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203B1 -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 Google Patents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203B1
KR101302203B1 KR1020130019437A KR20130019437A KR101302203B1 KR 101302203 B1 KR101302203 B1 KR 101302203B1 KR 1020130019437 A KR1020130019437 A KR 1020130019437A KR 20130019437 A KR20130019437 A KR 20130019437A KR 101302203 B1 KR101302203 B1 KR 10130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logical
sluice
movable
suppo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종찬
안흥진
이병희
김현복
Original Assignee
강종찬
제이씨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종찬, 제이씨엔(주) filed Critical 강종찬
Priority to KR1020130019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02B8/085Devices allowing fish migration, e.g. fish tr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수로에 설치되어 저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식 수문장치에 있어서,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타측과 연결되어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와, 상기 수문지지부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수문작동 시 이물질에 의해 개폐가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동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Eco friendly movable watergate of adjustable water level}
본 발명은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수로에 설치되어 저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식 수문장치에 있어서,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타측과 연결되어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와, 상기 수문지지부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수문작동 시 이물질에 의해 개폐가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동식 수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water gate)은 물을 막거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해 수로나 저수지에 설치하는 가동식 구조물로서, 하천의 분류 지점이나 합류지점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해안 제방에 설치하여 조수의 역류 방지, 내수 배제, 선박 운행 등에 이용되기도 하며, 댐의 홍수 토수구나 방수관에 설치하여 방류나 홍수 조절에 이용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상기와 같은 수문은 목적, 형식, 재질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수문이 담수를 위하여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또한 홍수 및 우천 시에 수위가 갑자기 상승하는 경우에는 수문을 개방하여 용수를 하류로 방류시키도록 되어 있다.
수문은 자동 혹은 수동으로 개폐되어 물을 저수하거나 방류시키는데, 이 중 자동 수문은 수문의 개폐작동이 통상 유압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해 수문을 선회 작동시킴으로써 개폐작동하게 되어 있는 통상적인 유압식 전도 수문의 구성은, 수문본체와, 수문본체의 양측 하부에 회전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회전축은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고정브라켓의 축부구멍을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에 위치하는 회전축에 연결링크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연결링크의 타단부는 유압실린더의 작동로드 선단이 선회축으로 연결된 구성으로 수문의 양측에서 유압실린더의 신축동작에 의해 수문을 선회 작동시키는 수단에 의해 수문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전도식 유압 수문에서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수문의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므로 실린더의 내구성에 의해 수문의 수명을 좌우한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린더의 작동로드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나 기타 고장발생의 경우에 수문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고, 빈번한 수리 및 교체로 인한 유지비용의 지출이 증대되고, 유지관리에 필요 이상의 많은 시간을 소요할 수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전도수문에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린더를 복수로 설치하여 강한 힘으로 수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전도 수문이 특허 제10-0800563호로 개시된 바 있으나, 이 경우, 복수개의 실린더로 인해 작동 편차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적으로 자동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한편, 도 1및 도 2에는 자동수문의 다양한 개폐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1에 도시된 자동수문의 경우, 수로 바닥면에 이물질이 걸린 경우, 수문이 걸려 수문이 100% 개방 또는 폐쇄돼지 않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해 사람이 투입되는 경우,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자동수문도, 도 2(c)와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나뭇가지가 걸려 물이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바닥면에 이물질에 의해 수문 작동이 방해되어 수문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자동수문은 실린더 방식인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실린더뿐만 아니라 수문 자체의 파괴 및 변형이 빈번히 발생되어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0939639호(등록일 2010.01.22, 명칭 : 유압식 전도 수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로에 설치되어 저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식 수문장치에 있어서,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타측과 연결되어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와, 상기 수문지지부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수문작동 시 이물질에 의해 개폐가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가동식 수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는 수로에 설치되어 저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식 수문장치(1)에 있어서,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힌지(110)로 고정된 수문(100); 일측이 상기 수문(100)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200); 상기 수문(100)과 연결된 도복와이어(310)와,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연결된 기립와이어(320)를 권취 또는 권출시켜,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문구동부(300);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400); 및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체(5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가 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문구동부(300)는 상기 수문(100)과 연결된 도복와이어(31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수직풀리(340); 상기 제1수직풀리(340)를 거친 상기 도복와이어(31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수평풀리(330);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연결된 기립와이어(32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수직풀리(360); 상기 제2수직풀리(360)를 거친 상기 기립와이어(32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수평풀리(35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는 바닥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바닥면 측 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는 