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916B1 - 라디얼 핀랙 수문 - Google Patents

라디얼 핀랙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916B1
KR101725916B1 KR1020150069029A KR20150069029A KR101725916B1 KR 101725916 B1 KR101725916 B1 KR 101725916B1 KR 1020150069029 A KR1020150069029 A KR 1020150069029A KR 20150069029 A KR20150069029 A KR 20150069029A KR 101725916 B1 KR101725916 B1 KR 10172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door
drive shaft
close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5553A (ko
Inventor
윤충호
Original Assignee
일성보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성보산업(주) filed Critical 일성보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6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91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5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관로에 설치되어 평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한편 홍수 발생이나 해수 유입시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역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는 유압식 가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관로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에서 문비의 상단이 회동되며 열리고 닫혀 문틀과 교각을 없애는 동시에 문비 동기를 맞추는 동시에 문비가 열릴 때 자동으로 록크가 걸려 안전을 보장하는 라디얼 핀랙 수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문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에 결합되어 하측 선단이 상하로 회동하며 관로를 개폐시키는 문비를 구비하며, 상기 문비의 전방 상측으로 문비 프레임보다 높은 길이를 갖는 구동 암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암에는 문비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는 한편 체인기어가 고정된 동기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기 구동축을 당기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기어가 치합된 채로 동기 구동축이 자전과 공전되게 하는 핀랙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가 경사지게 닫힐 때 문비의 배면 하측에서 관로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받쳐져 세워지는 세로보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라디얼 핀랙 수문{Radial pin rack type movable water gate}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관로에 설치되어 평상시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홍수나 해수 유입시에는 급히 닫혀서 역류에 의한 수해를 방지하는 유압식 가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관로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프레임에서 문비의 상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열리고 닫힐 때, 유압실린더의 동기를 맞추는 동시에 문비가 수직으로 닫혀서 문비 프레임을 받치게 하여 중간 교각을 없애는 라디얼 핀랙 수문에 관한 것이다.
강이나 하천 또는 관로에 설치되는 수문은 기계식 핀잭 수문과, 유압식 인양수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핀잭 수문은 비교적 개폐시 동기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인 반면 문비가 끼워져 이동하게 되는 문틀홈에 이물질이 끼게 됨으로 편부하가 걸려서 잘 닫히지 않는 문제와, 문비 조작대와 교각이 홍수위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토목 공사를 필요로 하는 문제로 인하여 방류에 장애가 됨은 물론 기계식이기 때문에 유지관리 요소가 많고, 문비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교각이 많아지므로, 문비와 권양기의 시설이 많아지는 등의 단점으로 유압식 인양수문을 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압식 인양수문도 문틀홈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걸리는 문제는 해결할 수 없고, 문틀홈에 유압실린더가 설치되고 문비의 양단을 인양하여 개폐가 이루어지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마찰계수와 문틀홈에서 문비의 지수마찰 저항 및 유압배관의 길이에 대한 관로손실의 차이 등으로 인하여 작동이 서로 다를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하여 문비가 비틀어지고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여 문비가 닫히지 않음으로써 홍수위시 역류를 방지하지 못하여 큰 수해를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동기작동은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개발된 유압식 인양수문에서 사용되는 유압실린더의 동기 작동을 위하여 전기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전기식 동기작동 방식은 문비의 양단에서 유압실린더의 롯드 위치를 전기로 검출하여 설정치 이상 검출된 유압실린더는 솔 밸브를 작동시켜 유압을 차단하고, 적게 검출된 유압실린더의 솔 밸브를 열어주는 동작을 교대로 반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전기를 이용하는 관계로 문비를 긴급하게 닫아야 하는 경우는 급격한 날씨 변화와 낙뢰로 전기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문비가 닫히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정전을 대비한 발전기를 설비해야 하는데, 이로 인한 유지관리가 많게 된다.
