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890B1 -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890B1
KR101106890B1 KR1020090071261A KR20090071261A KR101106890B1 KR 101106890 B1 KR101106890 B1 KR 101106890B1 KR 1020090071261 A KR1020090071261 A KR 1020090071261A KR 20090071261 A KR20090071261 A KR 20090071261A KR 101106890 B1 KR101106890 B1 KR 101106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opening
plate
closing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678A (ko
Inventor
진두남
Original Assignee
진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두남 filed Critical 진두남
Priority to KR102009007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8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보강판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에 종래의 분리대 기능을 하는 물막이부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물막이부는 하수로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과 연계시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되는 우수가 프레임 상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봉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특징이 있다.
Figure 112009503053706-pat00001
우수토실, 개폐판, 물막이부, 프레임, 스토퍼, 부력통,

Description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inflow for storm overflow chamber}
본 발명은 우수 때 개폐판이 패쇄되어 맑은 빗물이 강이나 하천 등으로 방류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수압에 의해 폐쇄된 개폐판과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우수토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이 증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보강판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에 종래의 분리대 기능을 하는 물막이부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물막이부는 하수로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과 연계시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되는 우수가 프레임 상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봉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하천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우수토실에는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유입홀 에는 우수유입 방지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우수유입 방지장치는 하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우수토실로 유도 하여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유도하고, 빗물로 인해 하수량이 3배 이상 증대되면, 우수토실을 폐쇄하여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시킨다.
하지만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통상 프레임에 내측에 개폐판을 설치하고, 프레임의 상부면에 분리대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 때 분리대는 하수로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수로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나 초기우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개폐판을 통해 우수토실로 배출된다.
하지만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분리대가 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있어, 우수 때에는 개폐판이 프레임 상에서 폐쇄되어도 수압에 의해 개폐판과 프레임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우수토실 내부로 빗물이 평소하수량의 10% ~ 20% 정도 유입되어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의 정화처리 비용을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별도의 분리대를 설치해야 함으로, 설치비용이 증대되고, 설치가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1목적은,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에 종래의 분리대 기능을 하는 물막이부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물막이부는 하수로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과 연계시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되는 우수가 프레임 상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봉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개폐판, 개방스토퍼 및 보강판에 종래의 분리대기능을 하는 물막이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단일 판으로 구성되는 개폐판, 개방스토퍼 및 보강판에 일체로 물막이판과 더불어 강성보강부를 형성하여 강성이 증대시킬 수 있는 구조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는 하수로(7)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7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711)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1물막이부(21)이 형성된 보강판(2);과, 상기 하수유입홀(711)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1)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13);과, 상기 회전축(13)에 축설되고, 개폐시 상기 보강판(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보강판(2)과 수평선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우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711)을 개폐하는 개폐판(4);과,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판(4)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2물막이부(31)이 형성되는 수평유지스토퍼(3); 및 상기 개폐판(4)의 타측 하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프레임(1)의 양측 상부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6)에 의해 승강되어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개방스토퍼(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4)은 단일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제 3물막이부(41)가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양측은 하향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3물막이부(21,31,41)는 상호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며, 우수 때 개폐판(4) 및 수평유지스토퍼(3)와, 프레임(1)간에 형성되는 틈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개폐판(4)에 형성된 제 3물막이부(41)는 일측에 개폐시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절개면적이 넓어지는 라운드부(41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평유지스토퍼(3)는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홈(H)이 더 형성되고, 타단에는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32)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2)은 상기 장홈(H)과 상통되는 결합홈(2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는 하수로(7)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집수하기 위해 상기 하수로(7)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8)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강판(2)에 형성된 제 1물막이부(21)는 타측에 개폐판(4)의 제 3물막이부(41)가 간섭받지 않도록 하향으로 갈수록 절개면적이 넓어지는 역라운드부(211)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판(4)에 형성된 각 제 3물막이부(41)의 측면에는 장홈(H)과, 상기 장홈(H)상에서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부력통(412)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부력통(412)에는 결합너트(41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너트(412a)와 체결되는 납작장머리볼트(412b)를 통해 장홈(H)을 실링시켜 더불어 상기 부력통(412)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의 토사유입 방지장치는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보강판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에 종래의 분리대 기능을 하는 물막이부을 일체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보강판에 형성된 물막이부는 하수로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과 연계시켜,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되는 우수가 프레임 상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봉쇄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의 하수처리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우수유입 방지장치는 개폐판, 개방스토퍼 및 보강판에 종래의 분리대 기능을 하는 물막이판을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의 간소화에 따른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단일 판으로 구성되는 개폐판, 개방스토퍼 및 보강판에 일체로 물막이판과 더불어 강성보강부를 형성하여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우수 때 개폐판(4)이 폐쇄되어도 개폐판(4)과 프레임(1)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우수토실(71)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의 정화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우수토실(71)은 연결관(72)을 통해 차집관거(73)와 연결되고, 상기 차집관거(73)는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과 연결되어 우수토실(71) 내부로 집수되는 하수나 초기우수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는 크게 5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1)과, 보강판(2)과, 수평유지스토퍼(3)와, 개폐판(4)과, 개방스토퍼(5)로 구성된다.
