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793Y1 - 수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793Y1
KR200215793Y1 KR2020000027138U KR20000027138U KR200215793Y1 KR 200215793 Y1 KR200215793 Y1 KR 200215793Y1 KR 2020000027138 U KR2020000027138 U KR 2020000027138U KR 20000027138 U KR20000027138 U KR 20000027138U KR 200215793 Y1 KR200215793 Y1 KR 200215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ydraulic
opening
gate
flo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열
Original Assignee
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열 filed Critical 한상열
Priority to KR2020000027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7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793Y1/ko

Links

Landscapes

  • Barr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정전시에도 정상적으로 담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는, 수문 개폐용 유압실린더에 연결되는 유압라인과,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는 개폐밸브와, 개폐밸브를 작동하는 레버와, 담수에 부유하는 부유판과, 담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판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과, 피니언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레버를 작동하는 레버가동부로 구성되며, 담수량에 의해 그 수위가 높아지면 부유판과 래크가 상승하며, 래크의 승강운동은 피니언을 통하여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레버가동부에 전달되고, 레버가동부가 레버를 작동하여 유압라인을 개방함으로써 유압실린더가 수문을 개폐 작동시킨다.

Description

수문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SHUTTING WATERGATE}
본 고안은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시에도 수문이 정상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경지 등에 부족한 물을 보충하거나, 홍수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또는 농수로의 수로를 개폐시키는 수문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문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방(1)의 배수로에는 수문(2)이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좌우 양측의 상단부가 포스트(3)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배수로를 개폐시키며, 수문(2)은 유압실린더(4)에 의해 개폐된다.
유압실린더(4)는 담수의 반대측에 배치되면서 양단부가 포스트(3)와 수문(2)에 각각 연결되며, 수위센서(미도시)로부터 검출되는 담수의 수위에 따라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작동된다.
이러한 종래 수문 개폐장치는, 담수의 수위에 따라 컨트롤러가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켜 수문(2)을 개방시키면 수문(2)과 배수로 사이를 통하여 담수가 방류되며, 담수가 방류되어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수문(2)을 폐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유압실린더(4)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에 따르면, 정전시에는 유 압실린더(4)가 작동되지 못하여 담수가 적정수위를 넘게 되어도 수문(2)이 배수로를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담수가 범람하여 제방 시설이 파괴되며, 담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정전시에도 수문이 정상적으로 개폐 작동되도록 한 수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수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방 2 : 수문
4 : 유압실린더 10 : 부유판
20 : 동력전달수단 21 : 래크
22 : 피니언 23 : 레버가동부
30 : 유압라인 40 : 유압라인 개폐밸브
50 : 레버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수문 개폐장치는, 수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수문을 개폐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라인과; 상기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을 온/오프 제어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유압라인 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레버와; 담수에 부유하는 부유판과; 상기 부유판의 승강에 따른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부유판에 고정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한편,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래크의 직선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레버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문 개폐장치(100)는 담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유판의 높이차에 따라 수문 개폐용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에도 수문이 개방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담수에 부유하는 부유판(10)과, 부유판(10)의 승강에 의해 수문(2)이 개폐되도록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20)과, 유압실린더(4)에 연결된 유압라인(30)과, 유압라인(30)에 연결되어 유압라인(30)을 개폐하는 밸브(40)와, 동력전달수단(2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유압라인 개폐밸브(40)를 개폐 작동하는 레버(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유판(10)은 담수에 떠 있으며, 담수가 부유판(10)을 범람하지 않도록 담수 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동력전달수단(20)이 연결된다.
동력전달수단(20)은 부유판(10)의 하단 중앙부에 결합되는 래크(21) 및 래크(21)에 치합되는 피니언(22)과 상기 피니언(22)으로부터 동축으로 연결되고 유압라인 개폐밸브(40)의 레버(50)에 연결되어 레버(50)를 회전조작하는 레버 가동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부유판(10)이 좌우 비틀림없이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부유판(10)의 좌우 양측에는 가이드바(24)가 각각 설치된다.
유압라인(30) 및 유압라인 개폐밸브(40)는 컨트롤러의 제어를 통하여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키는 유압라인과 별도로 연결되어 유압실린더(4)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수문 개폐장치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유판(10)은 상시 담수의 적정수위보다 약간 높은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이는, 담수가 적정 수위이내일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담수량이 많아져 담수가 적정 수위(유압실린더(4)가 작동하여 수문(2)을 개방시켜야 하는 수위)를 넘게 되면 담수의 수압에 의하여 부유판(10)이 상승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래크(21)가 상승하게 된다.
래크(21)의 직선 상승운동은 피니언(22)을 통하여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레버 가동부(23)에 전달되며, 레버 가동부(23)의 회전운동에 의해 레버(50)가 회전하면서 유압라인 개폐밸브(40)를 작동하여 유압라인(30)를 개방시킨다.
유압라인(30)을 통하여 유압실린더(4)에 오일이 공급되어 유압실린더(4)가 작동하면서 수문(2)이 배수로를 개방시켜 담수가 방류된다.
담수가 방류되면서 담수의 수위가 점점 낮아지게 되면, 부유판(10)과 래크(21)가 하강하며, 이로써, 피니언(22)이 부유판(10)의 상승시와 반대로 회전하면서 레버(50)가 개폐밸브(40)를 작동시켜 유압라인(30)을 폐쇄시키게 되고, 유압실린더(4)에 의해 수문(2)이 배수로를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판(10)의 물리적인 힘에 의해 유압실린더(4)가 작동되어 정전시에도 유압실린더가 수문을 개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수문 개폐장치에 의하면, 물리적 힘에 의해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정전시에도 수문이 정상적으로 개폐되므로 담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담수의 범람으로 인한 제방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문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수문을 개폐 작동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라인과;
    상기 유압라인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압라인을 온/오프 제어하는 개폐밸브와;
    상기 유압라인 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작하는 레버와;
    담수에 부유하는 부유판과;
    상기 부유판의 승강에 따른 직선운동에 의해 상기 유압실린더가 작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부유판에 고정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한편, 상기 레버에 연결되어 상기 래크의 직선 승강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레버를 조작하는 레버가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장치.
KR2020000027138U 2000-09-27 2000-09-27 수문 개폐장치 KR200215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38U KR200215793Y1 (ko) 2000-09-27 2000-09-27 수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138U KR200215793Y1 (ko) 2000-09-27 2000-09-27 수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793Y1 true KR200215793Y1 (ko) 2001-03-15

