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065B1 -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 Google Patents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065B1
KR101235065B1 KR1020100065845A KR20100065845A KR101235065B1 KR 101235065 B1 KR101235065 B1 KR 101235065B1 KR 1020100065845 A KR1020100065845 A KR 1020100065845A KR 20100065845 A KR20100065845 A KR 20100065845A KR 101235065 B1 KR101235065 B1 KR 101235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water
sluice
drain pip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5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217A (ko
Inventor
김용순
Original Assignee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5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065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되고 확실한 개폐가 가능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메인 수문에 대해 악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해초나 이물질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메인 수문부(10)의 상류측 저부에 위치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20)로서, 메인 수문부 저부에 설치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개폐장치(29)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아래에서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배수관(23); 상기 배수관(2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2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관(23)을 개방시키는 보조 수문본체(21); 및 상기 보조 수문본체(21)를 개폐하는 유압 실린더(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Support floodgate for draining ground water}
본 발명은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등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메인 수문의 하측에 별도로 설치되어 메인 수문의 개폐 여부와 무관하게 하천의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에는 수압 또는 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수문 본체에 의해 수로를 개폐하여 수로 상류측의 저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보 수문이 설치되는바, 수량 조절 목적으로 수문을 개방하지 않고 일정 기간 폐쇄된 상태로 하천수를 가두어 두는 경우에는, 저부의 유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저층수가 부패하여 수질오염의 주범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 종래기술로서 한국 특허공개 제2003-63272호를 비롯한 다양한 사이펀식 수문이 제안되었다. 사이펀식 수문이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문 본체(100) 내에 분리벽(154)을 형성하고 저층수 배출구(144)를 수문 외벽(156)의 저부에 형성하여 사이펀 현상에 의해 수문이 닫힌 상태에서도 저층수가 유입수 배출구(144) 및 수문 내부의 배수 통로(116) 및 사이펀 통로(13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이펀식 수문은 기압차에 의해 저층수가 사이펀 통로(13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므로 소음이 심하고 특히 야간에는 큰 민원을 제기하는가 하면, 동계에는 수문 내부의 물이 응고하여 수문의 파손을 가져오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어 현재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고 있다.
한편, 어도를 형성하면서 저층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종래기술로서 상기 공보에는 도 1b에서와 같은 어도 개폐판(111)을 수문 본체(100)에 설치하거나 혹은 도 1c에서와 같은 제3 종래기술로서의 어도 개폐판(120)을 수문 기부에 설치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제2 종래기술의 경우, 수문 본체(110)에 직접 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고, 상기 제3 종래기술의 경우, 수문의 저부에 설치시에도 메인이 되는 수문 본체(110)에 대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없어 견고한 설치가 불가능하였다.
무엇보다도 상기 제2 및 제3 종래기술의 경우, 좁은 공간에 어도 개폐문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어도 개폐문을 개폐하는 회동부재(119)의 구조가 큰 제약을 받게 되며, 어도 개폐문의 확실한 개폐가 곤란하였으며, 추가적으로 하천 저면에 설치되는 관계로 이물질이나 해초에 의해 자주 막히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정되고 확실한 개폐가 가능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기존의 메인 수문에 대해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보조 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초나 이물질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은, 메인 수문부(10)의 상류측 저부에 위치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20)로서, 메인 수문부 저부에 설치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개폐장치(29)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아래에서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배수관(23); 상기 배수관(2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2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관(23)을 개방시키는 보조 수문본체(21); 및 상기 보조 수문본체(21)를 개폐하는 유압 실린더(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관(23) 입구에는 단턱(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23)의 입구쪽은 하향 경사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23)의 출구쪽은 상향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수문 본체(21)의 입구에 타공망 실린더(31) 혹은 이물질 제거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에 따르면, 기존의 전도식 수문부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저층수의 하천수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의 설치가 가능하며, 메인 수문비의 높이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는가 하면, 보조 수문이 메인 수문 저부에 지하로 위치하므로 미감상으로도 깔끔한 외관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저층수로 입구에 타공망을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따라서 이물질로 인한 상대적으로 좁은 저층수로가 막힐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상기 타공망은 이물질 제거장치로 형성하여 타공망을 막을 수 있는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저층수로 입구에 타공망을 형성하는 경우, 이외에도 저층수 배수관의 수압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추가적인 장점을 지닌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도 1a는 제1 종래기술의 사이펀식 수문.
