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022A - 회동식 가동보 - Google Patents

회동식 가동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022A
KR20060095022A KR1020050015868A KR20050015868A KR20060095022A KR 20060095022 A KR20060095022 A KR 20060095022A KR 1020050015868 A KR1020050015868 A KR 1020050015868A KR 20050015868 A KR20050015868 A KR 20050015868A KR 20060095022 A KR20060095022 A KR 20060095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locker
water
apron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상
Original Assignee
이병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상 filed Critical 이병상
Priority to KR102005001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022A/ko
Publication of KR2006009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6Gates turning round a horizontal axis arranged midway of the fla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58Members cooperating with 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2Rotary motion
    • E05Y2600/322Rotary motion around a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동식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수문의 후방에 복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하나의 수문으로도 충분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천의 폭에 관계없이 하나의 수문만으로 구성하며 수문을 지지하는 각 지지대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여,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는, 하천의 양측 제방 옹벽(10)에서 하천의 안쪽으로 각각 돌출 형성된 보언체(11)와, 하천의 바닥면에 형성된 에이프런(13)과, 하천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보언체(11)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에이프런(13)에 힌지 고정된 수문(12)과, 상기 수문(12)을 움직이는 작동장치 및 구동부(40)를 포함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수문(12)에 다수 설치되어 수문(12)을 지지하고 상기 에이프런(13)에 형성된 홈(13')에 삽입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 지지대(20)와, 상기 에이프런(13)과 상기 회동 지지대(2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에이프런(13)의 홈(13')을 덮어주는 커버(14)와, 상기 에이프런(13)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후 이동을 통하여 상기 회동 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이동봉(15)과, 일단은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동로프(16)와, 상기 이동봉(15)의 직선 운동을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도르레 장치(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동보, 수문, 구동로프, 도복, 도르레, 회동지지대, 이동봉, 홍수감지

Description

회동식 가동보 {ROTARY TYPE MOVABLE WEI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회동식 가동보가 기립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가 도복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회동 지지대가 도시된 상세도,
도 4는 수문 기립시 회동 지지대와 이동봉의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5는 수문 도복시 회동 지지대와 이동봉의 상태가 도시된 도면,
도 6은 수문 기립시 및 도복시 회동 지지대 부분이 도시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실링부가 도시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구동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위치 고정부 및 홍수 감지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중 구동부 부분이 도시된 구성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구동부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방 옹벽 11 : 보언체
12 : 수문 13 : 에이프런
14 : 커버 15 : 이동봉
16 : 구동로프 17 : 도르레 장치
18 : 도수로 19 : 기계실
20 : 회동 지지대 21 : 요홈
22 : 통기·통수홀 23 : 관통홀
30 : 실링부 31 : 실러 지지대
32 : 메인 실러 33 : 플레이트 실러
34 : 스프링 35 : 스프링 지지핀
40 : 구동부 41 : 연결로프
42 : 유압실린더 43 : 피스톤
44 : 로프 고정대 45 : 유압장치
46 : 고정 바 47 : 락커
48 : 락커 지지대 49 : 락커 손잡이
50 : 홍수 감지부 51 : 차단문비
52 : 무게추 53 : 수차
54 : 보조유압장치 56 : 락커용 로프
57 : 덮개판 58 : 실린더 지지대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어 기립 또는 도복되며 기립시 일정한 저장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동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의 크기에 관계없이 하나의 수문으로 구성하며 다수의 지지대를 하나의 작동장치를 이용하여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회동식 가동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량이 적은 하천이나 농수로에서는 농업용수나 생활용수 등의 취수를 위한 충분한 수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횡단하여 보를 설치하고 있다. 하천 등을 횡단하여 설치되는 보는 그 형식과 재질 등에 따라 구분되고 있는데, 콘크리트 고정보가 주로 설치되었다.
콘크리트 고정보는 하천 등을 횡단하여 일정 높이의 장애물을 형성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서 수위를 인위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콘크리트 고정보의 일측에 개폐가 가능한 수문을 설치하여 하천의 수위를 조절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이 콘크리트 고정보를 월류하도록 하여 수중보로 이용하기도 한다.
