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9302A -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9302A
KR20100119302A KR1020090038344A KR20090038344A KR20100119302A KR 20100119302 A KR20100119302 A KR 20100119302A KR 1020090038344 A KR1020090038344 A KR 1020090038344A KR 20090038344 A KR20090038344 A KR 20090038344A KR 20100119302 A KR20100119302 A KR 2010011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frame
rainwater
sew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192B1 (ko
Inventor
진두남
Original Assignee
진두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두남 filed Critical 진두남
Priority to KR102009003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9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끊기바를 통해 개폐판의 개폐를 원활히 하고, 평균 하수량에 따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개방수단을 통해 개폐판이 폐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우수토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하수량의 수위가 3배 이하가 되어도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수토실, 하수로, 차집관거, 스토퍼, 개폐판, 협잡물, 토사

Description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A PREVENTION APPARATUS OF RAIN AND SAND INFLOW FOR STORM OVERFLOW CHAMBER}
본 발명은 하수로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분리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하수유입홀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고, 하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와, 개폐판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개방스토퍼로 구성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개폐판은, 타측에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가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개방수단을 통해 폐쇄 후 개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 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우수토실에는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수유입홀에는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구비된다. 어울러 상기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협잡물과 같은 이물질 등이 우수토실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스크린망이 더 설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종래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하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를 우수토실로 유도하여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유도하고, 빗물로 인해 하수량이 3배 이상 증대되면, 우수토실을 폐쇄하여 하천이나 강으로 배출시킨다.
평균 하수량의 변화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되는데, 이 때 수평유지스토퍼의 위치 조절은 프레임에 수평유지스토퍼를 분리한 후 새로운 결합공을 뚫은 후 재조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개폐판의 위치조절은 하수유입홀에서 프레임을 분리하고, 다시 회전축을 프레임에서 분리한 후 회전축의 위치를 변경시켜 개폐판의 위치를 조절하고, 프레임을 하수유입홀에 다시 재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된 베어링브라켓이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폐판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는 하수유입홀에서 프레임을 분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에는 우수량이 감소되어 하수량의 수위가 3배 이하가 되면 개폐판은 다시 자중에 의해 개방되어야 하는데, 개폐판이 폐쇄된 후 우수토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폐판이 개방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끊기바를 통해 개폐판의 개폐를 원활히 하고, 평균 하수량에 따라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개방수단을 통해 개폐판이 폐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우수토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하수량의 수위가 3배 이하가 되어도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하수로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분리대가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하수유입홀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고, 하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을 개폐하는 개폐판;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와, 개폐판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개방스토퍼로 구성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타측에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가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개방수단을 통해 폐쇄 후 개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개폐판에는 타측 저면에 부력통이 더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판의 타측 상부면에는 함몰 홈부를 개폐하는 물유입조절판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판의 일측 상부면에는 개폐판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조절판(38)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폐판의 상부면 중앙에는 일측은 수직면을 이루고, 타측은 경사면을 이루는 "
Figure 112009026498237-PAT00001
" 형상의 물끊기바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평유지스토퍼는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홈이 더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프레임이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는 개폐판이 폐쇄되면 하수유입홀로 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물유입차단프레임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개방수단은 한쌍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를 포함하는 베어링브라켓과, 상기 베어링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개방봉과, 상기 개방봉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어 개폐판의 저면에 밀착되는 롤러와, 상기 개방봉의 안쪽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는 상기 각 개방봉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스토퍼봉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봉은 프레임의 타측 내부면에 높이 차를 두고 다수 형성된 결합공을 통해 각 개방봉의 기울여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따르면, 개폐판이 패쇄된 후 우수토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폐판이 개방되지 않는 것을, 개방수단을 통해 개폐판을 강제로 들어올려 개폐판이 열리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개방스토퍼를 개폐판의 하부에 승강되게 배치시키고, 서브지지프레임 역시 개폐판의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일측 내부 종방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시켜 하수의 협잡물이 개방스토퍼에 걸려 개폐판이 폐쇄되지 않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더불어 평균 하수량이 변화됨에 따라 하수 유입량을 조절할 경우에는 개폐판의 저면에 부착된 회전축의 위치 및 프레임에 결합된 수평유지스토퍼의 위치를 손쉽게 가변시켜 하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물끊기바를 통해 개폐판의 개폐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수로(8)의 배출측에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811)을 포함하는 우수토실(81)에 설치되고, 상기 우수토실(81)은 연결관(82)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과 연계된 차집관거(82)와 연결되는 것으로, 특히 우천시 상기 하수유입홀(811)로 우수 및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평균 하수량에 따라 개폐판(3) 및 수평유지스토퍼(4)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개폐판(3)이 폐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우수토실(8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폐판(3)이 하수량의 수위가 3배 이하가 되어도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을 개선한 장치이다.
