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388B1 -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388B1
KR102078388B1 KR1020190073088A KR20190073088A KR102078388B1 KR 102078388 B1 KR102078388 B1 KR 102078388B1 KR 1020190073088 A KR1020190073088 A KR 1020190073088A KR 20190073088 A KR20190073088 A KR 20190073088A KR 102078388 B1 KR102078388 B1 KR 10207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sewage
rainwater
clo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이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준 filed Critical 이태준
Priority to KR1020190073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03F5/107Active flow control devices, i.e. moving during flow reg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매설되는 우수토실; 상기 우수토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량에 따라 상기 우수토실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우수토실의 개방된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우수토실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우수토실 내부의 하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STORM OVERFLOW CHAMBER}
본 발명은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수토실은 합류식 하수도에서 우천시에 어떤 일정량의 하수를 차집하여 하수 처리장으로 수송하고 나머지 하수를 하천 등의 수역으로 방류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공장에서 발생된 오수나 폐수 또는 우수는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로 집수되어 합류식 공공하수도로 접속되고, 합류식 하수도에는 우수토실이 차집관 사이에 설치되어, 강우시 일정량 이상은 하천 등으로 방류하고, 차집관은 하수종말 처리장과 연계되어 우수토실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하수종말 처리장으로 보내고, 하수종말 처리장에서 처리된 오수는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우수토실에 유입되는 하수는 강우 초기에 오염도가 높다가 강우 중후반부로 가면서 오염도가 낮아지고 유입 하수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하천의 양에 따라, 강우 초기 하수를 가급적 많이 차집하고 강우 중반 이후에는 적은 양을 차집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우수토실은 중심축에 따라서 개방 또는 차폐되기 때문에, 하수가 우수토실로 유입되는 양에 따라 빠르게 개방 또는 차폐되지 않는다. 이에, 우수토실 내부의 하수량이 감소 했음에도 우수토실이 차폐되어 하수가 유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하천이 범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877203호(2018.07.0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수토실의 개폐가 하수의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토실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평상시 월류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우수토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에 매설되는 우수토실; 상기 우수토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량에 따라 상기 우수토실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우수토실의 개방된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우수토실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우수토실 내부의 하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우수토실의 상측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우수토실이 개방되도록 개방부를 포함하는 상판; 및 상기 상판과 연결되고 상기 우수토실 내측에 위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벽은, 소정 길이의 둘레로 형성되는 가동홈을 포함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축이 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단부와 상기 가동홈 내에서 이동가능한 이동축과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은,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방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밀폐부;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타측 단부가 하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개방부 측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하수의 이물질이 걸리는 거름부; 및 상기 거름부에서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하수량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거름부을 상승시키는 상승부;를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거름부가 하수 유입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거름부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우수토실의 개폐가 하수의 유량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우수토실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월류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에 의해 우수토실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따른 스크린이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의 상태에 따른 개폐부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8의 상태에 따른 개폐부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일 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타 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 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1)은 스크린(10), 개폐부(20) 및 우수토실(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0)은 우수토실(30)로 유입되는 하수의 나뭇가지나 플라스틱 캔 등과 같은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이때, 스크린(10)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물질이 하부에 쌓이지 않도록, 스크린(10)은 하수량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개폐부(20)는 우수토실(30) 내부로 유입되는 하수량을 조절할 수 있다. 개폐부(20)는 우수토실(30) 상측에 설치되어, 우수토실(30) 내부에 유입된 하수량에 따라 우수토실(30)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우수토실(30)은 지면에 매설되어 하수처리장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수토실(30)은 공지된 바와 같이, 지면에 하수를 유입되어, 일정량의 하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매설될 수 있다. 이때, 우수토실(30)의 하부에는 하수처리장과 연결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우수토실(30)로 유입되는 하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10)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 따른 스크린(10)이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스크린(10)은 하수가 우수토실(30) 측으로 유입되는 입구측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스크린(10)은 프레임(11), 샤프트(12), 거름부(13), 상승부(14), 회전 방지축(15), 브라켓(16) 및 스토퍼(17)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1) 및 샤프트(12)는 스크린(10)의 뼈대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레임(11)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서로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격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11)의 상단에 샤프트(12)가 고정될 수 있다.