그리고, 다른 방식의 유압식 가동수문에서는 문비의 닫힘각이 클 때 관로 상단의 문비 프레임에 수압에 의한 벤딩 모멘트가 많이 걸리기 때문에 중간 교각을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중간교각은 방류에 장애가 되는 한편, 문비가 많아짐에 따라 이에 따른 시설도 많아지는 문제가 있고, 문비 닫힘각을 수직으로 하게 되면 관로 바닥에 문비가 끼게 되어 열기가 어렵게 되거나, 수직을 넘게 되면 개폐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917650호(관로(1)09.09.09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393026호(관로(1)14.02.03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1368886호(관로(1)14.02.24 등록)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 또는 관로에 설치되는 수문을 개폐시키되 문비의 상측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폐가 이루어지는 가동수문에서, 유압실린더가 동기 작동되게 하여 문비가 비틀려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정전 시에도 동기 작동되게 함으로써 급히 닫히게 하는 한편 문비의 닫힘각이 크면 문비 프레임에 큰 수압에 의한 벤딩 모멘트가 가해져 교각을 세워야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비의 상측에서 라디얼 핀랙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유압실린더의 동기를 맞추어 작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문비의 배면에 세로보를 설치하여 문비 프레임의 하중을 받치게 되어 관로 전폭에 걸친 긴 문비의 설치가 가능하고, 문비가 장기간 열렸을 때는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고정되게 하여 유지관리를 적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문비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에 결합되어 하측 선단이 회동하며 관로를 개폐시키는 문비를 구비하며, 상기 문비의 전방 상측으로 문비 프레임보다 높은 길이를 갖는 구동 암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 암에는 문비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지는 한편 체인기어가 고정된 동기 구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어 동기 구동축을 당기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하고, 상기 체인기어가 치합된 채로 동기 구동축이 자전과 공전되게 하는 라디얼 핀랙을 구비하고, 상기 문비가 경사지게 닫힐 때 문비의 배면 하측에서 관로의 바닥에 수직 방향으로 받쳐져 세워지는 세로보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문비가 열리고 닫힐 때 유압실린더로 동기 구동축을 당기거나 밀어주어 체인기어가 핀랙을 타고 자전과 공전으로 유압실린더가 동기 작동되어 문비를 열고 닫도록 하는 한편, 문비가 닫혔을 때 세로보가 관로의 바닥에 받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하여, 문비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압을 최소화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문비가 장기간 열려 있을 때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서 유지관리를 적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로보는 일정 간격으로 문비의 배면에 여러 개를 설치하되 문비가 닫혔을 때 관로바닥에 받쳐진 채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함으로써 문비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압 하중을 최소화함으로써, 교각 없이 긴 문비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수갑문, 제수문, 배수문, 육갑문 등에 사용되는 수문이 라디얼 핀랙에 의해 동기가 이루어지면서 문비의 열리고 닫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비가 비틀려 파손되는 일이 없고, 기계식으로 동기가 맞추어지기 때문에 정전시에도 동기 작동에 무리가 없으며, 홍수위 발생시 수위계에 의해서 자동으로 문비를 닫아주는 구조로써 관리인이 상주하지 않더라도 홍수 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문틀이 설치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문틀홈에 이물질이 끼게 되는 경우를 없애는 한편, 바닥 수밀을 위한 돌출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관로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문비의 배면으로 문비가 닫혔을 때, 관로 바닥에 밀착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세로보를 설치함으로써, 문비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압을 최소화 하여, 중간에 교각을 설치하지 않고도 긴 문비를 시설함으로써 방류에 방해 요소가 없어지는 효과와, 문틀을 사용치 않아 이물질이 걸리는 경우가 없어지며, 문비가 장기간 열려 있을 때 고정되게 하여, 유압장치의 유압이 무부하 상태로 있게하여 유지관리가 