상기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크게 6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하수유입홀(811)에 설치되고 상부면에 분리대(13)가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에 고정되어 개폐되는 개폐판(3)과, 상기 프레임(1)에 설치되어 개폐판(3)의 수평을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4)와, 상기 개폐판(3)의 개방 각도를 단속하는 높이조절수단(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축(2)은 상기 하수유입홀(811)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1)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3)은 이러한 회전축(2)에 축설되고, 하수 및 우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811)을 개폐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회전축(2)은 회전가능하도록 양단에 결합된 베어링브라켓(BB)을 통해 상기 프레임(1)의 양쪽 내측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상기 개폐판(3)이 회전축(2)과 함께 동반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3)은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에 하나 이상의 전방 추(31)와, 후방 추(32)가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전/후방 추(31,32)는 종방향으로 텝홀이 형성된 너트(3a)와, 상기 너트(3a)에 종방향으로 체결되어 전,후방의 위치 조정을 통해 상기 회전축(2)을 중심으로 전/후방의 하강 중량을 가변시키는 나선 추(3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개폐판(3)의 편중 무게를 조절하여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방향을 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개폐판(3)은 평균 하수량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1)에 대해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은 회전축(2)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베어링브라켓(BB)의 위치를 조절하는 장홈(H)이 형성된 지지브라켓(12)을 더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지지브라켓(12)은 프레임(1)의 양쪽 안측면에 고정된 것으로, 회전축(2)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베어링브라켓(BB)을 장홈(H) 상에 고정시킨 구조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은 개폐판(3)의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일측 내부 종방 향을 따라 외팔보 형태로 결합된 서브지지프레임(11)이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서브지지프레임(11)은 회전축(2)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면으로 회전축(2)에 축설된 베어링브라켓(BB)이 고정되되, 상기 베어링브라켓(BB)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장홈(H)이 형성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개폐판(3)의 위치를 가변시킬 경우에는 프레임(1)을 하수유입홀(811)에 분리시키지 않고 회전축(2)만을 지지브라켓(12)의 장홈(H)과 서브지지프레임(11)의 장홈(H) 상에서 이동시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폐판(3)은 타측에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36)가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 때 상기 개폐판(3)의 타측 상부면에는 함몰 홈부(36)를 개폐하는 물유입조절판(37)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물유입조절판(37)에는 장홈(H)이 형성되어 있어 개폐판(3)의 상부면에서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물유입조절판(37)의 위치를 조절하여 개폐판(3)의 함몰 홈부(36)를 통해 유입되는 하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3)의 일측 상부면에는 상기 물유입조절판(37)과 동일한 구조의 무게중심조절판(38)이 더 구비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무게중심조절판(38) 역시 장홈(H)이 형성되어 있어 개폐판(3)의 상부에서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물유입조절판(37)의 위치를 조절하게 되면, 상기 무게중심조절판(38) 역시 위치를 조절하여 개폐판(3)의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판(3)의 상부면 중앙에는 일측은 수직면(161)을 이루고, 타측은 경사면(162)을 이루는 삼각구조를 갖는 "
Figure 112009026498237-PAT00002