스크레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과 상기 이물질제거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고정와이어(410);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와이어완충장치(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문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롤러부(210); 상기 수문(100)과 마주보는 측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는 측에 부착되는 충격완충부재(230)를 포함하는 스토퍼(2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물의 여울을 유도하는 여울유도판(610);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경관조명(620);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상단부와 상기 수로 바닥면 사이에 상기 수문지지부(200)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며, 탈부착 가능한 웨어형식의 어도(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는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의 타측과 연결되어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와, 상기 수문지지부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물질제거부가 수문의 개방 및 폐쇄과정에서 상기 수문지지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어 제거할 수 있어 수문작동 시 이물질에 의해 개폐가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는 수문 및 수문지지부가 수문 폐쇄 시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수로 바닥면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에서, 수문 개방 시, 수로 바닥면 측으로 펴져 일자 형태를 갖도록 구동됨으로써, 수동으로 이물질 제거를 하거나 유지보수 할 경우, 수문이 작동되더라도 수문 및 수문지지부에 의해 사람의 시야가 가리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는 풀리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수문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기존의 유압식 실린더 구동방식에 비해, 파손이 적어 유지보수가 편하고, 관리비용이 적게 소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2는 종래 수문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 폐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을 개방하려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 개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을 폐쇄하려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사시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 폐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을 개방하려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 개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수문을 폐쇄하려는 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가동식 수문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크게, 수문(100), 수문지지부(200), 수문구동부(300), 이물질제거부(400) 및 지지구조체(5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수문(100)은 수로 넓은 판 형태로 수로를 막아 물이 저수 또는 방류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위치하는 일측면이 고정힌지(110)로 고정된다.
상기 수문지지부(200)는 일측이 상기 수문(100)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가 연결된 상태의 측단면은 수문(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 형태를 이루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태는 바닥면과 거의 평행하게 눕혀져 물이 상측으로 흐르도록 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의 일측이 바닥면에 고정힌지(110)로 고정되고,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가 연결된 부위가 상기 고정힌지(110)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ㆍ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타측 단부는 수로 바닥면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는 연결부위가 힌지로 연결되어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사이 각도가 자유롭게 변경되어 상ㆍ하로 이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는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이동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어 제거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의 이동에 따른 수문(100) 개방 및 폐쇄 동작과정에서 주변에 끼어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물질에 의해 수문(100) 개방 또는 폐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조체(500)는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적어도 상기 수문(100)의 동작 반경을 포함하도록 상기 수문(100)이 개방 및 폐쇄되었을 때의 길이 및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문구동부(300)는 상기 수문(100)과 연결되는 도복와이어(310)와,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연결된 기립와이어(320)를 권취 또는 권출시켜,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를 상ㆍ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수문구동부(300)는 상기 수문(100)과 연결된 도복와이어(31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제1수직풀리(340)와, 상기 제1수직풀리(340)를 거친 상기 도복와이어(31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제1수평풀리(330)와,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연결된 기립와이어(32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제2수직풀리(360)와, 상기 제2수직풀리(360)를 거친 상기 기립와이어(32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하는 제2수평풀리(35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에 연결된 도복와이어(310)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수문(100)이 눕혀지도록 잡아당겨 수문(100)이 개방되거나, 일정수위 이상의 수압이 발생되면 수문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립와이어(320)는 상기 도복와이어(310)가 권취된 만큼 권출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에 연결된 기립와이어(320)를 권취시킴으로써, 상기 수문지지부(200)가 세워지도록 잡아당겨 수문(100)을 폐쇄시키며, 상기 도복와이어(310)는 상기 기립와이어(320)가 권취된 만큼 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제1수직풀리(340) 및 제1수평풀리(330)가 상기 도복와이어(310)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제1수평풀리(330)에 감겨져 수로 바닥면과 수평하게 이동하는 도복와이어(310)가 상기 제1수직풀리(340)를 지나 상기 수문(100)과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제2수직풀리(360) 및 제2수평풀리(350)가 상기 기립와이어(320)의 가이드 역할을 하며, 상기 제2수평풀리(350)에 감겨져 수로 바닥면과 수평하게 이동하는 기립와이어(320)가 상기 제2수직풀리(360)를 지나 상기 수문(100)과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에 상기 도복와이어(310)가 연결되는 지점, 상기 수문지지부(200)에 상기 기립와이어(320)가 연결되는 지점이 적당히 계산되어, 기립와이어(320)를 잡아당겼을 때, 상기 수문지지부(200)를 잡아당기는 힘이 최대가 될 수 있는 지점과, 도복와이어(310)를 잡아당겼을 때, 상기 수문(100)을 잡아당기는 힘이 최대가 될 수 있는 지점에 각각 연결되어, 수문(100)의 개방 및 폐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과 상기 제1수직풀리(340) 사이를 지나가는 도복와이어(310)와 상기 제1수평풀리(330) 및 제1수평풀리(330) 사이를 지나가는 도복와이어(310) 사이의 각도가 수문(100)이 폐쇄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복와이어(310) 권취 시, 상기 수문(100)을 아래로 끌어당기는 힘이 최대가 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풀리(330) 및 제1수직풀리(340)를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좋다.
