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614B1 -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614B1
KR101902614B1 KR1020160019959A KR20160019959A KR101902614B1 KR 101902614 B1 KR101902614 B1 KR 101902614B1 KR 1020160019959 A KR1020160019959 A KR 1020160019959A KR 20160019959 A KR20160019959 A KR 20160019959A KR 101902614 B1 KR101902614 B1 KR 101902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control device
rotary plate
flow r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060A (ko
Inventor
최인환
Original Assignee
최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환 filed Critical 최인환
Priority to KR102016001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6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F2201/10Dividing the first rain flush out of the stormwater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상부에 안착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를 안내하도록 전후방과 하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로 유출시키는 유량조절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내부프레임과, 하단에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재부와;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내부 상측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수문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수문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내부 양측벽면에 밀착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벽면형상의 개폐수문과; 상측이 상기 수문회전축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재부에 체결되어 상기 개폐수문이 개방시 무동력 링크연동으로 회전판재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로 구성되며,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서랍식으로 탈부착되게 유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 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차집관로로 유입되는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내측에 양측벽면과 밀착되는 개폐수문을 설치하여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별도의 동력 없이 수압에 의하여 개폐수문이 개방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수나 초기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하수차집관로에 협잡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하수차집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A nonpower sand chamber Equipment adjusted rain of sewer pipe without stink}
본 발명은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서랍식으로 탈부착이 용이한 유량조절장치를 장착하여 편리하게 유지관리를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우수토실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차집 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유량조절장치 하부의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과다 차집을 방지하고,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하천수의 역류를 예방 할 수 있으며, 하수차집관로에 협잡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하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생활하수나 폐수 및 오수는 옥내관을 통하여 배수설비와 가지관로로 집수되어 하수관로에 모이게 되고, 상기 하수관로의 말단부에는 대용량의 하수차집관로에 연결되어 하수가 집하되며, 상기 하수차집관로의 상부에는 우수토실이 설치되어 강우시 우수와 합류된 하수의 일정량 이상은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되고, 상기 하수차집관로로 유입된 하수는 하수종말처리장과 연계되어 정화처리 과정을 거쳐 하천에 다시 방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하수차집관로에는 평상시에 유입된 하수의 전량을 차집하고 있으나, 강우시와 같이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는 경우에 하수에 대량으로 유입된 우수를 하수차집관로에 차집시켜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는 경우 하수정화 처리계통의 과부하로 인하여 효율저하가 발생되고, 수압의 증가로 인하여 하수차집관로의 파손 및 상부를 개폐하는 맨홀이 파손될 수 있으며, 이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하수처리장의 설비 및 유지관리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되며, 또한 대구경의 하수관거가 필요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우수토실이 설치된다.
상기 우수토실은 방류수역별로 우천시 계획된 하수량만큼만 차집 할 수 있고 나머지는 하천으로 방류시키도록 고안 설치된 구조물로써 대부분 수해예방에 대비하여 하천가에 설치되는데 대부분의 도시하천은 시민의 산책로나 휴식공간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어 악취의 예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상기 우수토실에 있어서 우천시에 유입되는 다량의 하수를 포함한 우수의 일정량은 하수차집관로를 경유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게 되고, 나머지 오염농도가 낮은 우수는 하천 등으로 방류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도 10은 종래의 하수와 우수가 합류되는 우수토실을 나타낸 개요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 및 우수가 유입되는 우수토실(3)의 상부에 덮게(8)가 설치되고, 하수관로 말단부에 악취방지를 위한 커텐(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우수토실(3)의 하단부에는 하수차집관로로 연결되는 연결관이 설치되며 평상시 하수와 우수가 우수토실(3)로 유입되면 상기 연결관을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로 유입되고, 다량의 하수와 우수가 유입되면 연결관의 통수량을 초과하거나 하수차집관로가 만관에 이르게 되면 우수는 곧바로 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강우시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은 토사가 하천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우수토실에 유입되어 연결관을 통하여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유입되어 하수차집관로에 퇴적된 토사를 제거하기 위한 준설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과다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하천의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하천수가 역류하게 되고 바람이 부는 경우 악취방지커텐이 개방되어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는,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서랍식으로 탈부착 되는 유량조절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으며,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 