 실내 침수는 출입이 이루어지는 현관(이하 문)을 통해 주로 발생된다. 하지만, 집중호우가 있을 때마다 별도의 구동장치를 이용해 문(110)을 밀폐시키는 것은 설치 및 관리면에 있어서 비경제적이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100)은 집중호우로 불어난 하수량에 따라 부력으로 승강되는 방수패널(120)을 이용하여 하수의 실내침수를 막도록 된다.
상기 방수패널(120)은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홈(142)을 갖는 가이드홈체(140)로 입설되어 상기 가이드홈(14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체(140)는 문(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문(110)의 하단부터 상방이동하면서 침수를 막는다.
한편, 상기 방수패널(120)과 문(110) 사이의 틈새로 하수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110)을 구성하는 문틀(112)의 양측에 종방향으로 한 쌍의 고정레일(112a)이 형성되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방수패널(120)의 배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레일형 고정돌기(1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레일형 고정돌기(123)는 상기 고정레일(112a)과 맞물려 이를 따라 방수패널(120)의 승강을 가이드하고, 방수패널(120)과 문틀(112)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매꿔 하수의 침투를 막는다.
이외에도, 상기 가이드홈체(140) 내 가이드홈(142)에는 이곳으로 삽입되는 방수패널(12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잡아 유지하면서 이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1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수패널(12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41)로 맞물리는 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문(110)의 전방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집수조(150)가 매설되며, 이 집수조(150)는 지면에 개구된 배수구(130)와 연통된다. 즉, 상기 배수구(130)는 강수로 인해 문(110) 근처로 집중된 우수 및 하수를 배수시키면서 집수조(150)로 포집한다. 한편, 상기 집수조(150)는 가이드홈(141)와 유입구(151)로 연통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151)는 집수조(150)의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51)는 가이드홈(141)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방수패널(120) 하단에는 부력부재(122)가 더 포함된다. 상기 부력부재(122)는 방수패널(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충분한 부력을 갖는 재질 및 구조로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문(110)쪽으로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는 1차로 상기 배수구(130)를 통해 집수조(150)로 모여 배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41)과 집수조(150)를 연통하는 유입구(151)가 집수조(15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높이에 위치되므로, 배수되는 우수 및 하수가 유입구(151)를 지나 상기 가이드홈(141)으로 유입되지는 못한다. 따라서, 평균적인 강우량으로는 방수패널(120)이 승강되지 않는다. 한편, 집중호우로 인해 상기 집수조(150)로 배수되는 우수 및 하수가 증가될 경우에는 집수조(150)에 집수된 우수 및 하수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상기 유입구(151)를 통해 가이드홈(141)으로도 우수 및 하수가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우수 및 하수는 부력부재(122)에 영향을 미쳐 상기 방수패널(120)에 부력을 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방수패널(120)은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강수량이 과하여 상기 집수조(150) 내 우수 및 하수의 수위가 증가할 경우에는 가이드홈(141) 내 수위도 함께 높아지면서 상기 부력부재(122)의 승강높이를 키우게 된다.
한편, 상기 집수조(150)에 집수된 우수 및 하수는 집수조(150)의 하단부에 위치된 배수관(160)을 통해 외부 공공배수시설로 배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문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배수관(160)은 집수조(150)와 외부 공공배수시설을 연통하므로, 강수량이 많아 상기 공공배수시설이 공급되는 하수를 수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하수가 배수관(160)을 통해 집수조(150)로 역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160)에는 수문(17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수문(170)은 하수가 통과하는 다수의 배수구멍(172)을 갖는 고정프레임(171)과, 이 배수구멍(172)를 개폐하는 개폐도어(174)로 구성되는데, 상기 개폐도어(174)는 유력으로 여닫히는 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개폐도어(174)는 개폐도어(174)의 상하면에 편중되게 위치된 회전축(174a)을 매개로 여닫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개폐도어(174)는 집수조(150)로부터 배수되는 하수의 유력으로만 열리고, 그 역방향으로는 배수구멍(172)을 폐구하도록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개폐도어(174)는 배수구멍(172)를 막는 가로막(174c)과 상기 가로막(174c)에 수직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배수구멍(172)를 구획하는 격벽(175)과 맞물리도록 된 스토퍼(174b)를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조(150)로부터 하수가 배출되면 상기 개폐도어(174)는 무리없이 회동되어 배수구멍(172)을 개구하고(a도면), 그 역방향으로 하수가 유입될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174)가 유력으로 회동되면서 배수구멍(172)을 폐구시키는 한편 상기 스토퍼(174b)가 격벽(175)과 맞물려 집수조(150) 쪽으로는 회동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수문(170)은 공공배수시설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하수 및 우수가 배수관(160)을 따라 집수조(150) 쪽으로 역진행하여, 집수조(150)의 배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131'은 배수망으로, 상기 배수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의 크기를 걸러낸다.
미설명된 인출부호 '173'은 회전축 고정구멍으로, 상기 개폐도어(174)의 회전축(174a)과 맞물려 상기 개폐도어(174)가 회동가능하게 상기 고정프레임(171)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집중호우 시 실내 침수를 야기하는 우수 및 하수의 주요 경로인 문에 강수량에 따라 승강되는 방수패널이 설치되어서, 우수 및 하수의 실내유입을 막는 한편, 상기 방수패널의 승강을 위해 별도로 구동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는 물론 관리비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이 설치되어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라인의 일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라인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문의 작동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배수라인 110 ; 문
111 ; 도어 112 ; 문틀
112a ; 고정레일 120 ; 방수패널
121 ; 홈 122 ; 부력부재
123 ; 레일형 돌기 130 ; 배수구
131 ; 배수망 140 ; 가이드홈체
141 ; 가이드레일 150 ; 집수조
151 ; 유입구 160 ; 배수관
170 ; 수문 171 ; 고정프레임
172 ; 배수구멍 173 ; 회전축 고정구멍
174 ; 개폐도어 175 ; 격벽