적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문비가 열리고 닫히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문비가 닫힌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문비가 열린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문비 정면과 배면을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문비 회동 부위를 보인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문비 회동 부위를 보인 요부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 6에 도시된 A 부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정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쇠가 걸림고리에 걸리기 전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정쇠가 걸림고리에 걸린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문비 열림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문비 닫힘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고정장치 요부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요부 정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요부 배면 사시도
본 발명은 평상시 강이나 하천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관로를 개방하고, 홍수 발생시나 해수위 상승으로 역류의 우려가 있을 경우 관로를 닫아주는 가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관로의 상측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문비 프레임에 문비가 회동되게 결합하되 하측이 외수위쪽을 향하고 상측이 내수위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문비는 상측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면서 경사진 채로 바닥과 밀착되어 물 흐름을 차단하거나 수평으로 세워져 물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문비의 상단이 수로 또는 관로의 상측에 설치된 문비 프레임에 힌지가 결합됨으로써 문비의 하단이 회동하며 수로나 관로를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 관로의 상측에 설치된 문비 프레임에 문비의 상측이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문비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동 암을 설치하되 상기 구동 암에는 문비의 길이 방향으로 동기 구동축을 설치하고, 상기 동기 구동축에는 구동 암의 내부에서 체인기어를 고정시키는 한편 체인기어의 양쪽에 너클 조인트가 끼워지게 하고, 상기 너클 조인트는 문비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한쪽이 힌지 결합된 유압실린더의 롯드가 결합되게 하고, 상기 체인기어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동기 구동축을 밀거나 당길 때 핀랙을 타고 자전과 공전되며 이동하게 함으로써, 유압실린더로 동기 구동축을 당기거나 밀게 되면 체인기어는 핀랙을 타고 라디얼 운동하면서 동기 구동축을 자전 및 공전시키기 때문에 유압실린더의 동기 작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구동 암은 문비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의 상측보다 높게 돌출되는 높이를 가져야 하고, 유압실린더는 문비 프레임에 힌지로 결합된 상태에서 롯드를 너클 조인트에 고정시킴으로써 유압실린더로 동기 구동축을 당기거나 밀게 되면 체인기어는 핀랙을 타고 라디얼 운동을 하게 되고, 유압실린더는 힌지를 중심으로 들리거나 눕혀지게 된다.
핀랙은 라디얼의 핀랙 보호판에 고정되고, 상기 핀랙 보호판은 문비 프레임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문비 프레임의 전방으로 고정장치가 설치되는데, 문비 프레임에 걸림고리가 힌지로 설치되는 것으로 무게와 중력에 의해 항상 고정 위치에 있으며, 문비가 열리면 문비에 설치된 고정쇠가 걸림고리를 밀치고 고정되어 유압이 무부하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유지관리를 적게 하고, 홍수위 예고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문비를 약간 들어서 고정이 무부하 상태로 되게 한 후 유압실린더의 롯드가 걸림고리를 밀어서 고정을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의 문비에는 배면으로 수 개의 세로보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되 상기 세로보는 문비가 닫혔을 때 저면이 관로의 바닥과 밀착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배면 쪽은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하되 세로보의 수직면은 문비가 회동되는 힌지의 수직 하측에서 외수위쪽으로 설치함으로써 세로보가 문비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문비가 닫혔을 때 세로보가 수직이 되게 함으로써 문비 프레임에 걸리는 수압하중을 최소화 되도록 하여 문비 프레임의 처짐을 방지 하는 것이다.
