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490A -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 Google Patents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490A
KR20170004490A KR1020150094899A KR20150094899A KR20170004490A KR 20170004490 A KR20170004490 A KR 20170004490A KR 1020150094899 A KR1020150094899 A KR 1020150094899A KR 20150094899 A KR20150094899 A KR 20150094899A KR 20170004490 A KR20170004490 A KR 20170004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rrigation
fixed
plate portion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150094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490A/ko
Publication of KR20170004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4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의 양측벽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문부와 제2수문부에 의하여, 관개수로의 청소시에는 제1수문부와 제2수문부를 관개수로에서 이탈시켜 관개수로의 바닥면에 쌓인 흙과 같은 이물질을 포크레인의 청소삽이 원활하게 청소하게 하고 필요시에는 수문에 고정시켜 관개수로의 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A sluice gate for irrigation ditch }
본 발명은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관개수로에 고정되는 수문이 관개수로의 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게 되어 관개수로의 청소시에는 관개수로에서 떼어내서 포크레인의 청소삽이 원활하게 청소하게 하고 필요시에는 수문에 고정시켜 관개수로의 물을 사용할 수가 있어 사용이 편리한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농업용수라 하며,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논의 둘레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관개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관개수로와 논을 구획하는 논둑에는 관개수로로부터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논으로부터 관개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논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즉 모내기철이 되면 급수로를 터서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모내기에 적절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급수로에는 논으로 농업용수가 유입되거나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수문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수문은, 수로의 일측벽에 콘크리트 구조로 문틀을 시공하여 문틀 내에 금속재 등의 수문을 설치하고, 문틀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문개폐 핸들의 회전축 하단과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문개폐 핸들의 조작으로 수문을 개폐하면서 급수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수문은 관개수로의 일측벽 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가 용이하게 유입되기 어렵고, 농업용수를 원활하게 유입하기 위해서는 흙이 담긴 포대 등으로 관개수로를 막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게다가, 급수로를 통해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농업용수와 함께 흙이 유입되기 때문에 급수로에 인접한 논바닥의 높이가 상승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7393호의 '관개수로용 수문'에는 태양의 복사열을 받아 수온이 상승되도록 관개수로를 따라 안내된 농업용수를 가둘 수 있고, 수온이 상승한 농업용수의 표층수만을 논으로 공급함으로써, 차가운 농업용수의 공급으로 인한 벼의 냉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으며, 농업용수와 함께 흙 및 기타 이물질 등이 논으로 유입되는 곳을 막을 수 있는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된 바가 있으나, 이와 같은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에 쌓인 흙과 같은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하여 관계수로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포크레인 삽이 관개수로에 고정된 관계수로용 수문이 관계수로를 막고 있으므로 포크레인을 이용하는 청소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 20-045062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373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개수로에 고정되는 수문이 관개수로의 측벽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게 되어 관개수로의 청소시에는 관개수로에서 떼어내서 포크레인의 청소삽이 원활하게 청소하게 하고 필요시에는 수문에 고정시켜 관개수로의 물을 사용할 수가 있어 관개수로의 청소작업이 대단히 편리하게 되는 사용이 편리한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관개수로의 일측 측벽에 고정된 제1 고정플레이트부와, 관개수로의 타측 측벽에 고정된 제2 고정플레이트부와, 상기 제1고정플레이트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관개수로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막는 제1수문부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문부에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필요한 논으로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제2수문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은, 관개수로의 양측벽에 고정된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수문부와 제2수문부에 의하여, 관개수로의 청소시에는 제1수문부와 제2수문부를 관개수로에서 이탈시켜 관개수로의 바닥면에 쌓인 흙과 같은 이물질을 포크레인의 청소삽이 원활하게 청소하게 하고 필요시에는 수문에 고정시켜 관개수로의 물을 사용할 수가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이 설치된 관개수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의 제1 및 제2수문부가 제거된 상태의 관개수로의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의 제2수문부의 개폐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의 실시예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의 제2수문부의 개폐판손잡이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5는 관개수로의 청소시의 포크레인 삽의 청소를 도시한 정면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개수로(R)의 일측 측벽(R1)에 고정된 제1 고정플레이트부(1)와, 관개수로(R)의 타측 측벽(R2)에 고정된 제2 고정플레이트부(2)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막는 제1수문부(3)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문부(3)에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필요한 논으로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제2수문부(4)를 포함한다.