Family

ID=7305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138U KR200215793Y1 (ko) 2000-09-27 2000-09-27 수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7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04B1 (ko) 2009-04-30 2011-07-04 전동수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265968B1 (ko) 2012-11-23 2013-05-28 (주)지서산업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문
CN109303493A (zh) * 2018-11-20 2019-02-05 中山市掌声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由齿轮、拔杆控制阀门的内锅加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404B1 (ko) 2009-04-30 2011-07-04 전동수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1265968B1 (ko) 2012-11-23 2013-05-28 (주)지서산업 잠금장치가 구비된 수문
CN109303493A (zh) * 2018-11-20 2019-02-05 中山市掌声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由齿轮、拔杆控制阀门的内锅加热装置
CN109303493B (zh) * 2018-11-20 2024-04-26 中山市掌声电器有限公司 一种由齿轮、拔杆控制阀门的内锅加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20060109710A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100327394B1 (ko) 자연 수문 개폐 장치
KR200323111Y1 (ko) 유압식 수문설치 구조
WO2019131212A1 (ja) 油圧制御装置
KR200215792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1046404B1 (ko) 유압식 수문의 권양 장치
KR100769345B1 (ko) 전도수문용 전도장치
KR200205613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100245631B1 (ko) 수문개폐기의 수문자동정지장치
KR101202137B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KR100577849B1 (ko) 수압을 이용한 하천 수문 자동개폐장치
KR200219534Y1 (ko) 수문
KR100631472B1 (ko) 유압식 수문설치 구조
KR100953440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200232484Y1 (ko) 수문
KR100481908B1 (ko)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KR200246809Y1 (ko) 수문의 개폐장치
KR100702205B1 (ko) 케이블 견인식 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