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99A - 관개수로용 수문 - Google Patents

관개수로용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99A
KR20170000599A KR1020150089724A KR20150089724A KR20170000599A KR 20170000599 A KR20170000599 A KR 20170000599A KR 1020150089724 A KR1020150089724 A KR 1020150089724A KR 20150089724 A KR20150089724 A KR 20150089724A KR 20170000599 A KR20170000599 A KR 20170000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ort
irrigation
side wall
suppor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희
Original Assignee
신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희 filed Critical 신정희
Priority to KR102015008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99A/ko
Publication of KR20170000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8Roof or double shutter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관개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제거 시 관개수로에서 수문을 분리할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의 일측벽 내측 및 타측벽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폐쇄 및 개방시키면서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하류로 흘려보내는 제 1 수문부; 및 제 1 수문부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논으로 안내하는 제 2 수문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논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급수공이 형성되되, 급수공은 관개수로의 일측벽 또는 타측벽을 관통하여 논으로 연장되는 급수관의 유입단부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관개수로용 수문{WATERWAY FOR A FLOODGATE}
본 발명은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개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제거 시 관개수로에서 수문을 분리할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농업용수라 하며,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논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개수로와 논을 구획하는 논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논으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논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즉 모내기철이 되면 급수로를 터서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내기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급수로에는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수문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은, 관개수로의 일측벽에 콘크리트 구조로 문틀을 시공하여 문틀 내에 금속재 등의 수문을 설치하고, 문틀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개폐 핸들이 회전축 하단과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문 개폐 핸들의 조작으로 수문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수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의 수문은 관개수로의 측벽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기 어렵고,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해서는 흙이 담긴 포대 등으로 관개수로를 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둘째, 종래의 수문으로는 관개수로를 흐르는 차가운 농업용수가 그대로 유입되기 때문에 급수로에 인접하게 식생 된 벼는 차가운 농업용수로 인하여 냉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수문으로는 급수로를 통해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유입되기 때문에 급수로에 인접한 논바닥의 높이가 상승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전술한 종래의 수문은 관개수로에 고정 장착되기 때문에 굴삭기 등을 이용한 관개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제거 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2010-0037393 호(공개일자: 2010년 04월 09일)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은 태양의 복사열을 받아 수온이 상승되도록 관개수로를 따라 안내된 농업용수를 가둘 수 있고,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의 표층수만을 논으로 공급함으로써, 차가운 농업용수의 공급으로 인한 벼의 냉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으며, 농업용수와 함께 흙 및 기타 이물질 등이 논으로 유입되는 곳을 막을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관개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제거 시 관개수로에서 수문을 분리할 수 있게 하는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관개수로용 수문에 있어서, 관개수로의 일측벽 내측 및 타측벽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폐쇄 및 개방시키면서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하류로 흘려보내는 제 1 수문부; 및 제 1 수문부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논으로 안내하는 제 2 수문부;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논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급수공이 형성되되, 급수공은 관개수로의 일측벽 또는 타측벽을 관통하여 논으로 연장되는 급수관의 유입단부와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개수로의 일측벽 내측 및 관개수로의 타측벽 내측에는 제 1 지지플레이트 및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브라켓 및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제 1 지지브라켓은 일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 1 지지브라켓 사이에 제 1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제 2 지지브라켓은 타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 2 지지브라켓 사이에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되,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에는 각각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홈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제 1 및 제 2 끼움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제 1 끼움홈은 제 1 지지브라켓을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제공되고, 제 2 끼움홈은 제 2 지지브라켓을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및 제 2 끼움돌기는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서 양측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제 1 지지브라켓들의 외측면, 및 어느 하나의 제 2 지지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제 2 지지브라켓들의 외측면 상에는 제 1 끼움홈에 끼워진 제 1 끼움돌기 및 제 2 끼움홈에 끼워진 제 2 끼움돌기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고정브라켓 및 제 2 고정브라켓 나사에 의해 제 1 지지브라켓 및 제 2 지지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수문부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직한 판 형상의 제 1 수문;을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에는 제 1 수문의 일단 및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수문의 상부에는 가이드홈에 제 1 수문을 용이하게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손잡이 바아가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수문부는, 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중 급수공이 형성된 제 1 또는 제 2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되, 일단면 상부 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단면 상에는 급수공과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입하우징;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유입공을 단속할 수 있도록 유입하우징의 일단면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수문; 및 제 2 수문이 유입공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제 2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2 수문 작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수문부가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고 제 2 수문부가 제 1 수문부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 중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수온인 상승한 농업용수를 논 측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차가운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벼의 냉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수문부가 제 1 수문부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 중 표층수만을 논 측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농업용수와 함께 흙 등이 논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수문부을 지지하고 제 2 수문부가 장착된 제 1 및 제 2 플레이트가 관개수로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굴삭기를 이용한 관개수로 바닥 침전물 제거 시 제 1 수문부 및 제 2 수문부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개수로용 수문을 결합하여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수문부의 내부를 보인 도면으로서, 제 2 수문부와 논과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100)은 관개수로(i)의 일측벽 내측 및 타측벽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와,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사이를 폐쇄 및 개방시키면서 관개수로(i)를 흐르는 농업용수(w)를 가두거나 하류로 흘려보내는 제 1 수문부(150), 및 제 1 수문부(150)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w)를 논으로 안내하는 제 2 수문부(160)를 포함한다.