콘크리트 고정보는 설치 비용이 적고 수명 역시 반 영구적이어서 경제적인 반면, 홍수시의 경우에는 고정보가 장애물이 되어 제방 옹벽 월류 등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홍수시 고정보가 장애물로 작용하게 되므로 상류로부터 밀려오는 토사 등의 이물질이 고정보에 걸리게 되어 이의 준설 처리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콘크리트 고정보를 설치하는 대신에 보의 대부분이 철재 판넬식 수문으로 만들어진 가동보를 설치하기도 한다. 가동보가 하천 등에 설치된 경우 평상시에는 수문을 닫아 수위를 높임으로써 취수가 가능하게 하고, 홍수시에 는 수문을 열어 수위를 낮춤으로써 홍수로 인한 피해가 감소되도록 한다. 물론, 가동보도 수문의 형식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수문의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으로는 대부분 전기 또는 유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폭이 넓은 하천에 가동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수문으로는 적정한 수위를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즉, 수문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부가적으로 설치하지 않는 한, 수압의 영향으로 높은 수위에서는 수문이 파손될 수 있어 수위를 낮게 유지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폭이 넓은 하천에서는 대부분 복수의 수문 구조로 가동보를 설치하게 되며, 각 수문의 양단을 지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언체를 하천 내부에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문을 가진 가동보의 경우, 각 수문을 움직이기 위한 작동장치가 별개로 설치되며, 상기 작동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숫자가 증가되거나 구동부에 의해 발생된 움직임을 상기 작동장치로 전달하기 위한 전동장치의 숫자가 증가된다. 따라서, 가동보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고장시 고장부위를 찾기가 힘들고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도 증가된다.
특히, 전기를 이용하여 가동보의 수문을 개폐시키는 경우 수문을 움직이는 기계장치를 물 속에 설치하거나 밀폐된 공간의 내부에 기계장치를 장치하여야 한다. 물론, 물 속에 장치되는 기계장치는 당연히 물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완전 방수형의 제품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는 설치 비용의 증가를 의미한다. 또한, 밀폐된 공간의 내부에 기계장치를 설치하고 로드 등을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시킬 경우 로드의 양단 등에 하중이 과다하게 집중되어 로드가 파손될 수도 있다. 게다 가 전기를 이용하는 경우 높은 습도로 인하여 감전 등의 피해가 발생될 수 있다.
또, 유압을 이용하여 가동보의 수문을 개폐시키는 경우에는 각각의 수문을 개폐시키는 작동장치의 구동을 위하여 다수의 유압장치가 필요하다. 물론, 하나의 유압장치를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다수의 유압 파이프를 이용하여 유압을 작동장치로 전달할 수도 있으나, 유압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고 파이프의 파손으로 누유가 발생될 경우 파손 부위를 찾기가 어려워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됨은 물론 유압유의 유출로 수질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가동보는 하천의 폭이 넓을 경우 복수의 수문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어 설치 비용이 증가되고 일정 부분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어 기기 파손의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고장 부위의 확인이 어려워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문의 후방에 복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하나의 수문으로도 충분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하천의 폭에 관계없이 하나의 수문만 설치하되 수문을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가 동시에 움직이도록 하는 작동장치를 통해 유압장치의 숫자를 감소시킴으로써, 설치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동식 가동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기적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홍수시에는 자동으로 도복되도록 하여 정전시에도 제방 옹벽 월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회동식 가동보를 제공하 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는, 하천의 양측 제방 옹벽에서 각각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된 보언체와, 하천의 바닥면에 넓게 형성된 에이프런과, 하천을 횡단하도록 상기 보언체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가두되 필요한 경우 도복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에이프런의 앞부분에 힌지 고정된 수문과, 상기 수문을 움직이는 작동장치 및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수문의 하류쪽 면에 다수 설치되어 수문을 지지하고 상기 에이프런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 지지대와, 상기 에이프런과 상기 회동 지지대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에이프런의 홈을 덮어주는 커버와, 상기 에이프런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후 이동을 통하여 상기 회동 지지대를 회전시키는 이동봉과, 일단은 상기 회동 지지대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봉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동로프와, 상기 이동봉의 직선 운동을 상기 회동 지지대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도르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지지대는, 가장자리 면에 상기 구동로프가 삽입되는 요홈이 형성된 것과, 그 내부에 에이프런측 끝단과 수문측 끝단을 연결하여 에이프런의 홈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통기·통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통수홀의 수문측 끝단은 회동 지지대 수문측에 형성된 관통홀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르레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레로 구성되고, 그 중 하나의 도르레가 상기 회동 지지대의 가장자리 면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도르레를 통과한 구동로프가 상기 회동 지지대에 접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언체와 상기 수문의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 실링부는, 상기 보언체의 수문 상류측 부분에서 하천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턱과, 상기 보언체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실러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에 