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3653B1 -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3653B1
KR102283653B1 KR1020200166064A KR20200166064A KR102283653B1 KR 102283653 B1 KR102283653 B1 KR 102283653B1 KR 1020200166064 A KR1020200166064 A KR 1020200166064A KR 20200166064 A KR20200166064 A KR 20200166064A KR 102283653 B1 KR102283653 B1 KR 10228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agricultural
water
supply control
sluic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주
홍덕이
Original Assignee
김용주
홍덕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주, 홍덕이 filed Critical 김용주
Priority to KR102020016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3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02B13/02Closures for irrigation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로에 설치되어 농지와 농수로 사이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서, 농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가 농수로를 따라 농지에 신속히 공급되도록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Water supply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way}
본 발명은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농수로에 설치되어 농지와 농수로 사이의 개방상태를 조절하여서, 농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가 농수로를 따라 농지에 신속히 공급되도록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농작물에 대한 농업용수의 공급을 위해 농경지의 주변에는 농업용수가 흐르는 농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농수로와 농경지를 구획하는 둑에는 농수로로부터 농경지로 농업용수가 유입되는 곳인 급수로와 농경지로부터 농수로로 농업용수가 유출되는 곳인 배수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급수로와 배수로를 통해 농경지에 필요한 만큼의 농업용수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으로써, 농사시기에 따라 적절한 양과 수위의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농업용수를 농수로에서 농경지로 급수할 때 농경지에 설치한 물막이를 헤쳐 농업용수를 경작지 내로 유입되게 하고 있으며, 유입되는 농업용수의 유량조절은 물막이의 헤침 정도에 따라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물막이는 흙으로 구성된 관계로, 물살에 의해 흙이 씻겨 내려감에 따라 농업용수의 유량을 적절히 조절하기 어렵고, 이에 농가에서는 수로에 흙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가마니 등을 설치할 경우에도 농업용수의 유입량을 원하는대로 조절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농수로와 농경지를 연결하는 급수로 또는 배수로에 급수 개폐기를 설치하여 유입수량 및 유출 수량을 조절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급수개폐기는 수문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식에 따라 수동식과 기계식, 유압작동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상기 수동식 급수개폐기는,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수문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고 수문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아 유량을 제어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기계식 급수개폐기는, 래크바 또는 스크루바를 이용하여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수작업 또는 모터를 이용하여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 수문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계식 급수개폐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주기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싼 가격으로 인해 규모가 작은 농수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그리고, 유압작동식 급수개폐기는 유압을 이용하여 수문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일정 규모 이상에서는 큰 효과가 있으나 규모가 작은 농수로에는 적용하기가 곤란하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48159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1223호 등록특허공보 제10-1027431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농수로의 내측벽에 밀착되게 배치되어 농수의 안정적인 이동경로를 확보하고, 농지의 급수가 요구되면 농수로에 설정높이의 물막이 공간을 형성하여 농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가 농지에 보다 신속히 공급되도록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는,
농수가 이동하는 농수로의 일측 내벽에 배치되며, 농수로의 일측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로와 연통하는 급수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급수구의 개방상태를 설정하는 수문을 갖는 급수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수평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수평힌지를 중심으로 외향 선회되어서, 농수로 내에 수문과 연통하는 물막이 공간을 형성하는 물막이 도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조절부를 구성하는 수문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벽에 힌지 조립단을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상하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베이스부에 형성된 급수구의 개방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 조절부를 구성하는 수문은 물막이 도어부의 내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의 급수구에는 급수 조절부의 수문을 구성하는 수문부재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급수구와 수문부재 사이에 수밀상태를 형성하는 수밀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물막이 도어부는 농수로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제작되고, 저면 가장자리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농수로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는, 물막이 도어부를 통해 농수로에 물막이 공간을 형성하여, 물막이 공간을 통해 설정수위의 농수를 저수하여 급수구를 통해 농지에 급수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농수로에 적은 양의 농수가 이동하더라도 농지에 농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또 핸들암을 포함하는 링크형 설정구조를 통해 수문을 농수로의 외부에서 개방상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 도어부를 포함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는 다양한 폭과 너비를 갖는 농수로에 공용되게 설치되어, 농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를 요하는 농지에 신속히 급수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물막이 도어부에 의해 형성된 물막이 공간 내에 농수가 과다하게 저수되어 장치의 내구성을 해치거나, 농수로의 외부로 농수가 범람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시공상태와, 급수 조절부와 물막이 도어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물막이 도어부의 전개각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의 시공상태와, 급수 조절부와 물막이 도어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물막이 도어부의 전개각 조절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1)는, 농수의 급수를 요하는 농지와 연통하는 급수관로(110)가 형성된 농수로(100)에 배치되어 상기 농수로(100)에 형성된 급수관로(110)의 개방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하여서, 필요시 농수로(100)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를 급수관로(110)를 따라 농지에 유입되도록 하는 전용장치이다.
