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845B1 -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845B1
KR100256845B1 KR1019980007144A KR19980007144A KR100256845B1 KR 100256845 B1 KR100256845 B1 KR 100256845B1 KR 1019980007144 A KR1019980007144 A KR 1019980007144A KR 19980007144 A KR19980007144 A KR 19980007144A KR 100256845 B1 KR100256845 B1 KR 100256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hinge
clo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7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301A (ko
Inventor
노종호
Original Assignee
노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호 filed Critical 노종호
Priority to KR1019980007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68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01G22/22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il Sciences (AREA)
  • Control Of Non-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로나 기타 저수지등의 농업용수를 원하는 양만큼 자동적으로 논으로 공급시켜 주기위한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입수구와 배수구를 가진 함체상의 케이싱내부에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급수제어구조를 마련하여 논의 담수위가 원하는 수위에서 미달하면 급수제어구조가 자동적으로 농업용수를 퍼 올릴수 있는 양수기의 작동스위치를 온 시켜 급수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반대로 원하는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양수기의 작동스위치를 오프시켜 더 이상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논의 담수위를 항상 원하는 범위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수의 공급에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의 불필요한 손실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본 발명은 수로나 기타 저수지, 지하수등의 농업용수를 원하는 양만큼 자동적으로 논으로 공급시켜 주기위한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입수구와 배수구를 가진 함체상의 케이싱내부에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배수구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급수제어구조를 마련하여 논의 담수위가 원하는 수위에서 미달하면 급수제어구조가 자동적으로 농업용수를 퍼 올릴수 있는 양수기의 작동스위치를 온 시켜 급수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반대로 원하는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양수기의 작동스위치를 오프시켜 더 이상의 급수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논의 담수위를 항상 원하는 범위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수의 공급에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의 불필요한 손실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논에 담겨지는 물은 벼의 생육정도에 따라서 그 담수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모의 성장기에는 비교적 많은량의 용수가 필요하게 되며 벼의 수확기에는 수분의 섭취가 거의 없으며 수확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의적으로 물을 빼주게 되는 것이며, 그 외에도 기후의 조건 즉 가뭄이나 장마등의 발생시 역시 담수위를 조절하여야 하는 것인바, 논의 용수 공급시 기존에는 논둑에 수로와 연결되는 관체상의 물꼬의 입구측 연부에 단순히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평판상의 개폐판만이 힌지 고정되는 구성을 갖는 물꼬를 두고 이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급수를 행하거나, 그외에도 논둑을 일정폭으로 파낸 다음 이의 양측에 "ㄷ"자형의 지지틀을 고정시킨 다음 이에 별도의 개폐판을 상하로 삽탈 가능하게 장착시켜 주는 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며, 상기 물꼬가 구비되지 않은 논에는 양수기를 이용하여 수로나 지하수등을 퍼올려 급수하게 되는 것으로써
⊙ 이들은 공통적으로 논에 유입되는 수위를 관찰하면서 일일이 물꼬나 양수기를 조작하여 용수의 공급을 제어하여야만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많아지는 폐단이 있는 것이며,
⊙ 상기한 전자의 힌지 개폐식 급수용 물꼬의 구성은 개폐판의 상단이 단순히 물꼬의 입구 상측에 힌지 고정되는 것이므로 물꼬의 폐쇄시 수로를 흐르는 물결의 흐름에 의해 물꼬의 입구측 저부에서 물살의 와류현상이 초래되고 이로인해 개폐판이 벌어지게 되어 불필요한 급수가 초래되는 것이며,
⊙ 물꼬의 개방시 젖혀진 개폐판이 단순히 고정판에 기대어 있는 상태이므로 이 또한 물살에 의해 유동되어 무단으로 닫혀질 우려가 많아 무단으로 급수의 중단되는 경우가 허다한 것으로 급수상태에 안정성을 기할 수 없는 폐단이 있는 것이며,
⊙ 개폐판이 단순한 평판상으로 구성되는 관계로 물꼬 입구와 면(面)상태으로 접촉되어 입구와의 사이에 틈새를 발생시키는 것이어서 유동이 쉽고 정밀한 밀폐가 어려워 개폐기능에 완벽성을 기할 수 없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 후자의 개폐판 삽탈식 구조는 개폐판이 단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므로 완전 개폐의 기능만을 갖는 것이므로 입수량의 조절이 다단계로 이루어 질 수 없어 수시로 논의 수위를 관찰하여야 하는등 입수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것이며,
