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9533B1 -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9533B1
KR101139533B1 KR1020110044728A KR20110044728A KR101139533B1 KR 101139533 B1 KR101139533 B1 KR 101139533B1 KR 1020110044728 A KR1020110044728 A KR 1020110044728A KR 20110044728 A KR20110044728 A KR 20110044728A KR 101139533 B1 KR101139533 B1 KR 101139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vention device
rotating plate
inflow prevention
rain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철환
Original Assignee
고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철환 filed Critical 고철환
Priority to KR102011004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03F5/0411Devices for temporarily blocking inflow into a gu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집관거 입구에서 회전축(320)에 고정되어 수량에 따라 차집관거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판(300)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320)은 회전판(300) 상부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회전판을 고정하는 회전축이 회전판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회전판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함과 아울러 차집관거 내부에 돌출되는 구조가 최소화되어 이물질의 걸림을 줄여줄 수 있고, 회전판의 회전시 회전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차집관거 입구의 개방 정도를 극대화할 수 있어 우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earth and sand from inflowing into a drainage gathering box}
본 발명은 우천시 급격하게 수량이 증가할 경우 우수와 토사가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로에는 유입되는 하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하수 처리장으로 유도하는 차집관거가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차집관거는 우수 시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이를 모두 처리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하수관로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수량에 한계가 있어서 이를 초과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고농도로 오염된 초기 우수의 일정량은 차집관거로 유입되게 하고 수량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 우수가 차집관거로 유입되지 않고 그대로 흘러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였다. 이는 급격하게 증가한 우수를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을 같이 차단함으로써 하수관로가 막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상기와 같이 수량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 차집관거로 우수와 이물질의 유입을 제한하는 장치로 우수 및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대표적인 예로 2005. 10. 11.자 공고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20288호 "무게 균형을 이용한 토사 유입 방지장치",
2006. 3. 22.자 공개 제10-2006-0025989호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를 들 수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장치는 회전판을 설치하여 수량이 소량일 경우 회전판이 회전하면서 차집관거가 개방되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유속이 빨라 질 경우 우수가 회전판을 그대로 지나 흐르도록 하여 차집관거로의 유입을 제한 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우수 및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는 회전판을 고정하는 회전축이 회전판의 아래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었는바, 마치 시소와 같이 설치되어 있어서 차집관거의 입구를 개방하는 단면적이 적고 설치하기가 불편하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또한 회전축과 각종 설치구조가 회전판 아래쪽 차집관거 내부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차집관거로 유입된 이물질들이 걸려 우수의 흐름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을 유발하고 심할 경우 손상시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차집관거에 설치되는 우수 및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가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판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하고 차집관거 입구의 개방 정도를 극대화하면서 차집관거 내부에서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하게 설치할 수 있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전판을 고정하는 회전축을 차집관거 외부에 설치되게 하되, 회전판 상부에 설치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판을 고정하는 회전축이 회전판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드러남에 따라 회전판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함과 아울러 차집관거 내부에 돌출되는 구조가 최소화되어 이물질의 걸림을 줄여줄 수 있고, 회전판의 회전시 마치 그네가 움직이듯이 회전판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차집관거 입구의 개방 정도를 극대화하여 통수 단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어 우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회전판이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회전판이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수량이 적을 때 작동하는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수량이 많을 때 작동하는 상태 예시도.
본 발명은 종래 차집관거에 설치되는 우수 및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집관거 입구에서 회전축에 고정되어 수량에 따라 차집관거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판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은 회전판 상부에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회전판이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회전판이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는 차집관거 입구에서 회전축(320)에 고정되어 수량에 따라 차집관거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판(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판(300)은 차집관거 입구에서 축 고정됨으로써 회전하면서 차집관거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기 회전축(320)은 회전판(300) 상부에 형성된다. 