또한 분비의 배면 하측과 세로보 사이에 바닥 지수고무를 설치하여 지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관로의 상측에서 관로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문비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상태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문비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되 핀랙을 이용하여 각각의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킬 때 동기를 맞추어 작동시키는 것이며, 문비의 배면에는 세로보를 설치하여 문비가 닫혔을 때 세로보가 수직으로 세워져 관로의 바닥을 받침으로써 문비 프레임에 가해지는 수압하중을 최소화 함으로써 교각을 설치하지 않고도 문비의 안정된 동작을 보장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문비(30)의 상단을 중심으로 문비(30)의 하단이 회동하면서 관로(1)를 개폐시키는 가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관로(1)의 상측에 관로(1)를 가로지르는 문비 프레임(10)을 설치하고, 상기 문비 프레임(10)에 상단이 결합되어 관로(1)를 개폐시키는 문비(30)를 설치하며, 상기 문비(30)의 전방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구동 암(35)을 설치하되 상기 구동 암(35)은 문비(30)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10)의 상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4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높이가 되게 하고, 상기 문비(30)는 문비 프레임(10)의 전방으로 돌출된 프레임 브라켓(11)에 힌지(31)로 결합되는 것으로, 힌지(31)를 중심으로 문비(30)의 하단이 회동할 때 문비(30)가 수평으로 열리거나 경사지게 닫히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문비(30)의 전방 상측에 돌출되어 설치된 구동 암(35)에는 문비(30)의 길이 방향으로 동기 구동축(50)을 설치하고, 상기 동기 구동축(50)에는 구동 암(35)의 내측에서 체인기어(61)를 고정 하는 한편 동기 구동축(5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으면서 당기거나 밀어주는 너클 조인트(45)를 설치하며, 이러한 체인기어(61)와 너클 조인트(45)는 유압실린더(40)와 같은 개수로 같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너클 조인트(45)는 문비 프레임(10)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유압실린더(40)의 롯드(41)에 고정되고, 상기 유압실린더(40)는 문비 프레임(10)의 상부에 힌지(42)로 결합되며, 상기 체인기어(61)는 라디얼 설치된 핀랙(62)과 치합되게 하고, 상기 핀랙(62)는 핀랙 보호판(63)에 고정되는 것으로, 체인기어(61)는 회전시 핀랙(62)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체인기어(61)가 회전하면 동기 구동축(50)도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문비(30)에 설치된 체인기어(61)와 동기 구동축(50)은 동기를 맞추어 자전과 공전에 의한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문비(30)가 힌지(31)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구동 암(35)은 라디얼 운동을 하게 되므로, 문비(30)가 열리고 닫힐 때 체인기어(61)가 핀랙(62)을 타고 회동하게 되며, 문비(30)는 유압실린더(40)로 너클 조인트(45)를 당기게 되면 체인기어(61)가 핀랙(62)을 타고 이동하면서 문비(30)를 열게 되고, 유압실린더(40)로 너클 조인트(45)를 당기지 않으면 문비(30)의 하중에 의해 체인기어(61)가 핀랙(62)에 치합된 채로 이동하면서 문비(30)를 닫아주게 된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40)는 문비(30)를 열거나 닫아주게 되는 것으로, 힌지(42)를 중심으로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문비(30)를 열거나 닫아주게 되고, 문비 프레임(10)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문비(30) 전방에는 고정쇠(75)를 설치하고, 문비 프레임(10)의 전방과 핀랙 보호판(63)의 전방으로 고정장치(70)를 설치하되 문비(30)가 열렸을 때 문비(30)의 고정쇠(75)를 고정장치(70)에서 고정시키도록 그 위치를 잡아 설치하며, 고정장치(70)는 별도의 보호커버를 씌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70)는 문비 프레임(10)에 걸림고리(71)가 