⊙ 지지틀은 개폐판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개폐판의 두께보다 약간 큰 폭의 홈을 갖는 것이므로 개폐판과 틀사이의 틈새가 커지므로써 물꼬의 차폐성이 악화되어 무단으로 유입되는 입수량이 많아 지므로 인해 수위의 조절기능에 완벽성을 기할 수 없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급수용 물꼬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논의 담수위를 항상 원하는 범위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수의 공급에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기할 수 있음은 물론 용수의 불필요한 손실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논둑에 고정 설치되어 외부의 물을 유입시켜 논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수구와 배수구를 갖는 함체상의 케이스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내에 입수구측와 배수구측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입수구측으로 유입된 용수를 배수구측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용수 유통관이 구비되는 격리판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논의 수위에 따라 용수 유통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과 동시에 양수기의 작동스위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급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힌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와, 이 로드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는 개폐밸브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부구로 구성되는 급수제어구조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를 보이는 요부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에서의 작동을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부구의 높낮이조절구조를 보이는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p:양수기 sw:작동스위치
10:케이스 11:입수구
11':입수구측 12:배수구
12':배수구측 20:격리판
21:용수 유통관 30:급수제어구조
31:힌지 32:부력전달로드
33:밸브제어로드 34:밸브
35:부구 36:눈금부
37:안내장공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에서의 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양수기(p)에서 공급되는 외부의 물을 유입시켜 논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입수구(11)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구(12)를 갖는 함체상의 케이스(10)를 논둑에 고정 설치시키며, 상기 케이스(10)내부에는 상호 분리된 영역의 입수구측(11')과 배수구측(12')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입수구측(11')으로 유입된 용수를 배수구측(12')으로 유통시킬 수 있도록 용수 유통 관(21)을 일체로 구비하는 격리판(20)을 입설 고정시킨다.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용수 유통관(2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급수제어구조(30)를 설치하게 되는 바, 이 급수제어구조(3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상기 격리판(20)의 상단에는 힌지(31)를 고정시키고 이 힌지(31)에는 배수구측(12')에 위치되는 부력전달로드(32)를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되, 부력전달로드(32)의 단부에는 입수구측(11')에 위치되는 밸브제어로드(33)를 유동가능하게 연결시켜 부력전달로드(32)와 연동되도록 한다.
상기 밸브제어로드(33)와 부력전달로드(32)의 단부에는 각각 밸브제어로드(33)의 동작에 따라서 용수 유통관(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밸브(34)와, 부구(35)를 설치하되 밸브(34)는 용수 유통관(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시키며, 부구(35)는 눈금부(36)가 연부에 형성된 안내장공(37)에서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밸브(34)의 개방시에는 급수를 위해 양수기(p)가 구동되도록 "온"시키고 밸브(34)의 폐쇄시에는 단수를 위해 양수기(p)가 정지되도록 "오프"시킬 수 있도록 부력전달로드(32)와 연관 동작되게 양수기(p)의 작동스위치(sw)를 구성시킨다.
* 도면의 중요부분에 미설명 부호
(40)는 논바닥이며, (41)는 수면이고,
(42)는 양수기(p)에 연결된 용수 이송파이프이며,
(43)는 케이스의 덮개이며, (44)는 위치조절용 너트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는 도 2의 가상선 상태에서는 논바닥(40)에 담수가 없거나 원하는 수위이하의 상태로서 부구(35)는 하강되어 있는 상태이며, 밸브제어로드(33)는 상승되어 밸브(34)가 용수 유통관(21)을 개방하고 있게 된다.
또한 작동스위치(sw)는 "온" 상태로 되어 양수기(p)가 구동하면서 용수 이송파이프(42)를 통해 수로 또는 지하수등의 수원지에서 농업용수를 공급시키게 된다.
양수기(p)에서 공급되는 물은 케이스(10)의 입수구(11)를 통해 입수구측(11')으로 유입되어 개방된 용수 유통관(21)을 통해 배수구측(12')으로 이동되어 배수구(12)를 통해 논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계속적인 용수의 공급으로 논바닥(40)의 수위가 서서히 상승되면 부구(35)는 부력에 의해 상승되면서 부력전달로드(32)가 힌지(31)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밸브제어로드(33)를 하강시켜 밸브(34)가 서서히 용수 유통관(21)을 닫아주게 한다.
