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24Y1 - 자동수문 - Google Patents

자동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24Y1
KR200454424Y1 KR2020080009238U KR20080009238U KR200454424Y1 KR 200454424 Y1 KR200454424 Y1 KR 200454424Y1 KR 2020080009238 U KR2020080009238 U KR 2020080009238U KR 20080009238 U KR20080009238 U KR 20080009238U KR 200454424 Y1 KR200454424 Y1 KR 200454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tructure
hinge
door
automatic
civ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635U (ko
Inventor
이명우
Original Assignee
이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우 filed Critical 이명우
Priority to KR2020080009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2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4Hinged-lea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05Barrages controlled by the variations of the water level; automatically functioning barrages

Abstract

본 고안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한 자동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자동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공의 배출 측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문비로 수량을 조절하는 자동수문으로서, 토목구조물에 앵커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에 구비되는 안내요소를 타고 이동안내되고 조절요소에 의해 들락날락하는 가동자로 이룬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가동자에 상기 힌지구조의 일단을 축 결합하여서, 토목구조물에 따라 힌지구조를 적절히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수문{Automatic flood gate}
본 고안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한 자동수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목구조물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수문에 관한 것이다.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을 위한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한 자동수문은 현재까지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자동수문은 대략 보나 수로의 말단에 설치되어 폭우나 홍수 발생시 방류와 해수 또는 하천의 수위상승으로 인한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저지대의 범람을 막아 수해로부터 보호하는 안전시설물이다.
이러한 자동수문은 수류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고 있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보나 수로 내의 수류에 의해 개문되어 방류되고 이와 반대로 하천 측의 수위가 상승시에서는 그 상승 된 수위의 수압에 의해 폐문되어 역류현상을 예방하게 된다.
이렇게 개폐되는 자동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힌지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소기의 개폐작용을 이루게 된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공의 배출 측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문비가 설치되고 있다.
이렇게 토목구조물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문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목구조물의 배수공 직 상부 측에서 그 토목구조물에 매설된 앵커 볼트 등을 이용해 설치되는 힌지구조로 개폐되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힌지구조는 대략 링크형으로 이루어 그 일단이 앵커 볼트에 축 결합되고 타단은 문비에 축 결합되어 2 단계적으로 문비의 개폐구동이 이루게 하고 있다. 이때 문비의 폐문시 링크형의 힌지구조와 문비가 동일수직선상에 배열되어 폐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렇게 링크형의 힌지구조를 이용해 설치되는 문비에서 콘크리트를 이용해 주조방식으로 축조된 토목구조물의 현장에 따라 브래킷의 설치위치가 변화되는, 즉 토목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그 힌지구조 상단의 주축부분 위치가 변위되고있다.
이러한 힌지구조의 위치변위는 토목구조물의 배출구를 폐문시키는 문비와 링크형의 힌지구조가 동일직선상으로 배열되지 못하여 폐문 상태가 안정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 와서는 토목구조물에 매설되는 앵커 볼트가 토목구조물 내에서 들락날락하는 구조를 갖추어 그 힌지구조의 위치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폐문의 안정과 문비의 차단 력 조절을 이루고 있으나, 중량의 문비에서는 구조적으로 안정 되지 못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문비의 개폐를 위해 설치되는 힌지구조가 대략 토목구조물 외향으로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외 측에서 돌이나 폐기물 등의 이물질들이 힌지구조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그 힌지구조의 작동이 불가해지고 따라서, 수문이 개폐동작을 이루지 못하여 홍수 등에 대처하지 못하고 범람하여 수해를 입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문의 힌지구조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룬 브래킷을 이용해 그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수문의 개폐문이 정확하고 안정된 자동수문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힌지구조에 그 주위를 은폐하는 커버구조를 부가적으로 갖춤으로써, 이물질들의 힌지구조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문을 안정되게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농.공업 용수나 하수처리 등의 수리시설물인 보나 수로의 수량제어를 위한 자동수문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자동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공의 배출 측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문비로 수량을 조절하는 자동수문으로서, 토목구조물에 앵커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에 구비되는 안내요소를 타고 이동안내되고 조절요소에 의해 들락날락하는 가동자로 이룬 브래킷과, 이 브래킷의 가동자에 상기 힌지구조의 일단을 축 결합하여서, 토목구조물에 따라 힌지구조를 적절히 가변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자동수문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본 고안은 수문의 힌지구조를 고정자와 가동자로 이룬 브래킷을 이용해 그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수문의 개폐문이 정확하고 안정된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힌지구조에 그 주위를 은폐하는 커버구조를 부가적으로 갖춤으로써, 이물질들의 힌지구조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문을 안정되게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수문을 상세히 보이고 있다.
본 고안 자동수문은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10)에 구비되는 배수공(12)의 배출 측 상부에 설치되는 링크형의 힌지구조(20)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문비(30)로 수량을 제어하고 소기 수해를 방지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힌지구조(20)를 토목구조물(10)에 보다 안정되고 견고히 결합시키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의 브래킷(40)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 브래킷(40)은 토목구조물(10)에 앵커 볼트(14)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자(42)와, 이 고정자(42)에 구비되는 안내요소(43)를 타고 이동안내되고 나사방식의 조절요소(46)에 의해 들락날락하는 가동자(48)로 이루어진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브래킷(40)의 가동자(48)에는 힌지구조(20)의 일단이 축 결합하여서 문비(30)가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설치된다.
또한 힌지구조(20)에는 그 힌지구조(20)의 상부에서 하부 주위를 감싸 외부로부터 이물질들이 힌지구조(20)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게 막아주는 커버구조(5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커버구조(50)는 힌지구조(20)의 축 결합부분에 억지 끼워 맞춤식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별도의 결속요소들을 이용해 힌지구조(2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것이다.
도 3에는 문비(30)의 폐문상태 또는 차단력 조절을 위해 가변형의 브래킷(40)이 조절되는 모습을 보인 설명도로서, 조절요소(46)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자(48)는 고정자(42)의 안내요소(43)를 타고 화살표방으로 이동하면서 소기의 힌지구조(20)의 위치조절을 이루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자동수문의 토목구조물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 주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토목구조물 12 :배수공
14 :앵커볼트 20 :힌지구조
30 :문비 40 :브래킷
42 :고정자 43 :안내요소
46 :조절요소 48 :가동자
50 :커버구조