" 형상의 물끊기바(16)가 더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물끊기바(16)는 역류되는 맑은물과, 평균 하수량의 하수가 물끊기바를 못 넘어가게 하여 개폐판(3)의 개폐를 원활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물끊기바(16)는 수직면은 하천 및 강물의 수위가 상승하면 초기 맑은물을 물끊기바(16)로 못넘어가게 하여 개폐판(3)이 그 즉시 폐쇄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물끊기바(16)의 경사면(162)의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수량은 적은데 유속이 빠른 하수가 개폐판(3)의 일측으로 가지 못하도록 차단하여 개폐판(3)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우수 및 하수량의 3배 이상일 때에는 물끊기바(16)의 경사면(162)을 통해 물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도록 하여 개폐판(3)이 원활히 폐쇄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수평유지스토퍼(4)는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3)의 폐쇄(수평)를 단속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수평유지스토퍼(4)는 일측 단부에 하수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41)가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이 때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 역시 평균 하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 조절하기 위해 개폐판(3)의 위치를 가변할 경우, 개폐판(3)과 같이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홈(H)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는 프레임(1)의 연결브라켓(17)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의 저면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1)의 상부면에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프레임(42)이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는 개폐판(3)이 폐쇄되면 하수유입홀(811)로 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물유입차단프레임(43)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이격프레임(42)은 프레임(1)에 밀착되고, 상기 물유입차단프레임(43)은 상기 개폐판(3)의 상부에 밀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이격프레임(42)을 통해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와 개폐판(3)과의 높이차를 두어 낙차에 의해 상기 개폐판(3)의 개방과 폐쇄를 원활히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유입차단프레임(43)은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가 이격프레임(42)에 의해 프레임(1) 상에서 이격되면, 개폐판(3)과의 갭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갭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방수단(7)은 개폐판(3)이 폐쇄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우수토실(81)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폐판(3)이 하수량의 수위가 3배 이하가 되어도 개방되지 않을시 작동하여 개폐판(3)이 개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개방스토퍼(5)는 상기 개폐판(3)의 타측 하부에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개폐판(3)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도록 승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개방스토퍼(5)는 기다란 "바" 형태를 취하며, 프레임(1)의 양측에 결 합되는 높이조절수단(6)에 의해 승강하는 구조이다.
상기 높이조절수단(6)은 자유 회전가능하게 프레임(1)의 양측에 수직하향으로 삽입되는 볼스크류(61)와, 상기 개방스토퍼(5)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개방스토퍼(5)의 저면에 부착된 승강너트(62)로 구성된다.
즉, 상기 개방스토퍼(5)의 양측은 2개의 볼스크류(61)에 의해 공중에 매달린 상태이며, 볼스크류(61)는 프레임(1)의 상부에 노출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볼스크류(61)의 강제 회전에 의해 승강너트(62)가 승강하여 결과적으로 개방스토퍼(5)를 승강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개방스토퍼(5)는 개폐판(3)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바, 개폐판(3)의 타측이 자중에 의해 기울여져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하면서 개폐판(3)의 개방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써, 상기 개방스토퍼(5)는 프레임(1)에 노출된 볼스크류(61)에 의해 승강 높이가 조절됨으로, 손쉽게 개방스토퍼(5)의 높이를 조절하여 개폐판(3)의 개방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개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수단(7)은 개폐판(3)이 폐쇄된 후 하수량의 수위 또는 하천 및 강물의 수위 상승에 의해 역류 되는 맑은 물의 수위가 낮아지면 폐쇄된 개폐판(3)이 개방되야 하는데, 이 때 우수토실(81)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방되지 않을 시 상기 개폐판(3)을 강제로 밀어 올려 개방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개방수단(7)은 한쌍으로 상호 대칭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각 개방수단(7)은 상기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71)과, 상기 지지봉(71)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브라켓(BB)과, 상기 베어링브라켓(BB)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개방봉(72)과, 상기 개방봉(72)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어 개폐판(3)의 저면에 밀착되는 롤러(721)와, 상기 개방봉(72)의 안쪽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722)로 구성된다.