도 1b는 제2 종래기술의 어도 개폐판을 갖는 수문.
도 1b는 제3 종래기술의 수문 기부에 설치되는 어도 개폐판을 갖는 수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 배치도.
도 4는 도 2의 A-A 선 단면도로서 보조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A-A 선 단면도로서 보조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상세도.
도 7은 도 4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세도.
도 8은 도 4의 타공망 축수 부분의 상세도.
도 9는 도 4의 보조수문 축수 부분의 상세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 배치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개폐장치(29)의 설치 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메인 수문(11)의 하측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도록 한다. 이는, 저층수량은 전체 통수량의 최대 5% 이하로 배출을 하면 족하므로, 메인 수문에 비해 일정 수준에서 소형 보조수문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은 본 발명자에 이해 발명되고 동일자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는 또다른 특허출원 "장스판 전도식 수문 개폐 장치"의 기술이 동시에 적용되는바, 따라서 메인 수문을 장스판으로 하고 메인 수문의 하측에 메인 수문 개폐장치(19)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명세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해치지 않는 한에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되어진다.
이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4는 도 2의 A-A 선 단면도로서 보조 수문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2의 A-A 선 단면도로서 보조 수문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20)는, 수문 회전축(12)을 갖는 메인 수문본체(11)와 밀폐 고무판(13)을 갖는 메인 수문부(10)의 상류측 저부에 위치한다.
즉, 메인 수문부 저부에 설치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개폐장치(29)의 하우징이 위치하며, 그 아래에는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배수관(23)이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는바, 배수관(23)의 선단은 평소에는 보조 수문본체(21)에 의해 폐쇄되어 있게 된다. 상기 보조 수문본체(21)는 그 회전축(21a)이 하우징 벽에 설치되고, 유압 실린더(22)의 일측에 연결되어 유압 실린더(22)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바, 상기 유압 실린더의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 벽에 브라켓(25)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그리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수 시에는 도 5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배수관(23)의 입구를 폐쇄하고 있다가, 저층수를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가 수축하도록 함으로써, 보조 수문본체(2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대략 90도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화살표 "가" 방향과 같이 하우징 벽쪽으로 (도 5의 실선 도시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보조 수문본체가 개방되고 저층수가 저층수로(50)를 따라 하류로 방류되어 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관 입구에는 어느 정도의 단턱(26)이 형성되어 돌이나 무거운 이물질이 가급적 단턱에 걸리어 배수관 내로 유입이 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배수관(23)의 입구쪽은 하향 경사지도록 되어 있어, 저층수용 보조 수문 폐문시 이물질이 아래로 향하게 하여 저층수가 어느 정도의 속력을 갖도록 하여야 고형물의 침전을 방지하며, 반대로 배수관의 출구쪽은 상향 경사지게 하여 저층수의 배출 방향이 직선이 아닌 하류쪽 상승형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그 이유는 수문의 전체 통수량을 유지하면서 저층수를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즉, 저층수 배출 방향을 직선으로 하면 메인 수문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로 상승하여 배치되어야 하며, 그렇게 되면 하천 전체 통수량이 줄어들어 위험의 소지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린더의 힘은 하천 환경의 특성으로 안전율 2 이상으로 적용하며, 저층 수문비는 고무재의 지수패킹(21b: 도 7)에 의해 완전 밀착하여 폐문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저층수 배수관의 가로 길이는 가급적 일정(1400mm)하게 하고, 높이로 저층수 통수량을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유는 가로 길이가 길어지면 문틀의 지지력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저층수문의 상부 커버(24)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여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특징인 이물질 제거 장치(30)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6은 도 4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상세도이고, 도 7은 도 4의 이물질 제거 장치의 상세도이며, 도 8은 도 4의 타공망 축수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9는 도 4의 보조수문 축수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본체(21)의 입구에 타공망 실린더(31)가 위치하는바, 상기 타공망 실린더(31)는 도 6 및 도 8에서 보듯이 중공의 실린더 형상의 표면이 다수개의 타공(31b)이 형성된 타공망으로 형성되어지며, 그 회전축(31a)이 하우징(39)에 회동가능하도록 축결합되어 진다.