Claims (2)

  1. 수로의 말단 또는 보 등의 토목구조물에 구비되는 배수공의 배출 측 상부에 설치되는 힌지구조를 이용해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현수식으로 설치되어 상.하 여닫이방식으로 개폐되는 문비로 수량을 제어하는 자동수문으로서,
    상기 토목구조물에 앵커 볼트로 고정설치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에 구비되는 안내요소를 타고 이동안내되고 조절요소에 의해 들락날락하는 가동자로 이룬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의 가동자에 상기 힌지구조의 일단을 축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수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구조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힌지구조의 주위를 은폐하는 커버구조를 더 포함하는 자동수문.
KR2020080009238U 2008-07-11 2008-07-11 자동수문 KR200454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38U KR200454424Y1 (ko) 2008-07-11 2008-07-11 자동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238U KR200454424Y1 (ko) 2008-07-11 2008-07-11 자동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35U KR20100000635U (ko) 2010-01-22
KR200454424Y1 true KR200454424Y1 (ko) 2011-07-05

Family

ID=44194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238U KR200454424Y1 (ko) 2008-07-11 2008-07-11 자동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2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6533B2 (ja) * 2019-06-19 2023-04-12 株式会社協和製作所 フラップゲート用ヒンジ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019Y1 (ko) * 1985-03-26 1988-03-17 효성중공업주식회사 방조제용 부식 방지 자동수문
KR200240492Y1 (ko) 2001-05-04 2001-10-12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자동수문용 설치지그
KR20010104122A (ko) * 2000-05-12 2001-11-24 한상관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432308Y1 (ko) 2006-09-04 2006-11-30 (주)대한엔지니어링 자동수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019Y1 (ko) * 1985-03-26 1988-03-17 효성중공업주식회사 방조제용 부식 방지 자동수문
KR20010104122A (ko) * 2000-05-12 2001-11-24 한상관 자동수문의 구성방법
KR200240492Y1 (ko) 2001-05-04 2001-10-12 코스모스산업 주식회사 자동수문용 설치지그
KR200432308Y1 (ko) 2006-09-04 2006-11-30 (주)대한엔지니어링 자동수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635U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8494B2 (ja) 陸閘の自動防潮扉設備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0454424Y1 (ko) 자동수문
KR101028841B1 (ko) 홍수조절지 부력식 수문
KR100943530B1 (ko) 하천보용 슬리핑식 수문
KR200355906Y1 (ko) 수문의 구조
WO2010082068A1 (en) Gate for controlling a flow of water
KR20100099837A (ko) 수문
CN211006560U (zh) 堤坝泄洪装置
KR100957070B1 (ko) 홍수와 수량 조절과 소수력발전용 지하 저수장치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200377423Y1 (ko) 수압차를 이용한 자동개폐식 하천 배수문
KR200235987Y1 (ko) 간략한 구조의 자동수문
KR200244423Y1 (ko) 지수장치의 역할에 의해 밀폐되어 작동하는 수문
KR200236296Y1 (ko) 유동흰지의 작용에 의해 수직 또는 전,후 작동이 되도록구성되는 자동수문
KR100778151B1 (ko) 부력식 어도
KR20090057783A (ko) 보조수문을 구비한 수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200308612Y1 (ko) 이중 배출 시스템의 역활에 의해 오염된 수질이정화되도록 작용하는 어도 겸용 수질개선용 자동보 수문
KR20050097099A (ko) 슬라이드형 수문
KR200217658Y1 (ko) 자동보 수문장치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JP3427324B2 (ja) チェーンゲート装置
JP3278690B2 (ja) オ−トゲ−ト
KR200168438Y1 (ko) 자동수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