먼저,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면서 관개수로(i)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수직한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이렇게 제공되는 제 1 지지플레이트(110)의 외측면은 관개수로(i)의 일측벽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지지플레이트(120)의 외측면은 관개수로(i)의 타측벽 내측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중 어느 하나는 관개수로(i)를 흐르는 농업용수(w)를 논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급수공(1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급수공(112)은 관개수로(i)의 일측벽 또는 타측벽을 관통하여 논으로 연장되는 급수관(p)의 유입단부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관개수로(i)의 일측벽을 관통하여 논 측으로 연장된 급수관(p)이 도시되어 있으며, 또한 도 1 및 도 2에는 제 1 지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급수공(112)을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개수로(i)의 일측벽 내측 및 타측벽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관개수로(i)의 일측벽 내측에는 제 1 지지플레이트(11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브라켓(130)이 고정 장착되며, 관개수로(i)의 타측벽 내측에는 제 2 지지플레이트(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2 지지브라켓(140)이 고정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지지브라켓(130)은 일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 1 지지브라켓(130) 사이에 제 1 지지플레이트(110)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마찬가지로 한 쌍의 제 2 지지브라켓(140)은 타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제 2 지지브라켓(140) 사이에 제 2 지지플레이트(120)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 140)에는 각각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홈(132, 142)이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양측단부에는 제 1 및 제 2 끼움홈(132, 142)에 끼워지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돌기(114, 1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끼움홈(132)은 제 1 지지브라켓(130)을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2 끼움홈(142)은 제 2 지지브라켓(140)을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자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끼움돌기(114, 124)는 각각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양측단부에서 양측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제공된다. 즉,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를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 140)에 결합 시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제 1 및 제 2 끼움돌기(114, 124)들은 제 1 및 제 2 끼움홈(132, 142)의 수평부를 통해 진입된 후 제 1 및 제 2 끼움홈(132, 142)의 수직부에 삽입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브라켓(130)의 외측면 또는 제 1 지지브라켓(130)들의 외측면 상에는 제 1 지지브라켓(130)에 끼워진 제 1 지지플레이트(110)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고정브라켓(134)이 통상의 나사에 의해 제 1 지지브라켓(130)에 결합되고, 마찬가지로 어느 하나의 제 2 지지브라켓(140)의 외측면 또는 제 2 지지브라켓(140)들의 외측면 상에는 제 2 지지브라켓(130)에 끼워진 제 2 지지플레이트(120)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 2 고정브라켓(134)이 통상의 나사에 의해 제 2 지지브라켓(140)에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고정브라켓(134)은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 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끼움홈(132, 142)에 끼워진 제 1 및 제 2 끼움돌기(114, 124)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의 외측면 상에 밀착된 상태로 통상의 나사에 의해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 140)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130, 1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통상의 앵커볼트 등에 의해 관개수로(i)의 일측벽 및 타측벽에 고정 장착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는 관개수로의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 제거 시 관개수로(i)를 관리하는 관리자만이 분리시킬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브라켓(130)에 결합된 제 1 고정브라켓(134) 및/또는 어느 하나의 제 2 지지브라켓(140)에 결합된 제 2 고정브라켓(144)은 통상의 자물쇠 등과 같은 잠금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사이에는 제 1 수문부(150)가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중 급수공(112)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110, 120)에는 제 2 수문부(160)가 장착된다.
제 1 수문부(150)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제 1 수문(152)을 포함한다.
제 1 수문(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제 1 수문(152)의 양단부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를 위해서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내측면 상에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154)이 장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154)에는 가이드홈(156)이 가이드레일(154)을 따라 마주보게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54)의 가이드홈(156)에는 제 1 수문(152)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데, 이렇게 끼워진 제 1 수문(152)이 가이드레일(154)에 끼워져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110, 120) 사이를 폐쇄하면 관개수로(i)를 흐르는 농업용수(w)는 제 1 수문(152)에 의해 가두어지게 되고, 제 1 수문(152)을 가이드레일(154)에 분리시키면 가두어져 있던 농업용수(w)는 하류로 흐르게 된다.