상기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1, 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농수가 이동하는 농수로(100)의 일측 내벽에 배치되며, 농수로(100)의 일측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로(110)와 연통하는 급수구(13)가 형성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급수구(13)를 개방을 제어하는 급수 조절부(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 1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수평 힌지구조로 설치된 물막이 도어부(30)의 내벽에 베이스부(10)의 급수구(13)를 폐쇄하는 수문(20')을 배치하여서, 물막이 도어부(30)의 내외측 선회에 의해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급수구(13)의 개폐상태가 설정되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벽에 상하힌지(22)를 통해 힌지 조립단(23)을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급수구(13)의 개방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하는 수문(21)을 갖는 급수 조절부(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는 급수구(13)가 형성된 평판의 베이스 부재(11)와; 상기 베이스 부재(11)의 급수구(13)와 연통하는 급수구(13)가 형성되어 베이스 부재(11)의 내벽에 적층하여 배치되는 서포트 부재(12)를 포함하며, 이들 베이스 부재(11)와 서포트 부재(12)는 시공볼트(18)들을 통해 농수로(100)의 일측 내벽에 적층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부재(12)의 내벽에는 상하힌지(22)를 통해 내벽에 급수 조절부(20)의 수문(21)이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상하 힌지편(14)과, 상기 급수구(13)의 외측에 설정각도로 형성되어 상하힌지(22)를 중심으로 상하 선회된 수문(21)을 설정각도로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개폐 고정공(15)이 형성된다.
상기 급수 조절부(20)를 구성하는 수문(21)은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급수구(13)를 전체적으로 커버하는 판재로 구성된다.
상기 수문(21)의 외측 일지점에 힌지 조립단(23)이 형성되고 외측 이지점에는 베이스부(10)에 형성된 개방 고정공(15)들 중 어느 하나의 개폐 고정공(15)에 체결되어 상하힌지(22)를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급수구(13)의 개방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한 수문(21)을 설정 개폐각으로 고정하는 급수 조절볼트(24)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 선회되는 수문(21)에 의해 개폐되는 베이스부(10)의 급수구(13)에는 급수 조절부(20)의 수문(21)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급수구(13)와 수문(21) 사이의 수밀상태를 형성하는 수밀링(16)을 배치하여서, 농수의 급수가 요구되지 아니하는 평상시에는 도 5a와 같이 농수로(100)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가 급수구(13)를 통해 농지로 유입되는 현상을 예방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 조절부(20)는 상하힌지(22)를 중심으로 상하 선회되는 수문(21)의 상하 선회각에 따라 급수구(13)의 개방여부, 및 개방각이 조절되고, 이를 통해 요하는 수량의 농수가 급수구(13)와 급수관로(110)를 따라 농지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급수 조절부(20)를 구성하는 수문(21)과 농수로(100)의 