이 때, 상기 제1수직풀리(340), 제1수평풀리(330), 제2수직풀리(360) 및 제2수평풀리(350)는 상기 고정힌지(110)가 설치된 수로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설치된다면, 수문(100) 개방 시, 상기 수문(100) 또는 수문지지부(200)가 걸려서 완전히 수문(100)이 개방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힌지(110)가 설치된 수로 바닥면보다 더 낮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문(100) 개방 시,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가 바닥면에 거의 평행하게 눕혀져 있을 수 있어, 수로를 넓게 개방할 수 있으며, 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는 바닥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바닥면 측 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는 스크레이퍼일 수 있다.
상기 수문(100)과 수문지지부(200) 사이공간은 사방이 막혀있는 공간이기 때문에 물의 흐름과 미세한 이물질을 제외하고, 수문(100)의 개폐에 영향을 줄 수 있을만한 큰 이물질이 유입되기는 어렵다.
특히,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문(100) 폐쇄상태에서 수문(100) 개방상태로 이동 시, 도 4를 기준으로 상기 수문지지부(200)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이동하는 측 전면에 쌓여있는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제거부(400)가 제거함으로써, 수문(100)의 개방 및 폐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과 상기 이물질제거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고정와이어(4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와이어(41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400)가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큰 이물질에 걸려 하측면이 바닥면에 접하지 못하고 뒤집어진다거나,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고정와이어(410)의 길이는 항상 일정한 길이로 유지된다.
이 때, 상기 고정와이어(410)에는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댐퍼와 같은 와이어완충장치(420)가 중간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지지부(200)가 상기 수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단부에 롤러부(210)가 더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롤러부(210) 사이의 길이는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단부가 바닥면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이물질제거부(400)가 이물질을 제거하며 동시에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과 마주보는 측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220)와,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는 측에 부착되는 충격완충부재(23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문(100) 폐쇄 시 항상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2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물의 여울을 유도하는 여울유도판(610)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울유도판(610)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수문(100)의 경관을 좋게 하고, 야간에도 수문(10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경관조명(620)이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경관조명(620)은 너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어류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상단부와 상기 수로 바닥면 사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어도(7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도(700)는 일측이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수로 바닥면에 위치되고, 웨어(weir)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도는 물고기가 하류와 상류를 자유롭게 지나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천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해 설치된다.
상기 어도는 필요에 따라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이물질제거부(400)가 수문(100)의 개방 및 폐쇄과정에서 상기 수문지지부(20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어 제거할 수 있어 수문(100)작동 시 이물질에 의해 개폐가 완전히 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가 수문(100) 폐쇄 시 연결되는 부위를 중심으로 수로 바닥면으로 갈수록 경사진 상태에서, 수문(100) 개방 시, 수로 바닥면 측으로 펴져 일자 형태를 갖도록 구동됨으로써, 수동으로 이물질 제거를 하거나 유지보수 할 경우, 수문(100)이 작동되더라도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에 의해 사람의 시야가 가리는 일이 없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가동식 수문장치(1)는 풀리 및 와이어를 이용하여 수문(10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기존의 유압식 실린더 구동방식에 비해, 파손이 적어 유지보수가 편하고, 관리비용이 적게 소모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가동식 수문장치(1)
100 : 수문
110 : 고정힌지
200 : 수문지지부
210 : 롤러부 220 : 스토퍼
230 : 충격완충부재
300 : 수문구동부
310 : 도복와이어 320 : 기립와이어
330 : 제1수평풀리 340 : 제1수직풀리
350 : 제2수평풀리 360 : 제2수직풀리
400 : 이물질제거부
410 : 고정와이어 420 : 와이어완충장치
500 : 지지구조체
610 : 여울유도판 620 : 경관조명
700 : 어도

Claims (6)

  1. 수로에 설치되어 저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가동식 수문장치(1)에 있어서,
    수로 바닥면에 일측이 고정힌지(110)로 고정된 수문(100);
    일측이 상기 수문(100)의 타측과 연결되며, 타측이 수로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수문지지부(200);
    상기 수문(100)과 연결된 도복와이어(31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수직풀리(340)와, 상기 제1수직풀리(340)를 거친 상기 도복와이어(31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1수평풀리(330)와, 상기 수문지지부(200)와 연결된 기립와이어(320)가 수직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수직풀리(360)와, 상기 제2수직풀리(360)를 거친 상기 기립와이어(320)가 수평방향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안내하는 제2수평풀리(350)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문구동부(300);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수로 바닥면에 위치한 측 단부에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400); 및