고정장치힌지(73)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무게와 중력에 의해 항상 고정위치에 있으며, 문비(30)가 장기간 열려 있어야 할 때는 문비(30)에 설치된 고정쇠(75)가 걸림고리(71)를 밀치고 고정된 상태에서 유압이 무부하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하고, 홍수위 예고시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문비(30)를 약간 들어서 걸림고리(71)를 무부하 상태가 되게 한 후 해제 유압실린더가(72)가 걸림고리(71)를 밀어서 고정이 해제되는 것으로, 이러한 닫힘 작용은 별도로 설치된 홍수위계에 의해서 홍수가 감지될 때 무인 무동력으로 닫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문비(30)에는 배면 하측으로 쐐기 형태의 세로보(80)를 설치하여 문비(30)에 걸리는 수압하중을 관로바닥으로 받게 하는 것으로, 상기 세로보(80)는 문비(30)가 닫혔을 때 저면은 관로(1)와 밀착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배면은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세로보(80)의 배면 수직부위는 문비(30)의 회동 기점이 되는 힌지(31)의 수직 하방에서 문비(30)쪽으로 설치되게 함으로써, 문비(30)가 닫힐 때 세로보(80)의 저면이 관로(1)의 바닥과 밀착되면서 수직 방향으로 하중을 받도록 하는 한편 문비(30)가 회동되면서 열릴 때 세로보(80)가 회동에 방해를 주지 않고 문비(30)를 따라 회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문비(30)와 세로보(80)사이에 문비(30)의 배면에 고정된 바닥 지수고무(90)를 설치하여 문비(30)가 닫혔을 때 바닥 지수고무(90)의 밀착으로 지수가 이루어지게 하며, 문비(30)의 측면에 지수고무를 설치하여 문비(30)가 닫혔을 때 관로(1)의 내벽과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당 업계의 공지의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문비(30)는 상단이 문비 프레임(10)에 결합된 채로 유압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문비(30)의 하단이 회동하면서 관로(1)을 열어주거나 닫아주게 되는 것으로, 유압실린더(40)에서 동기 구동축(50)에 끼워진 너클 조인트(45)를 당김에 따라 문비(30)가 열리게 되고, 이때 문비(30)는 너클 조인트(45)의 내측에 끼워진 체인기어(61)가 핀랙(62)을 타고 자전과 공전 운동을 하면서 문비(30)가 열리게 된다.
유압실린더(40)로 너클 조인트(45)를 당기게 되면, 동기 구동축(50)이 유압실린더(40)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결국 구동 암(35)이 당겨지게 되는 것이어서, 문비(30)는 힌지(31)를 중심으로 열리게 되며, 이때, 문비(30)의 전방 상측으로 돌출된 구동 암(35)이 라디얼 운동을 하게 되고, 유압실린더(40)는 힌지(42)로 결합되어 문비(30)의 열리고 닫힘에 따라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된다.
본 발명의 구동 암(35)이 라디얼 운동을 할 때 체인기어(61)는 핀랙(62)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체인기어(61)가 고정된 동기 구동축(5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여러 개의 유압실린더(40)와 체인기어(61) 및 핀랙(62)의 설치로 인하여 유압실린더(40)의 동기 작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하여 문비(30)의 비틀림이나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즉, 여러 개의 유압실린더(40)를 사용하여 문비(30)를 열거나 눕힐 때 문비(30)가 회동하는 위치에 따라 체인기어(61)가 핀랙(62)에 치합되어 회동하면서 동기 구동축(50)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다수의 유압실린더의 동기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체인기어(61)와 핀랙(62)을 사용하지 않고, 유압실린더(40)의 동기만을 맞추어 문비(30)의 열고 닫음이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문비(30)가 틀어지면서 열리고 닫힐 수밖에 없는 것이어서, 본 발명과 같이 체인기어(61)가 핀랙(62)을 타고 이동하면서 문비(30)의 열리고 닫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문비(30)의 틀어짐 없이 열리고 닫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핀랙(62)은 반원형으로 핀랙 보호판(63)에 의해 보호되는 한편 고정이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40)는 작동 거리를 감안하여 보호캡을 씌워준다.