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유량조절장치 내부에 장착된 회전판재부가 개폐수문과 연동되어 하수의 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우수와 함께 이동되는 토사를 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수압에 의하여 상하로 회전되면서 유량조절장치의 내부 양측벽면과 밀착되는 개폐수문에 악취방지패킹을 설치하여 평상시 외부하고 완벽하게 차단하여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고, 별도의 동력 없이 수압에 의하여 개폐수문이 개방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하수나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하수차집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는, 하수관로 말단부 우수토실의 상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우수토실을 경유 연결관을 통하여 하수차집관로에 유입시키며,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 말단부에 설치되는 우수토실의 상부에 안착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를 안내하도록 전후방과 하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외부프레임과;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착탈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로 유출시키는 유량조절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는 상기 외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내부프레임과,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단 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재부와; 상측이 유량조절장치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수문회전축이 구비되며, 상기 수문회전축에 체결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내부양측벽면에 밀착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벽면형상의 개폐수문과; 상측이 상기 수문회전축의 양단에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재부의 회전판중심축의 양단에 체결되어 상기 개폐수문과 무동력 링크연동으로 회전판재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프레임은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전후방 및 하단이 개방되어 안착되고,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는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유량조절장치가 안착되며,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하측에서 배출되는 하수나초기우수를 우수토실로 안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판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회전판재부는 회전판중심축의 전방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판형의 전방회전판과, 상기 전방회전판과 후방회전판이 정해진 각도가 설정되도록 회전판중심축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에 결합되어 전방회전판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회전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는 수문회전축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개폐수문과 함께 회전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회전판재부의 회전판중심축 양단부에 체결되어 회전판재부와 함께 회전하는 하부링크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링크의 하측은 링크핀이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링크의 상부는 장공형상의 슬라이딩공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링크의 하측에 삽입된 링크핀 과 함께 상부링크와 결합하여, 상기 개폐수문이 개폐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판재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프레임의 전방에는 상기 회전판재부 및 가이드판재 내부의 점검 및 청소가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회전판점검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우수토실 상부에는 우수토실 내부 점검을 위한 우수토실내부점검구가 구비되며, 상기 우수토실 내부에는 상기 유량조절장치에서 유출되는 하수나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다수개 스크린형상의 협잡물수거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장방형의 외부프레임과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유량조절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착탈이 용이하여 분해조립 등 유지 및 관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둘째,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에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를 설치하여 평상시에 유입되는 하수나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전량 하수차집관로에 차집 할 수 있으며, 강우의 지속으로 대량으로 유입되는 우수는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과다차집을 방지하고, 동시에 우수와 함께 상류로부터 이동되는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여 하수차집관로에 토사가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셋째, 상기 유량조절장치의 내측에 악취방지패킹이 구비된 개폐수문을 장착시켜 상하로 회전되면서 유량조절장치의 내부 양측벽면과 밀착되어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고,
넷째, 상기 개폐수문과 연동되는 링크부를 설치함으로써 별도의 동력 없이 수압에 의하여 개폐수문의 개방시 링크의 연동으로 회전판재부가 회전되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다섯째, 하수 및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협잡물수거함을 구비하여 하수 및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어 하수차집관로에 퇴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전체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외부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프레임과 유량조절장치의 조립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프레임과 유량조절장치 주요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평상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우수의 중간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우수가 대량 유입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재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판재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종래의 하수관로의 우수토실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1) 말단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하수차집관로(2)로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우수토실(3)을 경유 연결관(4)을 통하여 하수차집관로(2)로 유입시키며,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5)로써, 