또한, 상기 타공망 실린더(31)의 타공망이 형성된 표면의 적어도 일측에는 상기 회전축(31a)과 평행한 방향으로 칼날이 상기 표면과 거의 맞닿아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좌우 양측에 하나씩 일렬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더구나, 상기 보조 수문본체의 회전축(21a)과 상기 타공망 실린더의 회전축(31a)은 동력전달 수단에 의해 연동되어 있도록 하는바, 즉, 상기 보조 수문본체의 회전축(21a)과 상기 타공망 실린더의 회전축(31a)에는 각각 스프로켓(도 8의 '34' 및 도 9의 '36' 참조)이 형성되고 체인(32)으로 연결되어 있게 된다 (도 7 참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수문본체가 회전축(21a)을 중심으로 90도 회전하는 경우, 상기 보조 수문본체의 회전비와 상기 타공망 실린더의 회전비는 1:2 가 되도록 하여 상기 보조 수문이 한번 개폐될 경우, 상기 타공망 실린더의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 부호 27 및 28은 각각, 상기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본체 회전축(21a)의 축수 및 부싱이며, 35는 상기 타공망 실린더의 회전축(31a)의 축수이다.
이제, 이상의 이물질 제거 장치(30)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보조 수문 개폐장치용 실린더(22)가 수축하면, 보조 수문본체(21)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례로 90도 회전하면서 (도 5의 "가" 방향) 저층수로(50)가 개방되어지는바, 상기 회전력은 체인(32)을 통해 상기 타공망 실린더(31)를 일례로 180도 회전시키게 되면서 (도 5의 "나" 방향), 타공(31b)에 끼인 수초 등의 이물질(40)이 칼날(33)에 의해 제거된다. 이는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갈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저층수문비 앞쪽에 타공망이 설치되어 저층수문 폐문시 이물질에 의한 저층수문의 걸림을 막게 되며, 다시 타공망에 이물질(식물)의 걸림을 막기 위해 저층수문 개폐시 스프로킷과 체인에 의해 타공망이 180°이상 회전하여 위 아래의 고정된 칼날에 의해 이물질이 절단되어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전도식 수문부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저층수의 하천수를 적절히 배출시킬 수 있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의 설치가 가능하며, 메인 수문비의 높이나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는가 하면, 보조 수문이 메인 수문 저부에 위치하므로 미감상으로도 깔끔한 외관을 갖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저층수로 입구에 타공망을 형성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막고 따라서 이물질로 인한 상대적으로 좁은 저층수로가 막힐 염려가 없으며, 아울러, 상기 타공망은 이물질 제거장치로 형성하여 타공망을 막을 수 있는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제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 : 메인 수문부 11 : 메인 수문본체
12 : 수문 회전축 13 : 밀폐 고무판
19 : 메인 수문 개폐장치
20 : 보조 수문부 21 : 보조 수문본체
21a : 보조 수문 회전축 21b : 지수패킹
22 : 유압 실린더 23 : 배수관
24 : 보조 수문부 커버 25 : 브라켓
26 : 단턱 27 : 축수
28 : 부싱 29 : 보조 수문 개폐방치
30 : 이물질 제거장치 31 : 타공망 실린더
31a : 타공망 실린더 회전축 31b : 타공망
32 : 체인 33 : 칼날
34 : 스프라켓 35 : 축수
36 : 스프라켓 37 : 축수
39 : 하우징
40 : 이물질 50 : 저층수로

Claims (5)

  1. 메인 수문부(10)의 상류측 저부에 위치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부(20)로서,
    메인 수문부 저부에 설치된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개폐장치(29)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아래에서 하천 저류지와 연결되어 있으며 저층수가 배출되는 저층수로(50)가 형성되도록 배수관(23);
    상기 배수관(23)의 선단에 형성되어 담수시에는 상기 배수관(23)을 폐쇄하며 저층수 배수시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배수관(23)을 개방시키는 보조 수문본체(21); 및
