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367B1 -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367B1
KR101631367B1 KR1020140050632A KR20140050632A KR101631367B1 KR 101631367 B1 KR101631367 B1 KR 101631367B1 KR 1020140050632 A KR1020140050632 A KR 1020140050632A KR 20140050632 A KR20140050632 A KR 20140050632A KR 101631367 B1 KR101631367 B1 KR 10163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plate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161A (ko
Inventor
전상훈
Original Assignee
전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훈 filed Critical 전상훈
Priority to KR1020140050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3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개폐판에 결합된 탄성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판과의 결합지점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탄성스프링과 더불어 와이어를 조합 연결시켜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FLOW CONTROL DEVICE OF STORM OVERFLOW CHAMBER USING BUOYANCY}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폐판에 결합된 탄성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판과의 결합지점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탄성스프링과 더불어 와이어를 조합 연결시켜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로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하수 및 공장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공장 폐수와, 빗물이 도로의 배수로를 통하여 모여진 하수를 배수하는 통로를 말하는 것이다.
특히 하수로는 배출측이 강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하수가 강으로 유입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알려진 하수로는 배출측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우수토실을 포함하고, 우수토실에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를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특허등록 제10-1369130호)는 평균 하수량의 변화에 따라 하수유입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가변시켜야 되는데, 이는 회전축에 결합된 개폐판의 무게 중심과, 무게추를 통해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였다.
때문에 개폐판의 상부면에 토사나 자갈등이 있을 경우에는 개폐판의 무게 중심이 손쉽게 무너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게추와 회전축의 무게 중심을 자중에 의해 조율하는 것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판에 결합된 탄성스프링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판과의 결합지점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판의 저면에 탄성스프링과 더불어 와이어를 조합 연결시켜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우수토실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된 회전축에 고정되는 개폐판; 상기 회전축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의 일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1지지판; 상기 회전축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의 타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지지판; 상기 제 1지지판과, 개폐판의 일측 저면을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 2지지판과, 개폐판의 타측 저면을 상호 연결시키는 와이어;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탄성스프링에 연결된 상기 개폐판의 하강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개폐판이 패쇄될 때까지의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증감하는 제 1개방조절부;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지지판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와이어와의 연결에 의해 상기 개폐판의 상승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 2개방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은 개폐판의 연결지점이 가변되도록 개폐판의 일측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의 일측 저면에는 부력통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개방조절부 및 제 2개방조절부는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 수직하향으로 관통되는 삽입단부가 상기 제 1지지판 또는 제 2지지판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장볼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각 장볼트의 상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와, 상기 장볼트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볼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아이너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각 탄성스프링의 상부는 이동블럭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은 상기 개폐판의 타측 저면에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은 회전축에 편심결합되고, 개폐판의 저면에는 무게추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따르면, 개폐판의 개방정도를 와이어와, 탄성스프링을 통해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설치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판의 저면에 결합된 탄성스프링의 연결지점이 가변되어 탄성스프링을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개폐판을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제 1개방조절부 및 제 2개방조절부의 작동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판(20)에 결합된 탄성스프링(31)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폐판(20)과의 결합지점이 가변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개폐판(20)의 저면에 탄성스프링(31)과 더불어 와이어(41)를 조합시켜 개폐판(20)의 개방정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100)는 크게 4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는 개폐판(20)과,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20)의 일측 하강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 1개방조절부(50a) 및 회전축(11)을 중심으로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상승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 2개방조절부(50b)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우수토실(200)의 하수유입홀에 설치되고, 상기 우수토실(200)은 연결관(210)을 통해 차집관거(300)와 연결되고, 상기 차집관거(300)는 하수종말처리장(미도시)과 연결되어 우수토실(200) 내부로 집수되는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20)은 프레임(10)에 결합된 회전축(11)에 편심 결합되거나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에 무게추(21)를 구비하여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20)의 일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제 1지지판(30)이다.
이러한 제 1지지판(30)은 탄성스프링(31)을 매개로 개폐판(20)의 일측 저면과 연결되어 개폐판(20)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제 2지지판(40)이다.
