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1908B1 -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 Google Patents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1908B1
KR100481908B1 KR10-2001-0055157A KR20010055157A KR100481908B1 KR 100481908 B1 KR100481908 B1 KR 100481908B1 KR 20010055157 A KR20010055157 A KR 20010055157A KR 100481908 B1 KR100481908 B1 KR 100481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water supply
hole
water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1748A (ko
Inventor
이홍규
이홍수
Original Assignee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1-0055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190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19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수지의 수로를 차단하고 있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수로의 담수를 용수공급지로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 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비용 및 인력이 많이 소모되고 용수를 적절한 시기에 용이하게 공급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방(300)의 사이의 수로(200)를 차단하는 수문(100) 상측에는 구멍(110)을 형성하되 보조수문(120)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구멍(11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방(300)에는 수로(200)와 용수공급지(500)를 서로 관통하는 용수공급로(310)를 형성하므로서, 수로(200)의 담수(210)를 용수공급지(500)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수문(120)으로 구멍(110)을 막아 담수(210)의 수위가 수문(100)의 상단까지 위치되도록 하고, 용수공급지(310)로의 용수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수문(120)을 열어 수문(100)에 구멍(110)이 노출되도록 하여 담수(210)의 수위가 수문(100)의 구멍(110) 저면까지 유지되도록 하므로서 담수(210)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수공급지(500)로의 용수공급을 저렴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Structure for floodgate of irrigation reservoir installed in support floodgate}
본 발명은 유수지에 설치되는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필요에 따라 수문에 의해 저장되는 유수지의 저수량을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비 없이 용수가 필요한 곳에 유수지의 용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수지는 하천 연안에 있는 호수 또는 평지나 넓은 하도(河道) 안에 일시적으로 홍수량(洪水量)의 일부를 저수(貯水)하는 곳으로서, 하천을 완전히 제방으로 둘러쌓아 물을 저수하고 저수한 물은 하천의 물이 감수함에 따라 제방의 일부에 형성되는 수문 등에 의하여 하천으로 되보내진다.
또한 상기 수문과 제방에 의해 저수된 담수는 필요에 따라 논과 같은 용수공급지에 용수로서 공급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제방에 형성되는 수로와 상기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의 설치상태를 도 1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제방(30)의 내측으로는 권양기(11)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수문(10)이 설치되어 권양기(11)의 작동에 따라 수문(10)이 수로(20)에서 상승 및 하강되면서 수로(20)에 저수되는 담수(21)의 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문(10)이 하강되어 수로(20)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고여있게 되면 그 담수(21)는 용수공급지(50)에 공급되는 용수(51)로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수로(20) 내부에 고여있는 담수(21)를 용수공급지(50)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펌프(40)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용수공급지(50)에 용수(51)를 공급함에 있어 펌프(40)와 같은 장비를 사용할 경우 인력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펌프(40)가 고장시에는 용수공급지(50)에 용수(51)를 적절히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로의 수문에 개폐가 가능한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여 수로에 저장되는 담수의 량을 간단히 조절하면서 펌프와 같은 장비없이 수로의 담수를 용수공급지에 간단하고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제방의 사이의 수로를 차단하고 있으며 권양기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한 수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문 상부 양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은 핸들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면서 보조수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멍의 하단 보도 상측에 위치하는 제방의 일측에는 수로와 용수공급지를 관통하는 용수공급로를 형성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로의 담수를 용수공급지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수문으로 구멍을 막아 담수의 수위가 수문의 상단까지 위치되도록 하여 용수가 용수공급로를 통해 용수공급지로 자연유하되면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용수공급지로의 용수공급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수문을 열어 수문에 구멍이 노출되도록 하므로서 담수의 수위가 수문의 구멍 저면까지 유지되도록 함에 따라 용수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은 본 발명에 따라 수문에 구멍과 보조수문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수문에 설치된 보조수문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수문에 설치된 보조수문의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방의 수로에 차단하며 권양기에 의해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수문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문(100)의 상부 양측에 관통된 구멍(110)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110)의 상측에는 핸들(122)에 의해 승하강이 되면서 구멍(1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 보조수문(120)을 설치하며, 상기 구멍(110)의 하단 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일측 제방(300)에는 용수공급지(500)와 수로(200)를 관통하는 용수공급로(310)를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30)은 수문(100)을 승하강시켜주는 권양기이며, (121)은 보조수문(120)의 전면이 나사결합되는 볼트이고, (210)은 수문(100)에 의해 차단된 수로(200) 내부에 담수이며, (510)은 용수공급지(500)로 공급된 용수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방(300)의 수로(200)에 구비되는 수문(100)의 상부 양측으로 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110)은 보조수문(120)에 의해 개폐가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수문(100)에 의해 저장되는 담수(210)의 량을 보조수문(120)에 구비된 구멍(110)의 하단까지나 수문(100)의 상단까지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수로(200)와 용수공급지(500)를 관통하는 용수공급로(310)는 상기 보조수문 (120)에 구비된 구멍(110)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필요에 따라 보조수문(120)을 개폐하면서 담수(210)를 용수공급지(500)에 공급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문(100)의 상부 양측에 서로 대칭을 이루며 관통된 구멍(110)이 형성됨에 따라 수문(100)에 의해 저장되는 담수(210)의 수위는 상기 구멍(110)의 하단까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멍(110)의 상부에는 보조수문(120)을 형성하되 보조수문(120)은 볼트(121)와 나사결합이 되어 있고 볼트(121)의 상부에는 핸들(122)이 구비됨에 따라 핸들(122)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보조수문(120)이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보조수문(120)이 상승하게 되면 구멍(110)이 노출되면서 수로(200)의 담수(210) 수위가 구멍(110)의 하단까지 유지되는 것이며, 보조수문 (120)을 하강하여 구멍(110)을 차단하게 되면 수로(200)의 담수(210) 수위는 수문(100)의 상단까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수로(2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방(300)에는 용수공급지(500)와 수로 (200)를 서로 관통하는 용수공급로(310)를 형성하되, 상기 용수공급로(310)의 설치위치는 수로(200)의 담수량이 가변되는 부위, 즉 보조수문(120)이 설치된 구멍 (110)의 하단과 수문(10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함에 따라 도 3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멍(110)이 보조수문(120)에 의해 차단되면 수로(200)의 수위가 수문 (100)의 상단까지 유지되면서 담수(210)의 일부가 용수공급로(310)를 통해 자연유하되어 용수공급지(500)로 공급되는 것이며,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구멍(110)이 노출되면 수로(200)의 담수(210) 수위는 구멍(110)의 하단까지 유지되면서 담수 (210)가 용수공급로(310)로 이동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용수공급지(500)로 용수 (510)의 공급을 중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방 사이에 구비되는 수로의 수문에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은 보조수문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수로에 저장되는 담수의 수위를 보조수문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제방 일측에는 용수공급지와 연결되는 용수공급로를 형성하여 보조수문의 개폐에 따라 수로에 저장된 담수의 수위가 조절되면서 용수공급지로 담수가 공급 또는 중단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용수공급을 별도의 장비없이 간단하고 저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유수지에 저장된 담수로부터 용수공급지로 용수를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라 수문의 구멍에 보조수문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보조수문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라 보조수문의 다른 작동상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문 110 : 구멍
120 : 보조수문 122 : 핸들
200 : 수로 300 : 제방
310 : 용수공급로 500 : 용수공급지