본 발명은 문비(30)의 열리고 닫힘이 체인기어(61)가 핀랙(62)을 타고 이동되게 함으로써, 체인기어(61)가 고정된 동기 구동축(50)으로 문비(30)에 설치된 체인기어(61)의 회전이 동기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체인기어(61)는 문비(30)의 정면 상측에서 돌출되어 설치되는 구동 암(35)에 끼워지게 하되 상기 구동 암(35)은 문비(30)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를 갖도록 하고, 상기 구동 암(30)에 끼워진 체인기어(61)를 당기게 되는 유압실린더(40)는 문비(30)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10)의 상부에서 수평 상태로 놓이게 한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70)는 문비 프레임(10)에 걸림고리(71)가 힌지(73)로 설치되는 것으로 무게와 중력에 의해 항상 고정위치에 있으며, 문비가 장기간 열려 있을 때 문비(30)에 설치된 고정쇠(75)가 걸림고리(71)를 밀치고 고정되어 유압이 무부하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홍수위 예고시 해제하기 위해서는 문비를 약간 들어서 걸림고리(71)를 무부하 상태로 한 후 해제 유압실린더(72)가 걸림고리(71)를 밀어서 고정이 해제되게 함으로써 문비(30)가 닫힌다.
본 발명은 문비(30)의 배면 하측에 쐐기 형태를 갖고 고정된 세로보(80)에 의해 문비 프레임(10)에 걸리는 수압하중을 최소화 시키는 것으로, 상기 세로보(80)는 문비(30)가 닫혔을 때 저면은 관로(1)와 밀착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배면은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세로보(80)는 문비(30)의 회동 기점이 되는 힌지(31)의 수직 하방에서 문비(30)쪽으로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세로보(80)는 바닥이 평편하기 때문에 힌지(31)의 수직 하방보다 전방에 위치하여야만 문비(30)의 회동시 관로(1)의 바닥에 닿지 않고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면은 문비(30)가 닫혔을 때 수직으로 세워져야만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은 문비(30)가 세로보(80)에 받쳐져 세워지게 되므로, 문비 프레임(10)의 수압 하중이 최소화 되어, 교각을 세워 문비의 길이를 분산하지 않아도 문비(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로(1)의 상측으로 인양 수문과 같이 권양대 등의 구조물을 돌출시켜 설치하지 않아도 문비(30)를 회동시켜 관로(1)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토목 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공사비용과 기간을 줄일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40)의 사용으로 하나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수문 조작이 가능하고, 또한 수위계에 의한 무인 무동력으로 닫히는 구조가 되므로 수해예방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관로 10 : 문비 프레임
11 : 프레임 브라켓 30 : 문비
31 : 힌지 35 : 구동 암
40 : 유압실린더 45 : 너클 조인트
50 : 동기 구동축 61 : 체인기어
62 : 핀랙 70 : 고정장치
71 : 걸림고리 72 : 해제 유압실린더
75 : 고정쇠 80 : 세로보
90 : 바닥 지수고무

Claims (5)

  1. 관로(1)의 상측을 가로지르는 구조물에 고정되는 문비 프레임(10)과,
    상기 문비 프레임(10)에 힌지(31)로 결합되어 관로(1)를 열고 닫아주는 문비(30)와,
    상기 문비(30)의 전방 상측에 설치되고 문비(30)가 닫혔을 때 문비 프레임(10)보다 상부로 돌출되는 구동 암(35)과,
    상기 구동 암(35)에 끼워져 문비(3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동기 구동축(50)과,
    상기 동기 구동축(50)에 끼워져 일체로 고정되는 체인기어(61)와,
    상기 체인기어(61)가 치합되고 문비 프레임(10)의 상측에 핀랙 보호판(63)이 씌워져 고정되는 라디얼 핀랙(62)과,
    상기 동기 구동축(50)에 끼워지고 유압실린더(40)의 롯드(41)에 결합되는 너클 조인트(45)와,
    상기 롯드(41)로 동기 구동축(50)을 밀거나 당겨서 체인기어(61)가 라디얼 핀랙(62)에 치합된 채로 자전과 공전이 이루어지면서 문비(30)를 동기 작동되게 개폐시키며 문비 프레임(10)의 상측에 힌지(42)로 결합되는 다수의 유압실린더(40)와,
    상기 문비(30)의 배면 하측에 설치되고 문비(30)가 닫힐 때 수직으로 관로(1)의 바닥에 받쳐지는 세로보(8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얼 핀랙 수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문비(30)에는 배면 하측으로 쐐기 형태의 세로보(80)를 설치하되 상기 세로보(80)는 문비(30)가 닫혔을 때 저면이 관로(1)의 바닥과 밀착되게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배면은 관로(1)의 바닥과 수직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세로보(80)의 배면은 문비(30)가 문비 프레임(10)에서 회동되는 힌지(31)의 수직 하방에서 문비(30)쪽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얼 핀랙 수문.