논바닥(40)의 수위가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부구(35)는 실선과 같이 상승되고 밸브(34)는 완전히 용수 유통관(21)을 폐쇄시킴과 아울러 부력전달로드(32)가 작동스위치(sw)를 눌러 "오프" 시킴으로써 양수기(p)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더 이상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용수의 손실과 전원의 낭비를 억제하며 정확한 급수량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논바닥(40)의 담수위를 현재의 수위보다 높이거나 낮추고자하는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너트(44)를 약간 풀러 부구(35)가 안내장공(37)에서 이동될 수 있게 구속을 해제한 다음 눈금부(36)를 기준으로 적정 높이로 올리거나 내려준 다음 그 위치에서 너트를 조여 부구(35)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논의 담수위가 소정의 원하는 수위에 도달하면 자동적으로 양수기의 구동정지와 용수 유통공의 차단이 이루어 지게 되어 논의 수위를 항상 원하는 범위로 자동 조절시킬 수 있게 되므로 기존과 같이 사용자가 직접 논의 수위를 일일이 관찰하여 용수의 공급량조절을 위해 빈번하게 물꼬를 조작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용수의 공급에 시간과 인력의 절감을 기할 수 있는 것이며, 부구의 높낮이 조작으로 논의 수위를 기후 및 시기에 따라서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며, 급수량의 제어가 완벽하여 정확한 량의 용수를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용수의 불필요한 손실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수기에서 공급되는 외부의 물을 유입시켜 논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논둑에 고정 설치되며 입수구(11)와 이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수구(12)를 갖는 함체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내부에 입설 고정되어 상호 분리된 영역의 입수구측(11')과 배수구측(12')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입수구측(11')으로 유입된 용수를 배수구측(12')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용수 유통관(21)을 일체로 구비하는 격리판(20)과 상기 격리판(20)의 상단에 설치되는 힌지(31)와, 이 힌지(31)에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배수구측(12')에 위치되는 부력전달로드(32)와, 이 부력전달로드(32)와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입수구측(11')에 위치되는 밸브제어로드(33)와, 상기 밸브제어로드(33)의 단부에 유설되는 상태로 용수 유통관(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밸브제어로드(33)의 동작에 따라서 용수 유통관(2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기위한 밸브(34)와, 상기 부력전달로드(3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안내장공(37)과, 이 안내장공(37)내에 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부구(35)와, 상기 부구(35)의 승강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눈금부(36)를 포함하는 급수제어구조(30) 상기 밸브(34)의 개방시 급수를 위해 "온" 되고 밸브(34)의 폐쇄시 단수를 위해 "오프" 가 되도록 부력전달로드(32)와 연관 동작되는 양수기(p)의 작동스위치(sw)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19980007144A 1998-03-04 1998-03-04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0256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144A KR100256845B1 (ko) 1998-03-04 1998-03-04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7144A KR100256845B1 (ko) 1998-03-04 1998-03-04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01A KR19980019301A (ko) 1998-06-05
KR100256845B1 true KR100256845B1 (ko) 2000-06-01

Family

ID=19534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7144A KR100256845B1 (ko) 1998-03-04 1998-03-04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68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50B1 (ko) * 2008-12-05 2009-03-04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
KR100902091B1 (ko) * 2009-01-12 2009-06-09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
GB2561371A (en) * 2017-04-11 2018-10-17 Wai Wong Ka Irrig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06628B (zh) * 2020-08-30 2022-09-02 河南省景观规划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农业灌溉系统灌溉水量自动化控制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50B1 (ko) * 2008-12-05 2009-03-04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
KR100902091B1 (ko) * 2009-01-12 2009-06-09 주식회사 파워텍시스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
GB2561371A (en) * 2017-04-11 2018-10-17 Wai Wong Ka Irrigation system
GB2561371B (en) * 2017-04-11 2019-07-31 Wai Wong Ka Irrig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0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214288Y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JP2687225B2 (ja) 水田潅がい用水の自動潅水方法
KR20110125057A (ko) 자동 어도 장치
KR20170000599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10008334A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970003585B1 (ko) 자동 물꼬장치
KR200199239Y1 (ko) 농업용 급수장치
JP3830597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
JP3670426B2 (ja)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KR100226204B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100226205B1 (ko) 농업용 자동 급수장치
JP3848778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
KR100902091B1 (ko) 개수로용 농업용수 자동 공급장치
KR970001091B1 (ko) 자동 분수장치
JP3848739B2 (ja) 水田の水位調節装置
KR100853502B1 (ko) 관로용 물 주입장치
JP3670480B2 (ja) 水田の水位調整ユニットおよび水田の水位調整システム
JPH09140279A (ja) 排水弁
SU1317062A1 (ru) Мелиоративна система польдерного типа
KR20000003683U (ko) 수로용 수문
JPH04202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