상기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외부프레임(6)과,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 안착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2)로 유출시키는 유량조절장치(5)로 구성되고, 도 2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장치(5)는 상기 외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내부프레임(10)과, 상기 내부프레임(10)의 하측에서 하수유출단면을 조절하고 하수 및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회전판재부(20)와,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판재형상의 개폐수문(30)과, 상기 개폐수문(30)의 회전력을 회전판재부(20)에 연동시키는 링크부(40)와, 하수 및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협잡물수거함(6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프레임(6)은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안착되는 장방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에는 하수를 우수토실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재(7)로 구비되고,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 서랍식으로 유량조절장치(5)가 탈부착하기 용이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유량조절장치(5)는 상기 외부프레임(6)에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내부프레임(10)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10)의 내부 상측에는 수문회전축(31)이 연결되고 상기 수문회전축(31)에는 벽면형상의 개폐수문(30)이 체결되고, 하부에는 회전판재부(20)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판재부(20)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로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21)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며, 회전판중심축(21)의 전방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판형의 전방회전판(22)과, 상기 전방회전판(22)과 후방회전판(24)이 정해진 각도가 설정되도록 회전판중심축(21)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된 슬리브(23)와, 상기 슬리브에(23)에 전방회전판(22)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 후방회전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문(30)은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도록 수문회전축(31)이 구비되며,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벽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수문(30)의 양측에는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벽면에 밀착되어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착된 악취방지패킹(32)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40)는 상기 수문회전축(31)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개폐수문(30)과 함께 회전되는 상부링크(42)와, 상기 상부링크(42)와 링크핀(41)으로 체결되어 연동하며 회전판재부(20)를 회전시키는 하부링크(43)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링크(42)는 상측이 상기 수문회전축(31)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하측에는 링크핀(4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하부링크(43)는 하측이 회전판중심축(21)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상측은 장공형상의 슬라이딩공(43a)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링크의 하단에 삽입된 링크핀(41)과 함께 체결되어, 상기 개폐수문(30)이 개폐하면서 발생하는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판재부(2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상기 회전판재부점검구(50)는 상기 외부프레임(10)의 전방 하측에서 상기 회전판재부(20)와 가이드판재(7) 내부의 점검 및 청소가 가능토록 개폐된다.
상기 협잡물수거함(60)은, 상기 우수토실(3)의 내부에 안착되며, 상기 우수토실의 상부를 개폐하는 우수토실내부점검구(61)를 개방하여 상기 유량조절장치(5)에서 유출되는 하수나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장방형의 외부프레임(6)이 안착되고.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는 유량조절장치(5)가 안착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5)는 하측에 평상시에는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하수차집관로(2)로 유입시키고 강우시에는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우수의 유입량을 줄여주고 상류로부터 우수와 함께 이동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회전판재부(20)가 설치되고, 상측에는 개폐수문(30)이 설치되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며, 상기 개폐수문(30)과 회전판재부(20)를 연동시키는 링크부(40)가 구비되어 상기 개폐수문(30)이 우천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의 수압에 의하여 개방시 발생하는 회전력을 무동력 링크식으로 회전판재부(20)에 전달하여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 및 함께 상류에서 이동된 토사는 방류하천으로 원활하게 배출하게 된다.
상기 장방형의 외부프레임(6)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는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유량조절장치(5)가 안착된다. 즉, 상기 유량조절장치(5)는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내부프레임(10)이 설치되어, 상기 내부프레임(10)의 상측에는 수문회전축(31)이 장착되며, 상기 수문회전축(31)에는 개페수문(30)이 장착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재부(2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하측에 장착되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와 강우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2)로 유출시키고, 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21)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게 구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서, 상기 개폐수문(30)은 상기 유량조절장치(5) 내부에 수문회전축(31)이 장착되며, 상기 수문회전축(31)에 벽면형상으로 체결되어 다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고, 상기 개폐수문(3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악취방지패킹(32)이 안착되어 개폐시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 양측벽면에 밀착되어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되고. 강우의 지속으로 하천의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개폐수문(30)이 닫히게 되어 하천수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유입되는 하수가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하부에 위치한 회전판재부(20)를 경유하여 하수차집관로(2)로 배출된다.