한편, 제 1 수문(152)의 상부에는 제 1 수문(152)을 용이하게 가이드레일(154)의 가이드홈(156)에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손잡이 바아(158)의 하부가 고정 장착된다.
제 2 수문부(160)는 유입하우징(162)과, 제 1 수문(152)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 중 표층수만을 유입하우징(162) 내측으로 유입시키거나 차단하는 제 2 수문(168), 및 제 2 수문(168)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2 수문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유입하우징(162)은 사각 함체 형상을 가지며, 급수공(112)이 형성된 어느 하나의 지지플레이트, 즉 제 1 지지플레이트(110)에 장착된 가이드레일(154)에 간섭되지 않게 제 1 지지플레이트(110)의 내측면 고정 장착된다. 이러한 유입하우징(162)의 일단에는 유입공(164)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급수공(118)과 연결되는 배출공(166)이 형성된다. 즉 유입공(164) 측으로 제 1 수문(152)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w)가 유입되고, 유입하우징(162) 내로 유입된 농업용수(w)는 배출공(166)을 통해 급수공(112)으로 안내되는데, 유입공(164)은 제 1 수문(152)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w) 중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수온이 상승된 표층수만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하우징(132)의 일단면 상부 측에 형성된다.
한편, 제 2 수문(168)은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유입공(164)을 단속할 수 있도록 유입하우징(162)의 일단면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제 2 수문(168)은 제 2 수문 작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면서 유입공(164)을 개방 및 폐쇄시킨다.
제 2 수문 작동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스크루축(170)을 포함한다. 이동스크루축(170)은 유입하우징(162)의 상부면을 수직하게 관통해 지지된다. 이렇게 유입하우징(162)의 상부면에 지지된 이동스크루축(170)의 하부는 제 2 수문(16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스크루축(170)이 관통되는 상부면 상에는 이동스크루축(170)의 수나사와 맞물리는 암나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스크루축(170)의 상부에는 이동스크루축(170)을 회전시킬 수 있게 조절핸들(172)이 장착된다.
즉, 제 1 수문부(150)의 제 1 수문(152)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w)를 논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조절핸들(172)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수문(168)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하강하는 제 2 수문(168)에 의해 유입공(164)은 개방되어 농업용수(w)가 유입하우징(162) 내로 유입되고, 유입하우징(132) 내부로 유입된 농업용수(w)는 배출공(166), 급수공(112) 및 급수관(p)을 통해 논 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조절핸들(172)을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제 2 수문(168)은 상승하면서 유입공(164)을 차단한다.
여기서, 이동스크루축(170)의 하부와 제 2 수문(168)의 연결 관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제 2 수문 작동수단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 수문(168)의 상부에서 유입하우징(132)을 관통하여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핀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수직한 작동바아(도시되지 않음)로 제공될 수 있으며, 유입하우징(132)을 관통한 작동바아의 어느 하나의 핀공에는 핀(도시되지 않음)이 끼워져 제 2 수문(168)에 의한 유입공(164)의 개폐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음을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관개수로용 수문(100)은 제 1 수문부(150)가 관개수로(i)를 흐르는 농업용수(w)를 가두고 제 2 수문부(160)가 제 1 수문부(150)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w) 중 태양의 복사열에 의해 수온인 상승한 농업용수(w)를 논 측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차가운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그로 인해 벼의 냉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 2 수문부(160)가 제 1 수문부(150)에 의해 가두어진 농업용수(w) 중 표층수만을 논 측으로 유입시키기 때문에 농업용수(w)와 함께 흙 등이 논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게다가, 제 1 수문부(150) 및 제 2 수문부(160)를 지지하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110, 120)가 관개수로(i)에서 분리되기 때문에 굴삭기를 이용한 관개수로(i) 바닥 침전물 제거 시 제 1 수문부(150) 및 제 2 수문부(160)가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관개수로용 수문(100)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관개수로용 수문 110 : 제 1 지지플레이트
112 : 급수공 114 : 제 1 끼움돌기
120 : 제 2 지지플레이트 124 : 제 2 끼움돌기
130 : 제 1 지지브라켓 132 : 제 1 끼움홈
134 : 제 1 고정브라켓 140 : 제 2 지지브라켓
142 : 제 2 끼움홈 144 : 제 2 고정브라켓
150 : 제 1 수문부 152 : 제 1 수문
154 : 가이드레일 156 : 가이드홈
158 : 손잡이 바아 160 : 제 2 수문부
162 : 유입하우징 164 : 유입공
166 : 배출공 168 : 제 2 수문
170 : 이동스크루축 172 : 조절핸들

Claims (7)

  1. 관개수로용 수문에 있어서,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 내측 및 타측벽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사이를 폐쇄 및 개방시키면서 상기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가두거나 하류로 흘려보내는 제 1 수문부; 및