상부 일지점에 핸들암(26)을 포함하는 링크형 설정구조를 형성하여서, 관리자는 핸들암(26)을 통해 급수구(13)의 개방상태를 설정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링크핀(26a)을 통해 수문(21)의 링크단(25)에 핸들암(26)을 링크구조로 연결하고, 외부에 노출된 농수로(100)의 일지점에는 핸들암(26)을 진퇴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가이드(27)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외부에 노출된 농수로(100)의 상부 일지점에는 아이볼트로 이루어진 지지볼트(28)를 배치하고, 상기 핸들암(26)을 진퇴구조로 고정한 고정 가이드(27)를 지지볼트(28)에 회동구조로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 가이드(27)에는 가이드 볼트(27a)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가이드(27)를 따라 진퇴한 핸들암(26)은 가이드 볼트(27a)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 가이드(27)에 일지점이 구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볼트(27a)를 통해 일지점에 구속된 핸들암(26)을 구속 상태를 일시적으로 해제한 다음, 핸들암(26)을 상하로 이동하여 하단에 조립된 수문(21)을 상하로 선회하여서 수문(21)에 의한 급수구(13)의 개방여부 및 개방량을 설정한 후 가이드 볼트(27a)를 통해 고정 가이드(27)에 핸들암(26)을 재구속함으로써, 농수로(100)의 외부에 노출된 핸들암(26)을 통해 농수로(100) 내에 설치된 급수 조절부(20)의 수문을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암(26)을 포함하는 링크형 설정구조를 통해 수문(21)을 제어 및 구속하면, 급수 조절볼트(24)를 통해 급수 조절부(20)를 구성하는 수문(21)을 베이스부(10)에 직접적으로 고정하지 아니하고도 핸들암(26)과 고정 가이드(27)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력을 통해 수문(21)을 설정된 각도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농수로(100)에 농수를 설정수위로 저수하는 물막이 도어부(30)를 마련하여, 상기 농수로(100)를 따라 이동하는 농수는 물막이 도어부(30)를 통해 설정수위로 저수된 상태로 농수로(100)와 연통하는 급수구(13)와 급수관로(110)를 통해 농지에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농수가 농지에 보다 신속히 공급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물막이 도어부(30)는 수평힌지(31)를 통해 베이스부(10)에 일단부를 수평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수평힌지(31)를 중심으로 내외측방향으로 수평 선회되는 수평 선회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막이 도어부(30)는 도 5a와 같이 수평힌지(31)를 중심으로 내향 선회하면 베이스부(10)에 내벽을 적층하여 농수로(100)를 개방하고, 도 5b와 같이 수평힌지(31)를 중심으로 외향 선회하여 농수로(100)에 가로질러 배치되면 농수로(100) 내에 급수구(13)와 연통하는 설정높이의 물막이 공간(12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힌지(31)를 통해 내측단을 베이스부(10)에 수평 힌지구조로 조립한 물막이 도어부(30)의 외측단에는, 농수로(100)의 타측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핀 부재(35)를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힌지(31)를 통해 농수로(100) 내에서 외향 선회된 물막이 도어부(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 힌지(31)와 지지핀 부재(35)를 통해 농수로 내에 양단이 지지된 상태를 형성하여 물막이 공간(120) 내에 저수된 수압에 의한 변형 발생이 예방된다.