회전판(300) 양쪽 가장자리에 회전판(300)과 수직을 이루게 꺾여 형성된 측판(310)이 구비되어 상기 측판(310) 바깥면에 회전축(320)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축(320)이 회전판(300) 상부에 형성되면 회전축(320)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회전판(300)을 조립하는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또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판(300)이 회전축(320)을 축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회전판(300)의 전방(우수 및 토사가 흘러오는 방향, 이하 동일) 말단이 차집관거 내부 쪽으로 하강하는 경우 마치 그네가 움직이듯이 회전판(300)이 후방 쪽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회전축(320)이 회전판(300) 하부에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현저하게 개방되는 면적인 통수 단면적을 증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회전판(300)에서 우수가 상기 측판(310) 사이로 흐르게 되는바, 이물질이 회전축(320)에 걸리지 않게 되고, 회전축(320)이 회전판(300)의 상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 회전축(320)이 회전판(300)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 즉, 이물질이 차집관거 내부에 걸려 발생하는 문제가 해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회전판(300)의 저면에는 우수의 유입방향 측으로 무게추(330)가 설치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회전판(300)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차집관거 입구가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회전판(300)은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추(330)가 형성된 부분의 면적이 좁게 형성된다 그로 인해 수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우수가 회전판(300)을 지나쳐 흐르는 경우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회전판(300)의 앞쪽과 뒤쪽에서 우수에 의해 회전판(300)에 가해지는 압력이 면적의 차이만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로 인해 회전판(300)이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차집관거 입구를 막아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300)는 평상시에 회전판(300)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가 빈 봉으로 형성하는 것을 예로 하는바, 내부가 비어 있는 봉으로 형성함에 따라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차집관거 내부에 물이 차게 되면 상기 봉에 의해 부력이 생겨서 회전판(300)의 전단을 밀어올림으로써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더불어 물이 차집관거 외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할 때 차집관거 입구에서 상기 봉에 의해 물의 흐름이 막혀 역류하는 것이 일정 정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회전축(320)은 차집관거 입구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본체프레임(200)에 축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차집관거 입구에 맞게 형성된 내부가 빈 사각 형상의 틀로서 양쪽 가장자리에는 회전판(300)을 축 고정하는 회전축(320)을 고정하기 위해 한 쌍의 축돌기(210)가 서로 마주보며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집관거 입구에는 본체프레임(200)이 안착되도록 설치틀(100)을 마련하여 미리 설치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본체프레임(200)을 설치틀(100)에 안착시켜 고정하는 것만으로 회전판(300)을 손쉽게 설치하고 제거해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판(300) 전방으로는 우수의 유입방향 측으로 스크린(400)을 설치하여 이물질을 걸러주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은 수직 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세워진 다수의 봉일 수 있으며, 본체프레임(200)에 설치함으로써 회전판(300)의 전방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400)은 외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도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스프링과 같은 장치를 이용해 달성할 수 있는바, 수량이 급격히 증가할 경우 스크린(400)이 전도됨으로써 이물질이 걸리지 않고 그대로 지나갈 수 있게 하여 우수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300)의 전방으로 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틀(500)을 더 설치하여 줄 수 있다. 상기 안내틀(500)은 양쪽 측면판과 바닥판(510)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판(300)의 전방 말단이 상기 바닥판(510) 저면에 접하게 설치한다. 따라서,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여 회전판(300)이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바닥판(510)이 회전판(300)의 전방 말단을 지지하여 주게 된다.
상기 안내틀(500)을 설치할 경우 회전판(300)의 양쪽 측판(310)은 상기 안내틀(500)의 양쪽 측면판 바깥면에 접하게 함으로써 이물질이 걸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닥판(510)의 양측 측면판과 사기 회전판(300)의 양쪽 측판(310)이 접하는 부분에는 측판(310)을 수용하는 케이싱(520)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이물질이 바닥판(510)의 측면판과 상기 측판(310)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장치의 작동상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20)에는 제한장치(322)가 설치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된다. 특히 무게추(330, 도 3 참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3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차집관로의 입구가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장치(322)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판상의 막대기 형태로서 상단이 상기 회전축(320)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프레임(200)에 바깥쪽 벽면, 정확히는 본체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축돌기(210) 바깥쪽 벽면에서 시계추 운동을 하면서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한장치(322)의 하단에는 본체프레임(200)을 향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프레임(200)에는 상기 돌기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한장치(322)가 회전판(300)의 회전에 따라 시계추처럼 움직이면 상기 홈을 따라 돌기가 이동하다가 상기 홈의 말단에 걸려 회전판(300)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홈의 형성위치와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회전판(300)의 회전 정도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장치(322)는 상기 설명한 구성 외에도 회전판(30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함은 당 업자에게 자명할 것인바,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수량이 적을 때 작동하는 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가 수량이 많을 때 작동하는 상태 예시도 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량이 적은 평상시에는 회전판(300)의 전방 말단이 차집관거 내부에 위치되게 회전을 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이 안내틀(500)에 의해 안내되면서 차집관거 내부로 자유롭게 유입되게 되고, 이물질은 스크린(400)에 걸리게 된다.
스크린(400)에 걸린 이물질은 정기적으로 확인하여 제거해줌으로써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물질을 정기적으로 제거하지 않아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최악의 경우 스크린(400)이 전도됨으로써 이물질과 물이 같이 차집관거로 유입되며, 이와 같이 차집관거로 유입된 이물질은 한꺼번에 제거하여 주게 된다.
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는 회전판(300)이 회전하여 차집관거 입구가 개방된 상태라 하더라도 수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차집관거가 모두 수용할 수 없게 된다. 이때에는 차집관거에 가득 차 있는 물이 회전판(300)을 밀어 올려 수평이 되게 할 뿐만 아니라 수로를 흐르는 물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400)을 전도시키면서 회전판(300)을 그대로 지나치게 되는바, 흐르는 물에 의해 회전판(300)의 후방 쪽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지면서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300)이 차집관거의 입구를 막아서 더 이상 차집관거로 물이 유입되지 않게 제한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차집관거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간편하게 제한하여 줄 수 있게 된다.
100 : 설치틀, 200 : 본체프레임,
300 : 회전판, 310 : 측판,
320 : 회전축, 330 : 무게추,
322 : 조절장치, 400 : 스크린,
500 : 안내틀, 510 : 바닥판.