거름부(13)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샤프트(12)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거름부(13)는 샤프트(12)와 수직한 방향으로 샤프트(12)에 설치될 수 있다. 거름부(13)에 우수토실(30)로 유입되는 하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리면서,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낼수 있다.
상승부(14)는 복수의 거름부(13)가 관통되도록, 거름부(13)의 소정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승부(14)는 내부에 공기가 수용되어 있을 수 있다. 상승부(14)는 하수량에 의해 부력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거름부(13)에 상승부(14)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승부(14)의 하측 높이까지 하수가 유입되어도 거름부(13)는 상승되지 않으나, 하수량이 상승부(14) 높이까지 증가하게 되는 경우 상승부(14)가 하수에 의해 상승하여 거름부(13)도 상승시킬 수 있다.
거름부(1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이 거름부(13)의 하부에 쌓이게 되는 경우, 우수토실(30)로의 하수 유입이 어려워지고, 이물질이 쌓여있는 높이까지 하수가 차오르면서 하천이 범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름부(13)는 하수의 유입량이 증가하는 경우, 상승부(14)에 의해 상승하게 되기 때문에 하수의 유입이 저해되지 않을 수 있다.
회전 방지축(15)은 샤프트(1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샤프트(12)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방지축(15)은 상승부(14) 혹은 하수의 유입량에 따라 거름부(13)가 회전하여 360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 방지축(15)은 브라켓(16)을 통해 샤프트(12)와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전 방지축(15)은 샤프트(12)의 상측에서 샤프트(12)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어 거름부(13)가 회전될 경우, 거름부(13)가 회전 방지축(15)에 접촉되면서 회전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수의 유입량이 증가하고 하수의 유입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할 경우, 거름부(13)는 하수의 유입 방향 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급격하게 빨라진 하수에 의해 거름부(13)가 빠르게 회전되면서 360도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거름부(13)가 회전 방지축(15)과 접촉되면서, 거름부(1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7)는 거름부(13)가 하수 유입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거름부(13)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17)는 홈(171)을 포함할 수 있다. 홈(171)에는 거름부(13)의 단부가 안착되도록, 거름부(13)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며, 거름부(13)의 단부의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름부(13)의 상측에서는 회전 방지축(15)에 의해 거름부(13)가 우수토실(30) 반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거름부(13)의 하측에서는 스토퍼(17)에 의해 거름부(13)가 우수토실(30) 반대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1)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1)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0)가 개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6의 상태에 따른 개폐부(20)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상태에 따른 개폐부(20)의 하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부(20)가 작동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일 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 플레이트의 타 측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개폐부(20)는 우수토실(30)의 개방된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20)는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량에 따라 자동으로 우수토실(30)을 개방 또는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0)는 가이드벽(21), 상판(22), 측벽(23), 개폐 플레이트(24) 및 개폐 조절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벽(21)은 우수토실(30) 상부의 양 측 지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벽(21)은 우수토실(30)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개폐 플레이트(24)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벽은 하수의 유입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판(22)은 우수토실(30)의 상측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우수토실(30)이 개방되도록 개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판(22)은 개방부(221)를 포함하여, 상판(22)의 개방부(221)가 우수토실(30)의 개방된 부분이 위치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판(22)에는 개폐 플레이트(24)가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판(22)의 일 측에는 밀폐부(222)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판(22)에서 스크린(10)과 인접한 쪽의 상판(22) 일 측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밀폐부(222)는 상판(22) 일 측 단부에서 상측으로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222)는 개방부(221) 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222)의 하측면에 개폐 플레이트(24)의 일측 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222)의 하면과 개폐 플레이트(24)의 일측 상면이 접촉됨으로써,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밀폐부(222)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판(22)의 타 측에는 지지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23)에는 개폐 플레이트(24)의 타 측 단부가 안착될 수 있다.