접촉되는 메인 실러와, 상기 돌출턱과 상기 실러 지지대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상기 실러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고 선단이 상기 돌출턱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홈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핀과, 일단은 상기 돌출턱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실러 지지대에 결합되되 타측의 끝단 부분이 상기 메인 실러에 접촉되도록 상기 실러 지지대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실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봉에 연결된 연결로프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와, 상기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이동봉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와, 상기 고정 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고정 바에 형성된 락커 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락커와, 상기 고정 바의 옆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락커를 지지하되 락커 홀의 중심보다 상측에 락커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락커 지지대와, 상기 락커의 고정 바 외측으로 튀어 나온 부분에 형성되어 락커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 걸림쇠 및 그 반대쪽에 설치되어 락커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락커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 바에 형성된 락커 홀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바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락커와, 상기 고정 바의 옆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락커를 지지하되 락커 홀의 중심보다 상측에 락커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락커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홍수 감지부는, 홍수시에만 물이 흐르는 도수관 내부의 물 흐름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의 유압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 유압장치에 연결된 수차와, 상기 도수관내에 설치되고 무게추 및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되어 물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문비와, 상기 차단문비와 상기 위치 고정부의 락커를 연결하여 상기 차단문비가 회전될 때 상기 락커를 후퇴시키는 락커용 로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제방 옹벽과 마지막 회동 지지대 사이의 에이프런에 형성된 함몰부 내부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이동봉에 연결된 연결로프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와, 상기 연결로프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의 피스톤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와, 상기 함몰부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지지대와, 상기 고정 바의 끝단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 바가 처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를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회동식 가동보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양측 제방 옹벽(10)에서 각각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된 보언체(11)와, 하천의 바닥면에 넓게 형성된 에이프런(13)과, 하천을 횡단하도록 상기 보언체(11)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가두되 필요한 경우 도복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에이프런(13)의 앞부분에 힌지 고정된 수문(12)과, 상기 수문(12)을 움직이는 작동장치 및 구동부(40)와, 상기 보언체(11)와 상기 수문(12)의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30)와, 상기 수문(12)의 상류쪽과 하류쪽을 연결하여 물이 흐르도록 하되 상류쪽이 수문(12)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홍수시에만 물이 흐르는 도수관(18)과, 상기 도수관(18)에 설치되어 홍수시 상기 구동부(40)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수문(12)이 자동으로 도복되도록 한 홍수 감지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수문(12)의 하류쪽 면에 다수 설치되어 수문(12)을 지지하고 상기 에이프런(13)에 형성된 홈(13')에 삽입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 지지대(20)와, 상기 에이프런(13)과 상기 회동 지지대(2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에이프런(13)의 홈(13')을 덮어주는 커버(14)와, 상기 에이프런(13)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후 이동을 통하여 상기 회동 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이동봉(15)과, 일단은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동로프(16)와, 상기 이동봉(15)의 직선 운동을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도르레 장치(17)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 지지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면에 상기 구동로프(16)가 삽입되는 요홈(21)을 구비한다. 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내부에 에이프런측 끝단과 수문측 끝단을 연결하여 에이프런(13)의 홈(13') 내부의 물 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통기·통수홀(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통수홀(22)의 수문측 끝단은 회동 지지대(20)의 수문측에 형성된 관통홀(23)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도르레 장치(17)는,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가장자리 면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도르레를 통과한 구동로프(16)가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요홈(21)에 삽입되도록 하는 도르레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도면과 같이 경사 도르레를 하나만 설치하여 구동로프(16)의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고, 수평 도르레와 수직 도르레를 각각 설치하여 구동로프(16)의 이동을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르레의 