여기서 프레임(1)은 하수로(7)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71)에 형성된 하수유입홀(711)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보강판(2)은 상기 프레임(1)의 내부 일측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1물막이부(21)가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의 일단은 하수로(7)를 통해 배출되는 하수나 우수를 집수하기 위해 상기 하수로(7)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8)과 일체로 연결되어 하수나 우수를 제 1물막이부(21) 안측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강판(2)은 상기 제 1물막이부(21)의 일측이 상기 프레임(1)의 일측 가로빔(11) 상부면에 부분 걸쳐져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를 통해 상기 보강판(2)의 재료절감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판(2)은 프레임(1)과 볼팅 결합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과의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일체로 용접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는 후술되는 개폐판(4)이 폐쇄될 때 개폐판(4)의 수평을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4)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2물막이부(3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의 타단에는 하수나 초기우수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32)가 연속되게 형성되는 구조이며, 제1물막이부(21)과 제3물막이부(41) 라운드 로된 연결부 틈을 완벽하게 막도록 제2물막이부(31)를 함몰 홈부 보다 다소 길게 하고,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장홈(H)이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보강판(2)은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의 장홈(H)과 상통되는 결합홈(22)이 다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하고,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는 장홈(H)과 결합홈(22)을 통해 보강판(2)의 상부면에서 그 위치가 가변되어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의 위치 조절은 개폐판(4)의 상부로 낙하되는 물의 지점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개폐판(4)의 폐쇄시점과 개방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는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보강판(2) 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작게 구성되며, 상기 제 2물막이부(31)가 제 1물막이부(21) 내부 측면에 중첩되어 제 1물막이부(21) 안측으로 유도된 하수나 우수가 연속적으로 제 2물막이부(31) 안측으로 유도된다.
아울러 개폐판(4)은 프레임의 횡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회전축(13)에 축설되 어 우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711)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개폐판(4)은 하수나 초기우수 때는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13)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 때 다른 일례로 개폐판(4)의 하부에 무게추(미도시)를 구비하여 우수량에 따른 개폐판(4)의 폐쇄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판(4)은 개폐시 상기 보강판(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프레임(1) 상에서 상기 보강판(2)과 수평선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단일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제 3물막이부(41)가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양측은 하향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4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프레임(1)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 가로빔(12)은 상기 개폐판(4)의 수평유지를 위해 다른 빔 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개폐판(4)의 타측은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 가로빔(12) 보다 더 길게 연장되는 구조이다.