Claims (1)

  1. 권양기(130)에 의해 수문(100)이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제방 사이의 수로를 차단하고, 수문(100)의 상부 양측에 형성한 구멍(110)이 핸들(122)로 승하강되는 보조수문(120)에 의해 개폐되게 한 유수지의 수문 구조에 있어서,
    수로(200)와 용수공급지(500)를 관통하는 용수공급로(310)를 제방(300)에 형성하되 그 용수공급로(310)의 위치를 상기 구멍(110)의 하단과 수문(100)의 상단 사이에 위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KR10-2001-0055157A 2001-09-07 2001-09-07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KR10048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57A KR100481908B1 (ko) 2001-09-07 2001-09-07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57A KR100481908B1 (ko) 2001-09-07 2001-09-07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021U Division KR200259261Y1 (ko) 2001-09-12 2001-09-12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48A KR20030021748A (ko) 2003-03-15
KR100481908B1 true KR100481908B1 (ko) 2005-04-13

Family

ID=27723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157A KR100481908B1 (ko) 2001-09-07 2001-09-07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19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358B1 (ko) * 2008-06-12 2010-11-15 신정희 관개수로용 수문
KR101545046B1 (ko) * 2013-02-25 2015-08-17 이병순 노즐형 수중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932U (ko) * 1996-02-29 1997-09-08 배수 블럭의 분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1932U (ko) * 1996-02-29 1997-09-08 배수 블럭의 분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358B1 (ko) * 2008-06-12 2010-11-15 신정희 관개수로용 수문
KR101545046B1 (ko) * 2013-02-25 2015-08-17 이병순 노즐형 수중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48A (ko) 200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918B1 (ko) 펌프일체형수문
KR100481908B1 (ko)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KR200259261Y1 (ko) 보조수문이 구비된 유수지의 수문구조
KR200246774Y1 (ko) 수문 개폐장치
KR100432521B1 (ko) 안전 스크린이 구비된 하단 배출 겸용 전도식 자동수문
KR100514954B1 (ko) 하향식 가동보
KR102064133B1 (ko) 댐의 보조 수문장치.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0175093Y1 (ko) 자동 배수가 가능한 인양식 수문
KR200215632Y1 (ko) 하수맨홀용 개폐밸브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200236296Y1 (ko) 유동흰지의 작용에 의해 수직 또는 전,후 작동이 되도록구성되는 자동수문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200377424Y1 (ko) 하천수량에 따라 배수량조절이 가능한 수문장치
KR200168461Y1 (ko) 자동개폐 수문
KR200355826Y1 (ko) 하천용 수문
KR200235987Y1 (ko) 간략한 구조의 자동수문
KR200411809Y1 (ko) 유압식 수문개폐장치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KR20140112726A (ko) 수문
KR20000036764A (ko) 내·외수위 자동조절수문을 부착한 로라게이트
KR200340318Y1 (ko) 부력 및 수압식 가동언(수문)
KR200232484Y1 (ko) 수문
KR200199884Y1 (ko) 수문
JP2003055947A (ja) 水田用給水ゲ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