그리고, 강우초기에 유입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수위에 이를 때 까지는 개폐수문(30)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아 회전판재부(20)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초기우수 대부분을 하수차집관로(2)로 배출시켜 초기우수에 내포된 고농도의 오염수의 하천방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수문(30)이 높아진 수압에 의하여 회전 개방되며 링크부(40)가 연동되고, 상기 회전판재부(20)가 회전되면서 하수유출단면을 축소시켜 하수차집관로(2)에 우수의 유입을 줄여주고 다량의 우수 와 함께 상류로부터 이동된 토사는 방류하천으로 자연스럽게 방류시켜 하수차집관로(2)에 토사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서, 상기 회전판재부점검구(50)는 상기 외부프레임(6)의 전방 하측에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재부(20) 및 가이드판재(7)의 내부 점검 및 내부에 부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협잡물수거함(60)은, 상기 우수토실(3) 내부에 안착되며, 우수토실(3) 상부를 개폐하는 우수토실내부점검구(61)를 개방하여 협잡물수거함(60)에 포집된 협잡물을 제거하여 하수관차집관로(2)에 협잡물이 유입됨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하수관로 2 ; 하수차집관로
3 ; 우수토실 4 ; 연결관
5 ; 유량조절장치 6 ; 외부프레임
7 : 가이드판재 10 ; 내부프레임
20 ; 회전판재부 21 ; 회전판중심축
22 ; 전방회전판 23 ; 슬리브
24 ; 후방회전판 30 ; 개폐수문
31 ; 수문회전축 32 ; 악취방지패킹
40 ; 링크부 41 ; 링크핀
42 ; 상부링크 43 ; 하부링크
50 ; 회전판재부점검구 60 ; 협잡물수거함
61 ; 우수토실내부검검구

Claims (7)

  1.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안착되어 평상시에는 하수관로에 유입되는 하수의 전량을 하수차집관로(2)로 유입시키고, 강우 초기에 발생하는 고농도의 초기우수도 우수토실(3)을 거쳐 연결된 연결관(4)을 통하여 하수차집관로(2)로 유입시키고, 강우의 지속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우수는 원활하게 하천으로 배출시키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로(1)의 말단부에 설치되는 우수토실(3)의 상부에 안착되어 악취를 차단하고 하수를 안내하도록 전후방과 하측이 개방된 장방형의 외부프레임(6)과;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 탈부착 되게 장착되어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하수차집관로(2)로 유출시키는 유량조절장치(5)로 구성되고,
    상기 유량조절장치(5)는 상기 외부프레임에 서랍식으로 착탈되는 내부프레임(10)과;
    상기 내부프레임(10)의 하단중심부에 회전판중심축(21)이 구비되어 상하로 회전되면서 하수와 우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우수에 내포된 토사를 방류하천으로 안내하는 판형의 회전판재부(20)와;
    상측이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수문회전축(31)이 구비되며, 상기 수문회전축(31)에 체결되어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 양측벽면에 밀착되면서 악취를 차단하고, 대량의 우수가 유입되면 수압에 의하여 개방되는 벽면형상의 개폐수문(30)과;
    상측이 상기 수문회전축(31)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하측이 상기 회전판재부(20)의 회전판중심축(21)의 양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판재부(20)를 무동력 링크연동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부(40);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프레임(6)은 하수관로의 말단부에 안착되며, 상기 외부프레임(6)의 내측에는 서랍식으로 탈부착되는 내부프레임(10)이 안착되고, 상기 회전판재부(20)에서 배출되는 하수나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차집관로(2)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가이드판재(7)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재부(20)는 회전판중심축(21)의 전방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판형의 전방회전판(22)과, 상기 회전판중심축(21)에 안착되어 회전하는 슬리브(23)와, 상기 슬리브(23)에 연결되어 후방에서 전방회전판(22)과 정해진 각도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판형의 후방회전판(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40)는 상측이 수문회전축(31)의 양단부에 체결되고 하측은 링크핀(41)이 삽입되어 회전하면서 이동 할 수 있게 형성된 상부링크(42)와, 상측이 상기 상부링크(42)의 링크핀(41)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공형상의 슬라이딩공(43a)이 형성되고 하측이 회전판재부(20)의 회전판중심축(21)의 양단부에 체결되는 하부링크(43)가 상기 상부링크(42)와 함께 체결되어, 개폐수문(30)이 회전하면서 개방될 때 발생하는 회전력이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회전판재부(20)를 회전시키는 링크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문(30)의 양측에는 상기 유량조절장치(5)의 