본 실시예예 따른 지지핀 부재(35)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퇴 가이드(35b)와, 상기 진퇴 가이드(35b)에 진퇴구조로 설치된 지지핀(35a)과, 상기 지지핀(35a)을 외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35c)을 포함하여 구성된 탄지형으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퇴 가이드(35b)에 체결량에 따라 지지 스프링(35c)의 압축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35d)를 부가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상기 지지 스프링(35c)에 탄지된 지지핀(35a)은 다양한 폭을 갖는 농수로(100)의 타측 내벽에 공용되게 지지되어, 물막이 도어부(30)의 타측단을 농수로(100)의 타측 내벽에 정형화되게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물막이 도어부(30)는 농수로(100)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제작되고, 저면 가장자리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농수로(100)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탄성패드(32)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물막이 도어부(30)는 탄성패드(32)의 탄성 변형을 통해 다양한 규격을 갖는 농수로(100)의 내벽에 공용하여 밀착된 상태로 시공이 가능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패드(32)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 절개부(32a)를 형성하여, 물막이 공간(120) 내에 과압이 발생되거나 다량의 이물질이 잔류할 경우에 탄성패드(32)는 탄성 절개부(32a)를 통해 일시적으로 절개되어 잔류된 이물질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의 내벽에는, 수평 힌지(31)를 중심으로 외향 선회하여 농수로(100) 내에 물막이 공간(120)을 형성한 물막이 도어부(30)의 외벽을 지지하여, 물막이 도어부(30)의 외향 선회각을 제한하는 지지바(19)가 배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바(19)에는 물막이 도어부(30)의 외향 선회각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전개각 조절볼트(19a)를 마련하여, 도 6과 같이 상기 전개각 조절볼트(19a)에 의해 농수로(100) 내에 외향 선회되는 물막이 도어부(30)의 전개각이 조절되도록 한다.
따라서, 관리자는 급수구(13)를 통해 농지에 급수되는 농수의 급수 요구량과 농수로(100)를 통해 실제 유입되는 농수의 이동량을 고려하여, 상기 물막이 도어부(30)를 형성하는 물막이 도어부(30)의 전개각을 설정하여 요하는 수량의 농수가 급수구(13)를 통해 농지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막이 도어부(30)에 하나 이상의 보조 배출구(33)를 형성하여, 상기 물막이 공간(120) 내에 과압 발생시 보조 배출구(33)를 통해 물막이 공간(120) 내에 저수된 물과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조 배출구(33)에 수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탄성 개폐부재(34)를 마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막이 도어부(30)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는 탄성패드(32)에 탄성 개폐부재(34)를 일체 형성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기 보조 배출구(33)는 탄성 개폐부재(34)를 통해 물막이 공간(120) 내에 저수된 농수의 저수량에 따라 유기적으로 개방된다. 즉, 설정 이하의 수압이 형성하면 보조 배출구(33)는 탄성 개폐부재(34)를 통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설정량 이상의 농수가 저수되면 개방된다.
그리하여, 상기 물막이 공간(120) 내에 저수된 농수는 보조 배출구(3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물막이 공간(120) 내에 과도한 수량이 저수되어서 농수로(100)의 외부로 농수가 범람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1.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10. 베이스부 11. 베이스 부재
12. 서포트 부재 13. 급수구
14. 상하 힌지편 15. 개폐 고정공
16. 수밀링 17. 수평 힌지편
18. 시공볼트 19. 지지바
19a. 전개각 조절볼트
20. 급수 조절부 21. 수문
22. 상하힌지 23. 힌지 조립단
24. 급수 조절볼트 25. 링크단
26. 핸들암 26a. 링크핀
27. 고정 가이드 27a. 가이드 볼트
28. 지지볼트
30. 물막이 도어부 31. 수평힌지
32. 탄성패드 32a. 탄성 절개부
33. 보조 배출구 34. 탄성 개폐부재
35. 지지핀 부재 35a. 지지핀
35b. 진퇴 가이드 35c. 지지 스프링
35d. 조절볼트
100. 농수로 110. 급수관로
120. 물막이 공간

Claims (5)

  1. 농수가 이동하는 농수로의 일측 내벽에 배치되며, 농수로의 일측 내벽에 형성된 급수관로와 연통하는 급수구가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형성된 급수구의 개방상태를 설정하는 수문을 갖는 급수 조절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수평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수평힌지를 중심으로 외향 선회되어서, 농수로 내에 수문과 연통하는 물막이 공간을 형성하는 물막이 도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 조절부를 구성하는 수문의 링크단에 핸들암을 링크구조로 연결하고, 상기 농수로의 상부 일지점에는 핸들암을 진퇴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가이드를 배치하고,
    상기 농수로의 상부 일지점에 지지볼트를 배치하여, 상기 핸들암을 진퇴구조로 고정한 고정 가이드를 지지볼트에 회동구조로 연결하고,
    상기 고정 가이드에는 가이드 볼트를 형성하여, 상기 고정 가이드를 따라 진퇴한 핸들암이 가이드 볼트에 의해 압착되어 고정 가이드에 일지점이 구속됨으로써,