형상을 변경하여 안쪽으로는 상기 구동로프(16)가 이동되도록 하고, 바깥쪽으로는 상기 이동봉(15)이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수문(12)은 하천의 폭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문(12)에 회동 지지대(20)를 설치할 때도 필요에 따라 분리 및 재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부(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언체(11)의 수문 상류측 부분에서 하천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턱(11')과, 상기 보언체(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실러 지지대(31)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12)에 접촉 되는 메인 실러(32)와, 상기 돌출턱(11')과 상기 실러 지지대(31)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스프링(34)과, 상기 실러 지지대(31)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34)을 지지하고 선단이 상기 돌출턱(11')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홈(11")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핀(35)과, 일단은 상기 돌출턱(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실러 지지대(31)에 결합되되 타측의 끝단 부분이 상기 메인 실러(32)에 접촉되도록 상기 실러 지지대(31)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실러(33)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된 연결로프(41)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44)와, 상기 연결로프(41)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42)의 피스톤(43)에 결합되며 승강을 통해 상기 이동봉(15)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46)와, 상기 고정 바(4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는 제방 옹벽(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기계실(19)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19)의 내부에는 상기 유압실린더(42)로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장치(45)가 설치된다.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고정 바(46)에 형성된 락커 홀(4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바(4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락커(47)와, 상기 고정 바(46)의 옆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락커(47)를 지지하되 락커 홀(46")의 중심보다 상측에 락커(47)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락커 지지대(48)와,
상기 락커(47)의 고정 바(46) 외측으로 튀어 나온 부분에 형성되어 락커(47)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 걸림쇠(47') 및 그 반대쪽에 설치되어 락커(47)를 움 직일 수 있도록 한 락커 손잡이(49)로 구성된다.
상기 홍수 감지부(5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수관(18) 내부의 물 흐름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40)의 유압실린더(42)로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 유압장치(54)에 연결된 수차(53)와, 상기 도수관(18) 내에 설치되고 무게추(52) 및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되어 물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문비(51)와, 상기 차단문비(51)와 상기 락커(47)를 연결하여 상기 차단문비(51)가 하강 회전될 때 상기 락커(47)를 후퇴시키는 락커용 로프(5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는, 하나의 유압장치로 이동봉을 이동시키는 것 만으로 복수의 회동 지지대를 동시에 움직여 수문을 기립시키거나 도복시키게 된다.
유압장치(45)의 작용에 의하여 유압실린더(42)로 유압이 공급되면, 피스톤(43)이 상승되면서 고정 바(46)를 밀어 올리게 된다. 상기 고정 바(46)가 상승될 때 연결로프(41)의 한 쪽 끝이 로프 고정대(44)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로프(41)는 다른 쪽 끝단에 연결된 이동봉(15)을 제방 옹벽(10) 쪽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상기 이동봉(15)은 제방 옹벽(10) 쪽으로 이동하면서 한 쪽 끝이 회동 지지대(20)에 연결된 구동로프(16)를 잡아 당기게 된다. 이때, 구동로프(16)는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요홈(21)으로부터 빠져 나오면서 회동 지지대(20)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회전에 따라 수문(12)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립하게 된다. 상기 수문(12)이 기립되면 유압장치(45)를 정지시켜 유압유의 추가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고정 바(46)의 상승을 제한하고, 고정 바(46)의 락커 홀(46")에 락커(47)를 삽입하여 고정 바(46)가 하강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수문(12)이 기립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바(46)의 높이에 따라 수문(12)의 기립 각도가 변화되므로 유압장치(45)를 통해 고정 바(46)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수위에 따라 수문(12)의 기립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락커 지지대(48)가 락커(47)의 중심이 상기 락커 홀(46")의 중심에 비해 높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락커(47)를 지지하는 바, 락커 걸림쇠(47')로 인해 상기 고정 바(46)가 어느 정도 상승되지 않는 한 락커(47)는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고정 바(46)의 상승으로 락커(47)의 삽입 및 인출이 자유로울 경우에는 락커 손잡이(49)를 이용하여 락커(47)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때, 수문(12)과 보언체(11) 사이의 틈새로 물이 샐 수 있는데, 실링부(30)가 설치되어 물이 새지 않게 한다. 상기 실링부(30)는 메인 실러(32)와 플레이트 실러(33)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수문(12)이 기립된 상태에서 전후로 약간씩 이동될 때 스프링(34)의 힘에 의해 메인 실러(32)는 항상 수문(12)에 접촉되고 플레이트 실러(33)가 수축 및 팽창되므로, 수문(12)의 미세한 움직임에 상관없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수위 조절 등의 이유로 수문(12)을 도복시키는 경우에는 유압장치(45)를 이용하여 유압실린더(42)의 유압을 제거하면 된다. 물론, 유압을 제공하기 전에 상기 고정 바(46)를 약간 상승시켜 락커 걸림쇠(47')가 고정 바(46)의 락커 홈(4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락커 손잡이(49)를 이용하여 락커(47)를 고정 바(46)로부터 이탈시킨 후에 유압실린더(42)의 유압을 제거해야 한다.
