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861B1 -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861B1
KR102491861B1 KR1020220081187A KR20220081187A KR102491861B1 KR 102491861 B1 KR102491861 B1 KR 102491861B1 KR 1020220081187 A KR1020220081187 A KR 1020220081187A KR 20220081187 A KR20220081187 A KR 20220081187A KR 102491861 B1 KR102491861 B1 KR 102491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oor
blocking
water blocking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비 filed Critical (주)에스엔비
Priority to KR102022008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other dangerous influences, e.g. tornadoes, floods
    • E04H9/145Floo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54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는 차수구역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차수구역에 설치된 구조물들의 벽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어 차수구역을 개폐하는 차수문; 및 구조물 및 차수문에 설치되되 차수문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이동유닛은 차수문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 구조물에 설치되되,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와 제1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구동모터를 구비한 제1 이동부; 및 구조물에 설치되되,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와 제2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핸들부를 구비한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제1 피니언기어와 제2 피니언기어는 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SLIDING RETRACTABLE TYPE WATER-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기상이변으로 인해 빈번하게 국지성, 돌발성, 게릴라 성 폭우 및 집중 호우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인해 강이나 하천이 범람하면서 저지대의 주택이나 각종 건물 및 시설물이 짧은 시간에 침수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손실 등 피해가 해마다 반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강이나 하천 등의 수변 또는 각종 건물 지하의 출입구 등에 차수문이 설치된다.
차수문은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의 기상이변과 하수의 역류로 인한 침수피해와 상습침수지역인 인적,물적 피해를 막기 위한 구조물로서, 기존 건축물의 개구부기능(출입구, 비상구, 채광, 환기)에 높은 수압을 견디며 침수방지 기능을 추가한 장치이다. 주로 지하철역사 내부 연결통로 및 환승연결 통로와 지하철 및 건물의 외부 출입구, 해군 군부대의 침수위험이 있는 중요시설물 등에 많이 쓰인다.
또한 차수문은 물 또는 바닷물에도 녹슬지 않는 내식성, 바람과 수압에 견디는 내구성, 물의 누수를 차단하는 수밀성을 우선하며, 차수효과로서 현장보존 및 인명피해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차수문은 설치되는 공간, 지역적인 특성, 장소에 따라 범람하는 물 수위를 결정하여 그에 따라 차수문 크기와 형태가 각기 달리 설치되어 비상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차수문은 승강식 또는 벽면으로부터 여닫이 타입으로 시공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설계되고 있다.
종래의 여닫이 타입의 차수장치는 실링부재가 부착된 차수문과, 차수문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차수문의 상부에 연결되며 차수문을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최근의 여닫이 타입의 차수장치는 자동으로 차수문을 이동시키도록 하나, 고장 시 또는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수동 방식으로 차수문을 제어할 수 없어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1160호(2013.07.3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동 또는 수동방식으로 차수문을 개폐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수구역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차수구역에 설치된 구조물들의 벽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어 상기 차수구역을 개폐하는 차수문; 및 상기 구조물 및 상기 차수문에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차수문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구동모터를 구비한 제1 이동부; 및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핸들부를 구비한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는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 및 치합해제되도록 타측이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이동부는 일측에 상기 핸들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 및 치합해제되도록 타측이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포스트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장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차수문에 길게 설치되되,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랙기어가 안착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되되, 상기 지지브라켓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수문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차수문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구비한 차수문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유닛은 일측이 상기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차수문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수문의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빗면에 각각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수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차수문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레일에 적재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수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가이드홈의 측벽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밀폐부재; 상기 차수문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제1 밀폐부재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밀폐부재; 및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를 감싸는 사이드 플레이트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3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수구역이 위치한 상기 가이드홈의 측벽에 수평되게 설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차수구역의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밀폐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되되, 상기 차수구역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4 밀폐부재는 상기 차수문의 후방부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차수 플레이트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의해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후방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의해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문의 