여기서 무게추(722)는 너트(3a)와 나선 추(3b)로 구성되어 개방봉(72)의 하강 중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봉(72)은 지지봉(71)에 결합된 베어링브라켓(BB)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결과적으로 지렛대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개방봉(72)은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브라켓(BB)에 의해 회동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지지봉(71)에 편중 결합되고, 또한 무게추(722)에 의해 바깥쪽이 상향으로 기울여진 형태이다.
이 때 개방봉(72)의 바깥쪽 단부는 상기 개폐판(3)의 저면에서 간섭이 없이 롤링될 수 있도록 롤러(721)가 결합된 구조이다.
전술된 개방봉(72)의 구조에 따른 작동관계를 도 5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평균 하수량 3배 및 역류되는 맑은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개폐판(3)은 폐쇄된다(①). 이는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과 연계되는 우수토실(81) 내부로 우수 및 맑은 강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개폐판(3)이 폐쇄된 후, 수위가 낮아지거나 상류에서 유입되는 하수량이 다시 평균 하수량의 3배 이하게 되면 개폐판(3)을 누르는 수압이 약해지는 바, 상기 개폐판(3)이 개방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우수토실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어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개방봉(72)이 강제 작동하여 상기 개폐판(3)을 개방시켜 주는 것이다.(②)
한편 상기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는 상기 각 개방봉(72)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스토퍼봉(1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봉(14)은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 높이 차를 두고 다수 형성된 결합공(15)을 통해 각 개방봉(72)의 기울여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이러한 스토퍼봉(14)은 개방봉(72)이 걸처지도록 하여 기울여짐 각도를 적정 수준으로 기울여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봉(14)을 선택되는 결합공(15)에 결합시켜 개방봉(72)의 기울여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도 2에서 발췌된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3)의 타측 저면에는 부력통(35)이 더 부착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개폐판(3)의 일측 저면에만 전방 추(31)가 결합되고, 후방 추(32)의 기능을 부력통(35)이 대신한다.
이러한 구조는 전방 추(31)만을 이용하여 상기 개폐판(3)의 편중 무게를 조절하고, 더불어 강물이나 하천의 맑은 물이 역류되어 우수토실(81)로 유입되면, 부 력통(35)에 의해 개폐판(3)이 원활히 패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의 개폐판(3)은 강물 및 하천수위와 우수토실과의 고/저 차이가 안났을 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강이나 하천이 쉽게 범람하여 맑은 물이 쉽게 역류함으로 개폐판(3)이 신속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확대도,
도 3은 도 2에서 개폐판 및 수평유지스토퍼의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2에서 발췌된 개방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6은 도 2에서 발췌된 다른 실시예의 개폐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프레임 11: 서브지지프레임
12: 지지브라켓 13: 분리대
14: 스토퍼봉 15: 결합공
16: 물끊기바 161: 수직면
162: 경사면 17: 연결브라켓
2: 회전축
3: 개폐판 31: 전방 추 32: 후방 추
3a: 너트 3b: 나선 추
35: 부력통 36: 함몰 홈부
37: 물유입조절판 38: 무게중심조절판
4: 수평유지스토퍼 41: 함몰 홈부 42: 이격프레임
43: 물유입차단프레임
5: 개방스토퍼
6: 높이조절수단 61: 볼스크류 62: 승강너트
7: 개방수단 71: 지지봉 72: 개방봉
721: 롤러 722: 무게추
8: 하수로 81: 우수토실 811: 하수유입홀 82: 연결관
83: 차집관거
H: 장홈 BB: 베어링브라켓

Claims (8)

  1. 하수로(8)의 배출측에 구비되어 있는 우수토실(81)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하수유입홀(811)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분리대(13)가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하수유입홀(811)의 횡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1) 내부를 가로질러 결합되는 회전축(2);과, 상기 회전축(2)에 축설되고, 하수의 양에 따라 하수유입홀(811)을 개폐하는 개폐판(3);과, 상기 프레임(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판(3)의 닫힘 상태를 단속하는 수평유지스토퍼(4)와, 개폐판(3)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개방스토퍼(5)로 구성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은,
    타측에 하수 유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함몰 홈부(36)가 지그재그로 연속되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 부착되는 한쌍의 개방수단(7)을 통해 폐쇄 후 개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에는 타측 저면에 부력통(35)이 더 부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의 타측 상부면에는 함몰 홈부(36)를 개폐하는 물유입조절판(37)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의 일측 상부면에는 개폐판(3)의 무게 중심을 조절하는 무게중심조절판(3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3)의 상부면 중앙에는 일측은 수직면(161)을 이루고, 타측은 경사면(162)을 이루는 "