상기 유압실린더(42)의 유압이 제거되면 수압에 의해 수문(12)이 도복될 수 있게 되는데, 수문(12)이 회동 지지대(20)와 함께 회전되므로 구동로프(16)가 회동 지지대(20)의 요홈(21)에 삽입되면서 이동봉(15)을 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동봉(15)에 연결된 연결로프(41)에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 힘에 의해 고정 바(46)가 하강되면서 피스톤(43)을 후퇴시켜 유압실린더(42) 내에 압력이 발생된다. 이 압력과 유압유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수문(12)의 도복 속도가 결정되는데, 유압유가 천천히 배출되기 때문에 수문(12)이 도복되는 속도 또한 그리 빠르지 않다. 따라서, 수문(12)의 갑작스런 도복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 지지대(20)는 에이프런(13)에 형성된 홈(13') 속으로 삽입되는 바, 홈(13') 내부에 있는 물 또는 공기가 회동 지지대(20)에 형성된 통기·통수홀(22)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물론, 커버(14)가 에이프런(13)의 홈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물과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되지는 않으므로 통기·통수 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다.
만약, 상기 수문(12)이 기립된 상태에서 홍수 등이 발생되어 갑자기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유압장치(45)를 통해 수문(12)을 도복시켜서 통과 유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여러가지 이유로 사람이 직접 유압장치(45)를 작동시키지 못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하천을 흐르는 물은 수문(12)을 넘어 흐르게 되는데, 수문(12) 부분이 장애물이 되어 하천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이때, 도수 관(18) 내부로 물이 흐르게 되면, 도수관(18)과 연결된 수차(53)가 회전하게 되고, 수차(53)의 회전에 따라 보조 유압장치(54)에서 유압이 발생된다.
상기 보조 유압장치(54)에서 발생된 유압은 유압실린더(42)로 공급되어 피스톤(43)을 전진시키게 되고, 상기 피스톤(43)에 의해 고정 바(46)가 상승되어 락커 걸림쇠(47')에 관계없이 락커(47)가 락커 홀(46")을 통해 빠져 나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수관(18) 내의 차단문비(51)가 무게추(52) 및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되면서 락커용 로프(56)를 잡아당기게 되고, 그 결과 락커(47)가 락커 홀(46")을 빠져 나오게 되어 고정 바(46)의 하강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상기 차단문비(51)가 하강 회전되어 도수관(18) 내부의 물 흐름을 차단하게 되면, 차단문비(51)의 하류측에 위치된 수차(53)의 회전은 정지되고 보조 유압장치(54)로부터 유압실린더(42)로의 유압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고정 바(46)의 하강을 제한하고 있는 유압이 제거되면서 고정 바(46)는 하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고정 바(46)를 밀어 올리는 유압력이 소멸됨에 따라 이동봉(15)을 통해 회동 지지대(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압력도 소멸된다. 그 결과 수문(12)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수문이(12) 자동으로 도복되면서 하천 내부의 물 흐름이 원활해진다.