Claims (2)

  1. 실내를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그 전면에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고정레일을 구비하는 문틀을 갖는 문; 상기 문의 전방지하에 매설되며, 상면이 개구된 가이드홈을 구비하고, 내측면에는 종방향을 따라 돌출된 가이드레일을 갖는 가이드홈체; 상기 가이드홈체의 상면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문을 덮는 충분한 면적으로 된 평판형상을 이루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홈과, 상기 가이드홈체 내 채워진 물로부터 부력을 받도록 하단에 구비되는 부력부재 및, 후면에 상기 고정레일과 유동가능하게 맞물리도록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형 돌기를 구비하는 방수패널; 상기 문의 전방에 형성되는 배수구; 상기 배수구 및 가이드홈체와 연통되되, 상기 가이드홈체의 하단이 바닥부로부터 소정높이에 배치된 유입구를 통해 연통되는 집수조; 및, 상기 유입구의 위치보다 낮은 상기 집수조의 하단에 연통되어, 집수조에 집수된 하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에 있어서,
    격벽으로 구획된 다수의 배수구멍을 가지며 상기 배수관 내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배수구멍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유수에 따라 상기 배수구멍을 유동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도어로 되되, 상기 개폐도어는 상기 집수조로부터 배수되는 하수만이 상기 배수구멍들을 통과할 수 있도록 배수구멍들을 밀폐하는 가로막과, 상기 회전축에 인접하는 상기 가로막의 일측부에 수직으로 돌출되어서 가로막의 회동 시 상기 격벽과 맞닿아 걸려 상기 집수조 쪽으로는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로 된 수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2. 삭제
KR1020050030321A 2005-04-12 2005-04-12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KR100531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21A KR100531031B1 (ko) 2005-04-12 2005-04-12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321A KR100531031B1 (ko) 2005-04-12 2005-04-12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1031B1 true KR100531031B1 (ko) 2005-11-24

Family

ID=3730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21A KR100531031B1 (ko) 2005-04-12 2005-04-12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1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305A (ko) * 2012-05-16 2013-11-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빗물 유입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8305A (ko) * 2012-05-16 2013-11-26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빗물 유입 방지장치
KR102105047B1 (ko) * 2012-05-16 2020-04-27 레인보우스케이프 주식회사 빗물 유입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209B1 (en) Automatic flood gate
US20110268506A1 (en) Flood defens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83896A1 (en) Drain track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0973158B1 (ko) 조립식 우수 저장시설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KR102170492B1 (ko) 침수 차단장치
GB2464959A (en) Flood defence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289025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2036733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차수장치
KR100676369B1 (ko) 건축단지용 맨홀의 역류방지시설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0531027B1 (ko) 건축물 내 침수방지 및 배수의 역류를 차단하는 건축용배수시스템
JP4549932B2 (ja) 排水溝蓋兼用の防潮構造
KR102091413B1 (ko) 자동으로 기립되는 무동력 수문구조체 및 복수의 수문구조체를 연결하는 수문구조체 연결장치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KR100812252B1 (ko) 무전원형 수문 개폐식 맨홀
KR101707671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구조
KR20170081378A (ko) 저층수 배출용 배수도어를 갖춘 수문배수장치
KR101382174B1 (ko) 지하 환기구 차수장치
JPH0886119A (ja) 浸水防壁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