지지부(223)는 상판(22)의 타 측 단부에서 개방부(221)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223)는 상판(22)의 타 측 단부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23)은 상판(22)과 연결되어 우수토실(30) 내측에 위치되어, 우수토실(30) 내측벽(23)에 고정될 수 있다. 측벽(23)은 회전 프레임(231), 지지축(232), 및 회전 브라켓(2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 프레임(231)은 측벽(23)의 양 측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231)은 소정 길이의 둘레로 형성되는 가동홈(231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232)은 회전 프레임(231)에서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축(232)은 개폐 플레이트(24)의 중심과 인접한 부분에서 개폐 플레이트(24)의 하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축(232)과 개폐 플레이트(24)는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지지축(232)은 개폐 플레이트(24)를 회전하는 축일 수 있다.
즉, 지지축(232)이 개폐 플레이트(24)의 하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축(232)이 축 회전 함에 따라 개폐 플레이트(24)가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우수토실(30)이 개방 또는 차폐될 수 있다.
회전 브라켓(233)은 지지축(232)의 단부와 가동홈(2311) 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축(234)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브라켓(233)의 상부는 지지축(232)의 단부와 고정되고, 회전 브라켓(233)의 하부는 가동홈(2311) 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축(234)과 고정될 수 있다.
가동홈(2311)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24)가 회전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이동축(234)이 가동홈(2311) 내에서 이동 가능한 회전 범위만큼 지지축(232)과 연결된 개폐 플레이트(24)가 회전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24)는 우수토실(30)의 개방된 상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24)는 회전 프레임(231)에 형성된 가동홈(2311)의 둘레만큼 회전이 가능하다. 즉, 가동홈(2311)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24)가 회전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개폐 플레이트(24)가 개방되는 각도가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개폐 플레이트(24)는 후술할 개폐 조절부(25)에 의해, 우수토실(30) 내부에 유입된 하수량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24)는 제1 패킹부(241) 및 제2 패킹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패킹부(241) 및 제2 패킹부(242)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킹부(241)는 개폐 플레이트(24)의 타 측 단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판(22)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패킹부(241)는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플레이트(24)의 타 측 단부가 지지부(223)에 안착된 상태일 때, 제1 패킹부(241)는 상판(22)의 상면에 접촉되어, 개폐 플레이트(24)와 상판(22)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제2 패킹부(242)는 개폐 플레이트(24)의 양 측 단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이드벽(21)에 접촉될 수 있다. 제2 패킹부(242)는 개폐 플레이트(24)와 가이드벽(21)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즉, 제2 패킹부(242)는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개폐 조절부(25)는 개폐 플레이트(24)의 하면에 고정되어, 우수토실(3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개폐 조절부(25)는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개폐 플레이트(24)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개폐 조절부(25)는 연결부(251), 체결부재(253) 및 높이조절부표(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5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체결부재(253)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24)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251)는 개폐 플레이트(24)를 관통하되, 상단이 체결부재(253)에 의해 개폐 플레이트(24)에 고정되고, 하부가 우수토실(30) 내측으로 소정 높이 돌출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표(252)는 연결부(251)의 하단에 고정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표(252)는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우수토실(30) 내부의 하수량이 높이조절부표(252)까지 차지 않은 경우, 높이조절부표(252)가 하강하게 되어 개폐 플레이트(24)의 일측이 하강한 상태로 우수토실(30)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토실(30) 내측으로 하수가 유입될 수 있다.