이러한 상기 제 2지지판(40)은 와이어(41)를 매개로 개폐판(20)의 타측 저면과 연결되어 개폐판(20)과 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서의 와이어는 쇠사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개방조절부(50a)는 상기 제 1지지판(3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판(20)의 하강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1개방조절부(50a)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하향으로 관통되는 삽입단부가 상기 제 1지지판(3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장볼트(51)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각 장볼트(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52)와, 상기 장볼트(5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볼트(51)의 상단에 결합되는 아이너트(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이너트(53)는 프레임(10)의 상부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이를 손으로 파지하여 장볼트(51)의 끝단부에 결합된 제 1지지판(30)을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상기 나비너트(52) 역시 프레임(10)의 상부에 노출되는 구성으로 상기 각 장볼트(51)에 체결되어 장볼트(51)가 프레임(1)의 하부공간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프레임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개방조절부(50a)는 아이너트(53)를 손으로 파지하여 장볼트(51)에 결합된 제 1지지판(30)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나비너트(52)를 통해 제 1지지판(30)의 높이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개폐판(20)의 하강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개방조절부(50b)는 상기 제 2지지판(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개폐판(20)의 상승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 2개방조절부(50b)는 제 1개방조절부(50a)와 동일 구성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31)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개폐판(20)의 일측이 하강하여 항시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평소 수압의 3배 이상에서는 개폐판(20)이 폐쇄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와이어(41)는 개폐판(20) 타측의 최대 상승량을 구속하여 개폐판(20)의 최대 개방 정도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31)은 개폐판(20)과의 연결지점이 가변되도록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각 탄성스프링(31)의 상부는 이동블럭(311)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311)은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에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는 개폐판(20)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하더라도, 탄성스프링(31)이 휘어지지 않고 직선방향으로만 늘어나거나 수축되도록 구성하여 탄성스프링(31)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판(20)은 일측 저면에 부력통(22)을 결합시켜 우수토실(200) 내부가 만수위가 되거나, 차집관거(300)로부터 빗물이 역류하여 우수토실(200)의 내부가 만수위가 되면 개폐판(20)이 폐쇄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판(20)은 무게추(21)를 마련하여 개폐판(20)의 무게 중심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제 1개방조절부 및 제 2개방조절부의 작동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3과 같이, 제 1개방조절부(50a)을 통해 개폐판(20)의 일측 하강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제 1개방조절부(50a)의 아이너트(53)를 손으로 파지하여 장볼트(51)에 결합된 제 1지지판(30)을 하강시켜 높이를 낮추고, 프레임(10)의 상부면에 나비너트(52)를 밀착시키면 탄성스프링(31)과 연결된 개폐판(20)의 일측 하강 개방정도가 크게 된다. 그러므로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다시 상기 제 2개방조절부(50b)의 아이너트(53)를 손으로 파지하여 장볼트(51)에 결합된 제 2지지판(40)을 하강시켜 높이를 낮추고, 프레임(10)의 상부면에 나비너트(52)를 밀착시키면 와이어(41)와 연결된 개폐판(20)의 타측 상승 개방정도가 작게 된다. 그러므로 하수 및 초기우수의 유입량을 작게 조절 할 수 있다.
한편 도 5와 같이, 평소에는 하수 및 초기우수는 개방된 개폐판(20)을 통해 우수토실(200)로 집수되고, 우수토실(200)에 집수된 하수 및 초기우수는 차집관거(300)로 배출된다.
이 후, 도 6과 같이, 평소 수위가 3배 이상이 되는 맑은 빗물은 수압으로 개폐판(20)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차집관거(300)의 빗물이 역류되어 우수토실(200)의 내부가 만수위가 되더라도 부력통(22)에 의해 개폐판(20)은 폐쇄된다.
그리고 우천이 끝나면 빗물의 수압은 낮아지고, 우수토실(200)의 내부의 빗물은 다시 차집관거(300)로 배출되는 바, 상기 개폐판(20)에 연결된 탄성스프링(31)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은 개방된다.