후방부에 밀착되어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모터에 의한 자동방식 또는 핸들부에 의한 수동방식으로 차수문을 이동시킬 수 있어 차수구역을 개폐함에 있어서 차수문의 운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수문을 이동시키는 동안 차수문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상에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차수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에 의해 차수구역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에 의해 차수구역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치합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부에 의한 차수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치합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부에 의한 차수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에 의해 차수구역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에 의해 차수구역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수문의 전방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치합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이동부에 의한 차수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피니언기어와 랙기어의 치합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이동부에 의한 차수문의 개폐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100)는 차수구역(C)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13)과,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차수구역(C)에 설치된 구조물(110)들의 벽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어 차수구역(C)을 개폐하는 차수문(120)과, 구조물(110) 및 차수문(120)에 설치되어 차수문(120)을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유닛(130)과, 구조물(110)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되어 차수문(120)이 이동되는 동안 차수문(120)을 지지하는 차수문 지지부(1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구조물(110)은 건물 출입구의 양벽체, 강이나 하천 등의 수변을 따라 지중에 매설되며 수평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고 높이방향으로 수직되게 설치된 인공구조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하천 등의 수변을 따라 지중에 매설된 인공구조물을 예를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113)은 차수구역(C)의 바닥면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
차수구역(C)은 강이나 하천 등의 수변, 각종 건물의 출입구, 지하주차 시설의 출입구, 건물 외의 도로나 건물 외곽의 건물로 통하는 출입구, 간선도로 및 이면도로 사이의 경계 등 많은 양의 비에 의해 불어나 빗물 등이 건물 내부 또는 이면도로 등으로 유입이 가능한 통로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100)는 차수구역(C)에 설치되어 차수구역(C)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113)은 차수구역(C)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5)의 내부에 길게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113)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5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120)의 바닥면은 가이드레일(113)에 안착되고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차수문(120)의 바닥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 개의 이동롤러(123)가 마련된다. 이동롤러(123)는 삼각형 단면 형상을 갖는 가이드레일(113)의 양 빗면에 각각 안착되어 구름운동할 수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평상 시 차수구역(C)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차수문(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13)은 장시간 외부환경에 노출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13) 및 가이드레일(113)이 설치된 가이드홈(115)에는 각종 이물질이 적재될 수 있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차수문(120)이 이동될 경우에 차수문(120)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100)는 차수문(120)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이물질 제거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부(125)는 차수문(120)의 하부에 설치되고 이동롤러(123)의 전방에 배치되며 가이드레일(113)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126)을 구비한다. 따라서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이물질 제거부(125)가 가이드레일(113) 및 가이드홈(115)에 적재된 이물질을 사전에 제거하므로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차수문(120)은 차수구역(C)을 고려하여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차수구역(C)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수압을 고려하여 스틸재질, 알루미늄합금,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차수문(120)은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 후 차수문의 전방부가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삽입되고 밀착되어 차수구역(C)을 폐쇄하고(도 1 참조), 차수문(120)이 사이드 플레이트(117)에서 이격되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 차수구역(C)을 개방한다(도 2 참조). 이때 차수문(120)은 이동유닛(130)에 의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130)은 구조물(110) 및 차수문(120)에 설치되어 차수문(120)을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동유닛(130)은 차수문(120)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140)와, 구조물(110)에 설치되며 랙기어(140)에 치합되어 자동방식으로 차수문(120)을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150)와, 구조물(110)에 설치되며 랙기어(140)에 치합되어 수동방식으로 차수문(120)을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제1 이동부(150)에 의한 차수구역(C)의 개폐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의한 차수구역(C)의 개폐는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평상 시에 제1 이동부(150)를 운용하며, 제1 이동부(150)의 고장 시 또는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관리자가 현장에 있을 시에 수동으로 제2 이동부(160)를 운용하여 차수구역(C)을 개폐할 수 있다.
랙기어(140)는 구조물(110)에 대향되는 차수문(120)의 상부 일면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도 4 참조).
차수문(120)에 설치된 랙기어(140)는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며,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의 운용에 따라 차수문(120)은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제1 이동부(150)에 의해 차수문(120)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2 이동부(160)는 랙기어(140)에서 치합해제되고,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차수문(120)이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1 이동부(150)는 랙기어(140)에서 치합해제된다.
제1 이동부(150)는 폭우 등이 예상되는 등의 긴급한 상황에서 관리자 또는 중앙통제실에서 제어가능하다.