    상기 보조 수문본체(21)를 개폐하는 유압 실린더(2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3) 입구에는 단턱(2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23)의 입구쪽은 하향 경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23)의 출구쪽은 상향 경사지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문 본체(21)의 입구에 타공망 실린더(31)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문 본체(21)의 입구에 이물질 제거 장치(3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20100065845A 2010-07-08 2010-07-08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1235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45A KR101235065B1 (ko) 2010-07-08 2010-07-08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5845A KR101235065B1 (ko) 2010-07-08 2010-07-08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17A KR20120005217A (ko) 2012-01-16
KR101235065B1 true KR101235065B1 (ko) 2013-02-19

Family

ID=45611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5845A KR101235065B1 (ko) 2010-07-08 2010-07-08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0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188B1 (ko) * 2015-10-01 2017-08-16 주식회사 오선 자동제어가 가능한 저층수배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5035B1 (ko) * 2020-10-19 2022-11-10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가동보의 저층수 배출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53A (ko) * 2002-09-05 2003-01-14 한상관 수질개선을 유도하는 조절판과 그 작용에 의해 어도가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 방법
KR20080097368A (ko) * 2008-09-25 2008-11-05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53A (ko) * 2002-09-05 2003-01-14 한상관 수질개선을 유도하는 조절판과 그 작용에 의해 어도가구성되어 작동하는 전도식 자동보 수문과 그 구성 방법
KR20080097368A (ko) * 2008-09-25 2008-11-05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수문의 구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8188B1 (ko) * 2015-10-01 2017-08-16 주식회사 오선 자동제어가 가능한 저층수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17A (ko) 201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1796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0821690B1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100641826B1 (ko) 협잡물 걸름부를 구비한 가동보
KR101181873B1 (ko) 부유구를 이용한 악취방지용 그레이팅
KR20130112149A (ko) 펌프용 제진기 및 이를 이용한 제진기 일체형 펌프 게이트
KR101235065B1 (ko) 저층수 배출용 보조 수문
KR102176605B1 (ko) 양방향 이중개폐식 저층수 배출장치
US201100565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verting Flowing Liquid from a Conduit
KR100608603B1 (ko) 수중보의 수문 자동 개폐장치
KR101184967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619459B1 (ko) 수위에 따라 자동조절되는 하천용 수문
KR200392599Y1 (ko) 전도식 어도 수문
KR100632438B1 (ko) 우수토실
KR20150088962A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방지 및 유량조절장치
KR101070244B1 (ko) 저층수 배출장치
KR101922437B1 (ko) 부력을 이용한 플랩형도어를 갖는 배수펌프장 수문
KR102458656B1 (ko)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전도식 수문
JP4369412B2 (ja) 流入ゲートの運転制御方法及び排水ポンプ設備
KR200427634Y1 (ko) 수질개선의 기능을 갖는 가동보
KR200411801Y1 (ko) 암거용 수문
KR101133928B1 (ko) 수문 개폐 장치
KR100674355B1 (ko) 상수도 취수탑 저수위 도수구 설치구조
KR20070022379A (ko) 사이펀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수량의 조절방법
JP2005146703A (ja) 浮体式起伏型ゲート設備の排砂構造
KR20110000467A (ko) 침전물 정화용 수문이 형성된 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