상기 관개수로(R)는 그 단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R3)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R4)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R4)의 상단에서 수직에 가깝게 연장되는 측벽(R1,R2)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개수로(R)의 청소시에는 포크레인의 삽(5)은 관개수로(R)의 바닥면(R3)의 바닥을 청소하므로 경사부(R4)를 포함하는 측벽(R1,R2)은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포크레인의 삽(5)이 접촉되지 않게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부(1,2)가 관개수로의 측벽(R1,R2)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는 상기 관개수로(R)의 측벽(R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포크레인의 삽(5)이 청소를 하여도 여유가 있게 되므로 삽(5)의 가장자리에 부딪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는 제1수문부(3)의 가장자리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요홈부(11)가 형성되게 한 쌍의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13)에 고정되는 구조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작은 요홈부(11)가 형성되고 상기 요홈부(11)의 중간에 삽입개방부(14)가 형성되어 제1수문부(3)가 착탈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등의 다양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부(2)는 서로 이격되게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으며, 제2수문부(4)의 가장자리가 착탈가능하게 요홈부(21)가 마주보고 형성되고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22)에 의하여 관개수로(R)의 측벽(R2)에 고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부(2)는 상기 관개수로(R)의 측벽(R2)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수문부(3)와 제2수문부(4)가 이탈되면, 포크레인의 삽(5)이 청소를 하여도 여유가 있게 되므로 삽(5)의 가장자리에 부딪히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수문부(3)는 관개수로(R)를 통하는 농업용수를 가두는 것으로,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의 가이드레일(12)에 일측이 삽입고정되고 타측은 제2수문부(4)의 플레이트(41)의 일측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2)에 삽입고정되는 수문본체(31)와 상기 수문본체(31)의 중간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수문손잡이(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수문부(4)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중간에 배수공(42)이 형성된 플레이트(41)와, 상기 플레이트의 배수공(42)을 감싸게 정면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정면에는 배수창(43)이 설치되고 상기 배수창(43)을 개폐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레일(44)이 배수창(43)의 양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배수함(45)과, 상기 배수창(43)을 개폐하게 상기 안내레일(44)의 안내에 의하여 승강되는 개폐판(46)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함(45)의 상부의 중간에는 연장된 손잡이관(451)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판(46)의 개폐판손잡이(461)가 상기 손잡이관(451)의 내부에 수납되고, 개폐판(46)의 높이는 개폐판손잡이(461)상에 다단으로 천공된 천공구멍(462)상에 고정봉(463)을 꼽아서 조절하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손잡이(461)의 다단으로 천공된 천공구멍(462)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손잡이관(451)의 일측에 스프링(452)으로 탄력지지되는 볼베어링(453)을 삽입시켜 손잡이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손잡이관(451)의 표면에 나사가 형성된 너트를 고정시키고, 개폐손잡이(461)의 표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조립을 하고, 개폐판(46)의 상단이 걷돌게 개폐손잡이(461)를 고정하여도 용이하게 개폐판(46)의 개폐높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관개수로(R)의 일측 측벽(R1)에 고정된 제1 고정플레이트부(1)와, 관개수로(R)의 타측 측벽(R2)에 고정된 제2 고정플레이트부(2)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막는 제1수문부(3)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부(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문부(3)에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필요한 논으로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제2수문부(4)를 그대로 설치하여 관개수로용 수문(A)으로 사용한다. 그리고, 관개수로(R)의 물을 다른 곳으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수문부(3)의 수문본체(31)를 빼서 다른 곳으로 농업용수가 공급되게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이 설치된 관개수로(R)의 청소를 위하여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의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는, 제1수문부(3)의 수문본체(31)를 가이드레일(12)에서 뽑아서 제거하고, 제2수문부(4)의 플레이트(41)를 제2 고정플레이트부(2)에서 뽑아서 제거하면, 관개수로(R)상에는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부(1,2)만이 양 측벽(R1,R2)상에 존재하게 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레인의 삽(5)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1,2)에 부딪히지 않게 되므로, 용이하게 관개수로(R)의 바닥면(R3)에 고인 흙과 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관개수로(R)의 바닥면(R3)의 청소가 끝나면, 다시 제거된 제1수문부(3)의 수문본체(31)와 제2수문부(4)의 플레이트(41)를 다시 고정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편리하게 관개수로(R)에 쌓인 흙이나 이물질의 청소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은 일반적인 관개수로용 수문의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이 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라고 할 것이다.