  5. 제1항에 있어서, 고정장치(70)는 문비 프레임(10)에 걸림고리(71)가 힌지(73)로 설치되고, 문비(30)가 열릴 때 문비(30)에 설치된 고정쇠(75)가 힌지(73)로 결합된 걸림고리(71)를 밀면서 끼워져 고정되는 한편 해제를 위해서는 문비(30)를 약간 들어서 걸림고리(71)를 무부하 상태로 한 후 해제 유압실린더(72)가 걸림고리(71)를 밀어서 고정쇠(75)의 고정이 해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얼 핀랙 수문.
KR1020150069029A 2015-05-18 2015-05-18 라디얼 핀랙 수문 KR10172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029A KR101725916B1 (ko) 2015-05-18 2015-05-18 라디얼 핀랙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029A KR101725916B1 (ko) 2015-05-18 2015-05-18 라디얼 핀랙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53A KR20160135553A (ko) 2016-11-28
KR101725916B1 true KR101725916B1 (ko) 2017-04-26

Family

ID=5770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029A KR101725916B1 (ko) 2015-05-18 2015-05-18 라디얼 핀랙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669B1 (ko) * 2017-04-27 2019-05-10 유재성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수문 개폐기
KR102484663B1 (ko) * 2022-04-25 2023-01-03 김성태 부력과 하중을 이용한 수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0105Y1 (ko) * 2003-07-31 2003-10-11 일성보산업(주) 가동보의 자동 잠금회로
JP2004270324A (ja) * 2003-03-10 2004-09-30 Hokoku Kogyo Co Ltd フラップゲートの開閉機
JP2004339821A (ja) * 2003-05-16 2004-12-02 Ohara Tekkosho:Kk 扉体開閉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0324A (ja) * 2003-03-10 2004-09-30 Hokoku Kogyo Co Ltd フラップゲートの開閉機
JP2004339821A (ja) * 2003-05-16 2004-12-02 Ohara Tekkosho:Kk 扉体開閉装置
KR200330105Y1 (ko) * 2003-07-31 2003-10-11 일성보산업(주) 가동보의 자동 잠금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53A (ko) 201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62000B2 (en) A floodgate
US100361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rising floodwall system
KR10157797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토목구조물용 유압식 승하강 수문장치
KR101725916B1 (ko) 라디얼 핀랙 수문
JP2006214178A (ja) 簡易止水装置
KR200401338Y1 (ko) 받침틀식 가동보
KR102491861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차수장치
KR101788624B1 (ko) 유지관리가 편리한 유압식 인양수문
JP2000319857A (ja) 防潮装置
JP3195948U (ja) 止水板装置
KR101186612B1 (ko) 차수판
US20190345759A1 (en) Dropdown Flood Barrier
JP3770554B2 (ja) 水防用のウオータゲート装置
KR101060610B1 (ko) 무빙 월
KR100529737B1 (ko) 건축물의 수해방지 설비구조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JP6176534B2 (ja) 洪水用止水装置
JPH09209327A (ja) シャッター式防水フェンス装置
JP4550233B2 (ja) 可動防水装置
JP6765755B2 (ja) 軽量止水パネルを備えた止水装置
CN209324419U (zh) 一种矿山井下防水闸门硐室排水沟止水装置
GB2371324A (en) Pivotable flood barrier
JP2016029241A (ja) 溢水防止装置
KR100752305B1 (ko) 가동수문의 유압 권양기
JP2010185183A (ja) 簡易チェック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