    상기 수문(100) 및 수문지지부(200)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지지구조체(500); 를 포함하며, 상기 수문(100) 및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연결부위가 힌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수문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는
    바닥면이 편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바닥면 측 단부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물질을 밀어내는 스크레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수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과 상기 이물질제거부(4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이물질제거부(400)를 지지하거나, 고정하는 고정와이어(410); 및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와이어완충장치(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수문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수로의 바닥면을 따라 이동되는 수문지지부(20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롤러부(210);
    상기 수문(100)과 마주보는 측에 위치한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이물질제거부(400)와 접하는 측에 부착되는 충격완충부재(230)를 포함하는 스토퍼(2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수문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식 수문장치(1)는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물의 여울을 유도하는 여울유도판(610);
    상기 수문(100)의 상단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는 경관조명(620);
    상기 수문지지부(200)의 상단부와 상기 수로 바닥면 사이에 상기 수문지지부(200)를 따라 경사지게 설치되며, 탈부착 가능한 웨어형식의 어도(7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식 수문장치.
KR1020130019437A 2013-02-22 2013-02-22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101302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37A KR101302203B1 (ko) 2013-02-22 2013-02-22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437A KR101302203B1 (ko) 2013-02-22 2013-02-22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2203B1 true KR101302203B1 (ko) 2013-08-30

Family

ID=4922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437A KR101302203B1 (ko) 2013-02-22 2013-02-22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2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30A (ko) * 2017-10-24 2019-05-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정성을 향상시킨 가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372239B1 (ko) * 2021-08-05 2022-03-07 이미경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392574B1 (ko) * 2021-11-03 2022-04-28 이미경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466962B1 (ko) 2022-03-31 2022-11-11 김하경 자연친화형 수문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6036U (ja) * 1992-11-11 1994-06-24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JPH06180009A (ja) * 1992-09-02 1994-06-28 Shinji Nagaoka 自動起伏堰
KR100840922B1 (ko) 2007-03-27 2008-06-24 (주)대도엔텍 조명수단이 구비된 가동보
KR100943639B1 (ko) * 2008-12-30 2010-02-24 이지현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0009A (ja) * 1992-09-02 1994-06-28 Shinji Nagaoka 自動起伏堰
JPH0646036U (ja) * 1992-11-11 1994-06-24 財団法人ダム水源地環境整備センター 簡易魚道装置
KR100840922B1 (ko) 2007-03-27 2008-06-24 (주)대도엔텍 조명수단이 구비된 가동보
KR100943639B1 (ko) * 2008-12-30 2010-02-24 이지현 수문 작동 간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삼각구조의 자동수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5630A (ko) * 2017-10-24 2019-05-0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정성을 향상시킨 가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076799B1 (ko) * 2017-10-24 2020-02-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안정성을 향상시킨 가동식 월파방지장치
KR102372239B1 (ko) * 2021-08-05 2022-03-07 이미경 수문 변형 방지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392574B1 (ko) * 2021-11-03 2022-04-28 이미경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수문장치
KR102466962B1 (ko) 2022-03-31 2022-11-11 김하경 자연친화형 수문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1366B1 (en) Flood guard barrier lifting system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20130139046A (ko) 이물질 차단형 전도 게이트
KR101557744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JP5361096B1 (ja) 水門
JP5333872B2 (ja) 水門
KR100980723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100487997B1 (ko) 생태복원형 수문식 자동보 시스템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KR101946342B1 (ko) 개선된 이물질 차단부를 구비한 전도 수문
JP2004068577A (ja) 油圧式水門装置
KR101722200B1 (ko) 전도 게이트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1001588B1 (ko) 무전원 오뚝이형 자동수문
KR101257344B1 (ko) 수위를 이용한 무동력 자동조절 수문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101598498B1 (ko) 전도 게이트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JP5699888B2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CN205188911U (zh) 一种防杂物水力自控翻板闸门
KR102198358B1 (ko) 고정핀을 이용한 스크린 및 수문 훼손방지안전장치 및 이를 포함한 수문
KR20160114263A (ko) 수문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100658823B1 (ko) 안전스크린이 구비된 양축이 상하 작동되는 겸용 자동수문
KR101816734B1 (ko) 와이어 전도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