내부벽면에 밀착되어 하수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안착된 악취방지패킹(3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프레임(6)의 전방 하측에는 상기 회전판재부(20)와 가이드판재(7) 내부를 점검 할 수 있는 회전판재부점검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재부점검구(50)의 전방 우수토실(3) 내부에는 상기 유량조절장치(5)에서 유출되는 하수나 우수에 내포된 협잡물을 걸러내도록 다수개의 협잡물수거함(6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20160019959A 2016-02-19 2016-02-19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902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59A KR101902614B1 (ko) 2016-02-19 2016-02-19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59A KR101902614B1 (ko) 2016-02-19 2016-02-19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60A KR20170098060A (ko) 2017-08-29
KR101902614B1 true KR101902614B1 (ko) 2018-11-22

Family

ID=59760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59A KR101902614B1 (ko) 2016-02-19 2016-02-19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8451B (zh) * 2018-07-18 2024-01-26 湖北巴河云峰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雨水井清污竹笼、专用投放工具及投放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22B1 (ko) * 2005-10-31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KR101533943B1 (ko) * 2015-01-15 2015-07-09 최지영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9B1 (ko) * 2008-07-31 2009-05-2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초기 강우 유출 조절장치
KR101139533B1 (ko) * 2011-05-12 2012-05-02 고철환 차집관거의 우수 조절 및 토사 유입 방지장치
KR101369130B1 (ko) * 2013-03-29 2014-03-25 진두남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20150078311A (ko) * 2013-12-30 2015-07-08 최인환 개폐식월류벽이 구비된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와 유량조절 장치
KR101626502B1 (ko) * 2014-02-03 2016-06-02 조승현 막힘 방지 도로 배수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22B1 (ko) * 2005-10-31 2007-04-16 (주)화신엔지니어링 하천연안의 이물질 차단 및 배수구조
KR101533943B1 (ko) * 2015-01-15 2015-07-09 최지영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060A (ko)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21B1 (ko) 악취방지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0684923B1 (ko) 하수용 우수토실
CN205314224U (zh) 一种新型初雨水力自动控制弃流井
KR101703337B1 (ko) 초기 빗물 배제 및 여과장치
KR101039196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CN105780906B (zh) 一种分片弃流截污排放系统
CN103835363B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101224277B1 (ko) 저류조를 이용한 오수 및 계곡수 분리용 초기우수 보관 처리 시스템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CN101538892A (zh) 雨水口废弃物拦截防臭装置
KR102035183B1 (ko) 자동 수문의 퇴적 방지장치
KR101533943B1 (ko) 우수토실의 우수유입량이 조절되는 무동력 토사유입 방지장치
CN114045915B (zh) 一种对管网中雨污水沉积物具有冲洗功能的截流系统
CN105386508B (zh) 一种新型初雨水力自动控制弃流装置
CN209556088U (zh) 一种基于浮筒的截流初期雨水的雨水口
CN107605005A (zh) 一种带水力止回堰门和泵排的排水系统及排水控制方法
KR101902614B1 (ko) 악취가 방지되는 무동력 유량조절장치
KR101007019B1 (ko)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 처리를 위한 고속여과장치
KR101241459B1 (ko) 확장 저류조를 갖는 초기우수 보관 처리시스템
CN203821564U (zh) 电动合流制管网截流井
KR20150078311A (ko) 개폐식월류벽이 구비된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와 유량조절 장치
EP0535375A1 (de) Verfahren zum Verhindern von Fehleinleitungen aus einem Regenwasserkanal in einen Vorfluter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008372B1 (ko) 오수 차집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CN207436177U (zh) 一种带有泵排的排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