때문에 상기 개폐판(4)의 타단에 형성된 강성보강부(42)는 프레임(1)의 타측에 형성된 타측 가로빔(12)의 외각에서 45°로 하향 절곡되어 물의 낙차를 없애 물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하며, 하수나 우수가 원활이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개폐판(4)의 일단에 형성된 강성보강부(42)는 90°하향 절곡되어 단일판 형태로 구성된 개폐판(4)의 강성을 보강한다. 한편 상기 보강판(2) 역시 단일 판체로 구성되며, 일단 및 타단에 90°만큼 하향절곡된 강성보강부(23)가 형성된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4)에 형성된 제 3물막이부(41)의 일측은 개폐시 보강판(2) 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절개 면적이 넓어지는 라운드부(411)가 더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개폐판(4)과 보강판(2)이 프레임(1) 상에서 동일 폭을 갖는 바, 개폐판(4)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제 3물막이부(41)가 상기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과 접촉에 의해 간섭되어 개폐가 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상기 보강판(2) 역시 제 1물막이부(21)의 타측에 개폐판(4)의 제 3물막이부(41)가 간섭받지 않도록 하향으로 갈수록 절개면적이 넓어지는 역라운드부(211)가 더 형성되어 개폐판(4)이 보다 안정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 3물막이부(41) 역시 제 2물막이부(31)의 외부 측면에 중첩되며, 우수 때 제 1물막이부(21) 및 제 2물막이부(31)의 안측으로 유도된 우수가 연속적으로 제 3물막이부(41) 안측으로 유도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하수로 상에서 집수되는 우수는 개폐판(4)이 폐쇄되어도 개폐판(4)과 프레임(1)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우수토실(71)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 1,2,3물막이부(21,31,41)의 안측으로 유도시켜 맑은 우수를 강이나 하천으로 방류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때문에 제 1,2,3물막이부(21,31,41)는 우수 때 개폐판(4) 및 수평유지스토퍼(3)와, 프레임(1)간에 형성되는 틈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하여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의 정화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는 제 1,2,3물막이부(21,31,41)가 상호 동일 높이로 이루어져 있어, 어느 한 부분으로 맑은 우수의 유출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한편 개방스토퍼(5)는 상기 개폐판(4)의 타측 하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개방스토퍼(5)는 기다란 "바" 형태를 취하며, 프레임(1)의 양측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6)에 의해 승강하는 구조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6)은 자유 회전가능하게 프레임(1)의 양측에 수직하향으로 삽입되는 볼스크류(61)와, 상기 개방스토퍼(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개방스토퍼(5)의 저면에 부착된 승강너트(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방스토퍼(5)의 양측은 2개의 볼스크류(6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이며, 볼스크류(61)는 프레임(1)의 상부에 노출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볼스크류(61)의 강제 회전에 의해 승강너트(62)가 승강하여 결과적으로 개방스토퍼(5)를 승강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개방스토퍼(5)는 개폐판(4)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바, 개폐판(4)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기울여져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하면서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상기 개방스토퍼(5)는 프레임(1)에 노출된 볼스크류(61)에 의해 승강높이가 조절됨으로, 손쉽게 개방스토퍼(5)의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 한편, 강이나 하천의 물의 역류하면, 우수토실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폐판(4)을 신속히 폐쇄시키는 부력통(412)이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부력통(412)은 개폐판(4)의 제 3물막이부 외측면에서 높이가 조절되게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개폐판의 제 3물막이부(41)에는 부력통(412)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장홈(H)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부력통(4)에는 결합너트(41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너트(412a)와 체결되는 납작장머리볼트(412b)를 통해 장홈(H)을 실링시키고, 더불어 상기 부력통(412)을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부력통(4)이 장홈(H) 상에서 높이가 조절된다 하더라도, 상기 납작장머리볼트(412b)가 장홈(H)을 실링시켜 제 1,2,3물막이부(21,31,41)의 내부로 안내되는 우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설치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본 발명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 개폐판과 수평유지스토퍼가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본 발명의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가 닫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11: 일측 가로빔 12: 타측 가로빔
13: 회전축
2: 보강판 21: 제 1물막이부 211: 역라운드부
22: 결합홈 23: 강성보강부
3: 수평유지스토퍼 31: 제 2물막이부 32: 함몰 홈부
4: 개폐판 41: 제 3물막이부 411: 라운드부
412: 부력통 412a: 결합너트
421b: 납작장머리볼트
42: 강성보강부
5: 개방스토퍼
6: 높이조절수단 61: 볼스크류 62: 승강너트
7: 하수로 71: 우수토실 711: 하수유입홀
72: 연결관 73: 차집관거
8: 집수판
H: 장홈
삭제
삭제
삭제

Claims (7)

  1. 하수로(7)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7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711)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1)의 일측에 고정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1물막이부(21)이 형성된 보강판(2);
    상기 하수유입홀(711)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1)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13);
    상기 회전축(13)에 축설되고, 개폐시 상기 보강판(2)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보강판(2)과 수평선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우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711)을 개폐하는 개폐판(4);