    상기 핸들암과 고정 가이드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력을 통해 수문을 설정된 각도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조절부를 구성하는 수문은 상기 베이스부의 내벽에 힌지 조립단을 상하 힌지구조로 조립되어, 상하힌지를 중심으로 상하 선회하여 베이스부에 형성된 급수구의 개방상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조절부를 구성하는 수문은 물막이 도어부의 내벽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급수구에는 급수 조절부의 수문을 구성하는 수문부재와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급수구와 수문부재 사이에 수밀상태를 형성하는 수밀링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도어부는 농수로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제작되고, 저면 가장자리부와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농수로의 내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탄성패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20200166064A 2020-12-01 2020-12-01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10228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64A KR102283653B1 (ko) 2020-12-01 2020-12-01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064A KR102283653B1 (ko) 2020-12-01 2020-12-01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3653B1 true KR102283653B1 (ko) 2021-07-29

Family

ID=7712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064A KR102283653B1 (ko) 2020-12-01 2020-12-01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3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179B1 (ko) * 2023-05-24 2023-10-30 차상율 농로용 수로 개폐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258A (ja) * 1997-10-06 1999-04-20 Zenji Kawase 分水調整装置
KR101027431B1 (ko) 2010-11-19 2011-04-11 서영숙 페달식 농수로용 급수 개폐장치
KR20170004490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64769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창성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KR101748159B1 (ko) 2016-11-21 2017-06-19 주식회사 무영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20180111223A (ko) 2017-03-31 2018-10-11 유재성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7258A (ja) * 1997-10-06 1999-04-20 Zenji Kawase 分水調整装置
KR101027431B1 (ko) 2010-11-19 2011-04-11 서영숙 페달식 농수로용 급수 개폐장치
KR20170004490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디에프테크 착탈식 관개수로용 수문
KR20170064769A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창성 일체형 수위 조절장치
KR101748159B1 (ko) 2016-11-21 2017-06-19 주식회사 무영 농수로용 급수개폐기
KR20180111223A (ko) 2017-03-31 2018-10-11 유재성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179B1 (ko) * 2023-05-24 2023-10-30 차상율 농로용 수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653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US3952522A (en) Irrigation systems automation
RU26229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многократног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олива растений
KR101547447B1 (ko) 유압식 전도 수문의 운전장치
KR200425877Y1 (ko) 농수로용 유량조절장치
KR101971132B1 (ko) 수동식 급수개폐기
KR20180111223A (ko) 연속성을 가지는 농수로용 급수 개폐기
KR102503196B1 (ko) 보조댐 및 지하수로를 구비한 댐
KR20180112397A (ko) 우수토실의 유량제어용 게이트밸브
WO2010082068A1 (en) Gate for controlling a flow of water
JP2000166402A (ja) 傾斜地水田における用水管理システム
KR102393318B1 (ko) 용수 조절이 가능한 농수로 수문 개폐장치
KR20170002655U (ko) 물꼬
KR102333924B1 (ko) 농수로용 급수 조절장치
KR200392567Y1 (ko) 개수로의 문비개폐 조절장치
KR100608336B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200306422Y1 (ko) 수문용 어도장치
KR200404202Y1 (ko) 여울형 자동수문
KR100577849B1 (ko) 수압을 이용한 하천 수문 자동개폐장치
JP3670426B2 (ja) 灌漑用水の水位調整器
KR100226205B1 (ko) 농업용 자동 급수장치
KR200351893Y1 (ko) 수압식 무동력 자동 수문장치와 이를 이용한 보
KR101980858B1 (ko) 각도조절형 엘보우관을 갖는 물꼬장치
KR0121993Y1 (ko) 농업용수용 급수구
KR200454424Y1 (ko)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