제1 이동부(150)는 랙기어(140)에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151)와, 제1 피니언기어(151)에 연결되어 제1 피니언기어(15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2)와, 일측에 구동모터(152)가 결합되고 타측이 구조물(110)의 상부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브라켓(15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이동브라켓(155)의 타측에는 랙기어(14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장공(15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동브라켓(155)을 이동시켜 제1 장공(156)에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
제1 이동브라켓(155)의 일측에 제1 피니언기어(151)가 연결된 구동모터(15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이동브라켓(15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제1 장공(15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1 이동브라켓(155)을 구조물(110)의 상부에 볼트(B)체결하여 제1 피니언기어(151)가 랙기어(140)에 치합되거나 치합해제되게 할 수 있다.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의 치합동작을 살펴보면, 제1 이동브라켓(15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를 치합한 후 제1 이동브라켓(155)의 제1 장공(156)들에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도 6(a) 참조).
그리고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의 치합해제 동작을 살펴보면, 제1 이동브라켓(15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를 치합해제한 후 제1 이동브라켓(155)의 제1 장공(156)들에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도 6(b) 참조).
제1 이동부(150)에 의한 차수구역(C)의 개폐동작을 살펴보면, 도 1, 도 2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50)에 의해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52)에 의한 제1 피니언기어(151)의 회전에 의해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차수구역(C)을 폐쇄하거나, 차수구역(C)을 개방할 수 있다.
제2 이동부(160)는 제1 이동부(150)의 고장 시 또는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 관리자가 현장에서 수동으로 제2 이동부(160)를 운용하여 차수구역(C)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이동부(160)는 랙기어(140)에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161)와, 제2 피니언기어(161)에 연결되어 제2 피니언기어(161)를 회전시키는 핸들부(162)와, 일측에 핸들부(162)가 결합되고 타측이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 포스트(171)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브라켓(16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 이동브라켓(165)의 타측에는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20)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장공(166)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이동브라켓(155)을 이동시켜 제1 장공(156)에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지지브라켓(163)을 이동시켜 제2 장공(166)에 포스트(171)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
제2 이동브라켓(165)의 일측에 제2 피니언기어(161)가 연결된 핸들부(162)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이동브라켓(16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제2 장공(166)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제2 이동브라켓(165)을 포스트(171)에 볼트(B)체결하여 제2 피니언기어(161)가 랙기어(140)에 치합되거나 치합해제되게 할 수 있다.
제2 피니언기어(161)와 랙기어(140)의 치합동작을 살펴보면, 제2 이동브라켓(16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피니언기어(161)와 랙기어(140)를 치합한 후 제2 이동브라켓(165)의 제2 장공(166)들에 포스트(171)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도 8(a) 참조).
그리고 제2 피니언기어(161)와 랙기어(140)의 치합해제 동작을 살펴보면, 제2 이동브라켓(165)을 차수문(120) 또는 랙기어(14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2 피니언기어(161)와 랙기어(140)를 치합해제한 후 제2 이동브라켓(165)의 제2 장공(166)들에 포스트(171)에 설치된 볼트(B)를 체결한다(도 8(b) 참조).
제2 이동부(160)에 의한 차수구역(C)의 개폐동작을 살펴보면, 도 1, 도 2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가 치합된 상태에서 핸들부(162)에 의한 제2 피니언기어(161)의 회전에 의해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차수구역(C)을 폐쇄하거나, 차수구역(C)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부(150)를 운영하는 경우에 차수구역(C)이 폐쇄되면 제1 피니언기어(151)와 랙기어(140)가 치합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52)의 회전축이 정지된다. 따라서 차수문(120)에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구동모터(152)의 회전축이 정지상태를 유지하므로 차수문(120)도 이동되지 않는다.
반면에 제2 이동부(160)를 운영하는 경우에 차수구역(C)이 폐쇄되고 제2 피니언기어(161)와 랙기어(140)가 치합된 상태에서 핸들부(162)가 정지 또는 고정되지 않으면 차수문(120)에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차수문(120)이 이동되고 차수구역(C)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유닛(130)은 차수문(120)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차수문(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부(167)는 일측이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포스트(171)에 결합된 브라켓(16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167)의 타측에 체결홀(169)을 형성하고 차수문(120)의 상부에 체결홈(121)을 형성하여, 볼트, 핀 등 다양한 체결부재(168)를 이용하여 브라켓(167)의 타측과 차수문(120)의 상부를 결합할 수 있다.