    상기 제 1 수문부에 의해서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논으로 안내하는 제 2 수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논 측으로 유입시킬 수 있게 하는 급수공이 형성되되, 상기 급수공은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 또는 타측벽을 관통하여 논으로 연장되는 급수관의 유입단부와 마주하게 형성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개수로의 일측벽 내측 및 상기 관개수로의 타측벽 내측에는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브라켓 및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한 쌍의 상기 제 1 지지브라켓은 일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 1 지지브라켓 사이에 상기 제 1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은 타측벽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면서 상기 제 2 지지브라켓 사이에 상기 제 2 지지플레이트가 배치되도록 이격 배치되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브라켓에는 각각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끼움홈에 끼워지는 다수의 제 1 및 제 2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끼움홈은 상기 제 1 지지브라켓을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 2 끼움홈은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을 측면에서 봤을 때 "┐"자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끼움돌기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양측단부에서 양측단부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게 제공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지지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상기 제 1 지지브라켓들의 외측면, 및 어느 하나의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의 외측면 또는 제 2 지지브라켓들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제 1 끼움돌기 및 상기 제 2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제 2 끼움돌기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제 1 고정브라켓 및 제 2 고정브라켓 나사에 의해 상기 제 1 지지브라켓 및 상기 제 2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문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직한 판 형상의 제 1 수문;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내측면 상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의 수직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가이드레일이 장착되며, 서로 마주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상기 제 1 수문의 일단 및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마주보게 형성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문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제 1 수문을 용이하게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수직한 손잡이 바아가 고정 장착되는 관개수로용 수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문부는,
    함체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급수공이 형성된 상기 제 1 또는 제 2 지지플레이트에 장착되되, 일단면 상부 측에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단면 상에는 상기 급수공과 연결되는 배출공이 형성된 유입하우징;
    수직한 판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유입공을 단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하우징의 일단면 내측에 배치됨과 아울러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수문; 및
    상기 제 2 수문이 상기 유입공을 개방 및 폐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제 2 수문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관개수로용 수문.
KR1020150089724A 2015-06-24 2015-06-24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005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24A KR20170000599A (ko) 2015-06-24 2015-06-24 관개수로용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724A KR20170000599A (ko) 2015-06-24 2015-06-24 관개수로용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99A true KR20170000599A (ko) 2017-01-03

Family

ID=5779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724A KR20170000599A (ko) 2015-06-24 2015-06-24 관개수로용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5941A (zh) * 2018-08-08 2019-02-01 江西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生态高效的多功能u型塑料构件及其构成的渠道
CN114467459A (zh) * 2022-02-08 2022-05-13 山东欧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用灌溉控制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5941A (zh) * 2018-08-08 2019-02-01 江西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生态高效的多功能u型塑料构件及其构成的渠道
CN114467459A (zh) * 2022-02-08 2022-05-13 山东欧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用灌溉控制装置
CN114467459B (zh) * 2022-02-08 2023-08-22 山东欧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农业用灌溉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244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KR100994358B1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1522515B1 (ko) 점오염원과 비점 오염원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킴과 동시에 자동 어도를 이용하여 하천생태계를 살려내면서 전기를 생산하도록 구비되는 자연친화적인 어도 겸용 친환경 발전시스템
KR20170000599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0592975B1 (ko) 어도블록
KR100913913B1 (ko)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200462295Y1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060106488A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20170004490A (ko)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20160004033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101282777B1 (ko) 수초가 식재된 친환경 블록식 이중 구조의 어도장치
JP3110832U (ja) 水田用自動水位調整装置
CN115012706A (zh) 一种水池池面漂浮物及池底淤泥清排系统
RU2389848C1 (ru) Устье дренажного коллектора
KR100640012B1 (ko) 배수관 내 오니 제거형 맨홀
JP2673666B2 (ja) 水田の水位制御装置
JP4443869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101008462B1 (ko)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Humpherys Mechanical structures for farm irrigation
CN215422328U (zh) 一种山泉水养殖鱼塘
KR20010008334A (ko) 관로 및 수로용 자동개폐수문
KR20100128611A (ko) 습지의 수위조절을 위한 위어
KR200290869Y1 (ko) 농업용 용수의 공급구조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