    Figure 112009026498237-PAT00003
    " 형상의 물끊기바(16)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스토퍼(4)는 하수 및 우수량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장홈(H)이 더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1)의 상부면에 이격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프레임(42)이 결합되고,
    저면 일측에는 개폐판(3)이 폐쇄되면 하수유입홀(811)로 물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물유입차단프레임(43)이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7)은 한쌍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봉(71)과, 상기 지지봉(71)의 단부에 결합되는 베어링를 포함하는 베어링브라켓(BB)과, 상기 베어링브라켓(BB)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개방봉(72)과, 상기 개방봉(72)의 바깥쪽 단부에 결합되어 개폐판(3)의 저면에 밀착되는 롤러(721)와, 상기 개방봉(72)의 안쪽 하부에 결합되는 무게추(7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는 상기 각 개방봉(72)의 개방 각도를 단속할 수 있는 스토퍼봉(1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봉(14)은 프레임(1)의 타측 내부면에 높이 차를 두고 다수 형성된 결합공(15)을 통해 각 개방봉(72)의 기울여짐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0090038344A 2009-04-30 2009-04-30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19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344A KR101119192B1 (ko) 2009-04-30 2009-04-30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344A KR101119192B1 (ko) 2009-04-30 2009-04-30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02A true KR20100119302A (ko) 2010-11-09
KR101119192B1 KR101119192B1 (ko) 2012-03-21

Family

ID=4340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344A KR101119192B1 (ko) 2009-04-30 2009-04-30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106890B1 (ko) * 2009-08-03 2012-01-25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137544B1 (ko) * 2011-10-19 2012-04-20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우수 유입 방지장치
JP2022035145A (ja) * 2020-08-20 2022-03-04 一般社団法人Surface Builder 路盤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3515A (ko) 2019-07-27 2021-02-04 김민지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KR20220125123A (ko) 2021-03-04 2022-09-14 전상훈 하수의 낙차를 이용한 우수토실의 무누수 유량조절기
KR102645553B1 (ko) 2021-05-17 2024-03-07 전상훈 무누수 하수 유량조절장치
KR102653997B1 (ko) 2021-05-25 2024-04-02 전상훈 저류식 하수 유량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37B1 (ko) * 2004-09-18 2006-07-31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70359B1 (ko) * 2005-12-08 2007-10-25 이경우 부력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74588B1 (ko) * 2007-01-18 2007-11-09 이경우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890B1 (ko) * 2009-08-03 2012-01-25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050707B1 (ko) * 2011-03-23 2011-07-20 (주)한국융합아이티 유압식 수문을 이용한 초기우수 제어 시스템
KR101137544B1 (ko) * 2011-10-19 2012-04-20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우수 유입 방지장치
JP2022035145A (ja) * 2020-08-20 2022-03-04 一般社団法人Surface Builder 路盤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192B1 (ko)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192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74588B1 (ko) 우수토실에 구비된 하수 유입 조절장치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62066B1 (ko)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090101703A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CN101538892A (zh) 雨水口废弃物拦截防臭装置
KR101139533B1 (ko)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132846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033015B1 (ko) 하수로 차집관거의 토사유입 방지장치
CN210458845U (zh) 一种市政道路初期雨水排放系统
KR101132847B1 (ko) 부력실을 갖는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140022353A (ko) 우수토실 개폐장치
KR101189539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CN206655297U (zh) 一种雨污分流自控装置
KR1011511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413688B1 (ko) 낙하 우수 처리 장치
KR101185905B1 (ko) 우수 토실 유량 제어 장치
KR100615675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