핸들부(162)의 회전에 의해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한 경우에 브라켓(167)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홀(169)과 차수문(120)의 상부에 형성된 체결홈(121)을 체결부재(168)로 체결하여 브라켓(168)의 타측을 차수문(120)의 상부에 고정함으로써 차수문(120)에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차수문(120)이 이동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경우에 차수문(120)의 수평방향 이동거리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레일(113)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고 구조물(110)의 벽체에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차수문(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187)와, 가이드레일(113)의 타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어 차수문(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18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 플레이트(117)는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구조물(110)의 벽체에 설치되어 차수문(120)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즉, 차수문(120)의 전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이드 플레이트(117)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차수문(120)의 전방부가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삽입되는 경우에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밀착되게 배치된 제1 스토퍼(187)에 의해 차수문(120)이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제2 스토퍼(189)가 차수문(120)의 후방부에 밀착되어 차수문(120)이 더 이상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이동부(150) 또는 제2 이동부(160)에 의해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차수문(120)과 구조물(110)들 사이의 밀폐력을 높이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100)는 차수문(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제1 밀폐부재(181)와, 차수문(120)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제1 밀폐부재(181)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된 제2 밀폐부재(182)와,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 제3 밀폐부재(183)와, 구조물(110)의 벽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차수구역(C)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밀폐부재(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밀폐부재(181)는 차수문(120)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밀폐부재(181)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제1 밀폐부재(181)는 차수구역(C)이 위치한 가이드홈(115)의 측벽에 수평되게 설치된 제1 플레이트(116)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2 밀폐부재(182)는 차수문(120)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밀폐부재(182)는 제1 밀폐부재(181)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제2 밀폐부재(182)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제2 밀폐부재(182)는 차수구역(C)의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제1 플레이트(116)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118)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3 밀폐부재(183)는 구조물(110)의 벽체에 설치되어 차수문(120)의 전방부를 감싸는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3 밀폐부재(183)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사이드 플레이트(117)에 설치된 제3 밀폐부재(183)는 차수문(120)의 전방부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제4 밀폐부재(184)는 구조물(110)의 벽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4 밀폐부재(184)는 차수구역(C)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4 밀폐부재(184)는 탄성을 갖는 발포성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탄성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차수문(120)이 차수구역(C)을 폐쇄하는 경우에 제4 밀폐부재(184)는 차수문(120)의 후방부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차수 플레이트(127)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수문 지지부(170)는 구조물(110)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되며 차수문(120)에 설치된 지지브라켓(145)에 삽입되는 지지롤러(173)를 포함한다.
지지브라켓(145)은 차수문(120)에 길게 설치되며 구조물(1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브라켓(145)은 하부가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랙기어(140)는 지지브라켓(145)의 상부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롤러(173)는 지지브라켓(145)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차수문(12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동안 차수문(120)을 지지한다. 즉 지지롤러(173)가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을 따라 이동되는 동안 차수문(120)을 지지하여 차수문(120)이 전복 등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도 8 참조). 또한 차수문(120)이 차수문 지지부(170)에 의해 지지되므로 차수문(120)에 수압이 가해지는 경우에 차수문(120)이 가이드레일(1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롤러(173)는 포스트(171)과 별개로 구조물(110)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브라켓(145)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110: 구조물
113: 가이드레일 115: 가이드홈
113: 가이드레일 115: 가이드홈
116: 제1 플레이트 117: 사이드 플레이트
118: 제2 플레이트 120: 차수문
123: 이동롤러 125: 이물질 제거부
126: 홈 127: 차수 플레이트
130: 이동유닛 140: 랙기어
145: 지지브라켓 150: 제1 이동부
151: 제1 피니언기어 152: 구동모터
155: 제1 이동브라켓 156: 제1 장공
160: 제2 이동부 161: 제2 피니언기어
162: 핸들부 165: 제2 이동브라켓
166: 제2 장공 167: 이동제한부
170: 차수문 지지부 173: 지지롤러
181: 제1 밀폐부재 182: 제2 밀폐부재
183: 제3 밀폐부재 184: 제4 밀폐부재
187: 제1 스토퍼 189: 제2 스토퍼

Claims (11)

  1. 차수구역의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차수구역에 설치된 구조물들의 벽체에 밀착 및 밀착해제되어 상기 차수구역을 개폐하는 차수문; 및