따라서, 하천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제방 옹벽 월류가 일어나지 않게 되어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문(12)이나 구동로프(16) 등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지기 전에 수문(12)이 자동으로 도복되므로, 과다한 압력에 의한 구동로프(16) 및 그 연결부의 파손으로 인한 수문(12)의 작동 불능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수문(12)의 도복으로 인하여 하천의 수위가 지나치게 낮아지는 경우에는 유압장치(45)를 작동시켜 수문(12)을 기립시킴으로써 하천의 수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는 수문을 움직이게 하는 구동부가 제방 옹벽(10)에 설치된 것이나,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구동부를 에이프런(13)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회동식 가동보는, 그 구동부가 제방 옹벽(10)과 마지막 회동 지지대 사이의 에이프런(13)에 형성된 함몰부(13")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함몰부(13")의 상단 부분에 덮개판(57)이 설치되어 함몰부(13")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된 연결로프(41)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44')와, 상기 연결로프(41)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42')의 피스톤(43')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15)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46')와, 상기 함몰부(13")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2')를 지지하는 실린더 지지대(58)와, 상기 고정 바(46')의 끝단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 바(46')가 처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롤러(59)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고정 바(46')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위치 고정부가 상기 고정 바(46')에 설치되는 것은 동일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된 유압에 따라 유압실린더(42')가 피스톤(43')을 전후 이동시키고, 상기 피스톤(43')의 전후 이동에 따라 고정 바(46')가 이동되면서 이동봉(15)을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 봉(15)의 이동량은 도르레 효과로 인하여 피스톤(43') 이동량의 2배가 되며, 이동봉(15)과 피스톤(43')의 이동 방향이 일치됨에 따라 힘의 전달이 보다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동식 가동보는, 하천을 하나의 수문(12)으로 차단하고 복수의 회동 지지대(20)를 하나의 유압장치(45)로 동시에 움직일 수 있으므로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빈도가 감소되며 고장 부위를 쉽게 찾을 수 있어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평상시에는 수문(12)이 기립되어 하천의 수위를 높이게 되고 홍수시에는 자동으로 도복되어 통과 유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제방 옹벽 월류로 인한 홍수 피해를 방지함은 물론 수문(12)에 과다한 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한 수문(12)과 동력 전달부의 파손을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문(12)을 이동시키는 구동부(40)가 제방 옹벽(10)에 설치될 수 있어 감전 또는 수질 오염과 같은 피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하천의 양측 제방 옹벽(10)에서 각각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 형성된 보언체(11)와, 하천의 바닥면에 넓게 형성된 에이프런(13)과, 하천을 횡단하도록 상기 보언체(11) 사이에 설치되어 물을 가두되 필요한 경우 도복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에이프런(13)의 앞부분에 힌지 고정된 수문(12)과, 상기 수문(12)을 움직이는 작동장치 및 구동부(40)를 포함하는 가동보에 있어서,
    상기 작동장치는, 상기 수문(12)의 하류쪽 면에 다수 설치되어 수문(12)을 지지하고 상기 에이프런(13)에 형성된 홈(13')에 삽입되는 부채꼴 형상의 회동 지지대(20)와, 상기 에이프런(13)과 상기 회동 지지대(2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에이프런(13)의 홈(13')을 덮어주는 커버(14)와, 상기 에이프런(13)의 내측에 위치되고 전후 이동을 통하여 상기 회동 지지대(20)를 회전시키는 이동봉(15)과, 일단은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하측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구동로프(16)와, 상기 이동봉(15)의 직선 운동을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도르레 장치(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대(20)는, 가장자리 면에 상기 구동로프(16)가 삽입되는 요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지지대(20)는, 그 내부에 에이프런측 끝단과 수문측 끝단을 연결하여 에이프런(13)의 홈(13') 내부에 있는 물 또는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 통기·통수홀(22)이 형성되고, 상기 통기·통수홀(22)의 수문측 끝단은 회동 지지대(20)의 수문측에 형성된 관통홀(23)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르레 장치(17)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르레로 구성되고, 그 중 하나의 도르레가 상기 회동 지지대(20)의 가장자리 면에 근접되도록 설치되어 도르레를 통과한 구동로프(16)가 상기 회동 지지대(20)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언체(11)와 상기 수문(12)의 양단이 접하는 부분에는 물이 새지 않도록 하는 실링부(30)가 설치되고, 상기 실링부(30)는 상기 보언체(11)의 수문 상류측 부분에서 하천 안쪽으로 일정 정도 돌출된 돌출턱(11')과, 상기 보언체(1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실러 지지대(31)에 설치되어 상기 수문(12)에 접촉되는 메인 실러(32)와, 상기 돌출턱(11')과 상기 실러 지지대(31)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력을 발생하는 복수의 스프링(34)과, 상기 실러 지지대(31)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34)을 지지하고 선단이 상기 돌출턱(11')에 상하 방향으로 다수 형성된 홈(11")에 각각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핀(35)과, 일단은 상기 돌출턱(11')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실러 지지대(31)에 결합되되 타측의 끝단 부분이 상기 메인 