    상기 보강판(2)의 상부면에 중첩되게 결합되어 하부면에 배치되는 상기 개폐판(4)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고, 좌/우 양측은 상향 절곡된 제 2물막이부(31)이 형성되는 수평유지스토퍼(3); 및
    상기 개폐판(4)의 타측 하부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고, 프레임(1)의 양측 상부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6)에 의해 승강되어 개폐판(4)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개방스토퍼(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개폐판(4)은 단일 판체로 이루어지고, 좌/우 양측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제 3물막이부(41)가 형성되고, 일단 및 타단 양측은 하향으로 절곡된 강성보강부(42)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3물막이부(21,31,41)는 상호 동일 높이로 이루어지며, 우수 때 개폐판(4) 및 수평유지스토퍼(3)와, 프레임(1)간에 형성되는 틈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에 형성된 제 3물막이부(41)는 일측에 개폐시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의 간섭을 피하도록 상향으로 갈수록 절개면적이 넓어지는 라운드부(4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에 형성된 제 1물막이부(21)는 타측에 개폐판(4)의 제 3물막이부(41)가 간섭받지 않도록 하향으로 갈수록 절개면적이 넓어지는 역라운드부(21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3)는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홈(H)이 더 형성되고, 타단에는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32)가 연속되게 형성되며,
    상기 보강판(2)은 상기 장홈(H)과 상통되는 결합홈(2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2)의 제 1물막이부(21)는 하수로(7)를 통해 집수되는 우수를 집수하기 위해 상기 하수로(7) 상에 설치되는 집수판(8)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4)에 형성된 각 제 3물막이부(41)의 측면에는 장홈(H)과, 상기 장홈(H)상에서 승강 높이가 조절되는 부력통(412)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통(412)에는 결합너트(412a)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결합너트(412a)와 체결되는 납작장머리볼트(412b)를 통해 장홈(H)을 실링시켜 더불어 상기 부력통(412)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20090071261A 2009-08-03 2009-08-03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106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61A KR101106890B1 (ko) 2009-08-03 2009-08-03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261A KR101106890B1 (ko) 2009-08-03 2009-08-03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78A KR20110013678A (ko) 2011-02-10
KR101106890B1 true KR101106890B1 (ko) 2012-01-25

Family

ID=4377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261A KR101106890B1 (ko) 2009-08-03 2009-08-03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8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18B1 (ko) * 2012-09-27 2013-03-18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밀폐형 토사유입 및 역류방지장치
KR101564205B1 (ko) 2015-06-23 2015-10-28 김현숙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20210013515A (ko) 2019-07-27 2021-02-04 김민지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196B1 (ko) * 2011-04-08 2011-06-03 안중록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200471030Y1 (ko) * 2012-02-07 2014-01-27 한국라이텍개발(주) 관경확보장치
KR101453362B1 (ko) * 2013-07-26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다기능 유량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704A (ko) * 2007-01-18 2007-03-08 이경우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20100119302A (ko) * 2009-04-30 2010-11-09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6704A (ko) * 2007-01-18 2007-03-08 이경우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20100119302A (ko) * 2009-04-30 2010-11-09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318B1 (ko) * 2012-09-27 2013-03-18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밀폐형 토사유입 및 역류방지장치
KR101564205B1 (ko) 2015-06-23 2015-10-28 김현숙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20210013515A (ko) 2019-07-27 2021-02-04 김민지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78A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US8939169B2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KR100980234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20070026704A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70359B1 (ko)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89539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132846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JP6153122B2 (ja) 雨水貯溜配管構造及びそれに用いる排水桝
KR100711853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511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32847B1 (ko) 부력실을 갖는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986644B1 (ko) 빗물 처리시스템
KR101356852B1 (ko)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654402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KR102153821B1 (ko) 웨어식 우수토실장치
KR100971445B1 (ko) 슬러지 준설이 용이한 하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