아울러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상기 각 탄성스프링(31)의 상부는 이동블럭(311)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311)은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에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어 개폐판(20)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하더라도, 탄성스프링(31)이 휘어지지 않고 직선방향으로만 늘어나거나 수축되어 탄성스프링 작동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10: 프레임 11: 회전축
20: 개폐판 21: 무게추 22: 부력통
23: 가이드레일
30: 제 1지지판 31: 탄성스프링 311: 이동블럭
40: 제 2지지판 41: 와이어
50a: 제 1개방조절부 50b: 제 2개방조절부 51: 장볼트
52: 나비너트 53: 아이너트
100: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200: 우수토실 210: 연결관
300: 차집관거

Claims (5)

  1. 우수토실(200)에 설치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힌지 결합된 회전축(11)에 고정되는 개폐판(20);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20)의 일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1지지판(30);
    상기 회전축(11)을 중심에 두고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지지판(40);
    상기 제 1지지판(30)과, 개폐판(20)의 일측 저면을 상호 연결시키는 탄성스프링(31);
    상기 제 2지지판(40)과,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을 상호 연결시키는 와이어(41);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지지판(3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탄성스프링(31)에 연결된 상기 개폐판(20)의 하강 개방 정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개폐판(20)이 패쇄될 때까지의 상기 탄성스프링(31)의 탄성력을 증감하는 제 1개방조절부(50a); 및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되어 상기 제 2지지판(40)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서 상기 와이어(41)와의 연결에 의해 상기 개폐판(20)의 상승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제 2개방조절부(5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스프링(31)은 개폐판(20)의 연결지점이 가변되도록 개폐판(20)의 일측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20)의 일측 저면에는 부력통(22)이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개방조절부(50a) 및 제 2개방조절부(50b)는 상기 프레임(10)의 양측에 수직하향으로 관통되는 삽입단부가 상기 제 1지지판(30) 또는 제 2지지판(4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장볼트(51)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각 장볼트(51)의 상부에 체결되는 나비너트(52)와, 상기 장볼트(51)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볼트(51)의 상단에 결합되는 아이너트(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탄성스프링(31)의 상부는 이동블럭(311)과 결합되고,
    상기 이동블럭(311)은 상기 개폐판(20)의 타측 저면에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23)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20)은 회전축(11)에 편심 결합되고, 상기 개폐판(20)의 저면에는 무게추(21)가 더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1020140050632A 2014-04-28 2014-04-28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10163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32A KR101631367B1 (ko) 2014-04-28 2014-04-28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0632A KR101631367B1 (ko) 2014-04-28 2014-04-28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61A KR20150124161A (ko) 2015-11-05
KR101631367B1 true KR101631367B1 (ko) 2016-06-16

Family

ID=54600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632A KR101631367B1 (ko) 2014-04-28 2014-04-28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3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4629B (zh) * 2018-08-07 2024-01-30 江苏龙禾轻型材料有限公司 新型废水池浮盖板
CN109958162B (zh) * 2019-04-10 2023-11-14 湖南工学院 一种园林雨水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55B1 (ko) * 2005-11-25 2007-04-30 이경우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72813B1 (ko) * 2013-12-30 2014-03-12 (주) 협신기업 하수차집관거 유입유량 조절 및 토사유입방지 장치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855B1 (ko) * 2005-11-25 2007-04-30 이경우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90111B1 (ko) * 2013-11-22 2014-04-29 전상훈 수위 및 수질측정 겸용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KR101372813B1 (ko) * 2013-12-30 2014-03-12 (주) 협신기업 하수차집관거 유입유량 조절 및 토사유입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161A (ko) 2015-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66B1 (ko)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KR101553770B1 (ko) 하수관거 통합 제어시스템
KR101016159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19192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N103835363B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101715561B1 (ko) 다목적 유량조절장치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101887530B1 (ko) 우·오수 분리불가 가옥을 위한 우·오수 자동분리장치
KR100578290B1 (ko) 맨홀의 역류방지 구조
KR102078721B1 (ko) 유량 및 수질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자동 빗물제어 시스템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10013678A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20120138545A (ko) 무동력 자동유량조절장치
KR101372813B1 (ko) 하수차집관거 유입유량 조절 및 토사유입방지 장치
CN105064452A (zh) 雨水弃流收集存储与溢流、防倒流一体控制装置
KR101564205B1 (ko) 개폐판의 상부에 단속수단을 갖는 유량조절장치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40022353A (ko) 우수토실 개폐장치
KR101132846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N203821566U (zh) 电动分流制管网截流井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2037006B1 (ko) 봉수 높이에 따른 개폐로 유입량을 조절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조절장치
KR101132847B1 (ko) 부력실을 갖는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