Claims (10)

  1. 차집관거 입구에서 회전축(320)에 고정되어 수량에 따라 차집관거의 입구를 개폐하는 회전판(300)이 구비되되,
    상기 회전축(320)은 회전판(300) 상부에 형성되어 통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00)의 저면에는 우수의 유입방향 측으로 무게추(330)가 설치되어 회전판(300)이 회전한 상태를 유지하여 평상시 차집관거 입구가 개방된 상태이되,
    상기 회전판(300)은 회전축(320)을 기준으로 상기 무게추(330)이 형성된 부분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수량 증가시 차집관거 입구가 폐쇄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은 차집관거 입구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본체프레임(200)에 축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00)에는 우수의 유입방향 측으로 스크린(400)이 설치되어 이물질을 걸러주되,
    상기 스크린(400)은 수량에 따라 탄성적으로 전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0)에는 제한장치(322)가 설치되어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장치(322)는 판상의 막대기 형태이되, 상단은 상기 회전축(320)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200) 바깥쪽 벽면을 향해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본체프레임(200) 바깥쪽 벽면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00)에는 우수의 유입방향 측으로 우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틀(500)이 설치되되,
    상기 안내틀(500) 바닥판(510) 저면에 상기 회전판(300) 말단이 접하여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10) 양측에는 측면판이 형성되되, 상기 측면판 바깥쪽에 회전판(300) 양쪽 측판이 접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의 걸림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10)의 양측 측면판과 사기 회전판(300)의 양쪽 측판(310)이 접하는 부분에는 측판(310)을 수용하는 케이싱(520)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200)은 차집관거 입구에 설치된 설치틀(100)에 끼워져 착탈식으로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20110044728A 2011-05-12 2011-05-12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39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28A KR101139533B1 (ko) 2011-05-12 2011-05-12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728A KR101139533B1 (ko) 2011-05-12 2011-05-12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533B1 true KR101139533B1 (ko) 2012-05-02

Family

ID=4627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728A KR101139533B1 (ko) 2011-05-12 2011-05-12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53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70B1 (ko) 2012-09-26 2013-01-09 이문기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506117B1 (ko) 2014-07-08 2015-03-30 최지영 우수토실에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70098060A (ko) * 2016-02-19 2017-08-29 최인환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N107557283A (zh) * 2017-08-24 2018-01-09 普利资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内设有本土微生物收集装置的壳体
KR102078388B1 (ko) * 2019-06-19 2020-02-17 이태준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CN113175020A (zh) * 2021-04-26 2021-07-27 赵一阳 一种水利工程用河流泥沙收集装置
CN113175020B (zh) * 2021-04-26 2024-05-28 重庆新鑫佳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河流泥沙收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41B1 (ko) * 2004-10-04 2006-07-31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US20090120855A1 (en) * 2006-01-20 2009-05-14 Flury Ronald J Storm Drain Basin Gate System
KR101026068B1 (ko) * 2010-10-08 2011-04-04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041B1 (ko) * 2004-10-04 2006-07-31 미래그린건설 주식회사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US20090120855A1 (en) * 2006-01-20 2009-05-14 Flury Ronald J Storm Drain Basin Gate System
KR101026068B1 (ko) * 2010-10-08 2011-04-04 진두남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770B1 (ko) 2012-09-26 2013-01-09 이문기 쓰레기 자동분리기능을 가진 스크린
KR101453668B1 (ko) 2013-05-03 2014-10-22 전상훈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506117B1 (ko) 2014-07-08 2015-03-30 최지영 우수토실에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20170098060A (ko) * 2016-02-19 2017-08-29 최인환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N107557283A (zh) * 2017-08-24 2018-01-09 普利资环境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内设有本土微生物收集装置的壳体
KR102078388B1 (ko) * 2019-06-19 2020-02-17 이태준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CN113175020A (zh) * 2021-04-26 2021-07-27 赵一阳 一种水利工程用河流泥沙收集装置
CN113175020B (zh) * 2021-04-26 2024-05-28 重庆新鑫佳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用河流泥沙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533B1 (ko)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105756181B (zh) 拦渣防倒灌截流井
KR101170663B1 (ko) 감지기를 이용한 전동식 유입유량 조절장치
KR100969488B1 (ko)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980234B1 (ko) 우수토실 협잡물 유입방지장치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19192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05637085U (zh) 拦渣防倒灌截流井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0977492B1 (ko)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220901B1 (ko) 자연담수 저류시스템
KR100605037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0711855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CN209556088U (zh) 一种基于浮筒的截流初期雨水的雨水口
KR101026068B1 (ko)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96566B1 (ko) 맨홀용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221721B1 (ko) 호형개폐판을 갖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0605041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JP2012188903A (ja) 水門閉止装置
KR100711853B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151164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631367B1 (ko) 부력을 이용한 우수토실 유량 조절장치
KR200381745Y1 (ko) 차집관거의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56852B1 (ko)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