우수토실(30) 내부에 하수량이 높이조절부표(252) 상측까지 차오를 경우, 높이조절부표(252)가 상승하면서 개폐 플레이트(24)의 일측이 다시 상승하여, 상판(22)과 평행한 상태가 되어, 우수토실(30)이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토실(30) 내부로의 하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 없이 높이조절부표(252)에 의해, 우수토실(30) 내부로의 하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수위조절장치 10: 스크린
11: 프레임 12: 샤프트
13: 거름부 14: 상승부
15: 회전 방지축 16: 브라켓
17: 스토퍼 171: 홈
20: 개폐부 21: 가이드벽
22: 상판 221: 개방부
222: 밀폐부 223: 지지부
23: 측벽 231: 회전 프레임
2311: 가동홈 232: 지지축
233: 회전 브라켓 234: 이동축
24: 개폐 플레이트 241: 제1 패킹부
242: 제2 패킹부 25: 개폐 조절부
251: 연결부 252: 높이조절부표
253: 체결부재 30: 우수토실
31: 배출구

Claims (5)

  1. 지면에 매설되는 우수토실;
    상기 우수토실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된 하수량에 따라 상기 우수토실을 개방 또는 차폐하는 개폐부; 및
    상기 개폐부로 유입되는 하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부는,
    상기 우수토실의 상측에서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우수토실이 개방되도록 개방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기 상판의 개방부에서 일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하수를 상기 우수토실로 유입시키는 개폐 플레이트;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우수토실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우수토실 내부의 하수량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개폐 조절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일측 단부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상판의 상면에서 상기 개방부 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는 밀폐부;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타측 단부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상기 상판의 일측에서 상기 상판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져서 상기 개방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개폐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 사이를 밀폐하기 위하여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제조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는 부분은 제1두께를 가지고 상기 개폐 플레이트의 상면에 위치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제1두께보다 얇은 제2두께를 가지며 상기 상판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폐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2두께를 가지는 부분이 상기 상판과 맞닿는 제1패킹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상판과 연결되고 상기 우수토실 내측에 위치되는 측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측벽은,
    소정 길이의 둘레로 형성되는 가동홈을 포함하는 회전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개폐 플레이트를 지지하며, 상기 개폐 플레이트가 회전하는 축이 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단부와 상기 가동홈 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축과 연결되는 회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에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하수의 이물질이 걸리는 거름부; 및
    상기 거름부에서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하수량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거름부를 상승시키는 상승부;를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거름부가 하수 유입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거름부의 단부가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20190073088A 2019-06-19 2019-06-19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207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88A KR102078388B1 (ko) 2019-06-19 2019-06-19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088A KR102078388B1 (ko) 2019-06-19 2019-06-19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388B1 true KR102078388B1 (ko) 2020-02-17

Family

ID=6967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088A KR102078388B1 (ko) 2019-06-19 2019-06-19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3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88B1 (ko) * 2009-12-18 2010-07-14 진두남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39533B1 (ko) * 2011-05-12 2012-05-02 고철환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53061B1 (ko) * 2012-09-25 2013-04-29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877203B1 (ko) 2018-03-26 2018-07-10 김현숙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488B1 (ko) * 2009-12-18 2010-07-14 진두남 개폐시점을 조절할 수 있는 우수토실의 우수 및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1139533B1 (ko) * 2011-05-12 2012-05-02 고철환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253061B1 (ko) * 2012-09-25 2013-04-29 주식회사 해인엘에스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101877203B1 (ko) 2018-03-26 2018-07-10 김현숙 동력 및 무동력 겸용 우수토실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131B1 (ko) 부력을 이용한 관로 자동개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939169B2 (en) Unpowered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flow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453668B1 (ko)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US20130008841A1 (en) Water transfer device for underground water collection and storage chambers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KR101707141B1 (ko) 이물질 이탈방지형 맨홀
KR101106890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 방지장치
KR101533943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KR102078388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 관개 수위 조절장치
KR101147865B1 (ko) 비점오염 처리 장치
KR101540783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20140128813A (ko) 맨홀용 악취 및 역류 방지 장치
KR20120040805A (ko) 맨홀의 하수역류 방지장치
KR101769896B1 (ko) 무동력 하수구 개폐장치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10013515A (ko) 우수토실 무동력 자동 개폐 및 하수량 측정장치.
KR200263866Y1 (ko) 수압 및 부력에 의해 수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수중보
KR20200117377A (ko) 배수가 원활한 하수도 악취방지 장치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245865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KR100615675B1 (ko) 우수토실 유량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