    상기 구조물 및 상기 차수문에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을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차수문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랙기어;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1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구동모터와, 일측에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 및 치합해제되도록 타측이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이동브라켓을 구비한 제1 이동부; 및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되, 상기 랙기어에 치합되는 제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가 연결된 핸들부와, 일측에 상기 핸들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피니언기어가 상기 랙기어에 치합 및 치합해제되도록 타측이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포스트에 상대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이동브라켓을 구비한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2 피니언기어는 상기 랙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1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브라켓의 타측에는 상기 랙기어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복수의 제2 장공이 형성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차수문에 길게 설치되되, 상기 구조물의 상측에 배치되고, 하부가 개방된 "ㄷ"자형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랙기어가 안착되는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설치되되, 상기 지지브라켓의 개방된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차수문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차수문을 지지하는 지지롤러를 구비한 차수문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일측이 상기 포스트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차수문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수문의 바닥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마련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양 빗면에 각각 안착되어 구름운동하는 이동롤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롤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구비하여 상기 차수문이 이동되는 동안 상기 가이드레일에 적재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문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가이드홈의 측벽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 밀폐부재;
    상기 차수문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제1 밀폐부재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밀폐부재; 및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를 감싸는 사이드 플레이트에 높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에 밀착되어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3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구역이 위치한 상기 가이드홈의 측벽에 수평되게 설치된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차수구역의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끝단에서 각각 연장되게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밀폐부재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밀착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가 상기 제2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벽체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되되, 상기 차수구역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4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경우에 상기 제4 밀폐부재는 상기 차수문의 후방부에 높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차수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의해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차수문의 전방부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후방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토퍼; 및
    상기 제1 이동부 또는 상기 제2 이동부에 의해 상기 차수문이 상기 차수구역을 완전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상기 차수문의 후방부에 밀착되어 상기 차수문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0220081187A 2022-07-01 2022-07-01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491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87A KR102491861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187A KR102491861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861B1 true KR102491861B1 (ko) 2023-01-27

Family

ID=8510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187A KR102491861B1 (ko) 2022-07-01 2022-07-01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8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08B1 (ko) * 2023-04-11 2023-08-17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자중식 방재용 수문 시스템
KR102620953B1 (ko) * 2023-09-08 2024-01-08 (주)에스엔비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16B1 (ko) * 2009-06-03 2011-06-27 주식회사 동인 담수용 차수문
KR101291160B1 (ko)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266845B1 (ko) * 2021-01-13 2021-06-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문 하부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승,하강 기능을 갖는 전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16B1 (ko) * 2009-06-03 2011-06-27 주식회사 동인 담수용 차수문
KR101291160B1 (ko) 2013-05-13 2013-07-31 (주)디엠씨코리아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2266845B1 (ko) * 2021-01-13 2021-06-21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문 하부의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승,하강 기능을 갖는 전동식 슬라이딩 게이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608B1 (ko) * 2023-04-11 2023-08-17 주식회사 삼성엔비코 자중식 방재용 수문 시스템
KR102620953B1 (ko) * 2023-09-08 2024-01-08 (주)에스엔비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US6623209B1 (en) Automatic flood gate
US1045808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ising floodwall system
TW541391B (en) Movable water-protection apparatus
US7497644B1 (en) Automatic liquid barrier system
CA30275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retractable floodwall system
JP3532462B2 (ja) 浮力式床面止水装置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1974072B1 (ko) 플립업 타입 차수문
JP3182690U (ja) 樋門システム
KR101431739B1 (ko) 슬라이드 락킹장치가 구비된 차수문
KR102170492B1 (ko) 침수 차단장치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JP2001032621A (ja) 防水扉
KR102620953B1 (ko) 밀폐력이 향상된 차수장치
KR101707530B1 (ko) 차수문
WO2003042459A1 (fr) Systeme de controle de marees a commande hydraulique
KR101725916B1 (ko) 라디얼 핀랙 수문
JP7246621B2 (ja) 無電源自動横引き止水ゲート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KR100531031B1 (ko) 침수방지 및 배수기능을 갖는 건축용 배수라인
DE10243498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wasserdichten Verschließen von Öffnungen an Gebäuden
KR101646229B1 (ko) 승하강이 가능한 전도수문
KR101736286B1 (ko) 차수문
KR101705257B1 (ko) 차수문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