1. 제1 고정플레이트부 2. 제2 고정플레이트부
3. 제1수문부 4. 제2수문부

Claims (1)

  1.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A)은, 관개수로(R)의 일측 측벽(R1)에 고정된 제1 고정플레이트부(1)와, 관개수로(R)의 타측 측벽(R2)에 고정된 제2 고정플레이트부(2)와,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부(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관개수로(R)를 흐르는 농업용수를 막는 제1수문부(3)와, 상기 제2 고정플레이트부(2)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며 제1수문부(3)에 가두어진 농업용수를 필요한 논으로 공급하거나 배수하는 제2수문부(4)를 포함하여,
    관개수로(R)의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제1수문부(3)와 제2수문부(4)를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부(1,2)에서 제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만이 관개수로(R)의 양측벽(R1,R2)에 부착되어 청소가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1020150094899A 2015-07-02 2015-07-02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044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99A KR20170004490A (ko) 2015-07-02 2015-07-02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899A KR20170004490A (ko) 2015-07-02 2015-07-02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490A true KR20170004490A (ko) 2017-01-11

Family

ID=57833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899A KR20170004490A (ko) 2015-07-02 2015-07-02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4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0184A (zh) * 2019-05-30 2019-08-02 汪敏 一种新农业用沟灌堤漫板
KR102283653B1 (ko) * 2020-12-01 2021-07-29 김용주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22Y1 (ko) 2008-05-27 2010-10-18 신정희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622Y1 (ko) 2008-05-27 2010-10-18 신정희 논물의 수위 조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0184A (zh) * 2019-05-30 2019-08-02 汪敏 一种新农业用沟灌堤漫板
CN110080184B (zh) * 2019-05-30 2021-10-01 邯郸市花草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新农业用沟灌堤漫板
KR102283653B1 (ko) * 2020-12-01 2021-07-29 김용주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244B1 (ko) 농수로용 수문개폐구
KR20170004490A (ko)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100913913B1 (ko) 건물 옥상을 이용한 빗물의 저장·활용장치
KR101372516B1 (ko) 수위 조절을 이용한 토양 급수 시설
KR20110002487U (ko) 농업용 급수 개폐기
KR102108741B1 (ko) 지하 수위 제어 시스템
KR100577892B1 (ko) 하천수를 농업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하천바닥블럭의 구조
KR20090129127A (ko)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00599A (ko) 관개수로용 수문
JP2005253472A (ja) 栽培方法並びに栽培施設
KR20100037393A (ko) 관개수로용 수문
JP6863567B2 (ja) 水田の貯水量調整装置及び水位調整板
KR20080101847A (ko) 농업용 배수장치
CN115012706A (zh) 一种水池池面漂浮物及池底淤泥清排系统
DE2745843A1 (de) Installationsanschlusseinrichtung fuer brauchwasserstellen in gebaeuden
JP4134070B2 (ja) 地下灌漑排水用暗渠装置
JP4008188B2 (ja) 水田の用排水管理システム
KR100737121B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JP3927697B2 (ja) 棚田における用水の給排水装置
JP2004242560A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20160004033A (ko) 관개수로용 수문
JPH119122A (ja) 排水桝及び該排水桝を使用した排水施設の施工方法
JP3089402U (ja) 地下灌水調節閘
KR200371676Y1 (ko) 높이 조절과 청소구가 구비되는 파종기의 급수장치
KR200290869Y1 (ko) 농업용 용수의 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