실러(32)에 접촉되도록 하는 플레이트 실러(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40)는, 일단이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된 연결로프(41)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44)와, 상기 연결로프(41)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42)의 피스톤(43)에 결합되어 승강을 통해 상기 이동봉(15)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46)와, 상기 고정 바(4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고정부는, 상기 고정 바(46)에 형성된 락커 홀(46")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바(46)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락커(47)와, 상기 고정 바(46)의 옆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락커(47)를 지지하되 락커 홀(46")의 중심보다 상측에 락커(47)의 중심이 위치되도록 하는 락커 지지대(48)와, 상기 락커(47)의 고정 바(46) 외측으로 튀어 나온 부분에 형성되어 락커(47)의 이탈을 방지하는 락커 걸림쇠 (47') 및 그 반대쪽에 설치되어 락커(47)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락커 손잡이(4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12)의 상류쪽과 하류쪽을 연결하여 물이 흐르도록 하되 상류쪽이 수문(47)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되어 홍수시에만 물이 흐르는 도수관(18)과, 상기 도수관(18)에 설치되어 홍수시 상기 구동부(40)로 유압을 공급하여 상기 수문(12)이 자동으로 도복되도록 한 홍수 감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홍수 감지부는, 상기 도수관(18) 내부의 물 흐름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40)의 유압실린더(42)로 유압을 공급하는 보조 유압장치(54)에 연결된 수차(53)와, 상기 도수관(18)내에 설치되고 무게추(52) 및 자중에 의해 하강 회전되어 물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문비(51)와, 상기 차단문비(51)와 상기 위치 고정부의 락커(47)를 연결하여 상기 차단문비(51)가 회전될 때 상기 락커(47)를 후퇴시키는 락커용 로프(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제방 옹벽(10)과 마지막 회동 지지대(20) 사이의 에이프 런(13)에 형성된 함몰부(13")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함몰부(13")의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가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덮개판(5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50)는, 일단이 상기 이동봉(15)에 연결된 연결로프(41)의 끝단이 고정되는 로프 고정대(44')와, 상기 연결로프(41)를 안내하는 도르레가 내장되고 유압실린더(42')의 피스톤(43')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봉(15)을 이동시키는 고정 바(46')와, 상기 함몰부(13")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42')를 지지하는 실린더 지지대(58)와, 상기 고정 바(46')의 끝단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 바(46')가 처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지지 롤러(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동식 가동보.
KR1020050015868A 2005-02-25 2005-02-25 회동식 가동보 KR20060095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68A KR20060095022A (ko) 2005-02-25 2005-02-25 회동식 가동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5868A KR20060095022A (ko) 2005-02-25 2005-02-25 회동식 가동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022A true KR20060095022A (ko) 2006-08-30

Family

ID=37602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5868A KR20060095022A (ko) 2005-02-25 2005-02-25 회동식 가동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0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19B1 (ko) * 2007-11-30 2009-07-02 김관중 수직 이중 도르래
CN106638492A (zh) * 2016-11-17 2017-05-10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919B1 (ko) * 2007-11-30 2009-07-02 김관중 수직 이중 도르래
CN106638492A (zh) * 2016-11-17 2017-05-10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CN106638492B (zh) * 2016-11-17 2020-03-31 安徽艺河智能活动坝科技有限公司 一种活动坝支撑杆人工解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577B1 (ko) 상,하 분리되어 힌지로 결합된 이중 구조의 롤러 게이트
JP5333872B2 (ja) 水門
KR101355949B1 (ko) 플랩게이트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1302203B1 (ko) 하천의 수위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가동식 수문장치
KR200460432Y1 (ko) 누수 방지된 수문개폐장치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KR100838201B1 (ko) 장애물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수문
KR101075941B1 (ko) 수문조절장치
KR100768155B1 (ko) 슬라이드형 자동 수문
KR100994564B1 (ko) 언주높이를 낮추고 와류가 발생하지 않는 수문장치와 이의 설치방법
KR101563886B1 (ko) 상부 돌출높이 최소화를 고려한 지하터널용 수문 시스템
JP4073195B2 (ja) 水圧駆動式の防水装置
JP3544503B2 (ja) 作動装置付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101317313B1 (ko) 인양 및 전도수문 일체형 복합게이트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JP3544523B2 (ja) 補助作動装置付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200341004Y1 (ko) 수압식 수문 장치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1322010B1 (ko) 수문장치
KR101013188B1 (ko) 유압구동방식의 수문
KR100953440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40105680A (ko) 하향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